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1092B1 - 건물 외벽 마감 구조 - Google Patents

건물 외벽 마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1092B1
KR102511092B1 KR1020220035027A KR20220035027A KR102511092B1 KR 102511092 B1 KR102511092 B1 KR 102511092B1 KR 1020220035027 A KR1020220035027 A KR 1020220035027A KR 20220035027 A KR20220035027 A KR 20220035027A KR 102511092 B1 KR102511092 B1 KR 102511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sulation board
wall
aluminum sheet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아
Original Assignee
수도디자인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도디자인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도디자인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3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단열재를 배치하여 건물 내벽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물 외벽 마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물에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창호와 제2 창호 사이의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단열을 위해 설치되어 FP 단열 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외벽 마감 구조{Building Exterior Wall Finish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 외벽 마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에 단열재를 배치하여 건물 내벽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물 외벽 마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지하시설중 외벽에 접한 벽체 부분은 외부로부터 습기가 침입하기 쉬우며, 벽체의 표면과 실내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그러나, 지하 구조의 특성상 통풍이 쉽지 않아 한 번 침투 한 수분이 잘 건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백화현상이나 곰팡이가 생성되어 외관상 또는 건강상 이롭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콘크리트 조성물의 배합과정에서 방수제를 첨가하거나 그 표면에 방수제를 도포하는 등의 방수처리를 하였다. 그러나, 지하구조물의 측벽은 동절기와 하절기의 반복적인 온도차 에 의해 수축 팽창 작용과 수화열에 의해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기 쉽고, 첨가되는 방수제가 노화될 경우 지하구조물 측벽 내측으로 지하수가 침투하게 되며, 또 지하구조물의 측벽 내측에는 내외측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수가 생성된다.
또한, 기존에는 창틀이 벽돌(외장제)와 바로 맞닿아 있어, 벽돌의 두께만큼 단열재가 내장될 수 없어 결로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9150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2942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외벽에 단열재를 배치하여 건물 내벽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건물 외벽 마감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는, 건물에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창호와 제2 창호 사이의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단열을 위해 설치되어 FP 단열 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는,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일측을 덮는 제1 알루미늄 시트;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타측을 덮는 제2 알루미늄 시트; 상기 제1 알루미늄 시트와 상기 제2 알루미늄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을 따라 설치되는 각파이프; 및 건물 외벽의 마감을 위해 상기 제1 알루미늄 시트와 상기 제2 알루미늄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각파이프의 전단을 덮고 설치되는 알루미늄 복합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는,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일측을 덮는 제1 알루미늄 시트;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타측을 덮는 제2 알루미늄 시트; 건물 외벽의 마감을 위해 상기 제1 알루미늄 시트와 상기 제2 알루미늄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을 덮고 설치되는 화강석; 및 상기 화강석을 고정하기 위해 건물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앵커 철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는,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일측을 덮는 제1 알루미늄 시트;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타측을 덮는 제2 알루미늄 시트; 및 건물 외벽의 마감을 위해 상기 제1 알루미늄 시트와 상기 제2 알루미늄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을 덮고 설치되는 적벽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는, 상기 FP 단열 보드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완충형 고정 화스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형 고정 화스너는, 건물의 외벽에 삽입 체결되는 앵커부; 후단이 상기 FP 단열 보드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앵커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 안착되는 중간 완충부; 및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중간 완충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에 안착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를 체결하는 체결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부는, 건물의 외벽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 스크류; 및 상기 중간 완충부의 후단이 안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스크류의 전단에 설치되는 안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덮개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완충부는, 후단이 상기 안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전단이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안착 케이스의 내부 공간 간의 유체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통 형성되는 메인 유체 이동관;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원판;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에 안착되는 상기 체결 덮개부의 후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단에 설치되는 중단 원판; 상기 전단 원판이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단 원판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단 원판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까지 연통 형성되는 서브 유체 이동관; 및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을 따라 이동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의 직경을 가변시켜 주는 유체 유량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유량 조절부는, 상기 중단 원판의 전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중단 원판과 상기 체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상기 중단 원판과 상기 체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유압 실린더; 및 내측을 따라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유체 이동 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 개의 유압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내측 방향으로 팽창됨에 따라 상기 유체 이동 공간의 직경이 줄어드는 가변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압 실린더는, 내부 공간에 유체를 수용하면서 상기 중단 원판의 전단에 설치되는 고정형 실린더; 및 상기 고정형 실린더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체결 덮개부의 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중단 원판과 상기 체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기 고정형 실린더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형 실린더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상기 가변 튜브로 공급시키는 지지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앵커부는, 상기 안착 케이스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 케이스에 안착되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피스톤 로드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완충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외벽에 단열재를 배치하여 건물 내벽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8의 완충형 고정 화스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10)는, FP 단열 보드(100)를 포함한다.
