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099B1 -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099B1
KR102506099B1 KR1020220120113A KR20220120113A KR102506099B1 KR 102506099 B1 KR102506099 B1 KR 102506099B1 KR 1020220120113 A KR1020220120113 A KR 1020220120113A KR 20220120113 A KR20220120113 A KR 20220120113A KR 102506099 B1 KR102506099 B1 KR 102506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skin
lysine
alkylated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윤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윤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윤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20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99943552-pat00028

[화학식 2]
Figure 112022099943552-pat00029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는, 상세한 설명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EFFECT OF SKIN ELASTICITY, MOISTURE, WHITENING, ANTI AGING AND WRINKLE IMPROVEMENT}
본 발명은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최외곽에서 보호막의 기능을 수행하며 물과 전해질 등의 생체 성분의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유해 물질의 생체 내 유입을 차단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각질층은 피부 최외곽층을 형성하여 건조한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부 내부의 수분 손실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그 자신도 적당한 수분을 보유하여 유연성 내지 탄력성을 보이게 된다.
인체 피부의 각질층은 보통 10 중량% 이상의 수분이 함유되어 탄력성과 유연성을 지니게 된다. 물의 함유 정도는 피부에 부위별로 보면 깊은 진피에서 표면의 표피로 갈수록 감소한다. 각질층은 약 15 중량%의 물, 70 중량%의 단백질 및 15 중량%의 지질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 진피층, 특히 각질형성 세포는 70 중량%의 물, 15 중량%의 단백질 및 5 중량%의 지질로 구성된다. 각질세포가 피부 표면에 가까워질수록, 수분함량은 점점 감소하여 결국 5~10 중량%에 이르게 된다. 아무리 좋은 피부라 할지라도 최외곽의 피부는 20 중량% 이상의 물이 함유되지 않는다. 보통 촉촉한 피부라 일컫는 피부의 각질층 수분량은 15 중량% 내외인 것을 의미한다.
노화, 호르몬 분비 변화, 바람, 기온 및 햇빛 등과 같은 외부 환경, 세안 및 면도 등과 같은 물리적 인자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피부 수분 균형을 잃게 되어 각질층의 수분 함량이 10 중량% 이하인 건성피부가 되기 쉽다. 이로 인해 피부의 탄력성 및 유연성이 소실되며, 궁극적으로 피부의 보호기능이 사라져 피부 갈라짐, 홍반, 가려움증 등이 유발되고, 더 심해지면, 건선,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인이 되는 요인을 해결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겠지만 그 원인이 다양하고, 불가항력적인 원인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차선책이 강구되고 있다. 그 방법은 피부 수분량 감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피부세포 자체의 수분의 증발을 막아 보호하는 방법과 피부에 인위적인 보습막을 형성시켜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자극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 중에서 인위적인 보습막을 형성시켜주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며, 이를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피부 보습제 및 보습 화장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보습제 및 보습 화장품 원료로서 피부 친화형 재료들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보습제 성분 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글리세린이나 솔비톨과 같은 수용성 다가 알코올류는 뛰어난 보습력을 나타내지만 끈적임이 심해 불쾌감을 유발하며 물리적인 영향으로 인해 쉽게 피부 표면에서 분리되어 장시간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 또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과 같은 원료는 다량, 반복 사용 시 홍반 등과 같은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기도 한다. 더불어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인 젖산 나트륨(Na-lactate),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PCA-Na), 요소(Urea) 등은 전해성이 강해 화장품이나 보습제 제품 등의 유화안정성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효과에도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화학제제가 아닌 생물유래 혹은 생물학적 제재를 활용하여 피부에 보습막을 형성하려는 노력이 많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 천연물 추출물, 각종 단백질 및 그 분해 산물들을 보습 성분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많으며, 실제로 이러한 성분이 함유된 제품들이 개발되어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 중에서 단백질 분해 산물의 경우 콜라겐 분해 산물, 엘라스틴 분해 산물, 실크 분해 산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의 경우 일관된 보습 능력을 보여주지 못할뿐더러, 그 효과도 미미하기에 고농도로 함유해야만 보습 능력을 보여주는 경향이 있다.
특히 실크는 피브로인(fibroin)과 세라이신(sericin)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백질계 섬유로 예전에는 옷감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연구에 의하여 실크 단백질 및 그의 분해 산물인 펩타이드와 그 아미노산들이 혈중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 숙취해소 및 치매 예방 효과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 기능성 식품 및 화장료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실크유래 단백질 및 그 분해 산물인 실크 펩타이드가 보습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과 이를 화장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여러 특허 및 논문에 개시된 바 있다.
