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998B1 -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 Google Patents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998B1
KR102506998B1 KR1020210061169A KR20210061169A KR102506998B1 KR 102506998 B1 KR102506998 B1 KR 102506998B1 KR 1020210061169 A KR1020210061169 A KR 1020210061169A KR 20210061169 A KR20210061169 A KR 20210061169A KR 102506998 B1 KR102506998 B1 KR 10250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rone
upper module
lower modul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776A (ko
Inventor
이종민
김용문
Original Assignee
(주)한국헬리콥터
김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헬리콥터, 김용문 filed Critical (주)한국헬리콥터
Priority to KR1020210061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9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5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는 드론의 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모듈, 드론의 랜딩 기어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모듈과 결속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부모듈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하부모듈에 장착되고,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이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부모듈은, 상부모듈의 외측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를 포함하고, 하부모듈은, 하부모듈의 내측면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끼움부, 하부모듈의 내측면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삽입부의 상부는 끼움부와 맞닿으며 고정되고, 제1 삽입부의 하부는 가이드부와 맞닿으며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TRANSPORT EQUIPMENT REPLACEMENT DEVICE OF DRONE}
본 발명은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드론의 본체에 촬영, 방제 등의 운송 가능한 장비를 간편하게 탈부착하여 교체가 가능한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론은 원격 조종과 자동 비행이 가능한 무인 비행체로서,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터를 회전시켜서 양력 및 추진력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로터가 4개인 쿼드롭터, 6개인 헥사콥터, 8개인 옥토콥터 등으로 구분되고, 통칭해서 멀티콥터로도 지칭된다.
일반적으로, 드론은 본체, 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암, 지지암의 끝부분에 설치된 로터로 구성되며, 메인바디의 하부에 방제장비, 촬영장비, 구급장비, 탑재장치 등과 같은 각종 추가 기기가 장착되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예컨대, 드론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농장에 농약을 살포할 경우에는 메인바디의 하부에 방제장비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드론을 이용하여 지상 촬영을 실시할 경우에는 메인바디의 하부에 카메라 장비가 설치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다양한 추가 기기들은 비정형화된 크기나 무게를 가지기 때문에, 드론 제작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추가 기기의 형태나 무게를 고려하여 메인 바디를 설계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드론의 안정적인 비행이나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하여 메인 바디상에 추가 기기를 견고히 창작하는 작업 과정이 수행된다.
그러나, 추가 기기를 메인바디에서 교체하는 작업 과정을 일반적인 드론 사용자가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론 제작자가 드론의 용도에 맞게 추가 기기를 고려하여 메인 바디를 설계하고, 그 메인 바디와 추가 기기의 결합을 위한 전용의 체결 부재들을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가 기기를 교체하려면 별도의 체결 부재들이 요구되고, 더불어, 메인 바디에서 추가 기기를 떼어내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드론을 또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추가 기기를 교체하는 작업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각 작업의 용도에 따라 드론을 구매하는 경우, 드론 구매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다수의 작업을 병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임무장비 결합장치를 별도로 제작하며 드론 본체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 144780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드론으로 각 작업의 용도와 목적에 따른 추가 기기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교체하여 드론 구매 비용을 줄이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 방제 등의 다수의 작업을 병행하여 드론 사용의 효율성을 높이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제장비, 촬영장비, 구급장비, 탑재장치 등과 같은 각종 추가 기기가 드론의 본체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는 드론의 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모듈, 드론의 랜딩 기어 상부에 장착되고, 상부모듈과 결속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부모듈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하부모듈에 장착되고,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이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부모듈은, 상부모듈의 외측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를 포함하고, 하부모듈은, 하부모듈의 내측면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끼움부, 하부모듈의 내측면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제1 삽입부의 상부는 끼움부와 맞닿으며 고정되고, 제1 삽입부의 하부는 가이드부와 맞닿으며 고정될 수 있다.
상부모듈은, 상부모듈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부모듈의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가이드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모듈은, 상부모듈의 외측면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 제2 방향으로 제2 삽입부를 관통하는 연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모듈은, 가이드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방향으로 하부모듈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은, 제1 방향으로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좌우관통홀 및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상하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는, 한 쌍의 좌우관통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핀은, 상하관통홀과 연결홀이 대향하며 위치할 경우, 상하관통홀과 연결홀에 삽입되어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을 연결시킬 수 있다.
