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467B1 -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 - Google Patents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467B1
KR102509467B1 KR1020210063192A KR20210063192A KR102509467B1 KR 102509467 B1 KR102509467 B1 KR 102509467B1 KR 1020210063192 A KR1020210063192 A KR 1020210063192A KR 20210063192 A KR20210063192 A KR 20210063192A KR 102509467 B1 KR102509467 B1 KR 102509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underwater foundation
foundation
underwater
pi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3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9467B9 (ko
KR20220155671A (ko
Inventor
이계희
곽대진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기에스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해기에스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63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4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5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467B1/ko
Publication of KR10250946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46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간만의 차가 큰 간석지 등에서 교량의 교각기초, 해상풍력발전타워의 기초 등과 같이 수중 지반에 시공되는 수중 기초(foundation)에 대하여, 그 주변에 세굴현상(scouring)이 발생하는 것을 친환경적인 형태로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중 기초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복수개의 말뚝을 수중 지반에 관입 설치하고, 해당 수중 기초의 설치 지역에서 성장과 부착이 우수한 김, 감태 등의 해조류가 활착되어 성장할 수 있는 네트를 현수(懸垂)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해조류가 활착/성장되어 있는 네트에 의해 수중 기초의 주변에서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수위 하강시에는 네트가 접혀서 포개져서 말뚝과 수중 기초 사이의 해저 지반면 위를 덮게 되어 수중 기초 주변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친환경적이고 자연친화적인(eco-friendly) 방식에 의해 방지하거나 억제하게 되는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Structure and Method for Preventing Scouring of Foundation using Net}
본 발명은 교량의 교각기초, 해상풍력발전타워의 기초 등과 같이 수중 지반에 시공되는 수중 기초(foundation)의 주변에 세굴현상(scouring)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조수간만의 차가 큰 간석지 등에 설치된 수충 기초에 대하여, 수중 기초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복수개의 말뚝을 수중 지반에 관입 설치하고, 해당 수중 기초의 설치 지역에서 성장과 부착이 우수한 해조류(예를 들면, 김, 감태 등)이 활착되어 성장할 수 있는 네트(net/그물)를 말뚝에 체결하여 늘어뜨리는 형태의 현수(懸垂)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해조류가 활착/성장되어 있는 네트에 의해 수중 기초의 주변에서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이를 통해서 조수간만의 차로 인한 수중 기초 주변의 세굴을 친환경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식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수위가 하강할 때에는 네트가 접혀져서 포개지면서 수중 기초의 주변을 덮게 되어 수중 기초 주변의 세굴 방지 효과가 더욱 커지게 되는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교각기초, 해상풍력발전타워의 기초 등과 같이 수중 지반에 시공되는 수중 기초가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을 차지하는 "광폭"기초"의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수중 기초가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의 낮은 수심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조수류에 의해 수중 기초의 주변에는 세굴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광폭기초는 상대적으로 관입심도가 낮기 때문에, 수중 기초가 광폭기초의 형태로 낮은 수심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세굴로 인하여 수중 기초의 지지력이 저하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수중 기초가 지지하게 되는 교량이나 해상풍력발전타워 등의 본 구조물의 안정성에도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의 낮은 수심에 설치되는 광폭기초 형태의 수중 기초에 대해서는, 수중 기초의 주변에서 조수류에 의한 세굴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를 위한 유용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3665호가 있다. 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3665호에서 제시하는 기술은 사용 후 제거될 수 있는 수중 기초에 대해 매우 효과적인 세굴방지 기능을 발휘한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의 낮은 수심 위치에 설치되는 광폭기초 형태의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에 최적화되어 있는 종래 기술은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3665호(2017. 01. 06. 공고).