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065B1 -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065B1
KR102506065B1 KR1020200123146A KR20200123146A KR102506065B1 KR 102506065 B1 KR102506065 B1 KR 102506065B1 KR 1020200123146 A KR1020200123146 A KR 1020200123146A KR 20200123146 A KR20200123146 A KR 20200123146A KR 102506065 B1 KR102506065 B1 KR 10250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215A (ko
Inventor
남윤석
최수정
강병하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3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06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성 오일, 비극성 오일, 에스테르 계열 왁스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재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흘러내리지 않는 클렌징 밤 제형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각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재현하는 우수한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cleansing with exfoliating effect}
본 발명은 극성 오일, 비극성 오일, 에스테르 계열 왁스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가 받는 자극은 다양하며, 그 예로는 강한 바람, 혹서, 혹한, 자외선 등의 자연적인 자극들과 대기오염 물질, 산성비 등과 같은 인위적 환경적인 자극들이 있다. 이들 자극은 다시 물리, 화학적 자극들로 구분 지을 수도 있다.
피부의 최외각의 표피층에서는 피부에 접촉하는 다양한 자극 및 오염물질에 효율적으로 방어하기 위한 다양한 방어기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자극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대표적인 기제가 각질로서의 방어이다. 피부의 각질은 표피 최하층에서부터 증식하여 서서히 표피 최외각으로 상승한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표피층에서 분리되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를 피부 각화라고 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호르몬의 이상과 급작스러운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피부의 정상 방어 기제를 능가하는 대기 오염 물질이나 자외선 등의 영향으로 각질층의 각질이 정상적인 주기로 떨어져 나가지 못하거나 혹은 균일하지 못하게 떨어져 나감으로써 각질층이 이상 발현되기도 한다. 이상 발현된 각질층으로 인하여 피부 톤이 일정치 않게 되어 피부가 거칠고, 칙칙해 보이게 된다. 또한, 색조화장을 하였을 때 불균일한 각질층 때문에 화장이 고르지 않게 보이고, 소위 말하는 들떠 보이는 듯한 화장이 이루어 진다. 따라서, 피부 각질을 잘 제거하기 위한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통칭하여 클렌저 (Cleanser)라고 하며, 기존의 클렌저는 크게 유화 타입인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로션; 오일 타입인 클렌징 오일; 및 워터 타입의 클렌징 워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유화 타입인 클렌징 크림 및 클렌징 로션은 유성 성분을 총 중량 대비 20 내지 70 중량% 사용하여 화장에 대한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사용시 부드러움과 마사지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타입은 다량의 오일 사용으로 인해 사용 후 피부에 오일이 남아 물로 완전히 씻어낼 수 없으므로 티슈 오프로 닦아내야 하는데, 이로 인한 물리적 자극에 의해 피부자극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티슈로 닦아낸 후에도 남아있는 유성감으로 인하여 폼 클렌징이나 비누를 사용하여 수성 세안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오일 타입인 클렌징 오일은 거의 100 %의 오일을 사용하므로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매우 우수하고 씻김성도 대단히 우수하다. 그러나 점도가 낮은 오일을 사용하므로 사용시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고 젖은 손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워터 타입의 클렌징 워터는 수상부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세정력을 가지게 하는 제품이며, 물에 잘 씻기는 점과 세안 후 잔여감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세정력이 다소 떨어지는 점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상기한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노폐물 또는 각질을 제거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각각의 제형에 따라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사용감에는 차이가 있다. 또한, 최근 다양한 형태의 메이크업 또는 기초 화장료 조성물이 생산, 판매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같이 제품들이 다양화되고 있음에 따라 이들을 닦아내는 클렌징 제품의 다양성 또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클렌징 오일 베이스에 왁스를 추가하여 고형으로 굳힌 제형을 갖는 클렌징 밤은 클렌징 오일과 유사한 세정력을 갖으면서도 흘러내림이 없이 사용이 편리한 장점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또한, 클렌징 밤의 장점들을 더욱 부각시킨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자극이 없이 일상에서 각질 제거가 가능하면서 세정력이 우수한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흘러내리지 않고 사용이 편리한 클렌징 밤 제형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재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극성 오일 (Ionic oil), 비극성 오일 (Nonionic oil), 에스테르 계열 왁스 (Ester wax)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를 포함하는 클렌징 (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극성 오일, 비극성 오일 및 에스테르 계열 왁스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유상부 제조 단계,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를 교반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 및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재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피부에 자극 없이 일상에서 각질제거가 가능한 필링 기능이 추가된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극성 오일 (Ionic oil), 비극성 오일 (Nonionic oil), 에스테르 계열 왁스 (Ester wax)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Nonionic surfactant)를 사용하는 경우,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스크럽제를 함유하지 않고도 각질 제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극성 오일, 비극성 오일, 에스테르 계열 왁스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극성 오일은 에스테르 오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테르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hexanoate), 에틸헥실팔미테이트 (Ethylhexyl palmitate),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Ethylhexyl Stearate) 및 아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로 (Isopropyl Palmitate)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테르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5.0 내지 70.0 중량%, 25.0 내지 65.0 중량%, 25.0 내지 60.0 중량%, 25.0 내지 55.0 중량%, 30.0 내지 70.0 중량%, 30.0 내지 65.0 중량%, 30.0 내지 60.0 중량%, 30.0 내지 55.0 중량%, 35.0 내지 70.0 중량%, 35.0 내지 65.0 중량%, 35.0 내지 60.0 중량%, 35.0 내지 55.0 중량%, 40.0 내지 70.0 중량%, 40.0 내지 65.0 중량%, 40.0 내지 60.0 중량%, 40.0 내지 55.0 중량%, 45.0 내지 70.0 중량%, 45.0 내지 65.0 중량%, 45.0 내지 60.0 중량%, 45.0 내지 55.0 중량%, 50.0 내지 70.0 중량%, 50.0 내지 65.0 중량%, 50.0 내지 60.0 중량%, 50.0 내지 55.0 중량%, 예를 들어, 54.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테르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5.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재결정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0.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내용물 분리와 같은 제형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극성 오일은 식물성 오일 (vegetable oil) 및 하이드로카본오일 (hydro carbon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및 코코넛 오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내지 40.0 중량%, 10.0 내지 35.0 중량%, 10.0 내지 30.0 중량%, 10.0 내지 25.0 중량%, 10.0 내지 20.0 중량%, 10.0 내지 15.0 중량%, 예를 들어, 10.0 중량%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제형의 경도가 낮아질 수 있고, 40.0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세정력이 많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 (C6-14올레핀)(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 이소도데칸 (Isododecane) 및 이소헥사데칸 (Isohexadec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0 내지 40.0 중량%, 7.0 내지 35.0 중량%, 7.0 내지 30.0 중량%, 7.0 내지 25.0 중량%, 7.0 내지 20.0 중량%, 7.0 내지 15.0 중량%, 7.0 내지 10.0 중량%, 9.0 내지 40.0 중량%, 9.0 내지 35.0 중량%, 9.0 내지 30.0 중량%, 9.0 내지 25.0 중량%, 9.0 내지 20.0 중량%, 9.0 내지 15.0 중량%, 9.0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10.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고온 안정도에 영향이 발생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0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결정이 발생하지 않거나 매우 불규칙하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테르 계열 왁스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Cetearyl Olivate) 및 솔비탄올리베이트 (Sorbitan Oliv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테르 계열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내지 30.0 중량%, 10.0 내지 25.0 중량%, 10.0 내지 20.0 중량%, 10.0 내지 15.0 중량%, 13.0 내지 30.0 중량%, 13.0 내지 25.0 중량%, 13.0 내지 20.0 중량%, 13.0 내지 15.0 중량%, 예를 들어, 14.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테르 계열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내지 30.0 중량% 범위로 포함될 경우 가장 적합한 정도의 경도와 부드러운 사용감 및 재결정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는 에스테르 오일, 식물성 오일, 하이드로카본 오일 및 에스테르 계열 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5.0 내지 95.0 중량%, 75.0 내지 93.0 중량%, 75.0 내지 91.0 중량%, 75.0 내지 89 중량%, 77.0 내지 95.0 중량%, 77.0 내지 93.0 중량%, 77.0 내지 91.0 중량%, 77.0 내지 89.0 중량%, 79.0 내지 95.0 중량%, 79.0 내지 93.0 중량%, 79.0 내지 91.0 중량%, 79.0 내지 89.0 중량%, 81.0 내지 95.0 중량%, 81.0 내지 93.0 중량%, 81.0 내지 91.0 중량%, 81.0 내지 89.0 중량%, 83.0 내지 95.0 중량%, 83.0 내지 93.0 중량%, 83.0 내지 91.0 중량%, 83.0 내지 89.0 중량%, 85.0 내지 95.0 중량%, 85.0 내지 93.0 중량%, 85.0 내지 91.0 중량%, 85.0 내지 89.0 중량%, 예를 들어, 88.