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293B1 - 약포지 리더기 - Google Patents

약포지 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293B1
KR102507293B1 KR1020210021273A KR20210021273A KR102507293B1 KR 102507293 B1 KR102507293 B1 KR 102507293B1 KR 1020210021273 A KR1020210021273 A KR 1020210021273A KR 20210021273 A KR20210021273 A KR 20210021273A KR 102507293 B1 KR102507293 B1 KR 102507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ain body
inlet
identification code
p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653A (ko
Inventor
남현구
Original Assignee
남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구 filed Critical 남현구
Priority to KR102021002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293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4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 A61J7/0409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 A61J7/0418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e.g. programmed dispensers with timers with electronic history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7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apsules or similar small containers for oral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1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5/00General identification or selection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포지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형화가 이루어져 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성을 가지며,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어 약을 체계적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약포지가 외부에서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와, 내부로 투입된 약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배출구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지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포지 리더기{Drug sachet reader}
본 발명은 약포지 리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포지에 포장된 약을 체계적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음과 더불어, 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약포지 리더기에 관한 것이다.
약은 질병 등을 치료, 완화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복용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가루약, 알약, 시럽 등과 같은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약은 약포지 또는 약통에 수용되어 환자 등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사람들은 생활하며 다양한 이유로 약을 복용하게 되는데, 약을 제대로 복용하지 않으면 오히려 병을 키우거나 합병증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환자가 의사의 처방에 맞춰 약을 복용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복약순응도'가 중요하다. 특히, 당뇨, 고혈압 등과 같이 지속적인 약의 복용이 반드시 필요한 환자에게는 복약순응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병원에서 처방되어 환자에게 제공되는 약은, 대부분 약포지에 수용된 상태를 이루거나, 약통에 수용된 상태를 이룬다. 특히, 약포지 형태로 장기간 복용할 약이 제공될 경우, 복수 개의 약포지가 연결된 상태로 제공되는바, 통상 어떤 약인지, 약을 어떻게 복용해야 하는지 등의 문구가 적힌 약봉투에 넣기 어렵고, 약봉투에 넣어 제공하더라도 장기간 사용으로 약봉투가 파손되므로 바구니에 담아 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복수 개의 약포지를 바구니에 담을 경우, 해당 약포지에 수용된 약이 어떠한 약인지 알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약 제공방식은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어려운바, 복약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수용된 약의 종류, 복약방법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QR 코드 포함)가 새겨진 약포지에 약을 수용하여 환자에게 제공하고, 바코드를 인식하는 장치를 통해 환자가 약을 복용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약포지의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현재 개발된 장치는, 다량의 약포지를 수용하는 약포지보관부를 포함하고 있어, 크기가 크고 가격이 상당하여 개인이 구매하여 가정에서 사용하기 부담스러운바 널리 보급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자들은 본인이 복용하는 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원하나, 인터넷 검색으로 해당 약에 대한 정보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의사나 약사에게 물어보기에는 시간 간격이 매우 커, 현재 복용하는 약에 대하여 궁금한 사항이 생길 경우, 이를 즉각적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2570호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 모니터링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형화가 이루어져 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성을 가지며,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어 약을 체계적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약포지 리더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는,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약포지가 외부에서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와, 내부로 투입된 약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배출구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투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해 약포지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투입구의 양측편과 인접한 본체의 내측에 대응되게끔 구비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약포지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하로 배치된 롤러 사이에 물려 롤러의 회전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포지가 복수 개 연결되어 수용되는 약포지보관함 또는 복수 개의 약이 수용된 약통과 같은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파지하거나, 본체가 고정될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부착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몸체는, 투입구가 형성된 본체의 일면 측에서 투입구로의 약포지 투입이 간섭되지 않게끔 결합되되, 상기 본체와 나란하게 결합되거나, 본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인식부는, 