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87B1 - 기초바닥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기초바닥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587B1
KR102507587B1 KR1020220017197A KR20220017197A KR102507587B1 KR 102507587 B1 KR102507587 B1 KR 102507587B1 KR 1020220017197 A KR1020220017197 A KR 1020220017197A KR 20220017197 A KR20220017197 A KR 20220017197A KR 102507587 B1 KR102507587 B1 KR 102507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member
foundation
concrete
cup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다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1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02D31/025Draining membranes, sheets or fabric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ith dimp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름콘크리트의 하측단이 컵부재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기초바닥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바닥 방수구조에 따르면, 상기 컵부재(22)의 내부에 고정부재(40)가 삽입고정되어, 배수판(2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30)를 타설할 때 누름콘크리트(30)의 무게에 의해 컵부재(22)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누름콘크리트(30)가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30)가 경화되면서 축소되어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30)가 컵부재(22)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되고 누름콘크리트(3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기초바닥 방수구조{foundation bottom water-proof structure }
본 발명은 누름콘크리트의 하측단이 컵부재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기초바닥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할 때 가장 하층을 이루는 기초바닥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기초(10)와, 상기 기초(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배수판(20)과, 상기 배수판(20)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누름콘크리트(30)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판(20)은 넓은 합성수지재질의 판형상으로 되며 중간부에 다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된 상부판(21)과, 상기 관통공(2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컵부재(22)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판(21)은 상부에 타설되는 누름콘크리트(3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로 구성된다.
상기 컵부재(22)는 상기 관통공(2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밀폐된 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수판(20)은 상부판(21)의 둘레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기초(10)의 상면에 다수개의 배수판(20)을 배치한 후, 배수판(20)의 상면에 적절한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켜 누름콘크리트(30)를 시공함으로써, 기초바닥의 방수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배수판(20)의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상기 컵부재(22)의 내부에 충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초바닥은 상기 배수판(20)에 의해 기초(10)와 누름콘크리트(30)의 사이에 공간부에 형성됨으로, 외부에서 지하수가 유입될 경우, 물이 공간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기초바닥의 상면, 즉, 상기 누름콘크리트(30)의 상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초바닥 방수구조가 충분한 강도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기 배수판(20)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30)의 하측단이 상호 견고하게 밀착되어야 한다.
그런데, 콘크리트는 경화되면서 수축됨으로, 누름콘크리트(30)가 경화될 때,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30)의 하측단이 컵부재(22)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미세하게 이격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지하 주차장에 이러한 기초바닥 방수구조가 적용된 경우, 누름콘크리트(30)의 상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상측으로 이격된 누름콘크리트(30)가 하측으로 눌리면서 컵부재(22)와 기초(10)층에 충돌하여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며, 심할 경우, 누름콘크리트(30)에 크랙이 발생되고, 이러한 크랙을 보수하기 위한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3156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름콘크리트(30)의 하측단이 컵부재(22)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기초바닥 방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기초(10)와, 상기 기초(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배수판(20)과, 상기 배수판(20)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누름콘크리트(30)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판(20)은 넓은 합성수지재질의 판형상으로 되며 중간부에 다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된 상부판(21)과, 상기 관통공(2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컵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컵부재(22)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된 기초바닥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컵부재(22)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컵부재(22)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컵부재(22)의 내부에 삽입고정된 고정부재(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40)는 내부에 공간부(41c)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41c)에 연결되는 관통공(4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a)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관체(41b)가 구비된 합성수지재질의 하부케이스(41)와, 상기 공간부(41c)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접착제(42)와, 상기 하부케이스(41)의 상부에 결합고정된 콘크리트재질의 상부블록(43)과, 상기 가이드관체(41b)에 결합된 못부재(4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40)의 외경은 상기 컵부재(22)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관체(41b)는 상기 상부블록(43)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못부재(44)는 하단은 상기 관통공(41a)을 통해 하부케이스(41)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가이드관체(41b)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기초(10)의 상면에 배수판(20)을 배치하고, 상기 컵부재(22)의 내부에 고정부재(40)를 삽입하고, 못부재(44)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격하면 못부재(44)가 상기 하부케이스(41)의 하측면을 손상시켜 공간부(41c)에 저장된 접착제(42)가 하측으로 유출된 후 상기 개구부(22a)를 통해 컵부재(22)의 하측으로 유출되어, 컵부재(22)가 기초(10)의 상면에 접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바닥 방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초바닥 방수구조에 따르면, 상기 컵부재(22)의 내부에 고정부재(40)가 삽입고정되어, 배수판(2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30)를 타설할 때 누름콘크리트(30)의 무게에 의해 컵부재(22)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누름콘크리트(30)가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30)가 경화되면서 축소되어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30)가 컵부재(22)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되고 누름콘크리트(3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초바닥 방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바닥 방수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바닥 방수구조의 고정부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바닥 방수구조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초바닥 방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기초(10)와, 상기 기초(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배수판(20)과, 상기 배수판(20)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누름콘크리트(30)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배수판(20)은 넓은 합성수지재질의 판형상으로 되며 중간부에 다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된 상부판(21)과, 상기 관통공(2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컵부재(22)로 구성된다.