하부모듈은, 하부모듈의 단부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모듈의 하부에 장착되고, 걸림부와 맞닿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은 드론의 본체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부모듈의 상부 및 하부모듈의 상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는 용도와 목적에 따른 다양한 기기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교체하여 드론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드론 본체에 각종 추가 기기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촬영, 방제 등의 다수의 작업을 병행하여 추가적인 드론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가 드론에 적용되는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상부모듈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하부모듈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고정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스토퍼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결합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가 드론에 적용되는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상부모듈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하부모듈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고정부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스토퍼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일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의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결합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1)는 드론 본체(60)의 하부에 장착되는 상부모듈(10)과 드론의 랜딩 기어(70) 상부에 장착되는 하부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1)는 드론 본체(60)와 랜딩 기어(70)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드론 본체(60)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지지암(61)과 지지암(61)의 단부에 설치된 로터(62)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론 본체(60)는 로터(62)가 4개인 쿼트콥터, 6개인 헥사콥터, 8개인 옥토콥더 등의 멀티콥터일 수 있다.
랜딩 기어(70)는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호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방제장비, 촬영장비, 구급장비, 탑재장치 등의 각종 추가 기기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랜딩 기어(70)에는 저장부(71)와 살포부(72)를 포함하는 방제장비가 탑재되어 대면적의 농장에 농약을 살포할 수 있다. 저장부(71)에는 농약이 저장되고, 살포부(72)는 저장부(71)에 저장된 농약을 살포할 수 있다. 살포부(72)는 안개형 노즐, 스프링쿨러형 노즐 등의 다양한 형태의 분사 노즐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랜딩 기어(70)에는 카메라 장비, GPS 모듈, 통신부 등을 포함하는 촬영장비가 탑재되어 지상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통하여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1)의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1)는 상부모듈(10), 하부모듈(20), 연결부(30), 고정부(40) 및 스토퍼(5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1)는 상부모듈(10), 하부모듈(20) 및 고정부(40)의 결합을 통해 드론 본체(60)와 랜딩 기어(70)를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
상부모듈(10)은 한 쌍으로,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모듈(10)은 제1 삽입부(11), 제2 삽입부(12), 안착부(13), 연결홀(14) 및 수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1)는 상부모듈(10)의 외측면의 일측에 위치하고, 제2 삽입부(12)는 상부모듈(10)의 외측면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삽입부(11)는 상부모듈(10)의 외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부(11)는 한 쌍으로,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격하며 위치하는 제1 삽입부(11)의 상부(11a) 및 제1 삽입부(11)의 하부(11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삽입부(12)는 상부모듈(10)의 외측면에서 x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12)에는 x축 방향을 따라 제2 삽입부(12)를 관통하는 연결홀(14)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14)은 x축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부모듈(10)까지 관통할 수도 있다. 제2 삽입부(12)는 한 쌍으로,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격하며 위치하는 제2 삽입부(12)의 상부(12a) 및 제2 삽입부(12)의 하부(1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12)의 상부(12a)에는 상부 연결홀(14a)이 형성되고, 제2 삽입부(12)의 하부(12b)에는 하부 연결홀(14b)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3)는 상부모듈(10)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부모듈(10)의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합될 경우, 안착부(13)는 가이드부(21)에 안착될 수 있다.
수용부(15)는 제2 삽입부(12)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부모듈(10)의 하측 단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5)에는 스토퍼(5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모듈(20)은 한 쌍으로, x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위치하며,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부모듈(20)은 가이드부(21), 관통홀(22), 끼움부(23) 및 걸림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21)는 하부모듈(20)의 내측면의 하부에서 x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합될 경우, 가이드부(21)에는 안착부(13)가 위치할 수 있다.
끼움부(23)는 하부모듈(20)의 내측면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끼움부(23)는 하부모듈(20)의 내측면의 상부에서 x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23)는 가이드부(21)와 z축 방향으로 상호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합될 경우, 끼움부(23)는 제1 삽입부(11)의 상부(11a)와 맞닿으며 고정되고, 가이드부(21)는 제1 삽입부(11)의 하부(11b)와 맞닿으며 고정될 수 있다.
관통홀(22)은 하부모듈(20)의 내측면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관통홀(22)은 가이드부(21)의 상부에 위치하고 x축 방향을 따라 하부모듈(20)을 관통할 수 있다. 관통홀(22)은 z축 방향으로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상하관통홀(22a)와 y축 방향으로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좌우관통홀(22b)로 구성될 수 있다. 관통홀(22)에는 연결핀(32)이 삽입될 수 있다.
걸림부(24)는 가이드부(21)의 일측에 위치하고, 하부모듈(20)의 하측 단부에서 y축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합될 경우, 걸림부(24)는 스토퍼(50)와 맞닿을 수 있다.
연결부(30)는 x축 방향으로 하부모듈(20)에 장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부모듈(20)과 상부모듈(1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부(30)는 내측으로 오목한 손잡이 형태로 사용자의 그립감을 높일 수 있다.
