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116B1 -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116B1
KR101045116B1 KR1020090047394A KR20090047394A KR101045116B1 KR 101045116 B1 KR101045116 B1 KR 101045116B1 KR 1020090047394 A KR1020090047394 A KR 1020090047394A KR 20090047394 A KR20090047394 A KR 20090047394A KR 101045116 B1 KR101045116 B1 KR 101045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cooling
heating
geotherma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786A (ko
Inventor
이주호
장창선
전용식
김경주
백성권
배경태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11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지열 냉/난방 시스템을 이용한 실내의 냉/난방 온도 등을 포함하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작동 상태 및 공동 주택의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사용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세대의 계량기; 상기 계량기에 각각 연결되어 계량기의 상태 및 검침된 사용량을 수신하는 각 세대의 중계기; 상기 각 세대의 중계기로부터 각 세대의 계량기의 상태 및 검침된 사용량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각 세대의 월 패드; 상기 월 패드에 연결되어 가스 누설을 검출하여 상기 월 패드에 전송하고, 경보를 울리며,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가스 연동기; 세대 내에 설치되어 감지된 실내 온도를 상기 월 패드에 전송하는 다수의 실내 온도 감지기; 각 세대의 월 패드에서 처리된 검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저장하는 통합 단지 관리 서버; 공용 주택 외부에 설치되어 외기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실외 온도 감지기; 및 상기 통합단지 관리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인터페이스되는 원격지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계량기, 중계기, 월 패드, 지열 난방, 지열 냉방

Description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Unified energy monitoring system for an apartment house using geothermal heating/cooling}
본 발명은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을 이용한 실내의 냉/난방 온도 등을 포함하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작동 상태 및 공동 주택의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사용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동안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에너지원으로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과 같은 화석연료와 핵연료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화석연료는 연소과정에서 각종 대기오염 물질이 발생하고, 핵연료는 수질 오염 및 방사능과 같은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매장량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어 지속적으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가 없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풍력, 태양열, 지열은 환경오염을 줄이고 에너지원이 무한하다는 장점을 갖지만, 형태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낮아 그 밀도를 높여 이용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것이 핵심 관건이다.
이러한 기술 중 하나로 지열을 열원으로 사용하여 냉/난방을 행하는 히트 펌프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히트펌프는 저온의 열을 흡수하여 고온의 열로 끌어올린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으로, 히트펌프를 가동하여 응축기에서 방출되는 고온의 열을 난방 및 급탕에 이용하고, 증발기에서 차가워진 냉열을 건물의 난방에 이용하므로, 냉방과 난방(급탕)을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장비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와 4방향 전환밸브(4-way valve)로 구성된다.
도1은 지열원을 사용하는 히트펌프의 난방 싸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난방시에,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슈퍼가스 형태가 되어 온수생성기에서 온수를 생성한 후 전환밸브를 통해 응축기로 전달되며, 응축기에 부착된 열교환기에서 실내공기 또는 난방교환수와 열 교환된다. 열 교환에 의해 열을 빼앗긴 냉매는 액체상태가 되어 증발기에 도달하고 증발기에 부착된 열교환기에서 지중으로부터 올라온 열에 의해 기화된 후 압축기로 보내져 다시 고온, 고압의 가스가 되는 싸이클을 반복한다.