상기 컵부재(22)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컵부재(22)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컵부재(22)의 내부에는 컵부재(22)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 고정부재(40)가 삽입고정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재(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경은 상기 컵부재(22)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41c)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41c)에 연결되는 관통공(4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a)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관체(41b)가 구비된 합성수지재질의 하부케이스(41)와, 상기 공간부(41c)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접착제(42)와, 상기 하부케이스(41)의 상부에 결합고정된 콘크리트재질의 상부블록(43)과, 상기 가이드관체(41b)에 결합된 못부재(44)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관체(41b)는 상기 상부블록(43)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접착제(42)는 점도가 낮고 침투성이 높은 것을 이용한다.
상기 상부블록(43)은 공장에서 상기 하부케이스(41)를 금형의 내부에 고정한 후, 금형에 형성된 공간부(41c)에 콘크리트를 주입 및 경화시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41)의 하측면으로 부터 상부블록(43)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컵부재(22)의 내부공간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못부재(44)는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관체(41b)의 내주면에 기밀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가 가이드관체(41b)를 통해 하부케이스(41)의 공간부(41c)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 하단은 상기 관통공(41a)을 통해 하부케이스(41)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가이드관체(41b)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못부재(44)의 상단에는 직경이 큰 헤드부(44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초바닥 방수구조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기초(10)를 시공하고, 시공된 기초(10)의 상면에 다수개의 배수판(20)을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컵부재(22)의 내부에 고정부재(4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0)는 모든 컵부재(22)의 내부에 구비되지 않고, 몇 개의 컵부재(22)에 하나씩 삽입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망치 등을 이용하여 못부재(44)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격한다.
이와 같이 못부재(44)의 상단을 가격하면 못부재(44)가 하강되면서 상기 하부케이스(41)의 하측면을 손상시켜 공간부(41c)에 저장된 접착제(42)가 하측으로 유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간부(41c)에 저장된 접착제(42)가 하측으로 유출되면, 유출된 접착제(42)는 상기 개구부(22a)를 통해 컵부재(22)의 하측으로 유출되어, 컵부재(22)와 기초(10)의 사이로 스며들면서 경화되어, 컵부재(22)가 기초(10)의 상면에 접착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컵부재(22)가 기초(10)의 하측면에 접착고정된 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배수판(20)의 상면에 누름콘크리트(30)를 타설 및 경화시킴으로써, 기초바닥 방수구조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기초바닥 방수구조에 따르면, 상기 컵부재(22)의 내부에 고정부재(40)가 삽입고정되어, 배수판(20)의 상부에 누름콘크리트(30)를 타설할 때 누름콘크리트(30)의 무게에 의해 컵부재(22)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누름콘크리트(30)가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30)가 경화되면서 축소되어 컵부재(22)의 내부로 유입된 누름콘크리트(30)가 컵부재(22)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이에 따라,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되고 누름콘크리트(30)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40)는 내부에 공간부(41c)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관통공(4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a)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관체(41b)가 구비된 합성수지재질의 하부케이스(41)와, 상기 공간부(41c)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접착제(42)와, 상기 하부케이스(41)의 상부에 결합고정된 콘크리트재질의 상부블록(43)과, 상기 가이드관체(41b)에 결합된 못부재(44)로 구성되어, 배수판(20)의 상부에 타설된 누름콘크리트(30)가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된 상부블록(43)의 상면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못부재(44)를 하측으로 가격하면, 공간부(41c)에 저장된 접착제(42)가 하측으로 유출되어, 컵부재(22)가 기초(10)에 부착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기초(10)와 컵부재(22)와 고정부재(40) 및 누름콘크리트(30)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어, 소음이나 진동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기초 20. 배수판
30. 누름콘크리트 40. 고정부재

Claims (1)

  1.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기초(10)와,
    상기 기초(10)의 상면을 덮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배수판(20)과,
    상기 배수판(20)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된 누름콘크리트(30)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판(20)은