외측으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센서가 구비되되, 상기 부착몸체는, 본체에서 인식센서가 구비된 측에 결합되어, 부착몸체에 의해 파지된 대상물에 형성된 식별코드를 인식센서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드인식부를 통해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인식된 식별코드를 활용하여 약의 명칭 또는/및 복용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을 체계적으로 복용할 수 있으므로,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식별코드 인식을 통한 활용을 통해, 복약순응도를 검사할 수 있음은물론, 의사나 약사 등과 같은 전문가와 연결하여 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약포지가 수용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바, 소형화가 가능하여 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부착몸체를 이용하여 약포지보관함, 약통과 연계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에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는바,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가 적용된 복약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본체와 부착몸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본체와 부착몸체의 구조를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부착몸체에 의해 약포지보관함이 파지되고 본체와 연계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부착몸체가 본체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로 결합됨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부착몸체가 책상, 식탁 등과 같은 대상물을 파지하여 본체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부착몸체가 본체에서 인식센서가 구비된 측에 결합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부착몸체에 의해 약통이 파지되고 약통의 식별코드가 인식센서에 의해 인식됨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12는 도 11은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에 적용되는 부착몸체에 의해 약통이 파지되고 약통의 식별코드가 인식센서에 의해 인식되지 않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소형화가 이루어져 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성을 가지며,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어 약을 체계적으로 복용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약포지가 외부에서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와, 내부로 투입된 약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배출구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약포지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지 리더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포지(10)에 구비된 식별코드(11)를 인식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약포지(10)는, 내측에 알약, 가루약, 시럽 형태의 약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약을 수용하는 것으로, 밀봉된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식별코드(11)는 하나의 약포지(10)마다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일 예로, 복수 개의 약포지(10)가 절취선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 경우, 각각의 약포지(10)마다 식별코드(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약포지(10)에 구비된 식별코드(11)는, 인쇄방식을 통해 약포지(10)에 새겨져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착방식을 통해 약포지(10)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약포지(10)에 구비되는 방식에 대하여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 개의 약포지(10)에 각각 구비된 식별코드(11)는, 후술할 코드인식부(130)를 통한 인식이 하나씩 이루어질 수 있게끔 상호 소정의 간격을 이루게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식별코드(11)는, 약의 명칭, 복용방법, 주의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바코드, QR 코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 형태 또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함체 형태를 이루며, 이하에서 설명할 본체(100)의 구성을 포함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약포지(10)가 외부에서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110)와, 내부로 투입된 약포지(10)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20)를 포함하며, 약포지(100)의 재질이나 약포지(100)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방향을 고려하였을 때, 투입구(110)와 배출구(120)는 상호 대응되는 측을 향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10)는 본체(100)의 후방을 향해 개방되게끔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구(120)는 본체(100)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는, 투입구(110)를 통해 외부에서 내부로 투입된 약포지(10)가 배출구(120)를 향하는 과정에서 약포지(10)에 구비된 식별코드(11)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130)를 포함한다. 코드인식부(130)는,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하나의 약포지(10)에 구비된 식별코드(11)만을 인식할 수 있게끔 배출구(120)와 인접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체(100)는, 투입구(110)에서 배출구(120)를 향해 약포지(1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롤러(1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뉘어진 원통 형태를 이루며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투입구(110)의 양측편과 인접한 본체(100)의 내측에 대응되게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입구(110)를 통해 본체(100)의 내부로 투입된 약포지(1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하로 배치된 롤러(140) 사이에 물리게 되고, 롤러(140)의 회전에 따라 배출구(12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약포지(10)가 투입구(110)로부터 배출구(120)를 향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약이 수용되지 않은 가장자리만이 롤러(140)와 맞닿게 되는바, 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롤러(140)의 구동은 본체(100)에 구비된 작동버튼(150)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에 포함된 통신제어부를 통해 일정 시간에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스마트폰, 컴퓨터 등), 복약 관리 서버와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본 발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사용자 단말은, 일 예로, 본 발명을 비롯하여 