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예/ 간석지 干潟地)의 낮은 수심 위치에 설치되는 광폭기초 형태의 수중 기초 주변에서 세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수중 기초의 안정성 및 더 나아가 수중 기초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 기능을 발휘함에 있어서, 친환경적인 형태가 되고, 직접적인 수산(水産) 작업의 실시 뿐만 아니라 관광자원으로도 이용할 수 있어서 해당 지역의 주민들의 수익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중 기초를 둘러싸도록 수중 기초의 주변에서 복수개의 말뚝이 서로 간격을 두고 수중 지반에 연직하게 관입 설치되어 있고; 말뚝 사이의 간격에는 해조류가 활착되어 성장할 수 있게 하는 네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말뚝과 네트를 설치한 상태에서 네트에 해조류를 활착시켜 성장시켜서 수중 기초가 해조류에 의해 둘러싸이게 만들어서, 수중 기초의 주변을 흐르는 조수류의 유속을 저감시킴으로써 수중 기초 주변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구조 및 세굴방지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세굴방지구조 및 세굴방지방법에 있어서, 말뚝의 상단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현수 장착봉이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네트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걸림고리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걸림고리가 현수 장착봉(4)에 체결됨으로써, 네트가 말뚝 사이의 간격에서 현수방식으로 설치되며; 네트의 하단은 해저 지반에 고정되고; 네트의 상단 및 현수 장착봉의 승하강을 위하여,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체가 인양선에 의해 현수 장착봉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네트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위치에는, 네트를 수중 기초 방향으로 당기도록 장력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장력선이 결합되어 있고;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부체의 하강에 의해 현수 장착봉과 네트의 상단이 하강하면서 장력선의 결합 위치에서 네트가 접히면서 포개지게 되어, 말뚝과 수중 기초 사이의 해저 지반면 위를 접혀서 포개진 네트가 덮게 되어 수중 기초 주변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게 되는 규성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기한 본 발명에 따른 세굴방지구조 및 세굴방지방법에 있어서, 네트의 하단을 길게 연장시켜서 말뚝과 수중 기초 사이의 해저 지반면을 네트의 하단으로 피복함으로써, 네트의 보호 작용에 의해 해저 지반면에서의 세굴 현상이 방지되거나 억제되게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기초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복수개의 말뚝을 수중 지반에 관입 설치하고, 해당 수중 기초의 설치 지역에서 성장과 부착이 우수한 해조류(예를 들면, 김, 감태 등)이 활착되어 성장할 수 있는 네트(net/그물)를 말뚝에 체결하여 늘어뜨리는 형태의 현수(懸垂)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해조류가 활착/성장되어 있는 네트에 의해 수중 기초의 주변에서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이를 통해서 조수간만의 차로 인한 수중 기초 주변의 세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게 되는 바, 친환경적인 공법이며, 더 나아가 이를 통해서 인근 주민들의 소득 증대, 그리고 더 나아가 해조류 채취를 관광상품화시켜서 더 큰 소득 증대 사업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굴방지방법에 따라 수중 기초의 주변에 세굴방지구조를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A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화살표 E-E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수위가 하강하여 네트의 상단이 내려가서 접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화살표 C-C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F-F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수위가 크게 하강함에 따라 네트의 상단이 더욱 내려가서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네트가 충분히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세굴방지방법에 따라 수중 기초(100)의 주변에 세굴방지구조를 형성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의 화살표 A-A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1의 원 B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 3의 화살표 E-E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4에는 수위가 높아서 네트(2)가 펼쳐져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도시(圖示)의 편의를 위하여 말뚝(1) 사이의 연직 공간에서 네트(2)가 연직한 평면의 형태로 배치된 것으로 표현되었다. 도면에서의 표현과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에서는, 수중 기초(100)를 둘러싸도록 수중 기초(100)의 주변에 복수개의 말뚝(1)이 서로 간격을 두고 수중 지반에 연직하게 관입 설치된다. 그리고 말뚝(1) 사이의 간격에는 네트(2)가 설치된다. 네트(2)는 김, 감태 등의 해조류가 활착되어 성장할 수 있게 하는 망 형태의 부재이다. 네트(2)에 활착 및 성장시킬 해조류는 수중 기초(100)가 설치되는 지역에서 잘 성장하고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말뚝(1) 사이의 간격에 네트(2)를 설치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현수(懸垂)방식을 이용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네트(2)는 그 상단이 수위에 맞추어 승,하강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더 나아가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네트(2)에서 연직하게 세워져 있던 부분이 접히면서 수중 기초(100)의 주변 위로 포개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말뚝(1) 상단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현수 장착봉(4)이 설치된다. 현수 장착봉(4)은 수평하게 연장된 봉 내지 막대 부재로 이루어져서 서로 이웃하는 말뚝(1)의 상단 사이에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것이다. 현수 장착봉(4)의 양단은 말뚝(1)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도록 말뚝(1)에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현수 장착봉(4)의 양단에는 각각 끼움고리(40)가 구비되어 있어서 끼움고리(40)가 말뚝(1)의 외부에 끼워져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끼움고리(40)의 중앙에 말뚝(1)이 관통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후술하는 것처럼 부체(5)와 연결된 인양선(50)을 통해서 가해지는 장력에 따라 현수 장착봉(4)이 수평한 상태로 승하강하게 된다.
