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8054B1 -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 - Google Patents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8054B1
KR102508054B1 KR1020160044813A KR20160044813A KR102508054B1 KR 102508054 B1 KR102508054 B1 KR 102508054B1 KR 1020160044813 A KR1020160044813 A KR 1020160044813A KR 20160044813 A KR20160044813 A KR 20160044813A KR 102508054 B1 KR102508054 B1 KR 102508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ody portion
fixing
post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6782A (ko
Inventor
이해광
박순용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메디칼
Priority to KR1020160044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0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18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 A61M25/0625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protecting only the distal tip of the needle, e.g. a needle guard with a permanent connection to the needle hub, e.g. a guiding rail, a locking mechanism or a guard advancement mechan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 삽입후 니들의 제거시 노출된 니들에 찔려 2차 감염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선단에 인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고정 슬릿과 이동 슬릿이 형성된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일직선상에서 결합되는 튜브 형상의 제2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의 인입공으로 출몰하는 니들이 장착되고 탄성부재의 일단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일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장착된 니들 몸체부; 및 상기 니들 몸체부의 선단에 장착되고 상부로 돌출형성된 고정 포스트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 포스트가 상기 고정 슬릿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니들 몸체부가 상기 탄성부재를 수축한 상태로 상기 니들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 포스트가 상기 고정 슬릿에서 벗어나 상기 이동 슬릿 선상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로 인입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Safe needle assembly for catheter}
본 발명은 안전 니들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혈관내("IV") 주입 세트(예를 들어, 중심 정맥 카테터)들은 배관에 연결된 캐뉼러에 의해 환자에게 유체들 및/또는 약물들을 전달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잘 알려져 있다. IV 주입 장치들에는 날개부들이 부착되어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 날개부들은 캐뉼러의 삽입 동안 취급을 용이하게 하고, 장치의 안정화를 도모하며, 사용 동안 장치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고정된다.
이러한 혈액 수집 장치들은 동일한 원리지만 역방향으로 작동한다. 혈액은 장치의 본체를 통해 혈액 수집 용기에 연결된 캐뉼러를 통해 정맥 또는 동맥으로부터 수집된다. 종래의 주입 또는 유체 수집 시스템의 사용 이후에, 캐뉼러는 혈액 및/또는 다른 신체 유체로 오염되며, 장치의 재사용을 피하고, 건강관리 작업자들이나 환자들의 우발적 찔림을 피하여 혈액 동반 병원체들의 확산을 피하도록 주의가 기울여져야만 한다.
즉, 환자로부터의 인출 이후 캐뉼러 위에 재배치되어야만 하는 뚜껑들 또는 덮개들의 사용은 안전한 해법이 아니며, 그 이유는, 이들이 우발적 찔림의 위험을 증가시키거나, 헐거워지고 탈락되어 다시 오염된 캐뉼러를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미국특허 제5,779,679호(발명의 명칭 : 수축가능한 캐뉼러를 구비한 날개형 IV 세트) 및 미국특허 제6,210,371호(발명의 명칭: 날개형 IV 세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는 수축가능 캐뉼러를 구비한 IV 주입 세트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 양자 모두에서, 수축가능 캐뉼러는 수축 부재에 의해 보유되고, 이 수축 부재는 그 후방 단부 부분에 배관 커넥터를 구비하며, 이 배관 커넥터는 캐뉼러와 IV 튜브 사이에서 유체가 연통되도록 형성한다. 수축 부재는 하우징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해제가능한 래치들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그 비수축 위치에서 보유된다.
