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720B1 -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의 무경쟁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 - Google Patents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의 무경쟁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720B1
KR102508720B1 KR1020217001901A KR20217001901A KR102508720B1 KR 102508720 B1 KR102508720 B1 KR 102508720B1 KR 1020217001901 A KR1020217001901 A KR 1020217001901A KR 20217001901 A KR20217001901 A KR 20217001901A KR 102508720 B1 KR102508720 B1 KR 10250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dom access
cbra
delete delete
cfra
avai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1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697A (ko
Inventor
춘리 우
사물리 투르티넨
베노이스트 세비레
하이타오 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10022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4Scheduled or contention-free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33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a random access procedure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를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CFRA 요청이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CFRA 요청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송신에서의 사용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허여되는 TBS를 나타낸다. 허여된 TBS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허여된 TBS를 갖는 제1 데이터 블록 또는 송신되어 버퍼에 저장될 제2 데이터 블록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 손실은 방지될 수 있고, 데이터 송신 효율성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의 무경쟁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일반적으로 통신의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 무경쟁 랜덤 액세스(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CFRA)를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transport block size; TBS)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뉴 라디오(New Radio; NR)의 경우, 사용자 기기(UE)가 다수의 빔에 대해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이 합의되었다. 경쟁 기반의 랜덤 액세스(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BRA) 리소스 또는 프리앰블에 추가하여, UE는,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 RA) 프로시져에서, 예를 들면, 핸드오버 또는 빔 실패 복구(beam failure recovery)의 시나리오에서,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 리소스/프리앰블을 사용할 수 있다. UE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개시하는 경우, UE는 먼저, 이용 가능한 CFRA 리소스를 사용하여, 후보 빔, 예를 들면, 동기화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빔 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빔을 검출하려고 시도한다. 빔 중 어느 것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빔 상의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 중 어느 것도 미리 결정된 임계치 위에 있지 않는 경우, UE는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빔/SSB를 선택할 것이다. 그러한 선택은 후속하는 프리앰블 재시도의 각각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CFRA 프리앰블이 선택되는 경우, 메시지 2(Msg2)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네트워크로부터의 랜덤 액세스 응답(Random Access Response; RAR)의 수신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는 성공적으로 완료된다. 그 다음, UE는, 이용 가능한 Msg3 버퍼에 MAC PDU가 존재하는 경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업링크(uplink; UL)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메시지 3(Msg3) 버퍼를 사용할 것이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프로시져에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시도할지 또는 CFRA를 사용하여 시도할지의 여부에 무관하게,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CBRA 리소스와 관련되는 SSB가 적어도 한 번 선택되는 한, UE는 Msg3 버퍼에서 이용 가능한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rotocol Data Unit; PDU)를 송신할 것을 요구받는다.
현재의 명세(specification)에 따르면, RA 프로시져 동안 CBRA 프리앰블 시도가 실패하고 그 다음 CFRA 프리앰블 시도가 수행될 때마다 CFRA에 대한 전용 프리앰블을 할당받는 SSB/CSI-RS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RSRP를 갖는 경우, Msg3 버퍼의 MAC PDU가 송신되어야 한다. 이 경우, CFRA에 대한 전용 프리앰블을 수신할 때 CBRA 프리앰블에 대해 어떤 프리앰블 그룹이 사용되었는지를 NR NodeB(예를 들면, gNB)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RAR에서 CFRA 프리앰블에 제공되는 UL 허여(grant)는 RAR에서 CBRA 프리앰블로 제공되는 UL 허여와 동일한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할당할 수 없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 CFRA에 대한 TBS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서, 방법이 단말 디바이스에서 제공된다.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 요청이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된다. 단말 디바이스는 CFRA 요청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랜덤 액세스 응답은 송신에서의 사용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허여되는 TBS를 나타낸다. 허여된 TBS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는, 허여된 TBS를 갖는 제1 데이터 블록 또는 송신되어 버퍼에 저장될 제2 데이터 블록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2 양태에서, 방법이 단말 디바이스에서 제공된다.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 리소스가 제공되었다는 것을 단말 디바이스가 결정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경쟁 기반의 랜덤 액세스(CBRA) 리소스를 결정한다. 그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CBRA 요청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제3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제4 양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 또는 제2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개요 섹션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핵심적인 또는 필수적인 피쳐(feature)을 식별하도록 의도되는 것도 아니고, 그것은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것도 아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른 피쳐는 다음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될 것이다.
이제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인데, 첨부의 도면에서: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구현하기에 적절한 디바이스의 단순화된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낸다.