한편 태양광의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과 재생의 반복은 피부 주름을 형성하며 "광노화 (photo-aging)"로 이어진다. 자외선에 대한 만성적인 노출은 기저막 단백질 분해효소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진피층의 80% 이상을 차지하면서 피부조직의 탄성과 강도에 중요한 세포외 기질 (extracellular matrix, ECM) 단백질인 콜라겐 (collagen)을 파괴시킨다. 파괴된 콜라겐은 상처 치유과정으로 재생되는 과정에서 변형된 형태로 축적되어 임상적으로 주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지속적인 자외선에 의한 피부 노출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켜 만성적인 피부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아디포넥틴(Adiponectin)은 지방세포(adipocyte)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아디포카인(Adipokine)으로서, 지방생성 및 억제, 식욕 조절, 인슐린 저항성 조절, 염증 조절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광노화된 피부의 피하지방에서 아디포넥틴이 감소하고 자외선 노출시 아디포넥틴의 생성이 감소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자외선에 의해 아디포넥틴의 발현이 감소하면 MMP-1 증가 및 콜라겐 생합성을 억제시켜 광노화가 가속화됨이 보고되었다.
자가포식(autophagy)은 세포 내 에너지원이 고갈되거나 세포 내 스트레스 요인이 과도하게 발생했을 때 노후 혹은 손상된 세포 내 물질 및 기관을 분해함으로 에너지 재생산 및 손상 물질을 제거하는 기작을 말하며, 정상적인 세포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자가포식은 세포 내 항상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 반응과 염증 경로에도 관련되어 있다. 세포 내 미생물들의 제거를 위한 메커니즘을 자가포식 어뎁터들을 통해 제공한다.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노화가 진행될수록 또는 노화를 가속화시킬수록 세포 내 자가포식 활성이 급격히 감소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자가포식을 억제시킨 경우 세포 내에 노후 미토콘드리아나 잘못 접힌 단백질 등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세포 내 자유 라디칼 및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결국에 세포의 사멸이 증가하고 노화가 촉진되는 결과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세포 내 노화된 물질 및 기관을 분해하고 그 분해산물을 재활용하는 자가포식 기작의 활성화를 통해 변형된 단백질, 지질 및 미토콘드리아 등을 빠르게 제거하고, 이를 통해 세포가 좀 더 건강한 상태로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아디포넥틴의 발현 증가와 더불어 세포 내 자가포식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새로운 활성의 소재가 개발되면 자외선으로 인한 주름 형성과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독성물질, 그리고 미세 염증환경으로부터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고 광노화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7299호(2008.07.18. 공고, 발명의 명칭: 보습능이 우수한 실크펩타이드 분획 및 그의 용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와, 상기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광 및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주름, 염증 및 항산화 특성 개선과 홍조(붉은기) 완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투과성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9994355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X1, X2,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CH2)mC(=O)OH(m은 1~5의 정수) 또는 하기 구조식의 W기이며,
Figure 112022099943552-pat00002
(상기 W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또는 -(CH2)mC(=O)OH(m은 1~5의 정수) 이고, 상기 Z1 및 Z2는, Z1은 산소(O) 원자 및 Z2는 수소(H) 원자, 또는 Z1은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R)를 가진 -NHCHRC(=O)OH 이고 Z2는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R')를 가진 -NHCHR'C(=O)OH 이며, Z1 및 Z2가 서로 아미드 결합된 형태이고, n은 1~7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99943552-pat00003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2 이다).
한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0.05~5 중량%,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0.05~5 중량%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005~0.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1:1~1:4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에센스,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수중유형)(O/W), Water-in-Oil(유중수형)(W/O) 또는 Water-in-Silicone(실리콘중수형)(W/S)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상기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하며, 태양광 및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주름, 염증 및 항산화 특성 개선과 홍조(붉은기) 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투과 효율성 및 피부 세포 재생 효과가 우수하고,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a)는 실시예 1의 아디포넥틴 발현 효과를 나타낸 공초점 현미경 사진이며, 도 1(b)는 실시예 1의 자가포식 활성화 관련한, 단백질 발현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 처리시 자외선에 의한 MMP-1 발현 감소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99943552-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X1, X2,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CH2)mC(=O)OH(m은 1~5의 정수) 또는 하기 구조식의 W기이며,
Figure 112022099943552-pat00005
(상기 W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또는 -(CH2)mC(=O)OH(m은 1~5의 정수) 이고, 상기 Z1 및 Z2는, Z1은 산소(O) 원자 및 Z2는 수소(H) 원자, 또는 Z1은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R)를 가진 -NHCHRC(=O)OH 이고 Z2는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R')를 가진 -NHCHR'C(=O)OH 이며, Z1 및 Z2가 서로 아미드 결합된 형태이고, n은 1~7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99943552-pat00006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2 이다).
(1)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2099943552-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X1, X2,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CH2)mC(=O)OH(m은 1~5의 정수) 또는 하기 구조식의 W기이며,
Figure 112022099943552-pat00008
(상기 W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또는 -(CH2)mC(=O)OH(m은 1~5의 정수) 이고, 상기 Z1 및 Z2는, Z1은 산소(O) 원자 및 Z2는 수소(H) 원자, 또는 Z1은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R)를 가진 -NHCHRC(=O)OH 이고 Z2는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R')를 가진 -NHCHR'C(=O)OH 이며, Z1 및 Z2가 서로 아미드 결합된 형태이고, n은 1~7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은 인체에 적용 시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없이 피부에 최적의 보습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피부 수분 보유능력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며, 작업 시 및 피부 적용 시의 응용성 및 발림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포함시, 피부 부작용 및 끈적임이 없으며, 피부 표면에 장시간 보습막을 형성해 주어 우수하고 지속적인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하기 화학식 1-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22099943552-pat00009
(상기 화학식 1-1에서, R 및 R'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라이신, 히스티딘, 라이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트립토판 및 티로신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의 곁가지이고, n은 3~7의 정수이고, m은 1~5의 정수이다).
