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521B1 - 식품 용 용기 및 대응하는 블랭크 - Google Patents

식품 용 용기 및 대응하는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521B1
KR102507521B1 KR1020207016659A KR20207016659A KR102507521B1 KR 102507521 B1 KR102507521 B1 KR 102507521B1 KR 1020207016659 A KR1020207016659 A KR 1020207016659A KR 20207016659 A KR20207016659 A KR 20207016659A KR 102507521 B1 KR102507521 B1 KR 102507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s
side wall
wall
blank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893A (ko
Inventor
지안프란코 디'아마토
Original Assignee
세다 인터내셔널 패키징 그룹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다 인터내셔널 패키징 그룹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세다 인터내셔널 패키징 그룹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20008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01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a non rectangular shape
    • B65D5/2033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the central panel having a non rectangular shape polygonal having more than four sides, e.g. hexagonal, octog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29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 B65D5/6632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formed by two mating halves joined to opposite edges of the container body the lid-halves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ir side edg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7Lids in the form of an inverted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및 상부를 갖는 용기 및 상기 용기를 위해 대응하는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부 및 상부는 각각 6개 또는 8개의 측벽 및 측벽에 연결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하단 벽 또는 상단 벽을 갖는다. 수평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는 단부면에서 하부의 연결 측벽과 상부의 연결 측벽과 측벽 단부의 자유 단부 사이에 피봇하는 연결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를 닫을 때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용기를 열 때 식품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개선된 접근성에 더하여, 식품은 전방 측벽을 향하는 측면에서 크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식품 용 용기 및 대응하는 블랭크
본 발명은 햄버거 등과 같은 식품 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는 하부 및 상부를 포함한다. 부품은 상이한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라 육각형 또는 팔각형 단면이 바람직하므로, 대응하는 부품은 각각 6개 또는 8개의 측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하부는 본질적으로 평평한 하단 벽(bottom wall)을 갖고 상기 상부는 상단 벽(top wall)을 갖는다. 이들은 해당 측벽에 연결된다.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부에 대해 상부를 피봇(pivot) 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의 연결 측벽과 상기 하부의 연결 측벽 사이에 피봇하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연결 측벽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용기를 닫을 때 식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한편으로는 용기가 열려 있을 때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측벽의 자유 단부(free ends)는 수평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하는 단부 평면에서 끝난다. 이 단부 평면은, 특히 용기가 개방될 때, 상부의 대응하는 전방 측벽으로부터 하부의 전방 측벽으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이어진다. 상기 식품은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측벽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인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개선된 접근성에 더하여, 식품이 전방 측벽을 향하는 측에서 크게 보여 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식품은 또한 소비자에게 보다 유리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상기 용기가 닫히면, 상기 식품은 용기 안에 포함되어 있으며 보통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용기의 경우, 상기 하부의 측벽의 자유 단부는 제1 단부 평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의 측벽의 자유 단부는 제2 단부 평면에 배치되는 것이 생각될 수 있으며, 이 단부 평면들은 서로 평행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단부 평면은 동일한 단부 평면에서 이어져 서로 이격 되지 않는 것이 생각될 수 있다.
상기 단부 평면의 경사 연장으로 인해, 상기 용기가 개방될 때, 제1 단부 평면이 지지대에 비해 제2 단부 평면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이 개방 상태에서 하단 벽 또는 상단 벽은 본질적으로 수평인 지지대 상에 놓인다.
닫을 때 상기 용기 내부의 식품을 더 잘 보호하기 위해, 상기 상단 벽으로부터 자유 단부까지의 상부의 측벽은 하단 벽으로부터 자유 단부까지의 하부의 측벽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상부 및 하부의 연결 측벽은 동일한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다. 상기 자유 단부는 상기 제1 및 제2 단부 평면에 따라 진행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응하는 연결 측벽을 제외한, 상기 상부의 측벽은 용기가 닫힐 때 외부로부터 하부의 측벽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으로 또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및 상부의 대응하는 측벽의 자유 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것이 또한 생각될 수 있다.
