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621B1 -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621B1
KR102509621B1 KR1020210067975A KR20210067975A KR102509621B1 KR 102509621 B1 KR102509621 B1 KR 102509621B1 KR 1020210067975 A KR1020210067975 A KR 1020210067975A KR 20210067975 A KR20210067975 A KR 20210067975A KR 102509621 B1 KR102509621 B1 KR 102509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smart mobility
angle
critical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172A (ko
Inventor
이해성
Original Assignee
(주)마인드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인드허브 filed Critical (주)마인드허브
Priority to KR102021006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6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62J45/415Inclination sensors
    • B62J45/4151Inclination sensors for sensing lateral inclination of the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고,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발생 기준이 되는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고,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고, 그리고 임계사고각도 및 현재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 발생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자의 사고 발생여부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 {Method for detecting accident of smart mobility with mutliple sensor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모빌리티에 장착된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에 에 관한 것이다.
전동 킥보드, 전기 오토바이, 전기 자전거, 전동휠 등과 같은 스마트 모빌리티이의 경우 사고 발생시 일반적인 자동차보다 이용자가 크게 다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오토바이에 대한 교통사고 현황에 관한 자료에 기초하면, 오토바이 사고의 치사율은 승용차 사고의 치사율 보다 매우 높다. 최근 많이 이용되고 있는 전동 킥보드 또한 사고시 이용자의 치사율이 매우 높다. 이러한 스마트 모빌리티는 승용차와 비교하여 사고 발생시 충격을 흡수할 차체가 없어 사용자가 튕겨져 나갈 확률이 높아 이용자의 사고 정도가 승용차보다 휠씬 크다.
그리고 스마트 모빌리티의 경우, 크기가 작아 좁은 골목길처럼 인적이 드문 장소로의 이동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처럼 인적이 드문 장소에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스마트 모빌리티 이용자의 사고 신고가 지연됨에 따라 사고 발생시 초기 응급조치 및 구조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사고난 이용자에게 큰 후유증이 남을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이륜차에 센서를 부착하여 이륜차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사고가 발생한 경우 통신모듈을 통하여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서버 및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술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단순히 이륜차에 부착된 가속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가속도 변화에 기초하여 이륜차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합니다. 가속도 센서 및 각속도 센서만을 이용하여 이륜차의 사고 여부를 판정하기 때문에 사고가 아님에도 사고로 감지하는 경우가 많아 사고 감지 정확도가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2478호
다수 센서를 활용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에서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항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은,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발생 기준이 되는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임계사고각도 및 상기 산출된 현재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상기 산출된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상기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 데이터 및 상기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는 상기 이용자의 평균 운행 속독, 급가속도 빈도, 급감속 빈도 및 급회전 빈도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센서부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제 1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각속도 센서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제 2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울어진 각도 및 상기 제 2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수학식 1]
현재 기울어진 각도 = a×제 1 기울어진 각도 + b×제 2 기울어진 각도
(여기에서, 제 1 기울어진 각도는 각속도 센서(203)에 의해 측정된 각도이고, 제 2 기울어진 각도는 지자기 센서(204)에 의해 측정된 각도이고, a는 각속도 기울기 가중치이고, b는 지자기 기울기 가중치이고, 가중치 a 및 가중치 b는 지자기 세기에 따라 가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가 부착된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 개의 센서;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발생 기준이 되는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는 임계사고각도 산출부; 상기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현재각도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임계사고각도 및 상기 산출된 현재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사고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결정부는, 상기 산출된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상기 산출된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은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기 각도와 임계사고각도를 비교하여, 현재 기울기 각도가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경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는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미리 등록된 단말기 및 외부 서버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사고발생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이용자의 보호자나 소방서, 경찰서 등과 같은 기관에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를 당한 스마트 모빌리티의 이용자를 빠르게 병원으로 이송하여 사고 후 인명피해 및 사고로 인한 신체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는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할 때 이용자의 평소 운행 습관을 고려하여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함으로써,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발생 측정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기울어진 각도가 임계사고각도 이상이라고 결정한 이후, 스마트 모빌리티의 위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고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및 장치는 이용자의 운행습관에 기초하여 이용자 