상기 아미노산 조합의 예로서, 화학식 1-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N-알킬화된 라이신 또는 N-알킬화된 오르니틴 아미노산에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라이신이 아미드 결합을 하고 있는 트리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조합의 예로서, (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 (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라이신, (N-알킬화된 라이신)-글루탐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라이신)-글루탐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라이신)-글루탐산-라이신, (N-알킬화된 라이신)-아르기닌-히스티딘, (N-알킬화된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N-알킬화된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 (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글루탐산-아르기닌, (N-알킬화된)-글루탐산-히스티딘, (N-알킬화된)-글루탐산-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아르기닌-히스티딘, (N-알킬화된 오르니틴)-아르기닌-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히스티딘-라이신인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는 아미드 결합을 나타낸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하기 화학식 1-2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2]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0
(상기 화학식 1-2에서, R 및 R'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라이신, 히스티딘, 라이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트립토판 및 티로신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의 곁가지이고, n은 3~7의 정수이고, m은 1~5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2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N-알킬화된 라이신 또는 N-알킬화된 오르니틴이 각각 또는 동시에 다이 펩타이드를 이루고 있고, 이에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라이신이 아미드 결합을 하고 있는 테트라 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조합의 예로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라이신,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글루탐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글루탐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글루탐산-라이신,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르기닌-히스티딘,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글루탐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글루탐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글루탐산-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르기닌-히스티딘,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르기닌-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히스티딘-라이신인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는 아미드 결합을 나타낸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하기 화학식 1-3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3]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1
(상기 화학식 1-3에서, R 및 R'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라이신, 히스티딘, 라이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트립토판 및 티로신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의 곁가지이고, n은 3~7의 정수이고, m은 1~5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3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N-알킬화된 라이신 또는 N-알킬화된 오르니틴의 사이드 체인에 N-알킬화된 라이신 또는 N-알킬화된 오르니틴이 각각 또는 동시에 다이 펩타이드를 이루고 있고, 이에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라이신이 아미드 결합을 하고 있는 테트라 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조합의 예로서,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 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아르기닌,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히스티딘,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스파르트산-라이신,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글루탐산-아르기닌,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글루탐산-히스티딘,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글루탐산-라이신,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르기닌-히스티딘,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라이신)-(N-알킬화된 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아르기닌,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히스티딘,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라이신,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글루탐산-아르기닌,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글루탐산-히스티딘,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글루탐산-라이신,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르기닌-히스티딘,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아르기닌-라이신, (사이드 체인과 아미드 결합된 N-알킬화된 오르니틴)-(N-알킬화된 오르니틴)-히스티딘-라이신인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 는 아미드 결합을 나타낸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하기 화학식 1-4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4]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2
(상기 화학식 1-4에서, R 및 R' 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라닌,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글라이신, 히스티딘, 라이신,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트립토판 및 티로신 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의 곁가지이고, n은 3~7의 정수이고, m은 1~5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4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라이신 또는 오르니틴의 N-말단과 사이드 체인에 N-알킬화된 라이신 또는 N-알킬화된 오르니틴이 동시에 아미드 결합을 이루고 있고, 이에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아르기닌, 히스티딘 또는 라이신이 아미드 결합을 하고 있는 펜타 펩타이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아미노산 조합의 예로서,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아스파르트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아스파르트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아스파르트산-라이신,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글루탐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글루탐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글루탐산-라이신,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아르기닌-히스티딘,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아르기닌-라이신,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히스티딘-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글루탐산,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아스파르트산-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글루탐산-아르기닌,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글루탐산-히스티딘,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글루탐산-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아르기닌-히스티딘,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아르기닌-라이신,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히스티딘- 라이신인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펩타이드 유도체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 는 아미드 결합을 나타낸다. 