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3040B1 -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040B1
KR102513040B1 KR1020200154819A KR20200154819A KR102513040B1 KR 102513040 B1 KR102513040 B1 KR 102513040B1 KR 1020200154819 A KR1020200154819 A KR 1020200154819A KR 20200154819 A KR20200154819 A KR 20200154819A KR 102513040 B1 KR102513040 B1 KR 10251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antioxidant
immu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980A (ko
Inventor
고준빈
유나현
최종인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5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0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은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을 통하여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장기간 복용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D IMMUNITY IMPROVEMENT ACTIVITY CONTAINING NATURAL EXTRACTS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애기수영 추출물 또는 발효된 애기수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면서,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기능성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는 인간의 몸에서는 호기성 대사과정으로부터 생성되며, 이 중 약 5% 정도가 자유라디칼(유리기의 전자를 가지는 원자나 분자의 총칭)의 형태로 변형된다. 이런 라디칼은 대식세포(Macrophage), 호중구(neutrophil) 등과 같은 면역세포에서 생성되어서 외부로부터 침입한 병원균을 죽이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고 반응성이 강하여 세포 내 구성성분인 단백질, 지질분자 뿐만 아니라, 유전정보를 함유한 DNA에까지 산화적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그 결과, 체내에 생성된 활성산소는 암을 비롯한 염증, 빈혈, 심근경색, 뇌성마비, 동맥경화증, 당뇨, 류머티즘성 관절염, 파킨슨씨 병, 피부손상, 및 자가면역질환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이고 노화의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alliwell et al., 1999; Diolock et al., 1998; Wickens, et al, 2001). 체내에는 이러한 활성산소에 대한 방어기구로 퍼옥시다아제(peroxidase), 카탈라아제(catalase) 등의 항산화 효소와 함께 비타민 E, 비타민 C 등의 항산화물질이 존재하여 스스로를 보호하지만, 방어기구에 이상이 초래되거나 각종 물리적, 화학적 요인들에 의하여 활성산소의 생성이 생체방어계의 용량을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손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최근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항산화 물질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및 보고되고 있는데(Diolock et al., 1998; Mandade et al., 2011), 그 중에서도 합성 항산화제로는 BHA(Butylated hydroxy anisole), BHT(Butylated hydroxy toluene) 및 NDGA(Nordihydroguaiaretic acid)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들은 생체 내에서 독성을 나타내어 알러지와 종양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고온에 약하여 열을 가하면 쉽게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의약 및 건강기능 식품 등에 폭넓게 이용 가능한 안전하고 생체 내에서 안정적인 새로운 천연 항산화제에 필요와 선호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Liu et al., 2012; Guo et al., 2012; Li et al., 2012; Ramaratham et al., 1995; Saito et al., 2003).
한편, 면역기능조절이란 환경오염물질, 의약품의 부작용, 질병 및 노화로 인하여 유발되거나 생체의 정상적인 면역기능의 변화를 조정하여 정상으로 회복시키거나 이러한 변화를 경감시키는 작용을 말한다. 면역기능조절은
바람직하지 않게 증가한 면역반응을 억제시키는 조절작용인 면역억제 작용과 감소된 면역반응을 증가시키는 조절작용인 면역증강작용으로 분류된다.
