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313B1 -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 Google Patents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313B1
KR102512313B1 KR1020197018259A KR20197018259A KR102512313B1 KR 102512313 B1 KR102512313 B1 KR 102512313B1 KR 1020197018259 A KR1020197018259 A KR 1020197018259A KR 20197018259 A KR20197018259 A KR 20197018259A KR 102512313 B1 KR102512313 B1 KR 10251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ousing
fluid pump
contents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153A (ko
Inventor
조영섭
장욱
한유신
김정인
이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3700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1841A/ko
Publication of KR2019009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23Piston pumps having an outlet valve opened by deformation or displacement of the piston relative to its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5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the pumping chamber being a be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05B11/0039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 B05B11/0044Containers associated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ambient pressur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container, e.g. pressure relief means compensating underpressure by ingress of atmospheric air into the container, i.e. with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62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05B11/007Outlet valves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being opened by deformation of a sealing element made of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e.g. flaps, skirts, duck-bil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9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 B05B11/106Means for locking a pump or its actuation means in a fixed position in a retracted position, e.g. in an end-of-dispensing-strok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66Pump inlet valves
    • B05B11/1067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 B05B11/1069Pump inlet valves actuated by pressure the valve being made of a resiliently deformable material or being urged in a closed position by a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유체 펌프에 있어서, 토출구를 가지며 눌림에 의해 상기 토출구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헤드;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는 캡;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내용물을 흡입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하는 피스톤; 및 상기 헤드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에 의해 내측으로 내용물의 유입 여부가 제어되는 내용물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캡의 하측 부분에 외부와 연통되는 부압홀이 마련되어 내용물의 토출 시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본 발명은 유체 펌프 및 유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캡과 하우징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유체 펌프 및 유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핑 운동에 의해 흡입관을 따라 용기본체의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 용기는 화장품, 세제, 샴푸 등 다양한 내용물이 수납된다.
이러한 유체 용기는 내용물을 일정량씩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내용물의 과다한 배출을 억제하여 내용물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여러 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체 용기의 일반적인 원리는 손가락으로 용기 상단의 누름 버튼을 누르게 되면 이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펌핑되어 누름버튼에 형성된 노즐을 통해 일정량씩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의 유체 용기는 용기본체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펌핑 운동에 의해 유체 토출 시 용기본체의 내부 압력이 반복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할수록 용기본체의 형상이 찌그러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체 용기는 용기본체의 일측을 밀폐하는 캡과, 스프링, 피스톤, 가스켓, 스템 및 볼 밸브 등이 내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등으로 펌핑 구조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들을 각각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공정이 번거로우며 부품수 증가로 인한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에 외부와 연통되는 부압홀을 마련함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 시 용기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본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체 펌프 및 유체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캡과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함에 의해 구성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유체 펌프 및 유체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유체 펌프에 있어서, 토출구를 가지며 눌림에 의해 상기 토출구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헤드;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는 캡;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내용물을 흡입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하는 피스톤; 및 상기 헤드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에 의해 내측으로 내용물의 유입 여부가 제어되는 내용물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캡의 하측 부분에 외부와 연통되는 부압홀이 마련되어 내용물의 토출 시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캡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측 둘레는, 상기 캡의 내측 둘레와 밀폐되도록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압홀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캡의 내측 둘레와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압홀은, 상기 헤드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헤드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어긋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물 이동부재는, 샤프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하측 일 영역에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는,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헤드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돌기부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턱부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는, 하측 일 영역에 다른 영역보다 둘레가 작은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는, 상단에 마련되는 단차인 제1 걸림부와, 하단에 마련되는 단차인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구비된 단면이 H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샤프트와 대면하는 하단이 상기 샤프트를 향하는 후크(hook)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헤드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상기 유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헤드가 눌림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걸리면서 함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유입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헤드의 눌림이 해제됨에 의해 상승되며, 상기 제2 걸림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걸리면서 함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팽창시키면서 상기 유입홀을 폐쇄시키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는,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끝단은 상기 헤드의 하단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는, 일단이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물 이동부재는, 스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템은, 하단 내측에 공간이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차지게 마련되는 제3 걸림부 및 상기 제3 걸림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판 형상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는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는, 상부 둘레가 하부 둘레보다 작아지도록 외측 일 영역이 단차지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는,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내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외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연장부 및 상기 외측 연장부의 끝단은 상기 헤드의 하단 외측에 마련되되, 상기 내측 연장부가 상기 외측 연장부보다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외측 연장부의 하단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측면에는 각각 돌기가 마련되어 상호 걸림에 의해 상기 헤드의 상단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는, 상측이 상기 내측 연장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측 연장부는, 외측 일 영역을 따라 돌출된 제4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헤드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스템의 상기 날개부 하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템은, 상기 헤드가 눌림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제4 걸림부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상단이 걸리면서 함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날개부 사이의 유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템은, 상기 헤드의 눌림이 해제됨에 의해 상승되며, 상기 제3 걸림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걸리면서 함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팽창시키면서 상기 날개부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키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하측 일 영역에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턱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헤드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턱부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단 외측면을 따라 외측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헤드는 하단 내측면을 따라 상기 외측 나사산과 체결 가능한 내측 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외측 나사산의 하부에 상기 내측 나사산이 위치되는 경우, 상기 헤드가 상하로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내측 나사산이 상기 외측 나사산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헤드의 눌림이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하단에 하단홀이 마련되며, 상기 하단홀에는 상기 헤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하단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단홀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까지 연장되는 흡입관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는, 상기 유체 펌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펌프 및 유체 용기는, 하우징에 외부와 연통되는 부압홀을 마련함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 시 용기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본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며 제품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펌프 및 유체 용기는, 캡과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함에 의해 구성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제조의 효율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정단면 중 상부 확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정단면 중 하부 확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측단면 중 하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측단면 중 하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하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하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가 펌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상부에 헤드가 체결되어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가 펌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가 펌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가 펌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용기본체(10), 펌핑부(20), 부피변형체(30), 흡입관(40)을 포함한다.
용기본체(10)는, 내용물을 수용한다. 용기본체(1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화장품이나 샴푸, 치약 등일 수 있으며, 내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내용물은 적어도 흡입관(40)을 따라 흡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상태를 갖는 물질일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내용물이 배출되기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개방된 일측에는 후술할 펌핑부(20)가 결합될 수 있다. 펌핑부(20)의 결합으로 인하여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은 펌핑부(20)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된다.
용기본체(10)는 합성수지, 금속, 도자기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면 그 재질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용기본체(10)와 펌핑부(20)간의 결합을 위해 적어도 펌핑부(20)가 결합되는 용기본체(10)의 일측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펌핑부(20)는, 용기본체(10)의 일측에 마련되어 내용물을 토출한다. 펌핑부(20)는 용기본체(10)에서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개방된 일측을 밀폐할 수 있고, 헤드(21)와 캡(22)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21)는, 사용자 등에 의하여 눌리는 구성으로, 일측에 토출구(211)를 갖는다. 토출구(211)는 단순히 구멍일 수 있고, 또는 노즐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 토출로일 수 있다.
헤드(21)는 압력을 쉽게 받기 위해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부분에 일측으로 연장된 노즐이 부가되는 형태일 수 있지만, 헤드(21)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토출구(211) 역시, 도면에서 1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일 수도 있음을 알려둔다.
헤드(21)에는 캡(22)을 관통하여 후술할 부피변형체(30)에 압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템(21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스템(212)은 캡(22)의 내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캡(22)은, 용기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된다. 캡(22)은 용기본체(10)에서 개방된 일측에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할 수 있다.
캡(22)에는 헤드(21)가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캡(22)은 헤드(21)의 승강을 허용하기 위해 내부가 상하로 관통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캡(22)에서 상하로 관통된 내부에는 헤드(21)의 스템(212) 또는 흡입관(40)이 위치할 수 있다.