연결부(30)는 한 쌍의 연결핀(3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핀(32)은 연결부(30)에서 연장되고, 관통홀(22)에 삽입될 수 있다.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합될 경우, 한 쌍의 연결핀(32)은 회전하여 한 쌍의 좌우관통홀(22b)에서 한 쌍의 상하관통홀(22a)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연결부(30)의 내부에는 스프링(미도시)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연결부(30)를 외측방향으로 당긴 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1 영역(41), 제2 영역(42) 및 체결홀(4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0)는 상부가 드론 본체(60)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는 상부모듈(10)의 상부 및 하부모듈(2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드론 본체(60)의 하부에 결착될 수 있다.
제1 영역(41)과 제2 영역(42)은 고정부(40)의 사각형 형상에서 y축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나누어진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41)은 상부모듈(10)의 상부와 맞닿는 영역일 수 있으며, 제2 영역(42)은 하부모듈(20)의 상부와 맞닿는 영역일 수 있다.
체결홀(43)은 고정부(40)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며, 체결홀(43)에는 상호 결착된 상부모듈(10) 및 하부모듈(20)을 드론 본체(60)의 하부에 결착시키거나, 상부모듈(10) 및 하부모듈(20)과 고정부(40)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너트, 핀 등의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다.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0)는 x축 방향으로 장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제1 영역(51), 제2 영역(52), 체결홀(53) 및 오목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50)는 상부모듈(1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영역(51)과 제2 영역(52)은 스토퍼(50)의 직사각형 형상에서 y축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나누어진 영역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역(52)은 오목부(54)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51)은 상부모듈(10)의 하부와 결합되는 영역으로, 상부모듈(10)의 수용부(15)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영역(52)은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합될 경우, 하부모듈(20)과 맞닿는 영역으로, 하부모듈(20)의 걸림부(24)에 위치할 수 있다.
체결홀(53)은 스토퍼(50)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며, 체결홀(53)에는 상부모듈(10)과 스토퍼(50)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 너트, 핀 등의 체결구가 삽입될 수 있다. 오목부(54)는 스토퍼(50)의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인 y축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합될 경우, 오목부(54)는 하부모듈(20)의 걸림부(24)와 맞닿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1)의 결합 구조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토퍼(50)가 장착된 상부모듈(10)을 연결부(30)가 삽입된 하부모듈(20)에 엇갈리게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안착부(13)는 가이드부(21)에 안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화살표 방향으로 상부모듈(10)을 밀면, 상부모듈(10)은 가이드부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스토퍼(50)가 걸림부(24)와 맞닿게 되면, 상부모듈(10)의 슬라이딩은 정지되고,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은 상호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삽입부(11)의 상부(11a)는 끼움부(23)와 맞닿으며 고정되고, 제1 삽입부(11)의 하부(11b)는 가이드부(21)와 맞닿으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한 쌍의 연결핀(32)은 좌우관통홀(22b)을 통과하여 제2 삽입부(12)의 상부(12a)와 하부(12b) 사이의 이격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하관통홀(22a)은 연결홀(14a, 14b)과 대향하며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연결부(30)를 외측 방향으로 당기며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켜 좌우관통홀(22b)에 삽입되어 있던 한 쌍의 연결핀(32)을 상하관통홀(22a)에 삽입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한 쌍의 연결핀(32)은 상하관통홀(22a)을 통과하여 연결홀(14a, 14b)에 삽입되어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을 상호 결착 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합될 경우, 1차적으로, 제1 삽입부(11a, 11b)는 각각 가이드부(21) 및 끼움부(23)에 의해 고정되고, 2차적으로, 연결핀(32)을 통해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착될 수 있으므로,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의 결합이 x축 방향과 z축 방향으로 해제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합되면, 상부모듈(10)에 장착된 스토퍼(50)가 하부모듈(20)의 걸림부(24)와 맞닿게 되므로, 하부모듈(20)에서 상부모듈(10)의 y축 방향에 대한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은 x축, y축, z축 전방향에 대한 이동이 제한된 견고한 상태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1)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의 결합 위치가 변하지 않으므로 결합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상호 결착되면,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의 상부에는 고정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40)의 하부는 상부모듈(10)의 상부와 및 하부모듈(20)의 상부와 결합되고 고정부(40)의 상부는 드론 본체(60)의 하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결착된 상태에서 고정부(40)를 통해 드론 본체(60)와 결합될 경우,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의 결합 안정성을 높이면서 드론 본체(6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1)는 상부모듈(10)과 하부모듈(20)이 각각 여러 종류의 다양한 드론 본체(60)와 랜딩 기어(70)에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부모듈(10)이 하부모듈(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고, 연결부(30)가 회전하면서 간단하게 상호 결착될 수 있다.