복약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앱을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이 설정된 시간에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약 복용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코드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된 식별코드(11)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으로 전송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앱을 통해 약의 명칭, 복약방법, 주의사항 등과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구(120)와 인접한 지점에 배출된 약포지(10)가 남아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복약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약센서를 통해 약포지(10)가 감지되다가 감지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 본 발명은 해당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앱으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해당 약을 복용하였음이 기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을 비롯하여, 사용자 단말, 복약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함으로써, 복약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을 단순히 약포지(10)의 식별코드(11)를 인식하는 장치로 사용됨을 넘어, 다방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포지(10)가 복수 개 연결되어 수용되는 약포지보관함(20) 또는 복수 개의 약이 수용된 약통(30)과 같은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파지하거나, 책상, 식탁 등과 같이 본체(100)가 고정될 대상물을 파지할 수 있으면서, 본체(100)에 결합되는 부착몸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착몸체(200)는 파지할 대상물의 폭이나 두께 등에 따라 해당 대상물을 견고히 파지할 수 있게끔 탄성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착몸체(200)는 일 예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를 이루면서 대상물의 양측 또는 상하측에 맞닿게끔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파지구(220)와, 바(bar) 형태를 이루며 이격배치된 파지구(220)를 연결하고 탄성적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지지프레임(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파지구(220)에서 마주하는 면에는, 대상물에 대하여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이 소정의 마찰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마찰제공부(221)가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10)은 일 예로, 직경(또는 폭)이 상이한 두 개의 지지봉을 포함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지지봉 내부로 직경이 작은 지지봉이 삽입되게끔 이루어지고, 삽입되는 방향을 향해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스프링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지지봉의 일단은 일 파지구(220)의 내측면과 결합되고, 직경이 작은 지지봉의 일단은 타 파지구(220)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부착몸체(200)가 'ㄷ'자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10)은 두 개의 파지구(220)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210)은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부착몸체(200)가 투입구(110)가 형성된 본체(100)의 일면 측에 결합될 시, 그 사이에 투입구(1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부착몸체(200)는 투입구(110)가 형성된 본체(100)의 일면(후면) 측에서 투입구(110)로의 약포지(10) 투입이 간섭되지 않게끔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몸체(200)가 본체(100)와 나란하게 결합되고, 부착몸체(200)에 약포지보관함(20)이 파지될 수 있다. 복수 개가 연결되어 약포지보관함(20)으로부터 토출되는 약포지(10)는, 본체(100)의 투입구(110)로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의 약포지보관함(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음은 물론, 현재 사용되는 약봉투 형태인 것일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몸체(200)는 투입구(110)가 형성된 본체(100)의 일면 측에서 본체(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부착몸체(200)의 일 파지구(220)에는 본체(100)의 후면에 함입형성된 고정홀(160)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축(230)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고정축(230)과 고정홀(160)은 종단면이 다각형을 이루어 상호 결합될 시 본체(100)와 부착몸체(200)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축(230)과 고정홀(160)은 종단면이 원형을 이루어 상호 분리하지 않아도 부착몸체(200)가 본체(10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부착몸체(200)가 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별도로 필요하며, 일 예로 고정수단은 자석으로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착몸체(200)가 본체(100)에 대하여 회전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몸체(200)가 책상, 식탁 등과 같은 대상물을 파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100)를 통해 약포지(10)의 식별코드(11)를 인식할 수 있다.
더불어, 고정축(230)이 형성된 부착몸체(200)는, 투입구(110)가 형성된 본체(100)의 후면 뿐만 아니라, 후면을 제외한 본체(100)의 다른 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면에 고정홀(160)이 함입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고정홀(160)에 고정축(230)이 끼워져 부착몸체(200)가 본체(1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사용이 가능한 본 발명에서의 코드인식부(13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식별코드 또는/및 알약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센서(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부착몸체(200)는 본체(100)에서 인식센서(131)가 구비된 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인식센서(131)는 본체(100)의 상방을 향해 구비되고, 부착몸체(200)는 본체(10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몸체(200)에 의해 파지된 대상물에 형성된 식별코드(32a)를 인식센서(131)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일 예로, 대상물은 약통일 수 있고, 식별코드(32a)는 약의 명칭, 복용방법, 주의사항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바코드, QR코드일 수 있으며, 인식센서(131)는 카메라 센서일 수 있다.
