KR20170004230U -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230U
KR20170004230U KR2020160003146U KR20160003146U KR20170004230U KR 20170004230 U KR20170004230 U KR 20170004230U KR 2020160003146 U KR2020160003146 U KR 2020160003146U KR 20160003146 U KR20160003146 U KR 20160003146U KR 20170004230 U KR20170004230 U KR 201700042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ing
fixing portions
spa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노현
Original Assignee
명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노현 filed Critical 명노현
Priority to KR2020160003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230U/ko
Publication of KR201700042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2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47K1/05Holding devices for basins or ju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6Devices for fastening baths to floors or walls; Adjustable bath feet ; Lining panels or attach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4/00Combinations of baths, douches, sinks, wash-basins, closets, or urinal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는 벽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호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거리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상단 일측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상기 회동부의 상단 일측과 대향하는 측 및 상기 회동부의 상단 타측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상기 회동부의 상단 타측과 대향하는 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회동판을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FOLDING SHAMPOO BASIN FOR USE OF THE SPACE}
본 고안은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에 관한 것으로서, 화장실 내에 일정 공간을 점유하는 세면대를 대체하는 동시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많이 보급되는 있는 원룸형 주택의 경우 좁은 공간 내에 다양한 주거 편의시설을 갖추어야 하는데, 특히, 화장실이나 욕실에는 세면(洗面) 할 수 있게 세면대가 일정 높이를 갖도록 벽체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 세면대가 원룸형 주택과 같은 협소한 주택의 욕실이나 화장실 내에서 일정 공간을 점유하고 있어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2581호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구성되고, 후측단부 벽면에 힌지 결합하여 벽면상에서 수평전개와 수직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용수수납부에 형성된 배수공에는 플렉시블 형태의 배수연결관을 배수관과 연결배관하며, 수직 절첩시 대응하는 벽면에는 고정부가 선택 고정될 수 있는 고정수단을 설치한 "세면대"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면대"는 배수연결관이 세면대와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벽면에 세워졌을 때, 바닥면은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세면대 상측에 설치된 선반과 벽면에 설치된 수도꼭지는 세면대와는 별개로 설치되므로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배수공을 통해 정화되지 않은 상태의 물이 배수관을 따라 안내되어 배수관에 이물질에 끼이고 심할 경우 배수관을 막히게 하여 배수되지 못하고 범람하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2581호(2002. 07. 15. 등록)
본 고안은 화장실 내에서 일정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세면대를 대체하여 절첩식 구조를 가져 화장실 내에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는 벽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호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거리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상단 일측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상기 회동부의 상단 일측과 대향하는 측 및 상기 회동부의 상단 타측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상기 회동부의 상단 타측과 대향하는 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회동판을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 연결바; 상기 상부 연결바 중 상기 회동부와 대향하는 측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자성체; 및 상기 회동부 중 상기 제 1 자성체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 1 자성체와는 다른 극을 갖는 제 2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전방에 집게부가 구비되는 제 1 클램프바; 상기 회동부 중 상기 제 1 클램프바와 대향하는 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방에 집게부가 구비되는 제 2 클램프바; 및 일측부가 상기 제 1 클램프바의 집게부에 집혀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 2 클램프바의 집게부에 집혀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유연한 소재의 메쉬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에 상기 한 쌍의 고정부와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회동부를 상기 고정부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시키거나, 수건을 걸어 놓을 수 있는 브래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부의 상단 중앙부에는 샤워기 호스의 넥 영역을 거치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움푹하게 패인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절첩식 구조를 갖는 링크부를 마련함으로써 회동부를 고정부 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화장실 내에서 일정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세면대를 대체하는 동시에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고정부와 회동부 사이의 영역 중 하부에 메쉬망을 마련함으로써 고정부와 회동부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 1 클램프바와 제 2 클램프바의 집게부에 고정 설치된 메쉬망을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메쉬망의 세척이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화장실 내에서 일정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세면대를 대체하여 절첩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에 관한 것으로서, 벽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100)와,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200)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회동부(200)을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 링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전체적으로 사각 단면을 갖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화장실 내에서 벽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이 