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870B1 -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870B1
KR102507870B1 KR1020210045918A KR20210045918A KR102507870B1 KR 102507870 B1 KR102507870 B1 KR 102507870B1 KR 1020210045918 A KR1020210045918 A KR 1020210045918A KR 20210045918 A KR20210045918 A KR 20210045918A KR 102507870 B1 KR102507870 B1 KR 10250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ound source
interface
value
mas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675A (ko
Inventor
전이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폰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폰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폰에어
Priority to KR102021004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870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9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performance evaluation, i.e. judging, grading or scoring the musical qualities or faithfulness of a performance, e.g. with respect to pitch, tempo or other timings of a reference perform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50/00Aspects of algorithms or signal processing methods without intrinsic musical character, yet specifically adapted for or used in electrophonic musical processing
    • G10H2250/315Sound category-dependent sound synthesis processes [Gensound] for musical use; Sound category-specific synthesis-controlling parameters or control means therefor
    • G10H2250/455Gensound singing voices, i.e. generation of human voices for musical applications, vocal singing sounds or intelligible words at a desired pitch or with desired vocal effects, e.g. by phoneme synthesi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앙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 프로필을 생성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음원을 수신하면 사용자 프로필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MR음원을 재생하고,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수신한 후 MR음원과 사용자 보이스가 결합된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믹싱 및 마스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경연은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사용자 음원을 청취한 청취자로부터 선호도를 수신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AND CONTESTING USER'S MUSIC SOURCE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목소리와 MR음원을 손쉽게 믹싱 및 편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튜브(You tube)를 비롯한 개인이나 기업이 생성한 다양한 동영상을 공유하기 위한 플랫폼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랫폼이 발달함에 따라, 콘텐츠 창작자는 자신이 생성한 동영상을 플랫폼을 통해 업로드하여 타인과의 공유를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동영상뿐만 아니라, 과거에는 가수들의 전유물이었던 음원을 개인이 동영상 플랫폼 등을 통해 커버(cover)곡으로 형성하여 업로드하는 콘텐츠 창작자가 늘어가고 있다.
이때, 커버곡이란 음악 분야에서 특정 사람이 발표한 곡을 다른 사람이 연주 또는 가창한 곡을 뜻한다.
통상적인 콘텐츠 공유 플랫폼은 업로드한 콘텐츠를 재생하기 전이나, 재생되는 과정에 콘텐츠와 매핑된 광고를 일정 시간 의무적으로 노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업로드한 콘텐츠의 조회수에 따라 콘텐츠의 재생 시간과 함께 노출되는 광고의 노출 횟수 및 노출 시간에 맞게 콘텐츠 제작자에게 일정 수익이 지급되는 형태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커버곡의 경우 원저작자 사이에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권법상 원곡 음악 MR을 사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것은 복제권 침해에 해당할 수 있고, 편곡은 2차적 저작물 작성권 침해 등이 그것이다. 더 나아가 이러한 영상을 콘텐츠 공유 플랫폼에 업로드하는 행위는 전송권 침해에 해당될 수 있다.
이때, 유튜브의 경우 2008년부터 콘텐츠검증기술(Content ID, 이하 CID)를 도입하여 저작자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있다. 이는, 유튜브의 콘텐츠검증기술은 저작권자로부터 제공받은 원본 콘텐츠 참조 파일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콘텐츠 창작자가 올리는 콘텐츠가 저작권자의 원본 콘텐츠 참조 파일과 일치하는지 자동으로 대조하여 검증하는 시스템이다.
유튜브는 이러한 콘텐츠검증기술을 통해 작권자의 저작물과 일치하는 업로드된 컨텐츠를 검색한 경우 저작권자는 이를 보고 받게 된다. 이때, 저작권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해 차단, 추적, 수익모델화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업로드된 콘텐츠가 저작권 위반으로 판명되면 저작권자의 설정에 따라서 경고조치가 이루어지거나, 사용자들의 접근이 저절로 차단되거나, 해당 컨텐츠가 제거되거나, 컨텐츠 재생에 따라 발생하는 수익을 저작권자가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유튜브는 저작권을 관리하기 위한 봇(bot)도 함께 이용하고 있다. 봇은 저작권자들이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 저작권 신청을 하며, 저작권자를 제외한 다른 콘텐츠 창작자들이 저작권자가 신청한 저작물과 일치 또는 유사한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경우 관리 봇이 필터링하여 해당 저작물에 대한 권한을 저작권자에게 주고 해당 저작물에서 나오는 광고 수익을 전부 저작권자에게 할당하게 된다.