또한, "(N-알킬화된 라이신)2-라이신"은 라이신의 N-말단과 사이드 체인에 각각 N-알킬화된 라이신이 아미드 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N-알킬화된 오르니틴)2-오르니틴" 은 오르니틴의 N-말단과 사이드 체인에 각각 N-알킬화된 오르니틴이 아미드 결합을 이루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펩타이드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하여, 친수성 잔기들 및 수분을 유지시키는 능력이 있는 물질들의 구조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보습 능력이 탁월하다고 알려진 물질들인 아미노산,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아미노헥사노익산 등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반응성 잔기로 카르복실 그룹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실크 펩타이드 분해 산물 중 보습능력이 우수한 분획물의 조성을 분석해본 결과 다이 혹은 트라이 펩타이드에 카르복실기가 포함된 분해 산물이 대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다이 혹은 트라이 펩타이드를 기본으로 카르복실기가 충만한 상태의 펩타이드 유도체로서 보습 능력을 극대화시킨 원료 물질인 화학식 1,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4의 펩타이드 화합물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 1,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4의 펩타이드 화합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산은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푸마르산, 말레산, 인산,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 숙신산, 톨루엔-p-설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포름산, 벤조산, 말론산, 나프탈렌-2-설폰산 및 벤젠설폰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및 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으로 헵타소듐 헥사카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헵타소듐 헥사카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는 0.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부작용 및 끈적임이 없으며, 피부 표면에 장시간 보습막을 형성해 주어 우수하고 지속적인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업계에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은 0.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부작용 및 끈적임이 없으며, 피부 표면에 장시간 보습막을 형성해 주어 우수하고 지속적인 보습 효과, 피부 거칠음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2)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3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2 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아디포넥틴(Adiponectin) 및 자가포식 활성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화합물은 아디포넥틴 발현증가 유도 화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에서, n이 2인 화합물을 적용시 자가포식 활성화를 유도하는 동시에 아디포넥틴 발현을 증가시켜 항노화 및 피부 붉은기 바람직하게는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단백질의 분해를 감소시켜 광노화, 피부 붉은기 및 산화 스트레스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만일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발현증가 유도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2의 n이 2 이외의 화합물을 적용시, 자가포식 활성화를 유도할 뿐 아디포넥틴 발현을 증가시키지 못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카이랄 비대칭 탄소원자를 함유하며, 이에 따라 상기 화학식 2의 아디포넥틴 발현증가 유도 화합물은 라세미체 및 광학적 활성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 및 거울상 이성질체 모두 상기 화학식 2 화합물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상기 화학식 2-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1]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4
세포 내 자가포식 활성화는 젊은 사람의 조직 및 세포에서는 활발이 일어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세포 내 자가포식 관련 단백질의 발현량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자가포식 활성도가 급격히 저하되게 되어, 세포 내 노후 단백질, 지질 및 미토콘드리아가 시의적절하게 제거되지못해 세포 노화 현상이 급속도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세포 내 자가포식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각 세포, 조직 및 개체의 노화를 억제하고 피부 붉은기를 완화하고 노화로 인해 야기되는 피부 질환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아디포넥틴 발현증가 유도 화합물이 자가포식 활성화뿐만 아니라 광에 노출되면 생성이 감소되는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디포넥틴 발현증가 유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자가포식 활성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광에 의해 감소되는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항노화 및 피부 붉은기 완화에 매우 효과적이며, 광에 의해 발현되는 피부질환, 특히 염증질환의 예방,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항노화에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에 의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에 의한 항노화에 유용하며, 광노화 또는 산화 스트레스의 개선 및 예방에 보다 유용하고, 구체적으로 주름 또는 피부 노화의 예방 또는 개선에 보다 유용할 수 있다.
상기 "주름"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감소, 외부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피부노화"는 피부의 탄력감소, 윤기감소, 주름생성, 재생력 약화 또는 심한 건조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시간의 흐름 또는 외부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피부 홍조(붉은기)"는 피부에 붉은기가 증가하는 현상으로, 자외선, 대기오염, 기후와 같은 환경적 요인 및 여드름, 건선, 호르몬 변화에 의한 내재적 요인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유기산, 또는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한다. 적합한 산의 예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과염소산, 푸마르산, 말레산, 인산, 글리콜산, 락트산, 살리실산, 숙신산, 톨루엔-p-설폰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트리플루로초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포름산, 벤조산, 말론산, 나프탈렌-2-설폰산, 벤젠설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및 암모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0.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자가포식 활성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대시키고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항노화 및 피부 붉은기 완화에 매우 효과적이며, 광에 의해 발현되는 피부질환, 특히 염증질환의 예방,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5~0.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업계에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으로 테트라카르복시메틸 헥사노일 다이펩타이드-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테트라카르복시메틸 헥사노일 다이펩타이드-12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으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자가포식 활성화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대시키고 아디포넥틴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항노화 및 피부 붉은기 완화에 매우 효과적이며, 광에 의해 발현되는 피부질환, 특히 염증질환의 예방,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5~0.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 2의 화합물 및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1~1:4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비 범위로 포함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감과 발림성이 우수하고, 피부 부작용 및 끈적임이 없으며, 피부 표면에 장시간 보습막을 형성해 주어 우수하고 지속적인 보습 효과, 피부 톤, 피부 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광노화, 피부 붉은기 및 산화 스트레스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1:3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3)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상기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로,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섬유아세포의 증식을 도와주는 인자이다. 상기 섬유아세포는 진피층을 이루고 있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데, 인체가 노화됨에 따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및 엘라스틴 생성속도가 느려지면서, 진피층이 감소하게 되는데 그로 인해 피부재생이 늦어져 외면의 피부노화가 진행된다.