캡(22)과 용기본체(10) 사이에는 실링부(23)가 마련될 수 있는데, 실링부(23)는 O-링이나 가스켓 등 실링 기능을 구현하는 일반적인 구성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실링부(23)가 마련되는 위치는 캡(22)과 용기본체(10) 사이 외에도, 캡(22) 내측에서 승강하는 헤드(21)와 캡(22) 사이 등일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21)를 누르면, 헤드(21)의 스템(212)은 캡(22) 내측에서 하강하면서 후술할 부피변형체(30)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내용물은 헤드(21)로 전달되어 헤드(21)의 토출구(2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헤드(21)의 누름을 해제하면, 헤드(21)의 스템(212)은 캡(22) 내측에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스템(212)의 상승은 부피변형체(30)가 갖는 탄성력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종래의 경우 펌핑부(2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실린더와 피스톤 등의 복잡한 구조가 필요함에 따라 많은 수의 부재가 필요하여 제조 단가가 증가하고 불량률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실시예는 헤드(21)의 눌림 후 원위치로의 복원이 후술할 부피변형체(30)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내용물의 토출 역시 부피변형체(30)의 압축/팽창을 통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구조를 단순화하면서 제조 단가를 대폭 낮추고, 제조불량이나 고장 발생 위험을 절감할 수 있다.
부피변형체(30)는,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에 위치하며, 펌핑부(20)가 눌리면 압축되어 내부의 내용물을 밀어 올리고, 펌핑부(20)의 눌림이 해제되면 팽창되어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다.
즉 부피변형체(30)는 부피가 변형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PP, PE 등일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피변형체(30)는 부피가 변형될 수 있는 재질과 별도로 또는 함께, 부피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피변형체(30)는, 벨로우즈 튜브(31)와 흡입 튜브(32)가 상하로 마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벨로우즈 튜브(31)는, 흡입관(40)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측이 흡입관(40)의 내부로 삽입된다.
헤드(21)가 눌리면 흡입관(40)이 하강하여 벨로우즈 튜브(31)를 압축하게 되는데, 벨로우즈 튜브(31)가 흡입관(40)에 의해 압축되는 대신 흡입관(40) 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벨로우즈 튜브(31)의 상측 둘레에는 흡입관(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환테(31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40)의 하단은, 벨로우즈 튜브(31)의 환테(312)를 내리누름으로써 벨로우즈 튜브(31)를 압축시킬 수 있다.
벨로우즈 튜브(31)는, 펌핑부(20)가 눌리면 압축되어 내부의 내용물을 밀어 올리고, 펌핑부(20)의 눌림이 해제되면 팽창되어 흡입 튜브(32)를 통해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벨로우즈 튜브(31)는, 상단에 토출 개구부(311)를 마련할 수 있으며, 토출 개구부(311)는 벨로우즈 튜브(31)가 압축되면 열리고 벨로우즈 튜브(31)가 팽창되면 닫히는 탄성력을 갖는 구성일 수 있다.
토출 개구부(311)는, 상단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며 상단에서 서로 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판막(311a)을 갖는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토출 개구부(311)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판막(311a)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에서 판막(311a)이 서로 맞닿아 토출 개구부(311)를 밀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판막(311a)은 휘어짐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벨로우즈 튜브(31)가 압축되면, 벨로우즈 튜브(3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내용물이 판막(311a)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단에서 서로 맞닿아 있던 두 개의 판막(311a)은, 내용물에 의해 서로 벌어져서 틈을 형성함에 따라 토출 개구부(311)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벨로우즈 튜브(31)는 이러한 토출 개구부(311)를 통해, 펌핑부(20)가 눌릴 때 압축되면서 내부의 내용물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벨로우즈 튜브(31)에서 상방으로 이동한 내용물은 흡입관(40)을 거쳐 스템(212)을 통해 토출구(211)로 빠져나갈 수 있다.
물론 토출 개구부(311)의 형태를 상기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토출 개구부(311)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벨로우즈 튜브(31)의 내압 상승 시 벌어지면서 내용물의 관통을 허용하는 슬릿을 갖거나, 및/또는 벨로우즈 튜브(31)의 내압 상승에 의해 변형되어 내용물의 상방 통과를 허용하되 내용물 하방 통과는 차단하는 역지밸브 등을 가질 수 있다.
벨로우즈 튜브(31)는, 토출 개구부(311)의 하측에 마련되는 주름부(313)와, 주름부(313)의 하측에 마련되는 결합부(314)를 더 포함한다. 주름부(313)는 벨로우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주름부(313)의 최소 단면이 흡입관(40)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벨로우즈 튜브(31)의 1회 압축에도 충분한 양의 내용물이 토출구(211)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헤드(21)가 눌리면 주름부(313)의 주름이 접히면서 벨로우즈 튜브(31)의 내부 공간이 줄어들어 내압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은 토출 개구부(311)를 스스로 개방한 뒤 흡입관(40)을 통해 펌핑부(20)로 빠져나간다.
반대로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되면 주름부(313)의 주름이 펴지면서 벨로우즈 튜브(31)가 팽창되고, 벨로우즈 튜브(31)의 내부 공간이 확대되어 내압이 감소한다. 따라서 벨로우즈 튜브(31)의 내압이 용기본체(10)의 내압보다 상대적으로 저압이 되면서, 내용물이 용기본체(10)의 내부로부터 벨로우즈 튜브(31)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다.
헤드(21)의 눌림 해제 시, 벨로우즈 튜브(31)의 팽창은 주름부(313)의 주름이 펴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주름부(313)는 상하로 펴지는 탄성력을 가지며, 헤드(21)의 눌림 시 발생한 주름부(313)의 탄성력이 헤드(21)의 눌림 해제 시 벨로우즈 튜브(31)의 형태 변형(팽창)을 발생시키게 된다.
벨로우즈 튜브(31)에서, 주름부(313)의 두께보다 토출 개구부(311)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더 두꺼울 수 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헤드(21)의 눌림에 의해 흡입관(40)이 하강할 때 흡입관(40) 내에 위치한 토출 개구부(311)가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고 흡입관(40) 내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흡입관(40) 내에 삽입된 토출 개구부(311)와 주름부(313) 사이에 앞서 언급한 환테(312)가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벨로우즈 튜브(31)는 토출 개구부(311)로부터 주름부(313)로 갈수록 단면이 확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환테(312)가 토출 개구부(311)의 흡입관(40) 내 삽입을 차단하지 못하였더라도, 토출 개구부(311)와 주름부(313) 사이의 단면 확장으로 인해 흡입관(40) 내에는 주름부(313)가 삽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합부(314)는, 주름부(313)의 하측에 마련되며 흡입 튜브(32)를 내측에 수용한다. 즉 벨로우즈 튜브(31)의 하측에 흡입 튜브(32)가 인입될 수 있다. 다만 결합부(314)는 흡입 튜브(32)에 마련되는 흡입구(322)를 가리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고, 즉 벨로우즈 튜브(31)의 하단은 용기본체(10)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벨로우즈 튜브(31)는 결합부(314)를 통해 흡입 튜브(32)를 두르도록 흡입 튜브(32)에 결합될 수 있고, 벨로우즈 튜브(31)가 압력을 받더라도 벨로우즈 튜브(31)와 흡입 튜브(32)의 고정이 유지되어 벨로우즈 튜브(31)의 하단이 흡입 튜브(32)의 흡입구(322)를 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벨로우즈 튜브(31)와 흡입 튜브(32)는 환형 홈(51) 및 환형 돌기(52)의 맞물림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에서 언급한 것과 달리 결합부(314)는 흡입 튜브(32)의 하단과 나란한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벨로우즈 튜브(31)의 하단은 용기본체(10)의 바닥에 맞닿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결합부(314)에는, 흡입구(322)와 대응되는 위치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 튜브(32)는,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에 위치하며 벨로우즈 튜브(31)의 하단에 연결된다. 흡입 튜브(32)는 벨로우즈 튜브(31)와 달리 상하로 압축되거나 팽창하는 구성이 아닐 수 있으며, 다만 흡입 튜브(32)는 벨로우즈 튜브(31)의 압축/팽창 시 내용물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흡입 튜브(32)는 흡입 개구부(321)를 상단에 마련할 수 있으며, 흡입 개구부(321)는 토출 개구부(311)와 동일/유사하게 둘 이상의 판막(321a)을 가질 수 있다. 다만 흡입 개구부(321)의 판막(321a)은 토출 개구부(311)의 판막(311a)보다 폭이 넓고 높이가 낮으며 기울기가 클 수 있다.
