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262B1 -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262B1
KR102510262B1 KR1020160013088A KR20160013088A KR102510262B1 KR 102510262 B1 KR102510262 B1 KR 102510262B1 KR 1020160013088 A KR1020160013088 A KR 1020160013088A KR 20160013088 A KR20160013088 A KR 20160013088A KR 102510262 B1 KR102510262 B1 KR 10251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uide groove
main body
protrusio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053A (ko
Inventor
박창현
구창모
김진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2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0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on from ingress, e.g. water or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2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홈에 배치되는 오링; 및 상기 본체의 상기 가이드 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배치되어 상기 오링의 일측을 가압하는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Motor housing, Motor and Brak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링 구조를 구비하는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전기적 에너지를 공급받아서 기계적 에너지로 전환하는 액츄에이터이다.
이러한 모터는 로터와 스테이터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로터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로터에 삽입된 회전축도 회전하게 되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특히, 자동차에 사용되는 모터의 경우 높은 작동 신뢰성과 안정성이 요구되는데, 파워스티어링 장치나 ABS(antilock brake system) 등과 같은 장치에서 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장시간의 작동에 따라서 일정한 성능을 유지해야 하므로, 일반적인 모터에 비해 더욱 정확한 실링이 요구된다.
실링을 위해 오링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링을 이용한 실링 구조는 모터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를 덮는 커버의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실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링의 직경을 무조건 키울 수 없으며(작업성 문제), 특히 커버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커버를 이용한 오링의 가압시 오링에 의한 반발력을 커버가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오링이 안착되는 가이드 홈의 일측과 오링 사이에 커버에 형성된 돌기를 삽입하여 강도와 실링 성능을 향상시킨 모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홈에 배치되는 오링; 및 상기 본체의 상기 가이드 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배치되어 상기 오링의 일측을 가압하는 모터 하우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돌기는 상기 오링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커버 본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는 상기 오링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의 일측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환형의 형상으로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는 돌출되는 방향측으로 두께(t)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하우징은 상기 본체는 결합공이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과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 돌기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과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홈에 배치되는 오링; 상기 본체의 상기 가이드 홈을 덮는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는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배치되어 상기 오링의 일측을 가압하는 모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기어의 중앙에 형성된 기어 샤프트의 단부가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동작하는 마스터 실린더; 및 ESC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술 된 모터로 제공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은 돌기에 의한 오링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하우징은 돌기를 이용하여 오링의 반발력의 방향을 전환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커버의 강성의 부족함을 구조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의 커버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5는 모터 하우징의 커버의 결합시, 오링과 커버 사이의 힘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B-B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 하우징(1)은 본체(100), 커버(200) 및 본체(100)와 커버(200) 사이에 배치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오링(3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개구 및 상기 개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수용공간(S)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체(100)는 오링(300)이 배치되게 형성된 가이드 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는 커버(200)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플랜지부(120)와 플랜지부(120)에 형성된 결합공(130) 및 고정 돌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10)은 본체(100)의 상단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가이드 홈(110)은 본체(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홈(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300)이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부(120)는 본체(100)의 일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부(120)에는 결합공(1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볼트, 나사 등과 같은 고정부재(10)는 커버(200)의 일측을 관통하여 결합공(130)과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돌기(140)는 본체(100)의 일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홀(230)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은 고정부재(10) 및 고정 돌기(140)와 고정홀(230)의 결합을 이용하여 커버(200)를 본체(100)에 고정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재(10)만을 이용하거나 복수 개의 고정돌기(140)와 복수 개의 고정홀(230)의 결합만을 이용하여 커버(200)를 본체(100)에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체(100)의 형상이나 재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나 고온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금속재질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상기 개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200)와 결합되어 수용 공간(S)을 외부와 차폐되게 할 수 있다.
또한, 금속재질로 형성된 본체(100)는 내부 열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냉각 구조(도시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구조는 공냉 또는 수냉 구조가 선택될 수 있으며, 냉각 구조에 따라 본체(100)의 형상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된 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150)에는 샤프트와 같은 부재의 일측 단부가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와 같은 부재는 홀(15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홀(15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실링 부재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커버(20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 본체(210), 커버 본체(210)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220) 및 고정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2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모터 하우징(1)의 무게는 감소될 수 있다.
돌기(220)는 가이드 홈(110)에 삽입되게 커버 본체(2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00)와 커버(200)의 결합시, 돌기(220)는 오링(300)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220)는 커버 본체(210)의 하부에 환형의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돌기(220)는 오링(300)을 가압하는 가압면(221)과 지지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면(22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210)의 하면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면(222)은 오링(300)에 의해 가이드 홈(110)의 일측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돌기(220)는 가압면(221)이 마련되게 단면이 직각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기(220)는 커버 본체(21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시 돌출되는 방향측으로 두께(t)가 감소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220) 없이 커버(200)가 소정의 두께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커버(200)는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오링(300)의 반발력(도 5의 화살표 참조)에 의해 본체(100)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바, 상기 모터 하우징(1)의 돌기(220)는 오링(300)의 반발력의 방향을 전환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커버(200)의 강성의 부족함을 구조적으로 보완함과 동시에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돌기(220)는 오링(300)을 가압하는 가압면(221)을 통해 반발력(F)을 받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면(221)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반발력(F)을 받게 된다.