    합성수지재질의 판형상으로 되며 중간부에 다수개의 관통공(21a)이 형성된 상부판(21)과,
    상기 관통공(21a)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컵부재(22)를 포함하고,
    상기 컵부재(22)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된 기초바닥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컵부재(22)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상기 컵부재(22)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컵부재(22)의 내부에 삽입고정된 고정부재(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40)는
    내부에 공간부(41c)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41c)에 연결되는 관통공(41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a)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관체(41b)가 구비된 합성수지재질의 하부케이스(41)와,
    상기 공간부(41c)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접착제(42)와,
    상기 하부케이스(41)의 상부에 결합고정된 콘크리트재질의 상부블록(43)과,
    상기 가이드관체(41b)에 결합된 못부재(4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40)의 외경은 상기 컵부재(22)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관체(41b)는 상기 상부블록(43)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못부재(44)는 하단은 상기 관통공(41a)을 통해 하부케이스(41)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단은 상기 가이드관체(41b)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작업자가 기초(10)의 상면에 배수판(20)을 배치하고, 상기 컵부재(22)의 내부에 고정부재(40)를 삽입하고, 못부재(44)의 상단을 하측으로 가격하면 못부재(44)가 상기 하부케이스(41)의 하측면을 손상시켜 공간부(41c)에 저장된 접착제(42)가 하측으로 유출된 후 상기 개구부(22a)를 통해 컵부재(22)의 하측으로 유출되어, 컵부재(22)가 기초(10)의 상면에 접착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바닥 방수구조.
KR1020220017197A 2022-02-09 2022-02-09 기초바닥 방수구조 KR102507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197A KR102507587B1 (ko) 2022-02-09 2022-02-09 기초바닥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197A KR102507587B1 (ko) 2022-02-09 2022-02-09 기초바닥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587B1 true KR102507587B1 (ko) 2023-03-09

Family

ID=8551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197A KR102507587B1 (ko) 2022-02-09 2022-02-09 기초바닥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5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560Y1 (ko) 2006-09-07 2006-11-23 박옥교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KR100789216B1 (ko) * 2006-09-08 2008-01-02 디엠이엔씨(주) 네일건을 사용하여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및 이를이용한 배수판시공방법
KR200452464Y1 (ko) * 2008-12-16 2011-02-25 유인섭 벽체 배수판
KR20150059569A (ko) * 2013-11-22 2015-06-01 (주)영진배수판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560Y1 (ko) 2006-09-07 2006-11-23 박옥교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KR100789216B1 (ko) * 2006-09-08 2008-01-02 디엠이엔씨(주) 네일건을 사용하여 시공되는 배수판결합구조 및 이를이용한 배수판시공방법
KR200452464Y1 (ko) * 2008-12-16 2011-02-25 유인섭 벽체 배수판
KR20150059569A (ko) * 2013-11-22 2015-06-01 (주)영진배수판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9927A (en) Concrete post usable with a sound barrier fence
KR100744693B1 (ko) 콘크리트 스틸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말뚝기초 푸팅시공방법
US20160312459A1 (en) Thermal insulation element
KR100909277B1 (ko) 강관이 구비된 교각 기초 및 이를 이용한 교각의 조립 구조
KR102168235B1 (ko) 지주 고정용 기초 조립체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110720B1 (ko) Frp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보강구조
KR20100009802A (ko) Pc옹벽패널을 이용한 완전 pc 조립 저류조
KR100804783B1 (ko) 조립식 맨홀
KR102507587B1 (ko) 기초바닥 방수구조
KR102469528B1 (ko) 기초 바닥 시공 구조
KR102459531B1 (ko) 기초바닥 시공방법
KR20190002743U (ko) 콘크리트 복합맨홀
JP4904578B2 (ja) 構造物定着方法、橋脚基礎施工方法および杭定着構造物
KR100880022B1 (ko) 조립식 pc 펌프장 맨홀
KR102082728B1 (ko) 강재 거더의 연속지점부의 부모멘트부 보강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924967B2 (ja) 塔状構造体
CN108643681B (zh) 钢结构管件与预制基座的抗震连接结构
KR101785627B1 (ko) Pc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200239887Y1 (ko) 교각의 내진 보강구조
KR20120042413A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통신용 철탑 기초구조
KR102432522B1 (ko) 기초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H10266239A (ja) 合成樹脂製マンホールの施工方法及び合成樹脂製マンホール
JP2006348480A (ja) 建築物及び建築物形成方法
KR100634698B1 (ko) 매립거푸집을 이용한 중공식 교각 시공방법
KR100350721B1 (ko) 강화플라스틱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