2019년 통계에 따르면 유튜브가 저작자나 음원업계에 지불한 음원 사용료가 무려 3조 5천 5백억원으로 추정된다. 이중에는 커버댄스나 커버곡을 부르는 유명 유튜버가 업로드한 동영상에 붙은 광고 수익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결국, 음악이나 음원을 단순히 이용하는 경우에는 원저작권자의 저작권을 보다 보호할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겠지만, 커버곡과 같이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로 창출된 수익을 기존 저작자와 배분하는 새로운 사업 모델이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커버곡과 같은 콘텐츠를 동영상 공유 플랫폼에 업로드하고자 하는 콘텐츠 창작자가 개인적으로 저작권자와 직접 연락을 취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설사, 콘텐츠 창작자와 저작권자 사이에 연락이 닿더라도 저작물의 사용 허락을 받기가 곤란하며 저작물에 대한 사용료 지급부터 사용승인 서류까지 완벽하게 준비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고, 녹음된 목소리를 MR반주와 믹싱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플랫폼은 사용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고, 이를 MR반주에 맞게 싱크나 마스터링값 등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매뉴얼을 통해 사용법을 숙지하지 않더라도,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UI의 형태만으로도 손쉽게 자신만의 음원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생성한 음원을 대중에게 공개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플랫폼의 구현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 프로필을 생성하는 단계; (b)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음원을 수신하면 사용자 프로필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MR음원을 재생하고,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수신한 후 MR음원과 사용자 보이스가 결합된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믹싱 및 마스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경연은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사용자 음원을 청취한 청취자로부터 선호도를 수신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프로필은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표시되되, 사용자의 사진, 업로드한 사용자 음원 및 팔로워/팔로잉의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프로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음원을 리스트화 하여 표시하고, 각각의 사용자 음원에 대한 조회수 및 사용자 음원에 의한 수익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a) 단계 이전에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설문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고, 설문 인터페이스는 기 설정된 질문에 대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선택된 선택지에 따라 사용자의 노래에 대한 성향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 믹싱설정 인터페이스 및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음성 혹은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에는 실시간으로 녹화 중인 영상 정보가 제공되고, 제 2 영역에는 보이스 정보에 대응되는 노래의 가사가 제공되고, 인터페이스의 제 3 영역에는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믹싱설정 인터페이스는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를 믹싱하기 위한 믹싱 조정값을 수정하되, 믹싱 조정값은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 옵션값 및 편집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믹싱설정 인터페이스는 제 1 영역에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값 및 편집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편집하기 위한 선택지가 제공되고, 제 2 영역에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의 파형이 매핑되어 배치되고, MR음원과 보이스 정보의 싱크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값을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하고, 제 3 영역에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값 및 편집값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는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 중 저겅도 하나를 마스터링하기 위한 마스터링 조정값을 수정하되, 마스터링 조정값은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는 제 1 영역에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편집하기 위한 선택지가 제공되고, 제 2 영역에 사용자 음원의 파형이 배치되고, 편집될 구간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거나, 특정 구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제 3 영역에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c) 단계 이전에 청취자 단말로 사용자 음원의 제공 및 경연을 수행하기 위한 경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청취자 단말은 사용자 음원을 청취 및 평가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경연 인터페이스는 경연이 진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음원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청취자 단말이 사용자 음원의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 음원을 선택하면, 특정 사용자 음원의 곡 정보 및 스트리밍이 제공되되, 곡 정보는 사용자 프로필, 원곡의 명칭, 원곡의 가수명, 원곡 설명, 섬네일, 영상 정보 및 특정 사용자 음원에 부여된 선호도의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기간 동안 각각의 사용자 음원이 청취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선호도에 기초하여 우승 음원을 선정되면, 우승 음원은 소정의 기간 동안 경연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코멘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생성한 다른 사용자 음원 및 우승 횟수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 프로필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음원을 수신하면 사용자 프로필과 매칭하여 저장하고,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연을 수행하고,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MR음원을 재생하고,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수신한 후 MR음원과 사용자 보이스가 결합된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믹싱 및 마스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경연은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사용자 음원을 청취한 청취자로부터 선호도를 수신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 1 항에 의한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고, 녹음된 목소리를 MR반주와 믹싱 및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플랫폼은 사용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고, 이를 MR반주에 맞게 싱크나 마스터링값 등의 편집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매뉴얼을 통해 사용법을 숙지하지 않더라도,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UI의 형태만으로도 손쉽게 자신만의 음원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이 생성한 음원을 대중에게 공개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의 생성 및 수익을 창출하는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제공하는 중앙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원을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기반으로 음원을 믹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원의 믹싱 및 경연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을 통한 수익 창출 및 수익이 분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플랫폼은 사용자가 MR음원을 선택하고 그에 대한 노래를 부르는 경우 이를 AI알고리즘을 통해 결합하거나, 커스텀 음원 조정값을 적용하여 결합하여 고유의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플랫폼은 사용자 음원의 생성뿐만 아니라, 이를 외부에 공개하여 다른 사용자 음원과 경쟁하거나 수익을 창출하여 분배하는 역할까지 수행하게 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음원이란 사운드 혹은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파일을 뜻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MR음원(music recorded, 혹은 instrumental track)은 특정 가수들의 음원에 목소리만 제외한 사운드 파일을 뜻한다. 통상적으로 소리로만 이루어지나, 실시예에 따라 시각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MR음원은 창작곡이나 기성곡일 수 있으며, 기성곡인 경우 원저작자의 허락에 의해 2차 창작이 가능한 음원에 해당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보이스 정보는 플랫폼을 통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통해 생성하는 음성 정보이다. 즉, 상기 MR음원에 대응되는 노래(이는 노래 가사)를 단말을 통해 녹음한 정보에 대응된다. 이때, 보이스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사운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동영상의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에는 MR음원과 보이스 정보를 결합한다. 이때, MR음원과 보이스 정보를 믹싱하여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고, 사용자 음원에 대한 믹싱 조건을 재설정하여 사용자 음원을 조정한 후 마스터링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 "MR음원과 보이스 정보의 결합"은 MR음원과 보이스 정보를 믹싱하고, 마스터링 작업을 수행했음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의 생성 및 수익을 창출하는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은 중앙 서버(100),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 및 유통사 서버(3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 단말(200)이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한 사용자 음원을 수신하면, 먼저 저장한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후, 중앙 서버(1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원을 통해 경연을 수행하고, 우승한 사용자 음원을 유통사 서버(300)로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중앙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MR음원과 사용자가 녹음한 보이스 정보를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합하여 사용자 음원을 생성한다.
