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185B1 -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 - Google Patents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185B1
KR102296185B1 KR1020200171291A KR20200171291A KR102296185B1 KR 102296185 B1 KR102296185 B1 KR 102296185B1 KR 1020200171291 A KR1020200171291 A KR 1020200171291A KR 20200171291 A KR20200171291 A KR 20200171291A KR 102296185 B1 KR102296185 B1 KR 10229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flange
connec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일
김금주
Original Assignee
이성일
김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일, 김금주 filed Critical 이성일
Priority to KR1020200171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1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가 형성된 밸브 플랜지 바디에 설치되는 대구경의 연결과 접속구의 결합 설치시 하방향으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수밀 및 유밀을 유지하고 수압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가 형성된 밸브 플랜지 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 설치되는 상수관과, 상기 상수관과 밸브 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패킹 또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일측면부에 접속공(20)이 형성되고, 대구경으로 이루어지는 관로 플랜지(14)가 구비된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와;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의 관로 플랜지(14)의 일면에 결합 설치되어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106)과; 상기 관로 플랜지(14)와 상수관(106)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 설치되되, 대구경을 갖는 연결관 접속구(104)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가 설치될 때, 하방향으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접속돌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는,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 설치 작업시 패킹이 처지지 않도록 하고 손쉽게 빠르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정이 빠르게 되어 생산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 설치 작업시 관로 플랜지부와 상수관의 밀착력과 수밀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고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Structure sluice valve for connect-pipe prevent to sag}
본 발명은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가 형성된 밸브 플랜지 바디에 설치되는 대구경의 연결과 접속구의 결합 설치시 하방향으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치하여 수밀 및 유밀을 유지하고 수압을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체에는 상수관체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 내부를 흐르는 물을 일시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제수밸브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수밸브는 관로 등에 설치되는 게이트 밸브의 일종으로 슬루스 밸브라고도 하고, 유지보수 작업시 유입된 공기 및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 배출밸브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수밸브와 상수관체의 연결부위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패킹이 개재되어 설치된다.
제수밸브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흐르는 유로관의 중앙부에 밸브 몸체(1)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몸체(1)의 상부에 밸브덮개(2)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밸브 몸체(1)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승강되면 관로를 개폐하는 밸브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 몸체(1)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는 상수관(5)이 연결되는바, 상기 밸브 몸체(1)와 상수관(5) 사이에는 수밀 또는 유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4)이 개재되어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패킹(4)의 경우, 소구경 관로를 갖는 상수관(5)의 결합시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결합되어도 처짐이 발생하지 않으나 대구경의 관로를 연결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구경으로 형성된 패킹을 위에서 고정하기 위해 잡으면 밑에서는 패킹(4)의 처짐이 크게 발생하여 상수관의 연결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고, 상기 패킹(4)이 처진 상태에서 결합되는 경우에는 패킹의 일부가 찌그러짐으로써 틈새가 발생하여 수밀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수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수압이 약해짐으로써 상수공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039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931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부에 결합 설치되는 패킹을 설치시 전후좌우 어느 한부분이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수관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 설치시 별도의 볼팅 작업을 하지 않고 선작업으로 미리 끼움 부착하여 이동하고 상수관로의 연결작업을 후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 연결 작업시 패킹의 처짐이나 찌그러짐의 발생이나 손상없이 신속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밀착력을 우수하게 개선하여 수밀과 유밀을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 설치 작업시 선작업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유밀성과 수밀성을 우수하게 향상시켜서 상수공급시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랜지부가 형성된 밸브 플랜지 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 설치되는 상수관과, 상기 상수관과 밸브 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패킹 또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일측면부에 접속공(20)이 형성되고, 대구경으로 이루어지는 관로 플랜지(14)가 구비된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와;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의 관로 플랜지(14)의 일면에 결합 설치되어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106)과; 상기 관로 플랜지(14)와 상수관(106)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 설치되되, 대구경을 갖는 연결관 접속구(104)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가 설치될 때, 하방향으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접속돌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는,