흡입 개구부(321)는, 벨로우즈 튜브(31)가 압축되면 닫히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흡입 개구부(321)와 달리 토출 개구부(311)는 벨로우즈 튜브(31)가 압축되면 열리는데, 이는 벨로우즈 튜브(31)의 내압이 토출 개구부(311)에는 토출 개구부(311)의 판막(311a)을 서로 벌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흡입 개구부(321)에는 흡입 개구부(321)의 판막(321a)을 서로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흡입 개구부(321)는 벨로우즈 튜브(31)가 팽창되면 열릴 수 있다.
흡입 개구부(321)의 판막(321a)은 벨로우즈 튜브(31)의 내부를 향해 경사져 있거나 휘어져 있는 반면, 토출 개구부(311)의 판막(311a)은 벨로우즈 튜브(31)의 외부를 향해 경사져 있거나 휘어져 있기 때문에, 벨로우즈 튜브(31)의 압축 시 벨로우즈 튜브(31)의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은 밀폐되는 반면, 벨로우즈 튜브(31)의 팽창 시 벨로우즈 튜브(31)의 상측이 밀폐되고 하측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벨로우즈 튜브(31)의 압축/팽창에 의해, 내용물의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 튜브(32)의 상단은, 주름부(313)의 하단 및/또는 결합부(314)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는 흡입 개구부(321)의 판막(321a)에 대한 적절한 경사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흡입 튜브(32)의 하측에는 용기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구(322)가 마련된다. 흡입구(3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고 흡입 튜브(32)의 하측 둘레에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 튜브(32)의 흡입구(322)는 벨로우즈 튜브(31)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고, 흡입 튜브(32)의 내부와 용기본체(10)의 내부는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내용물의 흐름은, 벨로우즈 튜브(31)의 팽창 시 용기본체(10)에서 흡입 튜브(32)의 내부를 통해 벨로우즈 튜브(31)의 내부로 이어지며, 벨로우즈 튜브(31)의 압축 시에는 흡입 개구부(321)가 차단됨에 따라 벨로우즈 튜브(31)의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흡입 튜브(32)로 역류하지 않을 수 있다.
흡입관(40)은, 펌핑부(20)와 부피변형체(30)를 연결한다. 흡입관(40)은 하단이 용기본체(10)의 바닥에 위치하는 벨로우즈 튜브(31)의 토출 개구부(311)를 두르도록 벨로우즈 튜브(31)에 고정되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단이 스템(212)에 고정될 수 있다.
흡입관(40)과 벨로우즈 튜브(31)는, 앞서 언급한 환형 홈(51) 및 환형 돌기(52)의 맞물림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고, 따라서 흡입관(40)이 헤드(21)의 눌림에 의해 하강할 때 토출 개구부(311)가 흡입관(40) 내부로 더 삽입되지 않고 벨로우즈 튜브(31)의 압축이 충분히 구현될 수 있다.
흡입관(40)과 스템(212)은, 환형 홈(51)과 환형 돌기(52)의 맞물림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흡입관(40)의 상측은 상하로 복수 개의 환형 홈(51) 및/또는 환형 돌기(52)를 가져서, 적어도 일부가 주름 형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흡입관(40)의 단면은 스템(212)의 단면과 동일할 수 있고, 다만 흡입관(40)의 상단이 스템(212)의 내측에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흡입관(40)의 상측은 상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다.
흡입관(40)은 상하 수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템(212)과 부피변형체(30)는 중심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관(40)과 스템(212)의 연결 역시, 서로 중첩되게 연결된 후 앞서 설명한 환형 홈(51)과 환형 돌기(52)의 맞물림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져서,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흡입관(40)과 스템(212)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통해 본 실시예에서 내용물의 토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헤드(21)가 눌려서 흡입관(40)이 하강할 경우, 흡입관(40)의 하단에 결합된 벨로우즈 튜브(31)의 주름부(313)가 압축되면서 벨로우즈 튜브(31)의 내부 부피가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벨로우즈 튜브(31)의 내압이 상승하게 되고, 내압 상승은 토출 개구부(311)의 판막(311a)을 휘어지게 해 토출 개구부(311)의 개방을 야기한다. 물론 헤드(21)의 눌림에 의해 상승된 벨로우즈 튜브(31)의 내압은, 흡입 개구부(321)의 판막(321a)을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누르게 되는바 흡입 개구부(321)를 밀폐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벨로우즈 튜브(31)의 하측은 밀폐되고 상측은 개방되면서 내압이 상승하게 되는바, 벨로우즈 튜브(31)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은 토출 개구부(311)를 통과하여 흡입관(40)으로 밀려 올라간다. 따라서 내용물은 스템(212)을 거쳐 토출구(211)로 토출된다.
반대로 도 8을 참조하면,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될 경우 주름부(313)의 탄성력에 의해 벨로우즈 튜브(31)의 높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벨로우즈 튜브(31)가 팽창하게 된다.
벨로우즈 튜브(31)가 팽창하면 내부 부피 증가로 내압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토출 개구부(311)의 판막(311a)을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끌어 당기게 되는 동시에, 흡입 튜브(32)의 판막(321a)을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끌어 당기게 된다.
따라서 벨로우즈 튜브(31)의 하측은 개방되고 상측은 밀폐되면서 내압이 감소하게 되는바, 용기본체(10)에 수용되어 있던 내용물이 흡입 튜브(32)의 흡입구(322)와 흡입 개구부(321)를 거쳐 벨로우즈 튜브(31)의 내부로 빨려 들어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용기본체(10)의 수용물은 토출구(211)로 모두 배출될 수 있으며, 특히 흡입 튜브(32)에 마련되는 흡입구(322)가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과 나란하게 배치되므로, 본 실시예는 잔류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피스톤과 실린더 등과 같은 복잡한 구조를 사용하는 대신, 벨로우즈 튜브(31) 등을 이용해 간단한 구조로 내용물의 펌핑을 구현하여, 부품 수 감소를 통한 제조 단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하부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용기본체(10), 펌핑부(20), 부피변형체(30), 흡입관(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부피변형체(30)는 펌핑부(20)가 눌리면 압축되어 내부의 내용물을 밀어 올리고, 펌핑부(20)의 눌림이 해제되면 팽창되어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흡입한다. 부피변형체(30)는 앞선 실시예의 부피변형체(30)와 동일/유사하게, 벨로우즈 튜브(31)와 흡입 튜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벨로우즈 튜브(31)의 상단과 흡입관(40)의 하부는 환형 홈(51) 및 환형 돌기(52)의 맞물림과 동일/유사한 구성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벨로우즈 튜브(31)의 상단이 흡입관(40)의 내부로 삽입되며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벨로우즈 튜브(31)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상측에 흡입관(40)의 내부로 삽입된 상단밸브(3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밸브(34)는 벨로우즈 튜브(31)의 상단에 구비된 개구(35)에 마련되어, 벨로우즈 튜브(31)가 압축되면 개구(35)를 개방시키고, 벨로우즈 튜브(31)가 팽창되면 개구(35)를 폐쇄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상단밸브(34)는 상단부(341), 단차부(342), 날개부(343), 이동홈(344) 및 후크(3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부(341)가 벨로우즈 튜브(31)의 개구(35)보다 큰 둘레를 갖도록 구비됨에 의해 벨로우즈 튜브(31)가 팽창된 상태에서 상단부(341)의 하부면은 벨로우즈 튜브의 개구(35)를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차부(342)는 상단부(341)의 하부로 연장되되 벨로우즈 튜브(31)의 개구(35)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둘레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차부(342)는 벨로우즈 튜브(31)가 팽창된 상태에서 개구(35)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날개부(343)는 단차부(34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단차부(342)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판 형상으로, 복수 개의 판 사이마다 내용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홈(344)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343)는 개구(35)보다 작은 둘레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날개부(343)는 끝단이 상부를 향하는 후크(3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크(345)가 마련된 날개부(343)의 끝단은 벨로우즈 튜브(31)의 개구(35)보다 더 큰 둘레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벨로우즈 튜브(31)가 압축되면 벨로우즈 튜브(31)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내용물이 상단밸브(34)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상단밸브(34)의 날개부(343)가 벨로우즈 튜브(31)의 개구(35)에 위치됨에 의해 내용물이 이동홈(344)을 통하여 흡입관(40)으로 토출될 수 있다.
