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432B1 -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432B1
KR101809432B1 KR1020170101143A KR20170101143A KR101809432B1 KR 101809432 B1 KR101809432 B1 KR 101809432B1 KR 1020170101143 A KR1020170101143 A KR 1020170101143A KR 20170101143 A KR20170101143 A KR 20170101143A KR 101809432 B1 KR101809432 B1 KR 101809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window
observation
base
flange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준
노영진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0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00Pressure vessels, e.g. gas cylinder, gas tank, replaceable cartrid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75Arrays characterized by non-optical structures, e.g. having integrated holding or alignment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와 플랜지 힌지를 이용하여 압력용기, 원자력 LOCA 챔버, 기기성능 및 실증시험설비 압력용기 등에 적용 가능한 관측창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과 볼록한 형태(또는 다양한 형태)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렌즈로 압력용기 내부 관찰이 가능하며 플랜지 힌지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렌즈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압력용기 또는 압력챔버 등의 내부 관측을 위한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플랜지 형태의 관측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압력용기 관측창은,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구비되며 관측창 개구(11)가 형성된 관측창 베이스(10); 및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에 안착되어 상기 관측창 개구(11)를 통하여 상기 압력챔버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된 관측렌즈부(30); 상기 관측렌즈부(30)를 관측창 베이스(10)에 고정하는 체결수단(80)에 의하여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에 체결결합되는 관측창 플랜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와 관측렌즈부(30)의 결합부분과 상기 관측렌즈부(30)와 관측창 플랜지(20)의 결합부분에는 각각 실링완충부재(60)가 구비되고,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의 일측은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와 힌지결합 구조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80)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관측창 플랜지(20)가 상기 관측창 베이스(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측렌즈부(30)는, 렌즈 본체(31)와 보조 렌즈부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렌즈부는 볼록 반구 형상(32) 및 편면 볼록 렌즈 형상(33), 오목 반구 형상(34), 편면 오목 렌즈 형상(35)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Pressure Vessel Observation Window Structure Using A Polycarbonate Window}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와 플랜지 힌지를 이용하여 압력용기, 원자력 LOCA 챔버, 기기성능 및 실증시험설비 압력용기 등에 적용 가능한 관측창에 관한 것으로서, 평면과 볼록한 형태(또는 다양한 형태)의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렌즈로 압력용기 내부 관찰이 가능하며 플랜지 힌지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렌즈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압력용기 또는 압력챔버 등의 내부 관측을 위한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플랜지 형태의 관측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측창이라 함은 내외부 압력차가 없는 밀폐 용기에 설치하여 내부 관측용 또는 수위관측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압력용기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압력용기의 내부 압력, 온도, 유체 조건 등에 맞추어 제작하여야 하고, 압력환경을 고려하여 그 체결결합 구조를 견고하게 하여 구성하거나 용접 등에 의하여 영구적인 결합형태를 갖추어 구성한다.
종래의 압력용기용 관측창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0011244호(1996.04. 20.; 도 1(a) 참고)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15119호(2009.05.28.; 도 1(b) 참고) 등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리 소재로 관측창을 구성하는 기술(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유리 소재로 관측창을 구성하는 경우에 내충격성이 우수하지 않은 유리 소재의 한계를 고려하여 관측창의 크기를 작게 구성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작은 크기의 관측창은 압력용기의 내부를 관측하는데 있어서 치명적인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또한, 관측창 내부 표면에 이물질 혹은 부유물 등이 부착되어 관측하는 시야를 제한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하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압력용기의 사용을 중단한 상태로 내부에서의 세척작업이 필요한데, 종래의 체결구조 관측창은 분해 및 재결합의 작업이 불편하며, 영구설치된 관측창은 세척작업으로도 부착성 부유물을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 관측창의 존재 가치가 없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불어,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관측용 개구를 통하여 압력용기 내부를 관측할 수 있는 관측창을 설치함에 있어서 관측범위를 확장하거나 또는 소정의 관측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관측창이 필요한 경우에 종래기술에서는 유리 소재가 가진 성형성 및 내구성 등에서의 단점으로 인하여 관측창의 관측배율을 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관측창의 실링부재에 대하여 실링기능 및 완충기능을 유지 및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사용 환경에서 열적 거동의 변동이나 압력변동 등이 있는 경우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고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구성 간의 결합력이 약화되거나 실링부재의 재료 성질이 노화되는 경우에 실링기능 및 완충기능을 다시 보완하기가 곤란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6-0011244호(1996.04.20.)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9-115119호(2009.05.2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력용기의 허용압력에 견딜 수 있면서도 내충격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 렌즈부를 구비한 관측창을 구성하며 관측창의 설치 및 교체 등의 작업이 편리한 관측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압력용기 내부를 관측하기 위한 관측창의 렌즈부에 대하여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관측성능이 향상된 렌즈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렌즈부의 두께 변동 등에 대해서도 여전히 편리하면서도 견고하고 균일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랜지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렌즈부의 오염 또는 충격 등을 방지하여 렌즈부의 내구성 및 사용성 등을 개선하고자 한다.
