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569A -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 Google Patents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59569A KR20150059569A KR1020130143334A KR20130143334A KR20150059569A KR 20150059569 A KR20150059569 A KR 20150059569A KR 1020130143334 A KR1020130143334 A KR 1020130143334A KR 20130143334 A KR20130143334 A KR 20130143334A KR 20150059569 A KR20150059569 A KR 201500595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support
- contact
- liquid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a number of elements which are identical or not, e.g. carried by a common web, support plate or gr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에 발생한 결로 방지 또는 발생한 결로수 또는 침투수를 유도처리하면서 벽면의 미려한 마감을 위한 벽면 부착용 벽체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 고정을 위한 타정 충격으로 인한 지지부의 크랙 발생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접착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충전실 벽을 없애고, 대신 벽면과 밀착되는 지지부 일면에 복수의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요철이 있는 벽면과의 대면시 벽면과 접촉부를 최대한 확보토록 함으로써 타정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부가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접촉돌기에 의해 확보된 접촉면적에 의해 점성을 가진 보강액의 흘러내림을 억제하여 보강액의 보강기능을 향상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은, 접착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충전실 벽을 없애고, 대신 벽면과 밀착되는 지지부 일면에 복수의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요철이 있는 벽면과의 대면시 벽면과 접촉부를 최대한 확보토록 함으로써 타정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부가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접촉돌기에 의해 확보된 접촉면적에 의해 점성을 가진 보강액의 흘러내림을 억제하여 보강액의 보강기능을 향상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면에 발생한 결로 방지 또는 발생한 결로수 또는 침투수를 유도처리하면서 벽면의 미려한 마감을 위한 벽면 부착용 벽체용 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 고정을 위한 타정 충격으로 인한 지지부의 크랙 발생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은 실내의 공기와 벽면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외벽부가 흙으로 채워진 지하 벽면은 실내공기와 온도차가 많이 발생하므로 결로가 심하다. 또한, 방수 설계에 의한 시공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그 시공에 오류가 발생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지하수가 침투하는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로수나 하자에 의한 침투수가 발생하면 벽면을 타고 흘러내려 벽면을 오염시키고, 마감 도장을 손상시키며, 결국 많은 유지보수비용이 소요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벽면 내측에 블럭을 쌓아 이중벽을 형성함으로써 발생한 결로수나 침투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적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공기가 느리고 시공비가 비싸며 습식공정이어서 겨울철과 같은 계절에는 시공에 제약을 받는 등 많은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플라스틱을 벽면에 부착하여 벽면과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결로를 방지하고, 또 발생한 결로수 또는 침투수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하부로 유도처리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벽체 배수판이 많이 사용된다.
즉, 벽체 배수판의 베이스를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벽면에 접면된 지지부에 타정 공구로 못(이하 타카 핀으로 통칭한다)을 타정하여 부착한 후 그 외부에 작은 패널들을 조립하여 마감하여 패널과 벽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결로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또 결로에 의해 결로수가 발생하거나 하자에 의한 침투수가 발생할 때에는 벽면과 패널과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패널의 조립시 패널 색상의 배열 조합을 통해 모자이크식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음과 더불어 내약품성 및 내부식성을 가진 플라스틱의 장점에 의해 유지보수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그 장점과는 달리 벽체 배수판의 부착을 반드시 타정 공구를 이용하여 타카 핀으로 벽면에 고정하는 구조이에서, 벽면에 타카 핀이 박힐 때 크고 작은 크랙이 발생하고 또 내벽 방수층을 파괴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벽체 배수판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타정에 의한 벽면 부착시 벽면과 벽체 배수판의 베이스 지지부 사이에 에폭시와 같은 방수 보강액을 충전하여 타정된 타카 핀에 의해 발생한 손상부를 보강하도록 하는 공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에폭시 충전 보강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그에 맞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 필요에 의해 에폭시 충전 보강공법에 맞는 벽체 배수판 지지부 구조가 개발되었고, 등록실용신안 제20-0452464호에는 그 내용이 게재되어 있다.
그 내용에 의하면,
벽체 배수판 베이스(1)의 지지부(10) 전면 중앙에 콘크리트 벽(W)에 부착시 타카 핀(P) 박음하는 못 구멍(11)이 형성되고 타카 핀(P) 박음시 발생하는 균열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방수 보강액(16)이 충전되는 주입구(12) 및 충전실(13)과, 충전된 접착액 이탈을 방지하는 충전실 벽(14)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조에 의해 베이스(1)의 지지부(10)를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못 구멍(11)에 타정 공구를 대고 타정하면, 타카 핀(P)이 못 구멍(11)을 통해 벽(W)면에 박혀 베이스(1)가 고정된다.
이때, 지지부(10)에 타정 공구로 타카 핀(P)을 타정하여 고정할 때 타카 핀(P)의 머리가 작아 지지부(10)의 못 구멍(11)을 과하게 관통하여 손상시키거나 또는 고정완료 후 외력이 가해지면 지지부(10)의 못 구멍(11)이 못 머리로부터 빠져 이탈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하자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 와셔(합성수지재)(15)를 대고 타정한다.
