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768B1 -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768B1
KR102508768B1 KR1020200166868A KR20200166868A KR102508768B1 KR 102508768 B1 KR102508768 B1 KR 102508768B1 KR 1020200166868 A KR1020200166868 A KR 1020200166868A KR 20200166868 A KR20200166868 A KR 20200166868A KR 102508768 B1 KR102508768 B1 KR 102508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result
work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687A (ko
Inventor
김봉택
이행섭
최은석
장호종
김동범
Original Assignee
김봉택
이행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택, 이행섭 filed Critical 김봉택
Priority to KR102020016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768B1/ko
Publication of KR2022007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6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warning men working on the ro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45Destination indicators, identification panels or distinguishing signs on th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72On-board train data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의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열차의 접근을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며, 열차의 원활한 운행을 제공하기 위한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열차감지부와, 작업 영역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관리단말과, 작업 영역에 인접하거나 작업 영역 내에 배치되어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작업단말과, 작업 영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휴대하거나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안전단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WHICH WARN OF TRAIN APPROACH}
본 발명은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로의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열차의 접근을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며, 열차의 원활한 운행을 제공하기 위한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선로는 이상발생시 뿐만 아니라 정기적으로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유지보수 작업은 항상 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선로의 유지보수 작업에서는 안전관리자가 배치되지 않아 열차가 선로의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할 수 있고, 안전관리자가 배치되더라도 안전관리자의 판단 오류가 발생하거나 안개 등과 같은 자연현상 또는 곡선 구간을 이유로 안전관리자의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여 열차가 선로의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하므로, 작업자는 안전 사고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선로의 작업 영역에 대해 GPS 정보의 업데이트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사령과 열차 사이의 정보를 공유하기 어렵거나, 실시간으로 선로의 작업 영역에 대한 상황 파악이 불가능하므로, 작업자는 안전 사고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선로의 작업 영역에서는 작업 소음으로 인한 열차의 접근 인지 불능 또는 작업자와 인접한 알림시스템의 부재, 무전기를 통한 단순 통신 수단으로 인해 열차가 선로의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것을 확인하지 못하므로, 작업자는 안전 사고에 노출될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6011호 (발명의 명칭 :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2020. 03. 06.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로의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열차의 접근을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며, 열차의 원활한 운행을 위한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열차감지부; 상기 작업 영역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관리단말; 상기 작업 영역에 인접하거나 상기 작업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작업단말; 및 상기 작업 영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휴대하거나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안전단말;을 포함한다.
그러면,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은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에 대한 진입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진입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은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기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안전단말이 상기 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선로에서 이탈하도록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작업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 및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업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안전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는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단말에는,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 및 상기 안전단말통신부와 상기 위험알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험알림부의 감시 결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부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작업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 및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업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안전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관리부; 및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는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대기부가 상기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를 보관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를 보관한다.
또한, 상기 안전단말에는,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위험관리부; 및 상기 안전단말통신부와 상기 위험알림부와 상기 위험관리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험알림부의 감시 결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부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며, 상기 위험관리부는 상기 위험알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작업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확인관리부; 및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관리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관리대기부가 상기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고,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확인정보를 보관하고,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를 보관한다.
또한, 상기 작업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안전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관리부; 및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는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대기부가 상기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단말에는,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위험관리부; 및 상기 안전단말통신부와 상기 위험알림부와 상기 위험관리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험알림부의 감시 결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부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며, 상기 위험관리부는 상기 위험알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은 상기 관리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열차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단말이 상기 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대피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은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대한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단말이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은 상기 결과정보에 대한 대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열차단말이 상기 대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열차단말은 상기 대피정보에 따라 상기 열차의 진행 상태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며, 상기 열차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확인관리부; 및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관리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관리대기부가 상기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고,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대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작업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안전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관리부; 및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는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대기부가 상기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단말에는,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위험관리부; 및 상기 안전단말통신부와 상기 위험알림부와 상기 위험관리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험알림부의 감시 결과,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부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며, 상기 위험관리부는 상기 위험알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차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열차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정보와 상기 위험정보를 감시하는 운행관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운행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정보에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운행관리부는 상기 열차가 정상 운행되도록 하고, 상기 운행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정보에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운행관리부는 상기 열차가 정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선로에서의 작업정보가 보관되는 작업정보관리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작업정보관리부는 상기 선로에서의 작업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작업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메세지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차단말에는, 상기 작업메세지의 수신 여부를 감시하는 의사방호관리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의사방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단말에서 상기 작업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의사방호관리부는 상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을 인지하는 의사방호를 생성하고 상기 의사방호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리단말에서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의사방호의 수신 여부를 추가로 감시하되,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관리단말에서 상기 의사방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로에서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긴급정지관리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긴급정지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긴급정지관리부는 상기 대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긴급정지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 중이거나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긴급정지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열차단말에는, 상기 열차단말과 상기 관리단말 사이의 통신에 따라 상기 선로에서의 작업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작업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로에서의 상기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상기 열차의 기관사에게 전파하는 작업경보관리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열차감지부는, 상기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차 쪽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의 통과 여부와 상기 열차의 접근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의 통과 여부와 상기 열차의 접근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 