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809B1 -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809B1
KR102510809B1 KR1020210033308A KR20210033308A KR102510809B1 KR 102510809 B1 KR102510809 B1 KR 102510809B1 KR 1020210033308 A KR1020210033308 A KR 1020210033308A KR 20210033308 A KR20210033308 A KR 20210033308A KR 102510809 B1 KR102510809 B1 KR 10251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block
block data
merging
building
r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7853A (ko
Inventor
이위안 장
준타오 통
Original Assignee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바이두 넷컴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코.,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157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4Extract, transform and load [ETL] procedures, e.g. ETL data flows in data wareho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6Drawing of charts or graph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개시하며, 이는 전자 지도 및 빅 데이터 분야에 관한 것이다.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은,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하고,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을 기반으로, 빌딩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상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하고,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방향성 특징 추출을 진행하여 획득된 빌딩 블록의 방향성 특징을 기반으로, 각 대상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하고,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개의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한다. 본 구현 방식은 클라우드 플랫폼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이용되어,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영역성 빌딩 블록의 조각난 시각적 사용 경험을 효과적으로 최적화시키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A METHOD AND A DEVICE, AN APPARATUS AND A STORAGE MEDIUM FOR MERGING BUILDING BLOCK DATA}
본 출원은 데이터 처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지도 및 빅 데이터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빌딩 블록 데이터는 전자 지도 중의 지리적 요소로서, 주변 환경에 대한 사용자의 위치 확정 및 인지에 대해 아주 중요한 가이드 작용을 제공한다. 빌딩 블록 데이터는 지도에서 통상적으로 도로, POI 등의 기타 요소와 중첩되어 표현되며, 이의 표시 결과는 사용자의 지도 읽기 사용 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빌딩 블록의 다각형 병합은 지도 제작의 종합적인 방면에서의 중요한 연구 부분이다. 작은 비례척에서 큰 비례척으로 변환될 경우, 직관적인 시각에서 빌딩 블록의 다각형은 중첩되어 함계 표시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으로,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것이 대두되고 있다.
본 개시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은,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을 기반으로, 해당 빌딩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상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해당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방향성 특징 추출을 진행하여 획득된 빌딩 블록의 방향성 특징을 기반으로, 각 대상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는,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 유닛;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을 기반으로, 해당 빌딩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상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하는 대상 영역 구획 유닛; 해당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방향성 특징 추출을 진행하여 획득된 빌딩 블록의 방향성 특징을 기반으로, 각 대상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하는 래스터 영역 구획 유닛; 및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병합 유닛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고, 해당 메모리 장치에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되고, 해당 명령어는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어, 해당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상술한 방법을 수행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명령어가 저장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서, 해당 컴퓨터 명령어는 해당 컴퓨터로 상술한 방법을 수행시킬 수 있다.
당해 부분에 설명되는 내용은 본 개시의 실시예의 관건적인 또는 중요한 특징을 표식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도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개시의 기타의 특징은 아래의 설명을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당해 방안을 보다 잘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일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일 응용 시나리오의 다른 일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아래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출원의 시범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을 진행하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종의 세부 사항을 포함하며, 이는 단지 시범적인 것으로 시인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범위 및 사상을 위배하지 않고서,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대해 각종의 변화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자명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명확하고 간결함을 위하여, 공지의 기능 및 구조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생략된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실시예들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설명을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실시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실시예들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도면 내에서 개별적으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닛(unit)" 또는 "~모듈(module)"은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본 출원 중의 실시예 및 실시예 중의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아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실시예를 결부하여 본 출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수행 주체는 지도 측량 제작 및 발표자로부터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대상 작업 영역에 대해 정밀도, 신뢰도,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빌딩 블록 분석을 진행할 필요가 있을 경우, 수행 주체는 현지에서 외부 수집(측량 제작자는 전문 기기 및 의표를 이용하여 현지의 환경에서 측량 및 제작을 진행)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로부터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수행 주체는 항공 위성으로 제작된 데이터 집합으로부터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항공 촬영 또는 위성 촬영 수단은 탑재형 디지털 카메라, 탑재형 원격 감지기 및 3D 레이저 스캐닝(주로 3D 지도 데이터 수집에 이용됨)을 포함한다. 