면역증강(Immunostimulation)은 암 및 염증 질환 등과 같은 다양한 질환에 대한 신체 방어 기전을 보강하는 중요한 치료학적 전략중 하나로서,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반응을 자극하여 면역증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데, 대식세포들은 면역반응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대식세포에서의 주요한 역할인 식세포 작용은 미생물 및 기타 발열성 입자들을 흡수하고, 또한 종양괴사인자-α(tumor necrosis factor;TNF-α), 인터루킨-1β(interleukin; IL-1β), 인터루킨-12(interleukin; IL-12)와 같은 다수의 시토킨(cytokin) 및 일산화 질소(nitric oxide; NO)과 같은 세포독성 및 염증성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자극시킨다 (Wolf et al.,1994; Lee and Hong, 2011; Murray and Wynn, 2011). 따라서 대식세포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면역증강을 위한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천연물은 아시아 국가들에서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는데, 특히 면역증강, 건강 유지 및 장수를 위한 강장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다양한 구조의 구성성분들, 특히, 폴리사카라드(polysaccharides), β-글루칸(glucans), 사포닌(saponins) 및 쿠르쿠미노이드(curcuminoids) 등의 성분들은 임상 및 약물 적용에 있어 폭넓게 면역증강제로서 제시되어 왔다(Ragupathi et al., 2008; Won et al., 2011; Sun et al., 2005)
KR 10-2017-0073058 A KR 10-1773369 B1
본 발명의 목적은 애기수영 추출물 또는 발효된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을 통하여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장기간 복용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향미 및 기호성을 가지는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을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서, 높은 기호성을 기초로 애기수영에 대한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은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접종되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은 연꽃 추출물 또는 두릅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식품은 오미자 추출물, 딸기 추출물, 아사이베리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 초코민트 추출물, 바질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곰피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머위 추출물, 달래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은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애기수영은 유럽이 원산지이다. 길가나 빈터에서 자란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벋으면서 번식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가 20∼50cm이고 털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모가 난 세로줄이 있고 자줏빛이 돌며 잎과 더불어 신맛이 난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잎자루가 길며 창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에 귀 같은 돌기가 좌우로 퍼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뿌리에서 나온 잎과 모양이 같으나 크기가 작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붉은빛이 도는 녹색으로 피며 줄기 끝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지름이 3mm이고 꽃받침조각과 수술이 각각 6개이다. 암꽃은 수꽃보다 작고 꽃받침조각이 6개이며 암술이 1개이고 3개로 갈라진 암술대와 잘게 갈라진 암술머리가 있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 2mm의 타원 모양이며 갈색이고 3개의 모가 난 줄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애기수영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한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애기수영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면역질환"이란 인체 내 면역체계의 과도한 반응으로 일어나는 질환을 뜻하며, 대표적으로 알러지 질환 등이 있다. 그러나 염증 반응이란 결국 생체 내 면역체계의 반응으로 인해 일어나게 되는 것이므로, 염증질환과 면역질환은 크게 볼 때 유사한 범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 내에서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용어로 사용하지 않고, 혼용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염증질환"은 외부물질 또는 내부물질이 유래하는 염증반응으로 인해 일어나는 질환으로 대표적으로 신경염증질환, 관절염 등이 있다.
상기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항산화, 항염 활성과 더불어, 항바이러스 및 항균 효과를 포함하는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TNF-α 및 IL-12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사이토카인(cytokine)은 면역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 면역조절제로서 자가분비형 신호전달(autocrine signaling), 측분비 신호전달(paracrine signaling), 내분비 신호전달(endocrine signaling) 과정에서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여 면역반응에 관여한다. 세포의 증식, 분화, 세포사멸 또는 상처 치료 등에 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사이토카인이 존재하며, 특히 면역과 염증에 관여하는 것이 많다.
이 중 가장 중요한 면역기능은 인터루킨(Interleukin-1,-6,-12), 인터페론 감마(IFN-γ), 종양괴사인자(TNF)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의 집단에 의해 수행된다.
인터루킨(interleukin, IL)은 백혈구에서 분비되어 면역계 조절 기능에 관여하며 현재 30종류 이상이 알려져 있다. 인터루킨은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여러 단계에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조절함으로써 인체의 방어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 그 종류는 IL-1,6,12 등이 있다.
