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336B1 - 케미칼 배관 고정 및 보호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 - Google Patents

케미칼 배관 고정 및 보호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336B1
KR102510336B1 KR1020220060381A KR20220060381A KR102510336B1 KR 102510336 B1 KR102510336 B1 KR 102510336B1 KR 1020220060381 A KR1020220060381 A KR 1020220060381A KR 20220060381 A KR20220060381 A KR 20220060381A KR 102510336 B1 KR102510336 B1 KR 10251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sposed
fixing member
fasten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형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형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형원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6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7/00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 F16L7/02Supporting of pipes or cables inside other pipes or sleeves, e.g. for enabling pipes or cables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under roads or railways without interruption of traffic and sealing the pipes or cables inside the other pipes, cables or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배관 고정 및 보호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가 제공된다.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배관이 배치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커버부에 의해 상측이 밀폐되며, 바닥면 및 벽면의 연결부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벽면이 하나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본체부와 동일한 폭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관이 상단에 안착되는 배관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양측 벽면에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고정부재가 끼움 고정되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고정부재는,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단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어, 상기 배관이 안착되는 배관안착부;를 포함하는, 배관 덕트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미칼 배관 고정 및 보호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PIPE DUCTS WITH CHEMICAL PIPE ANCHORING AND PROTECTIVE STRUCTURES}
본 발명은 배관의 액상 내용물 누출 방지 및 배관 보호/고정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 시설에서 제품 생산을 위해 위험 화학 약품이 사용되며, 이와 같은 화학 약품은 중앙공급 및 개별 충진으로 생산 장비에 공급이 된다. 중앙공급으로 화학 약품이 생산 장비에 공급되는 경우, 공장의 천장 또는 바닥에 배치된 케미칼(Chemical) 전용 배관을 통해 화학 약품이 생산 장비까지 공급이 된다. 이때 케미칼 배관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케미칼 배관의 파손 및 내용물의 외부 누출로 인한 인명 또는 환경 피해에 대비하여야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케미칼 배관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잘못된 시공으로 위험물질이 유출되는 등의 유출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미칼 배관은 내용물의 유출로 인한 사고 발생시 큰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가 발생될 수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중 보안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즉, 화학 약품 누출 및 안전 사고 발생 시 정확한 진단과 빠른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배관 증설이 용이한 케미칼 배관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배관을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사고 발생 시 누출 최소화 및 개별 조치가 가능하고 파손 시 교체가 간편한 배관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배관이 배치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커버부에 의해 상측이 밀폐되며, 바닥면 및 벽면의 연결부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벽면이 하나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본체부와 동일한 폭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관이 상단에 안착되는 배관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양측 벽면에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고정부재가 끼움 고정되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고정부재는, 상기 배관고정부재의 상단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어, 상기 배관이 안착되는 배관안착부;를 포함하는, 배관 덕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 덕트는 배관이 본체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배관의 완충, 유동 방지 효과 및 배관에서 누출되는 내용물의 충수량 확보의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배관고정부재는 상단에 배관이 안착됨에 따라 배관이 본체부의 바닥면에서 이격 배치되어, 배관에서 내용물이 누출 시 누출물로 인해 배관이 오염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는 상단에 커버부 배치 시 고정패널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되어 설치 및 탈착이 간편하다. 