상기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은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의 성장을 촉진하고 자극하여,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 세포 재생, 피부 진정 및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은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은 인간의 염기성 섬유아세포성장인자(bFGF)로부터 유래한 Tyr-Arg-Ser-Arg-Lys-Tyr-Thr-Ser-Trp-Tyr(YRSRKYTSWY)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섬유아세포 성장인자의 기능을 가지는 폴리펩타이드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아미노산 서열은 bFGF의 세포 수용체 결합부위 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제조방법으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고 할 것이나, 그 중에서도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상의 폴리펩타이드 합성법을 이용하여 통상적인 Fmoc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11556호에 언급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bFGF의 수용체 부착 부위로 알려진 특정 부위를 선정하여 고상 폴리펩타이드 합성법(SPPS; solid phase polypeptide synthesis)을 이용하여 폴리펩타이드를 합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생체 내의 단백질 절단 효소로부터의 공격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아미노 말단 및 카르복시 말단을 변형하거나 여러 유기단으로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C-말단은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변형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고 할 것이나, 그 중에서도 특히, 히드록시기(-OH) 또는 아미노기(-NH2)로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N-말단은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보호될 수 있는 형태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특히, 아세틸(Acetyl)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Fmoc)기, 포르밀(Formyl)기, 팔미토일(Palmitoyl)기, 미리스틸(Myristyl)기 및 스테아릴(Stearyl)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기로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폴리펩타이드의 경우, bFGF와 같이 염기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에 대한 결합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경우, bFGF와 동일한 생리활성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일반 bFGF에 비하여 안정성이 매우 증가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은 0.0005~0.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화장료 조성물의 혼합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사용감과 발림성이 우수하고,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피부 세포 재생, 피부 진정 및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은 0.001~0.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상기 에스에이치 폴리펩타이드-1 이외에 통상의 제품화 또는 제제화에 사용 가능한 모든 종류의 성분, 예컨대 향료, 색소, 살균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보습제, 안정화제, 유화제, 점증제, 액정 막강화제, 안료, 부형제, 희석제, 무기염류 및 합성 고분자 물질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종류와 함량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헵타소듐 헥사카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 0.05~5 중량%, 테트라카르복시메틸 헥사노일 다이펩타이드-12 0.05~5 중량%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005~0.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테트라카르복시메틸 헥사노일 다이펩타이드-12, 및 헵타소듐 헥사카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은 1:1~1:4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에틸헥실글리세린, 페녹시에탄올, 카프릴하이드록사믹애씨드 및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등의 방부제; 메톡시계피산유도체, 디페닐아크릴산유도체, 살리실산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유도체, 트리아진유도체, 벤조페논유도체, 벤잘말로네이트유도체, 안트라닐유도체, 이미다졸린유도체, 4,4-디아릴부타디엔 유도체 및 페닐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등의 자외선 흡수제; 세테아릴 알코올, 세틸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 등의 지방(fatty) 알코올 및 비스피이지15/메틸에틸디메틸 실란, 디메치콘/디메치콘 피이지-10/15, 디메치콘/폴리글리세린-3, 디메치콘/디메치코놀, 디메치콘/디메치콘 비닐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코놀, 사이클로메치콘/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사이클로펜타실록산/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피이지-12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세테아릴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론산/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등의 실리콘 폴리머 등에서 선택되는 안정화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에서 선택되는 유화제가 혼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릴-4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5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7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9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5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7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9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5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7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8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9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7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8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9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코코에이트, 폴리글리세릴-6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7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8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9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1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2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1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2 올레에이트, 폴리글리세릴-10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1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12 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6 베헤네이트 등의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계 계면활성제로 폴리글리세릴과 지방산을 반응시켜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절한 점도를 부여하여 사용감 및 제형의 안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카보머, 카보폴, 젤라틴, 잔탄검, 천연 셀룰로오스, 하이셀, 메틸 셀룰로오스 등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액정 막강화제는 액정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촘촘하게 울타리를 연결하여 액정의 장기간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피토스핑고신, 비스하이드록시에틸 비스세틸말로아미드, 콜레스테롤 이소스테아레이트, 콜레스테롤 올레이트, 콜레스테롤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세라마이드 류(일예,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6)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안료는 