상기 용기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상부의 전방 측벽이 상기 전방 측벽의 벽면의 연장부에서 실질적으로 측면으로 돌출하는 2개의 로킹 암(locking arms)을 갖는다면, 상기 용기가 닫힐 때에, 이는 상기 하부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래칭 암(latching arms) 아래에 결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로킹 암과 상기 래칭 암을 용이하게 맞물리게 하기 위해, 상기 로킹 암 위의 전방 측벽은 각각의 래칭 암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recess)를 가질 수 있다.
닫힐 때 간단한 방식으로 하부 측벽의 자유 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방 측벽에 인접한 상부 부분의 측벽은 스냅-인 후크(snap-in hooks)를 갖는 측벽의 자유 단부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리시빙 컷-아웃(receiving cut-out)을 갖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상기 용기를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모두에서 지지대에 안전하게 놓을 수 있도록, 상기 하단 벽은 본질적으로 상기 측벽까지 평평하게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상단 벽도 평평하므로, 상기 용기가 열릴 때, 하단 벽과 상단 벽의 해당하는 평평한 영역이 지지대에 놓인다. 그러나, 상기 평평한 상단 벽은 둥근 연결 섹션에 의해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용기를 위한 블랭크(blank)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블랭크는 적어도 하나의 하단 벽 부분, 본질적으로 상기 하단 벽 부분을 직선으로 정의하는 접는 선에 의해 이들에 연결된 측벽, 상단 벽 부분, 및 상기 상단 벽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접힘 선에 의해 이 상단 벽 부분에 연결된 측벽을 갖는다. 대응하는 피봇하는 연결부(pivoting connection)는 서로 할당된 상부 및 하부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다.
이전 설계에 따르면, 상기 하부의 측벽은 연결 벽으로부터 전방 측벽으로 감소하는 높이일 수 있고 상부의 측벽은 대응하는 접속 벽으로부터 전방 측벽으로 증가하는 높이일 수 있다. 이는 제1 또는 제2 단부 평면에서 측벽의 자유 단부의 대응하는 배치를 초래한다. 이러한 배치는 특히 필요하다면 상기 연결 측벽과 전방 측벽 사이의 측벽의 높이가 연속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여, 상부에서 높이가 증가하고 하부에서 높이가 감소한다는 사실에 의해 지지된다.
간단한 방식으로 일체형(one-piece) 및 2차원 블랭크로부터 용기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착성 플랩(adhesive flaps)은 적어도 일부 측벽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용기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측벽은 대응하는 하단 벽 또는 상단 벽에 대향하여 내측으로 접히고 접착성 플랩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상기 연결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접착성 플랩에 적용된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를 상부와 상이한 방식으로 기하학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의 측벽 상의 접착성 플랩은 예를 들어 근본적으로 삼각형일 수 있다. 이러한 삼각형-형상의 접착성 플랩은 하나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용기가 어셈블리 될 때 하나의 측벽의 내부 상에 직접 인접하는 측벽에 결합된다. 각각의 측벽은 접착성 플랩이 직접 인접한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측벽은 2개의 측면 접착성 플랩을 가지고 있으므로, 대응하는 접착성 플랩이 하부의 제2 측벽마다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접착성 플랩은 접힘 선에 의해 연관된 측벽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측벽의 접착성 플랩도 동일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의 측벽 상의 접착성 플랩은 본질적으로 둥글게 될 수 있다. 이는 이러한 접착성 플랩이 외부 둥근 형상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접착성 플랩이 또한 각 측벽 상에 및/또는 상부의 측벽 상에 쌍으로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간단한 방식으로 피봇하는 연결부를 설정하기 위해, 그것은 본질적으로 물결 모양인 중앙의 절단 선(cut line) 및 이들을 측면으로 인접한 접힘 선(fold lines)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결 모양의 절단 선은 하부에 대한 상부의 단순화된 피봇을 가능하게 하고 상부와 하부 사이의 연결은 인접한 접힘 선을 통해 유지된다.