이제 본 개시의 원리가 몇몇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들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범위에 관해서 어떠한 제한도 제안하지 않으면서, 예시의 목적만을 위해 설명되고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가 본 개시를 이해하고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개시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것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측에 있는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예를 들면, 기지국(base station; BS), 릴레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노드 B(NodeB 또는 NB), 진화형 NodeB(evolved NodeB; eNodeB 또는 eNB), NR NodeB(gNB), 원격 무선 모듈(Remote Radio Module; RRU), 무선 헤더(radio header; RH),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펨토, 피코와 같은 저전력 노드, 및 등등을 비롯한, 통신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임의의 적절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통신 네트워크의 또 다른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고,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되고, 및/또는 동작 가능한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통신은 전자기 신호, 전파, 적외선 신호, 및/또는 공기를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데 적절한 다른 타입의 신호를 사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직접적인 인간 상호 작용 없이 정보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측의 요청에 응답하여, 또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되는 경우, 미리 결정된 스케줄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의 예는, 스마트폰, 무선 대응 태블릿 컴퓨터, 랩탑 임베딩형 기기(laptop-embedded equipment; LEE), 랩탑 장착형 기기(laptop-mounted equipment; LME), 및/또는 무선 고객 구내 기기(customer-premises equipment; CPE)와 같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를 포함하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논의의 목적을 위해, 몇몇 실시형태는 단말 디바이스의 예로서 UE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용어 "단말 디바이스" 및 "사용자 기기"(UE)는 본 개시의 맥락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무경쟁 랜덤 액세스"는 상이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액세스 시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에서 구성되는 전용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시도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경쟁 기반의 랜덤 액세스"는 셀에서 동일한 세트의 프리앰블을 사용하는 랜덤 액세스 시도를 지칭한다. 그러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 동일한 프리앰블이 다수의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고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프리앰블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동시에 도달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즉, 상이한 단말 디바이스로부터의 액세스 시도의 충돌이 있을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회로부(circuitry)"는 다음의 것 중 하나 이상 또는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a) 하드웨어 전용 회로 구현예(예컨대,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회로부에서만의 구현예) 및
(b) 하드웨어 회로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예컨대 (경우에 따라): (i) 소프트웨어/펌웨어와의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하드웨어 회로(들)의 조합 및 (ii) 장치, 예컨대 이동 전화 또는 서버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하기 위해 함께 작용하는 소프트웨어를 갖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들)(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를 포함함), 소프트웨어, 및 메모리(들)의 임의의 부분 및
(c) 동작을 위해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펌웨어)를 필요로 하는, 그러나 동작을 위해 소프트웨어가 필요로 되지 않는 경우 소프트웨어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하드웨어 회로(들) 및 또는 프로세서(들),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일부.