현수 장착봉(4)은 후술하는 것처럼 네트(2)를 걸기 위한 부재로서 기능하지만, 이에 더하여 현수 장착봉(4)은 말뚝(1)의 직립에 대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된다. 즉, 현수 장착봉(4)은 말뚝(1)이 견고하게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네트(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걸림고리(20)를 설치한다. 걸림고리(2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걸림고리(20)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게 만든다. 걸림고리(20)를 현수 장착봉(4)에 체결함으로써, 네트(2)가 말뚝(1) 사이의 간격에서 마치 커튼처럼 늘어뜨려진 형상이 되도록 현수방식으로 설치된다. 네트(2)는 단지 말뚝(1) 사이의 연직한 면적만을 가로막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네트(2)의 하부를 길게 연장하여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을 덮게 만드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이 네트(2)에 의해 피복되게 만드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저 지반면이 네트(2)에 덮여 있게 되면, 네트(2)의 보호 작용에 의해 해저 지반면에서의 세굴 현상이 방지되거나 또는 크게 억제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하단이 해저 지반면을 덮도록 길게 연장된 네트(2)를 연직하게 세워서 설치함에 있어서, 네트(2)의 하단을 해저 지반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네트(2)의 하단에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의 하부 가압부재(6)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가압부재(6)의 하면에 핀(pin)과 같은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여, 돌출된 부분이 해저 지반면에 관입됨으로써 하부 가압부재(6)가 네트(2)의 하단을 해저 지반면으로 가압하게 되고, 그에 따라 네트(2)의 하단이 해저 지반면으로부터 들뜨지 않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네트(2)의 아래를 길게 연장시켜서 연장된 하부에 의해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을 피복함에 있어서, 해저 지반면 위에 위치하는 네트(2)의 하부가 해저 지반면에 밀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서는 앵커부재(3)를 네트(2)의 상면에서부터 해저 지반을 향하여 관입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앵커부재(3)를 이용하여 해저 지반면에 네트(2)의 하부를 고정함으로써, 해저 지반면의 피복을 통한 세굴 방지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을 누릴 수 있게 된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 네트(2)는 수위가 하강할 때 상단과 하단 사이가 접히면서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 위로 포개져 덮이게 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네트(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특정 위치에는 장력선(8)이 연결되어 있다. 장력선(8)은 고무줄 등으로 이루어져서 네트(2)를 수중 기초(100) 방향으로 당기도록 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타단은 수중 기초(100)에 결합되고 일단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네트(2)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서 미리 정해 놓은 위치에 결합된다. 장력선(8)의 일단을 네트(2)에 결합함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횡결합판(7)을 미리 네트(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특정 위치에서 네트(2)에 일체로 결합하고, 장력선(8)의 일단을 횡결합판(7)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횡결합판(7)을 구비하는 경우, 장력선(8)을 통해서 장력이 가해져서 네트(2)의 중간 부분이 수중 기초(100) 방향으로 당겨질 때, 횡결합판(7)이 설치된 위치에서 횡결합판(7)을 따라 수평방향의 접힘 선을 만들면서 네트(2)가 자연스럽게 접힐 수 있게 된다.
