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403B1 -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403B1
KR102508403B1 KR1020210031870A KR20210031870A KR102508403B1 KR 102508403 B1 KR102508403 B1 KR 102508403B1 KR 1020210031870 A KR1020210031870 A KR 1020210031870A KR 20210031870 A KR20210031870 A KR 20210031870A KR 102508403 B1 KR102508403 B1 KR 102508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om
link
cylinder
auxiliary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7510A (ko
Inventor
배대권
Original Assignee
디와이이노베이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이노베이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와이이노베이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1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40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보조붐 거치대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붐이 체결될 수 있는 제1체결부가 구비된 메인붐; 상기 보조붐 거치대에 안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상기 보조붐;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붐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일측은 상기 보조붐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1링크; 일측은 상기 메인붐에 체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상기 제2링크의 일측을 상기 메인붐에 체결시키는 제1체결 단계;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실린더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일지점을 체결하는 제2체결 단계;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실린더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보조붐을 회전시키는 보조붐 회전 단계;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다른 지점을 체결하는 제3체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Crane auxiliary boom installation apparatus and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와 링크를 통해 보조붐을 메인붐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크레인에는 다단붐 조립체(메인붐)가 구비되어 있으며, 다단의 붐을 순차적으로 연장하여 메인붐 끝단에 구비된 후크를 통해 높은 곳의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크레인의 다단붐 조립체를 통해 높은 곳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나, 메인붐 보다 높은 위치에 작업 현장이 있는 경우 메인붐을 통해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위해 보조붐이 메인붐에 결합될 수 있다. 메인붐에 보조붐을 결합시킴에 따라 보조붐의 길이만큼 작업 높이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더 높은 곳의 작업 현장에서 작업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메인붐에 보조붐을 결합하는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보조붐은 메인붐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메인붐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보조붐을 탈착시켜 메인붐에 보조붐을 결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보조붐을 고정하는 핀을 탈거하고, 일지점을 중심으로 보조붐을 회전시켜 메인붐의 일측에 보조붐을 배치시킨다. 이후, 보조붐과 메인붐을 핀으로 고정시키면서 메인붐에 보조붐을 결합하게 된다.
종래의 크레인에서는 이와 같은 보조붐의 설치 과정이 작업자에 의해 진행되었다. 그러나 작업자에 의해 보조붐 설치과정이 진행되는 경우, 중량물인 보조붐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이 있으며, 보조붐을 메인붐에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와 링크를 통해 보조붐을 메인붐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크레인에 보조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치로, 보조붐 거치대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붐이 체결될 수 있는 제1체결부가 구비된 메인붐; 상기 보조붐 거치대에 안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상기 보조붐;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붐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일측은 상기 보조붐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1링크; 일측은 상기 메인붐에 체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2링크를 상기 메인붐에 체결시키고,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실린더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붐이 회전되어 상기 보조붐의 제2체결부가 상기 메인붐의 제1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실린더 로드에 V자 형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실린더 핀을 통해 상기 실린더 로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고정홀이 형성된 제1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붐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2고정홀이 형성된 제2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상기 실린더 핀이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1체결부의 양측에는 제1-1체결홀과 제1-2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의 양측에는 제2-1체결홀과 제2-2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1체결홀과 상기 제2-2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제1-1체결홀과 상기 제2-2체결홀에 끼워지는 제1핀과, 상기 제1-2체결홀과 상기 제2-1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제1-2체결홀과 상기 제2-1체결홀에 끼워지는 제2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2링크의 일측에는 링크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붐에는 상기 제2링크의 일측과 체결되도록 제3체결홀이 형성된 제3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 고정홀과 상기 제3체결홀이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링크 고정홀과 상기 제3체결홀에 끼워지는 제3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메인붐의 타측에 구비된 운전석에는, 상기 실린더부 및 상기 보조붐에 구비되는 보조윈치 와이어를 동작시키는 보조윈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운전석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작동과 상기 보조윈치의 작동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전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보조붐 거치대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붐이 체결될 수 있는 제1체결부가 구비된 메인붐; 상기 보조붐 거치대에 안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상기 보조붐;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붐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일측은 상기 보조붐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1링크; 일측은 상기 메인붐에 체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크레임에 보조붐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으로, 상기 제2링크의 일측을 상기 메인붐에 체결시키는 제1체결 단계;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실린더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일지점을 체결하는 제2체결 단계;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실린더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보조붐을 회전시키는 보조붐 회전 단계;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다른 지점을 체결하는 제3체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의 