벨로우즈 튜브(31)는 흡입관(40)의 하측에 마련되는 주름부(313)와 주름부(313)의 하측에 마련되는 결합부(314)를 갖는다. 이때 결합부(314)는 흡입 튜브(32)의 흡입구(322)를 가리지 않는 상태로 흡입 튜브(32)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흡입 튜브(32)는 일측에 용기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흡입구(322)를 갖는데, 이때 흡입구(322)는 용기본체(10)의 내부와 항상 연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흡입구(322)는 좌우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지만, 흡입구(322)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다시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21)의 눌림 및 흡입관(40)의 하강이 이루어지면, 벨로우즈 튜브(31)는 상하로 압축될 수 있다. 이때, 벨로우즈 튜브(31)의 내압 상승으로 인하여 개구(35)에 삽입되어 있던 상단밸브(34)의 단차부(342)가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며, 개구(35)에 날개부(343)가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벨로우즈 튜브(31) 내부의 내용물이 이동홈(344)을 따라 흡입관(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343) 끝단의 후크(345)가 벨로우즈 튜브(31)의 개구(35)보다 둘레가 더 크게 마련되므로, 상단밸브(34)가 벨로우즈 튜브(31)의 개구(35)를 이탈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이 펴지려는 주름부(313)의 탄성력에 의하여 벨로우즈 튜브(31)가 상하로 팽창하게 되어 벨로우즈 튜브(31)의 내압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단밸브(34)는 다시 하강하여 벨로우즈 튜브(31)의 개구(35)를 밀폐시키고, 흡입 튜브(32)의 흡입구(322)를 통하여 용기본체(10)에서 벨로우즈 튜브(31)의 내부로 내용물이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은 토출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모두 배출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용기본체(10), 펌핑부(20), 부피변형체(30), 흡입관(4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들 대비 갖는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누락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피변형체(30)는, 펌핑부(20)의 캡(2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 부피변형체(30)가 용기본체(10)의 바닥에 위치하고 부피변형체(30)와 펌핑부(20)가 흡입관(40)으로 연결되었는데, 본 실시예는 흡입관(40)의 하단이 용기본체(10)의 바닥에 위치하고, 흡입관(40)과 펌핑부(20) 사이에 부피변형체(30)가 마련될 수 있고, 펌핑부(20)의 캡(22)은 부피변형체(30)를 커버하는 하우징으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부피변형체(30)는, 앞선 벨로우즈 튜브(31)와 동일/유사하게, 주름부(313)를 가질 수 있다. 부피변형체(30)는 펌핑부(20)에 의해 눌리면 주름부(313)의 주름이 접히는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고, 반대로 펌핑부(20)의 눌림이 해제되면 주름부(313)의 주름이 펴지는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헤드(21)와 부피변형체(30) 사이에는 앞서 언급한 토출 개구부(61)가 마련되고, 부피변형체(30)와 흡입관(40) 사이에는 앞서 언급한 흡입 개구부(62)가 마련될 수 있는데, 토출 개구부(61)는 부피변형체(30)가 압축되면 열리고 부피변형체(30)가 팽창되는 닫힐 수 있다. 반대로 흡입 개구부(62)는, 부피변형체(30)가 압축되면 닫히고 부피변형체(30)가 팽창되면 열릴 수 있다.
도면을 토대로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헤드(21)가 눌려 부피변형체(30)가 주름이 접히는 방향으로 압축되면, 부피변형체(30)의 내압이 상승하고 토출 개구부(61)는 열리고 흡입 개구부(62)는 닫힌 상태가 되므로, 부피변형체(30) 내부의 내용물이 토출 개구부(61)를 따라 토출구(211)로 전달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되면, 부피변형체(30)가 주름이 펼쳐지는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부피변형체(30)의 내압이 감소하고 토출 개구부(61)는 닫히며 흡입 개구부(62)는 열린 상태가 되어, 부피변형체(3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흡입관(40)을 통해 용기본체(10)로부터 부피변형체(30)의 내부로 내용물이 흡입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은 캡(22)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부피변형체(30)의 압축/팽창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배출 사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용기본체(10), 펌핑부(20), 부피변형체(30), 흡입관(40)을 포함하며, 이하 설명을 생략하는 부분은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서 부피변형체(30)는, 주름부(313)를 갖는 대신 펌핑부(20)에 의해 눌리거나 펌핑부(20)의 눌림이 해제됨에 따라 상하 높이가 변화하면서 단면적이 가변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부피변형체(30)는 PP, PE 등의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헤드(21)의 눌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받으면 높이가 줄어들도록 압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부피변형체(30)는, 실질적으로 압력에 의해 내부 부피가 줄어들고 압력이 사라지면 팽창되는 탄성력을 갖는, 주름부(313)를 갖는 앞선 실시예의 부피변형체(30)를 제외한 모든 구조를 포괄할 수 있다.
다만 주름부(313)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압축이나 팽창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일어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부피변형체(30)에 탄성부재(33)를 마련할 수 있다.
탄성부재(33)는 펌핑부(20)가 눌려 압축될 때 상하 방향으로 팽창하려는 탄성력을 부피변형체(30)에 부여하며, 스프링 등일 수 있다. 탄성부재(33)는 부피변형체(30) 내부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부피변형체(30)에는 탄성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그루브나 돌기(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33)는 본 실시예뿐만 아니라 앞선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앞선 실시예의 벨로우즈 튜브(31)에도 탄성부재(33)가 내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출 개구부(61)와 흡입 개구부(62)를 마련할 수 있으며, 이하 도면을 토대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헤드(21)가 눌리면, 부피변형체(30)가 상하로 눌리면서 변형하게 되고, 부피변형체(30)의 내부 부피가 줄어들게 되며 탄성부재(33)가 압축된다. 이때 토출 개구부(61)는 개방되고 흡입 개구부(62)는 밀폐되므로, 부피변형체(30)의 내압 상승은 내용물이 부피변형체(30)의 내부로부터 토출구(211)로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반면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되면, 부피변형체(30)가 부피변형체(30) 자체의 탄성력 및/또는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하로 팽창하면서 내부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이때 토출 개구부(61)는 밀폐되고 흡입 개구부(62)는 개방되므로, 부피변형체(30)의 내압 감소는 내용물이 흡입관(40)을 따라 용기본체(10)로부터 부피변형체(30)의 내부로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용기본체(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토출구(211)로 일정한 양 만큼 토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가 펌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용기본체(10), 헤드(21), 캡(22), 샤프트(80), 피스톤(90), 탄성부재(33) 및 하우징(7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용기본체(10)는 내용물을 수용하며, 내용물이 배출되기 위하여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개방된 일측에는 캡(22) 및 캡(22)의 상측에 헤드(21)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에 수용된 내용물은 헤드(21)를 통해서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캡(22)은 용기본체(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에서 개방된 일측에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캡(22)은 용기본체(10)와 결합되는 부분의 상부를 향하여 일정 길이 연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연장된 영역에 헤드(21)가 결합될 수 있다.
헤드(21)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조작되는 부분으로, 일측에 구비된 토출구(211)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으며, 헤드(21)에는 토출구(211)와 연통되도록 내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스템(212)이 마련될 수 있다. 스템(212)은 캡(22)의 내측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샤프트(80)의 상단이 결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에서 캡(22)과 헤드(21)는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캡(22)의 상단 외측면에는 제1 나사산(221) 및 제2 나사산(222)이 마련될 수 있고, 헤드(21)의 하단 내측면에는 내측 나사산(24)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캡(22)과 헤드(21)가 체결되며 헤드(21)의 잠금 상태 및 헤드(21)의 펌핑이 가능한 상태로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캡(22)과 용기본체(10) 사이에는 실링부(23)가 마련될 수 있으며, 실링부(23)는 O-링이나 가스켓 등 실링 기능을 구현하는 일반적인 구성들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23)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링부(23)는 캡(22)과 용기본체(10) 사이 외에도, 캡(22)의 내측에서 승강하는 헤드(21)와 캡(22) 사이 등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샤프트(80)는 캡(22)을 관통하여 상단이 헤드(21)의 스템(2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샤프트(80)의 하측 일 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둘레가 작은 걸림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83)는 상단에 마련되는 단차인 제1 걸림부(83a)와 하단에 마련되는 단차인 제2 걸림부(8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샤프트(80)의 내부는 관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헤드(21)의 작동에 따라 내용물이 샤프트(8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샤프트(80)의 하단에는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부(8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82)는 후술하는 탄성부재(33)의 상단이 끼워지며 안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탄성부재(33)는 헤드(2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도록 샤프트(8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여기서 탄성부재(33)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작동되는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33)가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되어 헤드(21)를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하우징(70)은 용기본체(10)의 내부에서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용기본체(10)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70)의 하단에는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7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70)은 하측 일 영역에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턱부(미도시)가 마련되어, 하우징(70)의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33)의 하단이 단턱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3)의 상단은 앞서 설명한 샤프트(80)의 돌기부(82)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33)는 헤드(21)의 눌림에 의해 샤프트(80)에 의해 압축되거나,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됨에 의해 샤프트(80)를 밀어 올릴 수 있다.