별 임계사고각도를 각각 산출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사고 감지가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및 장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에 기초하여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더욱 향상된 사고 감지 정확도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가 부착된 스마트 모빌리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스마트 모빌리티의 임계사고각도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성,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모빌리티의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마트 모빌리티에 부착된 다수 개의 센서를 활용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의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사고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간략하게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으로 호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에서 설명될 “스마트 모빌리티”는 전기로 움직이는 차세대 교통 수단을 의미하며, 전동 킥보드, 전동 휠, 전기 자전거, 전기 오토바이 등을 포함하며, 넓게는 이륜차를 포함하는 명칭임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가 부착된 스마트 모빌리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스마트 모빌리티(1)의 핸들부분에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가 부착되어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는 스마트 모빌리티(1)에 결합되어 스마트 모빌리티(1)의 이동 속도, 가속도 및 스마트 모빌리티(1)가 기울어진 정도 등의 정보를 센싱하고,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에서 스마트 모빌리티(1)의 주행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및 스마트 모빌리티(1)의 사고여부를 감지하는 과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어디든 부착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핸들 중앙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는 프로세서(201), 가속도 센서(202), 각속도 센서(203), 지자기 센서(204),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 현재각도 산출부(206), 사고결정부(207), 통신부(208), 스토리지(209) 및 위치측정부(2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1)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일반적인 테스크를 처리한다. 가속도 센서(202)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가 부착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가속도를 측정한다. 가속도 센서(202)는 측정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가속도를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 및 현재각도 산출부(206)로 입력한다.
각속도 센서(203)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가 부착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각속도를 측정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한다. 각속도 센서(203)는 측정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기울어진 각도를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 및 현재각도 산출부(206)로 입력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모빌리티(1)의 기울어진 각도는 지표면에 수직하고 스마트 모빌리티(1)가 진행하는 방향의 평면을 기준으로 좌우로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한다.
지자기 센서(204)는 지자기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지자기를 검출하여 지표면 상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방향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들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지자기 센서(204)는 X, Y 및 Z축을 갖는 3축 타입의 센서로, 지자기의 변화를 통하여 사고감지장치(2)의 자세 변화, 즉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204)는 스마트 모빌리티(2)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한다. 지자기 센서(204)는 측정된 스마트 모빌리티(2)의 기울어진 각도를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 및 현재각도 산출부(206)로 입력한다.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사고 판단의 기준이 되는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한다.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스마트 모빌리티(2) 이용자의 운행습관에 기초하여 이용자별 상이한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한다. 이용자별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산출된 임계사고각도를 사고결정부(206)로 입력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스마트 모빌리티의 임계사고각도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임계사고각도는 지표면에 수직한 직선으로부터 기울어진 각도로서, 임계사고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스마트 모빌리티(1)가 넘어질 확률이 매우 높은 각도이다.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각속도 센서(203) 및 지자기 센서(204)로부터 입력된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각속도 센서(203)에 의해 측정된 제 1 기울어진 각도 및 지자기 센서(204)에 의해 측정된 제 2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제 1 기울어진 각도 및 제 2 기울어진 각도의 평균값을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로 산출한다.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산출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사고결정부(207)로 입력한다.
사고결정부(207)는 현재 기울어진 각도 및 임계사고각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사고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사고결정부(207)는 현재각도 산출부(206)로부터 입력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와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로부터 입력된 임계사고각도를 비교한다. 사고결정부(207)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경우 스마트 모빌리티(1)에 사고가 발생했다고 결정한다.
사고결정부(207)는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고발생신호를 통신부(208)로 입력한다. 사고발생신호는 사고가 발생한 시간 및 사고가 발생한 지점의 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고발생신호는 사고가 발생한 사용자의 나이, 성별 등을 포함하는 이용자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8)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08)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외부 서버, 또는 미리 저장된 통신 단말기로 사고발생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토리지(209)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을 실행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209)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이용자 별 사용자 데이터, 운행습관 데이터, 및 임계사고각도를 저장하고, 스마트 모빌리티(1) 종류별 가중치를 저장할 수 있다.