나란히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100)의 후면 모서리에 각각 진공패드가 설치되거나, 상기 고정부(100)의 후면에 실리콘 건을 이용하여 실리콘을 묻혀 화장실 내에서 벽면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장실 내에서 벽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고, 습기가 높은 곳에서도 고정된 후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면, 어떠한 방식이 적용하여 상기 고정부를 고정 설치하여도 무관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의 하단은 힌지 결합되는 상기 회동부(200)의 원활한 회동 동작을 위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라운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200)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가 이격 배치된 거리에 대응되는 폭(가로길이)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 각각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세로길이)를 갖고,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의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를 이용하여 머리를 감을 때에는 상기 회동부(200)를 전방으로 회동시킨 후,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회동부(200) 사이의 영역에 직상방으로 머리를 위치시켜 샤워기 호스를 작동시켜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회동부(200) 사이의 영역으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으며, 이 후, 머리를 감기 위해 사용된 물은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가 설치된 벽면을 따라 직하방으로 이동하여, 화장실의 바닥면에 위치한 배수트랩으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링크부(300)는 상기 회동부(200)을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 구성으로서, 상기 회동부(200)의 상단 일측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 중 상기 회동부(200)의 상단 일측과 대향하는 측 및 상기 회동부(200)의 상단 타측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 중 상기 회동부(200)의 상단 타측과 대향하는 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회동부(200)의 회동에 따라 절첩되는 동시에 상기 회동부(20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 사이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연결바(400)와, 상기 상부 연결바(400) 중 상기 회동부(200)와 대향하는 측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자성체(500)와, 상기 회동부(200) 중 상기 제 1 자성체(500)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 1 자성체(500)와는 다른 극을 갖는 제 2 자성체(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연결바(400)는 전체적으로 사각 단면을 갖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가 나란히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특히, 상기 상부 연결바(400)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 사이 영역 중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자성체(500)와 상기 제 2 자성체(600)는 자성을 지닌 물질로서, 상기 제 1 자성체(500)는 상기 상부 연결바(400) 중 상기 회동부(200)와 대향하는 측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 2 자성체(600)는 상기 회동부(200) 중 상기 제 1 자성체(500)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 자성체(500)와 상기 제 2 자성체(600)는 서로 다른 극을 가져 상호 인력이 작용하며, 이에 따라 상기 회동부(200)가 상기 고정부(100)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회동부(200) 측에 위치한 제 1 자성체(500)와 상기 고정부(100) 측에 위치한 제 2 자성체(600)가 근거리에 위치했을 때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회동부(200)를 상기 고정부(100) 측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는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 사이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전방에 집게부가 구비되는 제 1 클램프바(700)와, 상기 회동부(200) 중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와 대향하는 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방에 집게부가 구비되는 제 2 클램프바(800)와, 일측부가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의 집게부에 집혀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 2 클램프바(800)의 집게부에 집혀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회동부(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유연한 소재의 메쉬망(9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클램프바(700)는 상기 메쉬망(900)의 일측부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체적으로 사각 단면을 갖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가 나란히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 사이 하부에 연결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의 전방, 즉, 상기 회동부(200)와 대향하는 측면에는 집게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의 집게부를 가압하여 집게부가 벌어진 상태에서 벌어진 집게부 사이의 영역으로 상기 메쉬망(900)의 일측부를 삽입한 후, 사용자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 1 클램프바의 집게부에 상기 메쉬망의 일측부가 집힌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 2 클램프바(800)는 상기 메쉬망(900)의 타측부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와 동일하게 전체적으로 사각 단면을 갖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가 나란히 평행하게 이격 배치된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회동부(200) 중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와 대향하는 위치에 연결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 2 클램프바(800)의 전방, 즉,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집게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제 2 클램프바(800)의 집게부를 가압하여 집게부가 벌어진 상태에서 벌어진 집게부 사이의 영역으로 상기 메쉬망(900)의 타측부를 삽입한 후, 사용자의 가압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제 2 클램프바(800)의 집게부에 상기 메쉬망(900)의 타측부가 집힌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메쉬망(900)은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회동부(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원단으로서, 상기 고정부(100)와 상기 회동부(20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은 통과하되, 그 밖에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할 정도로 충분히 작은 크기의 그물코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쉬망(900)은 상기 회동부(200)의 회동에 따라 연동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는 머리를 감은 후, 머리의 묻은 물기를 닦기 위해 사용하는 수건을 