이때, 샤프트(80)의 하측에 마련된 걸림부(83)는 하우징(7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걸림부(83)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8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70)의 내벽에는 피스톤(90)이 밀착되게 마련되는데, 이러한 피스톤(90)은 헤드(21)가 상승된 상태에서 샤프트(80)의 유입홀(81)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헤드(21)에 눌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유입홀(81)이 피스톤(90)에 의해 막혀 있어서 샤프트(80) 내부로 내용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헤드(21)를 누름에 의해 피스톤(90)이 샤프트(80)와 엇갈리며 유입홀(81)이 개방되면서 샤프트(80)의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다. 즉, 피스톤(90)은 헤드(21)가 눌림에 따라 샤프트(80)의 유입홀(8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으며, 하우징(70)의 내부를 압축 또는 팽창시킬 수 있다.
이때, 피스톤(90)은 하우징(70)과 샤프트(80) 사이에 구비된 단면이 H 형상으로 마련되며, 샤프트(80)와 대면하는 하단이 샤프트(80)를 향하는 후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70)의 내측 하단에는 볼 밸브(71)가 마련될 수 있으며, 헤드(21)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통과시키고, 하우징(70)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본체(1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헤드(21)의 내측 나사산(24)이 캡(22)의 제2 나사산(222)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펌핑이 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도 23 참조) 즉, 도 16과 같이 헤드(21)를 누르기 전 상태로,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21)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80)의 상단은 헤드(21)의 스템(212)에 고정되며, 하단은 용기본체(10)의 하측에 마련되는 하우징(70) 내부의 상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80)의 하단 일 영역에 마련된 걸림부(83) 및 유입홀(81)은 피스톤(9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3)는 샤프트(80)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82)와 하우징(70)의 단턱부(미도시)에 안착되며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볼 밸브(71)는 하우징(70)의 내측 하단을 밀폐하여, 용기본체(10)로부터 내용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거나, 하우징(70)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본체(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 17을 참조하면, 내용물 사용을 위하여, 헤드(21)를 가압하기 시작하면, 헤드(21)에 고정된 샤프트(80)가 탄성부재(33)를 압축시키면서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90)은 샤프트(80)가 일정 길이만큼 내려올 때까지 하우징(70)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에 의해 샤프트(80)의 유입홀(81)이 하우징(70) 내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8을 참조하면, 샤프트(80)가 하부로 이동되다가 샤프트(80)의 제1 걸림부(83a)가 피스톤(90)의 후크 형상에 걸림에 의해 피스톤(90)이 샤프트(80)와 함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70) 내부의 내압이 상승하게 되고, 볼 밸브(71)는 상승된 내압에 의해 하우징(70)의 하단을 막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유입홀(81)이 하우징(70) 내부로 노출되므로, 하우징(70) 내부에 있는 내용물이 유입홀(81)을 통하여 샤프트(80)로 이동되어 토출구(211)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21)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80)가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샤프트(80)가 일정 길이만큼 상승될 때까지 피스톤(90)은 하우징(70)의 내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에 의해 샤프트(80)의 유입홀(81)이 피스톤(90)에 의해 가려지며, 유입홀(81)이 폐쇄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90)이 상승함에 따라 하우징(70) 내부의 내압이 감소되면서 볼 밸브(71)가 하우징(70)의 하단으로부터 상승되고, 흡입구(72)를 통해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이 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탄성부재(33)의 복원력이 종료되면,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21)는 처음 상태인 도 16과 동일한 위치로 상승될 수 있으며, 하우징(70)의 내압은 다시 낮아지게 되고, 볼 밸브(71)는 하우징(70)의 하단을 막아서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70), 탄성부재(33) 및 볼 밸브(71) 등의 구성을 대신하여 앞선 실시예의 벨로우즈 튜브(31)를 포함한 부피변형체(30)가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상부에 헤드가 체결되어 작동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캡(22)은 상단 외측면을 따라 제1 나사산(221)과, 제1 나사산(221)과 일정 간격 이격된 하측에 제2 나사산(222)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21)는 하단 내측면을 따라 내측 나사산(24)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 나사산(24)은 캡(22)의 제1 나사산(221) 및/또는 제2 나사산(222)과 체결됨에 의해 제1 나사산(221) 및 제2 나사산(222) 각각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먼저, 도 21에서와 같이, 헤드(21)의 내측 나사산(24)이 캡(22)의 제1 나사산(221)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 헤드(21)는 캡(2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제1 나사산(221)은 헤드(21) 조립 시 일회성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중 헤드(2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억지끼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22와 같이, 제1 나사산(221)이 내측 나사산(24)과 결합되어, 제1 나사산(221)과 제2 나사산(222)의 사이에 내측 나사산(24)이 위치되는 경우, 헤드(21)가 상하로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체 용기(1)를 이동시키는 경우, 헤드(21)의 눌림을 방지하여 의도치 않게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2 나사산(222)이 내측 나사산(24)과 결합되어, 내측 나사산(24)이 제2 나사산(222)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 헤드(21)의 눌림이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헤드(21)를 펌핑하여 토출구(211)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21)와 캡(22)은 나사 결합되는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헤드(21)의 잠금 상태 또는 펌핑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헤드(21)의 내측 나사산(24)이 캡(22)의 제2 나사산(222)에 대하여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잠금 상태 또는 펌핑이 가능한 상태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가 펌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용기본체(10), 헤드(21), 캡(22), 하우징(70), 샤프트(80), 피스톤(90) 및 탄성부재(3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들과 가장 큰 차이점은 캡(22)과 하우징(70)이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우징(70)이 캡(22)과 일체형으로 마련되므로 하우징(70)은 캡(22)과 용기본체(10)가 체결되는 영역인 용기본체(10)의 상단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용기본체(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며, 개방된 일측에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유체 펌프가 결합될 수 있다. 유체 펌프는 헤드(21)와, 캡(22), 하우징(70), 샤프트(80), 피스톤(90) 및 탄성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21)는 토출구(211)를 가지며, 눌림에 의해 토출구(211)로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고,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토출구(211)와 연통되면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27)의 끝단은 헤드(21)의 하단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캡(22)은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에 나사 결합 등의 방식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캡(22)은 캡(22)을 관통하는 하우징(70)과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70)은 흡입된 내용물을 임시로 저장하는 구성으로, 하우징(70)의 외측 둘레는 캡(22)의 내측 둘레와 밀폐되도록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70)과 캡(22)이 일체로 마련됨에 의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 공정이 단순해질 수 있다.