이어서 주입구(12)에 방수 보강액(16)을 충전하면 충전실벽(14)에 의해 형성된 충전실(13)에 방수 보강액(16)이 충전되어 타카핀(P)의 타정에 의해 발생한 크랙 손상부를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벽체 배수판은 타정 공구로 타정시 그 타정 충격에 의해 지지부(10)에 크랙이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 원인은 충전실 벽(14)에 의해 제공되어 보강액(16)을 담는 충전실(13)이 실제 방수 접착액(16)의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오히려 지지부 면이 벽면으로부터 들뜨는 상태를 조성한다. 즉, 충전실 벽(14)이 지지부(10)의 모든 면보다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벽면의 어느 요부가 충전실 벽(14)에 닿으면 그 외의 모든 부분이 들떠있는 상태가 된다. 더욱이 사출성형 금형으로부터 벽체 배수판의 베이스가 제조되면 수축 변형이 발생하여 벽면과 밀착되는 지지부(10)가 오목하게 함몰되게 되는데, 이는 지지부(10)의 벽면 밀착 상태를 더욱더 불량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타카 핀(P)을 타정하면 그 충격이 지지부(10)에 그대로 가해져 충전실 벽(14)에 의한 충전실(13) 부위를 기점으로 지지부(10) 전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벽체 배수판의 벽면 고정력을 약화시키며, 차후 벽체 배수판이 벽으로부터 이탈하는 하자 발생우려가 있으므로 이는 반드시 개선되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충전실(13)에 충전된 보강 접착액(16)의 이탈을 방지하는 충전실 벽(14)은 실제 현장에서는 보강 접착액(16)의 유출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벽체 배수판이 설치되는 건물의 벽면은 면이 매우 거칠고 요철이 심하여 지지부(10)를 강제로 벽면에 밀착시키더라도 벽면의 요부의 어느 일부가 가장 돌출되어 있는 충전실 벽(14)에 닿으므로 그 외의 다른 부위는 들떠 충전실(13)에 충전된 접착액(16)은 충전실(13) 외부로 흘러내려 유출될 수밖에 없다. 이는 크랙 보강효과를 약화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벽체 배수판의 베이스 지지부를 벽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타정 공구로 타카 핀을 타정하여 고정하는 공정에서 그 타정 충격에 의해 지지부가 손상되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벽체 배수판의 벽면 고정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카 핀의 타정에 의해 발생하는 벽면 크랙 손상부를 보강하기 위해 주입되는 보강 접착액이 최대한 유출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크랙손상부 보강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착액의 유출을 방지하는 충전실 벽을 없애고, 대신 벽면과 밀착되는 지지부 일면에 복수의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요철이 있는 벽면과의 대면시 벽면과 접촉부를 최대한 확보토록 함으로써 타정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부가 파손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복수의 접촉돌기에 의해 확보된 접촉면적에 의해 점성을 가진 보강액의 흘러내림을 억제하여 보강액의 보강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벽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에 복수의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벽면과 대면시 벽면에 형성된 요철과 맞닿는 부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고, 벽면 고정을 위한 타카 핀 타정시 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지지부의 파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지지부에 형성된 복수의 접촉돌기가 보강액과의 접촉면적을 넓힘으로써 점성을 가진 보강액의 흘러내림을 최대한 억제하여 지지부와 벽면 사이에 보강액이 최대한 머물러있게 함으로써 원하는 크랙 보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 배수판 베이스 지지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 베이스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3b, 3c, 3d는 본 발명의 타정 타킷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돌기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돌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 베이스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3b, 3c, 3d는 본 발명의 타정 타킷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돌기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돌기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 베이스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a, 3b, 3c, 3d는 본 발명의 타정 타킷부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4a, 4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배수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W)과 대면되는 지지부(21) 일면에는 복수의 접촉돌기(24)들을 구비한다. 복수의 접촉돌기(24)는 대면되는 벽면(W) 상태가 평활하면 그 접촉부가 많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벽면(W)과의 이격 공간이 그만큼 작아지게 된다. 또 벽면(W) 상태가 요철이 많아 평활도가 불량인 상태라 하더라도 그 어느 접촉돌기(24)가 벽면(W)의 요철부와 접촉하게 되므로 타정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버틸 수 있는 지지력을 가질 수가 있고 나아가 크랙의 발생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들떠있는 공간부의 범위를 최대한 좁힐 수가 있어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촉돌기(24)는 많으면 많을수록 보강액(25)의 흘러내림을 억제하는 기능을 향상시킨다. 즉, 접촉돌기(24)가 많으면 접촉돌기(24) 자체가 장애물이 되어 보강액(25)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점성이 높은 보강액(25)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게 된다. 결국, 접촉돌기(24)들이 보강액(25)을 많이 머금고 있어 타카 핀(P)에 의해 발생한 크랙 손상부의 보강효과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21)의 중앙부에는 타정 타킷부(23)를 구성한다.
