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51B1 -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551B1
KR102507551B1 KR1020220156295A KR20220156295A KR102507551B1 KR 102507551 B1 KR102507551 B1 KR 102507551B1 KR 1020220156295 A KR1020220156295 A KR 1020220156295A KR 20220156295 A KR20220156295 A KR 20220156295A KR 102507551 B1 KR102507551 B1 KR 102507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energy
data
information
energy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6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수
박진기
유성국
이윤곤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주택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주택정보 filed Critical (주) 한국주택정보
Priority to KR1020220156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은 제1 로컬 서버로부터 제1 가구와 연관된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로컬 서버로부터 제1 가구와 연관된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1 가구와 연관된 거주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소비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및 소비 객체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 각각의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분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거주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제1 가구가 포함된 건물의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하여 건물과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METHOD FOR OPTIMAL MANAGING ENERGY IN BUILDINGS WITH ENERGY DISAGGREGATION ANALYSIS}
본 개시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소규모 건물에 대한 에너지 데이터 수집 플랫폼 구축 및 탄소 배출량 분석 모델 개발(과제번호: S3308343, 연구기간: 2022.07.01. ~ 2023.06.30.)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한국 정부의 재산 이익은 없다.
기후 변화에 따른 탄소중립 이슈가 전 세계적으로 대두됨에 따라 우리나라도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건물 부문은 국내 탄소 배출량의 약 1/4을 차지하는 부문으로, 이를 위해 국내 공공 건물 또는 신축 건물들을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 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약 1,000만동으로 우리나라 전체 건물 동수의 75%, 전체 건물 에너지 소비량의 45% 이상을 차지하는 소규모 민간 건물에 대한 서비스 개발은 여전이 미흡하다. 현 상황에서 노후 주택 수의 지속적 증가라는 문제까지 더해진다면, 정부가 탄소 제로 목표 달성을 위한 골든 타임을 놓칠 가능성은 더욱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본 개시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이용하여 거주자 및 관리자 각각의 관리 특성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은 제1 로컬 서버로부터 제1 가구와 연관된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로컬 서버로부터 제1 가구와 연관된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1 가구와 연관된 거주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소비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및 소비 객체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 각각의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분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거주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제1 가구가 포함된 건물의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하여 건물과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제1 가구가 포함된 건물의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하여 건물과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제3 로컬 서버로부터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및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가 획득된 시기의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생성된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환경 데이터를 기초로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은 환경 데이터가 제3 로컬 서버에 의해 건물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된 다른 건물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 제1 건축물 정보 및 다른 건물의 제2 건축물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 및 다른 건물의 제2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는 건물의 냉난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비 객체를 포함하고,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제1 가구가 포함된 건물의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하여 건물과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에너지 분해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비 객체의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제2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제2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제1 가구가 포함된 건물의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하여 건물과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은 제1 건축물 정보가 관리자 단말의 접근에 의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재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및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는 각각 전기 사용량, 가스 사용량 또는 수도 사용량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는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와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은 소비 객체 데이터가 거주자 단말의 접근에 의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소비 객체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 분해 모델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가구 내 각 제품들의 실질적인 에너지 소비량이 제공되므로 거주자는 관리비에 영향을 미치는 가전 제품들의 에너지 소비 행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물 정보 및 건물 내 정비 상태를 반영하여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므로 관리자는 최적화된 방법으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유형 및 건물의 지리적 위치를 기초로 건물들을 그룹핑(grouping)하고, 해당 건물 그룹에 대한 하나의 에너지 효율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정확하게 산출된 에너지 효율을 기초로 통합적인 에너지 효율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의 에너지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환경적 요인들을 실시간으로 반영함으로써 에너지 관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프로세서의 기능적 구성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100)(이하, ‘시스템’이라 한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110), 건물(120)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관리자 단말(122), 건물(120)에 거주중인 사용자의 거주자 단말(124) 및 복수의 기관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100)은 하나의 건물(120)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관리비 지출 절감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100)은 하나의 건물(120)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여 관리자에게 에너지 소비 효율 상승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시스템(100)은 건물(120)의 에너지 소비량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종래 여러 기관들의 로컬 서버들(140 내지 160)로부터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확보한 데이터를 관리자 및 거주자가 건물(120)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유형의 데이터로 가공하여 관리자 단말(112) 및 거주자 단말(1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스템(100)의 기능을 위한 구성들(110 내지 160) 각각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복수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로부터 서로 다른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제1 로컬 서버(140)로부터 전기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제2 로컬 서버(150)로부터 수도 사용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제3 로컬 서버(160)로부터 가스 사용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정보 처리 시스템(110)이 3 개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와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상이한 수의 로컬 서버(들)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복수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 각각은 건물(120)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마련된 기관의 서버들을 지칭할 수 있다. 