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976B1 -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94976B1 KR101394976B1 KR1020120090699A KR20120090699A KR101394976B1 KR 101394976 B1 KR101394976 B1 KR 101394976B1 KR 1020120090699 A KR1020120090699 A KR 1020120090699A KR 20120090699 A KR20120090699 A KR 20120090699A KR 101394976 B1 KR101394976 B1 KR 1013949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 map
- parcel
- area
- process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 G09B29/007—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using compute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동일지역에 대한 연속지적도(a)와 수치지형도(b)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에서 네트워크 단순화 단계의 상세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링크 기반으로 되어 있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stroke 기반으로 재구조화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는 다양한 축척수준에 따라 네트워크 단순화 단계를 적용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에서 네트워크/비네트워크 영역 구분 단계의 상세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면적 중첩률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필지의 선정 결과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에서 필지 병합 단계의 상세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9 와 도 10 은 각각 형상적 특성치인 종횡비, 볼록성에 대한 개념도.
도 11 은 비네트워크 영역에서의 축척 별 지적 필지 경계선 병합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에서 다축척 지적약도 생성 단계의 상세한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도 13 은 필지 경계선 불연속 지점 탐지 및 조정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Claims (6)
- (a) 연속지적도와 수치지형도 및 일정 개수의 목표 축척수준이 입력자료로 입력장치에 의해 메인 메모리에 입력되고,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는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수치지형도로부터 네트워크 관련 레이어(도로중심선, 철도중심선, 하천중심선)를 추출하는 자료입력단계(S100)와;
(b)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자료입력단계(S100)로부터 입력받은 목표 축척수준에 맞게 네트워크 데이터의 기하학적, 위상적, 속성적 특성을 반영하여 중요도가 낮은 객체를 순차적으로 삭제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단순화하는 단계(S200)와;
(c) 상기 네트워크 단순화 단계(S200)에서 생성된 단순화된 네트워크 데이터와 메인 메모리에 저장된 연속지적도를 중첩하여 연속지적도의 해당 지목이 차지하는 영역과 네트워크 데이터와의 중첩률에 따라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네트워크 영역과 비네트워크 영역으로 연속지적도를 구분하는, 네트워크/비네트워크 영역 구분 단계(S300)와;
(d) 연속지적도의 네트워크 영역과 비네트워크 영역 내에 존재하는 필지경계선 폴리곤들을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목표 축척수준과 각 필지경계선의 속성정보, 도형의 형상적 정보, 주변 필지경계선들과의 관계정보를 이용하여 병합하는, 필지 병합 단계(S400), 및
(e) 상기 필지 병합 단계(S400)에서 병합된 연속지적도에 선형단순화 기법을 적용하여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필지경계선 내의 불필요한 절점을 제거하고, 경계선의 선형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영역과 비네트워크 영역의 경계지역에서 발생하는 필지경계선의 부정합 문제를 해결하여, 일정 개수의 목표 축척수준의 새로운 지적약도를 생성하는 다축척 지적약도 생성 단계(S500)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d)의 필지 병합 단계(S400)는,
(o)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다음의 수학식이 포함된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필지의 형상적 특성(필지의 면적, 평균 폭, 종횡비, 밀집도, 볼록성)과 속성적 특성(지목, 용도지역지구, 공시지가)을 고려하여 각 필지의 상대적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계산하는, 필지 중요도 계산 단계(S410)와;
(여기서, c1부터 c8 까지는 각 특성치의 가중치, , , , 지목과 용도지역지구 중요도는 사용자가 각각의 범주에 대해 상대적 중요도 수치를 입력)
(p) 상기 단계(o)에서 계산된 필지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하여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네트워크 영역과 비네트워크 영역 내에서 병합할 대상 필지 선택 단계(S420)와;