필요에 따라, 본체부는 내부에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을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부를 교체하지 않고 배관고정부재를 교체하여 간편하게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을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 덕트는 완충부에 의해 배관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완충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배관이 배관안착부에 안착시 완충부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다가 정지되며 안착되어, 배관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에 충격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완충부에 의해 배관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배관이 타측으로 이탈되거나 엉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 덕트는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배관 덕트는 볼트 및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체결 부재 및 슬라이드 끼움 방식을 사용하여, 초기 설치 및 사용 중에도 탈착이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들은 반드시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상세한 설명 등 명세서의 다른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덕트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관 덕트의 변형예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관고정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체결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탈방지부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덕트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배관 덕트(100)는 내부에 배관(C)이 배치되어 배관(C)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배관 덕트(10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고, 배관(C)을 고정 및 보호할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 덕트(10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개폐가 가능한 바디부(110) 및 바디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배관(C)이 안착되는 배관고정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 덕트(100)는 건물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간편하게 설치 및 탈착이 가능하고, 배관(C)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배관(C)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바디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배관(C)이 배치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건물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배관(C)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10)는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배관(C)이 배치되는 본체부(112), 본체부(112)의 상단을 밀폐하는 커버부(114) 및 다수 개의 본체부(112)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절곡연결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2)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되, 상측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마주보는 벽면의 사이에 배치된 바닥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체부(112)는 벽면 및 바닥면이 모두 하나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되, 벽면과 바닥면의 경게에 형성된 슬릿(S)에 의해 절곡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체부(112)는 벽면 및 바닥면이 별도로 형성되어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대략적으로 'V'자 형상으로 패여진 슬릿(S)에 의해 하나의 판형 부재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12)는 슬릿(S)에 의해 결합면이 없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밀폐성이 향상되고 제작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슬릿(S)은 배관(C)에서 본체부(112)의 내부로 액상의 약품과 같은 내용물이 누출 시, 종래 사용되는 접합부가 있는 배관 덕트에 비해 액상의 약품의 외부 누출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12)가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접합 부위 없이 일체형으로 본체부(112)가 제작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사출 장비 및 금형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상승되고, 공정 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본체부(112)는 제작된 판형 부재에 슬릿(S)을 형성하여 절곡하는 과정으로 제작되므로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 비해 제작 비용 및 제작 공정 수가 감소되며, 사출 성형에 비해 적은 장비로도 본체부(112)를 형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2)는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홈(112a) 및 체결부재(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112a)은 본체부(112)의 내측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양측 벽면에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12a)에는 배관고정부재(120)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체결홈(112a)은 배관고정부재(120)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112a)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다수 개의 배관고정부재(120)가 체결홈(112a)에 끼움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체결부재(112b)는 본체부(112)의 외측 벽면에 배치되어, 후술할 커버부(114)의 밀폐고리부(114b)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112b)는 밀폐고리부(114b)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본체부(112)와 커버부(114)를 간편하게 밀폐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14)는 본체부(112)의 상단에 배치되어, 본체부(112)를 밀폐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114)는 본체부(112)의 상측 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되어, 본체부(112)의 상측을 밀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114)는 본체부(112)와의 접촉부에 배치되는 패킹부(114a), 본체부(112)와 체결 고정되는 밀폐고리부(114b) 및 배관고정부재(120)의 상단에 배치되는 고정패널(114c)을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114a)는 커버부(114)의 하단에 배치되되, 본체부(112)의 상단과 접촉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패킹부(114a)는 본체부(112)와 커버부(114) 간의 접촉부를 밀폐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패킹부(114a)는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패킹부(114a)는 합성 고무 또는 합성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재질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킹부(114a)는 소정 정도 탄성 변형되어 본체부(112)와 커버부(114)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고리부(114b)는 커버부(114)의 일측에 배치되어, 본체부(112)의 일측에 배치된 체결부재(112b)와 연결 고정될 수 있다. 