이때,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200)이 중앙 서버(100)로부터 선택하여 수신한 MR음원을 재생하고,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수신한 후 MR음원과 보이스 정보가 결합된 사용자 음원에 대해 믹싱 및 마스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한편, 플랫폼은 AI믹싱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I믹싱 알고리즘은 기 저장된 음원 조정값(이는 믹싱 조정값 및 마스터링 조정값이 포함될 수 있다.)에 따라 MR음원과 음성을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앞서 설명한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믹싱 및 마스터링 작업을 생략하게 된다.
또한, 경연은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상기 사용자 음원을 청취한 청취자로부터 선호도를 수신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하게 된다. 이때,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음원이 경연에서 승리하면, 중앙 서버(100)를 통해 유통사 서버(300)는 우승한 사용자 음원을 제공한다. 또한, 유튜브 같은 플랫폼 서버로도 사용자 음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유통사 서버(300)가 사용자 음원을 통해 얻게 되는 수익의 일정 비율을 중앙 서버(100)의 서비스 주체 및 사용자 단말(200)의 생산자가 가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플랫폼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에 내장된 애플리케이션이거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이 휴대용 단말기의 일종인 스마트폰(smart phone)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할 수 있는 단말에 대해서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200)이 중앙 서버(100) 혹은 유통사 서버(300)에 접속(이는 반대의 경우로 차용될 수 있다.)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을 제공하는 중앙 서버(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100)는 통신 모듈(101), 메모리(102), 프로세서(103) 및 데이터베이스(104)를 포함한다.
상세히, 통신 모듈(101)은 통신망과 연동하여 중앙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유통사 서버(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나아가, 통신 모듈(101)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101)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02)는 플랫폼이 동작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또한, 프로세서(103)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02)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03)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플랫폼이 동작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3)가 수행하는 각 단계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프로세서(103)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04)는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될 MR음원(이는 경우에 따라 일반 음원도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보이스 정보 및 사용자 음원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각각의 MR음원에 대응되는 음원 조정값과 AI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음원 조정값은 상기 MR음원과 사용자의 음성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믹싱 조정값에 대응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싱크값, EQ값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MR음원, 보이스 정보, 사용자 음원 및 음원 조정값에 대한 데이터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104)와 물리적 또는 개념적으로 분리된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선택적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104)가 생략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되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 음원을 저장한다(S110).
구체적으로 중앙 서버(100)는 사전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추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음원을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프로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 음원 및 팔로워/팔로잉의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특정 사용자 단말(200)에 대응되는 사용자 음원이 복수로 존재하면, 이를 리스트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리스트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 음원에 대한 조회수 및 유통사 서버(300)에 의해 창출된 수익을 더 표시하게 된다.
이때, 단계(S110)에서 개시된 사용자 단말(200)이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는 과정은 후술할 도 4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중앙 서버(100)는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원을 통해 경연을 수행한다(S120).
단계(S120) 이전에 중앙 서버(100)는 청취자 단말로 사용자 음원의 제공 및 경연을 수행하기 위한 경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청취자 단말이란 사용자 음원을 청취하거나 평가하는 단말을 뜻하게 된다. 즉, 플랫폼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사용자에 대응될 수 있기에, 넓은 의미로 사용자 단말(200)도 청취자 단말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100)는 경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음원을 수신한 청취자 단말이 특정 사용자 음원에 선호도를 부여하면,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사용자 음원이 획득한 선호도에 기초하여 우승 음원을 선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중앙 서버(100)는 우승한 사용자 음원을 유통사 서버(300)로 제공하고, 유통사 서버(300)는 수익 창출 및 분배를 수행한다(S130).
