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5556A -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5556A
KR20180085556A KR1020170009237A KR20170009237A KR20180085556A KR 20180085556 A KR20180085556 A KR 20180085556A KR 1020170009237 A KR1020170009237 A KR 1020170009237A KR 20170009237 A KR20170009237 A KR 20170009237A KR 20180085556 A KR20180085556 A KR 201800855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support
wall
anchor bolt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424B1 (ko
Inventor
윤관옥
Original Assignee
윤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관옥 filed Critical 윤관옥
Priority to KR102017000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4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04F13/0807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테라코타 패널 또는 대리석 패널, 타일 등 건축용 내·외장재 패널을 발포성 단열재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벽체에 대하여 조립식으로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에 관한 것으로,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벽체와 밀착고정되는 지지대(100)와;
연결부재에 체결되며, 빔(70)이 체결되는 빔 받침대(500)와;
빔에 체결되며, 외장재가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Structural structure of building materials}
본 발명은 축용 외장재 받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라코타 패널 또는 대리석 패널, 타일 등 건축용 내·외장재 패널을 발포성 단열재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벽체에 대하여 조립식으로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건축물 내벽 또는 외벽의 벽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꾸미기 위하여 타일, 테라코타, 석판 등의 내·외장재 패널로 이루어진 커트 월이 조립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건축물의 벽면과 커튼 월 사이에는 건축물 내부에 단열을 위하여 폴리우레탄 폼 또는 스티로폼 등의 발포성 단열재의 설치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에 건축물 벽면에 대하여 발포성 단열재와 더불어 커튼 월을 설치할 경우, 각 내·외장재 패널들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해당하는 발포성 단열재 부위는 칼로 도려내어 지거나 화염으로 녹이는 과정 등에 의해 제거되어 커튼 월 설치를 위한 홀이 형성되고, 이 홀에 의해 노출된 건축물 벽체에 앵글유닛을 고정한 후, 내·외장재 패널들을 앵글유닛에 조립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종래에는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을 설치하여 위하여 발포성 단열재의 제거된 홀 부위는, 설치되는 커튼 월에 대하여 부분적인 단열 효율을 저감시키는 원인이 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의 제거된 홀 부위에 대하여 단열성 발포제를 재충전하는 등의 별도의 시공이 필요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7446호에는 발포성 단열재를 도려내거나 화염으로 녹여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의 설치 영역을 만드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단열재의 손상된 부위에 대한 추가적인 단열 보완작업을 생략하여 시공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단열 효율을 유지 내지는 더욱 향상시키도록 구조가 개선된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의 구성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7446호의 앵글유닛은 고정구 본체에 제1 장공이 형성되고, 양측 절곡된 부위는 이들 사이의 중심부위가 건축물 벽체에 평행을 이루며 마주하도록 동일한 길이의 다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구 본체는 다리부의 첨예한 단부가 발포성 단열재에 박혀 벽체에 접촉 지지되어 설치됨으로써, 발포성 단열재를 도려 내거나 녹여내지 않고 또 도려낸 부위에 단열재를 채우는 보완작업을 할 필요가 없는 구조가 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47446호의 앵글유닛은 다리부가 고정구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다리부의 길이를 가변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발포성 단열재의 다양한 두께에 따라, 다리부의 길이를 맞춰 고정구 본체를 제작하거나, 다리부의 길이를 다양하게 하여 여러 종류의 고정구 본체를 다수 제작한 후, 단열재 두께에 따라 고정구 본체를 선택하여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744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성을 유지할 뿐 아니라, 다양한 두께의 단열재에 대해서는 호환성 있는 시공이 가능한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받침대에 설치된 외장재의 하중에 대해 받침대에 발생된 응력을 지지하여 지지력이 향상되므로, 외장재판의 하중에 의한 받침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부실시공이 발생할 확률을 확연하게 줄일 수 있는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는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벽체와 밀착고정되는 지지대(100)와;
앵커 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며, 빔(70)이 체결되는 빔 받침대(500)와;