도2는 지열원을 사용하는 히트펌프의 냉방 싸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냉방은 난방 싸이클과 반대로 작동하는데, 압축기에서 발생한 고온 고압의 슈퍼가스는 1차로 온수 생성기에 열을 빼앗긴 후, 전환밸브를 경유하여 응축기로 전달되는데, 이때 응축기에 부착된 열교환기에서 지중으로 올라온 지열에 2차적으로 열을 뺏긴 후 팽창밸브를 통과하며 저온(7℃ 이내), 저압으로 냉각된 후 증발기에서 더운 실내공기 또는 냉방순환수와 열을 교환하는데 이 냉열이 냉방에 이용된다. 증발기에서 실내공기 또는 냉방순환수에 열을 빼앗기고 다시 반 기체 상태로 변한 냉매는 압축기를 통해 고온 고압 가스로 압축되는 싸이클을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지열원을 이용한 히트 펌프 시스템의 장점은 모든 냉/난방 기술 중에서 열효율이 가장 높고, 열전도도가 낮은 지중에 냉방열 또는 난방열을 저장할 수 있으며, 냉/난방을 동시에 하는 경우 더욱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갖게 되어 에너지 자원의 부족 및 에너지 생산 비용이 높은 현 상황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지열원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을 사용하는 공동주택에서 지열원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각 가정 내부 또는 외부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함과 동시에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사용에 대해서도 모니터 링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냉/난방 및 전기, 가스, 수도, 온수 등의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난방,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사용량 및 작동 상태를 각 가정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검침원의 개별적인 세대 방문 없이 중앙관제실의 통합단지관리 서버에서 각 가정의 사용 에너지를 실시간 검침함으로써 각 가정의 사생활을 방해하지 않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가정의 에너지 사용 내역을 각 가정에 설치된 월 패드 또는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세대의 계량기; 상기 계량기에 각각 연결되어 계량기의 상태 및 검침된 사용량을 수신하는 각 세대의 중계기; 상기 각 세대의 중계기로부터 각 세대의 계량기의 상태 및 검침된 사용량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각 세대의 월 패드; 상기 월 패드에 연결되어 가스 누설을 검출하여 상기 월 패드에 전송하고, 경보를 울리며,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가스 연동기; 세대 내에 설치되어 감지된 실내 온도를 상기 월 패드에 전송하는 다수의 실내 온도 감지기; 각 세대의 월 패드에서 처리된 검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저장하는 통합 단지 관리 서버; 공용 주택 외부에 설치되어 외기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실외 온도 감지기; 및 상기 통합단지 관리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인터페이스되는 원격지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연동기는 가스 누설을 감지하는 다수의 가스 누설 검출기, 가스 누설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가스 누설 경보기 및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외부차단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실외온도 감지기는 공용 주택의 외부에 설치되며, 공용주택의 높이, 단지 배치에 따르는 실외온도의 편차에 따라 한개 내지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냉/난방, 전기, 가스, 수도, 온수 사용량 및 작동 상태를 각 가정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검침원의 개별적인 세대 방문 없이 중앙관제실의 통합단지관리 서버에서 각 가정의 사용 에너지를 실시간 검침함으로써 각 가정의 사생활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가정의 에너지 사용 내역 및 작동상태를 원격지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를 효율적 사용과 가스누설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월 패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계량기(11, 12, 13, 14, 15, 16), 각 계량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는 중계기(20), 상기 중계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월 패드(30), 상기 월 패드(30)에 연결되어 가스 누설을 검출하여 상기 월 패드에 전송하고, 경보를 울리며,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가스 연동기(40), 세대 내에 설치되어 감지된 실내온도를 상기 월 패드(30)에 전송하는 다수의 실내 온도 감지기(50), 각 세대의 월 패드로부터 처리된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관리하는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 공용 주택 외부에 설치되어 외기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에 전송하는 실외 온도 감지기(70) 및 상기 통합 단지 관 리 서버(6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인터페이스되는 원격지 단말기(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세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계량기는, 전기 계량기(11),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 압력을 검출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가스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가스 계량기(12), 수도 계량기(13), 온수 계량기(14),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냉방수의 유량,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냉방수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지열 냉방 계량기(15),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 온도를 검출하고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난방수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지열 난방 계량기(16)를 포함한다.
상기 가스 계량기(12)는 배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가스 압력센서(12a)와 각 가정에서 소비되는 가스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가스 유량센서(12b)와, 상기 월 패드(30)의 제어부(30a)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가스 차단밸브(12c)로 구성된다.
