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293B1 - conveying device - Google Patents
convey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3293B1 KR102513293B1 KR1020207022111A KR20207022111A KR102513293B1 KR 102513293 B1 KR102513293 B1 KR 102513293B1 KR 1020207022111 A KR1020207022111 A KR 1020207022111A KR 20207022111 A KR20207022111 A KR 20207022111A KR 102513293 B1 KR102513293 B1 KR 1025132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ing
- article
- regulating
- pair
- arrangement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8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y means of a cart or a vehicu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Handcart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주행부에 연결되고 또한 물품(6)을 유지하는 유지부(12)와, 유지부(12) 및 유지부(12)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6)인 유지 물품(6A)을 연직 방향을 따르는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부와, 연직 방향에서 볼 때 유지 물품(6A)의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한 쌍의 규제체(21)와, 한 쌍의 규제체(21)를 이동시키는 규제체 조절부(23)를 구비하고, 한 쌍의 규제체(21) 중 배열 방향 제1 측 X1에 있는 제1 규제체(24)는, 제1 측면(F1)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한 쌍의 규제체(21) 중 배열 방향 제2 측 X2에 있는 제2 규제체(25)는, 제2 측면(F2)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규제체 조절부(23)는, 유지 물품(6A)의 자세에 따라서, 배열 방향 X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의 위치인 중앙 위치 S를 조절한다. A holding portion 12 connected to the traveling portion and holding the article 6, and a holding article 6A, which is the holding portion 12 and the article 6 held in the holding portion 12,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 pivoting portion for turning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21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lding article 6A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djusting regulating members for moving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21 The first regulating body 24 provided with the portion 23 and located on the first side X1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mong the pair of regulating bodies 21 is disposed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F1, and is disposed facing the pair of regulating bodies 21 Of the sieves 21, the second regulating member 25 on the second side X2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is disposed facing the second side surface F2, and the regulating member adjusting portion 23 adjusts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6A. According to this, the center position S, which is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pair of regulating bodies 21 in the array direction X, is adjus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와, 주행부에 연결되고 또한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holding unit)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을 연직(沿直) 방향을 따르는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부(旋回部)를 구비한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veling portion that travels along a rail, a holding unit connected to the traveling portion and holding an article, and a holding unit holding an article along a vertical shaft cent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It relates to a conveying device equipped with a turning portion for turning around.
이하, 배경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괄호 쓰기의 부호 또는 명칭은, 선행 기술 문헌에서의 부호 또는 명칭으로 한다. 이러한 반송 장치의 종래예가, 일본 공개특허 제2016―172607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반송 장치는,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22)와, 주행부(22)에 연결되고 또한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지지 기구(機構)(24)]와, 유지부를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부[회전 조작 기구(27)]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반송 장치는, 선회부에 의해 유지부를 선회(旋回)시킴으로써,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인 유지 물품이 반송(transport) 대상 개소(箇所)에 따른 자세로 되도록, 유지 물품을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Background technology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codes or names written in parentheses are the codes or names in the prior art literature. A conventional example of such a conveying device is describ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6-172607 (Patent Document 1). The transport device of
또한, 반송 장치에는, 일본 공개특허 제2015―131702호 공보(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행부가 주행하는 방향을 따르는 배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규제체(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한 쌍의 규제체(30)는, 연직 방향에서 볼 때 유지부[지지 기구(19)]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의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고, 유지부[지지 기구(19)]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이 요동한 경우라도, 물품이 규제체(30)에 접촉함으로써 물품의 요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in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5-131702 (Patent Document 2), the convey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30 disposed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veling portion travels. There is something you are doing.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3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rticle held by the holding portion (supporting mechanism 19)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held by the holding portion (supporting mechanism 19). Even when the article swings, when the artic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gulating body 30, the swing of the article is controlled.
물품에는, 유지부에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이 피유지부가, 평면에서 볼 때 물품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배치되어 있는 물품이 있다. 또한, 피유지부가 평면에서 볼 때 물품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세로 축심 주위의 외면의 형상이 규칙적이지 않은 물품도 있다. 이와 같은 물품을 유지부에 의해 유지한 경우, 선회부에 의한 유지부의 세로 축심 주위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물품의 세로 축심 주위의 외면의 위치가 변화한다. 이와 같은 물품을 반송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규제체에 의해, 선회부에 의한 유지부의 선회 각도에 관계없이 적절히 물품의 요동을 규제하는 것은 곤란했었다. There is an article in which an article is provided with a held portion held by the holding portion, and the held portion is displaced from the center of the article in a plan view. In addition, even when the held portion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rticle in plan view, there are articles in which the shape of the outer surface around the vertical axis is not regular. When such an article is held by the holder, the position of the outer surface around the vertical axis of the article changes according to the turning angle of the holder by the swing section around the vertical axis. When such an article is to be conveyed, it has been difficult to appropriately regulate the rocking of the article by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regardless of the turning angle of the holding part by the swinging part.
따라서, 유지부의 선회 각도에 관계없이 물품의 요동을 적절히 규제할 수 있는 반송 장치의 실현이 요구된다. Accordingly, it is desired to realize a conveying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rocking motion of the article irrespective of the turning angle of the holder.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송 장치의 특징적 구성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와, 주행부에 연결되고 또한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 및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인 유지 물품을 연직 방향을 따르는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부와, 연직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유지 물품의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한 쌍의 규제체와, 한 쌍의 상기 규제체를 이동시키는 규제체 조절부를 구비하고,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conveying device is a traveling portion that travels along the rail, a hol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running portion and holding an article, and the holding portion and the article held by the holding portion. A pivoting portion for turning the holding article around a vertical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arranged separately on both sides of the holding article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djusting the regulating members for moving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have wealth,
연직 방향에서 볼 때 한 쌍의 상기 규제체가 배열되는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고, 상기 배열 방향의 한쪽 측을 배열 방향 제1 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배열 방향 제2 측으로 하고,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한 쌍의 상기 규제체의 중앙의 위치를 중앙 위치로 하여, 상기 유지 물품은, 상기 선회부에 의한 상기 유지부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상기 배열 방향 제1 측을 향한 제1 측면과, 상기 배열 방향 제2 측을 향한 제2 측면과의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위치가 변화하는 형상이며, 한 쌍의 상기 규제체 중 상기 배열 방향 제1 측에 있는 제1 규제체는,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규제체 중 상기 배열 방향 제2 측에 있는 제2 규제체는,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규제체 조절부는, 상기 유지 물품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중앙 위치를 조절하는 점에 있다.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restraining bodies are arranged is regarded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ne side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is taken as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taken as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side, With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as the center position, the holding article has a first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turning angle of the holding part by the turning part, and a second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It is a shape in which a position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with a second side face toward the second side changes, and a first regulation member on a first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ir of the regulation members is disposed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a second regulating member on a second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ide surface, and the regulating member adjusting unit is positioned at the central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It is at the point of controlling the .