본 원의 대상 작업 영역은 선택된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고자는 영역을 가리킨다. 빌딩 블록 데이터는 수행 주체로 상술한 방식을 통해 획득한 오리지널 빌딩 블록 데이터 중의 점선면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상 작업 영역은 지도 중의 하나의 영역이며, 특정된 지리적 위치 범위를 커버하는 지정된 영역을 가리킬 수 있으며, 또는, 지도 주석을 진행하거나 지도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지도 데이터를 주석하거나 생성하고자는 임의의 하나의 영역을 작업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단계(102)에서,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을 기반으로, 빌딩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상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행 주체로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한 후,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을 기반으로, 빌딩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상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한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은 도로 및 하류 속성, AOI(Area of Interest, 관심면) 면 속성, POI(Point of Interest, 관심점) 연결 속성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AOI 면을 통해 하나의 건축물 영역을 확정하되, AOI는 하나의 기능 영역 면 데이터이고, 하나의 주택 단지의 범위, 하나의 학교의 범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AOI 면 속성은 해당 기능 영역 면 내의 건축물, 도로 등의 본체 대상의 위치, 커버리지 범위, 유형 등의 속성일 수 있다. AOI를 통해 확정한 건축물 영역 내의 빌딩 블록은 내용 관련 속성을 구비하고, AOI 면은 빌딩 블록으로 병합된 지리적 격리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POI 연결 속성은 POI에 대응되는 지리적 정보 점의 위치, POI 점 그룹 중의 기타 POI와의 위치 관계 또는 종속/협동 관계, POI의 유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OI 점 그룹을 통해 영역을 구획하되, POI 사이의 상호 관계, 예를 들어, 부자 관계(예를 들어, 쇼핑몰 내부 점 그룹, 공항 내부 점 그룹 등), 협동 관계(POI 점 그룹 사이의 유사도) 등은 모두 POI 점 그룹의 클러스터링 조건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POI 점 그룹의 외접 볼록 다각형은 마찬가지로 빌딩 블록으로 병합된 격리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지도 상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는 대부분 POI 데이터이며, 예를 들어, 지도 상에서 자주 보이는 풍선 표기 점이다. 전자 지도에 있어서, POI 데이터는 엄격하게 말해 벡터 데이터에 해당되며, 즉, 좌표점 주석 데이터에 해당되며, 전자 지도 상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데이터 레이어이다. POI 데이터는 단지 정보 관련 좌표점의 데이터이며, 선과 면에 관한 것이 아니며, 가장 간단한 벡터 데이터로서, 대응되는 지면 윤곽에 대한 요구가 필요 없이 간단한 지점 주석에 이용된다. 일반적인 POI 데이터는 일상에 흔히 쓰이는 장소 데이터, 예를 들어, 식당, 상점, 주유소, 은행 등의 일반적인 일상 시설이며, 물론, 맨홀 뚜껑, 소화전 등일 수도 있다. 도로 및 하류 속성을 통해 영역을 구획하되, 도로 및 하류 속성은 전자 지도 중의 핵심 요소로서, 실제의 세계를 상이한 영역으로 구획하고, 도로 속성으로 둘러싸인 영역 면을 통해 그의 정확도 및 커버리지가 모두 아주 높으며, 빌딩 블록으로 병합된 격리 영역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 영역은 예를 들어 주택 단지, 학교로 둘러싸인 면에 따라 구성된 영역이거나, 또는, 예를 들어 식당, 상정 증의 정보 관련 좌표점으로 구성된 영역이거나, 또는, POI 점 클러스터가 상대적으로 적을 경우 도로, 하류로 구획된 영역 면이다.
단계(103)에서,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방향성 특징 추출을 진행하여 획득된 빌딩 블록의 방향성 특징을 기반으로, 각 대상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행 주체로 대상 영역을 구획한 후,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방향성 특징 추출을 진행하여 획득된 빌딩 블록의 방향성 특징을 기반으로, 각 대상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한다. 구체적으로, 방향성 특징은 지면을 향한 빌딩 블록의 투영 형상의 변를 따른 방향성 특징을 가리키며, 동일한 지리적 격리 속성의 방향과 그의 내부에 대응되는 빌딩 블록의 방향 사이의 관련성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일한 지리적 격리 속성에 해당되는 빌딩 블록 사이에는 아주 큰 동 방향성을 구비하고, 격리 속성을 보류하면서 동 방향을 보류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는 큰 대상 영역에 대해 래스터 구획을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더욱 작은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한다. 여기서, 각 래스터 영역의 크기는 기정된 것일 수 있으며, 상이한 래스터 영역의 크기는 동일할 수 있으며,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향성 특징을 구비한다.
단계(104)에서,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행 주체로 각 영역으로 래스터 영역을 구획한 후,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각 대상 영역의 일회성으로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에 대해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 데이터의 병합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수행 주체는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 중의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동시에 병합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본 출원에서 구획된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에 대해 빌딩 블록 데이터 병합을 진행하는 순서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진행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 중의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동시에 병합을 진행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병합을 진행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은,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영역성 빌딩 블록의 조각난 시각적 사용 경험을 효과적으로 최적화시킨다.
도 2는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1)에서,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한다.
단계(202)에서,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을 기반으로, 빌딩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상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한다.
단계(203)에서,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방향성 특징 추출을 진행하여 획득된 빌딩 블록 방향성 특징을 기반으로, 각 대상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한다.