한편, 네트(2)의 상단 및 현수 장착봉(4)의 승하강을 위하여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체(浮體)(5)가 구비되는데, 부체(5)에는 인양선(50)이 연결되어 있으며, 인양선(50)의 하단은 현수 장착봉(4)에 결합되어 있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일부 네트(2)에 대해서만 부체(5)를 도시하였고, 나머지 네트(2)에 대해서는 부체(5)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수위가 말뚝(1) 보다 더 높을 때에는 부체(5)가 부유하면서 인양선(50)을 통해서 현수 장착봉(4)을 위로 당겨서 네트(2)가 펼쳐져 있게 된다. 이 때 장력선(8)을 통해서 장력이 가해져서 네트(2)의 중간 부분이 수중 기초(10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네트(2)는 실질적으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말뚝(1) 사이에서 연직방향으로 펼쳐져 있되 중간 부분이 수중 기초(100) 방향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다만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수위가 말뚝(1) 보다 더 높을 때에 네트(2)가 연직한 평면을 이루고 있는 형태로 도시하였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말뚝(1) 사이의 연직 공간에서 네트(2)가 연직한 평면의 형태로 배치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이는 도면으로 표현함에 있어서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장력선(8)의 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말뚝(1) 사이의 연직 공간에서 네트(2)는 그 중간 부분이 수중 기초(100) 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네트(2)는 김, 감태 등의 해조류가 활착되어 성장할 수 있게 하는 부재이다. 따라서 말뚝(1)과 네트(2)를 설치하고 네트(2)에 해조류를 활착시켜 성장시키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네트(2)가 펼쳐져서 연직하게 세워지게 되면 수중 기초(100)가 해조류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해조류로 덮여진 상태로 연직하게 세워진 네트(12)는 조수간만에 의해 수중 기초(100)의 주변을 흐르는 수류(水流) 즉, 수중 기초(100)의 주변을 흐르는 조수류의 유속을 저감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연직하게 세워져 있고 해조류로 덮여 있는 네트(2)에 의해 수중 기초(100)가 둘러싸이게 되고, 이에 의해 수중 기초(100) 주변의 조수류의 유속이 감소하게 되며, 그에 따라 수중 기초(100) 주변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크게 억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앞서 설명한 것처럼 네트(2)의 하단을 길게 연장시켜서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이 네트(2)에 의해 피복되게 만들게 되면,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이 조수류에 의해 파이고 세굴되는 것을 네트(2)의 보호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그 뿐만 아니라, 네트(2)에 활착되어 성장하게 될 해조류로서 김, 감태 등과 같이 식용이 가능하며 상품가치가 우수한 것을 선택하는 경우, 네트(2)는 해조류 양식의 기능도 가지게 되며, 그에 따라 인근 지역의 어민들이 네트(2)에 활착, 성장한 해조류를 채취함으로써 큰 소득을 얻을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특히, 네트(2)에 활착, 성장한 해조류를 채취하는 것을 일종의 "체험활동"으로서 관광상품화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소득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잇점도 발휘된다.
수위가 말뚝(1)의 높이 이상일 경우에는 부체(5)가 부유하면서 인양선(50)을 통해서 현수 장착봉(4)을 위로 당겨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네트(2)가 펼쳐져 있게 된다. 그러나 조수간만에 의해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그에 따라 부체(5)가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인양선(50)을 통해서 현수 장착봉(4)에 가해지는 상향력이 감소하게 된다. 도 5에는 수위가 하강하여 네트(2)의 상단이 내려가서 접혀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5의 화살표 C-C에 따른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5의 원 D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7의 화살표 F-F에 따른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5에서는 부체(5)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우선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인양선(50)을 통해서 현수 장착봉(4)에 가해지는 상향력이 감소하게 되어 종국에는 상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는데, 그에 따라 현수 장착봉(4)은 그 양단이 말뚝(1)에 결합된 채로 하강하게 되며 네트(2)의 상단도 하강하게 된다. 이 때 네트(2)의 중간에는 장력선(8)이 결합되어 지속적으로 수중 기초(100)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네트(2)의 상단이 하강하면서 장력선(8) 결합 위치에서 네트(2)가 접히면서 포개지게 된다.