즉, 시스템(100)은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추가의 서버 및/또는 데이터 베이스를 마련할 필요 없이, 기존에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관들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건물(120)과 연관된 거주자 단말(124)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건물(120)과 연관된 거주자 단말(124)로부터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소비 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건물(120)과 연관된 거주자 단말(124)이란 건물(120)에 포함된 하나의 가구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란 거주자 단말(124)을 소유한 사용자가 거주하는 공간에 구비되어 전기, 수도 및/또는 가스를 에너지원으로 작동하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란 전기 난로, 에어컨, 샤워기, 가스레인지 등을 지칭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건물(120)에 포함된 가구 각각의 에너지 분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복수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 중 적어도 일부로부터 획득된 에너지 소비 데이터와 해당 가구의 소비 객체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 분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분해 모델이란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 각각의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모델을 지칭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거주자 단말(124)로 건물(120)의 에너지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에너지 분해 모델로부터 출력된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거주자 단말(124)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분해 데이터란 해당 거주자의 가구에서 소비된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분해 데이터란 해당 거주자의 가구에서 소비된 에너지 소비량을 기초로 미래의 에너지 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한 지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분해 데이터는 해당 거주자가 거주하는 가구 내에서 사용량 절감이 요구되는 에너지 소비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에너지 분해 데이터는 해당 거주자가 거주하는 가구 내에서 관리비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에너지 소비 객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건물(120)의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120)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생성된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건물(120)과 연관된 관리자 단말(122)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건물(120)의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120)의 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와 연관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122)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건물(120)의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120)의 시설 정비 지침 정보를 관리자 단말(12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건축물 정보는 건물(120)의 대장구분, 주용도, 대지면적, 건축면적, 연면적, 용적률, 구조, 층수 동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국토 교통부 등과 같은 기관에 의해 관리되는 건축물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122)은 건물(120)을 소유한 자의 단말 및/또는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11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도 1의 관리자 단말(122) 및/또는 거주자 단말(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에 의해 제공되는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되어 등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를 이용하는 사용자(즉, 거주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은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통계 분석, 기계학습 모델 등과 연관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은 관리비 고지 서비스, 관리비 납부 서비스 등을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1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11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각각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복수의 스마트폰이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세 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1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1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입력 장치 등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프로세서 등에 의하여 가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네트워크(22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예를 들어, 동일한 건물에 거주하는 다른 거주자의 단말, 동일한 유형의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 등)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1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거주자 단말 및/또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은 에너지 관리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의 관리자 단말(122) 및/또는 거주자 단말(1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1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에너지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316, 336)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11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11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예를 들어, 현재 위치 정보 요청 등)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현재 위치 정보)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2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수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 장치(320)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2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정보 처리 시스템(11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11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 또한 입출력 장치(340)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수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40)에서 획득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해 마련된 수단일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 장치(320)는 건물(예: 건물(120))의 내/외부에 구비된 온도 센서 및/또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마이크 모듈,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2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 각각에서 에너지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 334)는 각각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와 연결된 입출력 장치(320, 340)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수치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수치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12, 33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3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서로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 에너지 소비 객체와 연관된 정보의 입력, 관리비 납부 요청에 대한 응답 입력 등) 및 해당 사용자 입력에 따른 로그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334)는 네트워크(220)와 연결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에너지 관리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 및/또는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예: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동작을 위한 프로세서(334)의 기능적 구성들(410 내지 44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334)는 호출 모듈(410), 모델링 모듈(420), 분석 모듈(430) 및 업데이트 모듈(4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구성들(410 내지 440)의 동작에 이용되는 데이터는 메모리(예: 메모리(312), 메모리(332) 등)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호출 모듈(410)은 에너지 관리 서비스에 필요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모듈(410)은 에너지 관리 서비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하여 로컬 서버(예: 로컬 서버(140, 150, 16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호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호출 모듈(410)은 모델링 모듈(420) 또는 분석 모듈(430)의 동작에 필요한 인공지능 모델링 프로그램, 에너지 효율 분석 프로그램 등을 호출할 수 있다.
