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883B1 - 양면 전기 그릴 - Google Patents

양면 전기 그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883B1
KR102507883B1 KR1020210128126A KR20210128126A KR102507883B1 KR 102507883 B1 KR102507883 B1 KR 102507883B1 KR 1020210128126 A KR1020210128126 A KR 1020210128126A KR 20210128126 A KR20210128126 A KR 20210128126A KR 102507883 B1 KR102507883 B1 KR 102507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unit
power
cooking
pow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기
Original Assignee
신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기 filed Critical 신용기
Priority to KR1020210128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76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electrically h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면 전기 그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열공급원(열선)을 선택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어 다른 형태로 마련되는 그릴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양면그릴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은, 내측에 단일 열원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구이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면은 전골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마련되는 그릴부, 상기 그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부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그릴부가 상부에 안착 시, 전력을 공급 및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부 및 정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그릴부의 정면부을 향해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식재료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는 오븐부 및 상기 그릴부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게 마련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은, 양면을 사용할 수 있고, 그릴 양면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단일 열원으로 동시 2가지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면 전기 그릴{Double sided electric grill}
본 발명은 양면 전기 그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열공급원(열선)을 선택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어 다른 형태로 마련되는 그릴의 양면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양면그릴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그릴의 경우, 불판의 단면만을 사용하였으나 최근 다양한 용도의 전기그릴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어 다른 형태의 양면 그릴 사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시판 중인 대표적인 양면 전기 그릴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이 다른 형태의 그릴을 전원모듈 내로 삽입하는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양면 중 하나의 면을 사용하여 조리 등의 실시할 수 있으나 한쪽 면을 사용 후, 뒤집어 다른 면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측면으로 형성되는 전원연결모듈에 불판이 삽입된 상태이므로 이를 꺼내어 뒤집기 위해서는 열을 식히고, 도구를 사용하여 꺼낸 후, 뒤집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캠핑을 가더라도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조리형태가 요구되고 있으므로 보다 손쉽게 양면의 그릴을 교대로 사용할 수 있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양면 그릴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그릴판 탈부착용 단속구가 구비된 밀폐형 양면전기그릴’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3145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3145호 (2017.04.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전기 그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릴 양면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기 그릴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열원으로 동시 2가지 조리가 가능한 전기 그릴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은, 내측에 단일 열원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구이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면은 전골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마련되는 그릴부, 상기 그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부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그릴부가 상부에 안착 시, 전력을 공급 및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부 및 정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그릴부의 정면부을 향해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식재료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는 오븐부 및 상기 그릴부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게 마련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은, 양면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릴 양면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 열원으로 동시 2가지 조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의 관련 상용화 제품(해피콜 양면 그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에서 구이판부를 조리에 이용하는 상태의 각 구성을 정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에서 전골판부를 조리에 이용하는 상태의 각 구성을 정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에서 그릴부의 구성을 평면에서 본 단면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에서 전력분배부의 구성을 측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의 오븐부 사용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의 안전스위치부에 의해 단락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의 안전스위치부에 의해 전원이 연결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 전기 그릴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단일 열원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구이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면은 전골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마련되는 그릴부(1), 상기 그릴부(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부(1)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그릴부(1)가 상부에 안착 시, 전력을 공급 및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부 및 정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본체부(2), 상기 그릴부(1)의 정면부을 향해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식재료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는 오븐부(3) 및 상기 그릴부(1)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게 마련되는 덮개부(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그릴부(1)는, 내측에 단일 열원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구이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면은 전골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그릴부(1)는, 양면으로 조리가 가능한 그릴에 대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상부 및 하부 양면 중 하나를 이용하여 조리가 가능하다.
상기 그릴부(1)는, 하기의 본체부(2)의 상부에 얹어 놓는 형태만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양측면 외주면에 손잡이가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도 1에 도시된 바 있는 기존의 양면 그릴과 비교될 수 있는 부분으로, 단순히 양면 형태가 다른 주조물 형태의 그릴의 경우, 측면에 전력이 연결되는 구성이 마련되므로 본체(전력공급장치)에 삽입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손잡이가 위치하기 어려운 구조로 구성되어 양면을 번갈아 사용해야할 경우, 완전히 식히거나 도구등을 이용하여 탈착 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본원발명에 의한 상기 그릴부(1)는, 하기의 본체부(2)의 상부에 위치시키는 형태만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고, 양면(상부 및 하부)에 모두 전력이 공급됨과 동시에 사용하지 않는 면의 전력연결은 차단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사용편의성과 안전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릴부(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이판부(11), 전골판부(12), 열선부(13), 제 1 전력연결부(15), 제 2 전력연결부(16), 그릴손잡이부(14), 전력분배부(17), 본체거치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구이판부(11)는, 상부면에 구이조리가 용이한 형태의 조리면이 마련된다.