상기 지열 냉방 계량기(15)는 축열식 히트 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지열 난방 배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냉방 순환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냉방수 온도센서(15a)와 냉방 순환수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냉방수 유량센서(15b)와, 상기 월 패드(30)의 제어부(30a)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냉방수 차단밸브(15c)로 구성된다.
상기 지열 난방 계량기(16)는 축열식 히트 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지열 난방배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난방 순환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난방수 온도센서(16a)와 난방 순환수의 사용량을 측정하는 난방수 유량센서(16b)와, 상기 월 패드(30)의 제어부(30a)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난방수 차단밸브(16c)로 구성된다.
각 세대 내의 확인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월 패드(30)는 제어부(30a), 연산부(30b), 표시부(30c), 인터페이스부(30d) 및 키 입력부(30e)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스 연동기(40), 중계기(20) 및 다수의 실내온도 감지기(50)와 연결되며, 인터페이스부(30d)를 통해 상기 통합단지 관리 서버(60)와 연결된다.
상기 가스 연동기(40)는 다수의 가스 누설 검출기(40a), 가스 누설 경보기(40b) 및 외부 차단 밸브(40c)를 포함하고, 각 세대 내에 구성된다.
상기 실내온도 감지기(50)는 세대 내의 침실, 거실 및 주방에 다수 개 설치되어 실내 온도를 측정하여 월 패드(30)로 전송한다.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는 각 세대의 월 패드(30)에서 처리된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합 관리하는 서버로서, 공용 주택의 통합 관리실에 설치되며, 실외온도 감지기(70)로부터 외부 온도를 수신하고, 원격지 단말기(8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인터페이스한다. 또한,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 중앙 감시반에 연결되어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운전 상태를 감시하는데,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각각의 펌프의 운전 상태 및 이상 신호, 순환 난방수 및 순환 냉방수의 사용 유량 및 전력량, 각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파이프 라인 온도를 수신 및 처리하고, 저장한다.
상기 실외 온도 감지기(70)는 공용 주택의 외부 위치에 설치되며, 공용주택의 높이, 단지 배치 등에 따르는 실외 온도 편차에 따라 한 개 내지 다수 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페이스되는 상기 원격지 단말기(80)는 개인용 PC, 이동전화 또는 PDA일 수 있다. 상기 원격지 단말기(80)는 각 세대에 설치된 계량기의 상태 및 검침된 에너지 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 데이터를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로부터 수신하여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값을 다시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로 전송하여 각각의 계량기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합 단지 서버(60)는 에너지 관리 공단의 서버에 e-RTU를 통해 연결되어 각 공용 주택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시간 및 날씨 변화에 따르는 지열 부족에 대비해 보조 난방 기(보일러)가 추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열 난방과 동시에 급탕 공급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각 세대로 공급되는 지열 냉방 및 지열 난방은 덕트를 이용한 공기 순환식 냉/난방일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기 계량기(11), 가스 계량기(12), 수도 계량기(13), 온수 계량기(14), 지열 냉방 계량기(15) 및 지열 난방 계량기(16)는 각 계량기의 무선송신부를 통해 각 세대의 중계기(20)에 연결되며, 상기 중계기(20)는 상기 계량기들로부터 취득한 계량기의 상태, 검침된 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 데이터를 유선 RS485 방식 또는 무선방식으로 월 패드(30)에 전송한다.
