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086B1 -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 - Google Patents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086B1
KR102507086B1 KR1020220093613A KR20220093613A KR102507086B1 KR 102507086 B1 KR102507086 B1 KR 102507086B1 KR 1020220093613 A KR1020220093613 A KR 1020220093613A KR 20220093613 A KR20220093613 A KR 20220093613A KR 102507086 B1 KR102507086 B1 KR 10250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evice
image
unit
surrounding environment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병선
김학성
Original Assignee
(주)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20093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5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field- or frame-skip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에서의 촬영 영상이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저장부,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의 저장부에의 저장 실행을 결정하는 분석부,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부로 제공하는 감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카메라 장치에서의 촬영 영상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영상 저장 장비의 저장 용량 부족으로 인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Artificial Intelligent Network video recorder}
본 발명은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카메라 장치에서의 촬영 영상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영상 저장 장비의 저장 용량 부족으로 인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저장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안 또는 방범 관리가 필요한 장소에 개별 설치되는 CCTV 카메라에서의 촬영 영상은 외부 모뎀 및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 저장 장비(Network video recorder)로 전송되며, 영상 저장 장비는 각 CCTV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을 저장한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는 데이터 저장 용량의 한계로 인해 각 CCTV 카메라로부터 계속하여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충분한 정도의 장기간 동안 저장할 수 없으며, 이에 대부분의 영상 저장 장비는 영상 데이터를 일정 기간(예를 들면, 4주) 동안만 보관한 후 자동 삭제 처리함으로써 메모리의 용량을 자체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로 인해 CCTV 카메라 설치 장소에서의 사고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한 후 장기간이 지난 상태에서 해당 영상의 열람을 시도하는 경우에 영상 저장 장비에서 해당 영상이 이미 삭제되어 열람이 불가능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카메라 장치에서의 촬영 영상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영상 저장 장비의 저장 용량 부족으로 인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저장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는, 카메라 장치에서의 촬영 영상이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저장부;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영상의 상기 저장부에의 저장 실행을 결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상기 분석부로 제공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화재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모션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온습도 측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카메라 장치에서의 촬영 영상을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영상 저장 장비의 저장 용량 부족으로 인한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의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의 사용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300)는 카메라 장치(100)에 일체로서 장착되어 있는 모뎀 장치(200)로부터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카메라 장치(100)의 주변 환경 정보 또는 촬영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촬영 영상의 선택적 저장을 실행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100)는 C타입의 CCTV 카메라가 될 수 있으며, 카메라 장치(100)에 일체화되어 내장된 모뎀 장치(200)는 4.7㎓ 대역 등의 5G 특화망 전용 주파수를 활용하는 무선 모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300)는 감지부(310), 분석부(330), 저장부(350) 및 통신부(370)를 포함한다.
감지부(310)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저장 장비(300)가 설치된 장소, 영상 저장 장비(300)가 카메라 장치(100)에 인접하여 설치된 경우에는 카메라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 또는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한다(S41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감지부(310)가 감지하는 주변 환경 정보에는 주변 환경에 있는 사람들의 음성 정보, 주변 환경에서의 연기, 불꽃 등의 화재 발생 정보, 주변 환경에 있는 사람의 움직임 정보, 주변 환경에서의 온도 및 습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감지부(310)는 주변 환경에 있는 사람들의 특정 음성(예를 들면,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 불이야! 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모듈(311), 주변 환경에서의 화재 발생으로 인한 연기 또는 불꽃을 감지하는 화재 감지 모듈(313), 사람 또는 차량 등의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모션 감지 모듈(315), 주변 환경에서의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는 온습도 측정 모듈(317)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영상 저장 장비(300)에 화재 감지 모듈(313), 모션 감지 모듈(315), 및 온습도 측정 모듈(317)이 자체 구비되지 않고, 해당 주변 공간에 별도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 장치, 모션 감지 장치, 온습도 감지 장치로부터 통신부(370)가 각 감지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그 기능이 대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분석부(330)는 감지부(310) 또는 외부의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된 각종 주변 환경 정보를 분석하고(S430), 주변 환경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관련 촬영 영상을 저장부(350)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S450), 저장부(350)는 제어부(3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촬영 영상을 선택적으로 저장한다(S470).