상기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실린더 로드에 V자 형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의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실린더 핀을 통해 상기 실린더 로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3체결 단계 이후, 상기 실린더 핀을 제거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를 탈착시키는 링크 탈착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의 상기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고정홀이 형성된 제1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붐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2고정홀이 형성된 제2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 탈착 단계 이후,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상기 실린더 핀을 끼워 실린더를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의 상기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1체결부의 양측에는 제1-1체결홀과 제1-2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의 양측에는 제2-1체결홀과 제2-2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 단계에서는, 상기 제1-1체결홀과 상기 제2-2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한 이후 상기 제1-1체결홀과 상기 제2-2체결홀에 제1핀을 끼워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일지점을 체결하며, 상기 제3체결 단계에서는, 상기 제1-2체결홀과 상기 제2-1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한 이후 상기 제1-2체결홀과 상기 제2-1체결홀에 제2핀을 끼워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다른 지점을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의 상기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2링크의 일측에는 링크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붐에는 상기 제2링크의 일측과 체결되도록 제3체결홀이 형성된 제3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 단계에서는, 상기 링크 고정홀과 상기 제3체결홀이 연통되도록 배치한 이후 상기 링크 고정홀과 상기 제3체결홀에 제3핀을 끼워 상기 제2링크의 일측을 상기 메인붐에 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와 링크를 통해 보조붐을 메인붐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린더와 링크를 통해 보조붐을 메인붐에 자동으로 설치함에 따라 중량물인 보조붐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붐의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운전석의 외부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통해 실린더부와 보조윈치의 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보조붐 설치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에 메인붐과 보조붐이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메인붐에 보조붐이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체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체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붐 회전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체결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링크 탈착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린더 고정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린더와 링크를 통해 보조붐을 메인붐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메인붐(110), 보조붐(120), 실린더부(130), 제1링크(140), 제2링크(15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붐(110)은 크레인(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메인붐(110)은 다단의 붐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붐(110)에는 보조붐 거치대(116)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붐(110)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붐(120)이 체결될 수 있는 제1체결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붐(120)은 상기 보조붐 거치대(116)에 안착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제1체결부(111)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체결부(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붐(12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보조붐(120)은 상기 보조붐 거치대(116)에 안착되어 있다.
상기 보조붐(120)을 사용할 경우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를 체결시켜, 도 2와 같이 상기 보조붐(120)을 상기 메인붐(110)에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자동으로 상기 보조붐(120)을 상기 메인붐(110)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실린더부(130), 상기 제1링크(140), 상기 제2링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부(130)는 실린더(131)와 상기 실린더(1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실린더 로드(132)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131)는 유체가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131)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유압을 통해 상기 실린더 로드(132)를 슬라이드 이동(전진 및 후진) 시키게 된다.
상기 실린더부(130)는 상기 메인붐(110)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메인붐(110)에 구비된 실린더 거치대(133)에 상기 실린더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140)는 일측이 상기 보조붐(120)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132)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링크(140)의 일측은 핀을 통해 상기 보조붐(12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140)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일단에 실린더 핀(134)을 통해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링크(150)는 일측이 상기 메인붐(110)에 체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132)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은 상기 보조붐(120)을 회전시킬 때 상기 메인붐(110)에 체결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은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붐(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링크(150)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일단에 실린더 핀(134)을 통해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링크(140)의 타측과 상기 제2링크(150)의 타측은 상기 실린더 핀(134)을 통해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일단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링크(140)의 타측, 상기 제2링크(150)의 타측,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일단을 일치시킨 이후, 상기 실린더 핀(134)을 통해 상기 제1링크(140)의 타측, 상기 제2링크(150)의 타측,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일단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링크(140)와 상기 제2링크(150)는 상기 실린더 로드(132)에 V자 형상으로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링크(140)와 상기 제2링크(150)는 예각을 형성하면서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일단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링크(140)와 상기 제2링크(150)는 상기 실린더 핀(134)을 통해 상기 실린더 로드(132)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핀(134)을 제거하면, 상기 제1링크(140)와 상기 제2링크(150)는 상기 실린더 로드(132)에서 탈착된다.