회로부의 이 정의는, 임의의 청구항에서의 이 용어의 모든 사용을 비롯한, 본 출원에서의 이 용어의 모든 사용에 적용된다. 추가적인 예로서, 본 출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회로부는 또한 단순히 하드웨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또는 다수의 프로세서) 또는 하드웨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 및 그것의(또는 그들의) 수반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구현예를 포괄한다. 용어 회로부는 또한, 예를 들면 그리고 특정한 청구항 엘리먼트에 적용 가능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용의 베이스밴드 집적 회로 또는 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서버, 셀룰러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다른 컴퓨팅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의 유사한 집적 회로를 포괄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 "a(한)", "an(한)" 및 "the(그)"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의 형태도 또한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포함한다(includes)" 및 그것의 변형어는 "~를 포함하는, 그러나 ~로 제한되지는 않는"을 의미하는 개방형 용어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에 기초하는(based on)"은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하나의 실시형태" 및 "한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형태"로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다른 실시형태"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형태"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시적인 그리고 암시적인 다른 정의도 하기에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빔 실패 복구를 위해 UE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트리거하는 경우, UE는 CFRA 리소스를 가지고 구성되는 후보 빔(예를 들면, SSB 또는 CSI-RS 빔)을 검출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빔 중 어느 것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UE는 빔/SSB를 선택하고 CBRA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다. 3GPP TS 38.321은 섹션 5.1.2에서 그러한 RA 프로시져에서의 MAC 계층에서의 동작을 하기와 같이 명시한다:
Figure 112021007490771-pct00001
Figure 112021007490771-pct00002
상기 명세로부터, CFRA를 위한 전용 프리앰블을 제공받는 어떤 빔도 미리 결정된 임계치(예를 들면, 각각, rsrp-ThresholdSSB 또는 csirs-Threshold)를 초과하는 RSRP(예를 들면, SS-RSRP 또는 CSI-RSRP)를 갖지 않는 경우 SSB는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선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FRA 프리앰블이 선택되면, RA 프로시져는 RAR의 수신시 성공적으로 완료된다. 그 다음, UE는, RA 프로시져 동안 CBRA 프리앰블이 송신되고 그것에 응답하여 RAR이 수신되는 경우(그렇지 않으면 Msg3 버퍼는 비어 있을 것이다), RA 프로시져에서 UL 데이터의 송신을 위해 Msg3 버퍼를 사용할 것이다. 3GPP TS 38.321은 섹션 5.1.4에서 MAC 계층에서의 동작을 아래와 같이 명시한다:
Figure 112021007490771-pct00003
그러나, HARQ 프로시져에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가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시도되었는지 또는 CFRA 리소스를 사용하여 시도되었는지에 무관하게, 하기와 같이 3GPP TS 38.321의 섹션 5.1.4에서 명시되는 바와 같이 CBRA 리소스와만 관련되는 SSB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적어도 한 번 선택되는 한, UE는 Msg3 버퍼에서 이용 가능한 MAC PDU를 송신할 것을 요구받는다:
Figure 112021007490771-pct00004
상기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Msg3 버퍼의 MAC PDU의 송신은, 빔 실패 복구의 경우에 그리고 RA-RNTI 및 C-RNTI 둘 모두를 통해 스케줄링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RAR)의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가정하는 다른 경우에 CFRA에 대해서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멀티플렉싱 및 어셈블리 엔티티로부터 CFRA에 대해 새로운 MAC PDU가 항상 획득되는 경우, Msg3 버퍼로부터의 데이터는 손실될 것이다.
RA 프로시져 동안 CBRA 프리앰블 시도가 실패하고 그 다음 CFRA 프리앰블 시도가 수행될 때마다, CFRA에 대한 전용 프리앰블을 할당받는 SSB/CSI-RS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RSRP를 갖는 경우, Msg3 버퍼의 MAC PDU는 송신되어야 한다. 이 경우, CFRA에 대한 전용 프리앰블을 수신할 때 CBRA 프리앰블에 대해 어떤 프리앰블 그룹이 사용되었는지를 NR nodeB(예를 들면, gNB)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RAR에서 CFRA 프리앰블에 제공되는 UL 허여는 RAR에서 CBRA 프리앰블로 제공되는 UL 허여와 동일한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할당할 수 없을 수 있다. 사실, NR NodeB는 CFRA 프리앰블 송신 이전에 CBRA 프리앰블이 시도되었는지 조차도 알지 못할 수 있다. Msg3 버퍼의 MAC PDU가 상이한 사이즈의 TBS/허여에서 멀티플렉싱될 수 없을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CBRA와 CFRA 사이의 그러한 스위칭에 기인하는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종래의 접근법은, 핸드오버를 위한 랜덤 액세스 리소스 선택 동안, 현재의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 Msg3이 송신되었다면, 즉, RA 프로시져에서 CBRA 프리앰블이 한 번 선택되었다면, UE는 무경쟁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사이에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선택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 접근법은 전용 리소스의 낭비를 야기하고 경쟁 기반의 프리앰블 사이에서 부하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에서, CBRA와 CFRA 사이의 그러한 스위칭은 없다. CFRA 및 CBRA 프로시져는 개별적으로 구현된다. CFRA 프로시져는 CFRA 프리앰블의 식별자(identifier; ID)를 포함하는 RAR이 수신된 이후 완료된다. 이 경우, RAR에서의 UL 허여는 새로운 송신을 위한 UL 허여로서 간주될 것이고, msg3 버퍼에는 CFRA를 위한 데이터가 없다.