상기 구이판부(11)는, 비교적 낮은 깊이의 조리면이 형성되고, 구이가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는 바닥면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이판부(11)의 일측에는 외부로 기름이 배출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기름배출부(111)가 마련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기름배출부(111)는, 기름배출이 용이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골판부(12)는, 하부면에 상기 구이판부(11)보다 깊은 조리면이 형성되어 전골조리가 용이한 형태의 조리면이 마련된다.
상기 전골판부(12)는, 상기 구이판부(11)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조리면에 대한 것으로, 주로 전골 및 찌개 등의 조리 형태가 용이할 수 있도록 깊이가 형성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열선부(13)는, 상기 구이판부(11) 및 전골판부(12)의 사이의 내측 전면에 형성되어 열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열선부(13)는, 전기 코일 형태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기 구이판부(11) 및 전골판부(12)의 정가운데 전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선부(13)의 단부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의 선택부(171)에 연결되며,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는, 하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구이판부(11)를 통한 조리 시, 상기 열선부(13)에 전력을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는, 상기 구이판부(11)를 상방으로 하여 사용 시, 전력을 연결할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구이판부(11)의 반대편에 단자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전력연결부(16)는,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골판부(12)를 통한 조리 시, 상기 열선부(13)에 전력을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2 전력연결부(16)는, 상기 전골판부(12)를 상방으로 하여 사용 시, 전력을 연결할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전골판부(12)의 반대편에 단자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 및 제 2 전력연결부(16)의 전력연결 구성에 관한 설명은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다음으로, 그릴손잡이부(14)는, 양측면 외부에 형성되어 그립이 용이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그릴손잡이부(14)는, 상기 그릴부(1)의 그립을 통한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으로 그립이 용이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력분배부(17)는,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 및 제 2 전력연결부(16)로의 전력 연결을 결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분배부(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부(171) 및 무게추부(172)가 더 마련된다.
도 5는, 상기 그릴부(1)가 도 2의 그림과 같이, 상기 구이판부(11)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형태에서의 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상기 선택부(171)는, 일단부가 상기 열선부(13)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열선부(13)의 단부를 축으로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 및 제 2 전력연결부(16) 중 어느 하나에 접하는 면을 형성하여 전력을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선택부(171)는, 일단부가 상기 열선부(13)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열선부(13)의 단부를 축으로 타단부가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171)의 타단부가 상기 열선부(13)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부(171)는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 및 제 2 전력연결부(16)와 용이하게 접면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부(171)의 타단부가 회동됨으로 인해,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 및 제 2 전력연결부(16) 중 어느 하나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택부(171)는, 하기의 무게추부(172) 및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향하게 되므로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전력연결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열선부(13)에 전력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반대편인 상방에 형성된 제 2 전력연결부(16)는, 상기 선택부(171)와의 단락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사용중에 상방에 노출되어 있는 상기 제 2 전력연결부(16) 단자를 만져도 위험성이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 전골판부(12)를 상방으로 놓고, 사용 시에는 상기 언급한 내용이 반대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전력연결부(16)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가 단락된다.
상기에서 언급한 제 1 전력연결부(15), 제 2 전력연결부(16), 선택부(171)는 모두 통전 재료로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무게추부(172)는, 상기 선택부(171)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선택부(171)를 상방 및 하방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무게추부(172)는, 상기 선택부(171)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무게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기 선택부(171)가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높은 무게감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거치부(18)는, 상기 본체부(2)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본체거치부(18)는, 하기의 본체부(2)와 상기 그릴부(1)가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본체거치부(18)는, 하기의 본체부(2)와 상기 그릴부(1)가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거치부(18)는, 하방을 향한 복수개의 돌기형태로 바닥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기의 본체부(2)에는 상기 본체거치부(18)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가 마련됨으로 인해, 용이한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부(1)를 하기의 본체부(2)에 결합하지 않을 시, 고르지 않은 바닥면에 내려놓을 수 있는 지지대가 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1)에는 내부에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열선부(1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되는 샷시부(19)가 더 마련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그릴부(1)는, 열전도 효율을 높이고, 열 유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재료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황토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세라믹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2)는, 상기 그릴부(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부(1)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그릴부(1)가 상부에 안착 시, 전력을 공급 및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부 및 정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2)는, 전력공급부(21), 오븐가이드부(22), 바닥지지부(23), 그릴수용부(24)를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전력공급부(21)는, 일측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 및 제 2 전력연결부(16) 중 어느 하나에 접하는 면을 형성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그릴부(1)를 상부에 결합 시, 상기 전력공급부(21)는,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 및 제 2 전력연결부(16)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연결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공급부(2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연결부(211), 탄성부(213), 탄성지지부(212)를 더 포함한다.