상기 월 패드(30)는 각 수용가의 중계기(20)를 통해 제어부(30a)에서 수신한 전기, 수도, 온수, 가스, 지열 냉방 및 지열 난방의 검침된 사용량을 연산부(31b)에서 처리하여 각 수용가의 시간, 일간, 월간 사용량을 계산하여, 처리된 검침 데이터를 표시부(30c)에 나타내어 세대 내에 있는 사용자가 각 계량기까지 가지 않고도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에너지의 검침된 사용량 및 설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키 입력부(30e)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에너지 사용량 및 설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처리된 검침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30d)를 통해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외출 중일 경우 휴대전화, PDA 또는 개인용 PC를 통해 자신의 집의 계량기가 검침한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에너지의 검침 데이터가 각 세대의 평균 사용량 또는 각 세대의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 놓은 값에 비해 허용 오차 이상으로 크거나 작을 경우, 상기 월 패드(30)의 표시부(30c)에 표시되며, 또한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에도 이러한 사실을 전송하여, 각 세대 내에 머물지 않고 외출한 사용자가 휴대전화, PDA 또는 개인용 PC를 통해 자신의 집의 계량기 또는 관련 설비의 고장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며, 공용주택의 통합 관리소에서도 각 세대의 계량기 또는 관련 설비의 고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가스와 관련하여, 상기 중계기(20)를 통해 상기 제어부(30a)가 수신한 가스의 압력 및 유량이 기준값에 비해 허용오차 이상으로 크거나 작을 경우 차단 밸브(12c)에 밸브 차단 신호를 보낸다.
또한, 각 가정 내부에 외장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가스 누설 검출기(40a)가 허용치 이상의 일산화탄소 및 기타 유독 가스를 검출하여 월 패드(30)의 제어부에 이를 전달하면, 월 패드(30)의 제어부는 가스 연동기(40)의 가스 누설 경보기(40b)를 작동시키고, 외부 차단 밸브(40c)를 차단시켜 가스 공급을 중단시킨다.
지열 냉/난방과 관련하여, 상기 월 패드(30)의 표시부(30c)는 다수의 실내온도 감지기(50)를 통해 수신한 실내 온도와 통합단지 관리 서버(60)에 연결되어 있는 실외 온도 감지기(70)에서 측정된 실외 온도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각 세대 내에 머물 경우, 각 세대의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 온도를 상기 월 패드(30)에 직접 입력하면, 상기 월 패드(30)의 연산부(30b)는 상기 실내 온도 감지기(50)를 통해 측정한 실제 실내 온도와 사용자가 키 입력부(30e)를 통해 입력한 실내 온도를 비교한다. 실제 실내 온도가 원하는 실내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30a)는 상기 지열난방 계량기(16)의 차단밸브(16c)를 열어 지열 난방이 이뤄지도록 하며, 실제 실내 온도가 원하는 실내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30a)는 상기 지열냉방 계량기(15)의 차단밸브(15c)를 열어 지열 냉방이 이뤄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각 세대의 외부에 머물 경우, 원하는 실내 온도를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 또는 PC를 통해 직접 입력하면,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60)를 통해 상기 월 패드(30)로 전달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난방 또는 냉방이 이뤄지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대 내에 머물 경우에는 각 세대의 월 패드(30)를 통해 사용 에너지량을 확인하고, 세대 외부에 머물 경우에는 자신이 휴대한 휴대용 단말기 또는 개인용 PC를 통해 사용 에너지량을 확인하고, 이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기, 가스, 수도, 온수, 난방 및 냉방 에너지 사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설비의 이상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실에서도 각 세대를 방문하지 않고도 각 세대에서 사용량 에너지 량을 검침하고 각 세대의 설비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용주택 관리를 할 수 있게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항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지열원을 사용하는 히트펌프의 난방 싸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지열원을 사용하는 히트펌프의 냉방 싸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의 월 패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전기 계량기 12: 가스 계량기
12a : 가스압력센서 12b : 가스 유량센서
12c : 가스차단밸브 13 : 수도 계량기
14 : 온수 계량기 15 : 지열냉방 계량기
15a : 냉방수 온도센서 15b : 냉방수 유량센서
15c : 냉방수 차단밸브 16 : 지열난방 계량기
16a : 난방수 온도센서 16b : 난방수 유량센서
16c : 난방수 차단밸브 20 : 중계기
30 : 월 패드 30a : 제어부
30b : 연산부 30c : 표시부
30d : 인터페이스부 30e : 키 입력부
40 : 가스 연동기 40a : 가스누설 검출기
40b : 가스누설 경보기 40c : 외부차단밸브
50 : 실내온도 감지기 60 : 통합 단지 관리 서버
70 : 실외온도 감지기 80 : 원격지 단말기

Claims (15)

  1. 각 세대의 계량기;
    상기 계량기에 각각 연결되어 계량기의 상태 및 검침된 사용량을 수신하는 각 세대의 중계기;
    상기 각 세대의 중계기로부터 각 세대의 계량기의 상태 및 검침된 사용량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표시하고 저장하는 각 세대의 월 패드;
    상기 월 패드에 연결되어 가스 누설을 검출하여 상기 월 패드에 전송하고, 경보를 울리며,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가스 연동기;
    세대 내에 설치되어 감지된 실내 온도를 상기 월 패드에 전송하는 다수의 실내 온도 감지기;
    각 세대의 월 패드에서 처리된 검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저장하는 통합 단지 관리 서버;