상기 피봇하는 연결부의 대응하는 래칭 암을 용이하게 확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전방 측벽과 하부의 인접 측벽 사이의 접착성 플랩은 래칭 암 컷(latching arm cut)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방 측벽이 인접한 측벽에 대해 피봇 되면, 이 래칭 암 컷(latching arm cut)은 대응하는 래칭 암을 초래하고, 이는 용기가 닫힐 때 로킹 암과 맞물린다.
또한 상기 일체형 2차원 블랭크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로킹 암을 형성하기 위해, 로킹 암은 상부의 전방 측벽의 각각의 자유 측벽 단부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부의 측벽을 하부의 측벽과 상이한 방식으로 배치하고 연결하기 위해, 상기 상부의 측벽은 상단 벽의 방향으로 측면 모서리를 따라 내측으로 둥글게 될 수 있다. 이는 이 측벽들이 상단 벽을 향하여 감소하는 폭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측벽과 상기 상단 벽 사이에서 상부의 둥근 형상을 초래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를 정면으로부터 비스듬히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용기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상기 용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정의된 개방 상태에서의 용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및
도 5는 상기 이전 도면으로부터의 용기에 대한 블랭크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1)의 실시예의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용기는 하부(2) 및 상부(3)를 갖는다. 하부(2)는 6개의 측벽(4-9)이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하는 하단 벽(16)을 가지며, 도 5에 따른 블랭크(blank)를 참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하부에 대략 육각형의 단면이 초래된다. 예를 들어, 8개의 측벽 및 대응하는 하단 벽(16)을 갖는 팔각형 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부(3)는 또한 6개의 측벽(10-15)을 가지며, 다시 도 5에 따른 블랭크를 참조하며, 이는 둥근 연결 섹션(31)을 통해 대응하고 본질적으로 평평한 상단 벽(17)에 연결된다. 이 상단 벽은 상기 용기가 닫힐 때 하단 벽(16)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부(3)의 다양한 측벽(10-15) 사이에, 상단 벽(17)의 방향으로 연결 섹션(31) 내로 연장되는 모서리(45)가 형성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모서리(45)는 특히 연결 섹션의 영역 및 상기 측벽 사이의 교차 선에서 접힘 선으로 형성된다. 다양한 측벽들은 대응하는 접착성 플랩(38)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상기 측벽들의 모서리들은 모서리 대 모서리(edge to edge)로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하부(2)의 측벽(4-9)은 또한 서로 연결되는 대응하는 접착성 플랩(37)을 갖는다.
전방 측벽(9 또는 15)의 영역에서, 하부(2) 및 상부(3)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는 도 1에 따른 용기(1)의 폐쇄 상태를 보장한다. 상이한 부분의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해 로킹 암(locking arms)(28) 및 래칭 암(latching arms)(27)이 제공된다. 래칭 암(27)은 이들 측벽의 길이 방향으로 전방 측벽(9)에 인접한 측벽(5 및 6)으로부터 돌출된다. 도 1에 따르면, 이러한 래칭 암(27)은 대응하는 로킹 암(28)에 의해 언더컷(undercut) 된다. 이들 로킹 암(28)은 상부(3)의 전방 측벽(15)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다. 이들은 대략 후크-형상이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후크 디자인이 또한 래칭 암(27)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를 위해서, 용기(1)를 개방하기 위해, 하부의 전방 측벽(9)으로부터 멀어 지도록, 전방으로 편향시킴으로써 대응하는 로킹 암(28)을 맞물림으로부터 해제하는 것이 쉽게 가능하다. 전방 측벽(15)은 래칭 암(27)이 위치된 로킹 암(28)의 바로 위에 리세스(recesses)(29)를 갖는다. 또한, 측벽(5, 6)의 자유 상단부(19)가 돌출되는 데에서, 전방 측벽(15) 및 직접 인접하는 측벽(11, 12) 사이에 리시빙 컷-아웃(receiving cut-out)이 있다.