피스톤(90)은 하우징(70)의 내부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으며, 제4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90)은 하우징(70)과 샤프트(80) 사이에 구비된 단면이 H 형상으로 마련되며, 샤프트(80)와 대면하는 하단이 샤프트(80)를 향하여 절곡된 후크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80)는 상단이 헤드(21)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27)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샤프트(80)는 헤드(21)와 일체로 승강될 수 있으며, 피스톤(90)에 의해 내측으로 내용물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80)는 하측 일 영역에 다른 영역보다 둘레가 작은 걸림부(83)를 더 포함하며, 걸림부(83)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83)는 상단에 마련되는 단차인 제1 걸림부(83a) 및 하단에 마련되는 단차인 제2 걸림부(8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샤프트(80)의 끝단은 헤드(21)가 상승한 상태에서 캡(22)보다 상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피스톤(90)은 샤프트(80)의 유입홀(81)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80)는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8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기부(82)는 샤프트(80) 하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33)의 상단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70)은 하측 일 영역에 둘레가 작아지도록 마련된 단턱부(75)가 구비되어, 탄성부재(33)의 상단이 돌기부(82)에 끼워지고, 탄성부재(33)의 하단이 단턱부(75)에 안착됨에 의해 탄성부재(33)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70)의 하단에는 하단홀(74)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단홀(74)에는 헤드(21)의 승강에 따라 하단홀(74)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 밸브(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드(21)의 위치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볼 밸브(71)의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하우징(70)은 하단홀(74)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부(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73)는 흡입관(40)이 연결되기 위한 구성으로, 흡입관(40)은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캡(22)의 상단 외측면에 제1 나사산(221) 및 제2 나사산(2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헤드(21)의 하단 내측면에는 내측 나사산(24)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내용물을 사용하기 전이나 이동 시에는 내측 나사산(24)이 제1 나사산(221)과 제2 나사산(222)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헤드(21)의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헤드(21)가 캡(22)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헤드(21)가 의도치 않게 눌려서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캡(22)의 제2 나사산(222)과 헤드(21)의 내측 나사산(24)이 나사 결합되는 방향은, 캡(22)과 용기본체(10) 간의 결합 시 나사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로 설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일 방향으로 캡(22)을 회전시켜서 용기본체(10)에 캡(22)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헤드(21)가 제2 나사산(222)의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의 사용을 위하여, 헤드(21)의 내측 나사산(24)이 캡(22)의 제2 나사산(222)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헤드(21)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헤드(21)는 눌리기 전 상태로,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21)가 상측으로 밀어 올려지는 상태에서 내측 나사산(24)이 제2 나사산(222)에 걸림에 의해 헤드(2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도 28을 참조하면, 내용물 토출을 위하여 헤드(21)를 누르면 헤드(21)와 일체로 승강되도록 결합된 샤프트(80)가 탄성부재(33)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90)은 하우징(70) 내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먼저 샤프트(80)가 하강되어 유입홀(81)이 하우징(70)의 내부로 개방되면서, 하우징(70) 내부의 내용물이 샤프트(80)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80)로 유입된 내용물은 헤드(21)의 토출구(211)로 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80)의 제1 걸림부(83a)에 의해 피스톤(90)이 함께 하강되면서 하우징(70)의 내압이 상승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볼 밸브(71)는 하우징(70)의 하단홀(74)을 계속하여 밀폐시킬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헤드(21)가 완전히 눌린 상태에서 헤드(21)의 누름을 해제하면,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80)가 먼저 상부로 밀려 올라갈 수 있다. 이후 샤프트(8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제2 걸림부(83b)에 피스톤(90) 하단의 후크 부분이 걸리는 시점부터 피스톤(90)이 샤프트(80)와 함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90)이 샤프트(80)의 유입홀(81)을 막게 됨과 동시에 피스톤(90)의 상승에 의해 하우징(70)의 내압이 낮아지게 되어 볼 밸브(71)가 개방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이 흡입관(40)을 통하여 하우징(7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0에서와 같이,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80) 및 헤드(21)가 밀려 올라가면, 하우징(70) 상단 외측의 제2 나사산(222)에 헤드(21)의 내측 나사산(24)이 맞닿으면서 헤드(21)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도 27과 동일한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80)는 헤드(21)가 눌림에 의해 하부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걸림부(83a)에 피스톤(90)의 하단이 걸리면서 함께 하부로 이동되어 하우징(70)의 내압을 증가시키면서 유입홀(81)을 개방시키고, 하우징(7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80)는,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됨에 의해 상승될 수 있으며, 제2 걸림부(83b)에 피스톤(90)의 하단이 걸리면서 함께 상부로 이동되어 하우징(70)의 내압을 감소시키면서 유입홀(81)을 폐쇄시키고,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하우징(70)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단면도이고,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가 펌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용기본체(10), 헤드(21), 캡(22), 하우징(70), 샤프트(80), 피스톤(90) 및 탄성부재(3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22)과 하우징(7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6 실시예에 비하여 샤프트(80) 및 하우징(70)의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될 수 있으며, 캡(22)의 하측 부분에 대응되는 하우징(70)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부압홀(76)이 마련될 수 있다. 부압홀(76)은 내용물의 토출 시 용기본체(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유체 용기(1)를 사용함에 따라 내부에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용기본체(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70)의 외측 둘레는 캡(22)의 내측 둘레와 밀폐되도록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부압홀(76)은 하우징(70)에서 캡(22)의 내측 둘레와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90)은 하우징(7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샤프트(80)의 승강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헤드(21)가 상승한 상태에서 하우징(70)의 부압홀(76)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압홀(76)은 헤드(21)가 상승한 상태에서 피스톤(90)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며, 헤드(21)가 하강한 상태에서 피스톤(90)으로부터 어긋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21)는 토출구(211)와 연통된 연장부(27)가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부(27)의 끝단은 헤드(21)의 하단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27)에는 샤프트(80)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샤프트(80)의 하측 일 영역에는 다른 영역보다 둘레가 작은 걸림부(8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83)는 상단의 단차인 제1 걸림부(83a)와 하단의 단차인 제2 걸림부(8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81)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부(83)는 피스톤(9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샤프트(80)의 걸림부(83)는 헤드(21)가 상승된 상태에서 피스톤(90)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피스톤(90)에 의해 유입홀(81)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80)의 하부에는 탄성부재(33)가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3)는 상단이 샤프트(80)의 돌기부(82)에 끼워지며, 하단이 하우징(70)의 단턱부(75)에 안착되며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하우징(70)은 하단에 하단홀(74)이 마련되며, 하단홀(74)에는 헤드(21)의 승강에 따라 하단홀(74)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 밸브(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70)은 하단홀(74)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부(73)가 더 마련되며, 연결부(73)에는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까지 연장되는 흡입관(4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6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22)의 상단 외측면에 제1 나사산(221) 및 제2 나사산(222)이 마련되고, 헤드(21)의 하단 내측면에 내측 나사산(24)이 마련됨에 의해 잠금 상태 또는 사용 중 잠금이 해제된 보관 상태로 헤드(2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하우징(70)의 일 영역에 구비된 부압홀(76)은 헤드(21)가 잠금 상태일 때 또는 잠금이 해제된 보관 상태일 때, 피스톤(90)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헤드(21)가 잠금 상태인 경우 또는 잠금이 해제된 보관 상태인 경우에, 부압홀(76)을 통해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없다. 즉, 부압홀(76)은 헤드(21)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외부와 차단될 수 있다.