상기 제1링크(140)의 타측, 상기 제2링크(150)의 타측,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일단을 일치시킨 이후 상기 실린더 핀(134)을 삽입하면, 상기 제1링크(140)와 상기 제2링크(150)가 상기 실린더 로드(132)에 부착되면서 체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상기 제2링크(150)를 상기 메인붐(110)에 체결시키고, 상기 실린더부(130)의 상기 실린더 로드(13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제1링크(140) 및 상기 제2링크(150)에 의해 상기 보조붐(12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보조붐(120)이 회전되어 상기 보조붐(120)의 상기 제2체결부(121)가 상기 메인붐(110)의 상기 제1체결부(111)와 체결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보조붐(120)이 상기 메인붐(110)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린더부(130), 상기 제1링크(140), 상기 제2링크(150)를 통해 상기 보조붐(120)을 상기 메인붐(110)에 설치하는 방법과,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에 대해 조금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제1체결 단계(S110), 제2체결 단계(S120), 보조붐 회전 단계(S130), 제3체결 단계(S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 단계(S110)는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을 상기 메인붐(110)에 체결시키는 단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붐(120)을 상기 메인붐(110)에 체결하기 전에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은 상기 보조붐(120)에 형성되어 있는 보관홀(124)에 제3핀(170)을 통해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에는 링크 고정홀(15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 고정홀(151)과 상기 보관홀(124)을 연통시킨 이후, 상기 제3핀(170)을 삽입함에 따라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이 상기 보조붐(120)의 상기 보관홀(124)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체결 단계(S110)에서는 상기 제3핀(170)을 제거하여,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을 상기 보관홀(124)에서 탈착시킨 이후,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을 상기 메인붐(110)에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메인붐(110)에는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이 체결되도록 제3체결홀(115)이 형성된 제3체결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 단계(S110)에서는 상기 링크 고정홀(151)과 상기 제3체결부(114)의 상기 제3체결홀(115)이 연통되도록 배치한 이후, 상기 링크 고정홀(151)과 상기 제3체결홀(115)에 상기 제3핀(170)을 끼워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을 상기 메인붐(110)에 체결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체결 단계(S120)는 상기 실린더부(130)의 상기 실린더 로드(13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의 일지점을 체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체결 단계(S110)에서 상기 제2링크(150)의 일측이 상기 메인붐(110)에 체결되었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 로드(132)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붐(120)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 로드(132)를 후진(필요에 따라서는 전진)시키면, 상기 보조붐(120)의 상기 제2체결부(121)가 상기 메인붐(110)의 상기 제1체결부(111)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로드(132)가 후진된다 함은 상기 실린더 로드(132)가 상기 실린더(131) 방향으로 압축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실린더 로드(132)가 전진된다 함은 상기 실린더 로드(132)가 상기 실린더 방향(131)의 반대 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부(111)의 양측에는 제1-1체결홀(112)과 제1-2체결홀(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체결부(121)의 양측에는 제2-1체결홀(122)과 제2-2체결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1체결홀(112)과 상기 제2-2체결홀(123)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1체결홀(112)과 상기 제2-2체결홀(123)에는 제1핀(161)이 끼워지면서, 상기 제1체결부(111)의 일지점과 상기 제2체결부(121)의 일지점이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2체결홀(113)과 상기 제2-1체결홀(122)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1-2체결홀(113)과 상기 제2-1체결홀(122)에는 제2핀(162)이 끼워지면서, 상기 제1체결부(111)의 다른 지점과 상기 제2체결부(121)의 다른 지점이 체결될 수 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체결 단계(S120)에서는 상기 실린더 로드(132)의 이동을 통해 상기 제1-1체결홀(112)과 상기 제2-2체결홀(123)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한 이후, 상기 제1-1체결홀(112)과 상기 제2-2체결홀(123)에 상기 제1핀(161)을 끼워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의 일지점을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핀(161)은 상기 메인붐(110)이나 상기 크레인(10)의 특정 지점에 보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 단계(S120)에서는 특정 지점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1핀(161)을 사용하여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의 일지점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붐 회전 단계(S130)는 상기 실린더부(130)의 상기 실린더 로드(132)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보조붐(120)을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실린더 로드(132)를 전진시키면, 도 7과 같이 상기 제1링크(140)와 체결된 상기 보조붐(120)이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가 체결된 일지점(112,12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보조붐(120)은, 도 8과 같이 상기 제1체결부(111)의 상기 제1-2체결홀(113)과 상기 제2체결부(121)의 제2-1체결홀(122)이 서로 겹쳐져 연통될때까지 회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3체결 단계(S140)는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의 다른 지점을 체결하여,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를 완전히 체결시키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체결 단계(S140)에서는 도 8과 같이 상기 제1-2체결홀(113)과 