이 특정 연결 장치는 추가 수단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용기(1)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도 2에는 도 1의 용기(1)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시에서, 리세스(29) 및 리시빙 컷-아웃(30) 뿐만 아니라 로킹 암(28) 및 래칭 암(27)은 용기(1)를 폐쇄하기 위해 상호 작용하는 방식으로 다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측벽 및 하부 및 상부의 나머지 설명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뿐만 아니라 도 1을 참조한다. 동일한 부분은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설명된다.
도 3은 도 2 또는 도 1에 따른 용기(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상부(3)의 측벽(11, 12)의 자유 단부(19)는 예를 들어 수평선에 대해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이 코스는 리시빙 컷-아웃(30)의 영역에서만 가로막히고, 이로써 측벽(5)의 부분들이 이 리시빙 컷-아웃(30)에 배치되고 래칭 암(27)이 이 리시빙 컷-아웃(30)으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 돌출한다. 대응하는 래칭 암(27)은 이 위치에서 로킹 암(28)에 의해 언더컷 된다.
도 3에서, 특히 용기가 닫힐 때 상단 벽(17)과 하단 벽(16)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방 측에 대향하여 대응하는 후방 측벽(4 및 10)은 피봇하는 연결부(18)에 의해 연결 측벽으로서 서로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도 2를 참조하고, 도 3에서 측벽(11 내지 15), 즉 연결 측벽(10)을 제외한 측벽은 외부로부터 하부(2)의 대응하는 측벽(5-9)과 중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유 단부(19)까지 하부(2)의 대응하는 측벽(5)의 일부가 보이는, 리시빙 컷-아웃(30)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며, 도 3은 다시 상기 측벽이 둥근 연결 섹션(31)을 통해 상단 벽(17)으로 합쳐지는 것을 도시한다.
도 4에서, 용기(1)는 열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단 벽(17) 및 하단 벽(16)은 수평 지지대(25)와 접촉한다. 이는 상단 벽 및 하단 벽의 영역에서 하부 및 상부가 각각 실질적으로 평평하여 지지대(25) 상에 평평하게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접촉은, 예를 들어, 두 부분의 연결 측벽(4)과 연결 측벽(10) 사이의 대응하는 피봇하는 연결부(18)가 지지대(25)에 대한 높이(44)에 배치되고, 모든 대응하는 측벽의 자유 단부(19)는 본질적으로 단부 평면(21 또는 22)에서 끝나는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며, 이는 지지대(25)에 평행한 수평면(20)에 대한 각도(24)로 경사져 있다. 하부(2)의 측벽(4-9)의 자유 단부에 대해 제1 단부면(21)이 결정될 수 있고, 상부(3)의 측벽(10-15)의 자유 단부(19)에 대한 제2 단부면(22)이 결정될 수 있다.
하부(2)의 측벽(4-9)에 대하여 닫힌 상태에서 상부의 측벽(10-15)의 중첩이 실현되면, 이들 상이한 단부 평면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단부 평면(21)과 제2 단부 평면(22) 사이의 대응 거리(23)를 참조한다. 모든 측벽의 자유 단부(19)가 단지 하나의 단부 평면으로 끝나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폐쇄 상태에서 측벽의 대응하는 중첩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닫힐 수 있다.
단부면(21 또는 22)의 대응하는 경사는 하부(2)의 전방 측벽(9)을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져서, 용기(1)의 이 전방 측벽(9)의 앞에 일반적으로 앉은 사용자는 하부(2)의 식품을 내려다볼 수 있다. 하부(2)의 전방 측벽(9)은 상부(3)의 전방 측벽(15)보다 훨씬 낮아서, 상기 식품은 자체 높이의 큰 부분에 걸쳐 보이고 특히 필요할 때 하부(2)에서 쉽게 제거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자유 단부(19)의 이러한 경사 연장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하부 및 상부의 다양한 측벽은 용기(1)가 개방될 때 전방 측벽(9)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높이(26)를 갖는다. 이 측벽은 각 측벽을 따라 연속적으로 상승하며, 하부(2)의 전방 측벽(9)은 가장 낮은 높이를 가지며 상부(3)의 전방 측벽(15)은 가장 높은 높이를 갖는다.