더불어, 상기 렌즈부를 관측창에 구비함에 있어서 소정의 내부 압력에서도 밀봉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렌즈부를 고정결합하는 결합력의 분포 성능 및 결합력의 상태도 지속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개선된 관측창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압력유체가 보관된 압력챔버의 일측 벽에 구비된 압력용기용 관측창(100)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용 관측창(100)은, 상기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구비되며 관측창 개구(11)가 형성된 관측창 베이스(10); 및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에 안착되어 상기 관측창 개구(11)를 통하여 상기 압력챔버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된 관측렌즈부(30); 상기 관측창 개구(11)를 통하여 상기 압력챔버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관측렌즈부(30)를 관측창 베이스(10)에 고정하는 체결수단(80)에 의하여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에 체결결합되는 관측창 플랜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와 관측렌즈부(30)의 결합부분과 상기 관측렌즈부(30)와 관측창 플랜지(20)의 결합부분에는 각각 실링완충부재(40, 60)가 구비되고,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의 일측은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와 힌지결합 구조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80)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관측창 플랜지(20)가 상기 관측창 베이스(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측렌즈부(30)는, 렌즈 본체(31)와 보조 렌즈부로 구성되며, 상기 보조 렌즈부는 볼록 반구 형상(32) 및 편면 볼록 렌즈 형상(33), 오목 반구 형상(34), 편면 오목 렌즈 형상(35)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힌지결합 구조는, 상기 관측창 베이스(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베이스 힌지부(14)와 상기 관측창 플랜지(20)로부터 연장 형성된 플랜지 힌지부(24)가 하나의 힌지부재(70)를 공유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 힌지부(14)와 플랜지 힌지부(24) 중 어느 하나에는 슬롯 형상의 힌지공이 구비되어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와 관측창 베이스(10) 사이의 배치되는 상기 관측렌즈부(30)의 두께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70)의 위치가 상기 슬롯 형상의 힌지공 내부에서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관측렌즈부 외표면의 오염 또는 충격 등을 방지하도록 상기 힌지부재(7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의 외측을 덮는 구조로 형성된 관측창 보호커버(50)가 추가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실링완충부재(40, 60)는, 기체 충진 튜브로 구성되어 외부의 압력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기체 충진 튜브의 기밀 유지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관측창에 의하면, 관측창의 렌즈부를 유리 소재의 렌즈부처럼 뛰어난 투명성을 가진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우수한 내부 관측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압력용기의 허용압력에 견딜 수 있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관측창 구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힌지 결합구조의 플랜지를 구비함으로써 관측창의 설치 및 교체, 청소 등의 작업 편리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관측창에 의하면, 단순한 구조의 렌즈본체 및 보조 렌즈부를 구비함으로써 견고한 밀봉 성능의 관측창을 제공하면서도 내부 관측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관측창에 의하면, 슬롯 구조의 힌지공을 구비함으로써 관측창의 설치 및 교체 등의 작업 편리성이 현저하게 개선된 효과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면서도 상기 렌즈부의 두께 변동 등에 대해서도 여전히 견고하며 균일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관측창에 의하면, 관측창 보호커버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상기 렌즈부의 오염 또는 충격 등을 방지하여 렌즈부의 내구성 및 사용성 등을 개선하는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용기 관측창에 의하면, 관측렌즈부에 대한 실링완충 수단으로서 기체 충진 튜브의 기밀 유지압력 제어 구조를 포함함으로써 소정의 내부 압력에서도 밀봉 성능을 확보하며 렌즈부를 고정결합하는 결합력의 분포 성능 및 결합력의 상태도 지속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외에도 압력이 작용하는 압력용기 및 정수압만 작용하는 수조나 밀폐용기 등에 있어서 사용압력 환경에 따라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관측창 렌즈부의 두께를 다르게 선정하여 쉽게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관측창 구조를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유리 소재보다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볼록 형태 등의 보조 렌즈부를 형성하여 렌즈 본체의 중앙에 설치함으로써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응력분산 효과 또는 관측배율의 설정 효과 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원자력 LOCA 챔버, 기기성능 및 실증시험설비 압력용기 등에 적용하여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챔버 내부에서 시험되는 환경을 관찰하여 시험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종래의 압력용기 관측창
도 2.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관측창의 전체 구조.