위치측정부(210)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위치, 즉 스마트 모빌리티(1)의 위치를 측정한다. 위치측정부(210)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위치를 결정한다. 위치측정부(210)는 상술한 GPS 신호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이외에 스마트 모빌리티(1)의 근처에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스마트 모빌리티(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비컨(beacon) 신호를 이용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 이외에 지문인식(finger print) 측위 방식,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지자기계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한 센서기반 측위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는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구성요소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 및 각 구성요소들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특징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에서 수행된다.
도 4를 참고하면, 401 단계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는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가 부착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복수 개의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202), 각속도 센서(203) 및 지자기 센서(204)를 포함한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각 센서부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측정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가속도, 기울어진 각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기울어진 각도는 각속도 센서(203)에 의해 측정된 각도 및/또는 지자계 센서(204)에 의해 측정된 각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속도 센서(202)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각속도 센서(203)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제 1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고, 그리고 지자기 센서(204)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제 2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복수 개의 센서부(202, 203, 204)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우행 상태 데이터를 획득한다.
가속도 센서(202)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가속도를 측정하고, 각속도 센서(203)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제 1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고, 지자계 센서(204)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제 2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의 각 센서부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스마트 모빌리티(1)의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 현재각도 산출부(206) 및 사고결정부(207)로 입력한다.
402 단계에서, 스마트 모빌리티(1)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류 데이터 및 스마트 모빌리티(1)를 이용하는 이용하는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사고발생 기준이 되는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모빌리티(1)의 종류 데이터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종류, 스마트 모빌리티(1)의 최대 속도, 스마트 모빌리티(1)의 최대 가속도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는 스마트 모빌리티(1)를 사용 중인 이용자의 운행습관을 나타내는 데이터로서, 이용자의 평균 운행 속도, 급가속 빈도, 급감속 빈도, 급회전 빈도를 포함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의 상태 데이터 및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스토리지(209)에 저장된다.
스마트 모빌리티(1)는 입력부(미도시)을 통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를 이용하려는 이용자로부터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용자 데이터는 이용자의 개인 정보를 나타내는 이용자 식별자(UID, user identifier), 식별자와 연관된 암호, 이용자의 나이, 성별, 주소 등을 포함하는 개인신상정보를 포함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의 이용자는 최초 이용자 데이터를 입력 후에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하여 이용자의 식별자 및 식별자와 연관된 암호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스마트 모빌리티(1)의 이용자로 등록할 수 있다. 스마트 모빌리티(1)는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이용자를 결정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의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입력된 이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현재 스마트 모빌리티(1)를 이용 중 인 이용자와 연관된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를 스토리지(209)로부터 획득한다.
또한, 스마트 모빌리티(1)의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가 장착된 스마트 모빌리티(1)과 연관된 상태 데이터를 스토리지(209)로부터 획득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의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스토리지(209)에 저장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상태 데이터 및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모빌리티(1)의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스토리지(209)로부터 현재 스마트 모빌리티(1)를 이용 중인 이용자와 연관된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를 획득한다. 임계사고각도는 이용자의 평균 운행 속도, 급가속 빈도, 급감속 빈도, 급회전 빈도에 비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가 설치된 스마트 모빌리티(1)가 전동킥보드, 전기 자전거, 전동 휠, 전기 오토바이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한다.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임계사고각도 산출을 위한 가중치를 생성하는 가중치 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가중치 생성부로부터 출력된 가중치를 기준 임계사고각도에 곱하여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기준 임계사고각도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종류, 이용자의 운행 습관과 상관없이 정해진 기준 각도로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임계사고각도는 30°, 40°, 45°등으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임계사고각도에 스마트 모빌리티(1) 종류에 따른 가중치를 곱하여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한다. 여기에서, 가중치는 전동킥보드가 1, 전기 자전거가 1.1, 전기 오토바이가 1.3 그리고 전동 휠을 0.9라고 가정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 종류에 따른 가중치는 각 이동수단의 평균 속도 및 가속도를 고려하여 산출된 가중치이다.
