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054B1 - 분리형 채반 - Google Patents

분리형 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054B1
KR101844054B1 KR1020160104566A KR20160104566A KR101844054B1 KR 101844054 B1 KR101844054 B1 KR 101844054B1 KR 1020160104566 A KR1020160104566 A KR 1020160104566A KR 20160104566 A KR20160104566 A KR 20160104566A KR 101844054 B1 KR101844054 B1 KR 101844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fixing
upper body
mesh net
sepa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064A (ko
Inventor
권혁신
Original Assignee
권혁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신 filed Critical 권혁신
Priority to KR102016010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0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2Racks for dry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반이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로 분리형성되고,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에 메쉬망을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고정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메쉬망의 손상시 또는 이물질 및 불순물을 걸러내고자 할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메쉬망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채반{Separable wicker tray}
본 발명은 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반이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로 분리형성되고, 채반이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로 분리형성되고,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에 메쉬망을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고정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메쉬망의 손상시 또는 이물질 및 불순물을 걸러내고자 할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메쉬망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분리형 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채반은 깨, 조, 보리, 쌀 등과 같은 농산물에 뭍어 있는 이물질이나 불순물을 걸러내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채반에 특정 농산물을 올려놓고 건조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채반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몸체에 다양한 종류의 농산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서 일정 크기의 구멍들이 형성된 메쉬망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채반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817호로 농수산물 건조용 채반이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채반은 매쉬망이 측판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매쉬망의 교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쉬망의 일부가 손상될 경우 사용이 불가하므로 제품의 상품성이 현저하게 떨어짐은 물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메쉬망은 구멍의 폭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다양한 크기와 종류의 농산물을 모두 걸러내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채반은 테두리부재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채반을 파지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채반의 사용 후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817호(2013.02.15.)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반이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로 분리형성되고,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에 메쉬망을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고정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메쉬망의 손상시 또는 이물질 및 불순물을 걸러내고자 할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메쉬망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분리형 채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분리형 채반은,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에 장착되는 매쉬망과;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채반이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로 분리형성되고,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에 메쉬망을 결합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고정하므로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메쉬망의 손상시 또는 이물질 및 불순물을 걸러내고자 할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 메쉬망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다양하게 하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분리형 채반(100)은,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몸체(110)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몸체(120)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110)와 상부 몸체(120) 사이에 장착되는 매쉬망(13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손잡이(140)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11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몸체(110)와 상부 몸체(120)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면에 환형으로 요입 형성되는 결합홈(111)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면에 결합홈(111)의 외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손잡이(140)를 장착하는 장착홈(112)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 몸체(120)는 하부 몸체(110)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쉬망(130)의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편(131)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150)은, 상기 하부 몸체(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편(15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편(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몸체(120)의 상면으로 절곡되는 고정구(152)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 몸체(120)의 상면에 탭가공되어 형성되는 고정홈(153)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15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구(15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과정 및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하부 몸체(11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매쉬망(130)을 안착시켜 결합한다.
이때, 상기 매쉬망(130)의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절곡형성된 절곡편(131)이 하부 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110)에 형성된 결합홈(111)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장착홈(112)에 손잡이(140)를 안착시킨다.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면에 매쉬망(130)과 손잡이(14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몸체(110)의 상부에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몸체(120)를 안착시킨다.
상기 상부 몸체(120)는 하부 몸체(1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메쉬망(130)에 특정 농산물을 올려놓게 되면 외부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 몸체(110)와 상부 몸체(120)가 서로 안착되면, 상기 하부 몸체(110)의 일측에 장착된 고정수단(150)의 고정구(152)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구(152)의 단부가 상부 몸체(12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볼트로 형성된 고정부재(154)가 고정구(152)를 통과하도록 하여 탭가공된 고정홈(153)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154)는 고정구(152)의 상면을 가압하여 하부 몸체(110)와 상부 몸체(1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분리형 채반(100)은, 메쉬망(130) 상부에 특정 농산물들을 골고루 펼친다.
상기 농수산물들이 펼쳐진 분리형 채반(100)의 손잡이(14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분리형 채반(100)을 좌,우로 흔들거나 전,후로 흔들게 되면 농산물에 포함된 비중이 가벼운 이물질이나 불순물이 상부 몸체(120)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미세한 입자의 불순물은 상기 메쉬망(130) 하부로 떨어지게 되어 메쉬망(130)에는 농산물의 알맹이만 남게 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형 채반(100)의 사용과정에서 메쉬망(130)이 손상되거나 걸러내고자 하는 농산물의 입자가 다르면, 상기 메쉬망(130)을 상,하부 몸체(110)(120)로 부터 분리교체하여 새로운 메쉬망(130)을 사용하거나 구멍 폭이 다른 메쉬망(130)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메쉬망(130)은, 고정수단(150)의 고정력을 해제시켜 상부 몸체(120)와 하부 몸체(110)를 분리시킨 후 메쉬망(130)을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분리형 채반
110: 하부 몸체
111: 결합홈
112: 장착홈
120: 상부 몸체
130: 매쉬망
131: 절곡편
140: 손잡이
150: 고정수단
151: 고정편
152: 고정구
153: 고정홈
154: 고정부재

