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931B1 -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 Google Patents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931B1
KR102512931B1 KR1020210152382A KR20210152382A KR102512931B1 KR 102512931 B1 KR102512931 B1 KR 102512931B1 KR 1020210152382 A KR1020210152382 A KR 1020210152382A KR 20210152382 A KR20210152382 A KR 20210152382A KR 102512931 B1 KR102512931 B1 KR 102512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tray
present
operat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570A (ko
Inventor
송은규
Original Assignee
송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은규 filed Critical 송은규
Priority to KR1020210152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9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에 관한 것, 또는 물받이 그릇과 채망을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내용물을 담는 그릇(115); 그릇(115)의 상단에 안착되며, 식품을 넣고 적당량의 물을 채운 뒤 행굼으로써 식품의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손쉽게 걸러내도록 한 채반(100); 및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채반(100)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며, 그릇과 채반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손잡이(120);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그릇의 상부에 채반을 올려놓은채 채반에 각종 식품을 넣고 물을 뿌려 식품의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손쉽게 걸러내도록 한 것이고, 특히 그릇과 채반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에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이로 인해 채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strainer that is selective detachable coupled to the bow}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채망 또는 물빠짐 바구니 여과망)(또는 물받이 그릇과 채망을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세하게는 물받이 그릇 상부에 채반을 올려놓고, 그 채반에 쌀, 보리, 콩, 깨 등 알곡류나, 상추 등 야채류 등 다양한 식재료를 넣고 적당량의 물을 채운 뒤 비빔과 행굼을 하므로서 식료품에 묻어있는 이물질이나 불순물 등 유해물질을 손쉽게 걸러내고 씻어 내도록 한 것이고, 특히 물받이 그릇과 채반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에 스위치를 설치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이로 인해 채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서 사용자인 소비자에게 깨끗한 식품을 제공하고 또한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스트레이너(strainer)(채반)는 식품에서 물을 뺄 때 쓰는 여과기, 거르개 및 체 등을 말한다.
특히 상기 스트레이너(strainer)(채반)는 식품류에 사용하는 기구, 즉 쌀, 보리, 콩, 깨 등과 같은 알곡류와 상추 등 야채류의 농산물에 묻어 있는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유용한 스트레이너(strainer)(채반)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상기 종래 기술은 그릇의 상부에 놓이는 채반이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해 이탈 및 쏠림 등에 의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채반이 그릇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놓여지지 않기 때문에 식품 세척이 수월하지 못하고, 세척후의 오수 배출이 수월하지 못하고, 식품의 수분을 충분히 배출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구조상 결함에 의해 그릇과 채반을 동시에 한꺼번에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분리시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1990-0000163호(1990. 01. 30)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64403호(2004. 10. 01)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5341호(2007. 01. 11)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6-0002041호(2016. 06. 14)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44054호(2018. 03. 26)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채반, 고리부, 그릇, 손잡이, 스위치, 작동구, 탄성구, 요철부, 밀착구 및 탄성밀착구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물받이 그릇의 상부에 채반을 올려놓고, 채반에 알곡류나 야채류를 넣고 적당량의 물을 채운 뒤 헹굼과 비빔으로서 식재료에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손쉽게 걸러내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그릇의 상부에 놓이는 채반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이탈 및 쏠림 등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한 것이고, 제4목적은 채반이 그릇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놓여지기 때문에 식품 세척이 수월하고, 세척후의 오수 배출이 수월하고, 식품의 수분을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그릇과 채반을 동시에 한꺼번에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고, 제6목적은 세척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하면서 위생적으로 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7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변형없이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이로 인해 채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담는 그릇; 그릇의 상단에 안착되며, 식품을 넣고 적당량의 물을 채운 뒤 행굼으로써 식품의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손쉽게 걸러내도록 한 채반; 및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채반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며, 그릇과 채반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손잡이;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반, 고리부, 그릇, 손잡이, 스위치, 작동구, 탄성구, 요철부, 밀착구 및 탄성밀착구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그릇의 상부에 채반을 올려놓은채 채반에 각종 식품을 넣고 물을 뿌려 식품의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손쉽게 걸러내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릇의 상부에 놓이는 채반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이탈 및 쏠림 등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채반이 그릇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놓여지기 때문에 식품 세척이 수월하고, 세척후의 오수 배출이 수월하고, 식품의 수분을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그릇과 채반을 동시에 한꺼번에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세척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하면서 위생적으로 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변형없이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채반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의 분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의 결합