상기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접속구 몸체(34)와; 상기 접속구 몸체(34)의 외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윙부(38)와; 상기 다수의 결합윙부(38)의 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기역자(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로 플랜지(14)에 형성된 접속공(20)에 끼움 고정되어 하방향으로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접속돌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 플랜지(14)에 형성된 접속공(20)에 연결관 접속구(104)를 선결합하여 설치한 후, 이동하여 상기 상수관(106)이 후결합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구경의 연결관 접속구(104)의 구경은 적어도 300mm - 1000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는,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 설치 작업시 패킹이 처지지 않도록 하고 손쉽게 빠르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공정이 빠르게 되어 생산성이 우수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 설치 작업시 관로 플랜지부와 상수관의 밀착력과 수밀성을 우수하게 향상시키고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의 밸브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의 밸브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의 연결관 접속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의 구조를 보여주는 조립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의 밸브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의 밸브바디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의 연결관 접속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를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수밸브(100)는 밸브 플랜지 바디(102)와, 연결관 접속구(104)와, 상수관(106)과, 밸브대(108)와, 덮개(110)와, 핸들(112)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는, 역티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10)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의 좌측 및 우측부에는 관로 플랜지(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로 플랜지(14)에는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가 측면부에 결합 고정되어 관로에 공급되는 상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패킹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의 접속이 이루어진 후, 상기 상수관(106)을 접속시켜서 제수밸브(100)의 관로를 연결시킨다.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의 중앙부 수직한 상방으로는 밸브대(108)가 끼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밸브대(108)의 외측부에는 덮개(110)가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밸브대(108)의 상단부에는 핸들(112)이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는 실리콘 재질, 고무재질, 합성수지재, MBR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기로는 복원력이 우수하여 눌림자국이 생기지 않는 탄력성을 갖는 실리콘을 사용한다.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는 양측면부에 관로 플랜지(14)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로 플랜지(14)에는 다수 개의 체결공(18) 및 다수 개의 접속공(2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는 원판형상으로 접속구 몸체(34)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구 몸체(34)에는 결합돌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밸브 플랜지 바디(102)의 관로 플랜지(14)에 형성된 접속공(20)에는 상기 접속구 몸체(34)의 결합돌부(40)가 끼움 결합되어 수밀 및 유밀을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밸브 플랜지 바디(102)는 역티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몸체(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0)의 우측부에는 밸브 내로 유입된 상수가 배출되는 수평관체(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의 좌측부에는 상수가 유입되는 수평관체(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평관체(12,13)의 단부에는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14)는 적어도 300mm - 1000mm 의 직경을 갖는 플랜지로서 상기 관로 플랜지(14)에 설치되는 패킹, 가스켓 등의 연결관 접속구(104)가 자중 또는 하중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즉, 상기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14)에 설치되는 패킹, 가스켓 등의 연결관 접속구(104)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연질의 실리콘재,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하는바, 결합을 위하여 상부를 고정하는 경우, 하부에서는 자중과 중력에 의해 처짐량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대구경이라함은 본 발명에서는 300mm - 1000mm로 한정하였지만 더 나아가서는 사용자 및 사용용도에 따라 적어도 300mm 이상 또는 1000mm 이상의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며, 이는 당업자라면 당연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관로 플랜지(14)의 중앙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관로(16)가 형성되어 상수가 유입되고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측면부에는 다수의 체결공(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체결공(18)은 전술된 상수관(106)을 상기 관로 플랜지(14)의 일측면부에 볼트,너트 등의 고정수단(도면부호 도시안함)을 이용하여 체결 고정시 이용된다.