이 구성에 의하면, 선회부에 의해 유지부가 선회함으로써, 유지 물품이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하여 유지 물품의 자세가 변하고, 유지 물품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과의 배열 방향에서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체 조절부가, 유지 물품의 자세에 따라서 한 쌍의 규제체의 중앙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규제체를 제1 측면이나 제2 측면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부의 선회 각도에 관계없이, 한 쌍의 규제체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이 요동한 경우라도, 그 물품이 규제체에 접촉함으로써 물품의 요동을 적절히 규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holding part rotates by the turning part, the holding article turns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changes, and the position of the holding articl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changes. . 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member adjustment unit adjusts the central position of the pair of control members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thereby arranging the pair of control member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surface or the second side surface. can Therefore, regardless of the turning angle of the holding portion, the pair of regulating bodies can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herefore, even when the article held by the holding part swings, the swing of the article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by contacting the article with the regulating member.
도 1은 물품 반송 설비의 측면도
도 2는 물품 반송 설비의 평면도
도 3는 물품 반송차(article transport vehicle)의 측면도
도 4는 제어 블록도
도 5는 한 쌍의 규제체의 제1 규제 위치 및 유지부의 제1 유지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한 쌍의 규제체의 제2 규제 위치 및 유지부의 제2 유지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한 쌍의 규제체의 제3 규제 위치 및 유지부의 제3 유지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한 쌍의 규제체의 제4 규제 위치 및 유지부의 제4 유지 위치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한 쌍의 규제체의 제5 규제 위치를 나타낸 도면1 is a side view of an article conveying facility
2 is a plan view of an article conveying facility;
3 is a side view of an article transport vehicle;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5 is a view showing a first regulating position of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and a first holding position of a holding part;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regulating position of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and a second holding position of a holding part;
7 is a view showing a third regulating position of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and a third holding position of a holding part;
8 is a view showing a fourth regulating position of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and a fourth holding position of a holding part;
9 is a view showing a fifth regulatory position of a pair of regulatory bodies;
1. 실시형태1. Embodiment
반송 장치를 구비한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an article transport facility provided with a transport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는, 천정(ceiling) 가까이에 설치된 레일(1)과, 반송 장치에 상당하는 물품 반송차(2)와, 물품(6)에 대하여 처리를 행하는 처리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처리 장치(3)에 대하여 인접하는 위치에, 물품(6)을 지지하는 지지대(4)가 구비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2)는, 레일(1)을 따라 주행하여 물품(6)을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처리 장치(3)에 의한 처리가 행해지기 전방의 물품(6)을, 도시하지 않은 반송원(搬送元)으로부터 지지대(4)로 반송하고, 또한 처리 장치(3)에 의한 처리가 행해진 후의 물품(6)을, 지지대(4) 내지 도 밖의 반송처(搬送處)로 반송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article conveying facility includes a
[물품][article]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6)은, 판형의 수용물을 복수 개 수용 가능한 용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예에 관한 물품(6)은, 다이싱(dicing) 프레임을 장착한 웨이퍼를 복수 개 수용하는 용기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6)은, 수용물을 수용하는 본체부(7)와, 본체부(7)의 상면에 장착된 플랜지부(8)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7)에는, 수용물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6)을 설명하는 경우에 있어서,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에 있어서 수용물을 출입하는 방향을 안길이 방향 D라고 하고, 연직 방향에서 볼 때 안길이 방향 D와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 W라고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6)은,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의 형상이, 폭 방향 W의 폭과 안길이 방향 D의 폭이 같게 되는 정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8)는, 폭 방향 W로 있어서 본체부(7)의 중앙에 장착되고, 안길이 방향 D에 있어서 본체부(7)의 중앙보다 전방측[중앙에 대하여 개구(9)가 위치하는 측]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의 플랜지부(8)의 중심 위치가, 후술하는 선회 조작부(18)에 의해 선회하게 하는 경우의 선회 축심(旋回軸心)으로 되는 세로 축심(P1)의 위치에 상당한다. 그리고, 세로 축심(P1)(선회 중심)는, 물품(6)에서의 안길이 방향 D의 중심으로 또한 폭 방향 W의 중심에 위치하는 물품 중심 P3보다 전방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6)은, 개구(9)가 처리 장치(3)를 향하는 자세로, 물품 반송차(2)에 의해 지지대(4)로 반송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물품 반송차][Goods transportation vehicle]
다음에, 물품 반송차(2)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부(11)가 주행하는 방향을 배열 방향 X라고 하고,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 배열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폭 방향 Y라고 한다. 또한, 배열 방향 X의 한쪽 측을 배열 방향 제1 측 X1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배열 방향 제2 측 X2라고 한다. 또한, 가로 폭 방향 Y의 한쪽 측을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라고 한다. Next, the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레일(1) 상을 레일(1)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11)와, 주행부(11)에 연결되고 또한 물품(6)을 유지하는 유지부(12)와, 주행부(11)에 연결되고 또한 물품(6)을 수용하는 수용실(13C)을 형성하는 수용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부(12) 및 수용부(13)는, 레일(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주행부(11)에 연결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 the
주행부(11)는, 레일(1) 상을 전동(轉動)하는 주행 차륜(11A)과, 그 주행 차륜(11A)을 회전 구동시키는 주행용 모터(11B)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부(11)는, 주행용 모터(11B)의 구동에 의해 주행 차륜(11A)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레일(1)을 따라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유지부(12)는,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접근 이격 이동 가능한 한 쌍의 파지 클로우(gripping claw)(12A)와, 한 쌍의 파지 클로우(12A)의 각각을 서로 접근 이격 이동시키는 파지용(把持用) 모터(12B)(도 4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유지부(12)는, 한 쌍의 파지용 모터(12B)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파지 클로우(12A)를 서로 접근 이격 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파지 클로우(12A)가 물품(6)의 플랜지부(8)를 파지하는 상태와, 한 쌍의 파지 클로우(12A)에 의한 플랜지부(8)에 대한 파지를 해제하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지부(12)는, 물품(6)의 상단부, 상세하게는, 물품(6)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플랜지부(8)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유지부(12)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6)을 유지 물품(6A)라고 하여 설명한다. The holding