이때, 유통사 서버(300)가 우승 음원을 기초로 수익을 창출하여,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을 중앙 서버(100)의 서비스 주체 및 사용자 단말(200)의 창작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원을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MR음원을 제공한다(S210).
단계(S210) 이전에, 중앙 서버(100)는 보유한 MR음원에 대한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특정 MR음원을 선택하면 특정 MR음원을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이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MR음원 및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음원을 결합하여 사용자 음원을 생성한다(S220).
단계(S220) 이전에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보이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는 단순히 음성 정보만을 수신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카메라를 통한 동영상의 형태로 보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S220)에서 중앙 서버(100)는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음원에 포함될 보이스 정보에 대한 믹싱 및 마스터링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커스텀 음원 조정값을 수신하면 커스텀 음원 조정값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원의 보이스 정보에 대한 믹싱 및 마스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커스텀 음원 조정값은 믹싱 조정값과 마스터링 조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믹싱 조정값은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값 및 편집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링 조정값은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컬 싱크값은 상기 보이스 정보의 재생 시간을 변경하여 싱크를 수정하는 값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볼륨값은 보이스 정보의 소정의 구간 별 볼륨을 각각 조절하고, 편집 옵션값은 상기 보이스 정보의 소정의 구간을 반복 녹음하거나 삭제하는 값에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의 다른 단말(예를 들면, 데스크탑, 노트북 등)로부터 생성된 보이스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앞서 개시한 다른 단말과는 전혀 다른 단말-의 요청에 따라 보이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데스크탑으로 자신의 노래를 녹화하여 보이스 정보를 생성하여 중앙 서버(100)로 업로드하고, 사용자는 추후 중앙 서버(100)에 업로드 된 보이스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다운로드하여 편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중앙 서버(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음원을 수신한다(S230).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210)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수신하게 되는 MR음원은 기 설정된 음원 조정값이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계(S220)에서 진행되는 과정은 AI믹싱 알고리즘과 음원 조정값에 따라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를 자동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할 도 5를 통해 수행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기반으로 음원을 믹싱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보이스 정보를 수신한다(S310).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이스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발성하여 생성한 음성 혹은 노래가 녹음된 정보를 뜻하게 된다.
단계(S310) 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수집한 후, 해당 보이스 정보에서 저음, 중음, 및 고음을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에게 기 설정된 MR음원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MR음원을 통해 노래를 따라 부르도록 유도하여 각 저음, 중음, 고음 별로 보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보이스 정보에 대한 성별을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해당 성별 내에서의 보이스 정보와 유사한 비교 가수를 선정한다(S32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보이스 정보와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비교 가수의 가수 보이스 정보와 비교하게 된다. 이때, 보이스 정보의 장르, 음색 및 높낮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가수 보이스 정보와의 유사도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가수 보이스 정보란 실제 가수가 자신의 MR음원에 맞게 부른 노래의 육성 정보를 뜻한다.
첫 번째로 장르에 기초하여 비교 가수를 선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또한, 가수 보이스 정보의 각 장르마다 기 설정된 장르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로부터 기 수신된 선호 장르 정보 또는 보이스 정보에 대응되는 장르 정보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사용자와 연관된 장르 정보를 수치화하게 된다. 또는,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기 수신된 선호 장르 정보(즉, 프로필 정보 입력단계에서 선호하는 장르로 입력한 값)를 참고하여 장르 정보를 수치화 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가수 보이스 정보에 부여된 각각의 상기 장르 정보를 수치화 하여, 사용자의 장르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비교 가수를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각 가수 별로 해당 가수가 보유한 곡들의 장르들을 식별한 후, 해당 장르에 대한 점수를 수치화한 후 평균한다면 해당 가수의 대표 장르값을 수치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의 장르 정보와 비교 가수의 장르 정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가장 비교값이 적은 비교가수를 선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음색에 기초하여 비교 가수를 선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단말(200)은 보이스 정보의 음색을 수치화하고, 비교 가수의 가수 보이스 정보에 포함된 음색값과 비교하여 차이가 가장 낮은 비교 가수를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허스키 음색, 부드러운 음색, 거친 음색 등 각 음색을 정의한 후, 해당 음색 별로 수치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음색 수치화 프로그램을 통해 수치화될 수 있다.
세 번째로, 높낮이에 기초하여 비교 가수를 선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사용자 단말(200)은 보이스 정보의 높낮이를 수치화하고, 상기 비교 가수의 가수 보이스 정보에 포함된 높낮이값과 비교하여 차이가 가장 낮은 상기 비교 가수를 선택하게 된다. 이때 높낮이 값은 하나의 가수 보이스 정보 내에서 표현되는 복수의 음의 높낮이들의 평균값일 수 있다.