상기 다수의 체결공(18)은 짝수개로 8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18)의 사이에 다수의 접속공(20)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공(20)은 체결공 사이에 각각 4개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공(20)에는 전술된 연결관 접속구(104)가 끼워져서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는 대구경으로서 상기 관로 플랜지의 중심과 일치하고 적어도 300mm-1000mm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사용용도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그 이상으로도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로 플랜지(14)의 관로(16)와 상기 체결공(18)의 사이에는 접속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돌기(22)에는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돌기(22)와 다수의 슬릿들이 전술된 연결관 접속구(104)의 일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접속돌기(22)와 슬릿들은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의 우측면부- 도1에서와 같이 - 에서와 같이 상수관(106)이 강하게 가압되어 설치되는 경우, 연질의 연결관 접속구(104)의 좌측면부가 강하게 가압되면서 슬릿들의 틈 사이로 밀려들어가서 밀착됨으로써 수밀과 유밀의 밀폐력이 강해져서 관로를 통과하는 상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로 플랜지(14)의 하부면에는 직사각형상의 양측단부가 수직하게 형성되고 하부면이 수평하게 형성된 좌우 한 쌍의 수평 받침부(24)가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상기 수평 받침부(24)는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가 바닥에 놓여질 때, 수평을 유지하여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의 결합 설치시 수평을 정확하게 맞춰서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상기 몸체(10)의 중앙 상부에는 수직관체(26)가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관체(26)의 상단부에는 상부 플랜지(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플랜지(28)의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밸브대(108)가 설치되는 관로(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플랜지(28)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체결공(3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관로 플랜지(14)의 일측면부에는 상수관(106)의 연결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 가스켓 등의 연결관 접속구(104)가 개재되어 설치되는바,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구 몸체(34)와, 상기 접속구 몸체(34)의 외주면에 돌출되되 외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결합윙부(38)와, 상기 결합윙부(38)의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속공(20)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형성된 접속돌부(40)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는 연질의 실리콘재, 고무재, 합성수지재 등을 사용하여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침해되지 않고 압력 및 온도에 대해 충분한 탄성이나 유연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로 플랜지(14)와 상수관(106)의 결합부에서 누수 또는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압 접합력을 유지하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가 관로 플랜지(14)와 접합면에서의 밀착시 상기 슬릿들에 연질로 이루어진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의 일면이 슬릿에 밀려들어가서 함입되도록 강하게 가압하여 관로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고 관로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구 몸체(34)에 외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다수 개의 결합윙부(38)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윙부(34)는 90도 간격으로 상하좌우측부에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윙부(34)의 일측면 -도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 좌측방향으로는 상기 접속공(20)에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의 접속돌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돌부(40)는 원기둥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윙부(38)와 수직하게 기역자(ㄱ) 형상으로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접속돌부(40)는 상기 접속공(20)에 끼워져서 결합됨으로써 상방에서 하방으로 작용하는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의 자중 또는 하중에 대하여 선작업으로 설치되고 관로 플랜지(14)를 중심을 기준으로 하방향으로의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관 접속구의 다른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먼저, 원판형상의 접속구 몸체(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방으로 접속돌부(40)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접속돌부(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칭되도록 보강슬릿(42)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슬릿(42)에는 하중 지지구(44)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 보강슬릿(42)은 상기 접속돌부(40)의 결합시 상방에서 하방으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중 지지구(44)가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강슬릿(42)에는 상기 하중 지지구(44)가 결합 고정된다.
상기 하중 지지구(44)는 일면은 수평하고 일면은 구배가 형성되어 소정의 기울기(T)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접속공(20)에 결합되는 경우, 구배에 의해 부드럽고 신속하게 결합이 이루어져서 작업성이 우수해지는 것이다.