중 적어도 제2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감지부와 상기 작업 영역의 시작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거리 이상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고, 상기 관리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상기 안전단말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 상기 관리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 상기 작업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 및 상기 안전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고, 상기 관리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상기 안전단말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 상기 관리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 상기 작업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결과대기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대기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단계;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 상기 안전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되,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알림단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결과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를 보관하고,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를 보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고, 상기 관리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상기 안전단말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 상기 관리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관리대기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확인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 상기 작업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결과대기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대기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단계;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확인정보생성단계;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위험정보생성단계;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 상기 안전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되,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알림단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결과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확인정보를 보관하고, 상기 작업자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정보를 보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고, 상기 관리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상기 안전단말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 상기 관리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관리대기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확인단계; 상기 작업자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대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자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위험정보전달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 상기 작업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결과대기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대기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단계;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확인정보생성단계;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위험정보생성단계;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 상기 안전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되,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알림단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결과생성단계; 상기 열차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정보와 상기 위험정보를 감시하는 운행관리단계; 상기 운행관리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정보에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열차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열차가 정상 운행되도록 하는 정상운행단계; 및 상기 운행관리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정보에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열차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열차가 정지되도록 하는 비상제동단계;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상기 관리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의 작업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작업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메세지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메세지생성단계; 상기 열차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메세지의 수신 여부를 감시하는 열차감시단계; 상기 열차감시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단말에서 상기 작업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열차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을 인지하는 의사방호를 생성하고 상기 의사방호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의사방호생성단계; 및 상기 메세지생성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의사방호의 수신 여부를 감시하는 의사방호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사방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관리단말에서 상기 의사방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입정보생성단계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상기 작업자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통과확인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대피정보생성단계가 실시되도록 하고, 상기 통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 중이거나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험정보전달단계가 실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상기 열차감시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단말에서 상기 작업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열차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의 상기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상기 열차의 기관사에게 전파하는 작업경보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에서 상기 관리감시단계는, 상기 열차감지부 중 상기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차 쪽에 배치되는 제1감지부가 상기 열차의 통과 여부 또는 상기 열차의 접근 상태를 감지하는 제1감지단계; 및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제1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통신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통신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제1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거나 상기 열차가 상기 제1감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메세지생성단계 또는 상기 진입정보생성단계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에서 상기 통과확인단계에서 감시하는 상기 열차감지부는, 상기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감지부와 상기 작업 영역의 시작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거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선로의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열차의 접근을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며, 열차의 원활한 운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예를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예를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함은 물론,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작업단말에서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예를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함은 물론,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관리단말에서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단말의 부가 구성을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함은 물론,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기준으로 열차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단말의 부가 구성에 대응한 제4예를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함은 물론,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기준으로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여 열차의 안전 운행 및 열차의 비상 제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단말의 부가 구성에 대응하여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특정시키고, 열차단말과 관리단말 사이의 정보 공유 상태를 확인하여 정확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 영역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상태에서 열차가 열차감지부의 제2감지부를 통과함에 따라 열차를 정지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경보 기능을 통해 열차의 기관사에게 열차의 진행 방향 전방으로 작업 영역이 존재함을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를 감지함에 있어서, 열차감지부에서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여 열차감지부의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각각 설정되는 대기시간의 설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차를 감지함에 있어서, 작업 영역과 제2감지부 사이의 거리가 한정됨에 따라 열차의 비상 제동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미처 대피하지 못한 작업자가 작업 영역에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입 알림 기능을 통해 작업 영역에서 작업자를 지휘하는 사람에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은 열차감지부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을 포함하고, 열차단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차감지부는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한다. 열차감지부는 열차감지부에서 열차의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열차감지부는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작업 영역의 시작점으로부터 제1거리 이상 이격 배치됨으로써,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하는 경우, 열차의 비상 제동에 따라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진입하는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열차감지부는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열차 쪽에 배치되는 제1감지부(10a)와,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감지부(10a)와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제2감지부(10b) 중 적어도 제2감지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제1감지부(10a)와 제2감지부(10b)는 각각 선로에서 열차의 통과 여부와 선로에서 열차의 접근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감지부(10a)는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작업 영역의 시작점 또는 제2감지부(10b)로부터 제2거리 이상 이격 배치됨으로써, 열차가 제1감지부(10a)를 통과하는 경우, 단말들 사이의 무선통신시간 및 통신대기시간을 확보하고, 열차의 비상 제동에 대응하여 열차의 감속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감지부(10b)는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작업 영역의 시작점으로부터 제1거리 이상 이격 배치됨으로써, 열차가 제2감지부(10b)를 통과하는 경우, 열차의 비상 제동에 따라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진입하는 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거리는 적어도 1km를 나타내고, 제2거리는 적어도 2~3km를 나타낼 수 있다.
열차감지부가 단독으로 설치되는 경우, 열차감지부는 제2감지부(10b)의 위치에 설치되어 열차의 접근을 감지하고, 나중에 열차의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열차감지부가 제1감지부(10a)와 제2감지부(10b)로 구분되는 경우, 제1감지부(10a)는 열차의 접근 및 열차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고, 제2감지부(10b)는 나중에 제1감지부(10a)를 통과하는 열차의 접근 및 열차의 통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관리단말(10)은 작업 영역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작업단말(20)은 작업 영역에 인접하거나 작업 영역 내에 배치되어 관리단말(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안전단말(30)은 작업 영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휴대하거나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작업단말(20)과 무선으로 통신한다.
