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186A -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186A
KR20070073186A KR1020060000793A KR20060000793A KR20070073186A KR 20070073186 A KR20070073186 A KR 20070073186A KR 1020060000793 A KR1020060000793 A KR 1020060000793A KR 20060000793 A KR20060000793 A KR 20060000793A KR 20070073186 A KR20070073186 A KR 20070073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wder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750B1 (ko
Inventor
김성래
정지운
김동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60000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4750B1/ko
Publication of KR20070073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혹은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세안용 파우더를 함유한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세안용 파우더 및 천연 혹은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가 스크럽제 및 친수성계면활성제로 이용되어, 메이크업 화장료에 대한 클렌징력이 탁월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으며, 물로 헹굼시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Oleaginous Solid Cosmetic Composition For Cleansing Comprising Anionic Surfactant as Powder Type}
본 발명은 세안용 파우더를 함유하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안 및 클렌징은 미용 시스템의 초기 단계이고, 매우 중요한 화장 행위이다. 과잉의 피지나 메이크업 화장료를 깨끗하게 떨어뜨리고, 다음의 트리트먼트의 단계로 진행하는 것이 피부 트러블을 막고 건강한 피부상태를 보호하는 필요조건이 된다. 대상이 되는 피부의 더러움에는 내인적인 것과 외인적인 것이 있으며, 내인적인 것으로 과잉의 피지, 각질층의 각질 등 대사물질, 외인적인 것으로서 먼지와 티끌, 메이크업료등이 예로 들어진다. 피지와 메이크업료가 방치되어 산화되면, 염증, 부종, 색소 침착을 유발하거나, 미생물이 번식하여 여드름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피부를 청결히 하는 클렌징 화장료로 다양한 제품이 있으며, 형상적으로 크림상, 유액상, 액상, 파우더상의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처방 구성으로 분류하면, 수성성분을 주성분으로하여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수성 클렌징료, 수성성분, 유성성분 및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유화 클렌징 화장료, 유성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를 배합한 유성 클렌징 화장료, 친수성계면활성제 파우더와 효소를 배합한 파우더상 클렌징 화장료등이 있고, 각각의 사용성에 따라서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상의 화장료나 더러움의 제거 능력은 유성 클렌징 화장료, 유화 클렌징 화장료, 파우더상 클렌징 화장료, 수성 클렌징 화장료 순으로 우수하다.
소비자의 메이크업 실태는 최근 수년에 크게 변화하였다. 지금까지의 립스틱과 파운데이션의 내추럴 메이크업에 대신하여, 마스카라를 사용하여 자신만을 강조하는 메이크업이 주류가 되었다. 이 변화에 따라 종래의 클렌징 화장료로는 충분한 클렌징력이 얻어지지 않기 때문에, 클렌징 시장도 크게 변화하여, 클렌징력이 우수한 클렌징 오일의 시장이 급격하게 확대되었다.
그러나, 클렌징 오일은 우수한 클렌징력에도 불구하고 사용시 손에서 흘러내리는 단점을 지니고 있어 이 형태의 클렌징료를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가 있다. 이에 손에서 흘러내는 사용성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유기성벤토나이트, 소수화 규산, 무수 규산, 덱스트린 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유성 겔화제를 배합시키거나(일본국 특 개소 62-108806호), 덱스트린 지방산에스테르를 배합한 에어로졸 형태의 무스상으로 하거나(일본국 특개평 7-277954호), 폴리에틸렌 등의 왁스를 이용하여 유성 고형 클렌징료(일본국 특개2001-213726호)로 하는 고안이 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왁스나 유화겔화제는 피부에서의 밀착성이 우수하다는 것으로부터, 사용 후에 닦아냄 및 씻어낸 때에, 끈적임과 미끈미끈한 유성감이 남기 때문에 산뜻한 감이 얻어지기 어렵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성 세안용 폼클렌징의 경우도, 고융점의 폴리에틸렌가루, 호도씨 파우더, 살구씨 파우더등 합성, 천연의 스크럽제를 이용하여 클렌징력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스크럽제의 물리적인 마찰 등으로 인하여 피부의 자극, 안자극 등이 단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클렌징 효과는 높이면서 클렌징 오일의 손에서 흘러내리는 단점을 개선하고 유성 고형 클렌징료의 단점이 사용후 및 씻어낸 때 끈적임과 미끈미끈한 유성감의 결점을 해소는 새로운 타입의 클렌징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사용성, 편리성, 특히 완벽한 메이크업 클렌징과 사용 후 폼클렌징이나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물로 씻어 낼 수 있으면서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를 얻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오일, 왁스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유성 고형 화장료에 세안용 파우더를 함유시키므로 고융점 폴리에틸렌가루, 호도씨 파우더등의 기존의 스크럽제와 같은 스크럽 효과로 우수한 클렌징효과를 발휘하며, 물로 씻어낸 때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의 단점임 끈적임과 유성감의 결점을 해소하며, 메이크업 화장료에 대한 클렌징력이 탁월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적으며, 물로 헹굼시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우수한 워셔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시 흘러내림이 없고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자극이 적으며, 물로 헹굼시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세안용 파우더를 함유한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천연 또는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세안용 파우더 0.1- 5.0 중량%;
(b) 융점 45-100℃의 고형유 1.0-15.0 중량%;
(c) 액체유 50.0-95.0 중량%; 및
(d) HLB(Hydrophopic/Lipophilic Balance) 7 내지 13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0-20.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중에서, 천연 또는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세안용 파우더(a)는 본 발명의 핵심 성분으로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상기 성분 (a)를 제외한 오일상과 그 외의 성분(성분 b, c 및 d)에 용해되지 않는 파우더상의 천연 및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 및 이를 포함하는 세안용 파우더이다. 오일상 및 상기조성에 용해되지 않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 및 세안용 파우더는 사용시 피부에 자극이 적은 스크럽제로 작용하여 클렌징 효과가 향상되고, 물로 헹굼시에는 친수성계면활성제로 작용하여 물에서의 분산성, 씻어내기 쉽게 되어 산뜻한 감촉을 부여한다.