밀폐고리부(114b)는 커버부(114)와 본체부(112)를 이탈되지 않게 연결 고정하며, 간편하게 탈착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밀폐고리부(114b)는 본체부(112)와 커버부(114)를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연결되는 것에 비해 별도의 도구 없이 개폐가 가능하므로 간편하고 안전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고정패널(114c)은 커버부(114)의 하측에 배치되되, 배관고정부재(120)와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패널(114c)은 커버부(114)가 본체부(112)의 상단에 배치 시, 배관고정부재(120)의 상측과 맞물리며 자동적으로 배관고정부재(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고정패널(114c)의 하단에는 패킹(미도시)이 배치되어 배관고정부재(120)를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또는, 고정패널(114c)은 후술할 배관고정부재(120)의 배관안착부(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으로 인입된 홈이 형성되어, 배관(C)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패널(114c)은 배관고정부재(120)를 간편하게 고정 및 밀폐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절곡연결부(116)는 본체부(112)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배관(C)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절곡연결부(116)는 배관(C)이 진행 방향을 바꿔 배치되는 경우에 연결되어, 배관(C)의 절곡부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연결부(116)는 'ㄱ'자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갖는 제1절곡연결부(116a) 및 제1절곡연결부(116a)와 체결 결합되는 제2절곡연결부(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연결부(116)는 완전 개방되어 배관(C)을 내부에 용이하게 배치시키고, 체결부재를 통해 간편하게 개폐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제1절곡연결부(116a)는 대략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절곡연결부(116a)는 체결부재가 배치되어 별도의 볼트 및 너트 결합 없이 제2절곡연결부(116a)와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제1절곡연결부(116a)는 본체부(112)에 일측이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제1돌출부(116a-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116a-1)는 제2절곡연결부(116b)의 제2돌출부(116b-1)와 결합되어 본체부(112)의 끝단에 삽입 고정되므로 끝단의 결합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절곡연결부(116b)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부재로 형성되고, 제1절곡연결부(116a)와 체결 결합될 수 있다. 제2절곡연결부(116b)는 제1절곡연결부(116b)와 마찬가지로 체결부재가 배치되어, 별도의 볼트 및 너트 결합 없이 제1절곡연결부(116a)와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제2절곡연결부(116b)는 본체부(112)에 일측이 삽입 배치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제2돌출부(116b-1)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돌출부(116a-1) 및 제2돌출부(116b-1)는 결합 시 본체부(112)의 일측 단부의 개방부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돌출부(116a-1) 및 제2돌출부(116b-1)가 결합 시 외주연은 본체부(112)의 끝단 개방부의 내주연과 동일하거나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본체부(112)의 개방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관 덕트의 변형예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배관고정부재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변형예의 배관 덕트(100)는 전술한 실시예의 배관 덕트(100)에 부가적인 구성이 추가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의 배관 덕트(100)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 덕트(100)는 배관고정부재(120)의 상단에 배치되어 배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부(130), 배관고정부재(120)를 바디부(110)에 고정시키는 고정체결부(140) 및 배관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이탈방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관고정부재(120)는 본체부(112)의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단에 배관(C)이 안착될 수 있다. 배관고정부재(120)는 본체부(112)와 동일한 폭의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관고정부재(120)는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어 상단에 배관(C)이 안착되는 배관안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관고정부재(120)는 배관(C)이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관(C)이 본체부(112)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되어 배관(C)에서 액상의 약품과 같은 내용물이 누출되는 경우 배관(C)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배관(C)에서 액상의 내용물이 누출되는 경우, 본체부(112)는 내부에 배관(C)에서 누출된 누출물이 인입되되, 배관고정부재(120)로 구획된 공간에 누출물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누출물이 본체부(112)의 전체 공간으로 퍼지지 않고, 배관고정부재(120)에 의해 구획된 공간 안에만 배치되어, 누출물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치가 가능하며, 누출되어 오염된 부분에 대해 교체가 간편한 특징이 있다.