상술한 음색, 장르, 높낮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치를 기준으로 비교 가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음색을 기준으로 예를 든다면, 사용자의 음색 수치와 가장 차이값이 적은 비교 가수를 적어도 3개 이상 선정하고, 차이값 별로 정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장르, 높낮이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고, 이 중 음색, 장르, 높낮이 모두를 고려했을 때, 사용자의 수치와 가장 차이가 적은 비교가수를 선정할 수도 있다. 혹은, 3개 분야 중 어느 하나의 수치에 대해 가중치를 적용한 후, 비교가수를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장르, 높낮이에 대해서는 A가수가 도출되었으나, 음색부분에서 가장 차이값이 적은 가수가 B이고, 음색에 대한 가중치를 두게 된다면, 비교가수는 B로 선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비교 가수의 선정 결과에 기초하여 보이스 정보의 카테고리를 분류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분류된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음원 조정값을 사용자의 음원 조정값으로 설정하여, 후술할 단계(S330)에서 적용하게 된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비교 가수별로 규정될 수도 있고, 별도의 기준으로 규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별도의 기준이란 발라드 카테고리, 힙합 카테고리 등과 같이 장르 별로 규정되거나, 10대, 20대, 30대와 같이 나이대로 규정되는 등 다양하게 규정될 수 있다. 각 카테고리 별로, 해당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는 장르, 음색, 높낮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수치 범위에 대해 규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규정에 부합하는 경우, 사용자 음원은 해당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규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카테고리 별로 음원 조정값(믹싱 조건값, 마스터링 조정값)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가 비교가수 별로 규정되어 있어, 발라드 유형의 A가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사용자 음원이라면, 믹싱 조건값을 구성하는 마스터볼륨 비율(즉, 가수 보이스 정보(또는 MR음원)과 사용자 보이스 간의 불륨 비율), 보컬싱크 비율(즉, 시간 축 상의 가수 보이스 정보(또는 MR음원)의 재생위치와 시간 축 상의 보이스 정보의 재생위치 간의 정렬 시간차에 대한 비율) (단말에서 들리는 소리를 듣고 사용자가 목소리를 내어 녹음을 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시에 녹음을 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MR음원보다 느린 박자로 목소리가 녹음되는데, 이는 장르나 사용자 취향 등에 따라서 MR음원과 목소리 간 정렬 시간차는 다르게 규정될 수 있으므로 보컬 싱크 비율 조정이 필요함)에 대한 값이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마스터링 조정값 역시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저(EQ), 리버브, 딜레이, 리미터 등의 요소로 구성되는데, 각 요소 별로 조정이 필요한 수치가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음원 조정값은 카테고리 별로 다르게 규정될 수 있다. 또는, 음원 조정값은 곡의 장르 별로 다르게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발라드 또는 힙합을 노래하였는지에 따라 다른 음원 조정값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곡이라도 곡의 흐름(박자나 멜로디)에 따라, 중간에 음원 조정값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분 길이의 A라는 곡이 플레이 시간 1분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박자를 갖는 경우 음원 조정값도 각 구간에 맞게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중앙 서버(100)의 데이터베이스(104)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음색 템플릿과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비교하고, 가장 유사도가 높은 음색 템플릿을 선택하게 된다. 이때, 음색 템플릿은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알토, 카운터테너, 테너, 바리톤 또는 베이스 등으로 구분되거나, 다수의 레벨, 예를 들어 0 레벨(저음 음색)에서 10레벨(고음 음색)로 구분되되, 각각의 선택지에 대응되는 음원 조정값을 가진다. 따라서, 음색 템플릿에서 보이스 정보에 대응되는 음원 조정값을 적용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비교 가수와 매핑되어 기 저장된 음원 조정값에 기초하여 보이스 정보를 믹싱 및 마스터링 하여 사용자 음원을 생성한다(S330).
단계(S330)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음원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상기의 단계(S330)까지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단계(S330)까지의 재수행결과에 따르는 음원 조정값은 앞선 음원 조정값과 같을 수도 있지만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MR음원의 장르가 다르거나,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가 앞선 음원에서의 것과 약간 다르게 수신되고 분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사용자가 음원 조정값을 수동으로 변경할 경우, 앞선 음원에서의 것과 다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사용자에 대해 수많은 보이스 정보(음색, 장르, 높낮이)가 수신될 수 있고, 해당 보이스 정보에 대해 각각 대응되는 음원 조정값이 발생될 수 있다. 여러 사용자에 대해서 확장해보면, 무수히 많은 보이스 정보에 대한 무수히 많은 음원 조정값이라는 훈련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훈련데이터의 입력값을 보이스 정보(음색, 장르, 높낮이)로 설정하고 출력값을 음원 조정값으로 설정하여 기계학습모델에 적용시켜 훈련을 수행할 경우, AI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 음원에 최적화된 음원 조정값을 추천해주는 알고리즘 학습이 완성될 수 있다. 이때, 기계학습 모델은, ANN, DNN, KNN, CNN 중 어느 하나의 모델이거나, 이들 중 적어도 둘을 조합한 앙상블 모델일 수 있다. 또는, 다양한 다른 인공지능학습모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원을 많이 만들어내면 많이 만들어낼수록, 음원 조정값이 조금씩 수정되어, 그 사용자에 맞는 음원 조정값이 더 정확하게 도출될 수 있다. 또한, 훈련이 이미 완성된 이후 접속하게 되는 사용자에게는 최초의 서비스에 대해서도 정확도 있는 음원 조정값 추천이 가능하다.