열차단말(40)은 관리단말(10)과 무선으로 통신한다.
그러면,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관리단말(10)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에 대한 진입정보를 생성하여 작업단말(20)에 전송한다. 또한, 작업단말(20)이 진입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작업단말(20)은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기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안전단말(30)에 전송한다. 또한, 안전단말(30)이 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안전단말(30)은 작업자가 선로에서 이탈하도록 작업자에게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게 된다.
그리고 열차단말(40)의 부가에 따라 안전단말(30)이 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안전단말(30)은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를 생성하여 작업단말(20)에 전송한다. 또한, 작업단말(20)이 대피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작업단말(20)은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대한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관리단말(10)에 전송한다. 또한, 관리단말(10)이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관리단말(10)은 결과정보에 대한 대피정보를 생성하여 열차단말(40)에 전송한다. 또한, 열차단말(40)이 대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열차단말(40)은 대피정보에 따라 열차의 진행 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 대해 4가지로 구분하여 좀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열차감지부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을 포함하여 열차 접근을 작업자에게 전파하는 기술>
본 발명의 제1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은 열차감지부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단말(10)에는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작업단말(2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11)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13)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열차진입관리부(13)의 감시 결과,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열차진입관리부(13)는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단말(20)에는 관리단말(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안전단말(3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21)와,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23)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안전관리부(23)의 감시 결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자안전관리부(23)는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안전단말(30)에는 작업단말(2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31)와,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32)와, 안전단말통신부(31)와 위험알림부(32)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35)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위험알림부(32)의 감시 결과, 안전단말(30)에서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위험알림부(32)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제1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와,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S11)와, 관리감시단계(S11)를 거침에 따라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S131)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S21)와, 작업감시단계(S21)를 거침에 따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S211)되는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S23)와,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S31)와, 안전감시단계(S31)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에서 안전정보가 수신(S311)되는 경우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열차감지부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을 포함하여 열차 접근을 작업자에게 전파하고, 작업단말(20)에서 관련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기술>
본 발명의 제2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은 열차감지부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단말(10)에는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작업단말(2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11)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13)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열차진입관리부(13)의 감시 결과,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열차진입관리부(13)는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단말(20)에는 관리단말(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안전단말(3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21)와,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23)와,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관리부(24)와,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대기부(26)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안전관리부(23)의 감시 결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자안전관리부(23)는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기부(26)가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결과확인관리부(24)는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결과를 감시하게 된다.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를 보관하고,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안전단말(30)에는 작업단말(2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31)와,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32)와,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위험관리부(33)와, 안전단말통신부(31)와 위험알림부(32)와 위험관리부(33)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35)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위험알림부(32)의 감시 결과, 안전단말(30)에서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위험알림부(32)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할 수 있다. 또한, 위험관리부(33)는 위험알림부(3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대피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2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작업단말(20)에는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 미완료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긴급결과를 감시하는 긴급확인관리부(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대기부(26)는 대피 미완료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긴급결과가 수신되는 긴급대기시간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자안전관리부(23)는 긴급정보를 생성하고,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기부(26)가 긴급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긴급확인관리부(25)는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결과를 감시하게 된다.
긴급확인관리부(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최종적으로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를 보관하고, 긴급확인관리부(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최종적으로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2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안전단말(30)에는 위험관리부(33)가 대피결과를 전송하기 앞서,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대피확인부(3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대피확인부(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위험관리부(33)는 대피결과에 안전정보를 포함하여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하고, 대피확인부(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긴급결과를 생성하고, 긴급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열차감지부가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열차에서는 속도를 감속할 수 있고, 열차로부터 열차의 속도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결과대기시간과 긴급대기시간은 열차감지부와 열차 사이의 거리 및 열차의 속도를 바탕으로 산출되고, 열차감지부가 열차를 감지한 시점부터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운행시간은 결과대기시간과 긴급대기시간의 합과 같거나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제2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와,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S11)와, 관리감시단계(S11)를 거침에 따라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S131)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S21)와, 작업감시단계(S21)를 거침에 따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S211)되는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S23)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결과대기단계(S261)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결과대기단계(S261)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단계(S24)와,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S31)와, 안전감시단계(S31)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에서 안전정보가 수신(S311)되는 경우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S32)와,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되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위험알림단계(S3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대피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결과생성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결과확인단계(S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를 보관하고, 결과확인단계(S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2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대피 미완료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긴급정보를 생성하고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하는 긴급정보생성단계(S231)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긴급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긴급결과가 수신되는 긴급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긴급대기단계(S263)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긴급대기단계(S263)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결과를 감시하는 긴급확인단계(S25)와, 안전단말(30)이 긴급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대피결과생성단계(S33)에서 대피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기에 앞서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대피확인단계(S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긴급확인단계(S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를 보관하고, 긴급확인단계(S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최종적으로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대피확인단계(S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대피결과에 안전정보를 포함하여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하고, 대피확인단계(S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긴급결과를 생성하고, 긴급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열차감지부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을 포함하여 열차 접근을 작업자에게 전파하고, 관리단말(10)에서 관련 정보를 수집 관리하는 기술>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은 열차감지부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단말(10)에는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작업단말(2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11)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13)와,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확인관리부(14)와,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됨에 따라 작업단말(20)로부터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관리대기부(16)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열차진입관리부(13)의 감시 결과,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열차진입관리부(13)는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대기부(16)가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작업확인관리부(14)는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정보를 감시하게 된다. 작업확인관리부(14)의 감시 결과,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확인관리부(14)는 확인정보를 보관하고, 작업확인관리부(14)의 감시 결과,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확인관리부(14)는 위험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작업단말(20)에는 관리단말(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안전단말(3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21)와,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23)와,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관리부(24)와,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대기부(26)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안전관리부(23)의 감시 결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자안전관리부(23)는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기부(26)가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결과확인관리부(24)는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결과를 감시하게 된다.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확인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위험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안전단말(30)에는 작업단말(2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31)와,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32)와,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위험관리부(33)와, 안전단말통신부(31)와 위험알림부(32)와 위험관리부(33)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35)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위험알림부(32)의 감시 결과, 안전단말(30)에서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위험알림부(32)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할 수 있다. 그리고 위험관리부(33)는 위험알림부(3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대피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작업단말(20)에는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 미완료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긴급결과를 감시하는 긴급확인관리부(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대기부(26)는 대피 미완료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긴급결과가 수신되는 긴급대기시간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자안전관리부(23)는 긴급정보를 생성하고,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기부(26)가 긴급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긴급확인관리부(25)는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결과를 감시하게 된다.