배관안착부(122)는 배관고정부재(120)의 상단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어 배관(C)이 안착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배관안착부(122)는 대략적으로 'U'자 형상으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배관안착부(122)는 배관(C)이 본체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게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배관안착부(122)는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C)의 곡면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완충부(130)는 배관고정부재(120)의 배관안착부(122)의 상단에 탄성 부재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완충부(130)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판형 부재인 완충패널(132) 및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패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완충부(130)는 배관(C)을 배관고정부재(120)에 안착 시 배관(C)의 접촉부에 압력이 가해지고, 외부의 영향에 의해 배관(C)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완화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완충패널(132)은 일측이 배관안착부(122)에 연결되고, 타측은 배관안착부(122)에서 이격된 판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패널(132)은 상단에 배관(C)이 안착 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배관(C)의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완충패널(132)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배관안착부(122)에 배관(C)이 안착 시 압력에 의해 배관(C)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완충패드(134)는 완충패널(132)의 하단에 배치되고, 전부 또는 일부가 탄성 부재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완충패드(134)는 고무, 스펀지, 우레탄, 실리콘 및 펠트 중 하나 이상을 재질로 포함할 수 있다. 완충패드(134)는 배관(C)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완충패드(134)는 배관안착부(122)에 배관(C)이 안착되는 경우, 완충패널(132)이 상하로 유동되며 오목부에 접촉 시 배관(C) 및 완충패널(132)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정체결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고정체결부(140)는 배관고정부재(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체결홈(112a)에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체결부(140)는 배관고정부재(120)를 본체부(112)에 견고하게 결합 및 간편하게 탈착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체결부(140)는 배관고정부재(120)의 일측에 관통 배치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체결돌기(141), 체결돌기(141)를 외측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142), 체결돌기(141)와의 사이에 탄성부(142)가 배치되는 지지판넬(143), 체결돌기(141)의 끝단에서부터 배관고정부재(120)의 전면으로 절곡 형성되는 작동레버(144), 배관고정부재(1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작동레버(144)의 일부가 노출되는 개구부(145) 및 본체부(112)에 형성되어 체결돌기(141)가 삽입되는 돌기삽입홈(146)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141)는 배관고정부재(120)의 일측에 관통 배치되고, 좌우로 이동되어 본체부(112)의 체결홈(112a)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체결돌기(141)는 끝단이 구형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2)의 체결홈(112a)에 삽입 시 체결돌기(141)의 경사면을 따라 체결돌기(141)가 배관고정부재(12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후, 배관고정부재(120)가 체결홈(112a)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돌기삽입홈(146)에 체결돌기(141)가 배치되면, 탄성부(142)에 의해 체결돌기(141)가 외측으로 인출되어 돌기삽입홈(146)에 체결돌기(141)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142)는 배관고정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되, 체결돌기(141)와 지지판넬(14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142)는 내부에 작동레버(144)가 관통 배치되며, 탄성적으로 압축 및 이완될 수 있다. 즉, 탄성부(142)는 체결돌기(141)의 끝단에 배치되어, 체결돌기(141)를 외측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지지판넬(143)은 체결돌기(141)와 이격 배치되며, 배관고정부재(120)의 내측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넬(143)은 중심부가 개방 형성되어, 작동레버(144)가 관통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판넬(143)의 개방부는 작동레버(144)의 단면보다 크고 탄성부(142)의 단면보다는 작은 면적으로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판넬(143)은 체결돌기(141)와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142)가 지지되고, 관통 배치된 작동레버(144)가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작동레버(144)는 체결돌기(141)에서부터 탄성부(142)를 관통하며, 배관고정부재(120)의 전면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작동레버(144)는 수직으로 절곡된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되, 체결돌기(141)보다 작은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작동레버(144)는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체결돌기(141)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배관고정부재(120)를 본체부(112)에서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작동레버(144)를 배관고정부재(120)의 내측 방향으로 잡아당기고, 작동레버(144)의 끝단에 연결된 체결돌기(141)가 내측으로 인입되고, 탄성부(142)가 압축된다. 