한편 래치들이 해제되고 나면, 스프링이 수축 부재를, 그리고, 결과적으로 캐뉼러를 하우징 내로 다시 밀어넣는다. 그러나, IV튜브가 직접적으로 수축 부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캐뉼러의 수축은 IV튜브가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한다. 튜브가 수축 동안 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 수축 부재 및 캐뉼러는 완전히 수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캐뉼러를 구비한 IV 주입 세트에서도 카테터 삽입 후 니들의 제거시 외부로 노출된 니들에 찔려 2차 감염으로 이어질 우려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미국특허 제5,779,679호(공고일: 1998년 7월 14일)
선행문헌 2: 미국특허 제6,210,371호(공고일: 2001년 4월 3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카테터 삽입 후 니들의 제거시 노출된 니들에 찔려 2차 감염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선단에 인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고정 슬릿과 이동 슬릿이 교차하게 형성된 제1 몸체부; 상기 인입공으로 노출되도록 선단에 니들이 장착되고 상기 제1 몸체부에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수용되는 니들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축 방향에서 결합되고 상기 니들 몸체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니들 몸체부의 말단에 장착되고 상부로 고정 포스트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 슬릿과 상기 이동 슬릿을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니들 몸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 수용영역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 포스트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장착 포스트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영역에는 상기 니들 몸체부의 말단이 안착되고, 상기 고정 포스트는 상기 장착 포스트에서 일정반경으로 선회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장착 포스트에는 복수의 가이드 벽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포스트는 상부로 돌출된 포스트와, 상기 장착 포스트에 끼워지는 장착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몸체부에 형성된 고정슬릿에 노출된 고정포스트를 젖히는 동작만으로 니들을 몸체부의 내부에 신속하게 인입시킬 수 있어, 외부에 노출된 니들에 찔려 2차 감염으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의 제1 몸체부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의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의 고정 포스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의 고정부재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의 니들이 인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의 고정부재의 고정 포스트가 회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는, 제1 몸체부(10)와 제2 몸체부(20)가 서로 결합되고, 그 내부에 니들(36)이 장착된 니들 몸체부(30)가 탄성부재(40)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니들 몸체부(36)의 말단에는 고정부재(50)가 장착되어 니들(36)이 제1 몸체부(10)에서 인출 및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1 몸체부(10)에는 니들(36)의 인출을 위한 인입공(11)이 축방향으로 관통형성된다. 또한 제1 몸체부(10)의 상부에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고정슬릿(13) 및 이동 슬릿(12)이 형성된다. 한편 제1 몸체부(10)의 일단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장착턱(15)이 형성된다.
니들 몸체부(30)는 선단에 니들(36)이 장착되고, 니들 몸체부(30)에 끼워진 상태로 니들 몸체부(30)의 지지턱(31)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제1 몸체부(10)의 내부에 지지된 상태로 탄성부재(40)가 제1 몸체부(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때 탄성부재(4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니들(36)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제1 몸체부(10)의 내부에서 수축된 상태를 이루고, 도 7과 같이 니들(36)이 제1 몸체부(10)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40)는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니들 몸체부(30)는 탄성부재(40;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된 상태로 제1 몸체부(10)와 제2 몸체부(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니들 몸체부(30)의 선단에는 고정부재(50)가 장착되고, 이 고정부재(50)는 니들 몸체부(30)의 선단이 지지되는 수용영역(52)과 제1 몸체부(10)의 고정슬릿(13)에 걸린 상태에서 이동 슬릿(12)을 따라 이동하는 고정 포스트(5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6과 같이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고정부재(50)는 제1 몸체부(10)에 형성된 고정슬릿(13)의 내부에 고정 포스트(51)가 위치되는 경우 니들 몸체부(30)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도 5와 같이 니들(36)이 외부로 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고정 포스트(51)를 옆으로 눌러서 고정슬릿(13)에서 이동슬릿(12)의 위치로 고정 포스트(51)가 위치하면 고정 포스트(51)의 이동제한이 해제되어,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포스트(51)는 이동 슬릿(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니들(36)은 제1 및 제2 몸체부(10,20)의 내부로 수용되어, 도 7과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50)는 도 3과 같이 일측에 수용영역(52)이 형성되어, 타측에 장착 포스트(53)가 형성되고 장착 포스트(53)에는 양측으로 가이드 벽(54)이 형성되고, 이 장착 포스트(53)에 장착구(51b)가 끼워져 포스트(51a)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고정 포스트(51)는 고정부재(50)의 장착 포스트(53)에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도 8a의 상태에서 도 8b의 상태로 전환될 수 있음). 이에 따라 도 7과 같이 탄성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몸체부(20)로 인입되는 경우 고정 포트스(51)는 장착 포스트(53)에서 선회됨으로써, 고정부재(50)가 제2 몸체부(20)에서 이동제한되지 않고, 고정부재(50)는 제2 몸체부(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니들 조립체를 카테터에 삽입한 후 제거시 사용자가 간편하게 고정 포스트(51)를 고정슬릿(13)에서 젖히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니들(36)을 제1 및 제2 몸체부(10,20)의 내부로 인입시켜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니들(36)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찔리게 됨으로써 2차 감염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제1 몸체부