빔에 체결되며, 외장재가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100)는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벽체와 밀착고정되어 일측에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에 체결되는 외장재를 지지하는 것으로,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장공(111)이 형성된 체결봉(110)과;
체결봉 외주에 구비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벽체와 밀착고정되어 일측에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에 체결되는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130)과; 지지편과 밤 받침대 사이에 체결되는 와셔(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지편(130)은 체결봉에 "∧"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체결봉 2개를 가로로 연결한 후 지지대를 각각 구비하여 지지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빔 받침대(500)는 일단이 앵커볼트에 체결되며, 타단에는 빔(70)이 체결되는 것으로, 앵커볼드에 체결가능하도록 장공(511)이 형성된 연결편(510)과, 연결편을 연장하여 "Y" 형상으로 형성하여 빔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빔고정편(5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외장재 받침대(700)는 빔에 체결되며, 외장재가 체결되는 것으로, 별도의 작업고정 없이 바로 빔의 상부에서 끼워 체결할 수 있도록 "n"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편(710)과; 체결편을 연장하여 "u" 형상으로 하되 상하 각각 좌우에서 외장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상으로 격벽(731)을 갖는 외장재 고정편(7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는 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지지볼트가 고정판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단열재의 두께에 상관없이 모든 벽체 시공구조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받침대에 설치된 외장재의 하중에 대해 받침대에 발생된 응력을 지지하여 지지력이 향상되므로, 외장재판의 하중에 의한 받침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해 줌으로써, 부실시공이 발생할 확률을 확연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단열재를 뜯어내지 않기에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열효과를 온전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8 ~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이해를 돕기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의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 도 10에 첨부한 도면과 같이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벽체와 밀착고정되는 지지대(100)와; 앵커 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며, 빔(70)이 체결되는 빔 받침대(500)와; 빔에 체결되며, 외장재가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7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0)는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벽체와 밀착고정되어 일측에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에 체결되는 외장재를 지지하는 것으로,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장공(111)이 형성된 체결봉(110)과; 체결봉 외주에 구비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벽체와 밀착고정되어 일측에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에 체결되는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130)과; 지지편과 밤 받침대 사이에 체결되는 와셔(150)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편은 지지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체결봉에 "∧"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체결봉 2개를 가로로 연결한 후 지지대를 각각 구비하여 지지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빔 받침대(500)는 일단이 앵커볼트에 체결되며, 타단에는 빔(70)이 체결되는 것으로, 앵커볼드에 체결가능하도록 장공(511)이 형성된 연결편(510)과, 연결편을 연장하여 "Y" 형상으로 형성하여 빔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빔고정편(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빔 받침대(500)는 장공(511)을 통하여 앵커볼트에 체결할 때 빔 받침대의 체결위치(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체결되는 빔의 간격을 조절하여 이후 빔에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의 간격도 같이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로 제작되는 외장재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외장재 받침대(700)는 빔에 체결되며, 외장재가 체결되는 것으로, 별도의 작업고정 없이 바로 빔의 상부에서 끼워 체결할 수 있도록 "n"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편(710)과; 체결편을 연장하여 "u" 형상으로 하되 상하 각각 좌우에서 외장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상으로 격벽(731)을 갖는 외장재 고정편(73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 따라 본원발명은 벽체 외측에 마감재를 시공한 후 앵커 볼트를 벽체에 적정위치에 다수 고정하되, 앵커 볼트 외측에 지지대를 체결한 후 지지편이 벽체에 밀착되도록 고정한다.
이후 앵커 볼트의 타단에 빔 받침대를 체결한다.
이후 빔을 빔고정편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후 빔의 상부에서 외장재 받침대의 체결편을 이용하여 끼워서 외장재 받침대를 고정한다.