FP 단열 보드(100)는, 건물에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창호(W1)와 제2 창호(W2) 사이의 건물의 외벽(P)에 건물의 단열을 위해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10)는, 외벽에 단열재를 배치하여 건물 내벽에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20)는, FP 단열 보드(100), 제1 알루미늄 시트(200), 제2 알루미늄 시트(300), 각파이프(400) 및 알루미늄 복합판넬(500)을 포함한다.
여기서, FP 단열 보드(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알루미늄 시트(200)는, 건물의 외벽(P)과 직각 되도록 제1 창호(W1)의 단부에 설치되어 FP 단열 보드(100)의 일측을 덮는다.
제2 알루미늄 시트(300)는, 건물의 외벽(P)과 직각 되도록 제1 창호(W1)와 대향하는 제2 창호(W2)의 단부에 설치되어 FP 단열 보드(100)의 타측을 덮는다.
각파이프(400)는, 제1 알루미늄 시트(200)와 제2 알루미늄 시트(300)의 사이에서 FP 단열 보드(100)의 전면을 따라 설치된다.
알루미늄 복합판넬(500)은, 건물 외벽의 마감을 위해 제1 알루미늄 시트(200)와 제2 알루미늄 시트(300)의 사이에서 각파이프(400)의 전단을 덮고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20)는, 창호틀과 외장재 사이에 제1 알루미늄 시트(200)와 제2 알루미늄 시트(300)이 배치되어 외장재 내면과 조인트 철판 내면이 맞닿는 영역에 단열재인 FP 단열 보드(100)가 배치될 수 있게 하여 결로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30)는, FP 단열 보드(100), 제1 알루미늄 시트(200), 제2 알루미늄 시트(300), 화강석(600) 및 앵커 철물(700)을 포함한다.
여기서, FP 단열 보드(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알루미늄 시트(200)는, 건물의 외벽(P)과 직각 되도록 제1 창호(W1)의 단부에 설치되어 FP 단열 보드(100)의 일측을 덮는다.
제2 알루미늄 시트(300)는, 건물의 외벽(P)과 직각 되도록 제1 창호(W1)와 대향하는 제2 창호(W2)의 단부에 설치되어 FP 단열 보드(100)의 타측을 덮는다.
화강석(600)은, 건물 외벽의 마감을 위해 제1 알루미늄 시트(200)와 제2 알루미늄 시트(300)의 사이에서 FP 단열 보드(100)의 전면을 덮고 설치된다.
앵커 철물(700)은, 화강석(600)을 고정하기 위해 건물 외벽을 따라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30)는, 창호틀과 외장재 사이에 제1 알루미늄 시트(200)와 제2 알루미늄 시트(300)이 배치되어 외장재 내면과 조인트 철판 내면이 맞닿는 영역에 단열재인 FP 단열 보드(100)가 배치될 수 있게 하여 결로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40)는, FP 단열 보드(100), 제1 알루미늄 시트(200), 제2 알루미늄 시트(300), 및 적벽돌(800) 을 포함한다.
여기서, FP 단열 보드(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알루미늄 시트(200)는, 건물의 외벽(P)과 직각 되도록 제1 창호(W1)의 단부에 설치되어 FP 단열 보드(100)의 일측을 덮는다.