단계(201) 내지 단계(203)의 원리는 단계(101) 내지 단계(103)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 흐름(200)은 단계(204)를 더 포함하되,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단계(204)에서,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에 대해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하고, 버퍼 영역이 확장된 빌딩 블록 경계 좌표에 따라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한다.
본 구현 방식에 있어서, 수행 주체로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에 대해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하고, 버퍼 영역이 확장된 빌딩 블록 경계 좌표에 따라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한다. 통일적으로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 편리하기 위하여, 수행 주체로 획득한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서, 일부의 빌딩 블록 데이터 자체에는 비례척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한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하는 것은, 예를 들어 단위 길이가 50m이거나 단위 길이가 20m인 비례척일 수 있으며, 본 출원은 구체적인 비례척에 대해 한정을 진행하지 않는다. 버퍼 영역 확장은 구체적으로, 수행 주체로 빌딩 블록 데이터 본체 주위에서 일정한 폭 범위의 버퍼 영역 다각형 레이어를 자동으로 구축하고, 구축된 다각형 레이어와 기타 레이어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하 판단을 진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버퍼 영역 확장에 있어서, 점 요소(예를 들어, POI 점 영역)의 버퍼 영역, 통상적으로 점을 원심으로 일정한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을 기반으로, 선 요소(예를 들어, 도로 및 하류 영역 등)의 버퍼 영역, 통상적으로 선을 중심축선으로 중심 축성과 일정한 거리의 평행 스트립 다각형을 기반으로, 면 요소(예를 들어, AOI 면 영역) 다각형 경계의 버퍼 영역을 기반으로, 외부로 또는 내부로 일정한 거리를 확장시켜 새로운 다각형을 생성한다. 본 구현 방식은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한 버퍼 영역 확장을 통해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본 구현 방식에 있어서,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는 공통변, 교차, 격리를 포함한다. 수행 주체로 버퍼 영역이 확장된 빌딩 블록 경계 좌표에 따라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한 후, 수행 주체로 각 빌딩 블록의 경계 상에서 다수의 점의 좌표에 중첩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는 경우이며, 이때, 수행 주체로 경계 상에서 다수의 점의 좌표가 중첩되는 두개의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공통변인 것을 확정하거나, 또는, 수행 주체로 하나의 빌딩 블록의 경계 상에서 한 점의 좌표가 다른 하나의 빌딩 블록의 중심점 좌표와 해당 다른 하나의 빌딩 블록의 변 상의 한 점의 좌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존재하는 것이 검출되며, 이때, 수행 주체로 이러한 두 개의 빌딩 블록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교차인 것을 확정하거나, 또는, 수행 주체로 하나의 빌딩 블록 경계 상에서 임의의 한 점의 좌표가 해당 빌딩 블록의 중심점 좌표와 다른 하나의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임의의 하나의 점 좌표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검풀되며, 이때, 수행 주체는 이러한 두 개의 빌딩 블록들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격리인 것을 확정한다. 본 구현 방식은 버퍼 영역 확장 후 빌딩 블록 중의 임의의 하나의 위치의 좌표를 통해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는 것이 아니라, 버퍼 영역 확장된 경계 좌표를 통해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여,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의 판단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 흐름은,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버퍼 영역이 확장된 빌딩 블록 경계 좌표에 교차 또는 공통변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개의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단계(205)를 더 포함한다.
본 구현 방식에 있어서, 래스터 영역 내부의 모든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수행 주체로 구획된 더욱 섬세한 각 래스터 영역 내부의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한 후 확정된 교차 또는 공통변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함으로써,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한 병합 속도를 가속시킨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 흐름은 단계(206)를 더 포함하되,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단계(206)에서,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에서 병합된 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빌딩 블록 복구 버퍼 영역에 대해 직각 처리를 진행하여,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병합 결과를 획득한다.
본 구현 방식에 있어서, 수행 주체로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에서 병합된 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빌딩 블록 복구 버퍼 영역에 대해 직각 처리를 진행하여,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병합 결과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복구 버퍼 영역은, 외부로의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하고 병합된 후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시 내부로 일정한 거리를 확장하여 새로운 다각형을 생성하여, 병합된 빌딩 블록 데이터가 실제 빌딩 블록 윤곽 데이터에 더욱 가까워져, 오리지널 빌딩 블록의 외부 윤곽을 유지하여, 빌딜 블록이 도로를 누르는 등의 않좋은 경우가 나타나는 것을 피면한다. 또한, 복구 버퍼 영역은 단지 단일의 래스터 영역이 병합된 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상대로 한다.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는 빌딩 블록 외부 윤곽에 대한 유지에 관한 것이 아니므로, 복구 버퍼 영역을 진행할 필요가 없어, 이미 병합된 빌딩 블록 데이터 결과를 파괴하는 것을 피면한다. 본 구현 방식에 있어서,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에서 병합된 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빌딩 블록 복구 버퍼 영역에 대해 이미지 처리에서의 부식 및 확장 알고리즘 기반의 직각 처리를 진행하고, 정규화 빌딩 블록 벡터 데이터를 통해, 전자 지도에 저장된 벡터 네트워크 데이터 크기에도 최적화 효과를 진행하여, 빌딩 블록 병합 결과가 실제 윤곽과의 유사도가 더욱 높게 된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방법 흐름은 단계(207)를 더 포함한다.