만약, 상기의 값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0)은 수신된 장르, 음색 및 높낮이에 기초하여 커스텀 음원 조정값을 생성하여 사용자 보이스를 수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200)은 커스텀 음원 조정값에 기초하여, 비교 가수의 가수 보이스 정보와 연동되어 기 저장된 음원 조정값을 보정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취향에 맞도록 사용자 음원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기 위한 믹싱 조건값과 마스터링 조건값을 출력값으로 설정하여, 신규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믹싱 조건값 및 마스터링 조건값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이때, 상기의 머신러닝모델은 사용자 단말(200)에서 구축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중앙 서버(100)에서도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330) 이후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음원을 중앙 서버로 업로드하여, 상기 사용자 음원을 다른 사용자 단말로 스트리밍하여 제공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원의 믹싱 및 경연을 진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 프로필을 생성한다(S410).
이때, 사용자 프로필은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표시된다.
프로필 인터페이스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필 인터페이스 제 1 영역(110)에 사용자의 사진 및 팔로워/팔로잉의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다.
또한, 프로필 인터페이스 제 2 영역(120)에는 사용자 단말이 업로드한 상기 사용자 음원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각각의 사용자 음원에 대한 조회수 및 사용자 음원에 의한 수익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음원 중 어떤 음원이 가장 인기가 좋은지 혹은 수익률이 높은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프로필 인터페이스 제 3 영역(140)에는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가 주어진다.
한편,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410) 이전에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설문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때, 설문 인터페이스는 기 설정된 질문에 대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선택된 선택지에 따라 사용자의 노래에 대한 성향을 분류하게 된다. 분류된 성향을 바탕으로 추후 제공될 서비스에 대한 질을 높이게 된다.
다음으로 중앙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음원을 수신하면 사용자 프로필과 매칭하여 저장한다(S420).
이때,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 믹싱설정 인터페이스 및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는 용자의 음성 혹은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 해당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R리스트(210)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자신이 부를 노래에 대응되는 특정 MR음원(220)을 선택하여 입력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230)에는 실시간으로 녹화 중인 영상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231)에는 보이스 정보에 대응되는 노래의 가사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가사를 보며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의 제 3 영역(240)에는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녹음", "카메라 전환", "화면 효과 설정"등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쉽게 알 수 있는 아이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믹싱설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를 믹싱하기 위한 믹싱 조정값을 수정할 수 있다.
이를 도 11a 및 도 11b를 통해 믹싱설정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때, 믹싱설정 인터페이스는 믹싱 조정값은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 옵션값 및 편집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믹싱설정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250)에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 옵션값 및 편집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편집하기 위한 선택지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무엇을 수정할 것인지 여부에 따라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값", "편집값"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여 선택하게 된다.
믹싱설정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260)에는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의 파형이 매핑되어 배치되고, MR음원과 보이스 정보의 싱크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값을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된다.
믹싱설정 인터페이스의 제 3 영역(251)에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값 및 편집값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제공된다. 이때, 제공되는 버튼의 형태나 개수는 상기의 수치를 조절하기에 알맞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기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a의 경우 음원의 싱크를 수정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그에 따라, 믹싱설정 인터페이스의 제 3 영역(251)에는 시간 단위로 음원의 싱크를 이동하거나 건너뛸 수 있는 형태의 입력 버튼이 구비된다. 한편, 도 11b의 경우 보이스 정보 및 MR음원의 마스터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예시이다. 믹싱설정 인터페이스의 제 3 영역(251)에는 믹싱된 음원의 특정 구간에서 MR음원이나 보이스 음원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쌍의 회전식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믹싱값 및 마스터링값을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입력버튼의 형태 및 개수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보고 판단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는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스터링하기 위한 마스터링 조정값을 수정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링 조정값은 예를 들어,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1c을 통해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252)에 상기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편집하기 위한 선택지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자신이 수정하기 위한 마스터링 설정을 터치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의 제 2 영역(261)은 사용자 음원의 파형이 배치되고, 편집될 구간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거나 특정 구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마스터링 인터페이스의 제 3 영역(253)에 상기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 3 영역(253)을 통해 제공되는 버튼은 수정하려는 값에 따라 형태와 개수가 달라질 수 있기에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더블링 및 컴프레서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마스터링 인터페이스의 제 3 영역(253)에는 도 11b에 도시된 회전식 버튼이 제공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연을 수행한다(S430).
이때, 중앙 서버(100)는 청취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음원의 제공 및 상기 경연을 수행하기 위한 경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경연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면, 경연 인터페이스는 경연이 진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음원의 리스트(330)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청취자 단말이 사용자 음원의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 음원을 선택하면, 특정 사용자 음원의 곡 정보 및 스트리밍이 제공된다. 이때, 곡 정보는 사용자 프로필, 원곡의 명칭, 원곡의 가수명, 원곡 설명, 섬네일, 영상 정보 및 특정 사용자 음원에 부여된 선호도의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하게 된다.