상부(3)의 전방측 부분(15)과 함께, 도 1 내지 도 3에 따라 대응하는 잠금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 자유 단부가 제2 단부면(22)을 약간 넘어서 돌출되는 것이 여전히 보장되어야 한다.
전방 측벽(15) 및 바로 인접한 측벽(14) 사이에서, 도 4는 리시빙 컷-아웃(30)을 도시한다.
대응 각도(24)는 5° 내지 30° 또는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8°일 수 있다. 도 1 또는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또한 도 4에서 측벽(5 또는 6)으로부터 대응하는 래칭 암(27)이 비스듬히 전방으로 돌출되고 용기(1)의 폐쇄 위치에서 로킹 암(28)이 아래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이전 도면에 따른 용기(1)의 제조를 위한 2차원 및 일체형 블랭크(32)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5는 블랭크(32)가 육각형 윤곽을 갖는 하단 벽(16)을 형성하기 위해 하단 벽 부분(33)을 갖는 것을 도시한다. 대응하는 하단 벽 부분(33)은 또한 팔각형 윤곽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시사된다. 측벽(4-9)은 대응하는 접힘 선(34)을 통해 하단 벽 부분(33)에 연결된다. 도 5는 또한 이들 측벽의 대응 높이가 전방 측벽(9)에 대해 가장 낮고 연결 측벽(4)에 대해 가장 높다는 것을 도시한다. 전방 측벽(9)은 그 양단부에 접착성 플랩(37)을 가지며, 이들은 래칭 암 컷(41)에 의해 직접 인접한 측벽(5 및 6)으로부터 분리된다. 접착성 플랩(37) 및 전방 측벽(9) 사이에 추가 접힘 선(34)이 배치되어, 전방 측벽(9)이 비스듬히 상방으로 세워질 때, 대응하는 접착성 플랩(37)은 내측으로 접히고 인접한 측벽(5 또는 6)의 내부에 대해 위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대응하는 래칭 암 컷(41)은 인접한 측벽(5, 6)의 영역에서 대응하는 로킹 암(28)을 형성한다.
대응하는 교차 라인이 모든 측벽 사이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 일부 측벽, 예를 들어 측벽(7, 8) 및 연결 측벽(4)은 적어도 하나 또는 양쪽 측면 접착성 플랩을 갖는다. 이들은 또한 대응하는 접힘 선에 의해 관련 측벽에 연결되고, 위쪽으로 비스듬히 세워진 측벽의 경우, 내측으로부터 인접한 측벽에 적용되고 접착제로 접합된다.
하부(2)를 위한 접착성 플랩(37)에는 실질적으로 삼각형의 단면이 사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접착성 플랩은, 하부(2)를 위한 측벽이 세워질 때, 그 자유 단부가 측벽의 자유 단부와 평행하게 진행되고 대응하는 단부 평면에서 이것들과 함께 끝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상부(3)는 상단 벽(17)을 형성하기 위해 대응하는 상단 벽 부분(35)을 갖는다. 이 부분은 대응하는 연결 섹션(connecting sections)(31)을 통해 측벽(10-15)에 연결된다. 접힘 선(36)은 연결 섹션(31)의 영역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측벽(10-15)은 이들 접힘 선(36)의 연속으로 서로 분리된다. 상기 측벽의 일부는 적어도 하나 또는 심지어 두 개의 대향하는 접착성 플랩(38)을 갖는다. 따라서, 적어도 연결 측벽(10) 및 전방 측벽(15)은 각각의 인접한 측벽에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측면 접착성 플랩(38)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여, 상부(3) 상의 접착성 플랩은 그 자유 단부에서 둥글게 되고, 적어도 곡률의 제1 섹션에서, 인접하는 측벽의 자유 단부에 평행하게 진행하고 대응하는 단부면(22)에서 끝난다.
각각의 측벽의 대응하는 측면 모서리(42 및 43)는 서로를 향해 진행되고 대응하는 접힘 선(36)까지 마무리된다. 블랭크(32)에서 상부(3)의 이러한 설계는 특히 연결 섹션(31)의 영역에서 상부(3)에 대해 대략 둥근 형상을 초래한다.