단계(207)에서,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의 병합 결과 및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한다.
본 구현 방식에 있어서, 수행 주체로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부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완료된 후, 해당 래스터 영역과 교차한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계속하여 진일보의 병합을 진행하며, 구체적인 병합 방법은, 각 래스터 영역 내에서,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에 대해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하고, 버퍼 영역이 확장된 빌딩 블록 경계 좌표에 따라 각 래스터 영역 내부의 빌딩 블록의 병합이 이미 완료된 빌딩 블록 데이터의 경계 좌표 사이와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해당 상대적 위치 관계가 공통변 또는 교차일 경우, 해당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과 래스터 영역 내부의 병합이 이미 완료된 빌딩 블록에 대해 다시 병합을 진행할 수 있다. 본 구현 방식은,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와 해당 래스터 영역 내의 병합이 이미 완료된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다시 병합을 진행함으로써,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한 누락없는 병합을 실현하고, 병합 결과를 최적화하고,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207)는 단계(208)를 더 포함하되,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다.
단계(208)에서,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단일의 래스터 영역의 빌딩 블록 병합 결과 및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에 대해 삼각 측량의 방법을 이용하여 병합을 진행한다.
본 구현 방식에 있어서, 수행 주체로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부에서 병합 완료된 빌딩 블록 데이터 및 해당 래스터 영역과 교차한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할 경우,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에서 삼각 측량의 방법을 통해 병합을 진행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본 구현 방식에 있어서, 삼각 측량의 방법을 이용하여 병합을 진행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수행 주체로 먼저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에서 이미 병합된 빌딩 블록의 다각형 및 해당 래스터 영역과 교차한 빌딩 블록의 다각형 사이에서 거리가 가장 작은 변을 구하고, 해당 거리가 가장 작은 변 사이에 들로네(Delaunay) 삼각 측량을 구축하여, 빌딩 블록의 다각형 사이의 연결 버퍼 영역으로 이용하고, 상술한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에서 이미 병합된 빌딩 블록의 다각형, 해당 연결 버퍼 영역 및 해당 래스터 영역과 교차한 빌딩 블록의 다각형을 병합시킨다. 모든 빌딩 블록 ID를 편력할 때까지, 상술한 단계(201) 내지 단계(208)를 중복하면, 대상 작업 영역의 모든 획득한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한 병합을 완료한다.
본 구현 방식은 들로네 삼각 측량을 이용하여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에서 이미 병합된 빌딩 블록의 다각형 및 해당 래스터 영역과 교차한 빌딩 블록의 다각형에 대해 병합을 진행함으로써, 전통적인 빌딩 블록 병합 방법을 이용하여 대량의 버퍼 영역을 확장하여 빌딩 블록의 병합을 진행할 필요가 없이, 각 래스터 영역과 교차한 빌딩 블록 데이터를 각 래스터 영역 내부의 이미 병합 완료된 큰 빌딩 블록에 병합시켜, 더욱 큰 범위로부터 작은 최적화를 진행하고, 영역성 빌딩 블록의 조각난 시각적 사용 경험을 효과적으로 최적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일 응용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3의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대상 작업 영역을 대상 영역으로 구획하는 것에 대해 설명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관찰할 수 있는 가장 큰 영역은 대상 작업 영역이고, 영역 A1은 도로 및 하류 속성에 따라 구획된 대상 영역이고, A1 영역 내의 점선은 도로 또는 하류를 대표하며, A1은 도로 또는 하류로 둘러싸인 영역이며, 영역 A2는 AOI 면(예를 들어, 지역 사회, 학교) 속성에 따라 구획된 대상 영역이며, 영역(A3)은 POI(예를 들어, 점 그룹의 외접 볼록 다각형) 연결 속성에 따라 구획된 대상 영역이다.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일 응용 시나리오의 다른 일 개략도이다.