    공용 주택 외부에 설치되어 외기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실외 온도 감지기; 및
    상기 통합단지 관리 서버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인터페이스되는 원격지 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연동기는 가스 누설을 감지하는 다수의 가스 누설 검출기, 가스 누설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는 가스 누설 경보기 및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외부차단 밸브로 구성되며, 상기 실외온도 감지기는 공용 주택의 외부에 설치되며, 공용주택의 높이, 단지 배치에 따르는 실외온도의 편차에 따라 한개 내지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는 전기 계량기, 가스 계량기, 수도 계량기, 온수 계량기, 지열 냉방 계량기 및 지열 난방 계량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계량기는,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가스 압력 센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유량을 측정하는 가스 유량 센서; 및
    상기 월 패드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가스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열 냉방 계량기는,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냉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냉방수 온도센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냉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냉방수 유량센서; 및
    상기 월 패드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냉방수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열 난방 계량기는,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난방수 온도센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난방수 유량센서; 및
    상기 월 패드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난방수 차단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는,
    키 입력부, 제어부, 연산부, 표시부 및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가스 연동기, 중계기, 다수의 실내온도 감지기 및 통합 단지 관리 서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의 표시부는 다수의 실내온도 감지기를 통해 수신한 실내 온도와 통합단지 관리 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실외 온도 감지기에서 측정된 실외 온도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월 패드의 연산부는 상기 실내 온도 감지기를 통해 측정한 실제 실내 온도와 사용자가 입력한 실내 온도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실제 실내 온도가 원하는 실내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지열난방 계량기의 난방수 차단밸브를 열고, 실제 실내 온도가 원하는 실내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지열냉방 계량기의 냉방수 차단밸브를 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는,
    지열 냉/난방 시스템 중앙 감시반에 연결되어,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각각의 펌프의 운전 상태 및 이상 신호, 순환 난방수 및 순환 냉방수의 사용 유량 및 전력량, 각 지열 냉/난방 시스템의 파이프 라인 온도를 수신 및 처리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는,
    에너지 관리 공단의 서버에 e-RTU를 통해 연결되어 각 공용 주택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지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의 개인용 PC, 휴대용 전화기, PDA 중 하나이고, 각 세대의 계량기 상태 및 검침된 사용량을 포함하는 검침 데이터를 상기 통합 단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검침 데이터를 유선 RS485 방식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월 패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90047394A 2009-05-29 2009-05-29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45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94A KR101045116B1 (ko) 2009-05-29 2009-05-29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94A KR101045116B1 (ko) 2009-05-29 2009-05-29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786A KR20100128786A (ko) 2010-12-08
KR101045116B1 true KR101045116B1 (ko) 2011-06-30

Family

ID=4350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394A KR101045116B1 (ko) 2009-05-29 2009-05-29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1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48B1 (ko) * 2012-04-18 2013-08-12 (주)참슬테크 미입주 공동주택 단지 내 미입주 세대의 에너지 사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과 그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507551B1 (ko) * 2022-11-21 2023-03-08 (주) 한국주택정보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384B1 (ko) * 2013-12-09 2014-10-22 김영기 에너지 관리 시스템
CN104683340B (zh) * 2015-02-27 2017-12-15 江苏韬略电子科技有限公司 一体化用电管理软件平台系统及其管理方法