수용부(13)는, 유지부(12)에 대하여 배열 방향 제1 측 X1에 위치하는 제1 벽부(13A)와, 유지부(12)에 대하여 배열 방향 제2 측 X2에 위치하는 제2 벽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벽부(13A)와 제2 벽부(13B)는 배열 방향 X에서 볼 때 중첩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이들 제1 벽부(13A)와 제2 벽부(13B)와의 사이에 수용실(13C)이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유지부(12)를 주행부(11)에 대하여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 조작부(16)와, 유지부(12)를 주행부(11)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Y로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 조작부(17)와, 유지부(12)를 주행부(11)에 대하여 연직 방향 Z를 따르는 세로 축심(P1)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 조작부(18)를 구비하고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3 , the
슬라이딩 조작부(17)는, 주행부(11)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중계체(17A)와, 중계체(17A)를 가로 폭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용 모터(17B)(도 4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 조작부(17)는, 슬라이딩용 모터(17B)의 구동에 의해 중계체(17A)를 가로 폭 방향 Y를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을 가로 폭 방향 Y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조작부(17)가, 유지부(12)의 위치를 조절하는 유지 조절부에 상당한다. The sliding
선회 조작부(18)는, 중계체(17A)에 대하여 세로 축심(P1)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선회체(旋回體)(18A)와, 선회체(18A)를 세로 축심(P1)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용(旋回用) 모터(18B)(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선회 조작부(18)는, 선회용 모터(18B)의 구동에 의해 선회체(18A)를 선회시킴으로써,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을 세로 축심(P1) 주위를 따라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회 조작부(18)는,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을 세로 축심(P1)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부에 상당한다. The
승강 조작부(16)는, 선회체(18A)에 지지된 권취체(16A)와, 권취체(16A)에 권취되어 선단부에 유지부(12)가 연결된 권취 벨트(16B)와, 권취체(16A)를 회전 구동시키는 승강용 모터(16C)(도 4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 조작부(16)는, 승강용 모터(16C)의 구동에 의해 권취체(16A)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권취 벨트(16B)를 권취함으로써,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을 상승시킨다. 또한, 승강 조작부(16)는, 승강용 모터(16C)의 구동에 의해 권취체(16A)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권취 벨트(16B)를 송출함으로써,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을 하강시킨다. 승강 조작부(16)는, 이와 같이 하여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을 승강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승강 조작부(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부(12)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유지부(12)를 주행부(11)가까이의 상승 위치(도 1 및 도 3 참조)와 상승 위치보다 아래쪽의 아래쪽 위치(도 1 참조)로 승강시킨다. 그리고, 승강용 모터(16C)가, 유지부(12)를 상승 위치와 하강 위치로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에 상당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12)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유지 물품(6A)은 수용실(13C)에 수용되어 있다. 물품 반송차(2)는, 유지부(12)가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로 주행한다. 또한, 물품 반송차(2)는, 유지 물품(6A)이 수용실(13C)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유지부(12)를 하강 위치로 하강시킴으로써, 유지 물품(6A)을 지지대(4)에 탑재한다. 또한, 물품 반송차(2)는, 하강 위치로 하강시킨 유지부(12)가 지지대(4) 상의 물품(6)을 유지한 후, 유지부(12)를 상승 위치로 상승시킴으로써, 유지 물품(6A)을 수용실(13C)에 수용한다. As shown in FIG. 1 and FIG. 3, in the state where the holding
유지부(12)는, 물품(6)의 플랜지부(8)를 유지한다. 물품(6)의 플랜지부(8)는, 폭 방향 W에 있어서 본체부(7)의 중앙에 장착되고, 안길이 방향 D에 있어서 본체부(7)의 중앙보다 전방측[개구(9) 측]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유지 물품(6A)는, 선회 조작부(18)에 의한 유지부(12)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배열 방향 제1 측 X1을 향하는 제1 측면(F1)와, 배열 방향 제2 측 X2를 향하는 제2 측면(F2)과의 배열 방향 X에서의 위치가 변화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The holding
물품 반송차(2)의 배열 방향 X 및 가로 폭 방향 Y의 기준으로 되는 반송차 기준 위치 P2에 대하여, 배열 방향 X에서의 반송차 기준 위치 P2와 제1 측면(F1)과의 이격 거리를 제1 거리 L1로 하고, 배열 방향 X에서의 반송차 기준 위치 P2와 제2 측면(F2)과의 이격 거리를 제2 거리 L2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차 기준 위치 P2는, 물품 반송차(2)의 수용실(13C)에서의 배열 방향 X의 중심 위치이자 또한 규제체(21)의 가로 폭 방향 Y의 중심 위치이다. 그리고,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에 있어서, 수용실(13C)의 중심부는, 반송차 기준 위치 P2에 일치하고 있다.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vehicle reference position P2 serving as a referenc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X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Y of th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물품(6A)의 자세를, 개구(9)가 배열 방향 제2 측 X2를 향하는 자세(제1 자세)로 한 상태에서는, 제1 거리 L1은 제2 거리 L2보다 길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물품(6A)의 자세를, 개구(9)가 배열 방향 제1 측 X1을 향하는 자세(제2 자세)로 한 상태에서는, 제1 거리 L1은 제2 거리 L2보다 짧아진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물품(6A)의 자세를, 개구(9)를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을 향하는 자세(제3 자세)로 한 상태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물품(6A)의 자세를, 개구(9)가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를 향하는 자세(제4 자세)로 한 상태에서는, 제1 거리 L1은 제2 거리 L2와 같아진다. As shown in FIG. 5 , in a state in which the
[규제체][regulatory body]
물품 반송차(2)는, 상기에 더하여 또한 유지 물품(6A)의 요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규제체(21)와, 한 쌍의 규제체(21)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다음에, 규제체(2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이 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12)가 위쪽 위치에 있는 상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한 쌍의 규제체(21)는,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 유지 물품(6A)의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한 쌍의 규제체(21)로서, 제1 규제체(24)와, 제1 규제체(24)에 대하여 배열 방향 제2 측 X2에 위치하는 제2 규제체(25)가 물품 반송차(2)에 구비되어 있다. 유지 물품(6A)의 배열 방향 제1 측 X1을 향하는 면을 제1 측면(F1)로 하고, 유지 물품(6A)의 배열 방향 제2 측 X2를 향하는 면을 제2 측면(F2)으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규제체(24)는, 유지 물품(6A)의 제1 측면(F1)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 대향부(21A)와, 유지 물품(6A)의 하면(F3)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하면 대향부(22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규제체(25)는, 유지 물품(6A)의 제2 측면(F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면 대향부(21B)와, 유지 물품(6A)의 하면(F3)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하면 대향부(22B)을 구비하고 있다.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21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lding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규제체(24)의 제1 측면 대향부(21A)는, 제1 측면(F1)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측면 대향부(21A)는, 유지 물품(6A)의 제1 측면(F1)의 하단(下端)보다 아래쪽으로부터 제1 측면(F1)의 하단보다 위쪽에 걸쳐 존재하고 있다. 제2 규제체(25)의 제2 측면 대향부(21B)는, 제2 측면(F2)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측면 대향부(21B)는, 유지 물품(6A)의 제2 측면(F2)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부터 제2 측면(F2)의 하단보다 위쪽에 걸쳐 존재하고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1st side
제1 하면 대향부(22A) 및 제2 하면 대향부(22B)는, 유지 물품(6A)의 하면(F3)보다 아래쪽에, 하면(F3)에 대하여 간격을 둔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는, 제1 하면 대향부(22A)는, 제1 측면 대향부(21A)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유지 물품(6A)의 하면(F3)에서의 제1 측면(F1) 측의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하면 대향부(22B)는, 제2 측면 대향부(21B)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유지 물품(6A)의 하면(F3)에서의 제2 측면(F2) 측의 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The 1st lower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측면 대향부(21A) 및 제2 측면 대향부(21B)는, 가로 폭 방향 Y 및 연직 방향 Z를 따르는 자세의 판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하면 대향부(22A) 및 제2 하면 대향부(22B)는, 배열 방향 X 및 가로 폭 방향 Y를 따르는 자세의 판형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1st side