이후, 배관고정부재(120)를 들어올려 본체부(112)에서 인출하면 탄성부(142)가 이완되며 체결돌기(141)가 배관고정부재(120)에서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 초기 상태로 원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레버(144)는 파지부(144a)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44a)는 작동레버(144)가 절곡되어 개구부(145)로 돌출 배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파지부(144a)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끝단이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45)는 배관고정부재(120)의 전면부에 개방 형성되어, 작동레버(144)의 파지부(144a)가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개구부(145)를 따라 파지부(144a)가 좌우로 이동되어 체결돌기(14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개구부(145)는 파지부(144a)를 배관고정부재(120)의 내측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 체결돌기(141)가 배관고정부재(120)의 내측에 인입되는 위치까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돌기삽입홈(146)은 본체부(112)의 체결홈(112a)에 형성되어, 체결돌기(141)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즉, 돌기삽입홈(146)은 배관고정부재(120)가 체결홈(112a)에 끼워졌을 때, 체결돌기(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돌기(14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이탈방지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150)는 배관고정부재(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배관고정부재(120)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이탈방지부(150)는 커버부(114)에 고정패널(114c)이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관안착부(122)에 큰 지름의 배관(C)이 배치되는 경우, 후술할 체결바(154)를 해제하여 배관(C)이 커버부(114)의 하측 면까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배관안착부(122)에 작은 지름의 배관(C)이 배치되는 경우, 후술할 체결바(154)를 체결하여 배관(C)이 유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부(150)는 배관고정부재(120)의 일측 상단에 배치되는 힌지부(152), 힌지부(152)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체결바(154), 체결바(154)가 끼움 고정되는 체결바 안착부(156) 및 체결바(154)의 끝단 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158)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부(150)는 배관안착부(122)에 배치되는 배관(C)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관고정부재(120)의 상단에 체결되어, 배관(C)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152)는 배관고정부재(120)의 일측 상단에 배치되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배관고정부재(120)를 본체부(112)에 인입하는 경우, 힌지부(152)는 체결홈(112a)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152)에는 체결바(154)가 연결되어 체결바(154)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체결바(154)는 힌지부(152)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바(154)는 끼움홈(158)에 끼워져 본체부(112) 및 배관고정부재(120)에 끼움 고정되는 끼움돌기(15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바(154)는 배관안착부(122)에 소량 또는 작은 직경의 배관(C)이 배치되는 경우, 배관고정부재(120)의 상단에 체결될 수 있다. 반대로, 대량 또는 큰 직경의 배관(C)이 배관안착부(122)에 배치되는 경우, 체결바(154)가 본체부(112)에 배치된 체결바 안착부(156)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체결바(154)는 배관(C)의 크기 및 배치되는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관고정부재(12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관안착부(122)의 상단에 소량 또는 작은 직경의 배관(C)이 배치되나 체결바(154)가 체결되지 않는다면, 배관(C)이 외부의 영향에 의해 유동되거나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배관(C)이 지속적으로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경우, 배관(C)에서 균열이 발생되어 내용물이 누출되거나 배관(C)이 배관고정부재(120)와 커버부(114)의 사이에 끼이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체결바(154)가 배관안착부(122)의 상단에 체결되면, 배관(C)의 유동이 방지되어 내용물의 누출 및 배관(C)의 끼임이 방지되고, 배관(C)이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체결바(154)의 일측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체결바(154)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움홈(158)에 고정되게 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인입된 인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돌기(154a)는 체결바(154)의 일측에 배치되어, 본체부(112)에 체결바(154)를 끼움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즉, 끼움돌기(154a)는 본체부(112)에 형성된 끼움홈(158)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끼움돌기(154a)는 끼움홈(158)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끼움돌기(154a)가 체결바 안착부(156)에 인입되게 배치되는 경우, 본체부(112)의 체결바 안착부(156)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158)에 끼움돌기(154a)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끼움돌기(154a)가 체결바(154)의 상단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체결홈(112a)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홈(158)에 끼움돌기(154a)가 끼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체결바 안착부(156)는 본체부(112)의 내측 벽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되, 체결바(154)가 끼워질 수 있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체결바 안착부(156)는 체결홈(112a)과 동일한 깊이로 홈이 형성되어, 체결바(154)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체결바 안착부(156)의 내측에 체결바(154)를 보관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끼움홈(158)은 본체부(112)의 체결바 안착부(156) 및 체결홈(112a)에 형성되되, 끼움돌기(154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홈(158)에는 끼움돌기(154a)가 억지끼움으로 끼움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 덕트(100)는 배관(C)이 본체부(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배관의 완충, 유동 방지 효과 및 배관에서 누출되는 내용물의 충수량 확보의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배관고정부재(120)는 상단에 배관(C)이 안착됨에 따라 배관(C)이 본체부(112)의 바닥면에서 이격 배치되어, 배관(C)에서 내용물이 누출 시 누출물로 인해 배관이 오염되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관고정부재(120)는 상단에 커버부(114) 배치 시 고정패널(114c)에 의해 자동으로 고정되어 설치 및 탈착이 간편하다. 