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솔베스-30테트라올리에이트(Sorbeth-30 Tetraoleate),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PEG-20 Glyceryl Triisostearate) 및 피이지-10아이소스테아레이트 (PEG-10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내지 24.0 중량%, 5.0 내지 22.0 중량%, 5.0 내지 20.0 중량%, 5.0 내지 18.0 중량%, 5.0 내지 16.0 중량%, 5.0 내지 14.0 중량%, 5.0 내지 12.0 중량%, 6.0 내지 24.0 중량%, 6.0 내지 22.0 중량%, 6.0 내지 20.0 중량%, 6.0 내지 18.0 중량%, 6.0 내지 16.0 중량%, 6.0 내지 14.0 중량%, 6.0 내지 12.0 중량%, 7.0 내지 24.0 중량%, 7.0 내지 22.0 중량%, 7.0 내지 20.0 중량%, 7.0 내지 18.0 중량%, 7.0 내지 16.0 중량%, 7.0 내지 14.0 중량%, 7.0 내지 12.0 중량%, 8.0 내지 24.0 중량%, 8.0 내지 22.0 중량%, 8.0 내지 20.0 중량%, 8.0 내지 18.0 중량%, 8.0 내지 16.0 중량%, 8.0 내지 14.0 중량%, 8.0 내지 12.0 중량%, 9.0 내지 24.0 중량%, 9.0 내지 22.0 중량%, 9.0 내지 20.0 중량%, 9.0 내지 18.0 중량%, 9.0 내지 16.0 중량%, 9.0 내지 14.0 중량%, 9.0 내지 12.0 중량%, 10.0 내지 24.0 중량%, 10.0 내지 22.0 중량%, 10.0 내지 20.0 중량%, 10.0 내지 18.0 중량%, 10.0 내지 16.0 중량%, 10.0 내지 14.0 중량%, 10.0 내지 12.0 중량%, 11.0 내지 24.0 중량%, 11.0 내지 22.0 중량%, 11.0 내지 20.0 중량%, 11.0 내지 18.0 중량%, 11.0 내지 16.0 중량%, 11.0 내지 14.0 중량%, 예를 들어, 12.0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사용 후 오일 잔여감이 많이 남게 되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4.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제형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쳐 오일 방울이 고형 위로 나오는 스웨팅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극성 오일 (Ionic oil), 비극성 오일 (Nonionic oil) 및 에스테르 계열 왁스 (Ester wax)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유상부 제조 단계;
상기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를 교반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 제조 단계는 극성 오일인 에스테르 오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 제조 단계는 비극성 오일인 식물성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혼합물 제조 단계는 90 내지 95 ℃, 90 내지 94 ℃, 90 내지 93 ℃, 90 내지 92 ℃ 예를 들어, 90 ℃로 가온하여 교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냉각 단계는 60 내지 80 ℃, 60 내지 75 ℃, 60 내지 70 ℃, 65 내지 80 ℃, 65 내지 75 ℃, 65 내지 70 ℃, 예를 들어, 70 ℃로 혼합물을 냉각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교반 또는 혼합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지믹서 (Agimixer)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교반 또는 혼합에서의 시간 및 속도 (rpm)는 작업장의 주변 온도 및 혼합기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교반 또는 혼합은 당업자에게 경험적으로나 또는 혼합기의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은 비극성 오일, 에스테르 계열 왁스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재결정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흘러내리지 않는 클렌징 밤 제형의 장점은 유지하면서, 효과적으로 각질을 제거하는 효과를 재현할 수 있는 등 우수한 각질 제거 및 세정력의 이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구현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제조예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재결정 입자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비교예 1 내지 5의 입자가 불규칙한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제거 효능을 평가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시예의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번호 구성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1 유상부 극성 오일 에스테르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4.0 54.0 54.0
2 비극성 오일 식물성 오일 올리브오일 20.0 - 10.0
3 하이드로카본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 20.0 10.0
4 왁스 에스테르 계열 왁스 세테아릴올리베이트 7.0 7.0 7.0
5 솔비탄올리베이트 7.0 7.0 7.0
6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 12.0 12.0 12.0
총합 (중량%) 100.0 100.0 100.0
상기 표 1의 유상부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진공 유화조 내에 투입하고, 온도를 90 ℃로 유지하면서 패들 믹서 (Paddle mixer)로 교반 (25 내지 30 rpm, 10분)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패들 믹서로 교반 (25 내지 30 rpm, 10분)하면서 70 ℃까지 서서히 냉각시켜 왁스 형태의 실시예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도 1 및 도 2).