먼저, 상기 공급연결부(211)는, 상기 제 1 전력연결부(15) 및 제 2 전력연결부(16)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단부가 형성되며, 상방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213)는, 상기 공급연결부(211)에 하중이 가해질 시, 탄력적으로 상기 공급연결부(211)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탄성부(213)는 압축스프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지지부(212)는, 상기 탄성부(213)의 단부에 접하며 상기 공급연결부(211)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작용점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탄성지지부(212)는, 상기 공급연결부(211)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213)의 일단부와 인접하게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213)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력 발생 시, 상기 공급연결부(211)가 상방을 향할수 있도록 지지점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오븐가이드부(22)는, 내측 바닥면에 복수개의 돌기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오븐부(3)의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오븐가이드부(22)는, 하기의 오븐부(3)가 용이하게 상기 본체부(2)의 정면을 통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지지부(23)는, 하부면에 복수개의 돌기형태로 마련되어 바닥을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바닥지지부(23)는, 불규칙한 바닥면에 상기 본체부(2)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용이하게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그릴수용부(24)는, 상기 본체거치부(18)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그릴부(1)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그릴수용부(24)는, 상기 본체거치부(18)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수용부(24) 및 본체거치부(18)를 통해 상기 본체부(2) 상부에 용이하게 상기 그릴부(1)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릴수용부(24)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거치부(18)가 거치 시, 자연스럽게 압박이 가해지는 형태로 마련되는 안전스위치부(241)가 더 마련된다.
상기 안전스위치부(241)는, 상기 그릴수용부(24) 내에 돌출 형성되어, 도 7의 (b)와 같이, 상기 본체거치부(18)가 거치 시, 자연스럽게 압박되는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릴부(1)가 안착 시에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반대로 상기 그릴부(1)를 해제시에는, 도 7의 (a)와 같이, 상기 안전스위치부(241)가 다시 돌출되며 공급되던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는, 상기 그릴부(1)가 해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전력공급부(21)에 손이 닿으면 감전사고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으로 상기 안전스위치부(241)는, 상기 그릴수용부(24)에 돌출되어 상기 그릴부(1)가 안착될 시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에는 전반적인 전력의 공급, 제어, 타이머, 온도제어 등의 제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조작부(25)가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오븐부(3)는, 상기 그릴부(1)의 정면부을 향해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식재료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븐부(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돌기부(31) 및 오븐손잡이부(32)가 더 마련된다.
먼저, 상기 오븐돌기부(31)는, 하부면에 상기 오븐가이드부(22)에 안착 가능한 형태의 돌기형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오븐손잡이부(32)는, 정면에 그립이 용이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오븐부(3)는, 상기 본체부(2)의 정면을 통해 삽입 및 해제 가능한 형태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2)에 삽입 시, 상기 그릴부(1)에 있는 열원을 통해 열이 조사되어 조리가 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부(4)는, 상기 그릴부(1)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덮개부(4)는, 상기 그릴부(1)의 구이판부(11) 및 전골판부(12)에 모두 결하 가능한 형태이며, 용이하게 상면을 밀폐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유리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 조리 환경이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그릴부
11 : 구이판부
111 : 기름배출부
12 : 전골판부
13 : 열선부
14 : 그릴손잡이부
15 : 제 1 전력연결부
16 : 제 2 전력연결부
17 : 전력분배부
171 : 선택부
172 : 무게추부
18 : 본체거치부
19 : 샷시부
2 : 본체부
21 : 전력공급부
211 : 공급연결부
212 : 탄성지지부
213 : 탄성부
22 : 오븐가이드부
23 : 바닥지지부
24 : 그릴수용부
25 : 조작부
3 : 오븐부
31 : 오븐돌기부
32 : 오븐손잡이부
4 : 덮개부

Claims (5)

  1. 내측에 단일 열원으로 구성되고, 상부면은 구이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구성되고, 하부면은 전골조리가 용이한 형태로 마련되는 그릴부;
    상기 그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부와 결합 및 해제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그릴부가 상부에 안착 시, 전력을 공급 및 제어할 수 있게 마련되며, 상부 및 정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그릴부의 정면부을 향해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식재료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는 오븐부; 및
    상기 그릴부의 상부를 밀폐할 수 있게 마련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릴부는,
    상부면에 구이조리가 용이한 형태의 조리면이 마련되는 구이판부;
    하부면에 상기 구이판부보다 깊은 조리면이 형성되어 전골조리가 용이한 형태의 조리면이 마련되는 전골판부;
    상기 구이판부 및 전골판부의 사이의 내측 전면에 형성되어 열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되는 열선부;
    하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구이판부를 통한 조리 시, 상기 열선부에 전력을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전력연결부;
    상부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전골판부를 통한 조리 시, 상기 열선부에 전력을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2 전력연결부;
    양측면 외부에 형성되어 그립이 용이한 형태로 마련되는 그릴손잡이부;
    상기 제 1 전력연결부 및 제 2 전력연결부로의 전력 연결을 결정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전력분배부;
    상기 본체부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게 마련되는 본체거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력분배부는,
    일단부가 상기 열선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열선부의 단부를 축으로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전력연결부 및 제 2 전력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접하는 면을 형성하여 전력을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되는 선택부;
    상기 선택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중력에 의해 상기 선택부를 상방 및 하방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마련되는 무게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전기 그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측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력연결부 및 제 2 전력연결부 중 어느 하나에 접하는 면을 형성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되는 전력공급부;
    내측 바닥면에 복수개의 돌기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오븐부의 진입을 가이드할 수 있게 마련되는 오븐가이드부;
    하부면에 복수개의 돌기형태로 마련되어 바닥을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되는 바닥지지부;
    상기 본체거치부와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그릴부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게 마련되는 그릴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전기 그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릴부는,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부분에 황토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세라믹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전기 그릴.



