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801B1 -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 Google Patents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801B1
KR102505801B1 KR1020200150580A KR20200150580A KR102505801B1 KR 102505801 B1 KR102505801 B1 KR 102505801B1 KR 1020200150580 A KR1020200150580 A KR 1020200150580A KR 20200150580 A KR20200150580 A KR 20200150580A KR 102505801 B1 KR102505801 B1 KR 10250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ed
base body
coupling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261A (ko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멜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멜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멜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1020200150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8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는 병원 침대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에 배치되는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는 하부 베이스 바디; 및 일측부는 하부 베이스 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결합 대상물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를 포함하고, 하부 베이스 바디는 지지 포스트에 탈착 결합되어 지지 포스트의 높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고, 하부 커넥터는 하부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어 결합 대상물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MONITOR SUPPORTER FOR HOSPITAL BED INCLUDING MONITOR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병원 침대에 사용되는 모니터를 거치함과 아울러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침대의 규격과 호환될 수 있는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unit)는 TV나 컴퓨터용 모니터와 같이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기기로, 최근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PDP(Plasma Display Panel)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패널을 사용하여 대형화가 용이하고 얇아서 벽이나 테이블에 설치하여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주고 능률적인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모니터 거치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모니터 거치장치는 모니터 화면이 항시 최적 상태의 높낮이와 각도로 지지되어야 되며, 또한 간단한 구성으로 고장이 적어야 한다. 최근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높낮이를 조정하고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이 가능한 모니터 거치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한편 병원 침대에도 환자의 진찰 상황이나 상태 등을 볼 수 있도록 모니터가 설치되고 있다.
이를 위해 하기 특허문헌과 같이 병원 침대에 별도의 지지 장치를 마련하여 모니터를 설치하고 있지만,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가 다양한 병원 침대의 규격과 호환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지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병원 침대를 훼손하기 쉽고 결합 된 후의 이동이 잦은 병원 침대의 특성상 고정 안정성을 확보하기에 부족한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5537호(주식회사 옥시백) 2010. 02. 2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병원 침대의 규격과 호환됨과 아울러 설치시 병원 침대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을 훼손하지 않고 결합 후에 고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를 제공하는 것이다.
덧붙여, 장착 후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 전선이나 호스 등이 걸리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병원 침대의 침대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침대 하부 프레임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상기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에 결합되는 지지 포스트; 일측부는 상기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병원 침대의 침대 고정판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 및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모니터 부재를 지지하는 브래킷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는, 상기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포스트의 높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는 하부 베이스 바디; 및 일측부는 상기 하부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어 상기 침대 하부 프레임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고 타측부는 상기 침대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침대 고정판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상부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침대 고정판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게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베이스 바디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커넥터가 길이 조절되게 탈착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베이스 바디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타측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침대 고정판의 일측부를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커넥터는, 일측부에 마련된 절개홀을 통해 상기 지지 포스트에 상기 일측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베이스; 및 상기 커넥터 베이스의 상기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베이스의 타측부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 바디의 가압 플레이트와 같이 상기 침대 고정판에 결합되는 커넥터 가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부 베이스 바디는 지지 포스트에 탈착 결합되어 지지 포스트의 높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고, 하부 커넥터는 하부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어 결합 대상물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어 결합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병원 침대의 규격과 호환됨과 아울러 설치시 병원 침대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을 훼손하지 않고 결합 후에 고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측부는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병원 침대의 침대 고정판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에 의해 장착 후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 전선이나 호스 등이 걸리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에 사용되는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베이스 바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가 지지 포스트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A"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하단 고정 깊이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실시예의 하단 고정 깊이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부 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C"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D"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가 병원 침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2 커넥터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연결대 결합홀이 6개로 마련된 커넥터 연결대를 포함하는 하부 커넥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은 도 7에 도시된 바디홀과는 다른 형태의 바디홀이 적용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하단 고정 깊이 조절 구조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에 사용되는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 베이스 바디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가 지지 포스트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에 사용되는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100)는, 병원 침대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에 배치되는 지지 포스트(200)에 결합되는 하부 베이스 바디(110)와, 일측부는 하부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결합 대상물에 결합되는 하부 커넥터(120)와, 하부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어 이물질이나 습기 등이 하부 베이스 바디(110)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하부캡(130)을 구비한다.