LTE MAC 명세, 예를 들면, 3GPP TS 36.321은, 프리앰블 그룹에 따라 동일한 사이즈를 할당하는 것에 의해 eNB가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여, msg3 사이즈가 변할 때 UE 거동이 명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설명한다. 그러나, 그것은 CBRA로부터 CFRA로의 스위칭과는 관련이 없다.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TBS가 변경될 때의 UE의 액션(action)은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머신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에 대해 논의되었지만, 그러나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예를 들면, Msg3 송신의 재시도를 위한 초기 데이터 송신(Early Data Transmission; EDT) 허여에서 TB 사이즈의 상이한 세트가 제공되는 경우에 대해 어떤 것이 명시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 예를 들면, 모든 데이터가 적합될 가장 작은 TBS를 갖는 Msg3을 UE가 재구축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논의하는 것이 제안된다.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HARQ 재송신의 문제와 관련하여,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작업 그룹 2(Working Group 2; WG2)는 3GPP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작업 그룹 1(WG1)로부터의 결론을 대기한다는 것이 제안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가 CBRA 요청(예를 들면, CBRA 프리앰블 또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 리소스 또는 경쟁 기반의 랜덤 액세스 리소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때 또는 CFRA 요청(예를 들면, CFRA 프리앰블 또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리소스 또는 무경쟁 랜덤 액세스 리소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완료될 때, 예를 들면, Msg3에 대한 허여된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결정하는 방식(scheme)을 제공한다. 허여된 TBS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단말 디바이스가 이용 가능한 제1 CBRA 요청과 관련될 수 있다. 그러한 만큼, 적어도 제2 CBRA 요청 및/또는 CFRA 요청에 대한 TBS는 제1 CBRA 요청에 대한 TBS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손실은 방지될 수 있고, 데이터 송신 효율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환경(100)을 도시한다.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인 환경(100)은 단말 디바이스(110)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본 개시의 범위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암시하지 않으면서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서만 도시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환경(100)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구현하도록 적응되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와 또는 다른 단말 디바이스(110)와 직접적으로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통신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롱 텀 에볼루션(LTE), LTE 어드밴스드(LTE-Advanced; LTE-A), 5세대(fifth generation; 5G) NR,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및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월드와이드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표준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따를 수 있고, 예를 들면,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시분할 멀티플렉싱(time division multiplexing; TDM),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코드 분할 멀티플렉싱(code division multiplexing; CDM),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및 머신 타입 통신(MTC),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대규모 머신 타입 통신(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및 초 신뢰 가능 저 레이턴시 통신(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기술을 비롯한, 임의의 적절한 통신 기술을 활용한다.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단말 디바이스(110)는 CFRA 요청(예를 들면, CFRA 프리앰블)을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고, 그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 CFRA 요청에 대한 RAR을 수신한다. RAR의 수신시, 단말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의해 허여되는 TBS를 결정하고, 예를 들면, msg3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해 TBS를 사용한다. RAR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Random Access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RA-RNTI) 또는 셀 무선 네트워크 임시 식별자(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C-RNTI)로 주소 지정되는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송신을 통해 스케줄링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2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200)은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논의의 목적을 위해, 방법(2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블록(205)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CFRA 요청을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 송신한다. CFRA 요청은 CFRA 프리앰블 송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블록(210)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 RAR을 수신한다. RAR은 송신에서의 사용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210)에 의해 허여되는 TBS를 나타낸다.
CFRA 요청을 위한 허여된 TBS는 단말 디바이스가 이용 가능한 CBFA 리소스와 관련될 수 있다. 그러한 만큼, 단말 디바이스(110)로부터의 CFRA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의해 구성되는 TBS는, 단말 디바이스(110)로부터의 CBRA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의해 구성되는 TBS와 일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가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는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가 일반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 그룹으로부터 CBRA 프리앰블을 선택한다는 것이 명시될 수 있다. 이것은, CFRA 프리앰블 또는 물리적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리소스 또는 무경쟁 랜덤 액세스 리소스가 UE에 대해 구성된다는 결정에 종속될 수 있다. 그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단말 디바이스(110)에 의한 CFRA 프리앰블 송신에 또한 응답하여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와 관련되는 TBS를 허여된 TBS로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예를 들면, 셀에서) 이용 가능한 한,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한 사용에서 CFRA 리소스가 UE로 제공되는 경우, RA 프로시져 동안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로부터 CBRA 프리앰블을 선택한다는 것이 명시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단말 디바이스(110)로부터의 CFRA 프리앰블에 대한 응답으로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와 관련되는 TBS를 허여된 TBS로서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는,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110)에게 나타내어질 수 있다. 한 예로서, RRC 시그널링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에 의해 단말 디바이스(110)에게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필요로 되는 경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으로부터만 CBRA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는 이 그룹과 관련되는 TBS를 단말 디바이스(110)로부터의 CFRA 요청에 대한 허여된 TBS로서 결정한다. 몇몇 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 또는 B 중 어떤 하나를 사용할지를 구성하지 않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그룹 A를 사용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 CBRA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먼저,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고, 그 다음,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CBRA 요청(예를 들면, CBRA 프리앰블)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110)에서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가 하기에서 논의될 것이다. 단말 디바이스(110)는, 먼저, SSB 또는 CSI-RS와 관련되는 CFRA 리소스가 RRC 시그널링에 의해 명시적으로 제공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CFRA 리소스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로부터 CBRA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로부터 CBRA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SSB 또는 CSI-RS와 관련되는 CFRA 리소스가 RRC 시그널링에 의해 명시적으로 제공되었다는 것이 결정되면,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가 사용될 수 있는지 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사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는지의 여부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의 사용을 의무화하는 것(예를 들면, 정보 엘리먼트(information element; IE) usePreambleGroupBwithCFRA가 NW에 의해 구성됨)이 이 경우에 구성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고 usePreambleGroupBwithCFRA가 구성되면,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로부터 CBRA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로부터 CBRA 프리앰블을 선택할 수 있다.