구체적으로, 분석부(330)는 모션감지 모듈(315)로부터 수신한 모션감지 정보 또는 모뎀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주변 환경에서의 외부인의 침입, 배회, 쓰러짐, 쓰레기 무단 투기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해당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분석부(330)는 모뎀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주변 환경에서의 특정 주차 구역 등의 관리 대상 영역에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번호판을 부착한 차량 등의 물체가 소정의 기준 시간(예를 들면, 30분) 이상 계속하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불법 주정차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해당 차량의 촬영 이미지에 대해 분석된 영상 패턴이 저장부에 기 등록되어 있는 소정의 영상 패턴(예를 들면, 소방차, 경찰차, 구급차 등의 차량 영상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불법 주장차의 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분석부(330)는 모뎀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사람이 물건을 서로 주고 받는 동작, 허리 숙임 등의 동작이 주변 환경에서 실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내부 자료 무단 유출 등의 이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분석부(330)는 화재 감지 모듈(313)로부터 화재 감지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해당 시점에서 모뎀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화재 감지 모듈(313)은 연기 감지 모듈 또는 불꽃 감지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화재 감지 모듈(313)은 모뎀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촬영 영상 이미지에 화재로 인한 연기 또는 불꽃의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분석 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복수의 화재 감지 모듈(313)이 카메라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여러 지점에 개별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분석부(330)는 복수의 화재 감지 모듈(313) 중 가장 먼저 화재 감지 신호를 송신한 화재 감지 모듈(313)의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화재 감지 모듈(313)이 설치된 방향을 발화 지점의 방향으로 결정하고, 카메라 장치(100)가 발화 지점을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방향 전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촬영 방향 전환 동작이 이루어진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모뎀 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복수의 온습도 측정 모듈(317)이 카메라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여러 지점에 개별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분석부(330)는 복수의 온습도 측정 모듈(317)이 각각 측정한 온도의 편차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 복수의 온습도 측정 모듈(317) 중 가장 높은 온도값을 송신한 온습도 측정 모듈(317)이 설치된 방향을 발화 지점의 방향으로 결정하고, 카메라 장치(100)가 발화 지점을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방향 전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촬영 방향 전환 동작이 이루어진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모뎀 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분석부(330)는 연기 감지 모듈로부터 연기 감지 신호가 수신되고 있으나, 불꽃 감지 모듈로부터 불꽃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흡연으로 인한 연기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되, 복수의 연기 감지 모듈 중 가장 먼저 연기 감지 신호를 송신한 연기 감지 모듈의 설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연기 감지 모듈이 설치된 방향을 흡연 지점의 방향으로 결정하고, 카메라 장치(100)가 흡연 지점을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방향 전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그에 따라 촬영 방향 전환 동작이 이루어진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모뎀 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분석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방범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음성 인식 모듈(311)의 감지 정보 또는 모션 감지 모듈(315)의 감지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침입자의 영상 저장을 위해서,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모뎀 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음성 인식 모듈(311)의 감지 정보도 수신되지 않고 모션 감지 모듈(315)의 감지 정보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온습도 측정 모듈(317)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측정값의 단위 시간 동안의 기준 비율 이상의 변경(예를 들면, 1분 동안 20% 이상의 증가 또는 감소)이 있는 경우에 외부인의 침입 과정에서의 창문 개폐 등으로 인한 내부 공간의 온도 또는 습도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침입자의 영상 저장을 위해,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모뎀 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 분석부(330)는 복수의 온습도 측정 모듈(317) 중에서 상기와 같은 온습도의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온습도 측정 모듈(317)이 설치된 방향을 창문 등의 침입 개시 지점의 방향으로 결정하고, 카메라 장치(100)가 침입 개시 지점을 촬영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카메라 장치(100)의 촬영 방향을 해당 온습도 측정 모듈(317)이 설치된 방향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촬영 방향 전환 동작이 이루어진 카메라 장치(100)로부터 모뎀 장치(200)를 통해 수신된 촬영 영상이 저장부(350)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카메라 장치, 200: 모뎀 장치,
300: 영상 저장 장비.