체질 안료, 백색 안료, 착색 안료, 진주광택 안료, 금속 분체, 유기 분체 등을 포함하며, 상기 체질 안료로는 탈크, 마이카, 카올린, 탄산칼슘, 활석, 알루미나, 규산바륨, 제올라이트, 백운모,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등이 가능하고, 백색 안료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이 가능하고, 착색 안료로는 벤가라, 황산화철, 흑산화철, 산화크롬, 군청, 감청, 및 카본 블랙 등이 가능하고, 진주광택 안료로는 이산화티탄, 운모티탄, 티탄산철 및 산화티탄 피복운모, 실리카, 틴옥사이트, 및 페릭 페로시아니드 등이 가능하며, 금속 분체로는 금, 은, 동, 팔라듐, 백금 등이 가능하며, 유기 분체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나일론, 셀룰로오스, 녹말 등이 가능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공지된 바의 천연물, 무기계, 및 유기계 안료가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천연물 안료로는 치자옐로우, 치자블루, 치자그린, 치자레드, 홍국적 색소, 홍국황 색소, 홍화황색소, 아나토 색소, 코치닐 색소, 락 색소, 고량 색소, 포도과피 색소, 적양배추 색소, 엘더베리 색소, 블루베리 색소, 파프리카 색소, 캬라멜 색소, 적무우 색소, 감 색소, 리보플라빈, 베타카로틴, 카카오 색소, 터메릭 색소, 콘레드 색소, 비트레드 색소, 안토시안, 안토시아닌, 피코시안, 피코시아닌, 클로로필 색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무기계 안료로는 금속 산화물, 특히, 산화철(적색, 흑색, 황색, 갈색), 이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크롬, 비스무스 옥시클로라이드,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코발트, 산화세륨, 산화니켈, 수산화칼슘, 수산화철,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크로뮴, 수산화마그네슘, 페릭암모늄페로시아나이드, 프러시안 블루, 황화철, 망간 바이올렛, 카본블랙, 마이카, 카올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유기계 안료로는 인디고 레이크, 카르민 레이크, 잘 알려진 FD&C 및 D&C 염료 시리즈 유래의 레이크, 예컨대 D&C Red 21 알루미늄 레이크, D&C Red 7 칼슘 레이크, 방향성 아조, 인디고이드, 트리페닐메탄, 안쓰라퀴논 및 쟌틴 염색제와 같은 천연 또는 합성의 유기성 염료 등이 사용 가능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되는 형태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컨대, 에탄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1,2,4-부탄트리올, 헥산디올, 솔비톨에스테르, 1,2,6-헥산트리올, 벤질알코올, 이소프로판올, 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메틸이소소르비드, N-메틸-2-피롤리돈, 프로필렌카보네이트, 글리세레스-26, 메틸글루세스-20, 이소세틸미리스테이트,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옥틸도데칸올,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레이트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에센스,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수중유형)(O/W), Water-in-Oil(유중수형)(W/O) 또는 Water-in-Silicone(실리콘중수형)(W/S)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성분은 하기와 같다.
(A)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으로 헵타소듐 헥사카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CAS No: 1894171-13-1)을 사용하였다.
(B)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으로 테트라카르복시메틸 헥사노일 다이펩타이드-12(CAS No: 2097608-07-4)를 사용하였다.
(C)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CAS No: 106096-93-9)을 사용하였다.
(D) 1,2-헥산디올을 사용하였다.
(E) 물(정제수)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5
실험예
(1) 제형안정성: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용기에 담고 일광, 50℃ 및 5℃ 온도가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한 달간 보관하고, 사이클(1 사이클 당 -5℃↔45℃에서 각각 12시간 보관) 조건으로 1달간 보관한 다음, 하기 기준으로 제형안정성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6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3은 본 발명의 조건을 벗어난 비교예 1~3에 비해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 보습능력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보습능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만 20~60세의 피부질환이 없는 성인남녀 10명을 1개 그룹으로 하여 총 6개의 그룹(총60명)에 대하여 시험대상자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 그룹에 대하여 1일 1회 도포하여 3주 동안 적용한 다음, 3주 경과된 시점에서 시험대상자들의 안면 볼 부위를 Corneometer를 사용하여 피부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단위는 A.U(Arbitrary Unit)이며, 측정값과 피부 보습량은 비례 관계를 가진다. 각 그룹의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3회 측정하여 전체 평균값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7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3은 비교예 1~3에 비해 피부 보습개선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3) 피부 자극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피부 자극 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만 20~6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남녀로 선정하였으며 각 그룹 당 10명씩 총 6개 그룹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첩포 부위인 상박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각 그룹에 대해 25μl씩 부착패치(1cm x 1cm (가로 x 세로))에 도포하고, 이를 피부에 부착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를 실시한 뒤, 첩포를 제거하고 1시간 후 피부 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첩포 시작으로부터 48시간 뒤)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 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피부 반응 검사기준
- 반응 없음 ± 미약한 양성 반응 (홍반) + 양성 반응 (홍반) ++ 강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 심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수포)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8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3은 피부 자극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4) 세포 내 자가포식 활성 증가 및 아디포넥틴 발현평가: 아디포넥틴(adiponection)은 지방세포(아디포사이트, adipocyte)에서 분비되는 전형적인 아디포카인(adipokine)으로, 지방 생성 및 억제, 식욕 조절, 인슐린 저항성 조절, 염증 조절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 처리에 의한 세포 내 자가포식(autophagy) 활성 증가를 분석하기 위해 LC3(light chain 3) 단백질에 대한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인간 섬유아세포인 HDF(Human dermal fibroblast)를 배양용 6well plate 에 1 X 105 개의 세포 수/well로 일정하게 분주하고, DF-1 배지(Dermal Fibroblast Growth Medium, Zenbio)에서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을 100mM의 농도로 물에 용해하여 농축물을 제조하고, 이를 배지로 희석하여 200μM 농도로 희석한 후 각 well에 1ml의 배지가 우선 들어있는 상태에 희석액을 1ml씩 넣어 처리한 후 일정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배지를 제거하고 SDS sample buffer로 세포를 파쇄 후 SDS-PAGE gel 전기영동으로 각 단백질을 분리하고, PVDF(Polyvinylidene difluoride) 막에 이동시킨 후 블로킹 버퍼를 이용해 비특이적 결합을 없애고, LC3 단백질에 대한 항체 및 이에 대한 HRP 결합된 이차항체(anti-rabbit IgG HRP, Sigma) 를 반응시킨 후, ECL prime kit(Amersham pharmacia)를 이용하여 Enhanced chemiluminescence(ECL) 반응을 시켜, ChemiDoc(UVITEC)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아디포넥틴 발현을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y)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한편, 도 1에서 대조군은 실시예 1을 처리하지 않는 단백질이며, 실시예 1+3MA는 자가포식 억제제인 3-MA(3-MA (3-Methyladenine)와 CQ (Chloroquine)를 세포에 처리하여 아디포넥틴 단백질에 대한 western blot을 수행한 것이다.