예를 들어, 기준 임계사고각도가 30°라고 가정하면,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전동킥보드인 경우 전동킥보드의 가중치인 1을 곱하여 임계사고각도를 30°로 산출한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가 설치된 스마트 모빌리티(1)가 전기 오토바이인 경우,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임계사고각도에 전기 오토바이의 가중치인 1.3을 곱하여 임계사고각도를 39°로 산출한다. 사고감지장치(2)가 설치된 스마트 모빌리티(1)가 전동 휠인 경우,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임계사고각도에 전동 휠의 가중치인 0.9를 곱하여 임계사고각도를 27°로 산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이용자의 운행습관 데이터 및 스마트 모빌리티(1)의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임계사고각도 산출을 위한 가중치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중치에 기초하여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상태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종류, 이용자의 평균 운행 속도, 급가속 빈도, 급감속 빈도, 급회전 빈도에 기초하여 임계사고각도 산출을 위한 가중치를 생성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가중치 생성부는 임계사고각도 보정을 위한 가중치를 출력하도록 사전에 트레이닝된 인공신경망이다. 가중치 생성부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종류, 이용자의 평균 운행 속도, 급가속 빈도, 급감속 빈도, 급회전 빈도 및 임계사고각도 산출을 위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학습용 데이터 세트에 의해 사전에 트레이닝된 인공신경망이다. 가중치 생성부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종류, 이용자의 평균 운행 속도, 급가속 빈도, 급감속 빈도, 급회전 빈도가 입력되면 임계사고각도 산출을 위한 가중치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기준 임계사고각도가 30°라고 가정하고,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의 가중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임계사고각도 산출을 위한 가중치가 1.17로 출력된 경우,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제 1 이용자에 대한 임계사고각도를 35.1°로 산출한다.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산출된 임계사고각도를 사고결정부(206)로 입력한다.
403 단계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기울어진 각도 및 제 2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제 1 기울어진 각도 및 제 2 기울어진 각도의 평균값을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로 산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각속도 센서(203)에 의해 측정된 제 1 기울어진 각도, 지자기 센서(204)에 의해 측정된 제 2 기울어진 각도 및 지자기 세기에 기초하여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다음과 수학식에 따라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수학식 1)
현재 기울어진 각도 = a×제 1 기울어진 각도 + b×제 2 기울어진 각도
(a+b=1, 1>a≥0.5, 0.5≥b>0)
여기에서, 제 1 기울어진 각도는 각속도 센서(203)에 의해 측정된 각도이고, 제 2 기울어진 각도는 지자기 센서(204)에 의해 측정된 각도이고, a는 각속도 기울기 가중치이고, b는 지자기 기울기 가중치이다. 가중치 a 및 가중치 b는 지자기 세기에 따라 가변한다. 가중치 a는 지자기 세기에 반비례하고, 가중치 b는 지자기 세기에 비례한다.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수학식 1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한다.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산출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사고결정부(207)로 입력한다.
404 단계에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는 임계사고각도 및 현재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에 사고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사고결정부(207)는 현재각도 산출부(206)로부터 입력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와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로부터 입력된 임계사고각도를 비교한다. 사고결정부(207)는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경우 스마트 모빌리티(1)에 사고가 발생했다고 결정한다. 사고결정부(207)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마트 모빌리티(1)에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고결정부(207)는 현재각도 산출부(206)로부터 입력된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와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로부터 입력된 임계사고각도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경우, 사고결정부(207)는 미리 설정된 임계정지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스마트 모빌리티(1)의 위치가 변화하는지에 기초하여 스마트 모빌리티(1)의 사고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스마트 모빌리티(1)의 위치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의 위치측정부(210)에 의하여 측정된 위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고결정부(207)는 임계정지시간 이상 스마트 모빌리티(1)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마트 모빌리티(1)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여기에서, 임계정지시간은 스마트 모빌리티(1)가 임계사고각도 이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1)가 기울어진 이후, 스마트 모빌리티(1)가 움직이지 않아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는 소정의 기준 시간을 의미한다. 임계정지시간은 설계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계자는 10초, 20초로 임계정지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사고결정부(207)는 스마트 모빌리티(1)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하는 경우,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사고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고발생신호를 통신부(208)로 입력한다.