허여된 TBS를 획득한 이후, 블록(215)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허여된 TBS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 송신되어 버퍼에 저장될 데이터 블록(제1 데이터 블록으로 지칭됨) 또는 허여된 TBS를 갖는 데이터 블록(제1 데이터 블록으로 지칭됨), 예를 들면, PDU를 송신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송신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에서의 제2 데이터 블록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허여된 TBS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버퍼는 Msg3 버퍼 또는 HARQ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sg3 버퍼가 MAC PDU를 저장한다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Msg3 버퍼는 플러싱될(flushed)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플러싱 이전에, 단말 디바이스(110)는 허여된 TBS 및 버퍼에서의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를 비교할 수 있다. 허여된 TBS가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보다 더 작은 경우, 버퍼는 플러싱된다. 그러한 만큼, CFRA를 위한 C-RNTI MAC CE의 불필요한 송신이 방지될 수 있고,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 상이한 허여된 TBS의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버퍼의 플러싱시, 단말 디바이스(110)는 허여된 TBS를 갖는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플러시는 MAC 계층으로부터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하나 이상의 RLC PDU가 재생성되고 제1 데이터 블록으로서 허여된 TBS를 갖는 MAC PDU로 멀티플렉싱된다. RLC PDU의 재생성은 RLC PDU에 대응하는 RLC 서비스 데이터 단위(service data unit; SDU)에 대한 RLC 재송신으로서 간주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확인 응답 모드(Acknowledged Mode; AM), 확인 미응답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전송 모드(Transparent Mode; TM)와 같은 임의의 RLC 모드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형태에서, RLC 계층에서의 RLC PDU의 재생성 및 MAC PDU로의 멀티플렉싱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가 CFRA 리소스를 사용할 때마다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송신될 데이터 블록의 세트로부터 허여된 TBS를 갖는 제1 데이터 블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C 엔티티는 멀티플렉싱 및 어셈블리(Multiplexing and Assembly) 엔티티로부터 송신할 MAC PDU를 획득할 수 있다.
허여된 TBS가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동일한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제2 데이터 블록을 제1 데이터 블록으로서 획득할 수 있다. 허여된 TBS가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보다 더 큰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제2 블록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제2 데이터 블록에 패딩을 추가하여 허여된 TBS를 갖는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C 엔티티는 패딩 프로세싱을 위해 멀티플렉싱 및 어셈블리 엔티티에 제2 데이터 블록을 제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면, gNB)는 셀에서 CBRA에 대해 허여되는 것보다 더 작지 않은 TBS를 허여할 수 있다. 그러한 만큼, RLC 계층에서 재세그먼트화(re-segmentation)가 필요로 되지 않는다. 변경된 TBS를 갖는 msg3을 재생성할 때, MAC 계층에서 MAC PDU에 패딩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방법(3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방법(300)은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1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논의의 목적을 위해, 방법(30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블록(305)에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 리소스가 제공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경쟁 기반의 랜덤 액세스(CBRA) 리소스를 결정한다. CBRA 리소스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단말 디바이스(11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는,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에서 미리 정의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의 표시를 수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의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의 표시는 CFRA 리소스를 제공하는 것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부터의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의 표시는,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제공될 수 있고, 표시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지 않은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항상 결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는지의 여부 및 정보 엘리먼트(IE) usePreambleGroupBwithCFRA가 구성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고 IE usePreambleGroupBwithCFRA가 구성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블록(310)에서, 단말 디바이스(110)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CBRA 요청을 네트워크 디바이스(120)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단말 디바이스(110)는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CBRA 프리앰블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10)와 관련되는 모든 동작 및 피쳐는, 마찬가지로, 방법(300)에 적용 가능하고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간략화의 목적을 위해, 세부 사항은 생략될 것이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방법(200)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는 방법(200 및/또는 300)의 각각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수단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단은 회로부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방법(200)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는,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 요청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과,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CFRA 요청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 - 랜덤 액세스 응답은 송신에서의 사용을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허여되는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나타냄 - 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과, 허여된 TBS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허여된 TBS를 갖는 제1 데이터 블록 또는 송신되어 버퍼에 저장될 제2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될 제2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과, 허여된 TBS를 갖는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제1 데이터 블록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버퍼는 메시지 3(Msg3) 버퍼를 포함하고, 제2 데이터 블록은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를 포함한다. 버퍼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은, Msg3 버퍼가 MAC PDU를 저장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Msg3 버퍼가 MAC PDU를 저장한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Msg3 버퍼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제1 데이터 블록은 허여된 TBS를 갖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이다.