바람직한 천연 또는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는 (i) 소듐코코글루타메이트,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라우로일아스파레이트, 포타슘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및 포타슘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천연의 지방산과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진 파우더상의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및 (ii)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의 파우더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 할 수 있다.
천연 또는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세안용 파우더(a)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5 중량%이다. 0.1% 미만에서는 스크럽제로서의 역할이 부족하고, 2.5중량% 이상에서는 피부에 상대적으로 자극감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를 20-50%를 함유하는 세안용 파우더를 사용할 경우에는, 세안용 파우더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중량에 대해 0.1-5.0 중량%가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2-5.0 중량%이다.
이 범위의 함량에서는 목적하는 스크럽제로서의 클렌징효과와 물로 씻어낼시 산뜻한 감촉등에 있어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향상한다.
본 발명의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중에서, 융점 45-100℃의 고형유(b)는 오조케라이트 또는 세레신의 광물유래 왁스; 카나우바 왁스 또는 칸데릴라 왁스의 식물유래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의 석유 유래 왁스; 폴리에틸렌 또는 올레핀 올리고머의 합성 탄화수소 왁스; 실리콘계 왁스 및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형유는 클렌징으로서 형상 유지, 사용시 오일상으로 변화와 물로 헹굼시 미끈거림과 유분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융점이 45-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이 45℃이하이면, 피부와 친숙함이 양호 및 오일로 변화는 양호하나 고형 클렌징 형상 유지에는 많은 양의 왁스량을 필요로 하며, 유지에 어려움이 많다. 또 융점이 100℃ 이상이면 피부와 친숙함이 떨어지며, 물로 헹굼시에 두터운 유분감으로 산뜻한 사용성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특성을 가지는 고형유를 1종 또는 2종 이상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성분 고형유(b)는, 성분(c)인 액체유의 함유량에 의존하며,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1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0.0 중량% 이다. 이 범위의 함유량이면, 고형 클렌징의 형상유지와 오일로 변화, 헹굼시 산뜻한 감촉등에 있어 더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중에서, 액체유(c)는 화장료에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실온에서 액상의 유제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동물유, 식물유 및 합성유로서, 탄화수소유, 유지유, 에스테르유, 고급 알콜유, 실리콘유, 불소계유, 지방산유 등이 예로 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유로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및 폴리부텐; 유지유로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쌀겨유, 아보카도유, 알몬드 유 및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에스테르유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트리옥타노인, 세틸옥타노에이트, 데실올리에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옥타노에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고급알콜유로 올레일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및 옥틸도데칸올; 실리콘유로 휘발성실리콘인 데카메틸사이크로 펜타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크로테트라실록산, 디메틸폴 리실록산 및 페닐트리메치콘 및 지방산으로 올레인산, 야자유지방산 및 이소스테아린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성분 액체유(c)는, 고형유(b)의 배합량에 의존하지만, 특히 한정된 것은 아니고, 50.0-95.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9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 중에서, HLB(Hydrophopic/Lipophilic Balance) 7 내지 13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는 양호한 클렌징 효과와 유화분산성을 부여하기 위한 필수 성분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상온에서 액상 내지 페이스트상이고, 또한 HLB 값이 7이상 13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HLB 값이 7이하면 오일상에 용해성은 우수하지만, 씻어낼 시 유화분산성이 떨어져 산뜻한 감이 떨어지고 두터운 유분감이 남는다. 그리고 HLB 값이 13이상이면 오일상에 용해성이 떨어져 균일한 조성의 왁스상을 얻기 힘들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는, 그 사용량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하여 3.0-20.0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15.0 중량%이다. 이 범위의 함유량이면 씻어냄시 산뜻한 감촉을 얻을 수 있 다.