405 단계에서, 스마트 모빌리티(1)는 사고결정부(207)에서 스마트 모빌리티(1)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사고발생신호를 스마트 모빌리티(1)의 이용자와 연관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는 이용자로부터 입력된 이용자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용자와 연관된 단말기 정보를 스토리지(209)로부터 획득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는 이용자 데이터에 포함된 이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단말기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이용자 식별자와 연관된 단말기 정보는 이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단말기에 대한 USIM, 단말기 회선 번호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 모빌리티(1)의 통신부(208)는 이용자와 연관된 단말기로 사고발생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사고발생신호는 스마트 모빌리티(1)가 사고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 사고발생시간 및 사고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고자 데이터는 사고가 발생한 스마트 모빌리티(1) 이용자의 성별, 나이를 포함한다. 또한, 사고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2)에서 스마트 모빌리티(1)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위치측정부(210)에 의해 측정된 위치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모빌리티(1)의 통신부(208)는 이용자와 연관된 단말기 이외에도 소방서, 경찰서, 병원, 재난안전센터 등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은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기 각도와 임계사고각도를 비교하여, 현재 기울기 각도가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경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는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 미리 등록된 단말기 및 외부 서버로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사고발생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하였음을 이용자의 보호자나 소방서, 경찰서 등과 같은 기관에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고를 당한 스마트 모빌리티의 이용자를 빠르게 병원으로 이송하여 사고 후 인명피해 및 사고로 인한 신체 후유증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및 장치는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할 때 이용자의 평소 운행 습관을 고려하여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함으로써,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발생 측정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및 장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기울어진 각도가 임계사고각도 이상이라고 결정한 이후, 스마트 모빌리티의 위치가 소정의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 한하여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고 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및 장치는 이용자의 운행습관에 기초하여 이용자 별 임계사고각도를 각각 산출함으로써 보다 더 정확한 사고 감지가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및 장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에 기초하여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더욱 향상된 사고 감지 정확도를 갖는다.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및 장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때, 2개 이상의 센서, 즉 각속도 센서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함으로써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및 장치는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 발생 여부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스마트 모빌리티
2 :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
201 : 프로세서 202 : 가속도 센서
203 : 각속도 센서 204 : 지자기 센서
205 : 임계사고각도 산출부 206 : 현재각도 산출부
207 : 사고결정부 208 : 통신부
209 : 스토리지 210 : 위치측정부

Claims (5)

  1.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센서로부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를 나타낸 종류 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발생 기준이 되는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임계사고각도 및 상기 산출된 현재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사고발생신호를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이용자와 연관된 연관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는 상기 이용자의 평균 운행 속독, 급가속도 빈도, 급감속 빈도 및 급회전 빈도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사고각도 산출을 위한 제 1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사고 각도 산출을 위한 제 2 가중치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 임계사고각도와 상기 제 1 가중치 및 상기 제 2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제 1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각속도 센서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제 2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울어진 각도 및 상기 제 2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상기 산출된 임계사고각도 이상이고,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정지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하고,
    상기 사고발생신호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 사고발생시간 및 상기 이용자에 대한 사용자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상기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측정된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제 1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각속도 센서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제 2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기울어진 각도 및 상기 제 2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다음 수학식에 따라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방법.
    [수학식 1]
    현재 기울어진 각도 = a×제 1 기울어진 각도 + b×제 2 기울어진 각도
    (여기에서, 제 1 기울어진 각도는 각속도 센서(203)에 의해 측정된 각도이고, 제 2 기울어진 각도는 지자기 센서(204)에 의해 측정된 각도이고, a는 각속도 기울기 가중치이고, b는 지자기 기울기 가중치이고, 가중치 a 및 가중치 b는 지자기 세기에 따라 가변한다.)