이 중 IL-12는 p35와 p40 단백질로 구성된 사이토카인으로, 선천면역과 획득면역을 서로 연결시키는 매우 중요한 면역학적 기능을 하며, 내인성 항원의 제거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작동세포 즉, 대식세표(macrophage), NK 세포 및 T-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IL-12의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된 NK 세포 및 T-세포는 IFN-γ의 생산을 자극함으로서 초기 선천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주요 인자로의 특성을 가진다. 또한 T-세포의 면역기구를 주로 Th-1 성향이 되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세포성 면역 매개자이다.
인터페론(interferon, IFN)은 바이러스의 증식 방지나 세포 증식 제어의 기능을 하며 면역 체계에서도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인터페론은 알파(α), 베타(β), 감마(γ), 그리고 오메가(ω)형이 있다. 인터페론-α는 주로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고 인터페론-β는 섬유아세포(fibroblasts)에서 주로 분비된다. 인터페론-γ는 Th1 세포와 NK세포에 의해 분비되고, 인터페론-ω는 영양포 또는 영양아층(Trophoblast)에 의해 주로 분비된다. 특히, 인터페론-γ(IFN-γ)는 T 림프구와 대과립구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포식된 미생물이나 항원의 살해를 유도하는 물질이다. 또한, 다양한 면역조절작용을 하며,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종양괴사인자인 TNF(tumor necrosis factor)는 염증반응과 관련된 세포 신호전달 단백질로서, 급성기반응을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이다. 종양괴사인자는 종양괴사인자-α(TNF-α)와 림포독소(lymphotoxin)라 불리는 종양괴사인자-β(TNF-β)로 나뉘지만, 일반적으로 종양괴사인자는 종양괴사인자-α를 가르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의한 면역 기능 향상 효과에 경우, 인체 독성과 부작용 문제가 없는 천연물을 사용하여, 면역반응을 활성화시키는 TNF-α 및 IL-12의 사이토카인 생성을 증가시킨다.
상기 조성물은 알레르기, 염증질환 및 면역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다.
알레르기(Allergy)는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특별한 문제가 되지 않는 물질에 대한 면역계의 과민반응에 의해서 나타나는 여러 증상을 일컫는다. 이에는 꽃가루병, 음식 알레르기,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및 그 외의 과민증 등을 포함하고, 안구 충혈, 가려운 피부 발진, 콧물, 호흡곤란 및 부종 등의 증세를 나타낸다.
염증(inflammation)은 특정 조직의 손상 또는 감염에 대한 일종의 생체 내 반응이며, 주요 매개체는 면역세포로, 조직의 손상된 부위나 감염 부위에 따라 급성 염증(acute inflammation)과 만성 염증(chronic inflammation)으로 나뉜다. 조직의 손상된 부위나 감염 부위가 작거나 일시적 일 때는 급성염증에 의해 해결되지만, 염증 부위가 크거나 만성적 감염 상태일 때는 급성염증에 의해 해결되지 않으며,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만성염증의 경우는 고질적인 염증성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면역질환은 특정 면역 반응이 일어날 경우 문제가 되는 질환을 의미로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자가면역질환, 이식거부, 이식편대숙주병 일 수 있으며, 자가면역질환은 크론씨병, 홍반병, 아토피, 류마티스 관절염, 하시모토 갑상선염, 악성빈혈, 에디슨씨 병, 제1형 당뇨, 루프스, 만성피로증후군, 섬유근육통, 갑상선기능저하증과 항진증, 경피증, 베체트병, 염증성 장질환,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메니에르 증후군(Meniere's syndrome), 길리안-바레 증후근(Guilian-Barre syndrome),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 백반증, 자궁내막증, 건선, 백반증, 전신성 경피증, 천식 또는 궤양성 대장염 등일 수 있다.
본원발명의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은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1 내지 24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또한 추출 후 여과된 것일 수 있다.