도 4의 응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대상 영역에 대해 래스터 영역을 구획하고, 각 래스터 영역 내부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것에 대해 설명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4 중의 B, C, D, E, F, G, H, I는 모두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된 래스터 영역을 대표한다. 여기서, 래스터 영역 B에서, a, b, c, d, e는 모두 래스터 영역 B 중의 버퍼 영역 확장된 빌딩 블록을 대표한다. 도 4 중의 a, b, c, d, e 각 빌딩 블록의 경계로, a와 b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격리인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a와 b 빌딩 블록 사이는 병합을 진행하지 않으며, c와 d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공통변인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c와 d 빌딩 블록 사이는 병합을 진행하며, c와 e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교차인 것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c와 e 빌딩 블록 사이는 병합을 진행한다. 마찬가지로, 동일한 상대적 위치 판정 방식으로 래스터 영역 B 중의 기타의 빌딩 블록에 대해 각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판단하고, 공통변 및 상대적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빌딩 블록을 큰 빌딩 블록으로 병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래스터 영역 C, D, E, F, G, H, I 중의 각 빌딩 블록은 래스터 영역 B과 동일한 빌딩 블록 병합 방식으로 병합을 진행한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상술한 각 도면에 도시된 방법의 구현으로서, 본 출원은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공하며, 해당 장치 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 대응되며, 해당 장치는 구체적으로 각종의 전자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500)는 데이터 획득 유닛(501), 대상 영역 구획 유닛(502), 래스터 영역 구획 유닛(503) 및 병합 유닛(504)을 포함한다.
데이터 획득 유닛(501)은,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한다.
대상 영역 구획 유닛(502)은,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을 기반으로, 빌딩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상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한다.
래스터 영역 구획 유닛(503)은,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방향성 특징 추출을 진행하여 획득된 빌딩 블록의 방향성 특징을 기반으로, 각 대상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한다.
병합 유닛(504)은,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미리 설정된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병합 유닛(504)은,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에 대해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하고, 버퍼 영역이 확장된 빌딩 블록 경계 좌표에 따라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는 버퍼 영역 확장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병합 유닛은, 각 래스터 영역내에 교차 또는 공통변이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제1 서브 병합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병합 유닛은,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에서 병합된 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빌딩 블록 복구 버퍼 영역에 대해 직각 처리를 진행하여,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병합 결과를 획득하는 버퍼 영역 복구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병합 유닛은,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의 병합 결과 및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제2 서브 병합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일부의 선택 가능한 구현 방식에 있어서, 병합 유닛은,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단일의 래스터 영역의 빌딩 블록 병합 결과 및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에 대해 삼각 측량의 방법을 이용하여 병합을 진행하는 제3 서브 병합 모듈을 더 포함한다.
장치(500)에 기재된 유닛(501) 내지 유닛(504)은 각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 중의 각 단계에 대응되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로써, 상술한 방법에 설명된 조작 및 특징은 마찬가지로 장치(500) 및 그 중에 포함된 유닛에 적용되며, 여기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출원은 전자 기기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는 각종 형식의 디지털 컴퓨터, 예컨대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워크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 서버, 블레이드 서버, 메인 프레임 컴퓨터 및 기타 적합한 컴퓨터를 가리키고자 한다. 전자 기기는 각종 형식의 이동 장치, 예컨대, 개인 디지털 처리 장치, 휴대폰, 스마트 폰, 웨어러블 장치 및 기타 유사한 컴퓨팅 장치를 가리킬 수도 있다. 본원에 도시된 부재, 이들의 연결 및 관계, 및 이들의 기능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원에 설명된 및/또는 요구되는 본 출원의 구현을 한정하고자 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601), 메모리 장치(602), 및 고속 인터페이스와 저속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각 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각 부재는 상이한 버스 라인(605)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되며, 공동 메인 보드에 장착되거나 수요에 따라 기타의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프로세서(601)는 전자 기기 내에서 수행되는 명령어에 대해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메모리 장치(602)에 또는 메모리 장치(602) 상에 저장되어 외부 입력/출력 장치(예컨대,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표지 장치) 상에서 GUI를 나타내는 도형 정보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기타의 실시예에 있어서, 필요할 경우, 다수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수의 버스 라인과 다수의 메모리 장치를 다수의 메모리 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전자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각 전자 기기는 일부의 필요한 조작(예컨대, 서버 어레이, 일 그룹의 블레이드 서버, 또는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6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601)를 예로 든다.
메모리 장치(602)는 즉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이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 장치(602)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1)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되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601)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을 수행한다. 본 출원의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 명령어를 저장하고, 해당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을 수행시키도록 구성된다.
메모리 장치(602)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어/유닛(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획득 유닛(501), 대상 영역 구획 유닛(502), 래스터 영역 구획 유닛(503) 및 병합 유닛(504))과 같은 비 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비 일시적 컴퓨터로 수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유닛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601)는 메모리 장치(602)에 저장된 비 일시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어 및 모듈을 운행시킴으로써, 서버의 각종의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며, 즉, 상술한 방법 실시예 중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메모리 장치(602)는 프로그램 저장 구간 및 데이터 저장 구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구간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 구간은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전자 기기의 사용에 따라 구축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602)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 일시적 메모리 장치,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소자, 플래시 소자 또는 기타 비 일시적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 장치(602)는 선택적으로 프로세서(6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전자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의 예시는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근거리 통신망,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전자 기기는 입력 장치(603) 및 출력 장치(6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01), 메모리 장치(602), 입력 장치(603) 및 출력 장치(604)는 버스라인 또는 기타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6에서는 버스 라인(605)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든다.