제조예 2. 비교예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비교예 1 내지 5를 제조하였다.
번호 구성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1 유상부 극성 오일 에스테르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74.0 74.0 74.0 - -
2 비극성 오일 식물성 오일 올리브오일 - - - 74.0 -
3 하이드로카본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 - - - 74.0
4 왁스 에스테르 계열 왁스 세테아릴올리베이트 7.0 7.0 7.0 7.0 7.0
5 솔비탄올리베이트 7.0 7.0 7.0 7.0 7.0
6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피이지-20 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12.0 - - - -
7 솔베스-30 테트라올리에이트 - 12.0 - 12.0 12.0
8 폴리글리세릴-2 카프릴레이트 - - 12.0 - -
총합 (중량%) 100.0 100.0 100.0 100.0 100.0
상기 표 2의 유상부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진공 유화조 내에 투입하고, 온도를 90 ℃로 유지하면서 패들 믹서 (Paddle mixer)로 교반 (25 내지 30 rpm, 10분)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혼합물을 패들 믹서로 교반 (25 내지 30 rpm, 10분)하면서 70 ℃까지 서서히 냉각시켜 왁스 형태의 비교예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재결정의 측정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재결정 현상을 측정하였다 (표 3).
[평가기준]
전체 표면에 고르고 균일하게 결정이 생김; ○
일부분에 결정이 생기고 불규칙 적임; △
결정이 생기지 않음; X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재결정 입자 형성의 유무 X X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재결정 입자가 전 표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3). 반면, 비교예 1 내지 5는 재결정 입자가 잘 생성되지 않거나 일부분만 생기는 등 불규칙하게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4).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4.0 중량%에 각각 올리브 오일 20.0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20.0 중량%; 또는 올리브 오일 10.0 중량%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10.0 중량%을 추가로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3은 재결정 입자가 전 표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생성되었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70.0 중량% 이상으로 첨가하였는데, 고온에서 내용물이 분리되며, 재결정이 불규칙하게 생성되거나 생성되지 않았다. 그리고 비교예 4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지 않고 올리브 오일만 74.0 중량% 사용하였고, 비교예 5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지 않고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74.0 중량%으로 사용하였는데,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지 않았을 때 재결정 입자가 불규칙 하게 생성되거나 생성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하여, 재결정 입자가 균일하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25.0 내지 70.0 중량% 포함하여야 하며, 올리브 오일을 10.0 내지 40.0 중량% 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7.0 내지 40.0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때 균일한 재결정 입자를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관능 평가
25-35세 여성 패널 20명을 선정하여, 2개 군으로 나누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를 얼굴 양쪽 부위에 도포하여 사용하게 한 후, 평가 기준에 따라 사용할 때 느끼는 세정력, 각질 제거 효과, 세정력, 사용후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각질 제거 효과는 개인의 주관적인 느낌을 기준으로 하며, 사용후감은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물로 세안한 후 느껴지는 산뜻한 느낌을 의미한다.
[평가기준]
15명 이상이 우수하다고 판정; ◎
10~14명이 우수하다고 판정; ○
6~10명이 우수하다고 판정; △
5명 이하가 우수하다고 판정; X
  세정력 각질제거 효과 사용후감 전반적인 만족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X X
비교예 4 X X X
비교예 5 X X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각질 제거 효과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우수하였다. 특히, 유상부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3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은 세정력, 각질제거 효과, 사용후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반면,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다량 포함하는 비교예 3은 내용물 분리 등 안정성이 떨어져서 사용후감 및 전반적인 만족감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그리고 올리브 오일을 다량 포함하는 비교예 4는 세정력이 많이 떨어지며,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재결정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서 각질제거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다량 포함하는 비교예 5는 결정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세정력, 사용후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도 낮게 평가되었다.