또한, 소정의 기간 동안 각각의 상기 사용자 음원이 상기 청취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기 선호도에 기초하여 우승 음원을 선정되면, 선정된 우승 음원은 소정의 기간 동안 경연 인터페이스에 표시(310, 320)하게 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340) 및 코멘트(350)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다른 사용자 음원 및 우승 횟수와 함께 표시(360)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을 통한 수익 창출 및 수익이 분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이하는 설명하려는 바는 수익의 창출 및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다. 종래의 경우 음원은 창출된 수익의 경우 음원 판매사가 30%, 저작권 협회 등에서 10%를 나누어 획득하며, 원래 창출 된 수익의 60%를 다시 음원 유통사가 20%의 수수료를, 기획사가 80%의 수수료를 각각 취하기에 음원의 창작자가 가지게 되는 수익은 많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유튜브와 같은 동영상 콘텐츠의 경우에도 유튜브, 저작권협회, 음원(동영상) 유통사, 기획사 등이 수익의 일부를 갖게 됨으로 실제 콘텐츠 제작자가 가지게 되는 수익의 비율이 낮아진다는 한계를 가진다.
도 7을 참조하면, 유통사 서버(300)는 사용자 음원을 청취자에게 공개함으로써, 100만원의 수익을 창출한다(S510).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단계(S510)에서 유통사 서버(300)로 전달되는 사용자 음원은 중앙 서버(100)가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다른 사용자 음원과의 경연을 수행하여 우승한 음원에 대응된다.
만약, 사용자 음원이 사운드로 구성된 미디어이면, 중앙 서버(100)는 음원 판매사에 대응되는 유통사 서버(300)로 전달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 음원이 동영상에 구성된 미디어이면, 중앙 서버(100)는 동영상 스트리밍사에 대응되는 유통사 서버(300)로 전달하게 된다.
다음으로, 유통사 서버(300)는 창출된 수익 중 30%(30만 원)를 수수료(혹은 유통 마진)로 획득한다(S520).
이때, 선택적 실시예로 사용자 음원 생성에 사용된 MR음원 등이 이미 저작권이 등록된 경우 저작권협회 등이 수익의 10%(10만원)를 획득하게 된다(S5210). 하지만, 사용자 음원에 다른 저작권자의 자료가 이용되지 않은 사용자 음원이 유튜브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 해당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유통사 서버(300)로부터 수수료를 제외한 60만원의 수익금을 전달 받은 중앙 서버(100)의 서비스 주체는 원곡 유통사에게 20%(12만원)을 제공하고 남은 수익금 중50%(24만원)의 수익을 획득하게 된다(S530).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520) 혹은 단계(S530)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200)이 생성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음원이 유통사 서버(300)로 제공되면, 단계(S540)에서 특성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음원의 개수에 따라 수익의 분배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 단계(S510)에서 특정 사용자 음원이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수익을 창출하면, 단계(S540)에서 특성 사용자 음원의 조회에 따라 상기 수익의 분배 비율을 조정하게 된다.
상기의 두 기능을 통해 중앙 서버(100)는 우수한 창작자를 지원함과 동시에 높은 수익을 보장해주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200)의 창작자는 수익의50%(24만 원)를 획득함으로써 수익의 분배가 마무리 된다(S540).
한편, 단계(S510)에서 특정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유통사 서버(300)로 전달된 특정 사용자 음원을 비공개 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후, 단계(S520)에서 특정 청취자 단말이 특정 사용자 단말(200)의 복수의 사용자 음원을 대상으로 창출된 수익의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을 차지하면, 특정 청취자 단말로 특정 사용자 음원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A라는 창작자에 대해서 B라는 청취자가 열성적으로 음악을 듣는 경우 A라는 창작자의 비공개 음원을 B라는 청취자에게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중앙 서버
200: 사용자 단말
300: 유통사 서버

Claims (15)

  1. 중앙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 프로필을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음원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프로필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c)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MR음원을 재생하고,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MR음원과 사용자 보이스가 결합된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믹싱 및 마스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경연은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상기 사용자 음원을 청취한 청취자로부터 선호도를 수신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하고,
    상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 믹싱설정 인터페이스 및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로 구성하고,
    상기 믹싱설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를 믹싱하기 위한 믹싱 조정값을 수정하되, 상기 믹싱 조정값은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 옵션값 및 편집값이 포함되고, 상기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스터링하기 위한 마스터링 조정값을 수정하되, 상기 마스터링 조정값은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이 포함되는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프로필은 프로필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표시되되, 사용자의 사진, 업로드한 상기 사용자 음원 및 팔로워/팔로잉의 숫자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는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음원을 리스트화 하여 표시하고,
    각각의 상기 사용자 음원에 대한 조회수 및 상기 사용자 음원에 의한 수익을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설문 인터페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설문 인터페이스는 기 설정된 질문에 대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선택된 상기 선택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노래에 대한 성향을 분류하는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혹은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상기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의 제 1 영역에는 실시간으로 녹화 중인 영상 정보가 제공되고, 제 2 영역에는 상기 보이스 정보에 대응되는 노래의 가사가 제공되고, 인터페이스의 제 3 영역에는 상기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설정 인터페이스는
    제 1 영역에 상기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값 및 편집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편집하기 위한 선택지가 제공되고,
    제 2 영역에 상기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의 파형이 매핑되어 배치되고, 상기 MR음원과 보이스 정보의 싱크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값을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하고,
    제 3 영역에 상기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값 및 편집값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는