상기 소정의 기울기(T)는 0.5도 내지 2도 정도로 완만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접속공(20)과 결합시 미끄럼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합돌부(40)의 상부에는 상기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하중 지지구(44)는 구배가 형성되는 부분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접속돌부(40)의 하부에는 기울기를 갖는 구배가 형성되는 부분이 하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하중 지지구(44)는 금속, 비금속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대구경의 관로 플랜지에 설치시 작용하는 하중과 자중에 따라 강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결합윙부(38)와 접속돌부(40)에서 발생하는 꺽임 현상을 방지한다. 즉, 접속돌부(40)는 고정되고 상기 결합윙부(38)는 아래방향으로 내려가려고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상기 하중 지지구(44)가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중 지지구(44)는 원통형상의 상기 접속돌부(40)의 중심선상에 끼워지는 금속재의 고정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좌우측부의 하중 지지구(44)는 상하방향의 상부 및 하부에 수직일직선 상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좌측부 및 우측부에 설치되어 평행하중을 받쳐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내에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12,13 : 수평관체
14 : 관로 플랜지 16 : 관로
18 : 체결공 20 : 접속공
22 : 접속돌기 24 : 수평 받침부
26 : 수직관체 28 : 상부 플랜지
30 : 관로 32 : 체결공
34 : 접속구 몸체 36 : 관로공
38 : 결합윙부 40 ; 접속돌부
42 : 보강슬릿 44 : 하중 지지구
100 : 제수밸브 102 : 밸브 플랜지 바디
104 : 연결관 접속구 106 : 상수관

Claims (3)

  1. 플랜지부가 형성된 밸브 플랜지 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에 연결 설치되는 상수관과, 상기 상수관과 밸브 바디 사이에 개재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패킹 또는 가스켓을 포함하는 제수밸브에 있어서,
    일측면부에 접속공(20)이 형성되고, 대구경으로 이루어지는 관로 플랜지(14)가 구비된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와;
    상기 밸브 플랜지 바디(102)의 관로 플랜지(14)의 일면에 결합 설치되어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106)과;
    상기 관로 플랜지(14)와 상수관(106)의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 설치되되, 대구경을 갖는 연결관 접속구(104)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가 설치될 때, 하방향으로 처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접속돌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 접속구(104)는,
    상기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접속구 몸체(34)와;
    상기 접속구 몸체(34)의 외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윙부(38)와;
    상기 다수의 결합윙부(38)의 전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기역자(ㄱ)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로 플랜지(14)에 형성된 접속공(20)에 끼움 고정되어 하방향으로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접속돌부(40)를 포함하고,
    상기 관로 플랜지(14)에 형성된 접속공(20)에 연결관 접속구(104)를 선결합하여 설치한 후, 이동하여 상기 상수관(106)이 후결합하여 설치되며,
    상기 대구경의 연결관 접속구(104)의 구경은 적어도 300mm - 1000mm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돌부(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칭되도록 보강슬릿(42)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슬릿(42)에는 하중 지지구(44)가 결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200171291A 2020-12-09 2020-12-09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 KR102296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91A KR102296185B1 (ko) 2020-12-09 2020-12-09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291A KR102296185B1 (ko) 2020-12-09 2020-12-09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185B1 true KR102296185B1 (ko) 2021-08-30

Family

ID=7750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291A KR102296185B1 (ko) 2020-12-09 2020-12-09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627B1 (ko) 2021-10-22 2022-02-23 주식회사 신정기공 제수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390B1 (ko) 2005-09-23 2006-01-11 주식회사 삼진정밀 공기배출기능을 갖는 쓰리웨이밸브가 구비된 부식방지용제수밸브
KR100585206B1 (ko) * 2006-03-03 2006-05-30 주식회사 삼진정밀 안전 개스킷을 구비한 제수밸브
KR101193144B1 (ko) 2012-04-24 2012-10-22 (주)아산테크 배관세척 점검용 밸브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390B1 (ko) 2005-09-23 2006-01-11 주식회사 삼진정밀 공기배출기능을 갖는 쓰리웨이밸브가 구비된 부식방지용제수밸브
KR100585206B1 (ko) * 2006-03-03 2006-05-30 주식회사 삼진정밀 안전 개스킷을 구비한 제수밸브
KR101193144B1 (ko) 2012-04-24 2012-10-22 (주)아산테크 배관세척 점검용 밸브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627B1 (ko) 2021-10-22 2022-02-23 주식회사 신정기공 제수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3928A (en) Resilient joint
US3873137A (en) Bellows-type joint assembly
KR102296185B1 (ko) 처짐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관접속구를 구비한 제수밸브 구조
KR100959735B1 (ko) 유체파이프의 분기지관 접속구조
KR200454558Y1 (ko) 배관 실링용 형상유지 가스켓
KR102288222B1 (ko) 면간조정형 버터플라이밸브
US6702263B2 (en) Diffuser saddle connection
KR20190000523U (ko) 배관보수용 클램프 챔버
KR200386397Y1 (ko)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JP2018179015A (ja) 補強用治具及びその治具を備える副弁
KR101269692B1 (ko) 테프론라인더 버터플라이밸브 기밀구조
KR102313810B1 (ko) 맨홀 구조체의 경사조절장치
GB1559645A (en) Flexible joint assembly
KR101599464B1 (ko)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JP2014159823A (ja) スペーサ、弁部材の連結機構、及び空気弁の連結機構
KR101081549B1 (ko) Frp 파이프 연결관 조립체
KR20220081605A (ko) 캡 일체형 밸브대가 구비된 제수밸브
US7712790B2 (en) Tank adapter
KR200414288Y1 (ko) 유체이송관 분기용 내측와셔
CN105421299A (zh) 一种带有液压封闭的水闸及其使用方法
US3443581A (en) Means for securing standpipes to irrigation pipelines
KR101836447B1 (ko) 수밀성이 향상된 맨홀
CZ294183B6 (cs) Protiúniková výstelka pro nádrže a způsob vybavování nádrží touto protiúnikovou výstelkou
CN104409195B (zh) 一种交流机车冷却塔注油装置及其组装方法
KR102348133B1 (ko) 밀봉 가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