이때, 헤드(21)의 하단과 하우징(70)의 상단 사이의 틈으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는 있지만,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7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피스톤(90)에 의해 막혀서 더 이상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진입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21)가 눌림에 의해 피스톤(90)이 하강되는 경우 부압홀(76)이 개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헤드(21)가 눌림에 의해 샤프트(80)가 하부로 이동되어 샤프트(80)의 유입홀(81)이 하우징(70) 내부로 노출되고, 피스톤(90)은 하우징(7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샤프트(80)의 제1 걸림부(83a)에 피스톤(90)의 하단이 걸리면서 피스톤(90)은 샤프트(80)와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90)이 하강하여 부압홀(76)과 어긋나면서 부압홀(76)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될 수 있으며, 헤드(21)의 하단과 하우징(70)의 상단 사이의 틈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하우징(70)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부압홀(76)을 통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90)이 하강됨에 의해 하우징(70)의 내부는 압력이 증가되어, 하우징(70) 내부의 내용물이 유입홀(81)을 통해 샤프트(80)를 따라 이동되어 토출구(211)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되면,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80) 및 헤드(21)가 상승되고, 피스톤(90)은 샤프트(80)의 제2 걸림부(83b)에 걸림에 의해 샤프트(80)와 함께 상승하게 되어, 다시 도 33과 같은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90)이 상승됨에 의해 샤프트(80)의 유입홀(81)이 폐쇄되며, 하우징(70)의 내부는 압력이 감소되어, 볼 밸브(71)가 상승되며 하단홀(74)이 개방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용물이 하우징(7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90)이 상승되면서 다시 하우징(70)의 부압홀(76)을 폐쇄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70)에 외부와 연통되는 부압홀(76)이 마련되어, 내용물의 토출 시 용기본체(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음으로써, 헤드(21)를 누름에 따라 용기본체(10)의 내부에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용기본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6 내지 도 3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가 펌핑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용기본체(10), 헤드(21), 캡(22), 하우징(70), 스템(85), 피스톤(90) 및 탄성부재(3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 위주로 설명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선 내용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7 실시예의 샤프트(80)를 대신하여 스템(85)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7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헤드(21)가 상승될 때 제2 나사산(222)과 내측 나사산(24)이 맞닿으며 헤드(21)의 상단 위치를 제한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21)의 상단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27a)의 외측면과, 하우징(70)의 상단 내측면 간의 돌기 체결 구조에 의해 헤드(21)의 상단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템(85)은, 앞서 설명한 스템(212)과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지만, 스템(212)과 동일한 구성을 가리키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70)과 캡(22)은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캡(22)은 용기본체(10)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70)의 외측 둘레는 캡(22)의 내측 둘레와 밀폐되도록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70)은 용기본체(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캡(2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70)에는 헤드(21)를 누르는 경우 외부와 연통되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부압홀(76)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부압홀(76)은 하우징(70)에서 캡(22)의 내측 둘레와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헤드(21)가 상승한 상태에서 피스톤(90)에 의해 가려지고, 헤드(21)가 하강한 상태에서 피스톤(90)으로부터 어긋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즉, 부압홀(76)은 헤드(21)가 상승한 상태에서 피스톤(90)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피스톤(90)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부압홀(76)은 내용물의 토출 시 피스톤(90)이 하강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용기본체(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헤드(21)는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연장부(27)는 내측 연장부(27b)와 외측 연장부(27a)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측 연장부(27b)는 토출구(211)와 연통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측 연장부(27b)의 끝단은 헤드(21)의 하단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 연장부(27a)는 내측 연장부(27b)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측 연장부(27a)의 끝단은 헤드(21)의 하단 외측으로 노출되지만, 내측 연장부(27b)보다 짧은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21)의 내측 연장부(27b)에는 스템(85)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템(85)은 헤드(21)와 일체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템(85)이 승강될 때, 피스톤(90)의 위치에 따라 하우징(70)의 내측으로 내용물의 유입 여부가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템(85)은 하측으로부터 안착부(86), 제3 걸림부(87) 및 날개부(88)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86)는 스템(85)의 하단 내측으로 오목하게 마련된 공간으로, 안착부(86)에 탄성부재(33)의 상단이 삽입되며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걸림부(87)는 안착부(86)의 상측에 안착부(86)보다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차지게 마련되는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88)는, 앞선 날개부(343)와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지만, 날개부(343)와 동일한 구성을 가리키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날개부(88)는 제3 걸림부(87)의 상부로 연장되되, 제3 걸림부(87)의 상부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 개의 판 형상으로, 복수 개의 판 사이마다 내용물이 이동 가능하도록 유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88)는 상부 둘레가 하부 둘레보다 작아지도록 외측 일 영역이 단차지게 마련된 단차부(8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템(85)은 날개부(88)의 상측 영역, 즉 단차부(89)를 기준으로 상부에 마련되는 날개부(88)가 헤드(21)의 내측 연장부(27b)에 삽입됨에 의해 헤드(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헤드(21)가 상승된 상태에서 외측 연장부(27a)의 하단은 하우징(70)의 내측 상단으로 삽입되며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70)의 내측 상단 및 외측 연장부(27a)의 외측 하단에는 각각 돌기(도면부호 미기재)가 마련되어 헤드(21)의 상단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스템(85)의 하부에 마련된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헤드(21)가 상승되는 경우, 외측 연장부(27a)의 외측 하단에 마련된 돌기가 하우징(70)의 내측 상단에 마련된 돌기에 걸리면서 헤드(21)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헤드(21)가 상승된 상태에서, 피스톤(90)의 외측은 하우징(70)의 부압홀(76)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며, 피스톤(90)의 내측은 스템(85)의 날개부(88) 하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부압홀(76)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템(85)의 유로가 폐쇄되어 내용물이 스템(8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내측 연장부(27b)의 외측 일 영역을 따라 돌출된 제4 걸림부(27c)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제4 걸림부(27c)는 헤드(21)가 상승된 상태에서 피스톤(9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70)은 앞선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하측 일 영역에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턱부(75)가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3)는 상단이 스템(85)의 안착부(86)에 삽입되고, 탄성부재(33)의 하단은 단턱부(75)에 안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33)가 하우징(70)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70)은 하단에 하단홀(74)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단홀(74)에는 헤드(21)의 승강에 따라 하단홀(74)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 밸브(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70)은 하단홀(74)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부(73)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73)의 내측으로 흡입관(40)이 삽입되며 연결될 수 있으며, 흡입관(40)은 용기본체(10)의 내부 바닥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유체 용기(1)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 헤드(21)를 잠금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70)은 상단 외측면을 따라 제1 나사산(221)이 마련되고, 헤드(21)은 하단 내측면을 따라 제1 나사산(221)과 체결 가능한 내측 나사산(24)이 마련될 수 있다.
헤드(21)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헤드(21)의 하단과 하우징(70)의 상단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외측 연장부(27a)의 하단이 하우징(70)의 내측 상단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나사산(221)의 하부에 내측 나사산(24)이 위치되는 경우, 헤드(21)가 눌려서 탄성부재(33)가 압축된 상태로 헤드(21)의 상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템(85)의 날개부(88) 하측은 피스톤(90)에 의해 폐쇄되어 날개부(88)의 유로가 하우징(70)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헤드(21)의 내측 나사산(24)은 캡(22)의 제1 나사산(221)을 지나 나사산이 없는 곳에 위치하므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헤드(21)가 눌린 상태로 잠금되므로, 피스톤(90)은 부압홀(76)과 대응되는 위치를 벗어나게 되지만, 하우징(70)의 상단이 헤드(21)의 내측면과 맞닿음에 의해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이후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도 3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 나사산(24)을 제1 나사산(221)으로부터 체결을 해제시켜서, 제1 나사산(221)의 상부에 내측 나사산(24)이 위치되도록 함에 의해 헤드(21)의 눌림이 가능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33)의 복원력에 의해 헤드(21)가 상방으로 밀려 올라갈 수 있으며, 하우징(70) 상단 내측의 돌기에 헤드(21) 하단 외측의 돌기가 맞닿으며 헤드(21)의 상단 이동 위치가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피스톤(90)은 부압홀(76)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므로,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템(85)과 헤드(21)는 탄성부재(33)에 의해 밀려 올라간 상태이며, 이때 피스톤(90)이 스템(85)의 날개부(88) 하측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므로, 하우징(70) 내부의 내용물이 스템(85)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8을 참조하면, 헤드(21)가 눌림에 의해 스템(85)이 함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90)은 하우징(70)과의 마찰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내측 연장부(27b)의 외측면에 마련된 제4 걸림부(27c)에 걸리면서 스템(85)과 함께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90)은 하우징(70)의 내부공간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날개부(88)의 하측과 어긋나면서 날개부(88) 사이의 유로를 개방시킴에 따라 하우징(7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볼 밸브(71)는 피스톤(90)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하단홀(74)을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90)의 하강에 의해 부압홀(76)이 피스톤(90)의 상부에 위치되며 개방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이 평형을 이룰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후, 스템(85)은 헤드(21)의 눌림이 해제됨에 의해 상승되다가, 스템(85)의 제3 걸림부(87)에 피스톤(90)의 하단이 걸리면서 피스톤(90)도 함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스톤(90)이 스템(85)의 날개부(88) 하측에 위치되어, 날개부(88)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키면서 하우징(70)의 내부공간이 팽창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90)이 상부로 이동되기 시작할 때 볼 밸브(71)가 상승되어 하단홀(74)이 개방되면서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을 하우징(70)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헤드(21)를 누름에 의해 하우징(70) 내부에 임시로 저장된 내용물이 스템(85)의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동시에, 부압홀(76)을 통해 외부 공기가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21)의 누름을 해제함에 의해 스템(85)의 유로가 폐쇄되고, 용기본체(10) 내부의 내용물이 하단홀(74)을 통하여 하우징(7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부압홀(76) 역시 피스톤(90)에 의해 폐쇄되면서, 용기본체(10)의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1)는 하우징(70)에 외부와 연통되는 부압홀(76)을 마련함에 의해 내용물의 토출 시 용기본체(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용기본체(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유체 용기 10 : 용기본체