도 9에는 수위가 크게 하강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상태보다 네트(2)의 상단이 더욱 내려가서 네트(2)가 더 많이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네트(2)가 충분히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횡방향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수위가 더 하강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네트(2)에서 장력선(8)의 일단이 결합된 부분이 접히면서 그 부분이 수중 기초(100)를 향하여 최대로 돌출되어 포개지고, 그에 따라 네트(2)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 위를 덮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 위에 네트(2)가 접혀지고 포개져서 덮고 있는 상태에서는 수중 기초(100) 주변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억제하는 것이 더욱 배가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 기초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복수개의 말뚝을 수중 지반에 관입 설치하고, 해당 수중 기초의 설치 지역에서 성장과 부착이 우수한 해조류(예를 들면, 김, 감태 등)이 활착되어 성장할 수 있는 네트(net/그물)를 말뚝에 체결하여 늘어뜨리는 형태의 현수(懸垂)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해조류가 활착/성장되어 있는 네트에 의해 수중 기초의 주변에서의 유속을 감속시키고, 이를 통해서 조수간만의 차로 인한 수중 기초 주변의 세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게 되며, 더 나아가 이를 통해서 인근 주민들의 소득 증대, 그리고 더 나아가 해조류 채취를 관광상품화시켜서 소득 증대 사업을 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1: 말뚝
2: 네트
3: 앵커부재
4: 현수 장착봉
100: 수중 기초

Claims (4)

  1.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구조로서,
    수중 기초(100)를 둘러싸도록 수중 기초(100)의 주변에서 복수개의 말뚝(1)이 서로 간격을 두고 수중 지반에 연직하게 관입 설치되어 있고, 말뚝(1) 사이의 간격에는 네트(2)가 설치되는데;
    말뚝(1)의 상단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현수 장착봉(4)이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네트(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걸림고리(20)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걸림고리(20)가 현수 장착봉(4)에 체결됨으로써, 네트(2)가 말뚝(1) 사이의 간격에서 현수방식으로 설치되며;
    네트(2)의 하단은 해저 지반에 고정되고;
    네트(2)의 상단 및 현수 장착봉(4)의 승하강을 위하여,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체(5)가 인양선(50)에 의해 현수 장착봉(4)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네트(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위치에는, 네트(2)를 수중 기초(100) 방향으로 당기도록 장력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장력선(8)이 결합되어 있고;
    말뚝(1)과 네트(2)를 설치하고 네트(2)에 해조류를 활착시키고 성장시켜서, 말뚝(1) 사이의 연직면에서 네트(2)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수중 기초(100)가 해조류에 의해 둘러싸이게 만들어서, 수중 기초(100)의 주변을 흐르는 조수류의 유속을 저감시킴으로써 수중 기초(100) 주변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게 되고;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부체(5)의 하강에 의해 현수 장착봉(4)과 네트(2)의 상단이 하강하면서 장력선(8)의 결합 위치에서 네트(2)가 접히면서 포개지게 되어,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 위를 접혀서 포개진 네트(2)가 덮게 되어 수중 기초(100) 주변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네트(2)의 하단은 길게 연장되어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을 피복함으로써, 네트(2)의 보호 작용에 의해 해저 지반면에서의 세굴 현상이 방지되거나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구조.