이후 격벽(731)을 통하여 "+"형상으로 구획된 외장재 고정편에 외장재를 상하 각각 좌우에서 끼움형식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벽체 30 : 단열재
50 : 앵커볼트 70 : 빔
100 : 지대대 110 : 체결봉
130 : 지지편 150 : 와셔
500 : 빔 받침대 510 : 연결편
530 : 빔고정편
700 : 외장재 받침대 710 : 체결편
730 : 외장재 고정편

Claims (5)

  1.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벽체와 밀착고정되는 지지대(100)와;
    상기 앵커 볼트의 일단에 체결되며, 빔(70)이 체결되는 빔 받침대(500)와;
    빔에 체결되며, 외장재가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0)는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벽체와 밀착고정되어 일측에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에 체결되는 외장재를 지지하는 것으로, 벽체(10)와, 단열재(30)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앵커 볼트(50)의 외측에 체결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체결장공(111)이 형성된 체결봉(110)과;
    상기 체결봉 외주에 구비되며, 단열재를 관통하여 벽체와 밀착고정되어 일측에 체결되는 외장재 받침대에 체결되는 외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편(130)과; 지지편과 밤 받침대 사이에 체결되는 와셔(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130)은 체결봉에 "∧"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체결봉 2개를 가로로 연결한 후 지지대를 각각 구비하여 지지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받침대(500)는 일단이 앵커볼트에 체결되며, 타단에는 빔(70)이 체결되는 것으로, 앵커볼드에 체결가능하도록 장공(511)이 형성된 연결편(510)과, 연결편을 연장하여 "Y" 형상으로 형성하여 빔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빔고정편(5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 받침대(700)는 빔에 체결되며, 외장재가 체결되는 것으로, 별도의 작업고정 없이 바로 빔의 상부에서 끼워 체결할 수 있도록 "n"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편(710)과; 체결편을 연장하여 "u" 형상으로 하되 상하 각각 좌우에서 외장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형상으로 격벽(731)을 갖는 외장재 고정편(7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KR1020170009237A 2017-01-19 2017-01-19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KR101894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237A KR101894424B1 (ko) 2017-01-19 2017-01-19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237A KR101894424B1 (ko) 2017-01-19 2017-01-19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556A true KR20180085556A (ko) 2018-07-27
KR101894424B1 KR101894424B1 (ko) 2018-09-04

Family

ID=63078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237A KR101894424B1 (ko) 2017-01-19 2017-01-19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4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838A (zh) * 2018-08-30 2019-01-11 上海龙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材幕墙泛光照明系统的专用连接件
CN112554487A (zh) * 2020-12-11 2021-03-26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自紧式墙板自动调平干挂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511092B1 (ko) * 2022-03-21 2023-04-19 수도디자인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건물 외벽 마감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46B1 (ko)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101211481B1 (ko) * 2012-03-21 2012-12-12 백승기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20130094906A (ko) * 2012-02-17 2013-08-27 윤관옥 건축물의 마감 단열 패널 시공방법
KR101515937B1 (ko) * 2014-12-12 2015-05-04 백승웅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KR101527199B1 (ko) * 2015-04-15 2015-06-09 벽산베이스아이엔씨주식회사 단열재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446B1 (ko) 2012-01-30 2012-05-22 주식회사 일산금속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KR20130094906A (ko) * 2012-02-17 2013-08-27 윤관옥 건축물의 마감 단열 패널 시공방법
KR101211481B1 (ko) * 2012-03-21 2012-12-12 백승기 내진설계용 석재패널 고정장치
KR101515937B1 (ko) * 2014-12-12 2015-05-04 백승웅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KR101527199B1 (ko) * 2015-04-15 2015-06-09 벽산베이스아이엔씨주식회사 단열재의 상부에서 결합되는 앵커볼트 지지부재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5838A (zh) * 2018-08-30 2019-01-11 上海龙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石材幕墙泛光照明系统的专用连接件
CN112554487A (zh) * 2020-12-11 2021-03-26 浙江亚厦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自紧式墙板自动调平干挂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511092B1 (ko) * 2022-03-21 2023-04-19 수도디자인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건물 외벽 마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424B1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436B1 (ko) 단열재 시공용 앵글유닛
CA2768916C (en) Building wall system
KR101147446B1 (ko) 단열재 시공용 앵글 및 이를 이용하는 단열재 시공방법
JP5813009B2 (ja) ファサード断熱材
KR101257364B1 (ko) 건축물용 패널 고정장치
KR101894424B1 (ko) 건축용 외장재 받침구조
KR200426512Y1 (ko) 조립식 패널 지지체
KR100561968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1437429B1 (ko) 건물 외장재 및 외부 단열재 설치 브라켓
KR100825009B1 (ko)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KR101663373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101515939B1 (ko) 이중구조로 보강하는 투 앵글
KR102000228B1 (ko) 천장마감패널 어셈블리
KR200492971Y1 (ko) 높이조절 가능한 인테리어 가벽
KR20200048656A (ko) 진공단열재 고정브래킷
KR20170111347A (ko) 마감재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용 마감재 고정구조
RU251402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навес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на фасадах зданий скрытым способом
KR20110004692U (ko) 시멘트 패널 마감재 고정클립
KR20070063196A (ko) 천정재 부착용 경량철골 체결구
SK8858Y1 (sk) Kombinovaný systém mechanického upevnenia kontaktne montovaných tepelnoizolačných platní na obvodových plášťoch budov
KR20230025952A (ko) 단열재 병행설치용 건축 외장재 설치구조
KR200479635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20190015913A (ko) 건물의 벽체 마감재 설치용 고정 구조물
KR20150033137A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어셈블리
KR101841075B1 (ko)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