  5.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에 있어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가 부착된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복수 개의 센서(203, 204);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를 나타낸 종류 데이터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발생 기준이 되는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는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
    상기 현재 운행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는 현재각도 산출부(206);
    상기 산출된 임계사고각도 및 상기 산출된 현재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사고결정부(207);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 경우, 사고발생신호를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이용자와 연관된 연관된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208)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를 포함하고,
    상기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는 상기 이용자의 평균 운행 속독, 급가속도 빈도, 급감속 빈도 및 급회전 빈도를 포함하고,
    상기 임계사고각도 산출부(205)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종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사고각도 산출을 위한 제 1 가중치를 생성하고, 상기 이용자 운행습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사고 각도 산출을 위한 제 2 가중치를 생성하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준 임계사고각도와 상기 제 1 가중치 및 상기 제 2 가중치를 곱하여 상기 임계사고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센서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제 1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각속도 센서 및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제 2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각도 산출부(206)는 상기 제 1 기울어진 각도 및 상기 제 2 기울어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를 산출하고,
    상기 사고결정부(207)는, 상기 산출된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상기 산출된 임계사고각도 이상이고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임계정지시간 이상의 시간 동안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에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하고,
    상기 사고발생신호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사고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 사고발생시간 및 상기 이용자에 대한 사용자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가 발생한 장소의 위치 정보는 상기 스마트 모빌리티의 현재 기울어진 각도가 상기 임계사고각도 이상인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측정된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감지장치.
KR1020210067975A 2021-05-27 2021-05-27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250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975A KR102509621B1 (ko) 2021-05-27 2021-05-27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975A KR102509621B1 (ko) 2021-05-27 2021-05-27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172A KR20220160172A (ko) 2022-12-06
KR102509621B1 true KR102509621B1 (ko) 2023-03-14

Family

ID=8440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975A KR102509621B1 (ko) 2021-05-27 2021-05-27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6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478B1 (ko) * 2017-03-06 2018-07-30 주식회사 아이오티스퀘어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JP6856742B2 (ja) * 2017-03-29 2021-04-14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車載器、演算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59B1 (ko) * 2006-07-25 2012-04-19 주식회사 만도 운전자의 운전 특성을 반영하는 전동식 조향장치
KR20200096028A (ko)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바이시큐 잠금 장치가 구비된 공유 자전거의 반납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478B1 (ko) * 2017-03-06 2018-07-30 주식회사 아이오티스퀘어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JP6856742B2 (ja) * 2017-03-29 2021-04-14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車載器、演算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172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70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helmet usage information during operation of an activity device
ES2967089T3 (es) Métodos y sistemas de identificación de conductores
KR20220099529A (ko) 응급 서비스 요원으로의 건강 레코드 송신을 위한 보안 방법
JP2022526932A (ja) 車両ユーザの安全性
CN104091079B (zh) 一种基于mems imu公交司机驾驶水平评定方法
US84174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passenger and vehicle safety
KR101882478B1 (ko) 센서를 이용한 이륜차의 위험 상황 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응급 구난 신호 전송 방법
CN108663045A (zh) 一种骑行载具姿态识别报警方法和姿态监测报警装置
JP2013092923A (ja) 転落検出装置及び転落監視システム
GB2544297A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ehicle crash data
US20190236387A1 (en) Distracted driving detector
US1121546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vehicl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8060299A (ja) 安全運転支援装置、二輪車運転支援システム、安全運転支援方法、安全運転支援プログラム
KR20180024487A (ko) 차량사고 확인 시스템 및 차량사고 확인 방법
KR102509621B1 (ko) 복수 개의 센서를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사고 감지 방법 및 장치
CN108318263A (zh) 一种机车振动状态监测系统
KR101993599B1 (ko) IoT 스마트웨어 기반의 긴급 상황 대응 장치
JP7016959B2 (ja) 運転評価装置
JP5549417B2 (ja) 位置監視装置、位置監視プログラムおよび位置監視方法
KR101965244B1 (ko) 자전거용 안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주행 교육 시스템
KR101427825B1 (ko) 모바일 기기의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gps 전력 사용량 절감 방법
Bo et al. TEXIVE: Detecting drivers using personal smart phones by leveraging inertial sensors
CN113212632A (zh) 一种代步车、代步车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2633328B1 (ko) 퍼스널 모빌리티용 안전 가이드 장치
CN211055285U (zh) 一种具备碰撞报警功能的车机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