제1 측면 대향부(21A)는, 제1 하면 대향부(22A)에서의 배열 방향 제2 측 X2의 단부(端部)보다 배열 방향 제1 측 X1의 부분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1 측면 대향부(21A)가, 유지 물품(6A)의 제1 측면(F1)에 접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1 하면 대향부(22A)에서의 배열 방향 제2 측 X2의 부분이, 유지 물품(6A)의 제1 측면(F1)보다 배열 방향 제2 측 X2에 위치하고 있다. 21 A of 1st side surface facing parts are provided upright at the part of the 1st side facing part in the arranging direction 1st side X1 rather than the edge part of the 2nd side X2 in the arranging direction in 22A of 1st lower surface facing parts. In a state where the first side
제2 측면 대향부(21B)는, 제2 하면 대향부(22B)에서의 배열 방향 제1 측 X1의 단부보다 배열 방향 제2 측 X2의 부분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2 측면 대향부(21B)가, 유지 물품(6A)의 제2 측면(F2)에 접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제2 하면 대향부(22B)에서의 배열 방향 제1 측 X1의 부분이, 유지 물품(6A)의 제2 측면(F2)보다 배열 방향 제1 측 X1에 위치하고 있다. The second side
물품 반송차(2)는,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로서, 제1 규제체(24)를 배열 방향 X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조절용 모터(23A)와, 제2 규제체(25)를 배열 방향 X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조절용 모터(23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조절용 모터(23A)는, 제1 벽부(13A) 내에 설치되어 있고, 제2 조절용 모터(23B)는, 제2 벽부(13B)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조절용 모터(23A)는, 제1 규제체(24)를 배열 방향 X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측면 대향부(21A)와 제1 하면 대향부(22A)를 일체로 배열 방향 X를 따라 이동시킨다. 제2 조절용 모터(23B)는, 제2 규제체(25)를 배열 방향 X로 이동시킴으로써 제2 측면 대향부(21B)와 제2 하면 대향부(22B)를 일체로 배열 방향 X를 따라 이동시킨다. The
여기서, 배열 방향 X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의 위치를 중앙 위치 S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열 방향 X로 대향하는 한 쌍의 규제체(21)(즉 제1 측면 대향부(21A) 및 제2 측면 대향부(21B)의 거리의 중간점의 위치를 중앙 위치 S로 한다.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는, 한 쌍의 규제체(21)를 별개로 배열 방향 X로 이동시킴으로써, 배열 방향 X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 위치 S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는, 한 쌍의 규제체(21)를 별개로 배열 방향 X로 이동시킴으로써, 배열 방향 X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간격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규제체(21)를 이동시키는 규제체 조절부는,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 및 각각의 조절용 모터(23)와 규제체(21)를 연결하는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Here,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pair of regulating bodies 21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X is taken as the central position S.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midpoint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estraining bodies 21 (namely, the first
[규제체의 조절][Regulation of Regulatory Body]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차(2)는, 도시하지 않은 상위 컨트롤러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물품 반송차(2)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H)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H)는, 유지 물품(6A)의 자세에 따라서, 배열 방향 X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 위치 S를 조절하기 위해,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H)는, 유지 물품(6A)의 자세에 따라서, 가로 폭 방향 Y에서의 유지부(1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슬라이딩용 모터(17B)를 제어한다. 슬라이딩용 모터(17B)를 가지는 슬라이딩 조작부(17)는, 유지 물품(6A)이 수용실(13C)의 가로 폭 방향 Y의 범위 내로 들어가도록 유지부(12)의 위치를 조절한다. As shown in FIG. 4 , the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차(2)가 주행할 때의 유지 물품(6A)의 자세로서, 제1 자세(도 5 참조), 제1 자세로부터 180°선회시킨 제2 자세(도 6 참조), 제1 자세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선회시킨 제3 자세(도 7 참조), 제1 자세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90°선회시킨 제4 자세(도 8 참조)가 있다. 이들의 유지 물품(6A)의 자세의 변화는, 선회 조작부(18)에 의해 유지부(12)가 세로 축심(P1) 주위로 선회함으로써 행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조작부(18)는,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를, 세로 축심(P1) 주위로 90°씩 선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postures of the holding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물품(6A)이 제1 자세의 경우에는, 제어 장치(H)는, 한 쌍의 규제체(21)를 제1 규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유지부(12)를 제1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 및 슬라이딩용 모터(17B)를 제어한다. 제1 규제 위치는,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 위치 S가 반송차 기준 위치 P2보다 배열 방향 제1 측 X1에 위치하고, 또한 제1 규제체(24)가 제1 측면(F1)에 접촉하고, 또한 제2 규제체(25)가 제2 측면(F2)에 접촉하는 위치이다. 또한, 제1 유지 위치는, 배열 방향 X 및 가로 폭 방향 Y의 양쪽에서 세로 축심(P1)이 반송차 기준 위치 P2와 같은 위치로 된다. 또한, 제1 유지 위치는, 배열 방향 X에 있어서 물품 중심 P3이 반송차 기준 위치 P2에 대하여 배열 방향 제1 측 X1에 위치하고, 가로 폭 방향 Y에 있어서 제1 자세의 물품(6)의 물품 중심 P3과 반송차 기준 위치 P2가 같은 위치로 된다. As shown in FIG. 5 , when the holding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물품(6A)이 제2 자세의 경우에는, 제어 장치(H)는, 한 쌍의 규제체(21)를 제2 규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유지부(12)를 제2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 및 슬라이딩용 모터(17B)를 제어한다. 제2 규제 위치는,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 위치 S가 반송차 기준 위치 P2보다 배열 방향 제2 측 X2에 위치하고, 또한 제1 규제체(24)가 제1 측면(F1)에 접촉하고, 또한 제2 규제체(25)가 제2 측면(F2)에 접촉하는 위치이다. 또한, 제2 유지 위치는, 배열 방향 X 및 가로 폭 방향 Y의 양쪽에서 세로 축심(P1)이 반송차 기준 위치 P2와 같은 위치로 된다. 또한, 제2 유지 위치는, 배열 방향 X에 있어서 물품 중심 P3이 반송차 기준 위치 P2에 대하여 배열 방향 제2 측 X2에 위치하고, 가로 폭 방향 Y에 있어서 물품 중심 P3과 반송차 기준 위치 P2가 같은 위치로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유지 위치는, 제1 유지 위치와 같은 위치이다. As shown in FIG. 6 , when the holding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물품(6A)이 제3 자세의 경우에는, 제어 장치(H)는, 한 쌍의 규제체(21)를 제3 규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유지부(12)를 제3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 및 슬라이딩용 모터(17B)를 제어한다. 제3 규제 위치는,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 위치 S가 반송차 기준 위치 P2에 위치하고, 또한 제1 규제체(24)가 제1 측면(F1)에 접촉하고, 또한 제2 규제체(25)가 제2 측면(F2)에 접촉하는 위치이다. 또한, 제3 유지 위치는, 배열 방향 X에 있어서 세로 축심(P1)이 반송차 기준 위치 P2와 같은 위치로 되고, 가로 폭 방향 Y에 있어서 세로 축심(P1)이 반송차 기준 위치 P2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으로 된다. 또한, 제3 유지 위치는, 배열 방향 X 및 가로 폭 방향 Y의 양쪽에서 물품 중심 P3과 반송차 기준 위치 P2가 같은 위치로 된다. 그리고, 제3 유지 위치는, 제1 유지 위치 및 제2 유지 위치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제1 측 Y1의 위치이다. As shown in FIG. 7 , when the holding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물품(6A)이 제4 자세의 경우에는, 제어 장치(H)는, 한 쌍의 규제체(21)를 제4 규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유지부(12)를 제4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 및 슬라이딩용 모터(17B)를 제어한다. 제4 규제 위치는,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 위치 S가 반송차 기준 위치 P2에 위치하고, 또한 제1 규제체(24)가 제1 측면(F1)에 접촉하고, 또한 제2 규제체(25)가 제2 측면(F2)에 접촉하는 위치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4 규제 위치는 배열 방향 X에 있어서 제3 규제 위치와 같은 위치이다. 또한, 제4 유지 위치는, 배열 방향 X에 있어서 세로 축심(P1)이 반송차 기준 위치 P2와 같은 위치로 되고, 가로 폭 방향 Y에 있어서 세로 축심(P1)이 반송차 기준 위치 P2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로 된다. 또한, 제4 유지 위치는, 배열 방향 X 및 가로 폭 방향 Y의 양쪽에서 물품 중심 P3과 반송차 기준 위치 P2가 같은 위치로 된다. 그리고, 제4 유지 위치는, 제1 유지 위치 및 제2 유지 위치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 제2 측 Y2의 위치이다. As shown in FIG. 8 , when the holding