긴급확인관리부(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최종적으로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확인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긴급확인관리부(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최종적으로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위험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안전단말(30)에는 위험관리부(33)가 대피결과를 전송하기 앞서,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대피확인부(3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대피확인부(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위험관리부(33)는 대피결과에 안전정보를 포함하여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하고, 대피확인부(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긴급결과를 생성하고, 긴급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열차감지부가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열차에서는 속도를 감속할 수 있고, 열차로부터 열차의 속도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결과대기시간과 긴급대기시간은 열차감지부와 열차 사이의 거리 및 열차의 속도를 바탕으로 산출되고, 열차감지부가 열차를 감지한 시점부터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운행시간은 결과대기시간과 긴급대기시간의 합과 같거나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대기시간은 결과대기시간과 긴급대기시간의 합과 같거나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와,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S11)와, 관리감시단계(S11)를 거침에 따라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S131)와,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됨에 따라 작업단말(20)로부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관리대기단계(S16)와,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확인단계(S14)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S21)와, 작업감시단계(S21)를 거침에 따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S211)되는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S23)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결과대기단계(S261)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결과대기단계(S261)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단계(S24)와, 결과확인단계(S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확인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하는 확인정보생성단계(S241)와, 결과확인단계(S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위험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하는 위험정보생성단계(S242)와,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S31)와, 안전감시단계(S31)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에서 안전정보가 수신(S311)되는 경우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S32)와,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되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위험알림단계(S3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대피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결과생성단계(S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확인단계(S14)의 감시 결과, 결과정보 중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확인정보를 보관하고, 작업자확인단계(S14)의 감시 결과, 결과정보 중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위험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대피 미완료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긴급정보를 생성하고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하는 긴급정보생성단계(S231)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긴급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긴급결과가 수신되는 긴급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긴급대기단계(S263)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긴급대기단계(S263)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결과를 감시하는 긴급확인단계(S25)와, 안전단말(30)이 긴급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대피결과생성단계(S33)에서 대피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기에 앞서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대피확인단계(S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긴급확인단계(S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확인정보생성단계(S241)를 실시함에 따라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확인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긴급확인단계(S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위험정보생성단계(S242)를 실시함에 따라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위험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피확인단계(S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대피결과에 안전정보를 포함하여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하고, 대피확인단계(S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긴급결과를 생성하고, 긴급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열차감지부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과 열차단말(40)을 포함하여 열차 접근을 작업자에게 전파하고, 열차단말(40)에서 열차 운행을 제어하는 기술>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은 열차감지부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단말(10)에는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작업단말(2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며 열차단말(4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11)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13)와,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확인관리부(14)와,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됨에 따라 작업단말(20)로부터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관리대기부(16)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열차진입관리부(13)의 감시 결과,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열차진입관리부(13)는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대기부(16)가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작업확인관리부(14)는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정보를 감시하게 된다. 작업확인관리부(14)의 감시 결과,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확인관리부(14)는 대피정보를 생성하고 대피정보가 열차단말(4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업확인관리부(14)의 감시 결과,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확인관리부(14)는 위험정보가 열차단말(4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작업단말(20)에는 관리단말(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안전단말(3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21)와,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23)와,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관리부(24)와,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대기부(26)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자안전관리부(23)의 감시 결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작업자안전관리부(23)는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기부(26)가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결과확인관리부(24)는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결과를 감시하게 된다.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확인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위험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안전단말(30)에는 작업단말(20)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31)와,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32)와,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위험관리부(33)와, 안전단말통신부(31)와 위험알림부(32)와 위험관리부(33)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35)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위험알림부(32)의 감시 결과,안전단말(30)에서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위험알림부(32)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할 수 있다. 