모델링 모듈(420)은 프로세서(334)와 연결된 메모리로부터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델링 모듈(420)은 서로 다른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 각각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는 에너지 분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델링 모듈(420)은 건물(예: 건물(120))에 포함된 복수의 가구 각각의 에너지 분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분석 모듈(430)은 모델링 모듈(420)에 의해 출력된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석 모듈(430)은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건물의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분석 모듈(430)은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기초로 건물을 관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효율 데이터에 따라 건물의 난방 효율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분석 모듈(430)은 사전에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건물 관리 지침 중 난방 효율 개선과 관련된 건물 관리 지침을 추출할 수 있다.
분석 모듈(430)은 에너지 소비 데이터가 획득된 시기의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환경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환경 데이터는 날씨와 연관된 기관(예: 기상청)의 로컬 서버로부터 획득된 기상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환경 데이터는 건물에 배치된 센서(예: 입출력 장치(340))에 의해 획득된 온도 정보 및/또는 습도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분석 모듈(430)은 환경 데이터를 기초로 상술한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효율 데이터에 따라 건물의 난방 효율이 기준치 미만이고, 환경 데이터에 따라 건물 외기의 온도가 미리 결정된 기준치(또는, 평균치) 미만인 경우, 분석 모듈(430)은 건물의 난방 효율을 더 높은 수치로 보정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시기에 건물 외기 온도가 평균보다 낮은 경우, 난방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이 동일하더라도 건물의 정비 상태와 무관하게 난방 효율은 낮게 산출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반한다. 다른 예를 들어, 에너지 효율 데이터에 따라 건물의 냉방 효율이 기준치 이상이고, 환경 데이터에 따라 건물 외기의 온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분석 모듈(430)은 건물의 냉방 효율을 더 낮은 수치로 보정할 수 있다. 이는, 특정 시기에 건물 외기 온도가 평균보다 낮은 경우, 냉방을 위한 에너지 소비량이 동일하더라도 건물의 정비 상태와 무관하게 냉방 효율은 높게 산출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반한다.