필요에 따라, 본체부(112)는 내부에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C)을 배치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부(112)를 교체하지 않고 배관고정부재(120)를 교체하여 간편하게 다양한 사이즈의 배관(C)을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배관고정부재(120)는 본체부(112)의 내부를 구획하여, 배관(C)에서 내용물 누출 시 내용물이 본체부(112)의 내부에 전체적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배관고정부재(120)는 배관(C)에서 누출 사고 발생 시 누출을 최소화하고 개별 조치가 가능하며, 누출되어 오염된 부분의 교체가 간편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 덕트(100)는 완충부(130)에 의해 배관(C)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완충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배관(C)이 배관안착부(122)에 안착시 완충부(13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다가 정지되며 안착되어, 배관(C)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12)에 충격이 가해진다고 하더라도, 완충부(130)에 의해 배관(C)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배관(C)이 타측으로 이탈되거나 엉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배관 덕트(100)는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배관 덕트(100)는 볼트 및 너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체결 부재 및 슬라이드 끼움 방식을 사용하여, 초기 설치 및 사용 중에도 탈착이 간편하고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배관 덕트 110: 바디부
112: 본체부 114: 커버부
116: 절곡연결부 120: 배관고정부재
122: 배관안착부 130: 완충부
132: 완충패널 134: 완충패드
140: 고정체결부 141: 체결돌기
142: 탄성부 143: 지지판넬
144: 작동레버 145: 개구부
146: 돌기삽입홈 150: 이탈방지부
152: 힌지부 154: 체결바
156: 체결바 안착부 158: 끼움홈

Claims (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배관(C)이 배치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커버부(114)에 의해 상측이 밀폐되며, 바닥면 및 벽면의 연결부에 형성된 슬릿(S)에 의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벽면이 하나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는 본체부(112)를 포함하는 바디부(110); 및
    상기 본체부(112)와 동일한 폭의 판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2)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배관(C)이 상단에 안착되는 배관고정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2)는,
    상기 본체부(112)의 내측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양측 벽면에 마주보게 형성되어, 상기 배관고정부재(120)가 끼움 고정되는 체결홈(112a);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14)는,
    상기 커버부(114)의 하단에 배치되되, 상기 배관고정부재(1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114)가 상기 본체부(112)의 상단에 배치 시, 상기 배관고정부재(120)의 상단과 맞물리는 고정패널(114c);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고정부재(120)는,
    상기 배관고정부재(120)의 상단이 하방으로 오목하게 인입 형성되어, 상기 배관(C)이 안착되는 배관안착부(122);를 포함하는, 배관 덕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114)는,
    상기 커버부(114)의 하단에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112)와 상기 커버부(114) 간의 접촉부를 밀폐하는 패킹부(114a);를 더 포함하는, 배관 덕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본체부(112)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배관(C)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절곡연결부(116);를 더 포함하는, 배관 덕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안착부(122)의 상단에 탄성 부재로 배치되어, 상기 배관(C)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부(130);를 더 포함하는, 배관 덕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130)는,
    일측이 상기 배관안착부(122)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관안착부(122)에서 이격된 판형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C)이 안착 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는 완충패널(132); 및
    상기 완충패널(132)의 하단에 탄성 부재로 배치되어, 상기 배관(C)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패드(134);를 포함하는, 배관 덕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재(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홈(112a)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배관고정부재(120)를 상기 본체부(112)에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체결부(140);를 더 포함하는, 배관 덕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결부(140)는,
    상기 배관고정부재(120)의 일측에 관통 배치되고, 좌우로 이동되어 상기 체결홈(112a)에 삽입 고정되는 체결돌기(141);
    상기 체결돌기(141)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배관고정부재(120)의 내측에 고정 형성되고, 중심부가 개방 형성된 지지판넬(143);
    상기 체결돌기(141)와 상기 지지판넬(143)의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작동레버(144)가 관통 배치되며, 탄성적으로 압축 및 이완되어 상기 체결돌기(141)를 외측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142);
    상기 체결돌기(141)에서부터 상기 탄성부(142)를 관통하며, 상기 배관고정부재(120)의 전면으로 절곡 형성되어, 좌우로 상기 체결돌기(141)를 이동시키는 작동레버(144);를 포함하는, 배관 덕트.