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 제어(RLC) PDU를 MAC PDU로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될 데이터 블록의 세트로부터 허여된 TBS를 갖는 제1 데이터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버퍼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은, 허여된 TBS가 블록 사이즈보다 더 작은 것에 응답하여, 버퍼를 플러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허여된 TBS가 블록 사이즈보다 더 큰 것에 응답하여, 버퍼로부터 제2 데이터 블록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과, 제2 데이터 블록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제2 데이터 블록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제2 데이터 블록을 멀티플렉싱 및 어셈블링하는(assembling) 것에 의해 제1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은, 허여된 TBS가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동일한 것에 응답하여, 제2 데이터 블록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방법(300)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는,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제공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단말 디바이스에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경쟁 기반의 랜덤 액세스(CBRA)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CBRA 요청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는 미리 정의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의 표시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프리앰블의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는 경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지 않은 경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는지의 여부 및 정보 엘리먼트(IE) usePreambleGroupBwithCFRA가 구성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과,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가 구성되고 IE usePreambleGroupBwithCFRA가 구성되는 경우,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를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CBRA 요청은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CBRA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형태에서, 장치는 동기화 신호 블록(SSB) 또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와 관련되는 CFRA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한 RRC 시그널링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명시적으로 제공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구현하기에 적절한 디바이스(400)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디바이스(400)는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10)에서 또는 단말 디바이스(110)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400)는 프로세서(410), 프로세서(410)에 커플링되는 메모리(420), 프로세서(410)에 커플링되는 통신 모듈(440), 및 통신 모듈(440)에 커플링되는 통신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메모리(420)는 적어도 프로그램(430)을 저장한다. 통신 모듈(440)은 양방향 통신을 위한 것이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에 필요한 임의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그램(430)은, 관련되는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될 때,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400)가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본원의 실시형태는 디바이스(400)의 프로세서(41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420)는 로컬 기술 네트워크에 적절한 임의의 타입을 가질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반도체 기반의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 메모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 광학 메모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 고정식 메모리 및 착탈식 메모리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데이터 스토리지 기술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400)에서 단지 하나의 메모리(420)만이 도시되지만, 디바이스(400)에는 여러 가지 물리적으로 별개의 메모리 모듈이 있을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로컬 기술 네트워크에 적절한 임의의 타입을 가질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서,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및 다중 코어 프로세서 아키텍쳐에 기초한 프로세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400)는, 메인 프로세서를 동기화하는 클록에 시간적으로 종속되는 주문형 집적 회로 칩과 같은 다수의 프로세서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단말 디바이스(110)에 관련되는 모든 동작 및 피쳐는, 마찬가지로, 디바이스(300)에 적용 가능하고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간략화의 목적을 위해, 세부 사항은 생략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하드웨어 또는 특수 목적 회로, 소프트웨어, 로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몇몇 양태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한편, 다른 양태는 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다양한 양태가 블록도, 플로우차트로서, 또는 몇몇 다른 도해적 표현을 사용하여 예시되고 설명되지만, 본원에서 설명되는 블록, 장치, 시스템, 기술 또는 방법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특수 목적 회로 또는 로직, 범용 하드웨어 또는 컨트롤러 또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는 또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저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유형적으로(tangibly)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방법(200 및 300)을 실행하기 위해, 타겟의 실제 또는 가상 프로세서 상의 디바이스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에 포함되는 것들과 같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한 태스크를 수행하는 또는 특정한 추상 데이터 타입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오브젝트, 클래스,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또는 등등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모듈의 기능성은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소망에 따라 프로그램 모듈 사이에서 결합되거나 또는 분할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에 대한 머신 실행 가능 명령어는 로컬 디바이스 또는 분산 디바이스 내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 디바이스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저장 매체 둘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 언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작성될 수 있다. 이들 프로그램 코드는 범용 컴퓨터,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제공될 수 있고, 그 결과,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될 때, 플로우차트 및/또는 블록도에서 명시되는 기능/동작으로 하여금 구현되게 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전체적으로 머신 상에서, 부분적으로 머신 상에서, 독립형 소프트웨어 패키지로서, 부분적으로는 머신 상에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원격 머신 상에서, 또는 전체적으로 원격 머신 또는 서버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맥락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또는 관련된 데이터는 디바이스, 장치 또는 프로세서가 상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 및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캐리어에 의해 운반될 수 있다. 캐리어의 예는 신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신호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또는 반도체 시스템, 장치, 또는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그러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더욱 구체적인 예는, 하나 이상의 배선을 갖는 전기적 연결, 휴대용 컴퓨터 디스켓,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리드 온리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삭제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리드 온리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광섬유, 휴대용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리 메모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스토리지 디바이스,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것이다.