KR1020210128126A 2021-09-28 2021-09-28 양면 전기 그릴 KR102507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126A KR102507883B1 (ko) 2021-09-28 2021-09-28 양면 전기 그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126A KR102507883B1 (ko) 2021-09-28 2021-09-28 양면 전기 그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883B1 true KR102507883B1 (ko) 2023-03-07

Family

ID=85513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126A KR102507883B1 (ko) 2021-09-28 2021-09-28 양면 전기 그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8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76Y1 (ko) * 1999-08-30 2000-02-15 유동열 바이오 코팅면이 형성된 바이오 오븐
KR200222161Y1 (ko) * 2000-09-29 2001-05-02 조필휘 오븐 겸용 구이기
KR200291775Y1 (ko) * 2002-06-10 2002-10-11 주식회사 흥보전자 전기양면그릴
KR200324719Y1 (ko) * 2003-04-10 2003-08-27 허춘식 양면회전 전기팬
KR200359188Y1 (ko) * 2004-05-11 2004-08-21 이창환 전열선이 내장된 옹기불판
KR200483145Y1 (ko) 2016-08-22 2017-04-10 김현정 그릴판 탈부착용 단속구가 구비된 밀폐형 양면전기그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76Y1 (ko) * 1999-08-30 2000-02-15 유동열 바이오 코팅면이 형성된 바이오 오븐
KR200222161Y1 (ko) * 2000-09-29 2001-05-02 조필휘 오븐 겸용 구이기
KR200291775Y1 (ko) * 2002-06-10 2002-10-11 주식회사 흥보전자 전기양면그릴
KR200324719Y1 (ko) * 2003-04-10 2003-08-27 허춘식 양면회전 전기팬
KR200359188Y1 (ko) * 2004-05-11 2004-08-21 이창환 전열선이 내장된 옹기불판
KR200483145Y1 (ko) 2016-08-22 2017-04-10 김현정 그릴판 탈부착용 단속구가 구비된 밀폐형 양면전기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1518B (zh) 多功能早餐机
US4011431A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with reversible grill
US20010050005A1 (en) Electric fryer
EP1800578A1 (en) Reversible self-contained cooking appliance
GB2376174A (en) Table top cooking appliance
KR102507883B1 (ko) 양면 전기 그릴
CN214484284U (zh) 一种多功能空气炸锅
CN211354967U (zh) 一种升降锅体及烹饪器具
CN219109219U (zh) 一种带有烤盘功能的空气炸锅
CN215650646U (zh) 一种空炸煎烤机
KR101300190B1 (ko) 유도가열방식의 중화요리용 조리기구
CN210446694U (zh) 一种两用式锅具
CN210354402U (zh) 一种易清洁接油盘的烤箱
CN210697279U (zh) 一种多功能的早餐机
CN214760516U (zh) 一种家居厨房烹调用电饭锅
JPS6219842Y2 (ko)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CN211673726U (zh) 一种便携式多用途电加热锅
CN213429636U (zh) 一种蛋架组件及烹调器具
CN114246451B (zh) 烹饪器具
CN219069953U (zh) 一种炒菜锅组件及炒菜机
CN214595564U (zh) 烹饪器具
CN210784059U (zh) 便携式多功能锅
CN220089237U (zh) 一种同步加热式电热锅
CN215457400U (zh) 一种接触式配合的空气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