이와 같이, 제어 장치(H)는, 유지 물품(6A)의 자세에 따라서, 한 쌍의 규제체(21)의 배열 방향 X의 위치를, 한 쌍의 규제체(21)의 위치를 제1 규제 위치, 제2 규제 위치, 제3 규제 위치(제4 규제 위치도 같음)의 3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장치(H)는, 유지 물품(6A)의 자세에 따라서, 유지부(12)의 가로 폭 방향 Y의 위치를, 제1 유지 위치(제2 유지 위치도 같음), 제3 유지 위치, 제4 유지 위치의 3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슬라이딩용 모터(17B)를 제어한다. 또한, 유지부(12)를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H)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규제체(21)를 유지 물품(6A)의 배열 방향 X의 길이보다 넓은 간격으로 되는 제5 규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유지부(12)의 가로 폭 방향 Y의 위치 및 자세가, 지지대(4) 등의 유지 물품(6A)을 반송하는 반송 대상 개소에 따른 위치 및 자세에 대응하도록, 한 쌍의 조절용 모터(23), 슬라이딩용 모터(17B) 및 선회용 모터(18B)를 제어한다. 그 결과, 유지 물품(6A)이 제1 자세로부터 제4 자세의 어느 쪽의 자세의 경우라도 유지 물품(6A)은 수용실(13C)의 가로 폭 방향 Y의 범위 내로 들어간다. In this way, the control device H first regulates the position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21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X and the position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21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holding
2. 그 외의 실시형태2. Other embodiments
다음에 반송 장치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other embodiments of the conveying device will be described.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규제체(21)의 규제 위치(제1 내지 제4 규제 위치)를, 한 쌍의 규제체(21)가 유지 물품(6A)에 접촉하는 위치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규제체(24)가 제1 측면(F1)에 대하여 이격되어 대향하고, 제2 규제체(25)가 제2 측면(F2)에 대하여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한 쌍의 규제체(21)의 규제 위치를 설정해도 된다. (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regulating positions (first to fourth regulating positions)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21 are set to positions where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21 come into contact with the holding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규제체(24)가, 제1 측면 대향부(21A)와 제1 하면 대향부(22A)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규제체(24)가, 제1 측면 대향부(21A)와 제1 하면 대향부(22A) 중의 제1 측면 대향부(21A)만을 구비한 구성이라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규제체(25)가, 제2 측면 대향부(21B)와 제2 하면 대향부(22B) 중의 제2 측면 대향부(21B)만을 구비한 구성이라도 된다. (2) In the above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regulating body 24 includes the first side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물품(6)의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의 형상이, 폭 방향 W의 길이와 안길이 방향 D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상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물품(6)의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의 형상은, 이 이외의 형상이라도 되고, 예를 들면, 물품(6)의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의 형상이, 직사각형상 등의 폭 방향 W의 길이와 안길이 방향 D의 길이가 상이한 직사각형상이라도 되고, 또는 삼각 형상, 육각 형상, 팔각 형상 등의 각종 다각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일부의 면이 원호형이나 사다리꼴 등으로 돌출된 형상 등, 세로 축심(P1) 주위의 외면의 형상이 규칙적이지 않은 물품이라도 된다. (3)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shape of the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물품(6A)의 자세에 따라서, 배열 방향 X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 위치 S를 조절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물품(6)의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의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경우 등에는, 유지 물품(6A)의 자세에 따라서, 배열 방향 X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중앙 위치 S의 조정에 더하여 배열 방향 X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제1 규제 위치 및 제2 규제 위치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간격과, 제3 규제 위치 및 제4 규제 위치에서의 한 쌍의 규제체(21)의 간격을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In the above embodiment,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center position S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21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X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holding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열 방향 X를, 주행부(11)가 주행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하였으나, 연직 방향 Z에서 볼 때 주행부(11)가 주행하는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을 배열 방향 X로 해도 된다. (5) In the above embodiment, the arrangement direction X is a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veling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를, 천정에 현수된(suspended) 레일(1)을 따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2)로 하였으나, 반송 장치는, 레일(1) 상을 레일(1)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11)와 물품(6)을 유지하는 유지부(12)를 가지고 있으면 되고, 예를 들면,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등의 다른 장치로 해도 된다. (6)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veying device is an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조작부(18)가,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를, 세로 축심(P1) 주위로 90°씩 선회시키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회 조작부(18)가,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를, 180°씩 선회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는, 선회 조작부(18)가, 유지부(12) 및 유지 물품(6A)를, 45°이나 60°등, 상기 이외의 각도로 선회시키는 구성이라도 된다. (7) In the above embodimen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8)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조절부로서의 슬라이딩 조작부(17)가, 선회 조작부(18)에 의한 유지부(12)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가로 폭 방향 Y에서의 유지부(12)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선회 조작부(18)에 의한 유지부(12)의 선회 각도에 관계없이 슬라이딩 조작부(17)가 유지부(12)를 일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는 유지부(12)의 선회 각도와는 관계없는 것으로 슬라이딩 조작부(17)가 유지부(12)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8)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liding
(9) 그리고, 전술한 각각의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은,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서 개시된 구성과 조합시켜 적용할 수도 있다.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각종 개변(改變; modification)을 행할 수 있다. (9) And, the structure disclosed in each embodiment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structure disclosed in other embodiments as long as no contradiction occurs. Regarding other configurations,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 examples in all respects. Accordingly,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s appropriate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상기 실시형태의 개요3. Outline of the above embodiment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반송 장치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utline of the conveying apparatus explained above is demonstrated.