또한, 위험관리부(33)는 위험알림부(3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대피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열차단말(40)에는 관리단말(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열차단말통신부(41)와,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정보와 위험정보를 감시하는 운행관리부(44)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운행관리부(44)의 감시 결과, 대피정보에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 운행관리부(44)는 열차가 정상 운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행관리부(44)의 감시 결과, 대피정보에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거나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운행관리부(44)는 열차가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관리단말(10)에는 선로에서의 작업정보가 보관되는 작업정보관리부(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작업정보관리부(12)는 선로에서의 작업정보를 바탕으로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작업메세지를 생성하고 작업메세지가 열차단말(4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열차단말(40)에는 작업메세지의 수신 여부를 감시하는 의사방호관리부(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의사방호관리부(43)의 감시 결과, 열차단말(40)에서 작업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 의사방호관리부(43)는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을 인지하는 의사방호를 생성하고 의사방호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관리단말(10)에서 열차진입관리부(13)는 의사방호의 수신 여부를 추가로 감시할 수 있다. 그러면, 열차진입관리부(13)의 감시 결과, 관리단말(10)에서 의사방호를 수신하는 경우, 열차진입관리부(13)는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관리단말(10)에는 작업확인관리부(14)의 동작에 대응하여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선로에서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긴급정지관리부(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긴급정지관리부(15)의 감시 결과,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긴급정지관리부(15)는 대피정보를 생성하고 대피정보가 열차단말(4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긴급정지관리부(15)의 감시 결과,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 중이거나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한 상태에서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긴급정지관리부(15)는 위험정보가 열차단말(4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열차단말(40)에는 열차단말(40)과 관리단말(10) 사이의 통신에 따라 선로에서의 작업정보를 바탕으로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작업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또는 의사방호관리부(43)의 감시 결과, 열차단말(40)에서 작업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선로에서의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열차의 기관사에게 전파하는 작업경보관리부(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열차단말(40)에는 운행관리부(44)가 대피정보와 위험정보를 감시함에 있어서, 관리단말(10)로부터 대피정보 또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열차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열차대기부(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의사방호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됨에 따라 열차대기부(45)가 열차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운행관리부(44)는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정보 또는 위험정보를 감시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작업단말(20)에는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 미완료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긴급결과를 감시하는 긴급확인관리부(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작업대기부(26)는 대피 미완료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긴급결과가 수신되는 긴급대기시간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자안전관리부(23)는 긴급정보를 생성하고,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기부(26)가 긴급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긴급확인관리부(25)는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결과를 감시하게 된다.
긴급확인관리부(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최종적으로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확인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긴급확인관리부(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결과확인관리부(24)는 최종적으로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위험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안전단말(30)에는 위험관리부(33)가 대피결과를 전송하기 앞서,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대피확인부(3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대피확인부(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위험관리부(33)는 대피결과에 안전정보를 포함하여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하고, 대피확인부(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긴급결과를 생성하고, 긴급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열차감지부가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열차에서는 속도를 감속할 수 있고, 열차로부터 열차의 속도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결과대기시간과 긴급대기시간은 열차감지부와 열차 사이의 거리 및 열차의 속도를 바탕으로 산출되고, 열차감지부가 열차를 감지한 시점부터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하는 시점까지의 운행시간은 결과대기시간과 긴급대기시간의 합과 같거나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관리대기시간은 결과대기시간과 긴급대기시간의 합과 같거나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열차대기시간은 관리대기시간과 같거나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운행시간은 관리대기시간 또는 열차대기시간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관리단말(10)과 작업단말(20)과 안전단말(30)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와,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S11)와, 관리감시단계(S11)를 거침에 따라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S131)와,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진입정보가 작업단말(20)에 전송됨에 따라 작업단말(20)로부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관리대기단계(S16)와,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확인단계(S14)와, 작업자확인단계(S14)의 감시 결과,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대피정보를 생성하고 대피정보가 열차단말(40)에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정보생성단계(S141)와, 작업자확인단계(S14)의 감시 결과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위험정보가 열차단말(40)에 전송되도록 하는 위험정보전달단계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S21)와, 작업감시단계(S21)를 거침에 따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S211)되는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S23)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안전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결과대기단계(S261)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결과대기단계(S261)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단계(S24)와, 결과확인단계(S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확인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하는 확인정보생성단계(S241)와, 결과확인단계(S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결과정보 중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위험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하는 위험정보생성단계(S242)와,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작업단말(20)로부터 전송되는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S31)와, 안전감시단계(S31)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에서 안전정보가 수신(S311)되는 경우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S32)와,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되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위험알림단계(S3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대피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결과생성단계(S33)와, 열차단말(40)을 제어하여 관리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대피정보와 위험정보를 감시하는 운행관리단계(S44)와, 운행관리단계(S44)의 감시 결과 대피정보에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 열차단말(40)을 제어하여 열차가 정상 운행되도록 하는 정상운행단계(S441)와, 운행관리단계(S44)의 감시 결과, 대피정보에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거나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열차단말(40)을 제어하여 열차가 정지되도록 하는 비상제동단계(S4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관리감시단계(S11)를 거침에 따라 열차감지부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선로에서의 작업정보를 바탕으로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작업메세지를 생성하고 작업메세지가 열차단말(40)에 전송되도록 하는 메세지생성단계(S12)와, 열차단말(40)을 제어하여 작업메세지의 수신 여부를 감시하는 열차감시단계(S41)와, 열차감시단계(S41)의 감시 결과 열차단말(40)에서 작업메세지를 수신(S411)하는 경우 열차단말(40)을 제어하여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을 인지하는 의사방호를 생성하고 의사방호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하는 의사방호생성단계(S43)와, 메세지생성단계(S12)를 거친 다음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의사방호의 수신 여부를 감시하는 의사방호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의사방호단계(S13)의 감시 결과, 관리단말(10)에서 의사방호를 수신하는 경우, 진입정보생성단계(S131)를 실시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작업자확인단계(S14)의 감시 결과,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는 