게다가, 동작이 특정 순서로 묘사되지만, 이것은,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동작이 도시되는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또는 모든 예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선 안된다. 소정의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몇몇 특정한 구현 세부 사항이 상기의 논의에서 포함되지만, 이들은 본 개시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특정한 실시형태에 고유할 수 있는 피쳐의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별개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소정의 피쳐는 또한, 단일의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역으로, 단일의 실시형태의 맥락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피쳐는 또한, 다수의 실시형태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부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가 구조적 피쳐 및/또는 방법론적 액트(act)에 고유한 언어로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개시는 상기에서 설명되는 특정한 피쳐 또는 액트로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오히려, 상기에서 설명되는 특정한 피쳐 및 액트는 청구범위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개시된다.
기술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설명되었다. 상기한 것에 추가하여 또는 상기한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다음의 예가 설명된다. 다음의 예 중 임의의 것에서 설명되는 피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른 예 중 임의의 것과 함께 활용될 수 있다.

Claims (40)

  1.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서,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무경쟁 랜덤 액세스(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CFRA) 요청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CFRA 요청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 -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은 송신에서의 사용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허여되는 전송 블록 사이즈(transport block size; TBS)를 나타냄 - 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허여되는 TBS가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동일한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허여되는 TBS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허여되는 TBS가 상기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허여되는 TBS의 제1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고, 또는, 상기 허여되는 TBS가 상기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동일하면 버퍼에 저장된 상기 제2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삭제
  3.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서,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CFRA 리소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제공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1 경쟁 기반의 랜덤 액세스(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BRA) 리소스 결정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CFRA 리소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제공되지 않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2 CBRA 리소스 결정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상기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CBRA 요청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는 단계는,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프리앰블의 상기 이용 가능한 그룹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BRA 요청은 프리앰블의 상기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CBRA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방법.
  8.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 요청을 송신하게 하고,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CFRA 요청에 대한 랜덤 액세스 응답 - 상기 랜덤 액세스 응답은 송신에서의 사용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허여되는 전송 블록 사이즈(TBS)를 나타냄 - 을 수신하게 하며,
    상기 허여되는 TBS가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동일한지를 판정하게 하고,
    상기 허여되는 TBS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상기 허여되는 TBS가 상기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동일하지 않으면 상기 허여되는 TBS의 제1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고, 또는, 상기 허여되는 TBS가 상기 제2 데이터 블록의 블록 사이즈와 동일하면 버퍼에 저장된 상기 제2 데이터 블록을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9. 삭제
  10.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무경쟁 랜덤 액세스(CFRA) 리소스가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게 하고,
    상기 CFRA 리소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제공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1 경쟁 기반의 랜덤 액세스(contention based random access; CBRA) 리소스 결정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CFRA 리소스가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를 위해 제공되지 않았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제2 CBRA 리소스 결정에 따라,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결정하게 하고,
    상기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 동안 상기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를 사용하여 CBRA 요청을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이용 가능한 CBRA 리소스의 표시를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함께, 상기 디바이스로 하여금,
    프리앰블의 이용 가능한 그룹을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프리앰블의 상기 이용 가능한 그룹은,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A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그룹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4. 제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상기 CBRA 요청은 프리앰블의 상기 이용 가능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CBRA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15.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217001901A 2018-06-21 2018-06-21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의 무경쟁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 KR102508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8/092264 WO2019241978A1 (en) 2018-06-21 2018-06-21 Transport block size for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in random access proced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697A KR20210022697A (ko) 2021-03-03