20: 펌핑부 21: 헤드
211: 토출구 212 : 스템
22: 캡 23: 실링부
24 : 내측 나사산 27 : 연장부
27a: 외측 연장부 27b : 내측 연장부
27c : 제4 걸림부 30: 부피변형체
31: 벨로우즈 튜브 311: 토출 개구부
311a: 판막 312: 환테
313: 주름부 314: 결합부
32: 흡입 튜브 321: 흡입 개구부
321a: 판막 322: 흡입구
33: 탄성부재 34 : 상단밸브
35 : 개구 40: 흡입관
51: 환형 홈 52: 환형 돌기
61: 토출 개구부 62: 흡입 개구부
70 : 하우징 71 : 볼 밸브
72 : 흡입구 73 : 연결부
74: 하단홀 75: 단턱부
76 : 부압홀 80 : 샤프트
81 : 유입홀 82 : 돌기부
83 : 걸림부 83a : 제1 걸림부
83b : 제2 걸림부 85 : 스템
86 : 안착부 87 : 제3 걸림부
88 : 날개부 89 : 단차부
90 : 피스톤

Claims (34)

  1.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유체 펌프에 있어서,
    토출구를 가지며 눌림에 의해 상기 토출구로 내용물을 토출하는 헤드;
    상기 용기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결합되는 캡;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내용물을 흡입하여 임시로 저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승강하는 피스톤; 및
    상기 헤드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피스톤에 의해 내측으로 내용물의 유입 여부가 제어되는 내용물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캡의 상측과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캡의 하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외부와 연통되는 부압홀이 마련되어 내용물의 토출 시 상기 용기본체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며,
    상기 캡은,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 간극없이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캡의 상측으로 연장된 부분의 상단 외측면을 따라 제1 나사산과, 상기 제1 나사산과 일정 간격 이격된 하측에 제2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헤드는, 하단 내측면을 따라 내측 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헤드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연장된 부분의 상단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내측 나사산이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 상하로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연장된 부분의 상단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되, 상기 내측 나사산이 상기 제2 나사산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 눌림이 가능한 잠금 해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 둘레는,
    상기 캡의 내측 둘레와 밀폐되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홀은,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캡의 내측 둘레와 일체로 연결되는 부분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압홀은,
    상기 헤드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헤드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어긋나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부재는,
    샤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측 일 영역에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턱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헤드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돌기부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하측 일 영역에 다른 영역보다 둘레가 작은 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단에 마련되는 단차인 제1 걸림부와, 하단에 마련되는 단차인 제2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 구비된 단면이 H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샤프트와 대면하는 하단이 상기 샤프트를 향하는 후크(hook)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헤드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샤프트의 상기 유입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헤드가 눌림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제1 걸림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걸리면서 함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유입홀을 개방시키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헤드의 눌림이 해제됨에 의해 상승되며, 상기 제2 걸림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걸리면서 함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팽창시키면서 상기 유입홀을 폐쇄시키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끝단은 상기 헤드의 하단 내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일단이 상기 연장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이동부재는,
    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하단 내측에 공간이 구비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부에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차지게 마련되는 제3 걸림부 및 상기 제3 걸림부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3 걸림부의 중심으로부터 각각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 개의 판 형상에 의해 유로를 형성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부 둘레가 하부 둘레보다 작아지도록 외측 일 영역이 단차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내측 연장부와 상기 내측 연장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외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장부 및 상기 외측 연장부의 끝단은 상기 헤드의 하단 외측에 마련되되, 상기 내측 연장부가 상기 외측 연장부보다 더 길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측면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외측 연장부의 하단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 내측면에는 각각 돌기가 마련되어 상호 걸림에 의해 상기 헤드의 상단 위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측이 상기 내측 연장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연장부는,
    외측 일 영역을 따라 돌출된 제4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헤드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스템의 상기 날개부 하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헤드가 눌림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며, 상기 제4 걸림부에 의해 상기 피스톤의 상단이 걸리면서 함께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압축시키면서 상기 날개부 사이의 유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헤드의 눌림이 해제됨에 의해 상승되며, 상기 제3 걸림부에 상기 피스톤의 하단이 걸리면서 함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팽창시키면서 상기 날개부 사이의 유로를 폐쇄시키고,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상기 하우징 내부로 흡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측 일 영역에 둘레가 작아지도록 단턱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헤드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안착부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31. 삭제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단에 하단홀이 마련되며, 상기 하단홀에는 상기 헤드의 승강에 따라 상기 하단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볼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단홀의 외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부 바닥까지 연장되는 흡입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펌프.
  34. 제1항, 제3항 내지 제30항, 제32항 내지 제33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의 상기 유체 펌프를 갖는 유체 용기.
KR1020197018259A 2017-01-12 2018-01-11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KR102512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9154A KR20230041841A (ko) 2017-01-12 2018-01-11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4947 2017-01-12
KR20170004947 2017-01-12
PCT/KR2018/000555 WO2018131913A1 (ko) 2017-01-12 2018-01-11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154A Division KR20230041841A (ko) 2017-01-12 2018-01-11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153A KR20190098153A (ko) 2019-08-21
KR102512313B1 true KR102512313B1 (ko) 2023-03-22

Family

ID=628403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259A KR102512313B1 (ko) 2017-01-12 2018-01-11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KR1020237009154A KR20230041841A (ko) 2017-01-12 2018-01-11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154A KR20230041841A (ko) 2017-01-12 2018-01-11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12313B1 (ko)
WO (1) WO201813191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81B1 (ko) * 2003-12-29 2006-06-30 주식회사 다린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실액 유입 차단으로 인한 누액방지구조
JP2007106440A (ja) * 2005-10-13 2007-04-26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45562A1 (de) * 1984-12-14 1986-06-19 Ing. Erich Pfeiffer GmbH & Co KG, 7760 Radolfzell Schubkolben-pumpe fuer wirkstoff-spender
JP2540485Y2 (ja) * 1990-08-14 1997-07-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ポンプ
KR20010068080A (ko) * 2001-04-20 2001-07-13 정영진 치약용기
KR101366696B1 (ko) * 2012-05-11 2014-02-24 두리화장품 주식회사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KR101492934B1 (ko) * 2013-05-07 2015-02-11 (주)연우 벨로우 포밍 펌프
KR101663206B1 (ko) * 2015-03-16 2016-10-07 권충원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81B1 (ko) * 2003-12-29 2006-06-30 주식회사 다린 펌프디스펜서에 있어서 실액 유입 차단으로 인한 누액방지구조
JP2007106440A (ja) * 2005-10-13 2007-04-26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1913A1 (ko) 2018-07-19
KR20190098153A (ko) 2019-08-21
KR20230041841A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489B2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cover cap provided with a pump member to pump out air from a container
JP6108181B2 (ja) スプレーポンプ
US5772078A (en) Combined turret and closure seal
US20200047204A1 (en) Pump dispensers
US10226783B2 (en) Pump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WO2021169649A1 (zh) 一种全塑乳液泵
KR101146999B1 (ko) 단일 실리콘재 펌프로 작동되는 버튼식 화장품 용기
CA2583180A1 (en) System of bellows and co-acting part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KR100571489B1 (ko) 배출물 수축특징을 갖는 유체 펌프 디스펜서
JP5138071B2 (ja) 液体調味料用容器
KR102512313B1 (ko) 유체 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
KR101615145B1 (ko) 액상 화장품 용기용 펌프 뚜껑
EP1161387B1 (en) Atomizing pump spray
JP4381689B2 (ja) 液体噴出ポンプ
ITMI20131251A1 (it) Pompa ad azionamento manuale per l'erogazione di sostanze fluide, ad azionamento facilitato
KR101036269B1 (ko) 측면배출통로를 갖는 에어리스 타입 화장품 용기
KR200492591Y1 (ko) 펌핑식 튜브용기
JP2006315745A (ja) ポンプ付チューブ容器
CN111819006B (zh) 孔口及包括其的喷雾容器
JP6076176B2 (ja) ポンプ
US5568886A (en) Combined turret and closure seal
CN220411420U (zh) 一种高集成简化按压泵
TWI324087B (en) Lotion pump ,spray pump,seal cap,and one-way valve incorporated, and one-way valve for fluid package
JP6177685B2 (ja) 液体噴出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