도 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관측창의 세부 분해도.
도 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관측창의 이용 예시.
도 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의 설치구조.
도 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다양한 구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압력용기 외부에서 관측창 부분의 측면도를 제시한 것이고 도 2(b)는 압력용기 관측창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 2(a)에 대응하는 측단면도를 제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력용기 관측창의 세부 구성을 분해하여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의 이용을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4(a)는 렌즈부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이고 도 4(b)는 렌즈부의 두께가 얇은 경우이며, 도 4(c)는 보호커버를 개방하고 관측창을 통하여 압력용기 내부를 관찰하는 이용상황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실링완충부재의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측창으로부터 관측창 베이스 또는 관측창 플랜지를 분해하여 실링완충부재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는 실링완충부재로서 실링용 O링을 구비한 경우이고, 도 5(b)는 실링완충부재로서 압력제어형 실링완충용 기체충진 튜브를 구비한 경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는 볼록 반구 형상의 보조 렌즈부(32), 도 6(b)는 편면 볼록 렌즈 형상의 보조 렌즈부(33), 도 6(c)는 오목 반구 형상의 보조 렌즈부(34), 도 6(d)는 편면 오목 렌즈 형상의 보조 렌즈부(35)이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100)은,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관측창 베이스(10) 및 관측창 플랜지(20), 관측렌즈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압력용기는 폐쇄공간으로서 내부에 압력유체를 보관하고 있는 압력챔버를 의미하며, 압력챔버는 밀폐용기의 형태일 수도 있고 구획벽에 의해서 형성된 압력실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그 세부형상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개구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압력챔버의 내부를 관측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측창(100)이 설치된다.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구비된 상기 개구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 사각형 등 그 형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관측창 베이스(10) 및 관측창 플랜지(20), 관측렌즈부(30) 등도 상기 개구의 형상을 고려하여 세부 형상을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관측창 베이스(10)는 상기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결합되며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관측창 개구(11)가 구비된다. 상기 관측창 개구(11)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관측렌즈부(30)를 통하여 압력챔버의 내부를 관측 가능한 구조로서 세부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관측창 베이스(10)가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구비된 구조는 별도로 형성된 관측창 베이스(10)를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체결하여 결합하거나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하거나 혹은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일체로 성형하여 구비한 것 등을 모두 포함한다. 관측창 베이스(10)를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체결하거나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하는 경우에 관측창 베이스(10)의 해당 결합부분은 도 2 등에 제시된 구조로부터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관측창 플랜지(2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관측렌즈부(30)를 압력챔버의 외부에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관측렌즈부(30)를 관측창 베이스(10)에 고정하도록 체결수단(80)에 의하여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에 체결결합된다.