여과된 추출물을 진공 회전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결과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효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애기수영 추출물에 포함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증진되며 면역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접종되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 균이 접종되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에 의한 발효를 진행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을 높이고 면역력 개선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은 연꽃 추출물 또는 두릅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에 의하는 경우 애기수영 추출물에 포함된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을 보다 증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은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애기수영 추출물에 대하여 연꽃 추출물; 두릅 추출물; 노니 추출물; 차즈기 추출물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합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승효과에 따라 항산화 및 면역증진 활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다른 식물 추출물의 혼합의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 특유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기억력 및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애기수영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꽃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두릅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노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차즈기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항산화 및 면역기능개선 활성이 매우 우수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추출물의 혼합 또는 다른 혼합범위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우수한 항산화 및 면역기능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활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섭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식품, 특히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식품은 오미자 추출물, 딸기 추출물, 아사이베리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 초코민트 추출물, 바질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곰피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머위 추출물, 달래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는 가공식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런 가공식품에는 예를 들어, 과자, 차, 음료, 주류, 발효식품, 통조림, 우유가공식품, 육류가공식품, 국수 등을 포함한다. 과자는 비스킷, 파이, 케익, 빵, 캔디, 젤리, 껌, 시리얼 등을 포함한다. 음료는 음용수, 탄산음료, 기능성 이온음료, 기능성이온음료, 주스(예를 들어, 사과, 배, 포도, 알로에, 감귤, 복숭아, 당근, 토마토 쥬스 등), 식혜 등을 포함한다. 주류는 청주, 위스키, 소주, 맥주, 양주, 과실주 등을 포함한다. 발효식품은 간장, 된장, 고추장 등을 포함한다. 통조림은 수산물 통조림(예들 들어, 참치, 고등어, 꽁치, 소라 통조림 등), 축산물 통조림(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칠면조 통조림 등), 농산물 통조림(옥수수, 복숭아, 파일애플 통조림 등)을 포함한다. 우유가공식품은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을 포함한다. 육류가공식품은 돈까스, 비프까스, 치킨까스, 소세지. 탕수육, 너겟류, 너비아니 등을 포함한다. 밀봉포장생면 등의 국수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상기 조성물은 레토르트식품, 스프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애기수영 추출물 또는 발효된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의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을 통하여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면서도 장기간 복용할 수 있는 기능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우수한 향미 및 기호성을 가지는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을 다양하게 제공함으로서, 높은 기호성을 기초로 애기수영에 대한 보급을 확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애기수영 추출물의 제조]
1. 애기수영 추출물 및 애기수영 발효 추출물의 제조
애기수영 어린순을 세척 및 건조하고, 분쇄한 뒤 열수 추출하고, 농축 여과하여 애기수영 추출물(HW)을 제조하였다. 또한 애기수영 추출물에 대한 발효공정을 통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표 1]에 대한 발효를 진행하였다. 발효(S)균주로 S1(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S2(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 균), 및 S1 및 S2를 홉합 접종하면서 상승효과를 확인하였다.
H1 H2 H3
추출물 HW HW HW
S S1 S2 S1+S2
상기 애기수영 추출물 또는 애기수영발효추출물을 일정한 농도로 희석하면서 이하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2.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와 HW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열수추출을 통하여, 연꽃 추출물(AD1); 두릅 추출물(AD2); 노니 추출물(AD3), 차즈기 추출물(AD4)을 제조하고 각 추출물을 하기의 [표 2]과 같은 조성에 따라 혼합 조성을 제조하였다.