상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손잡이의 제2실시예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손잡이의 제3실시예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손잡이의 제4실시예 구성도.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은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는 그릇(115)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그릇의 형상은 원형 및 다각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그릇(115)의 상단에 안착되며, 식품을 넣고 적당량의 물을 채운 뒤 행굼으로써 식품의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손쉽게 걸러내도록 한 채반(1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채반의 모양도 상기 그릇과 같은 형상 모양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채반(100)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며, 그릇과 채반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손잡이(1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채반(100)의 외주면에는 그릇(115)의 상단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부(11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손잡이(12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작동공(124)이 형성된 몸체(121)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21)의 전방에 구비되며, 채반(121)의 상단 주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연결부(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몸체(121)의 작동공에 구비되며, 손가락으로 작동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스위치(125)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125)에 조립되며, 전방으로 밀착시 그릇을 밀어 고정시키고, 후방으로 후퇴시 그릇에서 이격되어 그릇에서 채반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작동구(1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121)의 내부에는 스위치(125)의 후퇴시 압축되었다가 스위치의 해제를 풀면 탄성력에 의해 스위치를 전방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탄성구(128)가 조립 설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121)의 내부 바닥면에는 스위치(125)가 원활히 전후로 동작되도록 레일(12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고정연결부(122)의 일측에는 작동구(126)의 선단 상면이 맞닿아 채반(100)과 그릇(115)을 함께 들어올릴 때 버팀목 역할을 하는 연장걸림부(123)가 구비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작동구(126)의 선단에는 그릇(115)과의 밀착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부(130)가 구비된다.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작동구(126)의 선단에는 밀착구(140)가 구비되고, 밀착구(140)의 선단에는 그릇(115)의 표면에 미끄럼 없이 밀착되도록 러버(14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러버(141)의 표면에는 그릇과 밀착시 수축되면서 그릇과의 밀착력을 극대화시키는 요홈(142)이 구비됨이 바랍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작동구(126)의 선단에는 그릇과 밀착 전에는 벌어져 있다가 그릇과 밀착시에는 작동홈(151)을 중심으로 후퇴하면서 그릇과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 탄성밀착구(150)가 구비됨이 바랍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그릇의 상부에 채반을 올려놓은채 채반에 각종 식품을 넣고 물을 뿌려 식품의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손쉽게 걸러내도록 한 것이고, 특히 그릇과 채반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115)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100)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115)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100)의 결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115)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100)이 상호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또한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그릇(115)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100)의 결합상태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릇(115)의 상단에 채반(100)을 올려 놓는다.
이때 채반(100)의 주연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부(11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고리부(110)가 그릇(115)의 상면 주연부에 끼워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채반(100)이 그릇(115)에서 움직임 및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채반(100)에 각종 식품 내용물(예: 쌀, 깨, 조, 보리 등)을 담는다.
그런 다음 물로 상기 식품 내용물을 씻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농산물에 뭍어 있는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걸러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로 식품을 씻게 되면 물은 채반의 여과망을 통해 하부 그릇(115)에 담기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본 발명은 채반(100)만 들어 올려 물기를 제거할 있음은 물론 채반(100)과 그릇(115)을 함께 들어 올릴 수 있다.
즉, 상기 채반(100)의 일측에는 손잡이(12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손잡이(120)는 채반(100)을 들어 올리거나 또는 채반(100)과 그릇(115)을 함께 들어 올릴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 4 와 같이 채반(100)이 그릇(115)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작동구(126)가 그릇(115)의 외주면에 맞닿은 상태가 됨은 물론 작동구(126)의 선단 상단과 연장걸림부(123)의 하단이 상호 맞닿은 상태가 되어 결과적으로 채반(100)과 그릇(115)이 결합됨과 아울러 들어 올리거나 이동시킬수 있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그릇(115)에서 채반(100)만을 분리할 경우에는 손잡이(120)에 구비된 스위치(125)를 작동시켜 간단하게 분리시키게 된다.
즉, 손잡이(120)의 몸체(121)에 구비된 스위치(125)를 손가락으로 후퇴시키면 작동구(126)도 함께 후퇴한다. 이때 작동구(126)의 선단이 그릇(115) 및 연장걸림부(123)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그릇(115)에서 채반(100)만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125)를 후퇴시키면 몸체(121)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구(128)가 압축된 상태로 있게 되고, 이 후 스위치(125)를 후퇴시킨 손가락을 놓게 되면 탄성구(128)의 탄발력에 의해 스위치(125)와 작동구(126)가 다시 전방으로 전진 작동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스위치(125)는 작동공(124)의 공간 내에서 작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스위치(125)는 몸체(121)의 내부 바닥면에 구비된 레일(127)을 따라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서포트 해주게 된다.