제2 알루미늄 시트(300)는, 건물의 외벽(P)과 직각 되도록 제1 창호(W1)와 대향하는 제2 창호(W2)의 단부에 설치되어 FP 단열 보드(100)의 타측을 덮는다.
적벽돌(800)은, 건물 외벽의 마감을 위해 제1 알루미늄 시트(200)와 제2 알루미늄 시트(300)의 사이에서 FP 단열 보드(100)의 전면을 덮고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40)는, 창호틀과 외장재 사이에 제1 알루미늄 시트(200)와 제2 알루미늄 시트(300)이 배치되어 외장재 내면과 조인트 철판 내면이 맞닿는 영역에 단열재인 FP 단열 보드(100)가 배치될 수 있게 하여 결로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50)는, FP 단열 보드(100) 및 완충형 고정 화스너(900)를 포함한다.
여기서, FP 단열 보드(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완충형 고정 화스너(900)는, FP 단열 보드(100)를 건물의 외벽(P)에 고정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건물 외벽 마감 구조(50)는, 완충형 고정 화스너(900)를 이용하여 FP 단열 보드(100)를 건물의 외벽(P)에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FP 단열 보드(100)의 전단에 설치되는 도 2의 각파이프(400) 및 알루미늄 복합판넬(500), 또는 도 4의 화강석(600)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건물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8의 완충형 고정 화스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완충형 고정 화스너(900)는, 앵커부(910), 중간 완충부(920) 및 체결 덮개부(930)를 포함한다.
앵커부(910)는, 건물의 외벽(P)에 삽입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앵커부(910)는, 고정 스크류(911) 및 안착 케이스(912)를 포함한다.
고정 스크류(911)는, 건물의 외벽(P)에 삽입 체결되며, 전단에 안착 케이스(912)가 설치된다.
안착 케이스(912)는, 중간 완충부(920)의 후단, 즉 피스톤 로드(921)이 안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 스크류(911)의 전단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앵커부(910)는, 완충 스프링(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 스프링은, 안착 케이스(912)의 내부 공간의 후단에 설치되어 안착 케이스(912)에 안착되는 피스톤 로드(921)의 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피스톤 로드(921)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중간 완충부(920)는, 후단이 FP 단열 보드(100)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앵커부(910), 즉 안착 케이스(912)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 안착되며, 전단이 체결 덮개부(93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완충부(920)는, 피스톤 로드(921), 메인 유체 이동관(922), 전단 원판(923), 중단 원판(924), 서브 유체 이동관(925) 및 유체 유량 조절부(926)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로드(921)는, 후단이 안착 케이스(912)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전단이 체결 덮개부(93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메인 유체 이동관(922), 전단 원판(923), 중단 원판(924), 서브 유체 이동관(925) 및 유체 유량 조절부(926)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메인 유체 이동관(922)은, 체결 덮개부(930)의 내부 공간과 안착 케이스(912)의 내부 공간 간의 유체(예를 들어, 물 또는 오일 등)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피스톤 로드(921)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통 형성된다.
전단 원판(923)은, 체결 덮개부(930)의 내부 공간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체결 덮개부(930)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피스톤 로드(921)의 전단에 설치된다.
중단 원판(924)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FP 단열 보드(100)의 전면에 안착되는 체결 덮개부(930)의 후면과 대향하면서 피스톤 로드(921)의 중단에 설치된다.
서브 유체 이동관(925)은, 전단 원판(923)이 체결 덮개부(930)의 내부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단 원판(923)의 후단에 형성되는 체결 덮개부(93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가 메인 유체 이동관(922)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단 원판(923)의 후단으로부터 메인 유체 이동관(922)까지 연통 형성된다.
유체 유량 조절부(926)는, 메인 유체 이동관(922)을 따라 이동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메인 유체 이동관(922)의 직경을 가변시켜 준다.