용기(1)가 폐쇄될 때, 상부의 측벽이 하부의 측벽과 중첩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의 대응하는 측벽의 높이가 하부의 측벽의 높이보다 더 크다는 것이 이미 시사되었다.
피봇하는 연결부(18)는 두 개의 연결 측벽(4 및 15) 사이에 형성된다. 이것은 파형의 교차 선(39) 및 그 양측에 배치된 접힘 선(40)으로 구성된다. 교차 선(39)은 하부 및 상부의 서로에 대한 피봇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대응하는 접힘 선은 두 부분 사이의 연결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햄버거와 같은, 식품 용 용기는 개방 상태에서 지지대 상에 수평으로 놓이고 전체적으로 측벽의 측면 단부를 따라 사용자의 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비스듬한 코스를 갖는, 하부 및 상부와 함께, 상술 한 방식으로 얻어진다. 상기 용기의 형상은 육각형 또는 팔각형일 수 있으며, 상부는 특히 상단 벽의 방향으로 둥글다. 대응하는 측벽의 높이는 폐쇄될 때 대응하는 중첩을 허용하기 위해 하부보다 상부에 대해 더 크다.
1: 용기
2: 하부
3: 상부

Claims (20)

  1. 식품 용 용기(1)에 있어서,
    하부(2) 및 상부(3)를 가지고, 각각은 6개 또는 8개의 측벽(4-9, 10-15) 및 상기 측벽에 연결된 실질적으로 평평한 하단 벽(16) 및 상단 벽(17)을 가지며,
    상기 하부(2)의 연결 측벽(4)과 상기 상부(3)의 연결 측벽(10) 사이에 피봇하는 연결부(18)가 형성되고, 측벽(4-15)의 자유 단부(19)는 수평면(20)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단부면(21, 22)에서 끝나고,
    상부(3)의 측벽(10-15)의 자유 단부(19)는 제2 단부면(22)에서 끝나고 하부(2)의 측벽(4-9)의 자유 단부(19)는 제1 단부면(21)에서 끝나며, 이 단부면(21, 22)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용기(1)가 열려 있고 실질적으로 수평 지지대(25) 상에 그 하단 벽(16) 또는 상단 벽(17)과 함께 놓일 때 제1 단부면(21)은 실질적으로 수평 지지대(25)에 대하여 제2 단부면(22)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상단 벽(17)은 둥근 연결 섹션(31)에 의해 측벽(10-15)에 연결되는,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 벽(17)으로부터 자유 단부(19)까지의 상부(3)의 측벽(10-15)은 하단 벽(16)에서 자유 단부(19)까지의 하부(2)의 측벽(4-9)보다 큰 높이(26)를 갖고, 상부(3) 및 하부(2)의 상기 연결 측벽(4, 10)은 동일한 대응 높이(26)를 가지는,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측벽(4)을 제외하고, 상부(3)의 측벽(10-15)은 상기 용기(1)의 폐쇄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하부(2)의 측벽(5-9)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용기.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3)의 전방 측벽(15)은 벽면의 연장에서 실질적으로 측면으로 돌출하는 2개의 로킹 암(28)을 가지며, 이는 상기 용기(1)의 폐쇄 상태에서 하부(2)의 측벽(5, 6)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래칭 암(27) 아래에 결합되는,
    용기.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전방 측벽(15)은 래칭 암(27)의 배치를 위해 로킹 암(28) 위에 리세스(29)를 가지는,
    용기.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전방 측벽(15)에 인접한 상부(3)의 측벽(11, 12)은 래칭 암(27)과 함께 상기 측벽(11, 12)의 자유 단부(19)를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리시빙 컷-아웃(30)을 가지는,
    용기.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벽(16)은 측벽(4-9)까지 실질적으로 평평한,
    용기.