  3.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으로서,
    수중 기초(100)를 둘러싸도록 수중 기초(100)의 주변에서 복수개의 말뚝(1)을 서로 간격을 두고 수중 지반에 연직하게 관입 설치하는 단계; 및
    말뚝(1) 사이의 간격에는 해조류가 활착되어 성장할 수 있게 하는 네트(2)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말뚝(1)의 상단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현수 장착봉(4)이 승하강할 수 있게 설치되고;
    네트(2)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걸림고리(20)가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걸림고리(20)가 현수 장착봉(4)에 체결됨으로써, 네트(2)가 말뚝(1) 사이의 간격에서 현수방식으로 설치되며;
    네트(2)의 하단은 해저 지반에 고정되고;
    네트(2)의 상단 및 현수 장착봉(4)의 승하강을 위하여,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체(5)가 인양선(50)에 의해 현수 장착봉(4)과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네트(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위치에는, 네트(2)를 수중 기초(100) 방향으로 당기도록 장력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장력선(8)이 결합되어 있고;
    말뚝(1)과 네트(2)를 설치하고 네트(2)에 해조류를 활착시키고 성장시켜서, 말뚝(1) 사이의 연직면에서 네트(2)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수중 기초(100)가 해조류에 의해 둘러싸이게 만들어서, 수중 기초(100)의 주변을 흐르는 조수류의 유속을 저감시킴으로써 수중 기초(100) 주변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게 되고;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부체(5)의 하강에 의해 현수 장착봉(4)과 네트(2)의 상단이 하강하면서 장력선(8)의 결합 위치에서 네트(2)가 접히면서 포개지게 되어,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 위를 접혀서 포개진 네트(2)가 덮게 되어 수중 기초(100) 주변에서의 세굴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억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네트(2)의 하단을 길게 연장되게 만들어서, 네트(2)를 설치할 때, 네트(2)의 하단으로 말뚝(1)과 수중 기초(100) 사이의 해저 지반면을 피복함으로써, 네트(2)의 보호 작용에 의해 해저 지반면에서의 세굴 현상이 방지되거나 억제되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KR1020210063192A 2021-05-17 2021-05-17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 KR102509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92A KR102509467B1 (ko) 2021-05-17 2021-05-17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3192A KR102509467B1 (ko) 2021-05-17 2021-05-17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5671A KR20220155671A (ko) 2022-11-24
KR102509467B1 true KR102509467B1 (ko) 2023-03-14
KR102509467B9 KR102509467B9 (ko) 2023-05-11

Family

ID=8423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192A KR102509467B1 (ko) 2021-05-17 2021-05-17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9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5701B1 (ja) * 2023-07-26 2023-09-15 前田工繊株式会社 洗掘防止ユニットの撤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21B1 (ko) 2005-05-11 2007-06-18 주식회사 건화 교량 우물통 기초의 하부 보강구조
KR101693665B1 (ko) 2014-11-13 2017-01-0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기초의 세굴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428B1 (ko) * 2013-03-14 2015-02-06 장철중 전복 가두리 양식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621B1 (ko) 2005-05-11 2007-06-18 주식회사 건화 교량 우물통 기초의 하부 보강구조
KR101693665B1 (ko) 2014-11-13 2017-01-0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설치와 철거가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기초의 세굴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9467B9 (ko) 2023-05-11
KR20220155671A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10430A (ja) 魚類を養殖するためのプラント
KR102509467B1 (ko) 승하강 현수 방식 및 포개짐 구조의 해조류 부착용 네트를 이용한 수중 기초의 세굴방지방법 및 세굴방지구조
CN104351103A (zh) 大型浅海围网养殖装置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CN116240931A (zh) 一种海上风电锚链网幕式防冲刷结构及其施工方法
KR102188713B1 (ko) 가변 부양조절이 가능한 개량형 가두리 구조
KR101034076B1 (ko) 부상식 인공어초의 설치구조
CN206481819U (zh) 一种单点系泊船形浮框调载升降网箱
NO344724B1 (en) An aquatic system
JP5967487B2 (ja) 貝類の育成装置
KR19990055863A (ko) 양식설비
CN114051961B (zh) 一种大型深远海固定式抗风浪养殖平台
KR101977110B1 (ko) 부유식 교량 구조
JP2005040062A (ja) 木灰セラミックスを取り付けた浮上式昆布養殖棚
KR102262159B1 (ko) 그물 구조물
CN216292627U (zh) 可沉浮深远海养殖网箱锚定单元、系统及养殖网箱组合
WO2016139250A1 (en) Installation for cultivating marine biomass
JP6241011B2 (ja) 浮体型風車係留装置
JP6570067B2 (ja) ケーソンの着底方法
JP2017063761A (ja) 海藻を防御する人工藻場
JPH0316445Y2 (ko)
JPH1018266A (ja) 消波兼育苗構造体
JPS5941367B2 (ja) 蛇腹方式の漁網
JP2007014236A (ja) 中層浮藻場
CN103374901B (zh) 柔性消能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