경우,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선로에서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하는지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통과확인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과확인단계(S15)의 감시 결과,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대피정보생성단계(S141)가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과확인단계(S15)의 감시 결과,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 중이거나 열차가 열차감지부를 통과한 상태에서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위험정보전달단계가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열차감시단계(S41)의 감시 결과, 열차단말(40)에서 작업메세지가 수신(S411)되는 경우, 열차단말(40)을 제어하여 선로에서의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열차의 기관사에게 전파하는 작업경보단계(S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운행관리단계(S44)에 앞서, 관리단말(10)로부터 대피정보 또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열차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열차대기단계(S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결과확인관리부(24)의 감시 결과 대피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대피 미완료 작업자의 대피를 위한 긴급정보를 생성하고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되도록 하는 긴급정보생성단계(S231)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긴급정보가 안전단말(30)에 전송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긴급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긴급결과가 수신되는 긴급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긴급대기단계(S263)와,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긴급대기단계(S263)를 거침에 따라 안전단말(30)로부터 전송되는 긴급결과를 감시하는 긴급확인단계(S25)와, 안전단말(30)이 긴급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대피결과생성단계(S33)에서 대피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기에 앞서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는 대피확인단계(S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긴급확인단계(S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확인정보생성단계(S241)를 실시함에 따라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확인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긴급확인단계(S25)의 감시 결과, 긴급결과가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위험정보생성단계(S242)를 실시함에 따라 작업단말(20)을 제어하여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위험정보가 관리단말(1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피확인단계(S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안전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안전단말(30)을 제어하여 대피결과에 안전정보를 포함하여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하고, 대피확인단계(S34)의 판단 결과, 대피결과가 긴급정보에 의한 것인 경우, 긴급결과를 생성하고, 긴급결과가 작업단말(20)로 전송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예 내지 제4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에서 상술한 작업단말(20)에는 작업자안전관리부(23)의 감시 결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S211)되는 경우, 작업 영역에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는 진입알림부(2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진입알림부(22)는 시각적,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예 내지 제4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에서 관리감시단계(S11)는 열차감지부 중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열차 쪽에 배치되는 제1감지부(10a)가 열차의 통과 여부 또는 열차의 접근 상태를 감지하는 제1감지단계(S111)와, 관리단말(10)을 제어하여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하는지 제1감지부(10a)를 감시하는 관리통신단계(S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관리통신단계(S112)를 거침에 따라 제1감지부(10a)가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거나 열차가 제1감지부(10a)를 통과하는 경우 메세지생성단계(S12) 또는 진입정보생성단계(S131)를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예 내지 제4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은 작업감시단계(S21)를 거침에 따라 작업단말(20)에서 진입정보가 수신(S211)되는 경우, 작업 영역에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는 진입알림단계(S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입알림단계(S22)에서는 시각적, 청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예 내지 제4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과확인단계(S15)에서 감시하는 열차감지부는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제1감지부(10a)와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열차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10b)로 이루어지고, 제2감지부(10b)와 작업 영역의 시작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거리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선로의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열차의 접근을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며, 열차의 원활한 운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예를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예를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함은 물론,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작업단말(20)에서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3예를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함은 물론,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관리단말(10)에서 수집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열차단말(40)의 부가 구성을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함은 물론,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기준으로 열차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열차단말(40)의 부가 구성에 대응한 제4예를 통해 작업자에게 열차가 작업 영역으로 접근함을 신속하게 전파하여 작업자의 신속한 대피를 유도함은 물론,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기준으로 열차의 운행을 제어하여 열차의 안전 운행 및 열차의 비상 제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차단말(40)의 부가 구성에 대응하여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특정시키고, 열차단말(40)과 관리단말(10) 사이의 정보 공유 상태를 확인하여 정확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가 작업 영역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상태에서 열차가 열차감지부의 제2감지부(10b)를 통과함에 따라 열차를 정지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경보 기능을 통해 열차의 기관사에게 열차의 진행 방향 전방으로 작업 영역이 존재함을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열차를 감지함에 있어서, 열차감지부에서의 감지 오류를 방지하여 열차감지부의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각각 설정되는 대기시간의 설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차를 감지함에 있어서, 작업 영역과 제2감지부(10b) 사이의 거리가 한정됨에 따라 열차의 비상 제동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미처 대피하지 못한 작업자가 작업 영역에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진입 알림 기능을 통해 작업 영역에서 작업자를 지휘하는 사람에 작업 영역으로 열차가 접근함을 확실하게 인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a: 제1감지부 10b: 제2감지부 10: 관리단말
11: 관리단말통신부 12: 작업정보관리부 13: 열차진입관리부
14: 작업확인관리부 15: 긴급정지관리부 16: 관리대기부
20: 작업단말 21: 작업단말통신부 22: 진입알림부
23: 작업자안전관리부 24: 결과확인관리부 25: 긴급확인관리부
26: 작업대기부 30: 안전단말 31: 안전단말통신부
32: 위험알림부 33: 위험관리부 34: 대피확인부
35: 전원부 40: 열차단말 41: 열차단말통신부
42: 작업경보관리부 43: 의사방호관리부 44: 운행관리부
45: 열차대기부 S11: 관리감시단계 S111: 제1감지단계
S112: 관리통신단계 S12: 메세지생성단계 S13: 의사방호단계
S131: 진입정보생성단계 S14: 작업자확인단계 S141: 대피정보생성단계
S15: 통과확인단계 S16: 관리대기단계 S21: 작업감시단계
S211: 진입정보수신단계 S22: 진입알림단계 S23: 안전정보생성단계
S231: 긴급정보생성단계 S24: 결과확인단계 S241: 확인정보생성단계
S242: 위험정보생성단계 S25: 긴급확인단계 S261: 결과대기단계
S263: 긴급대기단계 S31: 안전감시단계 S311: 안전정보수신단계
S32: 위험알림단계 S33: 대피결과생성단계 S34: 대피확인단계
S41: 열차감시단계 S411: 메세지수신단계 S42: 작업경보단계
S43: 의사방호생성단계 S44: 운행관리단계 S441: 정상운행단계
S442: 비상제동단계 S45: 열차대기단계

Claims (14)

  1. 선로에서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열차를 감지하는 열차감지부;
    상기 작업 영역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관리단말;
    상기 작업 영역에 인접하거나 상기 작업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작업단말; 및
    상기 작업 영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휴대하거나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안전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열차감지부는,
    상기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차 쪽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의 통과 여부와 상기 열차의 접근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 및