M1 M2 M3 M4 M5 M6 M7 M8
HW 100 100 100 100 - - - -
H3 - - - - 100 100 100 100
AD1 0.1 1 5 10 0.1 1 5 10
AD2 1 10 30 40 1 10 30 40
AD3 0.1 1 5 10 0.1 1 5 10
AD4 1 5 15 20 1 5 15 2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항산화 및 면역력 증강 효과]
1. 항산화 활성분석
각 제조예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 실험(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을 진행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Yamaguchi 등의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60㎕ 시료 용액에 60 ㎕ DPPH 용액(60 μM)을 첨가하여 10초 동안 교반한 다음, 혼합용액을 quartz capillary tube에 옮겨 2분 후에 ESR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mg/ml)
Con HW H1 H2 H3 M1 M2 M3 M4 M5 M6 M7 M8
0 0.25 0.22 0.34 0.36 0.28 0.47 0.46 0.31 0.35 0.56 0.61 0.41
상기의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발효공정에 의하는 경우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혼합조성의 경우 M2 및 M4의 조합범위에서 추가적인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고, 발효조성물을 기초로 하는 경우에도 M6 및 M7의 조합범위에서 추가적인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애기수영추출물 및 애기수영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함께 임의의 혼합조성에 의하는 경우 추가적인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보다 적은 함량으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어 부작용의 문제없이 장기간 복용 또는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2. 산화질소생성량 측정
상기 제조예에 따른 조성물이 면역활성이 미치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griess reagent[1% (w/v) sulfanilamide in 5%(v/v) 인산(phosphoric acid)과 0.1% (w/v) 나프틸에틸렌다이아민-염산(naphtylethylenediamine-HCl)]을 이용하여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의 생성농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6-well plate에 5X105 cell/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에 각 제조된 시료를 각각 처리하였으며, 정상 대조군으로 상기 시료를 0ug/mL로 처리하고, 양성 대조군으로 지방질 다당류를 1ug/mL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의 상층액과 동량의 griess reagent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15분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아질산소듐(sodium nitrite)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산화질소 농도를 구하여 환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NO production(μm)
Con LPS HW H1 H2 H3 M1 M2 M3 M4 M5 M6 M7 M8
0 29 11 10 10 7 11 5 4 10 7 3 2 6
산화질소의 생성은 면역계에서 종양세포나 세포내 감염된 미생물에 대한 방어 작용을 하는 중요한 신호전달 물질로 알려져 있다.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제조예 전반에 있어서 일정한 산화질소 생성에 대한 억제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전체에 걸쳐 양성대조군에 비하여 38% 미만의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혼합조성에 의하는 경우 일정한 범위에서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데, M2 및 M3 조합범위에 따른 경우 상승효과가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발효에 의하는 B3에서 가시적인 상승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M6 및 M7의 조합범위에 따른 경우 추가적인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M6 및 M7의 조합범위에 따른 경우 산화질소 생성을 억제하는 활성이 가장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산화질소의 과량 생성은 전신적 염증을 유발하여 생체에 여러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적정량의 산화질소의 생성은 선천성 면역의 중요한 인자로써 여겨지므로 상기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우수한 면역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3. TNF-α 및 IL-12 생성능 측정
세포배양액 내의 TNF-α 및 IL-12의 분비량은 ELI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96-well plate에 capture antibody(anti-mouse TNF-α 및 IL-12)를 각각 분주하여 4℃에서 코팅시켰다. 이를 washing buffer(0.05% Tween-20이 포함된 PBS)로 세척한 후 10% FBS가 함유된 phosphate-buffered saline(PBS)으로 1시간 동안 blocking 한 뒤 washing buffer로 세척하였다. 각 microplate 에는 산화질소를 측정하였던 것과 동일한 세포배양액의 상층액을 100 uL씩 분주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킨 후 washing buffer로 세척하였다. 희석한 각각의 biotinylated anti-mouse TNF-α 및 인터루킨-6 detection antibody와 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conjugate 용액을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시킨 plate를 washing buffer로 세척한 후 tetramethylbenzidine(TMB) substrate solution을 첨가하여 암실에서 30분 동안 발색시킨 다음 1 M 인산을 첨가하여 발색반응을 정지시키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TNF-α 생성능과 IL-12의 생성을 농도를 HW를 지수 1로 고정하고 다른 제조예와 비교평가하여 하기의 [표 5]와 같이 지수로 나타내었다.