    제 1 영역에 상기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편집하기 위한 선택지가 제공되고,
    제 2 영역에 상기 사용자 음원의 파형이 배치되고, 편집될 구간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거나, 특정 구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제 3 영역에 상기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 중 어느 하나를 조절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이 제공되는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청취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음원의 제공 및 상기 경연을 수행하기 위한 경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청취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음원을 청취 및 평가하는 단말인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연 인터페이스는 상기 경연이 진행 중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 음원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상기 청취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음원의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 사용자 음원을 선택하면, 상기 특정 사용자 음원의 곡 정보 및 스트리밍이 제공되되,
    상기 곡 정보는 상기 사용자 프로필, 원곡의 명칭, 원곡의 가수명, 원곡 설명, 섬네일, 영상 정보 및 상기 특정 사용자 음원에 부여된 선호도의 수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 각각의 상기 사용자 음원이 상기 청취자 단말로부터 획득한 상기 선호도에 기초하여 우승 음원을 선정되면,
    상기 우승 음원은 소정의 기간 동안 상기 경연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및 코멘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다른 사용자 음원 및 우승 횟수와 함께 표시하는 것인,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4.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 프로필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음원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프로필과 매칭하여 저장하고,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연을 수행하고,
    상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MR음원을 재생하고, 사용자의 보이스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MR음원과 사용자 보이스가 결합된 사용자 음원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믹싱 및 마스터링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경연은 소정의 기간 동안 복수의 상기 사용자 음원을 청취한 청취자로부터 선호도를 수신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뜻하고,
    상기 음원제작 인터페이스는 보이스 수신 인터페이스, 믹싱설정 인터페이스 및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로 구성하고,
    상기 믹싱설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를 믹싱하기 위한 믹싱 조정값을 수정하되, 상기 믹싱 조정값은 보컬 싱크값, 마스터 볼륨 옵션값 및 편집값이 포함되고, 상기 마스터링설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MR음원 및 보이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마스터링하기 위한 마스터링 조정값을 수정하되, 상기 마스터링 조정값은 더블링, 컴프레서, 이퀄라이져, 리버브, 딜레이 및 리미터값이 포함되는, 플랫폼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원의 믹싱 및 경연을 진행하는 장치.
  15. 제 1 항에 의한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210045918A 2021-04-08 2021-04-08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50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918A KR102507870B1 (ko) 2021-04-08 2021-04-08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918A KR102507870B1 (ko) 2021-04-08 2021-04-08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675A KR20220139675A (ko) 2022-10-17
KR102507870B1 true KR102507870B1 (ko) 2023-03-08

Family

ID=8380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918A KR102507870B1 (ko) 2021-04-08 2021-04-08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8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3718A (ko) * 2011-11-16 2013-05-24 김치현 모바일 음원관리 시스템, 오픈 마켓 서버, 및 그 제공방법
KR20130082965A (ko) * 2011-12-26 2013-07-22 박정길 모바일 기반 오디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675A (ko)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1563B2 (en) Method, a system and an apparatus for delivering media layers
TWI559778B (zh) 具有卡拉ok及/或照相亭特徵的數位點唱機裝置以及與其相關聯的方法
JP6509192B2 (ja) オーディオ・ファイルを生成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18015B1 (ko) 유사성 데이터에 기초한 재생목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9964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89244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10131493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distributing alternate versions of content
KR101422772B1 (ko) 사용자 선호와 평가를 반영한 음악 재생 목록을 생성하는 온라인 음악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107621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combined media and user-defined audio selection
US201900263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video by each segment of music
US200700112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d displaying multimedia content in correlation with music files in an audio disc
US201300245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507870B1 (ko)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72972B1 (ko) Ai기반으로 음원을 믹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58167B1 (ko) 사용자 음원의 수익을 창출 및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70036B1 (ko) 사용자 음원의 생성 및 경연을 진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102190A (ko) 창작자에 의한 등록 음원을 공유하는 음원 관리 장치, 음원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US2021033471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connecting content promoters and artists for content promotion transactions
Rivera Infinite Setlist: Analyzing Pioneer DJ's Catalogue Streaming Partnerships with Beatport and Soundcloud
CN117496924A (zh) 一种基于ai翻唱模型的音乐共享方法及系统
JP2007087437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