그에 따라, 돌기(220)는 가압면(221)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오링(300)의 반발력(F)의 방향을 전환하여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커버(200)의 강성의 부족함을 구조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즉, 반발력(F) 중 수평 방향으로 작용되는 반발력(Fx)에 의해 돌기(220)의 지지면(222)은 가이드 홈(110)의 측면(111)에 밀착된다. 그리고, 가이드 홈(110)의 측면(111)은 지지면(222)를 지지함으로써 되어 커버(200)의 강성의 부족함을 구조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반발력(F) 중 수평 방향으로 작용되는 반발력(Fx)에 의해 돌기(220)의 지지면(222)은 가이드 홈(110)의 측면(111)에 밀착되기 때문에, 실링 성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라 함은 회전축(600)의 축방향을 수직 방향 y라 할 때 y에 수직하는 방향 x를 의미한다.
한편, 돌기(220)의 단부는 라운딩 처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돌기(220)는 가이드 홈(110)의 측면(111)과 오링(300)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고정홀(230)은 본체(100)의 고정 돌기(140)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홀(2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본체(210)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하우징(1)은 본체(100)의 가이드 홈(110)에 삽입되는 오링(300)과 커버(200)의 돌기(220) 사이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커버(200)를 본체(100)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모터 하우징(1)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1)은, 상술 된 바와 같이, 오링(300)과 오링(300)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커버(200)에 형성된 돌기(220)에 의한 실링 구조에 의해 상기 모터 하우징(1)을 외부로부터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하우징의 본체(100)와 커버(200)의 공고한 결합을 위해,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10)를 이용하거나 고정돌기(140)와 고정홀(230)의 결합 구조를 추가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모터 하우징(1)에 적용된 실링 구조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바, 상기 모터 하우징에 적용된 실링 구조를 포함하는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는 전자주차브레이크인 EPB(Electronic Parking Brake)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PB는 스위치로 작동되는 모터를 이용함으로써, 핸드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는 편리함을 갖게 한다.
한편, 상기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모터 하우징(1)에 적용된 실링 구조는 상기 모터에도 적용되는바, 동일한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기재함으로써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2)는 본체(100a), 커버(200), 본체(100)와 커버(200) 사이에 배치되어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오링(300), 본체(100a)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400), 스테이터(4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500), 로터(50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600), 모터 커버(700), 캡(8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a)는 오링(300)이 안착되게 형성된 가이드 홈(110), 결합공(130) 및 고정 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a)에는 기어(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a)의 내부에는 스테이터(400), 로터(500) 및 회전축(6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a)에 형성된 수용공간(S)에는 기어(20)가 배치되는바, 본체(100a)는 회전축(600)의 회전에 따라 기어(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연통되게 형성된 관통홀(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어(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 기어치는 회전축(60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스크류(610)와 연동되게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회전축(600)의 회전에 따라 기어(20)는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a)는 기어(20)의 중앙에 배치되는 기어 샤프트(21)의 단부가 본체(100a)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400)는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이 감긴 공지의 형상일 수 있다. 스테이터(400)는 일체형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이 권선되거나, 복수 개의 분할 스테이터 코어에 코일이 권선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400)의 내측에는 로터(500)가 배치된다. 그리고, 로터(500)의 중앙에는 회전축(600)이 결합될 수 있다.
스테이터(400)에는 코일이 감겨 자기극을 갖게 되며, 코일의 권선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로터(500)가 회전하고 동시에 회전축(600)이 회전하게 된다.
스테이터(400)는 복수의 스테이터 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 코어는, 환형의 요크 부분과,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요크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등각도 간격으로 돌출되는 스테이터 티스의 부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강판을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상기 스테이터 티스에 감길 수 있다. 이때, 인슐레이터를 통해 코일은 절연될 수 있다.
로터(500)는 스테이터(40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로터(500)는 원통 형상의 로터 코어와 로터 코어에 부착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로터(500)는 스테이터(40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로터(500)의 중앙에는 회전축(600)이 결합된다. 따라서, 로터(500)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축(600)도 같이 회전한다. 이때, 회전축(600)은 베어링(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로터(500)는 로터 코어에 마그네트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로터 코어와 마그네트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로터(500)는 마그네트가 로터 코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거나, 마그네트가 로터 코어의 포켓에 삽입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로터(500)의 상측에는 로터(50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센싱 마그네트가 설치되거나, 이와 유사한 로터 위치 감지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회전축(600)은 로터(500)에 삽입 고정되어 로터(50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600)은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600)의 일측은 모터 커버(700)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측은 캡(8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모터 커버(700)는 본체(100a)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설치되는 스테이터(400), 로터(500) 및 회전축(600)을 외부와 밀폐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3)를 살펴보기로 한다.