체결 덮개부(930)는, FP 단열 보드(100)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중간 완충부(920)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FP 단열 보드(100)의 전면에 안착되어 FP 단열 보드(100)를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체결 덮개부(930)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FP 단열 보드(100)의 전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유체 유량 조절부(926)는, 다수 개의 유압 실린더(9261) 및 가변 튜브(926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9261)는, 중단 원판(924)의 전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중단 원판(924)과 체결 덮개부(930)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중단 원판(924)과 체결 덮개부(93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압 실린더(9261)는, 고정형 실린더(92611) 및 지지 피스톤(9261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형 실린더(92611)는, 내부 공간에 유체를 수용하면서 중단 원판(924)의 전단에 설치되며, 지지 피스톤(92612)이 안착된다.
지지 피스톤(92612)은, 고정형 실린더(92611)에 연결 설치되어 체결 덮개부(930)의 후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중단 원판(924)과 체결 덮개부(93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고정형 실린더(926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형 실린더(92611)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가변 튜브(9262)로 공급시킨다.
가변 튜브(9262)는, 내측을 따라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유체 이동 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메인 유체 이동관(922)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922a)에 설치되며, 다수 개의 유압 실린더(9261)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팽창됨에 따라 유체 이동 공간의 직경이 줄어든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형 고정 화스너(900)는, FP 단열 보드(100)를 건물의 외벽(P)에 안정적으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FP 단열 보드(100)의 전단에 설치되는 도 2의 각파이프(400) 및 알루미늄 복합판넬(500), 또는 도 4의 화강석(600) 등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건물이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30, 40, 50: 건물 외벽 마감 구조
100: FP 단열 보드
100: 제1 알루미늄 시트
300: 제2 알루미늄 시트
400: 각파이프
500: 알루미늄 복합판넬
600: 화강석
700: 앵커 철물
800: 적벽돌
900: 완충형 고정 화스너

Claims (5)

  1. 건물에서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1 창호와 제2 창호 사이의 건물의 외벽에 건물의 단열을 위해 설치되어 FP 단열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FP 단열 보드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완충형 고정 화스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형 고정 화스너는,
    건물의 외벽에 삽입 체결되는 앵커부;
    후단이 상기 FP 단열 보드를 관통하고 삽입되어 상기 앵커부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 안착되는 중간 완충부; 및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상기 중간 완충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에 안착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를 체결하는 체결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부는,
    건물의 외벽에 삽입 체결되는 고정 스크류; 및
    상기 중간 완충부의 후단이 안착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스크류의 전단에 설치되는 안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 덮개부는,
    유체가 수용되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에 안착되며,
    상기 중간 완충부는,
    후단이 상기 안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며, 전단이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과 상기 안착 케이스의 내부 공간 간의 유체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피스톤 로드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연통 형성되는 메인 유체 이동관;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에 안착되는 상기 피스톤 로드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단 원판;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에 안착되는 상기 체결 덮개부의 후면과 대향하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중단에 설치되는 중단 원판;
    상기 전단 원판이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단 원판의 후단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 덮개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가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전단 원판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까지 연통 형성되는 서브 유체 이동관; 및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을 따라 이동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의 직경을 가변시켜 주는 유체 유량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유량 조절부는,
    상기 중단 원판의 전단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중단 원판과 상기 체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상기 중단 원판과 상기 체결 덮개부 사이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다수 개의 유압 실린더; 및
    내측을 따라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유체 이동 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 유체 이동관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안착홈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 개의 유압 실린더로부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내측 방향으로 팽창됨에 따라 상기 유체 이동 공간의 직경이 줄어드는 가변 튜브;를 포함하는, 건물 외벽 마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일측을 덮는 제1 알루미늄 시트;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타측을 덮는 제2 알루미늄 시트;
    상기 제1 알루미늄 시트와 상기 제2 알루미늄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을 따라 설치되는 각파이프; 및
    건물 외벽의 마감을 위해 상기 제1 알루미늄 시트와 상기 제2 알루미늄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각파이프의 전단을 덮고 설치되는 알루미늄 복합판넬;을 더 포함하는, 건물 외벽 마감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일측을 덮는 제1 알루미늄 시트;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타측을 덮는 제2 알루미늄 시트;
    건물 외벽의 마감을 위해 상기 제1 알루미늄 시트와 상기 제2 알루미늄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을 덮고 설치되는 화강석; 및
    상기 화강석을 고정하기 위해 건물 외벽을 따라 설치되는 앵커 철물;을 더 포함하는, 건물 외벽 마감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일측을 덮는 제1 알루미늄 시트;
    건물의 외벽과 직각 되도록 상기 제1 창호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창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FP 단열 보드의 타측을 덮는 제2 알루미늄 시트; 및
    건물 외벽의 마감을 위해 상기 제1 알루미늄 시트와 상기 제2 알루미늄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FP 단열 보드의 전면을 덮고 설치되는 적벽돌;을 더 포함하는, 건물 외벽 마감 구조.