한편,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손잡이(120)의 제2실시예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작동구(126)의 선단에 요철부(130)를 구비하여 그릇(115)과의 밀착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손잡이(120)의 제3실시예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작동구(126)의 선단에는 밀착구(140)가 구비되고, 밀착구(140)의 선단에는 러버(141)를 구비하여 그릇(115)의 표면에 미끄럼 없이 밀착되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러버(141)의 표면에는 요홈(142)이 구비되어 그릇과 밀착시 수축되면서 그릇과의 밀착력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손잡이(120)의 제4실시예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작동구(126)의 선단에는 탄성밀착구(15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 탄성밀착구는 그릇과 밀착 전에는 벌어져 있다가 그릇과 밀착시에는 작동홈(151)을 중심으로 후퇴하면서 그릇과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그릇의 상부에 채반을 올려놓은 채, 각종 알곡류나, 상추 등 야채를 넣은 뒤 적당량의 물을 채워서 헹굼을 함으로서 식품의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손쉽게 걸러내도록 한 것이고, 그릇의 상부에 놓이는 채반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이탈 및 쏠림 등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한 것이고, 채반이 그릇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놓여지기 때문에 식품 세척이 수월하고, 세척후의 오수 배출이 수월하고, 식품의 수분을 충분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고, 그릇과 채반을 동시에 한꺼번에 결합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고, 세척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하면서 위생적으로 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채반
110: 고리부
115: 그릇
120: 손잡이
125: 스위치
126: 작동구
128: 탄성구
130: 요철부
140: 밀착구
150: 탄성밀착구

Claims (5)

  1.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을 담는 그릇(115); 그릇(115)의 상단에 안착되며, 식품을 넣고 물을 채운 뒤 행굼으로써 식품의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손쉽게 걸러내도록 한 채반(100); 및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채반(100)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며, 그릇과 채반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손잡이(120);가 포함되되,
    상기 채반(100)의 외주면에는 그릇(115)의 상단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리부(110)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2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작동공(124)이 형성된 몸체(121); 몸체(121)의 전방에 구비되며, 채반(121)의 상단 주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연결부(122); 몸체(121)의 작동공에 구비되며, 손가락으로 작동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스위치(125); 및 스위치(125)에 조립되며, 전방으로 밀착시 그릇을 밀어 고정시키고, 후방으로 후퇴시 그릇에서 이격되어 그릇에서 채반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작동구(126);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연결부(122)의 일측에는, 작동구(126)의 선단 상면이 맞닿아 채반(100)과 그릇(115)을 함께 들어올릴 때 버팀목 역할을 하는 연장걸림부(123);가 포함되고,
    상기 몸체(121)의 내부 바닥면에는 스위치(125)가 원활히 전후로 동작되도록 레일(127)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구(126)의 선단에는 그릇과 밀착 전에는 벌어져 있다가 그릇과 밀착시에는 작동홈(151)을 중심으로 후퇴하면서 그릇과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 탄성밀착구(1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52382A 2021-11-08 2021-11-08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KR102512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382A KR102512931B1 (ko) 2021-11-08 2021-11-08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382A KR102512931B1 (ko) 2021-11-08 2021-11-08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570A KR20210142570A (ko) 2021-11-25
KR102512931B1 true KR102512931B1 (ko) 2023-03-22

Family

ID=7874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382A KR102512931B1 (ko) 2021-11-08 2021-11-08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9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096Y1 (ko) * 1999-07-21 2000-02-15 김삼용 조리기구용 손잡이의 탈부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16347A (en) 1987-07-07 1989-01-19 Mazda Motor Control device for machine tool
KR900011377Y1 (ko) * 1988-06-15 1990-12-28 김성조 눈 화장용 케이스
KR100364403B1 (ko) 2000-02-24 2002-12-11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물품 가공용 광헤드장치
KR100435341B1 (ko) 2001-11-09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기 정화 장치용 오존 저감 장치
KR20130047085A (ko) * 2011-10-31 2013-05-08 유병호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KR20160002041A (ko) 2014-06-30 2016-01-07 비플라이소프트(주) 전자문서 이미지 구성 시스템
KR101844054B1 (ko) 2016-08-17 2018-03-30 권혁신 분리형 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096Y1 (ko) * 1999-07-21 2000-02-15 김삼용 조리기구용 손잡이의 탈부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570A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4125B2 (en) Liquid soap dispensing and scrubbing tool
JP2012511995A (ja) 食器の予備ゆすぎ
KR102512931B1 (ko)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US6019537A (en) Accessory cleaning system for kitchen faucet hose spray
US9700178B2 (en) Brush bowl
FR2931352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omestique pour laver un biberon.
KR102252521B1 (ko) 세척 용기
CN201492309U (zh) 方便沥水的多用菜盆
KR20090099941A (ko) 원터치 복귀형 거름망
GB2429146A (en) Dishwasher with adjustable shelves
CN217659441U (zh) 淘滤瓶
CN211484446U (zh) 一种厨房用洗碗装置
GB2548067A (en) A cutlery washing up design
EP2449941B1 (en) Mop wringer and bucket assembly
CN2857746Y (zh) 双层洗菜盆
CN104433869A (zh) 淘米洗菜器
CN203106873U (zh) 一种蔬菜水果清洗器
CN212066649U (zh) 一种水槽洗碗机
EP1138249A3 (de) Geschirr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und Abtropfelement hierfür
US20190184431A1 (en) Multifunction kitchen utensil useful for cleaning a whisk or similar item
US20200229651A1 (en) Compact Vegetable and Fruit Washer
KR200346556Y1 (ko) 잔반처리대
CN201529037U (zh) 一种新型不锈钢盆子
CN210989843U (zh) 一种洗菜盆
KR20160134304A (ko) 다기능 주방용 세척 주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