입력 장치(603)는 입력되는 디지털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의 전자 기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련된 키 신호 입력를 발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터치 스크린, 키패드, 마우스, 트랙 패드, 터치 패드, 지시 레버, 하나 또는 다수의 마우스 버튼, 트랙 볼, 조작 레버 등의 입력 장치이다. 출력 장치(604)는 표시 장치, 보조 조명 장치(예컨대, LED) 및 터치 피드백 장치(예컨대, 진동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해당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CD), 발광 다이오드(LED) 표시 장치 및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의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본 원에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각종의 실시예는 디지털 전자 회로 시스템, 집적 회로 시스템, 특정 ASIC(주문형 집적 회로),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각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실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해당 하나 또는 다수의 컴퓨터 프로그램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시스템 상에서 수행 및/또는 해석될 수 있으며, 해당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는 특정 또는 범용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및 명령어는 해당 저장 시스템, 해당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해당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에 전송된다.
이러한 컴퓨팅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또는 코드로도 지칭됨)은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의 기계 명령어를 포함하고, 고급 공정 및/또는 객체 지향의 프로그래밍 언어 및/또는 편집/기계 언어를 이용하여 컴퓨팅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검퓨터 프로그램 제품, 기기 및/또는 장치(예컨대,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메모리 장치,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장치(PLD))를 가리키며, 기계 판독 가능한 신호인 기계 명령어를 수신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 판독 가능한 신호"는 기계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프로그래밍 가능한 프로세서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신호를 가리킨다.
사용자와의 교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컴퓨터 상에서 본 원에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을 실시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 장치(예컨대, CRT(음극관) 또는 LCD(액정 표시 장치) 모니터), 및 키보드 및 지향 장치(예컨대, 마우스 또는 트랙볼)를 구비하며, 사용자는 해당 키보드 및 해당 지향 장치를 통해 입력을 컴퓨터에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유형의 장치는 사용자와의 교호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피드백은 임의의 형식의 감지 피드백(예컨대,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또는 촉각 피드백)일 수 있으며, 임의의 형식(음향 입력, 음성 입력 또는 터치 입력)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원에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은 백 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컨대, 데이터 서버로서) 또는 중간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컨대, 응용 서버) 또는 프런트 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예컨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사용자 컴퓨터, 사용자는 해당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해당 웹 브라우저를 통해 본 원에 설명된 시스템 및 기술의 실시예를 통해 교호를 진행할 수 있음) 또는 이러한 백 엔드 부재, 중간 부재 또는 프런트 엔드 부재를 포함하는 임의의 조합의 컴퓨팅 시스템에서 실시될 수 있다. 시스템의 부재는 임의의 형식 또는 매체의 디지털 데이터 통신(통신망)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의 예시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측 및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며, 통상적으로 통신망를 통해 교호를 진행한다. 클라이언트 측과 서버의 관계는 상응한 컴퓨터 상에서 운행되고 서로 클라이언트 측-서버 관계를 구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발생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방안에 의하면,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시키는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영역성 빌딩 블록의 조각난 시각적 사용 경험을 효과적으로 최적화시킨다.
앞서 도시된 각종 형식의 흐름을 사용하거나, 단계에 대한 재 배열, 추가 또는 삭제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방안의 원하는 결과를 실현할 수만 있다면, 본 출원에 기재된 각 단계는 병렬로 수행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본 원에서 이에 대한 한정을 진행하지 않는다.