본 발명의 세안용 파우더 및 천연 혹은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를 함유한 유성 고형 클렌징료에는, 상기 필수성분 외에, 통상 화장료에 이용되는 성분으로서, 수성성분, 산회방지제, 자외선흡수제, 향료, 방부제, 미용제등의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로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의 제조
하기 표 1 및 표 2의 조성으로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A상을 90-95℃로 가온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60℃로 냉각한 후, B상과 C상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 혼합하여, 냉각 고화하여 세안용 파우더를 함유한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 3)를 얻었다.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A 미네랄오일 59.70 59.20 57.20
올리브오일 8.00 8.00 8.00
폴리에틸렌왁스 8.00 8.00 8.00
트리에틸헥사노인 10.00 10.00 10.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0 5.00 5.00
피이지-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 - 8.00
폴리글리세릴-2 라우레이트 8.00 8.00 -
B 세안용 파우더 0.50 - 3.00
소듐코코일글루타메이트[파우더상] - 1.00 -
C 방부제 0.30 0.30 0.30
향료 0.50 0.50 0.50
100.00 100.00 100.00
상기 표에서 단위는 중량%이고, 사용한 세안용 파우더의 조성은 소듐코코일글루타이트 20.0중량%,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10.0중량%, 만니톨 20.0중량%, 콘스타치 30.0중량%, 탈크 10.0중량% 및 결정셀룰로우즈 10.0중량%로 구성되어져 있다.
성 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A 미네랄오일 59.95 58.70 59.20
올리브오일 8.00 8.00 8.00
폴리에틸렌왁스 8.00 8.00 8.00
트리에틸헥사노인 10.00 10.00 10.00
사이클로펜타실록산 5.00 5.00 5.00
피이지-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8.00 8.00 8.00
피이지-8 디이소스테아레이트 - 1.00 -
B 살구씨 파우더 - 0.50 1.00
C 방부제 0.30 0.30 0.30
향료 0.50 0.50 0.50
100.00 100.00 100.00
상기 표에서 단위는 중량%이다.
실험예 1: 클렌징력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의 클렌징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20대-24세 여성의 피검자의 8명의 패널 양쪽 팔 하박 안쪽부위에 3×3㎝ 크기로 2부위를 정하여 미놀타 CR 300 색차계를 이용하여 무처치 부위의 피부색 측정 후, 지속력이 높은 붉은색 립스틱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15분 방치 후, 도포색을 측정하고,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을 사용하여 동일한 압력으로 20회 원을 그리면서 문지른 후 물로 세정한 후, 미놀타 CR 300으로 피부색(a값)을 측정하여 클렌징력을 평가하였다. 이를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결과를 산출하였고, 산출된 8명의 클렌징 효과를 합산한 후 인원수로 나누어 평균 클렌징 효과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00462136-PAT00001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클렌징 효과 80.2% 82.5% 83.0% 73.2% 78.0% 80.0%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3은 비교예 1-3과 비교하여 클렌징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크럽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과 천연 스크럽제를 함유한 비교예 2와 3은 클렌징 효과가 향상되었으나, 세안용 파우더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를 함유한 실시예 1-3에 비해 클렌징 효과가 떨어지므로, 세안용 파우더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는 사용시에 스크럽 효과와 물로 헹굼시에 친수성 계면활성제로 작용하여 클렌징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사용성 평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을 메이크업 화장료를 많이 사용하는 20대-35세까지의 화장을 한 여성 15명의 패널에 대하여 사용중의 피부느낌(윤활성), 스크럽제의 피부자극성(피부자극성), 물로 헹굴 때 씻김성, 사용후의 사용감(산뜻함)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평가기준은 매우 우수(5점),우수(4점), 보통(3점),나쁨(2점), 매우나쁨(1점)으로 하였으며, 스크럽제의 피부 자극은 없을수록 5점, 심할수록 1점으로 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00462136-PAT00002
항목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윤활성 3.9 4.1 4.2 3.9 3.7 3.6
피부자극성 4.3 4.0 4.1 4.3 3.8 3.5
씻김성 3.9 4.0 4.0 3.7 3.9 3.7
사용감 3.9 4.0 4.0 3.6 3.8 3.6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안용 파우더와 천연 및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를 함유한 실시예 1-3은 함유하지 않은 종래의 기술 화장료와 천연 스크럽제를 함유한 비교예 1-3에 비해 윤활성, 피부자극성, 씻김성, 사용감등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안용 파우더나 천연 및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를 함유한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는 사용시에 피부자극이 적은 스크럽제로 작용하여 클렌징 효과를 향상시키며, 물로 헹굼시에는 친수성계면활성제의 기능을 발휘하여 씻김성을 향상시켜 산뜻하고, 클렌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를 만들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a) 천연 또는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세안용 파우더 0.1- 5.0 중량%;
    (b) 융점 45-100℃의 고형유 1.0-15.0 중량%;
    (c) 액체유 50.0-95.0 중량%; 및