Claims (4)

  1. 영상 저장 장비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에서의 촬영 영상이 선택적으로 저장되는 저장부; 및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영 영상의 상기 저장부에의 저장 실행을 결정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카메라 장치가 설치된 장소에 설치된 복수의 온도 측정 모듈로부터 각각 수신된 온도의 편차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복수의 온도 측정 모듈 중 가장 높은 온도값을 송신한 온도 측정 모듈이 설치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영 방향을 전환시키며, 촬영 방향이 전환된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방범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 상기 분석부는, 상기 온도 측정 모듈로부터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측정값에 단위 시간 동안의 기준 비율 이상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 침입자의 영상 저장을 위해,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되, 상기 복수의 온도 측정 모듈 중에서 상기 단위 시간 동안의 기준 비율 이상의 변경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온도 측정 모듈이 설치된 방향으로 상기 카메라 장치의 촬영 방향을 전환시키고, 촬영 방향이 전환된 상기 카메라 장치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인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경 정보를 상기 분석부로 제공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 저장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음성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저장 장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화재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인 영상 저장 장비.

KR1020220093613A 2022-07-28 2022-07-28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 KR10250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13A KR102507086B1 (ko) 2022-07-28 2022-07-28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613A KR102507086B1 (ko) 2022-07-28 2022-07-28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7086B1 true KR102507086B1 (ko) 2023-03-07

Family

ID=8551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613A KR102507086B1 (ko) 2022-07-28 2022-07-28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70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954A (ko) * 2007-04-10 2008-10-15 전자부품연구원 영상 획득 가능 센서 네트워크 노드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 및 전송 방법
KR20210009651A (ko) * 2019-07-17 2021-01-27 전병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954A (ko) * 2007-04-10 2008-10-15 전자부품연구원 영상 획득 가능 센서 네트워크 노드 및 이를 이용한 영상획득 및 전송 방법
KR20210009651A (ko) * 2019-07-17 2021-01-27 전병문 1인 가구를 위한 사설경호를 제공하는 o2o 기반 범죄예방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924B1 (ko) 카메라 감시 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17683A1 (en) Method and Surveillance System for Detecting Unwanted Intrusion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Devices
KR20190036443A (ko) 출입문용 감시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30215276A1 (en) Enhanced-security door lock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865388B1 (ko) 차량용 영상기록장치
KR20120124785A (ko)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259846B (zh) 工业巡逻机器人系统
US20040216165A1 (en) Surveillance system and surveillance method with cooperative surveillance terminals
KR20110086254A (ko) 웹카메라를 이용한 침입감지정보 실시간 전송 시스템
KR20190035187A (ko) 감시 지역 음성 경고 방송 시스템
KR100857073B1 (ko) 실시간 원격 감시 시스템
KR100932117B1 (ko)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감시 장치
KR20140122779A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7086B1 (ko) 인공 지능형 영상 저장 장비
KR101046819B1 (ko) 소프트웨어 휀스에 의한 침입감시방법 및 침입감시시스템
KR200188880Y1 (ko) 영상 전송용 보안 시스템
KR100819028B1 (ko) 보안 로봇 및 로봇을 이용한 보안 방법
KR101145510B1 (ko)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519145B1 (ko) 차량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90092901A (ko) 무인 방범시스템
KR101065144B1 (ko) 영상제어단말의 자동제어를 통한 사설 경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137539A (ko)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41312B1 (ko) 가정용 실시간 감시시스템
KR200409673Y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용 녹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