Con HW H1 H2 H3 M1 M2 M3 M4 M5 M6 M7 M8
Concentration of TNF-α 0 1 1.1 1.0 2.1 1.1 2.5 2.7 1.2 1.9 4.5 5.6 2.5
Concentration of IL-12 0 1 1.1 1.1 2.6 1.3 3.6 4.2 2.1 2.4 6.8 6.2 3.2
(단위: 지수)
상기의 [표 5]를 참조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생성능에 대한 면역활성을 검토한 결과, 제조예 전반에 걸친 TNF-α 분비를 촉진시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혼합조성 중 M2 및 M3에 의하는 경우 큰포식세포(macrophage) 자극에 의한 TNF-α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조성 중 B3의 경우 가시적인 상승활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M6 및 M7에서 추가적인 상승활성으로 TNF-α 분비가 보다 촉진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조예 전반에 걸쳐 면역매개인자인 IL-12의 생성이 촉진되는 점과 혼합조성 중 M2 및 M3에 의하는 경우 각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상승작용 활성으로 다른 혼합조성에 비하여 상당히 우수한 활성이 나타나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조성물로서 B3에 의하는 경우 IL-12의 생성이 보다 촉진되며, M6 및 M7의 경우 추가적인 상승활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인터루킨-6의 생성량을 증가시켜 B림프구를 분화시킴으로써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조예 2: 차음료 제형의 제조]
상기 HW, H3 및 M3 및 M6을 기초 차음료를 제조하고, 추가적으로 오미자 추출물(E1), 크랜베리 추출물(E2), 페퍼민트 추출물(E3), 파슬리 추출물(E4) 및 달래 추출물(E5)를 제조하고, 상기 HW, H3 및 M3 및 M6와 하기의 [표 6]과 같은 혼합하여 차음료 제형으로 식품을 제조하였다.
T1 T2 T3 T4 T5 T6 T7
HW 100 100 100 100 - - -
H3 - - - - 100 - -
M3 - - - - - 100 -
M6 - - - - - - 100
E1 0.01 0.1 1 3 1 1 1
E2 0.1 1 3 5 3 3 3
E3 0.01 0.1 2 5 2 2 2
E4 1 1 3 5 3 3 3
E5 0.1 0.1 2 5 2 2 2
(단위: 중량부)
[실험예 2: 차음료에 대한 기호성 평가]
HW, H3 및 M3 및 M6을 기초로 제조된 차음료와 상기 T1 내지 T8의 차음료에 대하여 10인의 시험자에게 시음하게 한 뒤 향과 맛을 평가하게 하여 1 내지 10의 기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평균한 뒤 하기의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하기의 지수는 그 숫자가 높을 수록 기호도가 우수한 것이다(각 지수는 평균 값에 반올림을 적용하였다).
HW H3 M3 M6
기호성 3 1 3 1
(단위: 지수)
T1 T2 T3 T4 T5 T6 T7
HW 3 7 8 3 7 7 6
(단위: 지수)
상기 [표 7]을 참조하면, 애기수영 추출물은 신맛이 강해 음료 제형으로 적용하는데 기호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를 확인하였다. 특히 발효공정이 적용된 H3의 경우에는 신맛과 발효과정에서 발생한 특유의 맛과 향미가 전체적인 기호성을 저하시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M3 및 M6의 혼합제형에서도 위와 같은 문제가 동일하게 발생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인공감미료가 아닌 천연 식물 추출물 기반의 차음료 제형으로서 그 향과 맛을 개선하여 전체적으로 우수한 기호성을 가지는 식품제형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T1 내지 T7의 혼합제형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T2 및 T3 제형에 혼합범위에 의하는 경우 애기수영 특유의 신맛이 중화되고 전제로서 기호성 높은 맛과 향을 가지는 음료 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혼합제형의 범위에 의하는 경우 애기수영의 열수추출물(HW)가 혼합된 M3 뿐만 아니라, 발효공정을 거친 H3와 상기 H3를 기초로 혼합조성을 제조된 M6에 대하여도 상당한 기호성 개선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혼합제형에 의하는 경우 인공감미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천연 식물 추출물을 기반으로 한 혼합제형을 기초로 애기수영 추출물 또는 애기수영 추출물의 발효물에 대한 맛과 향미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장기간 복용 및 사용에 따른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는 천연물 소재 기반의 식품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맛과 향미를 가지는 우수한 기호성 있는 식품으로 수요자에게 보다 쉽게 제공 및 소비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애기수영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애기수영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연꽃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두릅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노니 추출물 1 내지 5 중량부 및 차즈기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기수영 추출물은 발효된 것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애기수영 추출물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Lactobacillus rhamnosus); 비피도 박테리윰 비피듐(Bifidobacterium bifidum) 비피더스균; 비피도 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더스균; 락토바실러스 아시도 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접종되어 발효된 것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고
    오미자 추출물, 딸기 추출물, 아사이베리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크랜베리 추출물, 자몽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레몬 추출물, 초코민트 추출물, 바질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곰피 추출물, 방풍나물 추출물, 머위 추출물, 달래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용 식품.