이를 통하여,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25.0 내지 70.0 중량%에 추가로 올리브 오일 10.0 내지 40.0 중량% 또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7.0 내지 40.0 중량%을 포함할 때, 안정적인 제형을 유지하면서 세정력 및 각질 제거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각질제거 효능 평가
25 내지 35세 여성 5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3의 사용 전/후의 각질 면적을 분석하여 각질제거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험부위 (하박내측 2 cm X 2 cm)에 제품 20 μL을 도포 후 약 50회 롤링하여 미온수로 헹구어 내고, C-cube(PIXIENCE, France)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5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사용전 사용후
각질면적 (Pixel) 3,233 2,900
실험 결과, 실시예 3 사용 후 각질면적이 약 10.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제품 사용 시 각질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4)

  1. 에스테르 오일 (Ester oil) 25.0 내지 70.0 중량%; 식물성 오일 (Vegetable oil) 10.0 내지 40.0 중량%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 (Hydro carbon oil) 7.0 내지 40.0 중량%; 에스테르 계열 왁스 (Ester wax);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Nonionic surfactant); 를 포함하는 클렌징 (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Cetyl Ethylhexanoate), 에틸헥실팔미테이트 (Ethylhexyl palmitate), 에틸헥실스테아레이트 (Ethylhexyl Stearate) 및 아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로 (Isopropyl Palmitate)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 오일 및 코코넛 오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카본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Hydrogenated C6-14 Olefin Polymers), 이소도데칸 (Isododecane) 및 이소헥사데칸 (Isohexadec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계열 왁스는 세테아릴올리베이트 (Cetearyl Olivate) 및 솔비탄올리베이트 (Sorbitan Oliv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계열 왁스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0 내지 30.0 중량% 포함된 것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솔베스-30테트라올리에이트(Sorbeth-30 Tetraoleate), 피이지-20글리세릴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PEG-20 Glyceryl Triisostearate) 및 피이지-10아이소스테아레이트 (PEG-10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0 내지 24.0 중량% 포함된 것인,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14.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징 (Cleansing)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에스테르 오일 25.0 내지 70.0 중량%; 식물성 오일 10.0 내지 40.0 중량% 또는 하이드로카본 오일 7.0 내지 40.0 중량%; 및 에스테르 계열 왁스; 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유상부 제조 단계;
    상기 유상부 및 계면활성제를 교반하는 혼합물 제조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
KR1020200123146A 2020-09-23 2020-09-23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6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46A KR102506065B1 (ko) 2020-09-23 2020-09-23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146A KR102506065B1 (ko) 2020-09-23 2020-09-23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15A KR20220040215A (ko) 2022-03-30
KR102506065B1 true KR102506065B1 (ko) 2023-03-06

Family

ID=8094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146A KR102506065B1 (ko) 2020-09-23 2020-09-23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0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8490A1 (en) * 2018-12-20 2020-06-25 Cosmetic Warriors Limit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vegetable butt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44B1 (ko) * 2009-11-27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물로 워시오프 할 수 있는 스틱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437727B1 (ko) * 2012-07-27 2014-09-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7321A (ko) * 2015-12-08 2017-06-16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고형타입 클렌징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9956A (ko) * 2016-06-10 2017-12-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메이크업 클렌징 화장료 제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8490A1 (en) * 2018-12-20 2020-06-25 Cosmetic Warriors Limit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vegetable but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215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6486B2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KR101081144B1 (ko) 물로 워시오프 할 수 있는 스틱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437727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14191333A (zh) 一种双连续相组合物及卸妆露
KR101895875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한 에멀젼 폼 타입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6065B1 (ko)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CN114795980B (zh) 一种双连续相卸妆液及其制备方法
JP4763474B2 (ja) 油性皮膚クレンジング料
JP2002241263A (ja) 水性洗浄料
KR100754750B1 (ko)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4916568B2 (ja) マスカラ除去剤
JP3881953B2 (ja) 液状油性皮膚洗浄料
JP2001011486A (ja) 油性組成物、皮膚外用剤及び洗浄剤組成物
KR101461656B1 (ko) 베이스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899836A (ja) クレンジング料
KR102512554B1 (ko) 대나무 줄기 가루를 함유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5365B1 (ko) 외곽 에멀전층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25475B1 (ko) 현탁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376366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6992B1 (ko) 선택적인 각질제거가 가능한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JPH1192359A (ja) 透明皮膚洗浄料
JPH10120545A (ja) 美白化粧品
KR20020043422A (ko) 수중 유적형 에멀젼의 2단계 상전이 시스템을 이용한,올리브오일(피이지)-7에스터와소듐-엘-라우로일-엔-글루타메이트가 함유된 워시오프타입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S59117598A (ja) クリ−ム状洗浄料
JPS6354311A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