상기 도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처리시 아디포넥틴의 발현(도 1(a)의 붉은 색)량이 증가하였으며, LC3-Ⅱ(Microtubule-associated protein 1A/1B-light chain 3)의 생성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도 1(b)와 같이 자가포식억제제 및 실시예 1을 처리한 경우(실시예 1+3-MA), 실시예 1에 의해 증가되었던 아디포넥틴 단백질의 생성이 감소하였고, 이를 통해 아티포넥틴 단백질의 생성 증가는 자가포식 활성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5) 자외선 피부손상 방지평가: 본 발명 실시예 처리에 의한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발현 감소를 비교분석하기 위해, 자외선 UVB(자외선 B)를 세포에 조사한 후, MMP-1 유전자에 대한 qPCR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섬유아세포인 HDF(Human dermal fibroblast)를 배양용 6well plate 에 1 X 105 개의 세포 수/well로 일정하게 분주하고, DF-1 배지(Dermal Fibroblast Growth Medium, Zenbio)에서 24시간 동안 37℃, 5% CO2 조건으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을 3차원 인공피부(Mattek사 제조, EpiDermFT™)에 도포한 다음, UVB 100mJ/cm2로 24시간 동안 조사한 다음,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유전자 감소 효과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대조군은 실시예 1을 도포하지 않은 인공피부이다.
상기 도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을 처리시, 자외선 조사에 의한 MMP-1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태양광 자외선에 의한 콜라겐 단백질의 분해를 감소시켜, 광노화로 인한 주름 형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6) 피부 붉은기 완화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피부 붉은기 완화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만 20~60세의 피부질환이 없는 성인남녀 10명을 1개 그룹으로 하여 총 6개의 그룹(총60명)에 대하여 시험대상자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각 그룹에 대하여 1일 1회 도포하여 4주 동안 적용한 다음, 4주 경과된 시점에서 색차계(chromameter)를 이용하여 시험부위인 안면 좌측 볼과 미시험 부위인 안면 우측 볼 부위를 각각 5회 측정한 후 피부 붉은기 지수 (a-value)를 평균하여 수치화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2099943552-pat00019
상기 표 5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3은 비교예 1~3에 비해 피부 붉은기 완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7) 눈가 주름 개선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눈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만 20~60세의 피부질환이 없는 성인남녀 10명을 1개 그룹으로 하여 총 6개의 그룹(총60명)에 대하여 시험대상자를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눈가 주름 측정은 3D 피부 촬영 장치인 Antera 3D CS(Miravex Ltd., Ireland)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사용 전과, 1일 1회 도포하여 4주 사용 후에 대하여, 동일한 오른쪽 눈가 부위를 촬영하였다. 촬영 이미지에서 눈가 주름 부위의 특정영역을 지정하여 범위 내 Indentation index(A.U.) 값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평균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측정값이 낮을 수록,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Figure 112022099943552-pat00020
상기 표 6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3은 비교예 1~3에 비해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화장료 조성물(크림 제형) 제조: 하기 표 7에 따른 조성으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2099943552-pat00021
(2) 화장료 조성물(화장수 제형) 제조: 하기 표 8에 따른 조성으로 화장수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22099943552-pat00022
(3) 관능평가 (1):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0~50세의 훈련된 여성 5명을 1개 그룹으로 하여 총 6개 그룹으로 구성된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사용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크림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4주 동안 각 그룹에 일 1회 안면 부위에 사용한 후, 피부 촉촉함 개선(촉촉함), 피부결개선(피부결개선),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주름 및 탄력개선), 피부광택개선(광택감) 및 사용감(발림성) 항목에 5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함)로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2099943552-pat00023
상기 표 9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3은 비교예 1~3에 비하여 촉촉함, 지속성, 발림성, 주름개선 및 광택감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4) 관능평가 (2):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의 제품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0~50세의 훈련된 여성 5명을 1개 그룹으로 하여 총 6개 그룹으로 구성된 피시험자를 대상으로 제품만족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은 5점 척도이며 점수가 낮을수록 제품 만족도가 낮음을 뜻한다. 그 평균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2099943552-pat00024
상기 표 10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은 비교예 1~3에 비해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 보습, 피부 거칠기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붉은기 개선 효과가 높아 제품 만족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sh-polypeptide-1);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의 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염 0.1~5 중량%,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염 0.05~2.5 중량% 및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005~0.5 중량% 포함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은, 1:2~1:3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22134167145-pat00025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X1, X2,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CH2)mC(=O)OH(m은 1~5의 정수) 또는 하기 구조식의 W기이며,