한편, 모델링 모듈(420)은 분석 모듈(430)을 통해 획득된 여러 건물의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역에 그룹핑된 다가구 주택인 제1 건물, 다가구 주택인 제2 건물 및 상가 건물인 제3 건물 각각의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델링 모듈(420)은 제1 건물 내지 제3 건물의 건축물 정보를 각각 비교하고, 비교 결과 동일한 유형(여기서, 다가구 주택)의 제1 건물 및 제2 건물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건물 및 제2 건물의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가구 주택을 위한 에너지 효율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효율 모델이란 특정 건물 유형(예를 들어, 다가구 주택, 아파트 또는 상가 건물 등)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모델을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델링 모듈(420)은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여 외부 환경이 유사하고 동일한 유형으로 건물 내부 환경 또한 유사한 건물들의 단일한 에너지 효율 모델을 생성하여, 특정 지역 내 에너지 효율 모델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업데이트 모듈(440)은 건물의 건축물 정보가 관리자 단말의 접근에 의해 업데이트 된 경우, 업데이트된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재생성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업데이트 모듈(440)은 소비 객체 데이터가 거주자 단말의 접근에 의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소비 객체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 분해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프로세서(334)는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건축물의 정비 상태를 에너지 효율 데이터 및/또는 에너지 분해 모델에 반영하여 최적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500)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법(5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33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방법(500)은 제1 로컬 서버로부터 제1 가구와 연관된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510) 및/또는 제2 로컬 서버로부터 제1 가구와 연관된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520)로 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및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는 각각 전기 사용량, 가스 사용량 또는 수도 사용량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고,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는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가구와 연관된 거주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소비 객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530).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및 소비 객체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 각각의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에너지 분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540).
프로세서는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거주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550).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제1 가구가 포함된 건물의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하여 건물과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S560).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3 로컬 서버로부터 제1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 및 제2 유형의 에너지 소비 데이터가 획득된 시기의 날씨 정보를 나타내는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생성된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환경 데이터를 기초로 보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데이터가 제3 로컬 서버에 의해 건물과 동일한 그룹으로 그룹핑된 다른 건물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제1 건축물 정보 및 다른 건물의 제2 건축물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 및 다른 건물의 제2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효율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에너지 소비 객체는 건물의 냉난방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비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에너지 분해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에너지 소비 객체의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제2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추출하고, 제2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제1 가구가 포함된 건물의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하여 건물과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제1 건축물 정보가 관리자 단말의 접근에 의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재생성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소비 객체 데이터가 거주자 단말의 접근에 의해 업데이트된 경우, 업데이트된 소비 객체 데이터를 기초로 에너지 분해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앞선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개시를 행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예들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
비록 예시적인 구현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의 맥락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을 언급할 수도 있으나, 본 주제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디바이스들에서 또는 그들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에너지 관리 시스템
110: 정보 처리 시스템
120: 건물
122: 관리자 단말
124: 거주자 단말
140 내지 160: 복수의 로컬 서버

Claims (8)

  1. 제1 로컬 서버로부터 제1 가구와 연관된 전기 에너지 소비량을 나타내는 제1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가구와 연관된 수도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2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3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가구와 연관된 가스 사용량을 나타내는 제3 에너지 소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가구와 연관된 거주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가구에 구비되어 전기, 수도 또는 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작동하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소비 객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너지 소비 데이터, 상기 제2 에너지 소비 데이터 및 상기 소비 객체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1 가구 내에서 관리비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하나의 에너지 소비 객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1 알고리즘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분해 데이터를 상기 거주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분해 데이터 및 상기 제1 가구가 포함된 제1 건물의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기상청의 제4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제1 에너지 소비 데이터 및 상기 제2 에너지 소비 데이터가 획득된 시기의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환경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건물의 난방 효율이 제1 기준치 미만이고 상기 환경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건물의 