반송 장치는,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와, 주행부에 연결되고 또한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 및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인 유지 물품을 연직 방향을 따르는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부와, 연직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유지 물품의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한 쌍의 규제체와, 한 쌍의 상기 규제체를 이동시키는 규제체 조절부를 구비하고, A carrying device includes a traveling portion that travels along a rail, a hol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traveling portion and holding an article, and a holding article, which is the holding portion and an article held by the holding portion, around a vertical axis along a vertical direction. a swinging portion for turning,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disposed separately on both sides of the holding article when view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regulating member adjusting portion for moving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연직 방향에서 볼 때 한 쌍의 상기 규제체가 배열되는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고, 상기 배열 방향의 한쪽 측을 배열 방향 제1 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배열 방향 제2 측으로 하고,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한 쌍의 상기 규제체의 중앙의 위치를 중앙 위치로 하여, 상기 유지 물품은, 상기 선회부에 의한 상기 유지부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상기 배열 방향 제1 측을 향한 제1 측면과, 상기 배열 방향 제2 측을 향한 제2 측면과의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위치가 변화하는 형상이며, 한 쌍의 상기 규제체 중 상기 배열 방향 제1 측에 있는 제1 규제체는,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규제체 중 상기 배열 방향 제2 측에 있는 제2 규제체는,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규제체 조절부는, 상기 유지 물품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중앙 위치를 조절한다.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restraining bodies are arranged is regarded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ne side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is taken as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taken as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side, With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as the center position, the holding article has a first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turning angle of the holding part by the turning part, and a second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It is a shape in which a position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with a second side face toward the second side changes, and a first regulation member on a first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ir of the regulation members is disposed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a second regulating member on a second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ide surface, and the regulating member adjusting unit is positioned at the central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to adjust
이 구성에 의하면, 선회부에 의해 유지부가 선회함으로써, 유지 물품이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하여 유지 물품의 자세가 변하고, 유지 물품의 제1 측면과 제2 측면과의 배열 방향에서의 위치가 변화한다. 따라서, 이 구성에 의하면, 규제체 조절부가, 유지 물품의 자세에 따라서 한 쌍의 규제체의 중앙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한 쌍의 규제체를 제1 측면이나 제2 측면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부의 선회 각도에 관계없이, 한 쌍의 규제체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이 요동한 경우라도, 그 물품이 규제체에 접촉함으로써 물품의 요동을 적절히 규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holding part rotates by the turning part, the holding article turns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changes, and the position of the holding articl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irst side surface and the second side surface changes. . 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trol member adjustment unit adjusts the central position of the pair of control members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thereby arranging the pair of control member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de surface or the second side surface. can Therefore, regardless of the turning angle of the holding portion, the pair of regulating bodies can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herefore, even when the article held by the holding part swings, the swing of the article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by contacting the article with the regulating member.
여기서, 상기 선회부에 의한 상기 유지부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연직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배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유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유지 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holding adjusting portion that adjusts a position of the holding portio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turning angle of the holding portion by the turning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가 선회하여 유지 물품의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배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 주행부에 대하여 치우친 위치에 유지 물품이 배치되게 되는 경우라도, 유지 조절부에 의해 유지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유지 물품의 주행부에 대한 위치의 편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부의 주행을 적절히 행하기 용이하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when the holding part turns and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is changed, even when the holding article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with respect to the running part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the holding section adjusts the position of the holding section. By adjust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viation of the position of the holding article relative to the traveling portion. Therefore, it is easy to appropriately drive the traveling portion.
또한, 상기 배열 방향은, 상기 주행부가 주행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며, 연직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유지 조절부는, 상기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유지부를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arrangement direction is a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veling portion travels, and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when viewed from a vertical direction is a lateral width direction, and the holding and adjusting portion determines the lateral width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move the holding part along.
이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가 선회하여 유지 물품의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가로 폭 방향에 있어서 주행부에 대하여 치우친 위치에 유지 물품이 배치되게 되는 경우라도, 유지 조절부에 의해 유지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유지 물품의 주행부에 대한 가로 폭 방향의 위치의 편향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부의 주행을 적절히 행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주행부의 주행 중에, 주행 경로(travelling path)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설치물에 유지 물품이 간섭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the holding part turns and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is changed, even when the holding article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with respect to the running section in the lateral width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holding section is adjusted by the holding adjusting sec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viation of the position of the holding articl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unning portion. Therefore, it becomes easy to properly run the traveling part,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holding articles interfering with fixture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raveling pa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le the traveling part is traveling.
또한, 상기 유지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지 조절부는, 상기 유지 물품이 상기 수용실의 상기 가로 폭 방향의 범위 내로 들어가도록 상기 유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8] Preferably, a holding part is further provided to form a storage chamber for accommodating the holding article, and the holding adjusting section adjusts the position of the holding section so that the holding article falls within the width range of the holding chamber. do.