상술한 구체적은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대한 한정을 구성하지 않는다. 설계 요구 및 기타의 요소에 따라 각종의 수정, 조합, 서브 조합 및 대체를 진행할 수 있음을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자명할 것이다. 본 출원의 사상 및 원칙 내에서 진행하는 임의의 수정, 균등한 대체 및 개선 등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Claims (15)

  1.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빌딩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상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상기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방향성 특징 추출을 진행하여 획득된 빌딩 블록의 방향성 특징을 기반으로, 각 대상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하는 단계;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가 공통 변 또는 교차인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는,
    제1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다수의 점의 좌표와 제2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다수의 점의 좌표가 중첩되는 경우에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를 공통 변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1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임의의 한 점의 좌표가 상기 제2 빌딩 블록의 중심점 좌표와 상기 제2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임의의 한 점의 좌표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를 교차로 확정하고, 상기 제1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임의의 한 점의 좌표가 상기 제1 빌딩 블록의 중심점 좌표와 상기 제2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임의의 한 점의 좌표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를 격리로 확정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는,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상기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에 대해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하고, 버퍼 영역이 확장된 빌딩 블록 경계 좌표에 따라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단계는,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버퍼 영역이 확장된 빌딩 블록 경계 좌표에 상기 교차 또는 상기 공통 변의 상대적 위치 관계가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단계는,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에서 병합된 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빌딩 블록 복구 버퍼 영역에 대해 직각 처리를 진행하여,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 병합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의 병합 결과 및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단계는,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상기 단일의 래스터 영역의 빌딩 블록 병합 결과 및 상기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에 대해 삼각 측량의 방법을 이용하여 병합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7. 대상 작업 영역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 유닛;
    미리 설정된 지리적 격리 속성을 기반으로, 상기 빌딩 블록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상 작업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대상 영역으로 구획하는 대상 영역 구획 유닛;
    상기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방향성 특징 추출을 진행하여 획득된 빌딩 블록의 방향성 특징을 기반으로, 각 대상 영역을 적어도 하나의 래스터 영역으로 구획하는 래스터 영역 구획 유닛; 및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고,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가 공통 변 또는 교차인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병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병합 유닛은,
    제1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다수의 점의 좌표와 제2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다수의 점의 좌표가 중첩되는 경우에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를 공통 변으로 확정하고, 상기 제1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임의의 한 점의 좌표가 상기 제2 빌딩 블록의 중심점 좌표와 상기 제2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임의의 한 점의 좌표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를 교차로 확정하고, 상기 제1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임의의 한 점의 좌표가 상기 제1 빌딩 블록의 중심점 좌표와 상기 제2 빌딩 블록의 경계 상의 임의의 한 점의 좌표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대적 위치 관계를 격리로 확정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 유닛은,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상기 각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에 대해 버퍼 영역 확장을 진행하고, 버퍼 영역이 확장된 빌딩 블록 경계 좌표에 따라 대응되는 빌딩 블록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확정하는 버퍼 영역 확장 모듈을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 유닛은,
    각 래스터 영역내에 상기 교차 또는 상기 공통변이 존재하는 적어도 두 개의 빌딩 블록들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제1 서브 병합 모듈을 더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 유닛은,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에서 병합된 후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빌딩 블록 복구 버퍼 영역에 대해 직각 처리를 진행하여, 단일의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병합 결과를 획득하는 버퍼 영역 복구 유닛을 더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 유닛은,
    래스터 영역 내의 빌딩 블록 데이터의 병합 결과 및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의 빌딩 블록 데이터에 대해 병합을 진행하는 제2 서브 병합 모듈을 더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합 유닛은,
    동일한 미리 설정된 비례척을 기반으로, 상기 단일의 래스터 영역의 빌딩 블록 병합 결과 및 상기 래스터 영역과 교차하는 빌딩 블록에 대해 삼각 측량의 방법을 이용하여 병합을 진행하는 제3 서브 병합 모듈을 더 포함하는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장치.
  13.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통신 연결되는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수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됨으로써, 제1항의 방법이 수행되는 전자 기기.
  14. 컴퓨터 명령어가 저장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에 의하여 제1항의 방법이 수행되는 비 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5.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제1항의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33308A 2020-06-22 2021-03-15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KR102510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573803.1 2020-06-22
CN202010573803.1A CN111737392B (zh) 2020-06-22 2020-06-22 合并楼块数据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853A KR20210157853A (ko) 2021-12-29
KR102510809B1 true KR102510809B1 (ko) 2023-03-16

Family

ID=7265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308A KR102510809B1 (ko) 2020-06-22 2021-03-15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397628A1 (ko)
EP (1) EP3828720A3 (ko)
JP (1) JP2021185408A (ko)
KR (1) KR102510809B1 (ko)