상기 관측렌즈부(30)는 상기 관측창 베이스(10) 및 관측창 플랜지(20)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에 안착되어 상기 관측창 개구(11)를 통하여 상기 압력챔버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때 관측렌즈부(30)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종래기술의 유리 소재의 글래스 렌즈부에 비하여 성형성 및 내충격성, 절연성 등의 측면에서 현저하게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즉,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는 유리 소재처럼 투명성이 뛰어나 관측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내충격성 측면에서 유리 소재에 비하여 수백배로 높은 수준이어서 관측렌즈부의 성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열전도율도 유리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아서 압력용기 내부의 열적 상태에 미치는 관측창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며, 그 탁월한 성형 용이성으로 인하여 관측렌즈부(30)의 렌즈면의 다양한 형상을 구현하는 것과 주변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위하여 관측렌즈부(30) 말단부의 세부 구조를 성형함에 있어서 현저하게 향상된 편리성을 제공한다. 이때, 압력유체가 구성 간의 결합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와 관측렌즈부(30)의 결합부분과 상기 관측렌즈부(30)와 관측창 플랜지(20)의 결합부분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실링완충부재(40, 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의 일측은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와 힌지결합 구조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80)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관측창 플랜지(20)가 상기 관측창 베이스(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구조를 갖는데, 관측렌즈부(30)의 설치 및 교체 등의 작업에서 현저하게 상승된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측렌즈부(30)의 청소 등 유지관리 작업에서도 작업자의 편리성이 상승된다. 이때, 체결수단(80)으로서 도 2에서 긴 형상의 체결볼트 결합구조를 제시하였으나 관측창 베이스(10)와 관측창 플랜지(20)를 상호 결합하는 하나의 결합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관측렌즈부(30)는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의 관측창 개구(11)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상기 관측창 개구(11)를 덮는 렌즈 본체(31)와, 상기 렌즈 본체(31)의 압력챔버 내측 부분에 구비된 보조 렌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보조 렌즈부는 렌즈 본체(31)를 보조하여 관측성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6(a) 내지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 반구 형상(32) 및 편면 볼록 렌즈 형상(33), 오목 반구 형상(34), 편면 오목 렌즈 형상(35)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채용될 수 있다. 보조 렌즈부의 각 형상에 따라 내부 압력을 분산하는 효과 또는 압력용기 내부를 관측하는 관측배율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도록 설정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다양한 보조 렌즈부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의 우수한 성형성에 의하여 쉽게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기술의 유리 소재 렌즈부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된 편리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렌즈부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보조 렌즈부의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가 관측창 베이스(10)에 걸리는 구조로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관측창 베이스(10) 및 보조 렌즈부에는 각각 걸림홈(16) 및 걸림부(36)가 형성되어 상호 걸림결합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데, 보조 렌즈부의 걸림부(36)는 보조 렌즈부의 테두리 단부가 전체적으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플랜지 구조로 형성하거나 보조 렌즈부의 테두리 단부가 복수의 위치에서 외측방향으로 일부 돌출된 걸림 돌기 구조로 형성할 수 있고, 관측창 베이스(10)의 걸림홈(16)은 상기 보조 렌즈부의 걸림부(36)에 대응되는 단턱 구조 또는 요홈 구조로 형성하여 상호 걸림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와 관측창 베이스(10)의 힌지결합 구조는 상기 관측창 플랜지(20) 및 관측창 베이스(10)의 상호 고정을 위한 구성이면서 그 사이에 배치되는 관측렌즈부(30)의 두께 등에 따라 상기 상호 고정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해도로 제공된 도 3에 의하여 세부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관측창 베이스(1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힌지부재(70)가 관통삽입되는 제1 힌지공(15)이 형성된 베이스 힌지부(14)가 구비되고, 상기 관측창 플랜지(20)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70)가 관통삽입되는 제2 힌지공(25)이 형성된 플랜지 힌지부(2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힌지공(15) 및 제2 힌지공(25) 중 어느 하나는 원형 단면을 갖고 나머지 하나는 긴 슬롯 단면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힌지부(14)와 플랜지 힌지부(24)는 각각 관측창 베이스(10)와 관측창 플랜지(20)의 어느 한 위치로부터 연장된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위치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개수도 