즉,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1)는 드론 본체(60)와 다양한 랜딩 기어(70)를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고, 하나의 드론으로 각 작업의 용도와 목적에 따른 추가 기기를 원터치 방식으로 간단하게 교체하여 드론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추가적인 드론 구매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상부모듈
11: 제1 삽입부
12: 제2 삽입부
13: 안착부
14: 연결홀
15: 수용부
20: 하부모듈
21: 가이드부
22: 관통홀
22a: 상하관통홀
22b: 좌우관통홀
23: 끼움부
24: 걸림부
30: 연결부
32: 연결핀
40: 고정부
41: 제1 영역
42: 제2 영역
43: 체결홀
50: 스토퍼
51: 제1 영역
52: 제2 영역
53: 체결홀
54: 오목부
60: 드론 본체
61: 지지암
62: 로터
70: 랜딩 기어
71: 저장부
72: 살포부

Claims (10)

  1. 드론의 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부모듈,
    상기 드론의 랜딩 기어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모듈과 결속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부모듈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하부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모듈과 상기 하부모듈이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상부모듈과 상기 하부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모듈은, 상기 상부모듈의 외측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모듈은, 상기 하부모듈의 내측면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끼움부, 상기 하부모듈의 내측면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상부는 상기 끼움부와 맞닿으며 고정되고, 상기 제1 삽입부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맞닿으며 고정되며,
    상기 상부모듈은, 상기 상부모듈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모듈의 외측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모듈은, 상기 상부모듈의 외측면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삽입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삽입부를 관통하는 연결홀을 포함하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은,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하부모듈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좌우관통홀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대향하며 위치하는 한 쌍의 상하관통홀을 포함하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한 쌍의 좌우관통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핀을 포함하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핀은, 상기 상하관통홀과 상기 연결홀이 대향하며 위치할 경우, 상기 상하관통홀과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모듈과 상기 하부모듈을 연결시키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모듈은, 상기 하부모듈의 단부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모듈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기 걸림부와 맞닿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드론의 본체 하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모듈의 상부 및 상기 하부모듈의 상부와 연결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KR1020210061169A 2021-05-12 2021-05-12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KR10250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169A KR102506998B1 (ko) 2021-05-12 2021-05-12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169A KR102506998B1 (ko) 2021-05-12 2021-05-12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776A KR20220153776A (ko) 2022-11-21
KR102506998B1 true KR102506998B1 (ko) 2023-03-09

Family

ID=84233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169A KR102506998B1 (ko) 2021-05-12 2021-05-12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9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802B1 (ko) * 2015-02-04 2016-04-11 주식회사 공간정보 짐벌 체결용 무인비행시스템
KR102209731B1 (ko) * 2020-07-30 2021-01-29 주식회사 이노컨 드론 운송모듈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809B1 (ko) 2013-03-22 2014-10-08 김명호 그립형 이착륙 장치가 구비된 무인항공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802B1 (ko) * 2015-02-04 2016-04-11 주식회사 공간정보 짐벌 체결용 무인비행시스템
KR102209731B1 (ko) * 2020-07-30 2021-01-29 주식회사 이노컨 드론 운송모듈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776A (ko) 202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021B1 (ko) 슬라이드 암이 적용된 다목적 드론
US9914538B2 (en) Rotor shrouding apparatus, supporting assembly,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the same
US20190248464A1 (en) Connecting assembly, arm of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nmanned aerial vehicle
US10478841B2 (en) Modular sprayer system for heavy-lift unmanned aerial vehicles
US10399703B2 (en) Articulated support for unmanned aircraft system
JP7285847B2 (ja) 無人航空機
US20170225782A1 (en) Stowable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623969B2 (en) Multicopter with detachable wing
US841895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having spherical loading portion and unmanned ground vehicle therefor
CN107249982B (zh) 减震结构及使用该减震结构的云台组件、无人机
JP6230711B2 (ja) モバイルプラットフォームを組み立てる方法、装置及びキット
US20170291677A1 (en) Folding heavy-lift unmanned aerial vehicle frame
US20200317324A1 (en) Modular apparatus, design, concept for modules, connection, attachment and capability adding structural add ons for vehicles, structures
US11040782B1 (en) Adjustable leveling drone platform
CN109153439B (zh) 无人飞行器
WO2021253750A1 (zh) 云台、摄像载体及可移动平台
KR102209731B1 (ko) 드론 운송모듈 결합장치
JP2019098194A5 (ko)
KR102506998B1 (ko) 드론의 운송 장비 교체 장치
KR101851322B1 (ko) 다목적용 탑재체 장착이 용이한 드론
US12012203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folding landing gear
KR101816285B1 (ko) 조립이 용이한 드론
CN212890893U (zh) 飞行器的机身组件及飞行器
US11319046B2 (en) Folding heavy-lift unmanned aerial vehicle frame
CN209870715U (zh) 一种可折叠多轴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