11: 인입공
12: 이동슬릿
13: 고정슬릿
15: 장착턱
20: 제2 몸체부
30: 니들 몸체부
31: 지지턱
36: 니들
40: 탄성부재
50: 고정부재
51: 고정 포스트
52: 수용영역

Claims (3)

  1. 선단에 인입공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고정 슬릿과 이동 슬릿이 형성된 제1 몸체부;
    상기 인입공으로 노출되도록 선단에 니들이 장착되고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에 탄성지지된 상태로 수용되는 니들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에 축 방향으로 결합되고 상기 니들 몸체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2 몸체부; 및
    상기 니들 몸체부의 말단에 장착되고 상부로 고정 포스트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고정 슬릿과 상기 이동 슬릿을 이동하는 것으로 상기 니들 몸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일단에 수용영역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 포스트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장착 포스트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영역에는 상기 니들 몸체부의 말단이 안착되고, 상기 고정 포스트는 상기 장착 포스트에서 일정 반경으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포스트에는 복수의 가이드 벽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포스트는 상부로 돌출된 포스트와, 상기 장착 포스트에 끼워지는 장착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
  3. 삭제
KR1020160044813A 2016-04-12 2016-04-12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 KR102508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813A KR102508054B1 (ko) 2016-04-12 2016-04-12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813A KR102508054B1 (ko) 2016-04-12 2016-04-12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782A KR20170116782A (ko) 2017-10-20
KR102508054B1 true KR102508054B1 (ko) 2023-03-10

Family

ID=60299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813A KR102508054B1 (ko) 2016-04-12 2016-04-12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80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1080A (ja) * 2003-06-27 2007-08-02 シャーウッド・サービシーズ・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安全ニードルシールド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1080A (ja) * 2003-06-27 2007-08-02 シャーウッド・サービシーズ・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安全ニードルシール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782A (ko)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170B2 (en) Flash activated passive shielding needle assembly
JP6571852B2 (ja) 受動的安全静脈内血液採取カテーテル
ES2256960T3 (es) Sistema cerrado de extraccion de muestras de sangre manipulable conuna sola mano.
ES2845627T3 (es) Dispositivo de aguja de protección pasiva
JP4381808B2 (ja) 直角安全針
ES2226699T3 (es) Dispositivo de proteccion de punta.
ES2721902T5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de la punta de la aguja
EP1933904B1 (en) Needle retraction structure
US7189217B2 (en) Skin puncture device with needle stick protection
JP2009509585A (ja) 固定機構を有する安全針
BRPI0912789B1 (pt) Aparelho e método para fixar automaticamente uma extremidade de uma agulha depois do contato com um vaso sanguíneo
EP0902698A1 (en) Butterfly assembly with retractable needle cannula
BRPI1011475B1 (pt) Mecanismo de captura de recurso de cânula, aparelho de contenção de sangue e método para fornecer um conjunto para um dispositivo de proteção de ponta de cânula
US20030181861A1 (en) Safety device
JP2004522527A (ja) 開放端を有する非鋭利探針を含む非鋭利化可能な針組立体
BR112012002670B1 (pt) instrumento do tipo cateter compreendendo um cubo de cateter, uma unidade de agulha e um dispositivo protetor de ponta de agulha de plástico
BR112013003683B1 (pt) Dispositivo de agulha de segurança, conjunto de agulha com proteção, conjunto de coleta de sangue e método para ativar um conjunto de agulha
CN101352587B (zh) 医疗用防针刺伤装置
ES2881961T3 (es) Dispositivo médico mejorado con aguja de seguridad elásticamente retráctil
KR101707181B1 (ko) 안전 카테터 조립체
KR102508054B1 (ko) 카테터를 위한 안전 니들조립체
BR112020022218A2 (pt) conjunto de coleta de sangue ativado por compressão
CN113082372A (zh) 一种中小型实验动物用回弹式留置针
EP1829480A2 (en) Cannula retractable medical collection device
MXPA06004634A (es) Cubierta de segurid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