KR102508720B1 true KR102508720B1 (ko) 2023-03-09

Family

ID=6898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901A KR102508720B1 (ko) 2018-06-21 2018-06-21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의 무경쟁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00557B2 (ko)
EP (1) EP3811693A4 (ko)
JP (1) JP2021528021A (ko)
KR (1) KR102508720B1 (ko)
CN (1) CN112586044B (ko)
WO (1) WO2019241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9310A1 (zh) * 2018-08-09 2020-02-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终端
KR102571061B1 (ko) * 2018-06-29 2023-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실패 보고 방법 및 그 장치
CN109076556B (zh) * 2018-07-25 2019-11-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09417B2 (en) 2018-08-08 2021-08-31 Lenovo (Singapore) Pte. Ltd. TB size mismatch during a random-access procedure
JP7305756B2 (ja) * 2019-05-02 2023-07-10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N114391235B (zh) * 2019-09-13 2024-04-09 鸿颖创新有限公司 执行用于非优先的上行链路授权的混合自动重复请求进程的方法及相关设备
WO2021155546A1 (en) 2020-02-06 2021-08-12 Nokia Shanghai Bell Co., Ltd.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
CN116266958A (zh) * 2021-12-14 2023-06-2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随机接入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132559A1 (ko) * 2022-01-07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및/또는 하향링크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5136538B (zh) * 2022-05-23 2024-02-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多prach传输配置方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8951A (zh) 2010-08-16 2010-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的报告方法及基站
CN106717077A (zh) 2014-09-25 2017-05-2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无线通信方法以及无线通信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64719A (en) 2010-02-12 2018-01-3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uplink random access channel transmission
WO2016186537A1 (en) * 2015-05-19 2016-1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ssigning resources for dedicated scheduling requests using mac messages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base stations
CN105101454B (zh) * 2015-08-14 2019-02-0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mtc ue随机接入的方法及装置
NZ741942A (en) * 2015-10-29 2023-10-27 Sharp Kk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US10568081B2 (en) 2016-03-21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heduling uplink transmissions
EP3457804A4 (en) 2016-05-12 2019-12-18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20180010076A (ko) * 2016-07-20 2018-01-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랜덤액세스 방법 및 장치
WO2018201670A1 (en) * 2017-05-05 2018-11-08 Qualcomm Incorporated Ue selection of common and dedicated rach resources
US11419143B2 (en) * 2017-06-08 2022-08-16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procedure in a wireless backhaul network
US11419144B2 (en) * 2017-09-29 2022-08-16 Ntt Docomo, Inc. Us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ES2868329T3 (es) * 2018-02-15 2021-10-21 Ericsson Telefon Ab L M Dispositivo inalámbrico, nodo de red, y métodos realizados por los mismos
EP3788738A2 (en) * 2018-05-04 2021-03-10 Lenovo (Singapore) Pte. Ltd. Pusch transmission using an aggregation factor
US11438797B2 (en) * 2018-05-17 2022-09-0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arding data among associated transmission buff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109417B2 (en) * 2018-08-08 2021-08-31 Lenovo (Singapore) Pte. Ltd. TB size mismatch during a random-access proced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08951A (zh) 2010-08-16 2010-1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信道状态信息的报告方法及基站
CN106717077A (zh) 2014-09-25 2017-05-2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无线通信方法以及无线通信系统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0271*
3GPP R1-1720891
3GPP R2-1713380
3GPP R2-180307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1693A1 (en) 2021-04-28
EP3811693A4 (en) 2022-01-19
US20210195657A1 (en) 2021-06-24
CN112586044A (zh) 2021-03-30
US11800557B2 (en) 2023-10-24
JP2021528021A (ja) 2021-10-14
WO2019241978A1 (en) 2019-12-26
CN112586044B (zh) 2023-08-01
KR20210022697A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8720B1 (ko) 랜덤 액세스 프로시져에서의 무경쟁 랜덤 액세스를 위한 전송 블록 사이즈
JP644137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低い遅延を有する上向きリンクデータ送信方法及び装置
JP7283534B2 (ja) セカンダリセルのビーム障害回復のための方法、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EP373158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US20150312943A1 (en) Scheduling signaling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JP2023120192A (ja) ランダムアクセス手順
JP2021514132A (ja) 改善された優先順位付けされるランダムアクセスに関与する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CN112154705A (zh) 终端装置、基站装置、无线通信系统以及调度请求方法
CN113711676A (zh) 用于nb-iot的资源配置
WO2020000429A1 (en) Uplink skipping during random access procedure
CN112868261B (zh) 服务小区的l1信令
KR20220016187A (ko) 비경쟁 랜덤 액세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RU2774924C9 (ru) Процедура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RU2774924C1 (ru) Процедура произвольного доступа
WO2019192011A1 (en) Backup configuration in random access procedure
KR20230044897A (ko)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해제 알림 방법 및 장치
JP2023520537A (ja) 通信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