외기의 온도가 제2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건물의 상기 난방 효율의 수치가 더 높아지도록 상기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보정하고, 또는, 상기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건물의 냉방 효율이 제3 기준치 이상이고 상기 환경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건물의 외기의 온도가 제4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건물의 상기 냉방 효율의 수치가 더 낮아지도록 상기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기초로 메모리로부터 상기 건물의 관리 지침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 및 상기 관리 지침 정보를 상기 건물과 연관된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날씨 정보가 포함된 상기 환경 데이터가 상기 기상청의 상기 제4 로컬 서버에 의해 상기 제1 건물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된 다른 건물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제1 건축물 정보 및 상기 다른 건물의 제2 건축물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건축물 정보 및 상기 제2 건축물 정보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 건물 및 상기 제2 건축물 정보와 연관된 제2 건물이 동일한 유형의 건축물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1 에너지 효율 데이터 및 상기 제2 건물의 제2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지역 내 상기 유형의 건물들의 단일한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제2 알고리즘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축물 정보가 상기 관리자 단말의 접근에 의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제1 건축물 정보를 기초로 상기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에너지 효율 데이터를 재생성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객체 데이터가 상기 거주자 단말의 접근에 의해 업데이트된 경우, 상기 업데이트된 소비 객체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알고리즘 모델을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8. 제1, 5 및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156295A 2022-11-21 2022-11-21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KR102507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295A KR102507551B1 (ko) 2022-11-21 2022-11-21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6295A KR102507551B1 (ko) 2022-11-21 2022-11-21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551B1 true KR102507551B1 (ko) 2023-03-08

Family

ID=8550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6295A KR102507551B1 (ko) 2022-11-21 2022-11-21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5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116B1 (ko) * 2009-05-29 2011-06-3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142010A (ko) * 2012-06-18 2013-12-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 주택의 에너지 소비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50128163A (ko) * 2014-05-08 2015-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건물 에너지 소비정보 분석 시스템
KR20160017858A (ko) * 2014-08-06 2016-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건물 에너지 관리를 위한 다엔진 기반 실시간 커미셔닝 장치 및 방법
KR20180108275A (ko) * 2017-03-24 2018-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소비 패턴에 이용한 건물의 에너지 소모량 예측 방법
KR20220122361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케이티 유사 건물 그룹의 에너지 데이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량 예측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116B1 (ko) * 2009-05-29 2011-06-30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30142010A (ko) * 2012-06-18 2013-12-2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공동 주택의 에너지 소비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20150128163A (ko) * 2014-05-08 2015-11-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건물 에너지 소비정보 분석 시스템
KR20160017858A (ko) * 2014-08-06 2016-0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건물 에너지 관리를 위한 다엔진 기반 실시간 커미셔닝 장치 및 방법
KR20180108275A (ko) * 2017-03-24 2018-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너지 소비 패턴에 이용한 건물의 에너지 소모량 예측 방법
KR20220122361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케이티 유사 건물 그룹의 에너지 데이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량 예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Occupancy prediction through Markov based feedback recurrent neural network (M-FRNN) algorithm with WiFi probe technology
US202301694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switching prediction strategies optimizing time-variant energy consumption of built environment
JP6776316B2 (ja) 需要応答イベント中におけるhvacシステムの制御
Siano et al. Designing and testing decision support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for smart homes
US97336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ousehold energy management based on classifi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KR20180072468A (ko) 빅데이터기반 사용자의 지능형 냉방 및 난방 서비스 제공 방법
Suciu et al. Big data processing for renewable energy telemetry using a decentralized cloud M2M system
CN105333572A (zh) 一种基于大数据的智能空调控制系统及方法
CN110021096B (zh) 控制门禁的系统、服务器、方法及存储介质
JPWO2019008698A1 (ja) 運転制御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運転制御方法および運転制御プログラム
CN112162492A (zh) 家居设备的控制方法、装置、边缘计算网关及存储介质
CN105992954A (zh) 基于传感器的设施能量建模
KR102507551B1 (ko)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CN105404248A (zh) 基于物联网的家居设备运行监控系统
JP2015176172A (ja) 共有空間における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携帯情報端末を用いた制御方法
CN105487492A (zh) 基于云计算的家居设备运行数据分析系统
JP2018048774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20160097071A (ko)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 주거지 에너지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0909036A (zh) 功能模块的推荐方法及装置
US10552856B2 (en) Solar customer acquisition and solar lead qualification
US10908573B2 (en) Engagement and integration platform for renewable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8520062B (zh) 用电信息分享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1111178A (ja) 端末装置、機器管理システム、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626453A (zh) 一种正反馈能源站群控系统、方法、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607328B1 (ko)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