(q)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단계(p)에서 선택된 필지들을 인접한 필지 중 동일한 지목을 가진 필지로 병합시키는, 동종 인접 필지 간 병합 단계(S430), 및
(r)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단계(p)에서 선택된 필지들을 인접한 필지 중 동일한 지목을 가진 필지가 없는 경우 다른 지목을 가진 필지로 병합시키는, 이종 인접 필지 간 병합 단계(S4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p)에서 더 이상 선택되는 필지가 없을 때까지 상기 단계(o) 내지 상기 단계(r)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네트워크/비네트워크 영역 구분 단계(S300)는,
(j)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수치지형도의 네트워크 중심선 데이터(도로중심선, 하천중심선, 철도중심선)에 버퍼를 네트워크의 실제 폭과 위치오차(수치지형도와 연속지적도 간의 평균 위치오차)의 합 크기만큼 적용하여 폴리곤화하는, 네트워크 데이터에 버퍼 적용 단계(S310)와;
(k)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다음의 수학식이 포함된 메인 메모리 내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각 필지경계선과 그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데이터에 버퍼가 적용된 폴리곤과의 면적 중첩률 계산을 수행하는, 필지경계선과 네트워크 데이터 면적 중첩률 계산 단계(S320)와;
(여기서, (면적 중첩률)i는 연속지적도에서 i번째 필지 폴리곤에 대한 면적 중첩률 값이며, Polygoni는 i번째 필지 폴리곤, Polygont는 수치지형도에서 t라는 레이어명의 버퍼가 적용된 수치지형도 네트워크 폴리곤 데이터)
(l) 상기 단계(k)에서 도출된 면적 중첩률을 기반으로 하여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필지 중 네트워크 영역에 완전히 포함되는 필지와 일정부분 이상 포함되어 있는 필지(네크워크 후보 필지)를 선별하는, 네트워크 필지/네트워크 후보 필지 선정 단계(S330)와;
(m) 상기 단계(l)로부터 도출된 네트워크 후보 필지에 대해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수치지형도의 네트워크 데이터 중 경계 데이터(도로경계, 하천경계, 철도구역 경계)를 중첩하여 경계선에 따라 잘라내기를 실시하는, 네트워크 후보 필지 잘라내기 단계(S340), 및
(n) 상기 단계(m)으로부터 잘려진 필지 조각들에 대해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형상적 특성(잘려진 폴리곤 면적, 폴리곤의 평균폭)에 따라 네트워크 영역 내부로 포함시키거나 외부로 포함시키는, 분할된 필지 재분류 단계(S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의 다축척 지적약도 생성 단계(S500)는,
(s) 상기 단계(d)를 통해 산출된 폴리곤 자료에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연속지적도의 각 절점의 차수(degree, 절점에 연결된 선분의 개수)를 계산하여 차수가 클수록 절점 중요도를 높게 부여하는, 절점 중요도 계산 단계(S510)와;
(t) 필지 경계선들이 병합된 결과에 대하여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Douglas-Peucker 알고리즘 또는 Band Simplify 알고리즘 또는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이 포함된 선형 단순화 기법을 적용하여 필지 경계선 상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굴곡(기하학적 왜곡)과 상기 단계(s)를 통해 계산된 중요도가 낮은 절점을 제거하는, 폴리곤 선형 단순화 단계(S520), 및
(u) 상기 단계(c)에서 면적 중첩률 기반의 네트워크 영역 탐지 기법과 잘라내기 기반의 네트워크 영역 탐지 기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네트워크 영역 간의 경계 부분에서 필지경계선끼리의 불연속 지점을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탐지 조정하는, 필지 경계선 불연속 지점 탐지 및 조정 단계(S5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계(u)는,
상기 네트워크/비네트워크 영역 구분 단계(S300)에서 면적 중첩률 기반으로 네트워크 영역을 탐지하였을 때, 이 영역과 기존의 네트워크 경계 데이터를 중첩하면 영역의 말단 부분에서 불연속 지점인 교차점이 발생하고, 이 교차점에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위치최대오차의 2배의 버퍼를 적용하여 폴리곤을 생성하며, 이 폴리곤을 네트워크 영역과 중첩하여 네트워크 영역만을 잘라낸 후, 도출된 점 위치의 이동량을 측정하여 교차점의 위치를 이동조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699A KR101394976B1 (ko) | 2012-08-20 | 2012-08-20 |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699A KR101394976B1 (ko) | 2012-08-20 | 2012-08-20 |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4590A KR20140024590A (ko) | 2014-03-03 |
KR101394976B1 true KR101394976B1 (ko) | 2014-05-14 |
Family
ID=5064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0699A Active KR101394976B1 (ko) | 2012-08-20 | 2012-08-20 |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9497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704540B (zh) * | 2017-09-21 | 2021-04-16 | 东南大学 | 一种快速提取osm数据中指定行政区内路网的方法 |