상기 제2-1체결홀(122)이 서로 연통도되록 배치한 이후, 상기 제1-2체결홀(113)과 상기 제2-1체결홀(122)에 상기 제2핀(162)을 끼워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의 다른 지점을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핀(162)은 상기 메인붐(110)이나 상기 크레인(10)의 특정 지점에 보관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3체결 단계(S140)에서는 특정 지점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제2핀(162)을 사용하여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의 다른 지점을 체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 단계(S120)에서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의 일 지점을 체결하고, 상기 제3체결 단계(S140)에서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제2체결부(121)의 다른 지점을 체결함에 따라 상기 보조붐(120)을 상기 메인붐(110)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링크 탈착 단계(S150)와 실린더 고정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탈착 단계(S150)는 상기 제3체결 단계(S140) 이후, 상기 실린더 핀(134)을 제거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132)에서 상기 제1링크(140) 및 상기 제2링크(150)를 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제1링크(140)와 상기 제2링크(150)는 상기 실린더 핀(134)을 통해 상기 실린더 로드(132)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다. 상기 제3체결 단계(S140)를 통해 상기 보조붐(120)이 상기 메인붐(110)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보조붐(120)을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붐(1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130)가 손상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 로드(132)와 상기 제1링크(140) 및 상기 제2링크(150)를 분리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 탈착 단계(S150)는 상기 실린더 핀(134)을 제거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132)와 상기 제1링크(140) 및 상기 제2링크(150)를 탈착시켜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실린더 고정 단계(S160)는, 상기 링크 탈착 단계(S160) 이후 상기 실린더부(130)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조붐(120)을 작동시킬 때, 상기 실린더부(130)가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린더부(130)를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켜야 한다.
상기 실린더 고정 단계(S160)는 상기 실린더 로드(132)와 상기 제1링크(140) 및 상기 제2링크(150)를 체결하는 상기 실린더 핀(134)을 사용하여 상기 실린더부(130)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실린더부(130)를 고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제1고정 브라켓(135)과 제2고정 브라켓(1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 브라켓(135)은 상기 실린더(131)에 고정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상기 실린더(131)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제1고정홀(1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 브라켓(117)은 상기 메인붐(110)에 고정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상기 메인붐(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제2고정홀(118)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실린더 고정 단계(S160)는 상기 제1고정홀(136)과 상기 제2고정홀(118)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한 이후, 상기 제1고정홀(136)과 상기 제2고정홀(118)에 상기 실린더 핀(134)을 끼워 상기 실린더부(130)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1고정홀(136)과 상기 제2고정홀(118)에 상기 실린더 핀(134)이 동시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1고정 브라켓(135)과 상기 제2고정 브라켓(117)을 통해 상기 실린더부(13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린더 고정 단계(S160)에서 상기 실린더 로드(132)와 상기 제1링크(140) 및 상기 제2링크(150)를 체결하는데 사용하는 상기 실린더 핀(134)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130)를 고정하면서 상기 실린더 핀(134)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상기 실린더부(130), 상기 제1링크(140), 상기 제2링크(150)를 통해 상기 보조붐(120)을 자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붐(110)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상기 실린더부(130)의 작동과, 상기 보조붐(120)에 구비되는 보조윈치 와이어(182)를 동작시키는 보조윈치(18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1)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130)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보조붐(120)을 자동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붐(110)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1)는 상기 메인붐(110)의 타측에 구비된 운전석(18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81)는 상기 실린더부(130)의 작동과 함께 상기 보조붐(120)에 구비되는 상기 보조윈치(183)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조작부(1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상기 제어부(181)는 상기 운전석(180)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실린더부(130)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상기 운전석(180)으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상기 조작부(190)를 이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조작부(190)는 상기 제어부(181)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181)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190)는 상기 운전석(18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밸브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연결부(192)를 통해 상기 제어부(181)와 연결되면서 상기 운전석(18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부(190)를 상기 운전석(180)의 외측으로 연장함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운전석(180)이 아닌 