서로 동일하거나 다르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3 등에서는 일실시예로서 관측창 베이스(10)에 구비된 제1 힌지공(15)을 슬롯 형상으로, 관측창 플랜지(20)에 구비된 제2 힌지공(25)을 원형 형상으로 각각 구비한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와 관측창 베이스(10) 사이의 배치되는 상기 관측렌즈부(30)의 두께 변경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70)의 위치가 관측렌즈부(30)의 두께 방향과 평행하게 상기 슬롯 형상의 힌지공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바, 상기 관측렌즈부(30)의 두께를 변경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견고한 결합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더불어, 관측렌즈부(30)의 가공오차 또는 성형오차 등이 존재하여 관측렌즈부(30)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슬롯 구조의 힌지공에 의하여 관측창 플랜지(20)의 결합면 위치를 상하좌우 다르게 배치하여 체결결합할 수 있어서 관측렌즈부(30)에 고른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도 2 내지 4에서 힌지부분의 공통된 위치가 전체적으로 관측창 플랜지(2)의 상부 근처에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그 위치를 변경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힌지부재(7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조립되는 구조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롯 형상의 힌지공이 형성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 중에서 어느 한 구성에 일체로 형성되어 다른 구성들과 결합됨으로써 힌지부재(70)가 상기 슬롯 형상의 힌지공 내부에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완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렌즈부(3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의 외측을 덮는 관측창 보호커버(50)를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힌지부재(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관측 가능한 상태와 보호상태를 편리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측창 보호커버(50)에 의하여 관측렌즈부(30)의 외표면에 대한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인정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와 관측렌즈부(30)의 결합부분과 상기 관측렌즈부(30)와 관측창 플랜지(20)의 결합부분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실링완충부재(40, 60)는 압력유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봉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관측렌즈부(30)에 작용하는 결합력을 고르게 분산하여 체결결합의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도 5(a)처럼 단순히 탄성재질로 형성된 실링용 O링 구조를 채용할 수 있지만, 더욱 향상된 밀봉기능 및 완충기능을 위하여 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 5(b)처럼 기체 충진 튜브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완충용 기체충진 튜브(40, 60)는 에어주입부(41, 61)를 통하여 외부의 압력 제공원(PT)으로부터 실링완충용 기체를 공급 받게 되는데, 압력 감지수단(PG)에 의하여 기체충진 튜브(40, 60)의 압력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압력 조절수단(V)을 이용하여 충진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함으로써, 압력챔버 내부의 압력상태 변동이나 구성 간 결합상태의 변동 등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실링 및 완충 기능을 유지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압력용기 관측창
10 : 관측창 베이스 11 : 관측창 개구
12 : 체결공 13 : 요홈
14 : 베이스 힌지부 15 : 제1 힌지공
16 : 걸림홈
20 : 관측창 플랜지 21 : 플랜지 개구
22 : 체결공 23 : 요홈
24 : 플랜지 힌지부 25 : 제2 힌지공
30 : 관측렌즈부 31 : 렌즈 본체
32 : 보조 렌즈부 36 : 보조렌즈 걸림부
40 : 실링완충부재 41 : 에어주입부
50 : 관측창 보호커버 51 : 커버부
52 : 커버 힌지부 53 : 힌지공
60 : 실링완충부재 61 : 에어주입부
70 : 힌지부재 80 : 체결수단
W : 챔버 벽 PG : 압력 감지수단
V : 압력 조절수단 PT : 압력 제공원
δ : 힌지위치 변동량

Claims (4)

  1. 내부에 압력유체가 보관된 압력챔버의 일측 벽에 구비된 압력용기용 관측창(100)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용 관측창(100)은,
    상기 압력챔버의 일측 벽(W)에 구비되며 관측창 개구(11)가 형성된 관측창 베이스(10); 및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에 안착되어 상기 관측창 개구(11)를 통하여 상기 압력챔버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형성된 관측렌즈부(30);
    상기 관측창 개구(11)를 통하여 상기 압력챔버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관측렌즈부(30)를 관측창 베이스(10)에 고정하는 체결수단(80)에 의하여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에 체결결합되는 관측창 플랜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와 관측렌즈부(30)의 결합부분과 상기 관측렌즈부(30)와 관측창 플랜지(20)의 결합부분에는 각각 실링완충부재(40, 60)가 구비되고,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의 일측은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와 힌지결합 구조로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체결수단(80)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관측창 플랜지(20)가 상기 관측창 베이스(10)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관측렌즈부(30)는, 