    상기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감지부와 상기 작업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의 통과 여부와 상기 열차의 접근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부는 상기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작업 영역의 시작점 또는 상기 제2감지부로부터 제2거리 이상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감지부는 상기 열차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작업 영역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제2거리보다 작은 제1거리 이상 이격 배치되며,
    상기 제1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은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에 대한 진입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진입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은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기 위한 안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안전단말이 상기 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은 상기 작업자가 상기 선로에서 이탈하도록 상기 작업자에게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작업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 및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안전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는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안전단말에는,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 및
    상기 안전단말통신부와 상기 위험알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험알림부의 감시 결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부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작업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 및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안전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관리부; 및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는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대기부가 상기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를 보관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를 보관하며,
    상기 안전단말에는,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위험관리부; 및
    상기 안전단말통신부와 상기 위험알림부와 상기 위험관리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험알림부의 감시 결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부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며,
    상기 위험관리부는 상기 위험알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작업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확인관리부; 및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관리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관리대기부가 상기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고,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확인정보를 보관하고,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를 보관하며,
    상기 작업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안전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관리부; 및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는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대기부가 상기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안전단말에는,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위험관리부; 및
    상기 안전단말통신부와 상기 위험알림부와 상기 위험관리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험알림부의 감시 결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부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며,
    상기 위험관리부는 상기 위험알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열차단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안전단말이 상기 안전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를 생성하여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작업단말이 상기 대피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은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대한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하며,
    상기 관리단말이 상기 결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은 상기 결과정보에 대한 대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열차단말이 상기 대피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열차단말은 상기 대피정보에 따라 상기 열차의 진행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열차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며, 상기 열차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관리단말통신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열차진입관리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확인관리부; 및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설정하는 관리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관리대기부가 상기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고,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대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확인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고, 상기 안전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작업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안전관리부;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관리부; 및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설정하는 작업대기부;가 포함되고,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자안전관리부는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작업대기부가 상기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동안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결과확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결과확인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안전단말에는,
    상기 작업단말과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안전단말통신부;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위험알림부;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위험관리부; 및
    상기 안전단말통신부와 상기 위험알림부와 상기 위험관리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가 포함되고,
    상기 위험알림부의 감시 결과,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위험알림부는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며,
    상기 위험관리부는 상기 위험알림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하고,
    상기 열차단말에는,
    상기 관리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가능한 열차단말통신부; 및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정보와 상기 위험정보를 감시하는 운행관리부;가 포함되고,
    상기 운행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정보에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운행관리부는 상기 열차가 정상 운행되도록 하고,
    상기 운행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정보에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운행관리부는 상기 열차가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선로에서의 작업정보가 보관되는 작업정보관리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작업정보관리부는 상기 선로에서의 작업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작업메세지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메세지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열차단말에는,
    상기 작업메세지의 수신 여부를 감시하는 의사방호관리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의사방호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단말에서 상기 작업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의사방호관리부는 상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을 인지하는 의사방호를 생성하고 상기 의사방호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관리단말에서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의사방호의 수신 여부를 추가로 감시하되,
    상기 열차진입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관리단말에서 상기 의사방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열차진입관리부는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단말에는,
    상기 작업확인관리부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선로에서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긴급정지관리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긴급정지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긴급정지관리부는 상기 대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며,
    상기 긴급정지관리부의 감시 결과,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 중이거나 상기 열차가 상기 열차감지부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긴급정지관리부는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말에는,
    상기 열차단말과 상기 관리단말 사이의 통신에 따라 상기 선로에서의 작업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작업 영역에서의 작업에 대한 작업메세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로에서의 상기 작업 영역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상기 열차의 기관사에게 전파하는 작업경보관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고,