CN (1) CN1117373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5353B (zh) * 2019-07-10 2023-06-13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街区自动细分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802177A (zh) * 2020-12-31 2021-05-14 广州极飞科技股份有限公司 航测数据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48518B (zh) * 2021-03-05 2024-05-14 苍穹数码技术股份有限公司 对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13377783B (zh) * 2021-08-12 2021-12-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704380B (zh) * 2021-10-26 2022-03-11 土豆数据科技集团有限公司 基于空间格网的分布式叠加分析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4217719A (zh) * 2021-12-11 2022-03-22 北京庚图科技有限公司 多动态目标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797608B (zh) * 2022-06-09 2024-05-10 广州中鸣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积木搭建方法、智能终端
CN115374236B (zh) * 2022-10-26 2023-01-13 北京宾理信息科技有限公司 智能公共充电服务网络的生成方法和装置、设备及介质
CN115935492B (zh) * 2023-03-14 2023-07-21 北京盈建科软件股份有限公司 剪力墙边缘构件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6403112B (zh) * 2023-04-11 2023-10-27 生态环境部卫星环境应用中心 农村黑臭水体排查范围划定方法和装置
CN117437254B (zh) * 2023-12-21 2024-05-03 北京英视睿达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环境时空数据的网格划分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28B1 (ko) 2015-09-30 2017-03-2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지도 화면에서 벗어난 관심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KR101949783B1 (ko) 2018-11-01 2019-02-19 새한항업(주) 지자체별 관내도 자동 제작시스템
US20200049514A1 (en) * 2016-10-24 2020-02-13 Agco International Gmbh Land mapping and guidanc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7369A1 (en) * 2002-01-22 2004-01-29 Hultgren Bruce Willar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 generation of electronic model images
JP2006284704A (ja) * 2005-03-31 2006-10-19 Kitakyushu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立体地図簡略化装置及び立体地図簡略化方法
US7576754B1 (en) * 2005-10-27 2009-08-18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bounds of a geographical area
JP4795820B2 (ja) * 2006-03-14 2011-10-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地図データ作成装置、地図データ作成方法、地図データチェックプログラム
KR100858157B1 (ko) * 2006-12-28 2008-09-10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맵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저장매체, 사용자 단말기
KR101103340B1 (ko) * 2010-01-19 2012-01-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빈도분석을 이용한 지리정보 분석방법
CN102298640B (zh) * 2011-09-14 2013-07-10 清华大学 一种地图显示数据预处理方法
JP5677587B2 (ja) * 2011-11-10 2015-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地図表示装置
KR101394976B1 (ko) * 2012-08-20 2014-05-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US10019446B2 (en) * 2015-06-19 2018-07-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eographic space management
KR101797325B1 (ko) * 2015-12-31 2017-11-14 한국국토정보공사 건물 객체에 대한 다축척 모델 기반의 지도 처리 방법
CN106204446B (zh) * 2016-07-01 2020-02-11 中国测绘科学研究院 一种地形图的建筑物合并方法
WO2019232713A1 (en) * 2018-06-06 2019-12-12 Beijing Didi Infinit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grids of geographical region in map
CN108898678B (zh) * 2018-07-09 2020-02-21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增强现实方法和装置
CN110726418B (zh) * 2019-10-10 2021-08-03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兴趣点区域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992481B (zh) * 2019-11-04 2021-09-14 武汉大学 基于最邻近连线的建筑物白模一致性合并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28B1 (ko) 2015-09-30 2017-03-21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지도 화면에서 벗어난 관심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US20200049514A1 (en) * 2016-10-24 2020-02-13 Agco International Gmbh Land mapping and guidance system
KR101949783B1 (ko) 2018-11-01 2019-02-19 새한항업(주) 지자체별 관내도 자동 제작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egnauld, et al., "Contextual Building Typification inAutomated Map Generalization", Algorithmaica(20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85408A (ja) 2021-12-09
EP3828720A2 (en) 2021-06-02
CN111737392A (zh) 2020-10-02
KR20210157853A (ko) 2021-12-29
EP3828720A3 (en) 2021-11-10
CN111737392B (zh) 2024-04-02
US20210397628A1 (en)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809B1 (ko) 빌딩 블록 데이터를 병합하는 방법, 장치, 기기 및 저장 매체
US11361005B2 (en) Method for processing map data, device, and storage medium
US847715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rawing stream and road centerline for GIS-based linear map production
KR102509814B1 (ko) 교통 검문소를 결정하는 방법, 시스템, 전자 기기 및 매체
CN108765487A (zh) 重建三维场景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1131895A (ja) 実景ナビゲーションアイコン表示方法、装置、機器及び媒体
CN111721308A (zh) 三维路网地图绘制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0375755A (zh) 用于高度定制的交互式移动地图的解决方案
US20230042968A1 (en) High-definition map crea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10030982B2 (en) Generalising topographical map data
US202102394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CN113010793A (zh) 地图数据处理的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3160693B (zh) 一种道路路口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006795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organizing map styling information
CN115510175A (zh) dwg数据的地理坐标转换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及介质
US20230048643A1 (en) High-Precision Map Construction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10546418B2 (en) Visualization of positional geospatial uncertainty
CN115797961A (zh) 车道线变更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948518B (zh) 对象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12085814B (zh) 电子地图显示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Guo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large karst cave point cloud registration in various scanning modes
CN105096378A (zh) 一种构建三维物体的方法及计算机辅助设计系统
CN112530161B (zh) 道路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Picu et al. The Future of Mapping–3D Maps, the Comparison of two of the Most Used Methods in Photogrammetric Field
Kırtıloğlu et al. A PRACTICAL APPROACH TO CREATE ISARITHMIC MAP LAYERS THAT CAN BE USED WITH WEB MAPPING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