다른 지점에서 상기 제어부(181)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190)는 상기 운전석(18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면, 다양한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과 같이 상기 조작부(190)는 상기 메인붐(110)의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보조붐(120)의 상기 제2체결부(121)가 체결되는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190)는 상기 메인붐(110)의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보조붐(120)의 상기 제2체결부(121)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붐(120)의 이동은 상기 실린더부(130), 상기 제1링크(140), 상기 제2링크(150)를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핀을 체결하는 과정은 작업자나 다른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붐(110)의 상기 제1체결부(111)와 상기 보조붐(120)의 상기 제2체결부(121) 주변까지 상기 조작부(190)를 연장하여 상기 실린더부(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작부(190)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결부(192)가 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작부(190)의 위치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190)에는 상기 실린더부(130)의 작동과 상기 보조윈치(183)의 작동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전환부(191)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윈치(183)는 상기 보조윈치 와이어(18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보조붐(120)이 상기 메인붐(110)에 설치된 이후에는 상기 보조윈치(183)를 통해 상기 보조윈치 와이어(182)의 작동을 제어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붐(120)이 상기 메인붐(110)에 설치된 이후에는 상기 조작부(190)를 통해 상기 보조윈치(183)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부(191)는 이를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환부(191)를 통해 상기 실린더부(130)의 작동과 상기 보조윈치(183)의 작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환부(191)는 상기 실린더부(130)의 작동에서 상기 보조윈치(183)의 작동으로 전환하거나, 상기 보조윈치(183)의 작동에서 상기 실린더부(130)의 작동으로 전환하는 전환 밸브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실린더부(130)의 작동과 상기 보조윈치(183)의 작동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실린더부, 제1링크, 제2링크를 통해 보조붐을 메인붐에 자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실린더부, 제1링크, 제2링크를 통해 보조붐을 메인붐에 자동으로 설치함에 따라 중량물인 보조붐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붐의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은 운전석의 외부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통해 운전석의 외부에서 실린더부와 보조윈치의 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보조붐 설치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크레인 110...메인붐
111...제1체결부 112...제1-1체결홀
113...제1-2체결홀 114...제3체결부
115...제3체결홀 116...보조붐 거치대
117...제2고정 브라켓 118...제2고정홀
120...보조붐 121...제2체결부
122...제2-1체결홀 123...제2-2체결홀
124...보관홀 130...실린더부
131...실린더 132...실린더 로드
133...실린더 거치대 134...실린더 핀
135...제1고정 브라켓 136...제1고정홀
140...제1링크 150...제2링크
151...링크 고정홀 161...제1핀
162...제2핀 170...제3핀
180...운전석 181...제어부
182...보조윈치 와이어 183...보조윈치
190...조작부 191...전환부
192...연결부
S110...제1체결 단계
S120...제2체결 단계
S130...보조붐 회전 단계
S140...제3체결 단계
S150...링크 탈착 단계
S160...실린더 고정 단계

Claims (15)

  1. 크레인에 보조붐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장치에 있어서,
    보조붐 거치대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붐이 체결될 수 있는 제1체결부가 구비된 메인붐;
    상기 보조붐 거치대에 안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상기 보조붐;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붐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일측은 상기 보조붐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1링크;
    일측은 상기 메인붐에 체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링크를 상기 메인붐에 체결시키고,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실린더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상기 보조붐이 회전되어 상기 보조붐의 제2체결부가 상기 메인붐의 제1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실린더 로드에 V자 형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실린더 핀을 통해 상기 실린더 로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고정홀이 형성된 제1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붐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2고정홀이 형성된 제2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상기 실린더 핀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의 양측에는 제1-1체결홀과 제1-2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의 양측에는 제2-1체결홀과 제2-2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1체결홀과 상기 제2-2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제1-1체결홀과 상기 제2-2체결홀에 끼워지는 제1핀과,