상기 타정 타킷부(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정공 자리를 인식할 수 있는 표시부(A)를 구성한다. 또는 도 3a와 같이 관통홀(H)을 형성하거나 도 3b와 같이 타카 핀(P)이 박히는 자리에 테(B)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 3c와 같이 타카 핀(P)과 함께 사용되는 고무 와셔(15)가 삽입되는 테(C)를 형성하거나 도 3d와 같이 고무 와셔(15)의 중앙부에 오목한 부위에 대응삽입되는 돌출부(D) 등의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타카 핀(P)이 타정되는 부위에 타정 타킷부(23)를 형성하는 것은, 타카 핀(P)이 지지부(21)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접촉돌기(24)가 있는 곳을 관통하게 되면 접촉돌기(24)에 의해 타카핀(P)의 방향이 틀어져 박힘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접촉돌기(24)가 없는 곳에 타정 타킷을 형성하면 타카 핀(P)이 접촉돌기(24)를 회피여 박을 수 있으므로 타카핀(P)의 박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정 타킷부(23)의 둘레에 보강액(25)의 주입을 허용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입구(22)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구(22)가 없어도 지지부 둘레에 형성된 살빼기 구멍을 통해 접촉돌기의 상부로부터 보강액(25)을 흘려 접촉돌기(24)에 주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돌기의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정 타킷부(23)에 가까운 접촉돌기(24)일수록 선단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지지부(21)의 면이 제조시 수축으로 인해 함몰될 경우 벽면으로부터 중앙부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촉돌기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돌기(24)의 모양을 '+'(도 6a) 또는 '×'(도 6b)로 하되 서로 교호되도록 배열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접촉돌기(24)의 모양을 하면 보강액(25)이 접촉되는 면적이 극대화되어 더욱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1 - 베이스 21 - 지지부
22 - 주입구 23 - 타정 타킷부
24 - 접촉돌기 25 - 보강액
22 - 주입구 23 - 타정 타킷부
24 - 접촉돌기 25 - 보강액
Claims (4)
- 벽면(W)과 밀착 대면되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21) 일면에 복수의 접촉돌기(2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1) 중앙부에 타정 타킷부(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 제 1 항에 있어서,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21) 둘레에 보강액(25)의 주입을 허용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주입구(2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24)는 '+' 또는 '×' 모양임을 특징으로 하는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3334A KR20150059569A (ko) | 2013-11-22 | 2013-11-22 |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3334A KR20150059569A (ko) | 2013-11-22 | 2013-11-22 |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59569A true KR20150059569A (ko) | 2015-06-01 |
Family
ID=5349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3334A KR20150059569A (ko) | 2013-11-22 | 2013-11-22 |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59569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9528B1 (ko) * | 2022-02-09 | 2022-11-28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 기초 바닥 시공 구조 |
KR102507587B1 (ko) * | 2022-02-09 | 2023-03-09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 기초바닥 방수구조 |
-
2013
- 2013-11-22 KR KR1020130143334A patent/KR2015005956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9528B1 (ko) * | 2022-02-09 | 2022-11-28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 기초 바닥 시공 구조 |
KR102507587B1 (ko) * | 2022-02-09 | 2023-03-09 |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 기초바닥 방수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00262104A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d building panel | |
WO2011150167A3 (en) | Method of repairing concrete floors and system for same | |
GB2444241A (en) | Polystyrene element with improved mechanical resistance, method for producing it and use thereof | |
CN209145149U (zh) | 一种新型预制钢筋混凝土柱 | |
KR20150059569A (ko) | 들뜸 충격 파손 및 보강액 유출방지 구조를 갖는 벽체 배수판 베이스의 지지부 | |
CN110863631A (zh) | 一种拼接地砖 | |
CN211058029U (zh) | 一种适用于卫生间部位的预制外墙防水构造 | |
JP6071667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補強工法 | |
CN107476537A (zh) | 地板排水构件 | |
KR200452464Y1 (ko) | 벽체 배수판 | |
KR20170017450A (ko) | 외벽 단열 마감재 | |
KR200447273Y1 (ko) | 유로폼 거푸집용 줄눈 성형장치 | |
KR101117482B1 (ko) |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 |
KR101609940B1 (ko) | 벽돌의 횡방향 연결 방법과 벽돌의 횡방향 연결용 인서트 | |
CN206128520U (zh) | 一种倒角式保温板拼接安装连接构件 | |
CN110284819A (zh) | 一种用于外墙窗口的成品滴水槽及其施工方法 | |
JP2017214729A (ja) | 型枠パネル構造体 | |
CN109765354B (zh) | 一种池体裂缝修复试验池 | |
KR200394986Y1 (ko) |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의 연결구조 | |
JP3840613B2 (ja) | タイルの落下防止方法。 | |
CN205012526U (zh) | 一种用于玻璃幕墙的连接装置 | |
JP5209853B2 (ja) | 長尺床シートと下地との接着による床構造体 | |
JP3137983U (ja) | コンクリート壁の補修構造 | |
KR101345595B1 (ko) | 조적벽체 지지용 브래킷 및 그것을 사용한 조적벽체 시공 구조 | |
CN213508990U (zh) | 一种岩棉保温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