KR1020200154819A 2020-11-18 2020-11-18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513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19A KR102513040B1 (ko) 2020-11-18 2020-11-18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19A KR102513040B1 (ko) 2020-11-18 2020-11-18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80A KR20220067980A (ko) 2022-05-25
KR102513040B1 true KR102513040B1 (ko) 2023-03-21

Family

ID=8180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819A KR102513040B1 (ko) 2020-11-18 2020-11-18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3378B1 (ko) * 2022-06-03 2022-11-07 경기도 파주시 콩 배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를 이용한 전통식혜의 제조방법
KR102598620B1 (ko) * 2022-10-20 2023-11-06 주식회사 아람 농업회사법인 만능 절임용 소스를 이용한 절임의 제조방법
KR102598567B1 (ko) 2023-02-24 2023-11-07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진흥원 가시모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5963A (ja) 2005-08-26 2007-03-08 Okinawa Pref Gov 抗酸化性物質
KR100962587B1 (ko) * 2007-10-02 2010-06-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8686A (ko) * 2010-03-29 2011-10-06 주식회사 케이씨아이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식품,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7337B1 (ko) 2015-12-18 2017-10-18 서창산업주식회사 항산화 및 면역 효능이 있는 발효사물탕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발효사물탕
KR101773369B1 (ko) 2016-06-10 2017-09-04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항산화 및 면역 활성을 가지는 꽃송이버섯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5963A (ja) 2005-08-26 2007-03-08 Okinawa Pref Gov 抗酸化性物質
KR100962587B1 (ko) * 2007-10-02 2010-06-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면역력, 노화로 인한 면역력 저하,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 네이버 블로그(2013.8.19), 인터넷(https://blog.naver.com/snotz/90179417857) 1부.*
정유민 외, 수영 전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및 성분 분석, 대한화장품학회지, 2014, 40(4), 391-402.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80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040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127911B1 (ko) 면역 증진용 발효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4288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15959B1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2424477B1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1704123B1 (ko) 활성아민 함유 봉독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식품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4474B1 (ko) 해조류를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29460B1 (ko) 당유자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억제용 조성물
KR20190043317A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2461788B1 (ko) 누에동충하초(눈꽃동충하초)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230080923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2534513B1 (ko) 부리붉은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면역력 개선활성을 나타내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326439B1 (ko) 인삼을 포함하는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및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90060631A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624293B1 (ko) 동과자 추출물 또는 동과자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90135902A (ko) 마늘 및 곤드레 유산균 발효물,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2408103B1 (ko)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2886B1 (ko) 비만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102527252B1 (ko) 효소 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기능 향상을 위한 홍경천복합조성물
KR102093817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40020029A (ko) 고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염용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062697B1 (ko)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