    (d) HLB(Hydrophopic/Lipophilic Balance) 7 내지 13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3.0-20.0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또는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 또는 이를 포함하는 세안용 파우더는 오일상인 상기 (b) 및 (c) 성분 및 (d) 성분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또는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a)는 (i) 소듐코코글루타메이트, 소듐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 소듐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소듐라우로일아스파레이트, 포타슘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및 포타슘미리스토일글루타메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의 지방산과 아미노산으로 만들어진 파우더상의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및 (ii) 소듐코 코일이세치오네이트 또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의 파우더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점 45-100℃의 고형유(b)는 오조케라이트 또는 세레신의 광물유래 왁스; 카나우바 왁스 또는 칸데릴라 왁스의 식물유래 왁스; 파라핀 왁스 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의 석유 유래 왁스; 폴리에틸렌 또는 올레핀 올리고머의 합성 탄화수소 왁스; 실리콘계 왁스 및 트리하이드록시스테아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유(c)는 탄화수소유로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스쿠알란 및 폴리부텐; 유지유로 옥수수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쌀겨유, 아보카도유, 알몬드 유 및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에스테르유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트리옥타노인, 세틸옥타노에이트, 데실올리에이트, 헥실라우레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옥타노에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고급알콜유로 올레일알콜, 이소스테아릴알콜 및 옥틸도데칸올; 실리콘유로 휘발성실리콘인 데카메틸사이크로 펜타실록산, 옥타메틸 사이크로테트라실록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페닐트리메치콘 및 지방산으로 올레인산, 야자유지방산 및 이소스테아린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HLB 7 내지 13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d)는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성 고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또는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파우더 또는 이를 함유하는 세안용 파우더를 오일타입의 클렌징 화장료에 침전시켜 사용시 흔들어 사용하는 파우더 인 오일 타입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000793A 2006-01-04 2006-01-04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754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93A KR100754750B1 (ko) 2006-01-04 2006-01-04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793A KR100754750B1 (ko) 2006-01-04 2006-01-04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186A true KR20070073186A (ko) 2007-07-10
KR100754750B1 KR100754750B1 (ko) 2007-09-03

Family

ID=3850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793A KR100754750B1 (ko) 2006-01-04 2006-01-04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47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360B1 (ko) * 2007-12-26 2014-09-17 (주)아모레퍼시픽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9636A (ko) * 2019-02-14 2020-08-25 류지만 미세먼지 제거용 기능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6724A (ko) * 2019-07-09 2021-01-1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266B1 (ko) * 2023-06-16 2023-09-19 (주)에스엠에코랩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전구 조성물, 파우더형 세안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6955B2 (ja) * 1994-12-02 1999-03-08 ライオン株式会社 界面活性剤粉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粒状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KR101042717B1 (ko) * 2003-12-12 2011-06-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렌징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360B1 (ko) * 2007-12-26 2014-09-17 (주)아모레퍼시픽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99636A (ko) * 2019-02-14 2020-08-25 류지만 미세먼지 제거용 기능성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6724A (ko) * 2019-07-09 2021-01-1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750B1 (ko) 2007-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8397B2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US8318187B2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shine
JP2686426B2 (ja) 脂質粒子を含有する皮膚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4048120B2 (ja) ゲル化二相化粧用組成物
JPH026321B2 (ko)
KR20150014279A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437727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754750B1 (ko)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4837484B2 (ja) 液状油性ボディオイル組成物
JP5062718B2 (ja) 頭皮の状態改善方法
KR102173530B1 (ko) 클렌징 오일 제조방법
JP7112068B2 (ja) 油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KR101719174B1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4763474B2 (ja) 油性皮膚クレンジング料
JPH09124435A (ja) 油性化粧料
KR101934356B1 (ko) 메이크업 제거와 거품 세안이 동시에 가능한 오일 투 폼 밤타입 세안제 조성물
JP3565332B2 (ja) 乳化型固形化粧料
JPH10167948A (ja) 化粧料
JPH09124436A (ja) 油性化粧料
KR102639189B1 (ko) 피부도포력, 세정력 및 피부개선 효과가 우수한 고체형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777592B1 (ko)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JP2023148647A (ja) 角栓除去用組成物
JP2022540999A (ja) エモリエント剤を含む油中水型エマルジョン及びその使用方法
CN115887286A (zh) 用于增稠的组合物、化妆品
JP2001089323A (ja) ゴマージュ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