이는 약포지(10)에 수용된 약을 복용할 때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약통(30)에 수용된 약을 복용할 때도 본 발명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약통(30)이 약이 내부에 수용되고 상방을 향해 입구가 형성된 수용부(31)와, 상기 입구를 개폐하는 마개부(32)로 구성되고, 마개부(32)에 식별코드(32a)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러한 약통(30)을 파지할 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센서(131)가 마개부(32)에 구비된 식별코드(32a)를 인식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약을 복용하기 위하여 마개부(32)를 개방하면, 인식센서(131)는 식별코드(32a)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바, 본체(100)의 제어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으로 사용자가 식별코드(32a)로 인식된 약을 복용하였음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마개부(32)가 개방된 상태가 지속되어 인식센서(131)가 소정의 시간동안 식별코드(32a)를 인식하지 못할 경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약포지 리더기는, 코드인식부(130)를 통해 약포지(10)에 구비된 식별코드(11)를 인식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인식된 식별코드(11)를 활용하여 약의 명칭 또는/및 복용방법 등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약을 체계적으로 복용할 수 있으므로, 복약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식별코드(11) 인식을 통한 활용을 통해, 복약순응도를 검사할 수 있음은물론, 의사나 약사 등과 같은 전문가와 연결하여 약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약포지(10)가 수용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바, 소형화가 가능하여 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부착몸체(200)를 이용하여 약포지보관함(20), 약통(30)과 연계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편리한 위치에 본체(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바,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10 : 약포지 11 : 식별코드
20 : 약포지보관함
30 : 약통 31 : 수용부
32 : 마개부 32a : 식별코드
100 : 본체 110 : 투입구
120 : 배출구 130 : 코드인식부
131 : 인식센서 140 : 롤러
150 : 작동버튼 160 : 고정홀
200 : 부착몸체 210 : 지지프레임
220 : 파지구 221 : 마찰제공부
230 : 고정축

Claims (5)

  1. 약포지(10)가 외부에서 내부로 투입되는 투입구(110)와, 내부로 투입된 약포지(10)가 배출되는 배출구(120)와, 배출구(120)와 인접하게 구비되어 배출되는 약포지(10)에 구비된 식별코드(11)를 인식하는 코드인식부(130)와, 투입구(110)에서 배출구(120)를 향해 약포지(1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본체(100); 및
    상기 약포지(10)가 복수 개 연결되어 수용되는 약포지보관함(20) 또는 복수 개의 약이 수용된 약통(30)과 같은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파지하거나, 본체(100)가 고정될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부착몸체(200);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되면서 투입구(110)의 양측편과 인접한 본체(100)의 내측에 대응되게끔 구비되는 롤러(140)를 포함하여, 투입구(110)을 통해 내부로 투입된 약포지(10)는 양측 가장자리가 상하로 배치된 롤러(140) 사이에 물려 롤러(14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한편,
    상기 코드인식부(130)는, 외측으로 식별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센서(131)가 구비되고,
    상기 부착몸체(200)는, 본체(100)에서 인식센서(131)가 구비된 측에 결합되어, 부착몸체(200)에 의해 파지된 대상물에 형성된 식별코드(32a)를 인식센서(131)를 통해 인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지 리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몸체(200)는, 투입구(110)가 형성된 본체(100)의 일면 측에서 투입구(110)로의 약포지(10) 투입이 간섭되지 않게끔 결합되되, 상기 본체(100)와 나란하게 결합되거나, 본체(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포지 리더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21273A 2021-02-17 2021-02-17 약포지 리더기 KR102507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73A KR102507293B1 (ko) 2021-02-17 2021-02-17 약포지 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73A KR102507293B1 (ko) 2021-02-17 2021-02-17 약포지 리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53A KR20220117653A (ko) 2022-08-24
KR102507293B1 true KR102507293B1 (ko) 2023-03-07

Family

ID=8311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273A KR102507293B1 (ko) 2021-02-17 2021-02-17 약포지 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896B1 (ko) 2023-08-10 2024-03-07 주식회사 푸른건설시스템 약봉지 자동 제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570B1 (ko) 2004-12-30 2007-04-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약인식기능을 갖는 조제용 약봉지 및 알약 패키지,모니터링장치
KR20160134950A (ko) * 2015-05-14 2016-11-24 주식회사 인포피아 퍼스널 디스펜서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53A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1756B2 (en) Dose dispensing apparatus
US7472526B2 (en) Packag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US20080303665A1 (en) Package-companion-user interactiv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20160207691A1 (en) Dispenser for dispensing a unitary dose of an active substance in a solid dosage form
DK2680178T3 (en) Method of monitoring the loading of a drug dispenser
US9460581B2 (en) Medication dispenser and method for dispensing medications
KR102507293B1 (ko) 약포지 리더기
CN106999351B (zh) 辅助药物填充和管理
JP2010524790A (ja) 分配システムおよび分配方法
KR101297272B1 (ko) 약 복용 지원 장치 및 약 복용 지원 장치의 수납함 배출 방법, 약복용 지원 시스템 및 약 복용 지원 방법
KR101497307B1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CN109640918A (zh) 用于药物的智能包装系统
KR20180019648A (ko) 점안 보조 기구
KR20160134950A (ko) 퍼스널 디스펜서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80210755A1 (en) Prescription medication information reading system
KR20140139998A (ko) 복약 관리 시스템 및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1656084B1 (ko) 약포 자동 배출 기능을 갖는 환자감시장치
KR101798671B1 (ko) 주입기 시스템
JP7155141B2 (ja) 医療装置、プログラミング装置、無線端末、および医療システム
EP1176936A1 (en) Apparatus for dosage of medicaments
JP6754092B2 (ja) 薬剤取りまとめ装置
WO2007096898A2 (en) A package-companion-user interactive system
EP2866210B1 (en) High efficiency automated pharmaceutical dispenser
KR20200001367U (ko) 자동 약 제공 기계
JP2010176474A (ja) Rfidタグ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