    Figure 112022134167145-pat00026

    (상기 W에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H), 또는 -(CH2)mC(=O)OH(m은 1~5의 정수) 이고,
    상기 Z1 및 Z2는, Z1은 산소(O) 원자 및 Z2는 수소(H) 원자, 또는 Z1은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R)를 가진 -NHCHRC(=O)OH 이고 Z2는 아미노산 잔기의 곁가지(R')를 가진 -NHCHR'C(=O)OH 이며, Z1 및 Z2가 서로 아미드 결합된 형태이고,
    n은 1~7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2134167145-pat00027

    (상기 화학식 2에서, n은 2 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에센스,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수중유형)(O/W), Water-in-Oil(유중수형)(W/O) 또는 Water-in-Silicone(실리콘중수형)(W/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0120113A 2022-09-22 2022-09-22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50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113A KR102506099B1 (ko) 2022-09-22 2022-09-22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113A KR102506099B1 (ko) 2022-09-22 2022-09-22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099B1 true KR102506099B1 (ko) 2023-03-08

Family

ID=8550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113A KR102506099B1 (ko) 2022-09-22 2022-09-22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0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631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인코스팜 보습능이 우수한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20160050173A (ko) * 2014-10-28 2016-05-11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신규 펩타이드 및 성장인자 콤플렉스를 함유한 상처 재생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8060A (ko) *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인코스팜 아디포넥틴의 발현증가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또는 피부 붉은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0631A (ko) * 2011-05-23 2012-12-03 주식회사 인코스팜 보습능이 우수한 펩타이드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20160050173A (ko) * 2014-10-28 2016-05-11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신규 펩타이드 및 성장인자 콤플렉스를 함유한 상처 재생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18060A (ko) *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인코스팜 아디포넥틴의 발현증가 유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또는 피부 붉은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염증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0032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ES2223862T3 (es) Nuevos compuestos de la familia de las n-acilaminoamidas, composiciones que las comprenden y utilizaciones.
KR101240695B1 (ko) Pth 단편 함유 화장품 제제
ES2668072T3 (es) Bioactivador metabólico cutáneo
US7071167B2 (en) Use of a combination of components with an inhibitory synergistic effect on calcium channels to prevent or treat wrinkles and fine lines
FR2920967A1 (fr) Utilisation de l'hydroxymethionine en tant qu'actif anti age
JP5781224B2 (ja) 保湿能に優れたペプチド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FR2958541A1 (fr) Utilisation cosmetique du geranylgeranyl-2-propanol
JP2004515523A (ja) 皮膚の老化の兆候を予防するための、少なくとも一のサポゲニン、またはこれを含有する天然抽出物の使用
ES2290413T3 (es) Utilizacion de una asociacion de componentes con efecto sinergico inhibidor de canales de calcio para prevenir o tratar arrugas o arruguitas.
WO2014161863A1 (en) Dermatological and/or cosmetic peptides for use in skin treatment
JP2003321344A (ja) サポゲニンまたはそれを含有する植物抽出物の表情皺および細かい線の平滑化のための使用
CN100477983C (zh) 一种使用岩茶提取物和羊胎素配制的化妆品
KR102506099B1 (ko)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ES2351992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o dermatológica que comprende unos derivados de acilaminoamida.
FR2997853A1 (fr) Utilisation d'extrait de myrothamnus flabellifolia et de rhamnose pour lutter contre les signes du vieillissement cutane.
KR20230116988A (ko) 피부 탄력, 보습, 미백, 노화 방지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E60127436T2 (d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beta-galactosidase, n-acetyl-glucosaminidase und n-acetyl-galactosaminidase, die keine protease enthalten
KR20210039636A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754513A2 (fr) Utilisation de l'acide 8-hexadécène-1,16-dicarboxylique comme agent de soin destiné à favoriser la cohésion de la couche cornée
McMullen Maleic anhydride applications in personal care
US20120156147A1 (en) Cosmetic composition; skin treatment kit; method for treating oily or mixed skin or acned skin
WO2024020463A2 (en) Cosmetic composition
JP2004043313A (ja) 皮膚外用剤
WO2003002087A1 (fr) Utilisation du tripeptide lys-pro-val (kpv) en cosme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