상기 관측창 베이스(10)의 관측창 개구(11)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상기 관측창 개구(11)를 덮는 렌즈 본체(31); 및 상기 렌즈 본체(31)의 압력챔버 내측 부분에 구비된 보조 렌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 렌즈부는 볼록 반구 형상 및 편면 볼록 렌즈 형상, 오목 반구 형상, 편면 오목 렌즈 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결합 구조는, 상기 관측창 베이스(10)로부터 연장 형성된 베이스 힌지부(14)와 상기 관측창 플랜지(20)로부터 연장 형성된 플랜지 힌지부(24)가 힌지부재(70)를 공유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베이스 힌지부(14)와 플랜지 힌지부(24) 중 어느 하나에는 슬롯 형상의 힌지공이 구비되어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와 관측창 베이스(10) 사이의 배치되는 상기 관측렌즈부(30)의 두께에 따라 상기 힌지부재(70)의 위치가 상기 슬롯 형상의 힌지공 내부에서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7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측창 플랜지(20)의 외측을 덮는 구조로 형성된 관측창 보호커버(5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완충부재(40, 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기체 충진 튜브로 구성되어 외부의 압력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기체 충진 튜브의 기밀 유지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KR1020170101143A 2017-08-09 2017-08-09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KR101809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43A KR101809432B1 (ko) 2017-08-09 2017-08-09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143A KR101809432B1 (ko) 2017-08-09 2017-08-09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432B1 true KR101809432B1 (ko) 2017-12-14

Family

ID=6095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143A KR101809432B1 (ko) 2017-08-09 2017-08-09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58B1 (ko) * 2018-09-16 2019-04-03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자력발전소의 열수력 실험용 유동가시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28B1 (ko) * 2008-09-05 2010-09-10 백백순 사이트 글라스
JP2016522394A (ja) * 2013-04-03 2016-07-28 エレクトリシテ・ドゥ・フランス タンク、パイプ、又はタンク及びパイプのセットを分離するためのパイプ閉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828B1 (ko) * 2008-09-05 2010-09-10 백백순 사이트 글라스
JP2016522394A (ja) * 2013-04-03 2016-07-28 エレクトリシテ・ドゥ・フランス タンク、パイプ、又はタンク及びパイプのセットを分離するためのパイプ閉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658B1 (ko) * 2018-09-16 2019-04-03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원자력발전소의 열수력 실험용 유동가시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4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관측창
KR101333952B1 (ko) 압축 가스 용기용 안전 밸브
ES2789448T3 (es) Captador de presión óptico con menos tensiones mecánicas
EP1960060B1 (en) Fire damper blade
CN102374892A (zh) 用于封闭台秤的电子部件的壳体
KR101678424B1 (ko) 교량 및 건축 구조물의 내진 보강용 점성댐퍼
US9557206B2 (en) Adjustable fluid level verification apparatus
KR20190056022A (ko) 오버슬램범퍼
US11598351B2 (en) Hydraulic accumulator
US20130019531A1 (en) Optical pressure switch, door operating system and method
CA2482381C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parameters during flight tests of an aircraft
ITTO20060151A1 (it) Gruppo sportello per il bocchettone del serbatoio del carburante di un veicolo a motore.
BRPI0709903A2 (pt) conjunto de vÁlvula, acessàrio de orifÍcio de cÂmara dupla, e, mÉtodo para vedar uma abertura
KR101351489B1 (ko) 가스를 유도하는 중공 공간 안에 설치하기 위한 홀더를 구비한 광학 분석기
JPS58161823A (ja) 流量計サイトグラスの保護シ−ルド
EP2652468B1 (en) Spectroscopic instruments and foot portions for spectroscopic instruments
KR0167186B1 (ko) 쇼케이스의 도어장치
ITMS950007A1 (it) Valvola di blocco per flussi gassosi,a differenziale di pressione, denominata blok-super;nel caso,inserita su rubinetti per bombole g.p.l
RU2630604C2 (ru) Крышка для канального датчика
ITTO20140009U1 (it) Valvola di aerazione per tubi
JP7208916B2 (ja) 特にタンクの形をした補償装置
AU2017318182B2 (en) Press seal with pressing body
US10139261B2 (en) Through wall installation of sensors in fuel tanks
US20220363210A1 (en) Protective device for a housing
ITTO990645A1 (it) Multivalvola di un serbatoio di carburante gassoso per autoveico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