  5. 삭제
KR1020220035027A 2022-03-21 2022-03-21 건물 외벽 마감 구조 KR102511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027A KR102511092B1 (ko) 2022-03-21 2022-03-21 건물 외벽 마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027A KR102511092B1 (ko) 2022-03-21 2022-03-21 건물 외벽 마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092B1 true KR102511092B1 (ko) 2023-04-19

Family

ID=8614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027A KR102511092B1 (ko) 2022-03-21 2022-03-21 건물 외벽 마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09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05B1 (ko) 2007-05-18 2009-04-06 김권영 건물벽체 마감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127580A (ko) * 2013-04-25 2014-11-04 (주)영우티엔씨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KR101529428B1 (ko) 2014-03-24 2015-06-16 최은숙 건물의 드라이비트 마감블럭 구조체, 그 구조체를 구비한 건물의 드라이비트 마감블럭
KR20180085556A (ko) * 2017-01-19 2018-07-27 윤관옥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KR20210088891A (ko) *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두라스택 건축물 창호 인방용 건축내장재 마감부를 구비한 인방 벽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05B1 (ko) 2007-05-18 2009-04-06 김권영 건물벽체 마감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127580A (ko) * 2013-04-25 2014-11-04 (주)영우티엔씨 건축물 벽체의 조립식 외장구조
KR101529428B1 (ko) 2014-03-24 2015-06-16 최은숙 건물의 드라이비트 마감블럭 구조체, 그 구조체를 구비한 건물의 드라이비트 마감블럭
KR20180085556A (ko) * 2017-01-19 2018-07-27 윤관옥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KR20210088891A (ko) * 2020-01-07 2021-07-15 주식회사 두라스택 건축물 창호 인방용 건축내장재 마감부를 구비한 인방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745B1 (ko) 내화 칸막이 벽체의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7175534B2 (ja) 建築物の外壁構造、断熱構造及び断熱方法
WO2010108176A2 (en) Solar/stud block
WO2010058232A4 (en) Lightweight concrete containing aggregates of cement-bonded foamed polystyrene, procedure of making the same and building structures made from this lightweight concrete
KR102511092B1 (ko) 건물 외벽 마감 구조
KR101335243B1 (ko) 열교 방지와 고기밀성을 가지는 건식 벽체의 시공 방법
KR100704058B1 (ko) 온돌패널 난방 시스템
KR20140101523A (ko)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100546999B1 (ko) 건축물의 외벽 단열 구조
CN110158852A (zh) 一种装配式建筑用复合夹芯保温装饰外墙板及制备方法
KR100890566B1 (ko) 기능성 황토 건식벽체 설치구조
KR20190085023A (ko) 거주 블록 및 단열부 제조 방법
KR101665662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외단열구조
CN210767347U (zh) 一种alc外墙板的保温结构
KR20050076151A (ko) 온돌 바닥패널 난방 시스템
KR101485265B1 (ko) 조립식 패널 타입의 층간 소음, 진동, 충격 방지 시스템
KR100418277B1 (ko) 다층건물의 바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98702B1 (ko) 공동주택의 칸막이벽 구조
EP3059354B1 (en) Structural module and method for mounting structural modules
KR20140133404A (ko) 건축용 모듈
KR100515931B1 (ko) 건축물 벽체의 방음방진구조
JP4746781B2 (ja) 建物の外断熱建築工法
KR100778659B1 (ko)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재
CN110607855A (zh) 一种装配式外墙板内保温施工方法
KR100954945B1 (ko) 건물 내실의 건식온수난방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