차량에 이용되는 상기 브레이크 장치(3)는 상기 모터(2), 마스터 실린더(M) 및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실린더(M)는 상기 모터(2)가 구동됨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부호 6은 마스터 실린더(M)에 오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브레이크 장치(3)의 ESC(4)에 답력이 감지되고, ESC(4)에 의하여 상기 답력을 배력하도록 상기 모터(2)가 동작 및 마스크 실린더(M)의 가압에 의해 브레이크 시스템은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장치(3)는 차량의 브레이킹 사용시 종래에 이용되는 배큠 부스터 대신 상기 모터(1)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량화 및 연비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부스터(Booster)란 브레이크 페달에서 마스터 실린더로 전달되는 운전자의 답력(踏力)을 배력(倍力)시키는 장치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모터 하우징 2 : 모터
3 : 브레이크 장치 20 : 기어
100, 100a : 본체 110 : 가이드 홈
200 : 커버 220 : 돌기
221 : 가압면 222 : 지지면
300 : 오링 400 : 스테이터
500 : 로터 600 : 회전축
700 : 모터 커버 800 : 캡

Claims (13)

  1.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홈에 배치되는 오링;
    상기 본체의 상기 가이드 홈을 덮는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배치되어 상기 오링의 일측을 가압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오링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커버 본체의 하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모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오링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홈의 일측에 밀착되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환형의 형상으로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측면과 오링 사이로 삽입되는 모터.
  5.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홈에 배치되는 오링;
    상기 본체의 상기 가이드 홈을 덮는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배치되어 상기 오링의 일측을 가압하는 상기 돌기는 돌출되는 방향측으로 두께(t)가 감소되게 형성되는 모터.
  6. 가이드 홈이 형성된 본체;
    상기 가이드 홈에 배치되는 오링;
    상기 본체의 상기 가이드 홈을 덮는 커버;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에 결합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커버 본체; 및
    상기 커버 본체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게 배치되어 상기 오링의 일측을 가압하고,
    상기 본체는 결합공이 형성된 플랜지부, 및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고정 돌기에 대응되게 형성된 고정홀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돌기와 상기 고정홀의 결합, 및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과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와 결합하는 모터.
  7. 제1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하는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기어의 중앙에 형성된 기어 샤프트의 단부가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모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60013088A 2016-02-02 2016-02-02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KR102510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88A KR102510262B1 (ko) 2016-02-02 2016-02-02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088A KR102510262B1 (ko) 2016-02-02 2016-02-02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53A KR20170092053A (ko) 2017-08-10
KR102510262B1 true KR102510262B1 (ko) 2023-03-15

Family

ID=5965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088A KR102510262B1 (ko) 2016-02-02 2016-02-02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2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229B1 (ko) * 2019-10-16 2021-01-07 주식회사 예람 화재감지기의 어댑터하우징 어셈블리
KR102513367B1 (ko) * 2020-11-20 2023-03-24 주식회사 제우스 액추에이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733Y1 (ko) * 1998-12-03 2001-12-17 김민박,라이문트하이넨 자동차용도어록액튜에이터의밀폐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53A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1232B2 (ja) 射出成形により樹脂注入する電動機のステータ
CN107872116B (zh) 带制动器的电动机
CN108702078B (zh) 马达
JP5814249B2 (ja) 電動モータ組み立て体
US10050480B2 (en) Axial flux machine having a lightweight design
US10886808B2 (en) Electric linear actuator
EP2466729B1 (en) Power generating device and braking device
CN105830309A (zh) 具有相应至少两个用于固定永磁体的夹紧凸耳的电机
KR102411378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CN107872115B (zh) 带制动器的电动机
EP3460282B1 (en) Electric linear motion actuator
KR102557295B1 (ko)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KR102510262B1 (ko) 모터 하우징, 모터 및 이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JP2017186006A (ja) モータ及び電動車両
JP2006311688A (ja) アキシャルエアギャップ型電動機
CN110024269A (zh) 盖组件、马达及包括该马达的电动转向装置
KR101870450B1 (ko) 모터
CN211239582U (zh) 一种汽车刹车系统用高速直流无刷电机
WO2015052962A1 (ja) 回転電機
KR102110048B1 (ko) 중공축 모터
JP6194962B2 (ja) ブレーキ付きモータ
JP5562741B2 (ja) ホイールインモータ及び電動車両
KR20140115442A (ko) 모터
JP5848400B2 (ja) ホイールインモータ及び電動車両
JP2016054640A (ja) モータ及び電動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