KR101984259B1 (ko) * | 2018-08-31 | 2019-05-30 | (주)엔젤스윙 | 지형도생성장치 및 방법 |
KR101993739B1 (ko) * | 2018-12-07 | 2019-06-28 |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 지도이미지의 소축척 변환시 중복개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는 시스템 |
CN111737392B (zh) * | 2020-06-22 | 2024-04-02 | 北京百度网讯科技有限公司 | 合并楼块数据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CN113706996B (zh) * | 2021-08-27 | 2024-04-05 | 张慎佳 | 一种真、伪地图的生理界线比例尺 |
KR102578638B1 (ko) | 2022-11-30 | 2023-09-18 | 주식회사 유오케이 | 고정밀 3차원 지적도 구축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CN116342738B (zh) * | 2023-01-31 | 2023-08-29 | 重庆市地理信息和遥感应用中心(重庆市测绘产品质量检验测试中心) | 一种基于gis的禁捕矢量范围自动提取和图示制作方法 |
KR102797618B1 (ko) * | 2024-04-16 | 2025-04-22 | (주)인토엔지니어링도시건축사사무소 | 유동인구 기반 네트워크 그래프 생성 장치 및 방법 |
-
2012
- 2012-08-20 KR KR1020120090699A patent/KR101394976B1/ko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J. M. Wilmer 외 1인, ‘APPLICATION OF THE RADICAL LAW IN GENERALIZATION OF NATIONAL HYDROGRAPHY DATA FOR MULTISCALE MAPPING’, A special joint symposium of ISPRS Technical Commission IV & AutoCarto, 2010. |
J. M. Wilmer 외 1인, 'APPLICATION OF THE RADICAL LAW IN GENERALIZATION OF NATIONAL HYDROGRAPHY DATA FOR MULTISCALE MAPPING', A special joint symposium of ISPRS Technical Commission IV & AutoCarto, 2010. * |
박우진 외 2인,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연속지적도의 지도 일반화 기법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2011. 73~82쪽 |
박우진 외 2인,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연속지적도의 지도 일반화 기법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2011. 73~82쪽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24590A (ko) | 2014-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4976B1 (ko) | 연속지적도의 다축척 모델 생성 방법 | |
AU2020100703A4 (en) | A method of spatial accessibility evaluation of urban facility services based on GIS | |
CN105701204B (zh) | 基于道路网的电子地图兴趣点的提取方法及显示方法 | |
WO2020233152A1 (zh) | 基于城市建筑空间数据的建成区边界识别方法及设备 | |
CN109272170B (zh) | 一种基于Louvain算法的交通小区划分系统 | |
CN109992923B (zh) | 一种基于变分辨率成本表面的分阶段输电线路路径规划方法 | |
Zhang et al. | A generic matching algorithm for line networks of different resolutions | |
CN114648617B (zh) | 一种基于数字高程模型dem的水系提取方法 | |
CN101630463A (zh) | 路网栅格数字地图自动矢量化方法 | |
CN116778146A (zh) | 基于多模态数据的道路信息提取方法及装置 | |
CN110046213A (zh) | 一种顾及路径失真纠正与交叉跨越纠正的电力选线方法 | |
Khayyal et al. | Creation and spatial analysis of 3D city modeling based on GIS data | |
CN113850822A (zh) | 一种基于汇流分割的斜坡单元自动划分方法 | |
Liu et al. | Road selection based on Voronoi diagrams and “strokes” in map generalization | |
CN110889794A (zh) | 一种市政道路征地房屋统计方法 | |
CN112184282A (zh) | 影院选址模型建立方法、影院选址方法及影院选址平台 | |
CN117036939A (zh) | 一种基于图卷积网络的多源数据协同的城市功能区识别方法 | |
CN116401736A (zh) | 一种基于人工智能的城市绿地空间自动布局方法 | |
Smith et al. | Data set derivation for GIS-based urban hydrological modeling | |
Yan et al. | Description approaches and automated generalization algorithms for groups of map objects | |
CN113724279A (zh) | 路网自动划分交通小区的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 |
CN105844031A (zh) | 一种基于手机定位数据的城市交通廊道识别方法 | |
CN119047337B (zh) | 基于bim三维可视化技术的道路工程设计建模方法及系统 | |
CN107944089A (zh) | 一种基于现状视廊的地块限高分析系统及其分析方法 | |
Zhang | Spatiotemporal features of the three-dimensional architectural landscape in Qingdao, Chin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