걸어 놓거나,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회동부(200)를 상기 고정부(100)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회동부(200) 중 상기 한 쌍의 고정부(100)와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는 브래킷(2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와 상기 제 2 클램프바(800)의 전방에는 집게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의 집게부와 상기 제 2 클램프바(800)의 집게부에 각각 상기 메쉬망(900)의 일측부와 타측부가 집힐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메쉬망(900)을 상기 제 1 클램프바(700)와 상기 제 2 클램프바(8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상기 메쉬망(900)을 세척하거나 이물질을 별도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210)은 상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ㄷ' 자 형상을 가지며, 'ㄷ' 자 형상의 양단부가 상기 회동부(200)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ㄷ' 자 형상 중 상기 회동부(200)와 평행한 영역에 수건을 걸어 놓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고정부(100) 측으로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머리를 감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한 손에 샤워기 호스를 파지하여야 하고, 머리에 샴푸나 린스를 하기 위해 다시 샤워기 호스를 바닥이나 벽면에 구비된 거치대에 거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는 상기 회동부(200)의 상단 중앙부에 샤워기 호스의 넥 영역을 거치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움푹하게 패인 거치홈(200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거치홈(200a)은 샤워기 호스의 넥 영역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회동부(200)의 전면 상단 중앙부에서 후면 상단 중앙부 방향으로 갈수록 둘레가 점점 작아지는 형상을 갖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샤워기 호스를 거치홈(200a)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고정부 200: 회동부
200a: 거치홈 210: 브래킷
300: 링크부 400: 상부 연결바
500: 제 1 자성체 600: 제 2 자성체
700: 제 1 클램프바 800: 제 2 클램프바
900: 메쉬망

Claims (5)

  1. 벽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며, 상호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한 쌍의 고정부가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거리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하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상단 일측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상기 회동부의 상단 일측과 대향하는 측 및 상기 회동부의 상단 타측과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중 상기 회동부의 상단 타측과 대향하는 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상기 회동판을 지지하는 동시에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상부 연결바;
    상기 상부 연결바 중 상기 회동부와 대향하는 측의 중앙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자성체; 및
    상기 회동부 중 상기 제 1 자성체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제 1 자성체와는 다른 극을 갖는 제 2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사이 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전방에 집게부가 구비되는 제 1 클램프바;
    상기 회동부 중 상기 제 1 클램프바와 대향하는 측에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전방에 집게부가 구비되는 제 2 클램프바; 및
    일측부가 상기 제 1 클램프바의 집게부에 집혀 고정되고, 타측부가 상기 제 2 클램프바의 집게부에 집혀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동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개의 그물코가 형성된 유연한 소재의 메쉬망;을 더 포함하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에 상기 한 쌍의 고정부와 대향하는 측의 반대 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회동부를 상기 고정부의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시키거나, 수건을 걸어 놓을 수 있는 브래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상단 중앙부에는 샤워기 호스의 넥 영역을 거치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움푹하게 패인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KR2020160003146U 2016-06-09 2016-06-09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KR201700042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46U KR20170004230U (ko) 2016-06-09 2016-06-09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146U KR20170004230U (ko) 2016-06-09 2016-06-09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230U true KR20170004230U (ko) 2017-12-19

Family

ID=61259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146U KR20170004230U (ko) 2016-06-09 2016-06-09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23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14Y1 (ko) * 2021-01-17 2021-04-12 서선민 도구 수용부를 갖는 샴푸 볼
KR102311206B1 (ko) * 2021-06-11 2021-10-08 김무래 욕실용 물 튐 방지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514Y1 (ko) * 2021-01-17 2021-04-12 서선민 도구 수용부를 갖는 샴푸 볼
KR102311206B1 (ko) * 2021-06-11 2021-10-08 김무래 욕실용 물 튐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6445B1 (en) Shower-mounted back scrubber
US20090172876A1 (en) Pedestal sink towel holder, and towel holding method
KR20170004230U (ko) 공간 활용이 가능한 절첩식 머리감기대
CN213374037U (zh) 一种酒店用品用消毒装置
KR200437713Y1 (ko) 샤워기 고정구가 구비된 대야
EP0137009A1 (en) DRYING ARRANGEMENT FOR SHOWER ROOM.
US11224290B1 (en) Multifunctional draining rack
CN209653051U (zh) 一种多功能一体盆
US20070051742A1 (en) Toilet paper dispenser combined with a liquid dispenser
CN205658825U (zh) 一种卫浴柜
CN208725600U (zh) 一种便携式洗浴装置
CN217517193U (zh) 一种多功能洗脸盆
CN208550493U (zh) 一种可调节置物架
US8434173B1 (en) Diaper cleaning device
JP2008291582A (ja) 手洗装置
CN205458302U (zh) 一种多功能卫浴用置物架
KR200440468Y1 (ko) 세움대가 설치된 샤워기 헤드
CN216776821U (zh) 一种具有毛巾晾挂功能的洗手盆支架及洗手盆
US9155448B1 (en) Portable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WO2018023730A1 (zh) 一种折叠洗手池
CN211066353U (zh) 一种便于使用的毛巾托
CN209528989U (zh) 一种卫浴收纳装置
CN209489637U (zh) 一种可应用于集体宿舍的简易洗头柜
KR200306682Y1 (ko) 수건 걸이대
KR102513799B1 (ko) 자동 세척 벤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