이 구성에 의하면, 유지부가 선회하여 유지 물품의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수용실에서의 가로 폭 방향의 중앙부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유지 물품이 배치되게 되는 경우라도, 유지 조절부에 의해 유지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유지 물품을 수용실의 가로 폭 방향의 범위 내에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지 물품이 수용부로부터 가로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부의 주행 중에, 주행 경로에 대하여 가로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설치물에 유지 물품이 간섭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even when the holding part turns and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is changed, even when the holding article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art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accommodation chamber, the holding article is held by the holding adjusting sec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ortion, the holding article can be accommodated within the range of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torage chamb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lding article from protruding from the accommodating por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that the holding article interferes with the installa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ravel pa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during travel of the travel unit.
또한, 상기 유지부는, 물품의 상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규제체는, 상기 유지 물품의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 대향부에 더하여, 상기 유지 물품의 하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하면 대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규제체는, 상기 유지 물품의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면 대향부에 더하여, 상기 유지 물품의 하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하면 대향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holding portion is configured to hold an upper end of the article, and the first restraining member is configured to face a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article in addition to a first side fac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holding article. a first lower surface facing portion disposed facing the holding article, wherein the second regulating body is disposed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article in addition to a second side facing portion disposed facing the second side face of the holding articl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 2nd lower surface facing part.
이 구성에 의하면, 물품의 측면이 제1 측면 대향부나 제2 측면 대향부에 접촉함으로써, 유지부에 유지된 물품의 요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유지부에 의한 물품에 대한 유지가 벗어난 경우라도, 제1 하면 대향부와 제2 하면 대향부에서 물품을 아래쪽으로부터 받아 지지할 수 있으므로, 물품이 낙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면 대향부 및 제2 하면 대향부는, 규제체 조절부에 의해, 유지 물품의 자세에 따라서, 배열 방향에서의 중앙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지부의 선회에 의해 변화하는 유지 물품의 자세로 관계없이, 유지 물품의 낙하를 적절히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ide surface of the artic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side surface facing portion or the second side surface facing portion, swinging of the article held in the holding portion can be restricted. In addition, even if the holding part is out of hold of the article, the first lower face facing portion and the second lower face facing portion can receive and support the article from below, so that the falling of the article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since the center position of the first lower face facing portion and the second lower face facing portion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by the regulating body adjusting portion,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changes by turning the holding section. Regardless of this, the fall of the holding article can be appropriately suppressed.
또한, 상기 유지부는, 상기 레일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유지부를 상기 주행부의 근처의 상승 위치와 상기 상승 위치보다 아래쪽의 하강 위치로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규제체는, 상기 유지부가 상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규제체는, 상기 유지부가 상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the holding unit further includes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located below the rail and raising and lowering the holding unit to a raised position near the traveling portion and a lowered position lower than the raised position, wherein the first regulating body comprises: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ing portion is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is in the raised position, and the second regulating body is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ide surface in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is in the raised position.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 장치는, 유지부를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로 주행시키고, 유지부를 상승 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하강시킴으로써, 물품을 아래쪽으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부를 주행시키는 경우에, 한 쌍의 규제체에 의해 유지 물품의 요동을 적절히 규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onveying device can transport the article downward by moving the holder in a state in the raised position and lowering the holder from the raised position to the lowered position. And, in the case of making the traveling part travel, the rocking of the holding article can be appropriately regulated by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와, 주행부에 연결되고 또한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을 연직 방향을 따르는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부를 구비한 반송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traveling portion that travels along a rail, a holding portion connected to the traveling portion and holding an article, and a swing portion that rotates the article held by the holding portion around a vertical axis along a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used for conveying equipment equipped with a part.
1: 레일
2: 물품 반송차(반송 장치)
6: 물품
6A: 유지 물품
11: 주행부
12: 유지부
13: 수용부
13C: 수용실
17B: 슬라이딩용 모터(유지 조절부)
18: 선회 조작부(선회부)
21: 규제체
21A: 제1 측면 대향부
21B: 제2 측면 대향부
22A: 제1 하면 대향부
22B: 제2 하면 대향부
23: 조절용 모터(규제체 조절부)
24: 제1 규제체
25: 제2 규제체
F1: 제1 측면
F2: 제2 측면
F3: 하면
P1: 세로 축심
S: 중앙 위치
X: 배열 방향
X1: 배열 방향 제1 측
X2: 배열 방향 제2 측
Z: 연직 방향1: rail
2: Goods conveying vehicle (conveying device)
6: Goods
6A: maintenance item
11: driving part
12: holding part
13: receiving part
13C: storage room
17B: motor for sliding (holding control part)
18: turning control unit (turning unit)
21: regulator
21A: first side facing portion
21B: second side facing portion
22A: first lower surface facing portion
22B: second lower surface facing portion
23: motor for regulation (regulator control unit)
24: first regulatory body
25: second regulating body
F1: first side
F2: Second aspect
F3: if
P1: vertical axis
S: center position
X: alignment direction
X1: array direction first side
X2: Array direction second side
Z: vertical direction
Claims (6)
상기 주행부에 연결되고 또한 물품을 유지하는 유지부(holding unit);
상기 유지부 및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는 물품인 유지 물품을 연직(沿直) 방향을 따르는 세로 축심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부(旋回部);
연직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유지 물품의 양측으로 나누어 배치되는 한 쌍의 규제체; 및
한 쌍의 상기 규제체를 이동시키는 규제체 조절부;
를 포함하는 반송 장치로서,
연직 방향에서 볼 때 한 쌍의 상기 규제체가 배열되는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고, 상기 배열 방향의 한쪽 측을 배열 방향 제1 측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배열 방향 제2 측으로 하고,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한 쌍의 상기 규제체의 중앙의 위치를 중앙 위치로 하여,
상기 유지 물품은, 상기 선회부에 의한 상기 유지부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상기 배열 방향 제1 측을 향한 제1 측면과, 상기 배열 방향 제2 측을 향한 제2 측면과의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위치가 변화하는 형상이며,
한 쌍의 상기 규제체 중 상기 배열 방향 제1 측에 있는 제1 규제체는,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규제체 중 상기 배열 방향 제2 측에 있는 제2 규제체는,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규제체 조절부는, 상기 유지부의 선회(旋回)에 의해 변화하는 상기 유지 물품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중앙 위치를 조절하는,
반송 장치. a traveling unit that travels along the rail;
a holding unit connected to the traveling part and holding an article;
a swinging portion for turning the holding portion and the holding article, which is an article held by the holding portion, around a vertical axis along a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regulating memb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lding article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egulating element control unit for moving the pair of regulating elements;
As a conveying device comprising a,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the regulating bodies are arranged is take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ne side of the arrangement direction is taken as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taken as the second arrangement direction side, and one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is taken as the first arrangement direction side. With the central position of the pair of regulating bodies as the central position,
The holding article is positioned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between a first side surface facing the first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a second side surface facing the second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turning angle of the holding part by the turning part. is a changing shape,
A first regulating member on a first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is disposed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A second regulating member on a second side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air of regulating members is disposed facing the second side surface;
The regulating body adjusting unit adjusts the central position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holding article changed by turning of the holding unit.
transport device.