  10. 삭제
  11.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따른 용기(1)를 위한 블랭크(32)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단 벽 부분(33),
    상기 하단 벽 부분(33)을 구분하는 실질적으로 직선인 접힘 선(34)을 통해 상기 하단 벽 부분(33)에 연결된 측벽(4-9),
    상단 벽 부분(35), 및
    상기 상단 벽 부분(35)에 연결되고, 상기 상단 벽 부분(35)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접힘 선(36)을 통해 상호간 연결되는, 측벽(10-15)
    을 포함하고,
    상부(3) 및 하부(2)의 각각에 관련된 연결 측벽(10, 4)들의 사이에 피봇하는 연결부(18)를 포함하는,
    블랭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2)의 측벽(4-9)은 상기 연결 측벽(4)으로부터 전방 측벽(9)으로 감소하는 높이(26)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3)의 측벽(10-15)은 상기 연결 측벽(10)으로부터 전방 측벽(15)으로 증가하는 높이(26)로 형성되는,
    블랭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측벽(4, 10)과 전방 측벽(9, 15) 사이의 측벽(4-19)의 높이(26)는 각각 연속적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는,
    블랭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접착성 플랩(37, 38)은 적어도 일부 측벽(4-15)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하는,
    블랭크.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2)의 측벽(4-9) 상의 접착성 플랩(37)은 실질적으로 삼각형 형상인,
    블랭크.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3)의 측벽(10-15) 상의 접착성 플랩(38)은 본질적으로 둥근,
    블랭크.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하는 연결부(18)는 중앙의 실질적으로 물결 모양인 절단 선(39) 및 측면으로 인접한 접힘 선(40)에 의해 형성되는,
    블랭크.
  18. 제 11 항에 있어서,
    접착성 플랩(37)은 전방 측벽(9)과 하부(2)의 인접 측벽(5, 6) 사이에 래칭 암 컷(41)을 가지는,
    블랭크.
  19. 제 11 항에 있어서,
    로킹 암(28)은 상기 상부(3)의 전방 측벽(15)의 자유 단부(19)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하는,
    블랭크.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3)의 측벽(10-15)은 안쪽으로 둥근,
    블랭크.
KR1020207016659A 2017-11-15 2018-11-15 식품 용 용기 및 대응하는 블랭크 KR102507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7106941.9 2017-11-15
DE202017106941.9U DE202017106941U1 (de) 2017-11-15 2017-11-15 Behälter für ein Nahrungsmittel und entsprechender Zuschnitt
PCT/EP2018/081325 WO2019096883A1 (de) 2017-11-15 2018-11-15 Behälter für ein nahrungsmittel und entsprechender zuschnit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893A KR20200084893A (ko) 2020-07-13
KR102507521B1 true KR102507521B1 (ko) 2023-03-08

Family

ID=64332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659A KR102507521B1 (ko) 2017-11-15 2018-11-15 식품 용 용기 및 대응하는 블랭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932462B2 (ko)
EP (1) EP3710368A1 (ko)
JP (1) JP2021502932A (ko)
KR (1) KR102507521B1 (ko)
CN (1) CN111433129A (ko)
AU (1) AU2018368525B2 (ko)
BR (1) BR112020009147A2 (ko)
CA (1) CA3081913C (ko)
DE (1) DE202017106941U1 (ko)
MX (1) MX2020005065A (ko)
RU (1) RU2746740C1 (ko)
UA (1) UA126769C2 (ko)
WO (1) WO2019096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9922A (zh) * 2020-06-03 2020-09-04 浙江理工大学 一种八边形镂空展示盒
DE202020104582U1 (de) * 2020-08-07 2021-01-11 Gemüsebau Steiner GmbH & Co. KG Faltschachtel und Kartonzuschnitt für deren Herstell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1351A (ja) * 2005-11-11 2007-05-31 Seda Spa 箱形状容器及びブラン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068A (en) 1980-10-27 1982-07-13 International Paper Company Paperboard food carton
US4360147A (en) * 1981-05-26 1982-11-23 Arne H. Brauner Semi-domed paperboard food carton