Claims (6)

  1. 원형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 사이에 장착되는 매쉬망과;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손잡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 몸체와 상부 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 환형으로 요입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 결합홈의 외측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요입 형성되어 손잡이를 장착하는 장착홈이 구비되며,
    상기 매쉬망의 가장자리에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편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 몸체의 테두리 일측면에 형성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 몸체의 상면으로 절곡되는 고정구와; 상기 상부 몸체의 상면에 탭가공되어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채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는 하부 몸체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채반.
  5. 삭제
  6. 삭제
KR1020160104566A 2016-08-17 2016-08-17 분리형 채반 KR101844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66A KR101844054B1 (ko) 2016-08-17 2016-08-17 분리형 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66A KR101844054B1 (ko) 2016-08-17 2016-08-17 분리형 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64A KR20180020064A (ko) 2018-02-27
KR101844054B1 true KR101844054B1 (ko) 2018-03-30

Family

ID=6139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66A KR101844054B1 (ko) 2016-08-17 2016-08-17 분리형 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0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570A (ko) 2021-11-08 2021-11-25 송은규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KR20240064391A (ko) 2022-11-04 2024-05-13 김병석 다용도 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393Y1 (ko) * 2021-05-06 2022-05-12 허재승 일체형 탈곡 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341Y1 (ko) * 2006-08-23 2007-01-17 이재권 탈부착기능을 갖는 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341Y1 (ko) * 2006-08-23 2007-01-17 이재권 탈부착기능을 갖는 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570A (ko) 2021-11-08 2021-11-25 송은규 그릇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결합되는 채반
KR20240064391A (ko) 2022-11-04 2024-05-13 김병석 다용도 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064A (ko) 201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054B1 (ko) 분리형 채반
USD905974S1 (en) Electronic photo frame
USD899108S1 (en) Electronic photo frame
US20140231343A1 (en) Combined citrus press and zester
USD852680S1 (en) Motorcycle air filter cover
US7464638B2 (en) Reusable beverage filter
USD878841S1 (en) Shaker with lid
CH617886A5 (ko)
US20070089614A1 (en) Reusable beverage filter
US10265652B1 (en) Buckle mechanism of dust collecting barrel of bag-type dust collector
JP3184857U (ja) 粉末ろ過装置
USD921176S1 (en) Filter
EP1495708A3 (en)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USD821861S1 (en) Pyramid hex lug nut cover
DE202017002882U1 (de) Staubsauger
US20220031135A1 (en) Dust collector with convenient loading and unloading dust collecting barrel
USD896684S1 (en) Bungee bead apparatus
US20170106512A1 (en) Pop-up drain filter tool
USD895488S1 (en) Crank device
CN206443110U (zh) 一种自动坚果剥壳装置
CN213825827U (zh) 一种阶梯式茶叶拣梗机
CN209643789U (zh) 一种具有分拣功能的东北松子剥离装置
CN208033089U (zh) 一种水果分选承托装置
CN206046447U (zh) 一种可拆式筛子
CN206338837U (zh) 一种倒锥式油网及过滤网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