KR1020220060381A 2022-05-17 2022-05-17 케미칼 배관 고정 및 보호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 KR10251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81A KR102510336B1 (ko) 2022-05-17 2022-05-17 케미칼 배관 고정 및 보호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381A KR102510336B1 (ko) 2022-05-17 2022-05-17 케미칼 배관 고정 및 보호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336B1 true KR102510336B1 (ko) 2023-03-15

Family

ID=8564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381A KR102510336B1 (ko) 2022-05-17 2022-05-17 케미칼 배관 고정 및 보호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3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064A (ja) * 2005-09-14 2007-03-29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ダクト付属品及び配線配管ダクト装置
KR20090012054U (ko) * 2008-05-23 2009-11-26 (주)와콘엔지니어링 교량용 배관 현수장치
KR101410153B1 (ko) * 2012-12-11 2014-07-0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개폐식 케이블 덕트
KR101681010B1 (ko) * 2016-07-25 2016-11-29 (주)대한프라스틱 배관 보호 구조체
KR102236519B1 (ko) * 2020-03-31 2021-04-05 김정환 배관 설비용 덕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8064A (ja) * 2005-09-14 2007-03-29 Mirai Ind Co Ltd 配線配管ダクト付属品及び配線配管ダクト装置
KR20090012054U (ko) * 2008-05-23 2009-11-26 (주)와콘엔지니어링 교량용 배관 현수장치
KR101410153B1 (ko) * 2012-12-11 2014-07-02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개폐식 케이블 덕트
KR101681010B1 (ko) * 2016-07-25 2016-11-29 (주)대한프라스틱 배관 보호 구조체
KR102236519B1 (ko) * 2020-03-31 2021-04-05 김정환 배관 설비용 덕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1537B (zh) 地下通用箱總成
US4501374A (en) Hazardous fluid tank with check valve
CN101723124A (zh) 装有在用户压力作用下可移动的密封构件的液体分配装置
TWI737411B (zh) 軟性接觸之密閉式光罩收容裝置
KR101100378B1 (ko) 연결장치
KR102510336B1 (ko) 케미칼 배관 고정 및 보호 구조가 포함된 배관 덕트
CN102481840A (zh) 用于开口的插入件
CN107399232A (zh) 用于车辆的内部安装式模块化燃料填充凹口组件
US20060082072A1 (en) Storage tank orifice flexible center mount fitting
KR101544209B1 (ko) 관 이음부 보호커버
KR101807987B1 (ko) 입상배관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US11352201B2 (en) Peripheral sealing assembly for an internal floating roof
EP3521523A1 (en) Leakage protection device for a toilet flush tank
KR101271168B1 (ko) 내진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873784B1 (ko) 특고압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0786561B1 (ko) 지중구조물 조립식 관로구
KR102296185B1 (ko)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
US8959674B2 (en) Drain valve assembly
KR100866173B1 (ko) 방진용 신축 이음구
KR20130118654A (ko) 맨홀용 방수 장치
JP6040951B2 (ja) 作業機械の索状体保持具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US20110284000A1 (en) Connecting unit for components in a breathing system
KR200482624Y1 (ko) 건물 내외장 패널 마감재
KR1018094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JP2017032098A (ja) 二重管の液漏れ対応構造と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