US4763832A (en) * 1988-01-21 1988-08-16 Westvaco Corporation Carton with bottom lock
SE467538B (sv) * 1990-11-27 1992-08-03 Borg Production Ab Engaangsbehaallare foer faerdiglagad mat
JPH0565817U (ja) * 1992-02-10 1993-08-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曲面を有する紙容器
US5205476A (en) * 1992-06-12 1993-04-27 Perseco Division Of The Havi Group Lp Clamshell carton having an improved latching mechanism
US5579989A (en) * 1995-03-13 1996-12-03 Universal Packaging Corporation Multi-sided flip-top container
US5816485A (en) * 1997-04-10 1998-10-06 International Paper Co. Double angle clamshell container
JPH11236028A (ja) * 1997-12-12 1999-08-31 Omori Mach Co Ltd 容器及び包装体
EP2070825A1 (en) * 2002-12-10 2009-06-17 Rapid Action Packaging Limited Carton for diagonally cut sandwiches
AU2006100790B4 (en) * 2005-09-08 2008-04-03 Billivas Pty Ltd Method of Sales Promotion
DE202005014737U1 (de) 2005-09-19 2007-02-08 Seda S.P.A., Arzano Behälter und Zuschnitt zu dessen Herstellung
DE202005014738U1 (de) 2005-09-19 2007-02-08 Seda S.P.A., Arzano Behälter und Zuschnitt
US20080110966A1 (en) * 2006-11-09 2008-05-15 Dopaco, Inc. Contoured clamshell container
US20110031154A1 (en) * 2009-08-07 2011-02-10 Peter Overgaag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 transport
EP2605974A4 (en) * 2010-08-16 2014-03-05 Graphic Packaging Int Inc SEALED SHELL BOX
FR2982251A3 (fr) * 2011-11-04 2013-05-10 Thibault Pougeoise Emballage alimentaire packaging en carton destine au transport et au support de sandwich type "kebab"
JP2013193211A (ja) * 2012-03-15 2013-09-30 Sekisui Plastics Co Ltd 製函装置及びこの製函装置に適用されるブランクシー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1351A (ja) * 2005-11-11 2007-05-31 Seda Spa 箱形状容器及びブラ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893A (ko) 2020-07-13
CN111433129A (zh) 2020-07-17
CA3081913C (en) 2023-02-14
UA126769C2 (uk) 2023-02-01
DE202017106941U1 (de) 2019-02-18
AU2018368525A1 (en) 2020-06-04
RU2746740C1 (ru) 2021-04-20
JP2021502932A (ja) 2021-02-04
US20200385163A1 (en) 2020-12-10
WO2019096883A1 (de) 2019-05-23
US11932462B2 (en) 2024-03-19
MX2020005065A (es) 2020-11-06
BR112020009147A2 (pt) 2020-10-20
EP3710368A1 (de) 2020-09-23
CA3081913A1 (en) 2019-05-23
AU2018368525B2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417B2 (en) Foldable utensil set
KR102507521B1 (ko) 식품 용 용기 및 대응하는 블랭크
MXPA06007455A (es) Contenedor con configuracion de caja, y preforma.
US4240576A (en) Distribution package
US20040108370A1 (en) Partitioned box
US3334766A (en) Tierable and nestable egg-and-milk crate
JP5719510B2 (ja) 苺等青果用トレー
JP7148120B2 (ja) 折畳コンテナ
JP4789184B2 (ja) Snコンテナー
KR100895643B1 (ko) 락수단을 갖는 치킨박스
JP6772722B2 (ja) トレイ
FR2627746A1 (fr) Barquette gerbable
JP3718144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ー
US4171745A (en) Protective insert
EP1012071B1 (en) Egg box folded from a single blank
KR200420783Y1 (ko) 음식물 보관용 종이박스
EP4010260A1 (en) Package with a box shaped base and a lid
JP6221956B2 (ja) 箱体
AU2003274325A1 (en) Reversibly collapsible/erectable container
JP4931075B2 (ja) 折畳コンテナー
GB2313829A (en) Carton with secured locating means
FR2545062A1 (fr) Emballage-presentoir pliable
JP2021050017A (ja) 包装箱
JP2024017410A (ja) 包装箱
KR20000020627U (ko) 피자 포장용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