상기 선회부에 의한 상기 유지부의 선회 각도에 따라서, 연직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배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상기 유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유지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반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holding adjusting portion that adjusts a position of the holding portio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when viewed from a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a turning angle of the holding portion by the turning portion.
상기 배열 방향은, 상기 주행부가 주행하는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며,
연직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폭 방향으로 하여,
상기 유지 조절부는, 상기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유지부를 이동시키는, 반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rrangement direction is a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iving unit travel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 is set as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carry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holding adjusting portion moves the holding portion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상기 유지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 조절부는, 상기 유지 물품이 상기 수용실의 상기 가로 폭 방향의 범위 내로 들어가도록 상기 유지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반송 장치.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accommodating portion forming an accommodating chamber accommodating the holding article,
The carry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holding adjusting portion adjusts the position of the holding portion so that the holding article is within the range of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torage chamber.
상기 유지부는, 상기 물품의 상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규제체는, 상기 유지 물품의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측면 대향부에 더하여, 상기 유지 물품의 하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하면 대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규제체는, 상기 유지 물품의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측면 대향부에 더하여, 상기 유지 물품의 하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2 하면 대향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반송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holding part is configured to hold the upper end of the article,
The first regulating body further includes a first lower surface facing portion disposed to face a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article in addition to a first side fac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holding article,
The second regulating body further includes a second lower surface facing portion disposed to face a lower surface of the holding article in addition to a second side facing portion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ide surface of the holding article, the conveying device .
상기 유지부는, 상기 레일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유지부를 상기 주행부의 근처의 상승 위치와 상기 상승 위치보다 아래쪽의 하강 위치로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규제체는, 상기 유지부가 상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1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 규제체는, 상기 유지부가 상기 상승 위치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측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반송 장치.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holding part is located below the rail,
Further comprising a lift drive unit for lifting the holding unit to a raised position near the traveling unit and a lowered position lower than the raised position,
the first regulating body is disposed facing the first side surface with the holding portion in the raised position;
The conveyance device, wherein the second regulating body is disposed facing the second side surface in a state where the holding portion is in the raised 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042066A JP6939651B2 (en) | 2018-03-08 | 2018-03-08 | Transport device |
JPJP-P-2018-042066 | 2018-03-08 | ||
PCT/JP2019/008274 WO2019172155A1 (en) | 2018-03-08 | 2019-03-04 | Transport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8517A KR20200128517A (en) | 2020-11-13 |
KR102513293B1 true KR102513293B1 (en) | 2023-03-22 |
Family
ID=6784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22111A KR102513293B1 (en) | 2018-03-08 | 2019-03-04 | conveying devic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6939651B2 (en) |
KR (1) | KR102513293B1 (en) |
CN (1) | CN111741911B (en) |
TW (1) | TWI799528B (en) |
WO (1) | WO2019172155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38733B2 (en) * | 2019-11-07 | 2023-03-14 | 株式会社ダイフク | Goods transport equipment |
JP7487721B2 (en) | 2021-11-08 | 2024-05-21 | 株式会社ダイフク | Item transport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300091A (en) * | 1989-05-16 | 1990-12-12 | Toshiba Corp | Lifting position control device for movable crane |
JP3975532B2 (en) * | 1997-11-12 | 2007-09-12 | アシスト シンコー株式会社 | Ceiling transport vehicle |
JP4048409B2 (en) * | 2001-10-22 | 2008-02-20 | 株式会社ダイフク | Transport equipment |
JP3981885B2 (en) * | 2003-05-20 | 2007-09-26 | 株式会社ダイフク | Transport device |
JP5266680B2 (en) * | 2007-07-23 | 2013-08-21 | 村田機械株式会社 | Conveying device, conveying system, and extension mechanism |
JP6052143B2 (en) * | 2013-11-20 | 2016-12-27 | 株式会社ダイフク | Linear rotation device |
JP6179406B2 (en) * | 2014-01-10 | 2017-08-16 | 株式会社ダイフク | Transport device |
JP6304084B2 (en) * | 2015-03-16 | 2018-04-04 | 株式会社ダイフク | Article conveying equipment and inspection jig |
-
2018
- 2018-03-08 JP JP2018042066A patent/JP6939651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3-04 WO PCT/JP2019/008274 patent/WO201917215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03-04 CN CN201980015370.3A patent/CN111741911B/en active Active
- 2019-03-04 KR KR1020207022111A patent/KR10251329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9-03-07 TW TW108107625A patent/TWI799528B/en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72155A1 (en) | 2019-09-12 |
TWI799528B (en) | 2023-04-21 |
CN111741911B (en) | 2023-01-17 |
JP6939651B2 (en) | 2021-09-22 |
KR20200128517A (en) | 2020-11-13 |
JP2019156516A (en) | 2019-09-19 |
TW201943638A (en) | 2019-11-16 |
CN111741911A (en) | 2020-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1104B1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KR102165190B1 (en) | Tracked bogie system and tracked bogie | |
US9938120B2 (en) | Transport device | |
US9896283B2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WO2020090288A1 (en) | Ceiling carrier and ceiling carrier system | |
JP6794946B2 (en) | Goods carrier | |
KR20130066674A (en) | Transfer system | |
KR102513293B1 (en) | conveying device | |
TWI816000B (en) | moving vehicle | |
KR102302007B1 (en) | Linear motion-rotational motion device | |
KR102390054B1 (en) | Container storage facility | |
JP7327660B2 (en) | Ceiling carrier and ceiling carrier system | |
JP7347695B2 (en) | ceiling storage system | |
KR102525864B1 (en) | Article transport facility | |
KR20220063741A (en) | Transport vehicle | |
JP7318596B2 (en) | Goods carrier | |
WO2023218757A1 (en) | Overhead conveying vehicle | |
JP2023074704A (en) | Article conveying apparatus | |
KR20230060455A (en) | Article transport apparatus | |
WO2023079882A1 (en) | Overhead conveying vehicle | |
WO2024262082A1 (en) | Inter-floor conveyance device and inter-floor conveyance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67513A (en) | Article transport apparatus | |
KR20230099619A (en) | Vehicle, article transport apparatus and article transport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7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3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3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