    상기 관리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상기 안전단말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
    상기 관리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
    상기 작업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 및
    상기 안전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고,
    상기 관리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상기 안전단말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
    상기 관리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
    상기 작업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결과대기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대기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단계;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
    상기 안전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되,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알림단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결과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를 보관하고,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
  13. 제1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고,
    상기 관리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상기 안전단말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
    상기 관리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관리대기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확인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
    상기 작업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결과대기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대기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단계;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확인정보생성단계;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위험정보생성단계;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
    상기 안전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 및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되,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알림단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결과생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확인정보를 보관하고,
    상기 작업자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정보를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
  14.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이고,
    상기 관리단말과 상기 작업단말과 상기 안전단말 사이의 통신을 활성화하는 통신접속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하는지 상기 열차감지부를 감시하는 관리감시단계;
    상기 관리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열차감지부가 상기 선로에서 상기 작업 영역으로 접근하는 상기 열차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진입정보생성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진입정보가 상기 작업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에 따른 결과정보가 수신되는 관리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관리대기단계;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결과정보를 감시하는 작업자확인단계;
    상기 작업자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대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자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관리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열차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위험정보전달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진입정보를 감시하는 작업감시단계;
    상기 작업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작업단말에서 상기 진입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안전정보생성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안전정보가 상기 안전단말에 전송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자의 대피 여부에 대한 대피결과가 수신되는 결과대기시간을 카운트하는 결과대기단계;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대기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결과를 감시하는 결과확인단계;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확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확인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확인정보생성단계;
    상기 결과확인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정보인 경우, 상기 작업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결과정보 중 상기 작업자의 대피 미완료에 대응하는 위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험정보가 상기 관리단말에 전송되도록 하는 위험정보생성단계;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안전정보를 감시하는 안전감시단계;
    상기 안전감시단계를 거침에 따라 상기 안전단말에서 상기 안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작업 영역으로 상기 열차가 접근함을 전파하도록 하는 위험알림단계;
    상기 작업자의 대피 결과를 표현하되, 상기 안전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위험알림단계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대피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대피결과가 상기 작업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대피결과생성단계;
    상기 열차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관리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대피정보와 상기 위험정보를 감시하는 운행관리단계;
    상기 운행관리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정보에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열차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열차가 정상 운행되도록 하는 정상운행단계; 및
    상기 운행관리단계의 감시 결과, 상기 대피정보에 상기 작업자 전체의 대피 완료에 대응하는 상기 확인정보가 모두 포함되지 않거나 상기 위험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열차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열차가 정지되도록 하는 비상제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진입에 대해 경고하는 방법.
KR1020200166868A 2020-12-02 2020-12-02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508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68A KR102508768B1 (ko) 2020-12-02 2020-12-02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868A KR102508768B1 (ko) 2020-12-02 2020-12-02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87A KR20220077687A (ko) 2022-06-09
KR102508768B1 true KR102508768B1 (ko) 2023-03-10

Family

ID=8198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868A KR102508768B1 (ko) 2020-12-02 2020-12-02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7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79B1 (ko) * 2006-01-27 2007-08-20 주식회사 삼삼 열차 접근 검출 및 경보 시스템
KR102086011B1 (ko) 2017-02-03 2020-03-06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열차 접근 경보 시스템
KR102265726B1 (ko) * 2019-02-27 2021-06-16 주식회사 한국건설방재연구원 작업자 안전 관리를 위한 작업용 철도 차량 접근 원격 알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687A (ko)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7339A (ko) 열차운행정보를 이용한 열차안전관제시스템 및열차안전관제방법
CN109398424B (zh) 一种非通信车侵入的检测系统
KR101250774B1 (ko) 위험지역 감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670489B1 (ko) 철도 승강장용 스크린 도어 장애상황 영상확인시스템
BR102016017813B1 (pt) Sistema e método de verificação de estacionamento para um trem
JP2011095848A (ja) 事故防止監視制御システム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CN110053651A (zh) 铁路列车检修区域内平交道口的安全防护系统及方法
KR102508768B1 (ko) 열차 접근에 대해 경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3353129A (zh) 列车逃生门解锁系统及方法
JP6951127B2 (ja) 自動列車防護システム
KR102314298B1 (ko) 열차 접근 알림 장치
KR101621217B1 (ko) 지장물 검지 장치 및 시스템
JP6434295B2 (ja) 重機周りの安全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WO2023005077A1 (zh) 一种紧急解锁控制方法、装置和轨道车辆
JP2020156212A (ja) 車上装置及び列車制御システム
JP2017013578A (ja)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列車運行管理方法
KR101211676B1 (ko) 철도 승강장의 추락사고 대응 시스템
CA3082316C (en) Train system monitoring
KR100644225B1 (ko) 씨비티씨를 이용한 열차 방호 무선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KR100573727B1 (ko) 철도 승강장의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CN111223271A (zh) 电力系统防触电保护装置和方法
JP2021079858A (ja) 列車運行保安装置
KR101318350B1 (ko) 철도차량 신호어김방지장치 및 제어방법
KR102637918B1 (ko) 주행 안전성을 높인 스마트 전동 퀵-보드 및 이를 이용한 전동 퀵-보드의 주행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