WO2018105784A1 (ko) * 2016-12-08 2018-06-14 (주)온테스트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2618117B1 (ko) * 2022-10-27 2023-12-27 유한책임회사 세익 스마트 에너지 절감형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327A (ko) * 1997-06-19 1999-01-15 배순훈 온수유량에 따른 온수온도제어방법
KR20030031947A (ko) * 2003-04-01 2003-04-23 정수환 가스 누설경보 차단방법 및 장치
KR100701298B1 (ko) * 2006-07-07 2007-03-29 주식회사 실버크리너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원격 검침 및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98347B1 (ko) * 2006-11-03 2008-01-28 유한회사 지오선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주택의 복합형 냉난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327A (ko) * 1997-06-19 1999-01-15 배순훈 온수유량에 따른 온수온도제어방법
KR20030031947A (ko) * 2003-04-01 2003-04-23 정수환 가스 누설경보 차단방법 및 장치
KR100701298B1 (ko) * 2006-07-07 2007-03-29 주식회사 실버크리너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원격 검침 및차단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98347B1 (ko) * 2006-11-03 2008-01-28 유한회사 지오선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주택의 복합형 냉난방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148B1 (ko) * 2012-04-18 2013-08-12 (주)참슬테크 미입주 공동주택 단지 내 미입주 세대의 에너지 사용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 방법과 그에 따른 원격 모니터링 장치
KR102507551B1 (ko) * 2022-11-21 2023-03-08 (주) 한국주택정보 에너지 분해 분석을 통한 건축물 에너지 최적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786A (ko)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116B1 (ko) 지열 냉난방 공동 주택의 에너지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Safa et al. Heating and cooling performance characterisation of 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 by testing and TRNSYS simulation
Reiners et al. Heat pump efficiency in fifth generation ultra-low temperature district heating networks using a wastewater heat source
Rosato et al. Energy, environmental and economic dyna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different micro-cogeneration systems in a residential application
KR20100128780A (ko) 지열 냉/난방 온도 조절 시스템
US11656145B2 (en) Consumable gas leak detection
Entchev et al. Simulation of hybrid renewable microgeneration systems in load sharing applications
KR20130130513A (ko) 지능형 건물 에너지 소비 관리 시스템
Qian et al. Evaluation of thermal imbalance of ground source heat pump systems in residential buildings in China
Husi et al. Building Mechatronics Research Centre as energy aware Intelligent Space
KR101545104B1 (ko) 축열기능을 겸비한 냉난방 히트펌프 시스템
Liu et al. A smart and transparent district heating mode based o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Deng et al. Research on systematic analysis and optimization method for chillers based on model predictive control: A case study
KR20100128876A (ko) 건물의 친환경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0740257B1 (ko) 지열원식 냉난방 히트펌프 시스템의 상태 감시 및 열성능평가 방법
Baldwin Design and construction of an experimental apparatu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a solar absorption chiller with integrated thermal storage
Li et al. Method of checking and certifying carbon trading volume of existing buildings retrofits in China
Tarsitano et al. Air-conditioning in residential buildings through absorption systems powered by solar collectors
Seker et al. Comparative economic analysis of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groundwater source heat pump in general-purpose buildings: A case study for kayseri
Bloom et al. Fully instrumented life-cycle analyses for a residential geo-exchange system
CN109506293A (zh) 一种新型集中供热节能系统
GB2534941A (en) Service supply systems
Dávila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modeling and in-situ monitoring of a gas-driven absorption heat pump in Belgium
KR101884097B1 (ko)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시스템
Baig et al. Natural gas engine driven heat pump system–a case study of an office bui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