    상기 제1-2체결홀과 상기 제2-1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제1-2체결홀과 상기 제2-1체결홀에 끼워지는 제2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의 일측에는 링크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붐에는 상기 제2링크의 일측과 체결되도록 제3체결홀이 형성된 제3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 고정홀과 상기 제3체결홀이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링크 고정홀과 상기 제3체결홀에 끼워지는 제3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붐의 타측에 구비된 운전석에는, 상기 실린더부 및 상기 보조붐에 구비되는 보조윈치 와이어를 동작시키는 보조윈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어부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운전석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실린더부의 작동과 상기 보조윈치의 작동 중 어느 하나의 작동을 선택할 수 있는 전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10. 보조붐 거치대가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보조붐이 체결될 수 있는 제1체결부가 구비된 메인붐; 상기 보조붐 거치대에 안착되며, 일측에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는 제2체결부가 구비된 상기 보조붐;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실린더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붐에 설치되는 실린더부; 일측은 상기 보조붐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1링크; 일측은 상기 메인붐에 체결될 수 있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 로드에 체결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하여 크레임에 보조붐을 설치하는 설치방법으로,
    상기 제2링크의 일측을 상기 메인붐에 체결시키는 제1체결 단계;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실린더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일지점을 체결하는 제2체결 단계;
    상기 실린더부의 상기 실린더 로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보조붐을 회전시키는 보조붐 회전 단계;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다른 지점을 체결하는 제3체결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실린더 핀을 통해 상기 실린더 로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제3체결 단계 이후, 상기 실린더 핀을 제거하여 상기 실린더 로드와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를 탈착시키는 링크 탈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실린더 로드에 V자 형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12. 삭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고정홀이 형성된 제1고정 브라켓과, 상기 메인붐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2고정홀이 형성된 제2고정 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링크 탈착 단계 이후,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된 이후, 상기 제1고정홀과 상기 제2고정홀에 상기 실린더 핀을 끼워 실린더를 고정하는 실린더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1체결부의 양측에는 제1-1체결홀과 제1-2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의 양측에는 제2-1체결홀과 제2-2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 단계에서는,
    상기 제1-1체결홀과 상기 제2-2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한 이후 상기 제1-1체결홀과 상기 제2-2체결홀에 제1핀을 끼워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일지점을 체결하며,
    상기 제3체결 단계에서는,
    상기 제1-2체결홀과 상기 제2-1체결홀이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한 이후 상기 제1-2체결홀과 상기 제2-1체결홀에 제2핀을 끼워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다른 지점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의 상기 제2링크의 일측에는 링크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붐에는 상기 제2링크의 일측과 체결되도록 제3체결홀이 형성된 제3체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체결 단계에서는,
    상기 링크 고정홀과 상기 제3체결홀이 연통되도록 배치한 이후 상기 링크 고정홀과 상기 제3체결홀에 제3핀을 끼워 상기 제2링크의 일측을 상기 메인붐에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KR1020210031870A 2021-03-11 2021-03-11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KR102508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870A KR102508403B1 (ko) 2021-03-11 2021-03-11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870A KR102508403B1 (ko) 2021-03-11 2021-03-11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510A KR20220127510A (ko) 2022-09-20
KR102508403B1 true KR102508403B1 (ko) 2023-03-10

Family

ID=8344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870A KR102508403B1 (ko) 2021-03-11 2021-03-11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40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766B1 (ko) * 2014-01-10 2015-10-14 이영규 붐대 회전 장치와 그를 적용한 고소작업 시스템 및 고소 작업차
KR101848736B1 (ko) * 2016-08-22 2018-05-21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크레인 붐과 붐 연결 및 탈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510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917A (en) Quick coupling device
US9945093B1 (en) Excavator, excavator boom, stick object coupler receiver for the s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523072B1 (ko) 굴삭기용 퀵커플러
JPH11324000A (ja) 作業器具取付用油圧制御装置
KR102508403B1 (ko) 크레인의 보조붐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조붐 설치방법
JP6355258B2 (ja) フック付バケットリンク装置
KR101859269B1 (ko) 굴삭기용 유압호스 자동 연결장치
US6481949B1 (en) Crane attachment for a front end loader
EP2045400A1 (en) Apparatus for fixing hydraulic pipes for zero tail swing excavator
JP2006516522A (ja) 流体継手手段を備えた工具保持具
JP3956211B2 (ja) 解体機とその基端ブームの輸送方法
KR100198156B1 (ko) 굴삭기의 옵션작업기용 클램핑 장치
KR101956515B1 (ko) 집게작업이 가능한 다목적 굴삭기
KR101096484B1 (ko) 유압 라인 내장형 그래플
KR20100074563A (ko) 간격조정 가능한 호스 클램프 키트
JP2017106178A (ja) フロントローダ及び作業車
JP4111333B2 (ja) 吊下式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とハンドリング機
JPH1111873A (ja) 作業ブーム取付構造
JP2922862B2 (ja) 解体作業用フォーク
WO2023182406A1 (ja) 作業機
JPWO2014181392A1 (ja) 作業車両
KR101378570B1 (ko) 중장비용 작업기 퀵 체인저
JP4011879B2 (ja) 作業機械の伸縮ブーム
JPH08311911A (ja) 油圧式ショベル系掘削機のアタッチメント用着脱補助装置
JPS634125A (ja) 油圧シヨベルのアタツチメント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