하부 베이스 바디(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200)에 결합되며, 지지 포스트(200)에 마련된 복수의 포스트 결합홀(210)에 탈착 결합되어 지지 포스트(200)이 높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베이스 바디(1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벽에 하부 베이스 바디(110)보다 두께가 얇은 제1 내벽부(111)가 마련되고, 제1 내벽부(111)의 일측부에는 제1 내벽부(111)의 높이 방향 전체로 제1 절개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절개부(112)가 마련된 영역의 하부 베이스 바디(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 바디 결합홀(113)이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하부 베이스 바디(110)는 한 쌍의 베이스 바디 결합홀(113)에 결합되는 한 쌍의 베이스 바디 체결부재(114)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지지 포스트(200)에 마련된 복수의 포스트 결합홀(210) 중 선택된 포스트 결합홀(210)에 피스나 나사와 같은 베이스 바디 체결부재(114)를 통해 하부 베이스 바디(110)를 결합시킴으로써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외벽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베이스 바디 결합편(115)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베이스 바디 결합편(115) 각각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높이 방향으로 한 쌍의 결합편홀(115a)이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결합편홀(115a)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120)에 마련된 한 쌍의 커넥터 연결대(122)를 통해 한 쌍의 커넥터 결합부재(123)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한 쌍의 결합편홀(115a)과 한 쌍의 커넥터 연결대(122)에 마련된 복수의 연결대 결합홀(122a)를 선택적으로 커넥터 결합부재(123)로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부분을 한 쌍의 커넥터 연결대(122)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즉, 침대 하부 프레임(10)의 깊이에 따라, 일정 간격 즉, 연결대 결합홀(122a)간의 간격으로, 복수의 단계로 깊이(길이)를 조절하여, 하단 고정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은 다양한 하부 구조를 갖는 병원침대와 같은 결합 대상 구조에 대응하여 결합 가능한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를 제공한다.
하부 커넥터(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한 쌍의 베이스 바디 결합편(115)에 탈착 결합되며, 한 쌍의 베이스 바디 결합편(115)과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결합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커넥터(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121)와, 커넥터 바디(121)의 일측부에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커넥터 연결대(122)와, 한 쌍의 커넥터 연결대(122)를 한 쌍의 베이스 바디 결합편(115)에 탈착 결합시키는 복수의 커넥터 결합부재(123)를 포함한다.
하부 커넥터(120)의 커넥터 바디(12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중앙부에는 바디홀(121a)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바디홀(121a)에는 모니터 부재(30)와 연결되는 전선이나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고, 이 전선이나 케이블은 바디홀(121a)과 마주보는 영역의 하부 베이스 바디(110)에 마련된 홀을 통해서 바디홀(121a)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바디(121)의 양측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바디 결합홀(121b)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바디(121)는 복수의 바디 결합홀(121b)을 통해 침대 하부 프레임(10)이나 파티션의 외벽에 나사나 피스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탈착 결합될 수 있다.
하부 커넥터(120)의 커넥터 연결대(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바디(121)의 일측벽에 커넥터 바디(121)와 수직되게 마련되며 복수의 커넥터 결합부재(123)에 의해 한 쌍의 베이스 바디 결합편(115)에 탈착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연결대(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연결대(12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연결대 결합홀(122a)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커넥터 연결대(122)는 총 10개의 연결대 결합홀(122a)이 마련될 수 있고,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대 결합홀(122a)은 한 쌍의 결합편홀(115a)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는 한 쌍의 연결대 결합홀(122a)과 한 쌍의 결합편홀(115a)의 결합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한 쌍의 결합편홀(115a)과 한 쌍의 커넥터 연결대(122)에 마련된 복수의 연결대 결합홀(122a)를 선택적으로 커넥터 결합부재(123)로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부분을 한 쌍의 커넥터 연결대(122)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다. 즉, 침대 하부 프레임(10)의 깊이에 따라, 일정 간격 즉, 연결대 결합홀(122a)간의 간격으로, 5단계로 깊이(길이)를 조절하여, 하단 고정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후술하는 도 7a 및 도 7b과 같이, 설명되는 본 발명의 하단 고정 깊이 조절 구조 및 방법과 같이, 연결대 결합홀(122a)간은 15mm 간격을 가지며, 도 7a에서와 같이 첫번째 연결대 결합홀(122a)에 베이스바 결합편(115)의 결합편홀(115a)이 결합된 커낵터 바디(121)와 지지 포스트(200)의 거리가 최대인 경우 84mm의 깊이 예컨대 1단계 깊이를 가지며, 커넥터 바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다음 두번째 연결대 결합홀(122a)에 베이스바 결합편(115)의 결합편홀(115a)이 결합되는 경우 69mm의 깊이 예컨대 2단계 깊이, 세번째 연결대 결합홀(122a)에 베이스바 결합편(115)의 결합편홀(115a)이 결합되는 경우 54mm의 깊이 예컨대 3단계 깊이, 네번째 연결대 결합홀(122a)에 베이스바 결합편(115)의 결합편홀(115a)이 결합되는 경우 39mm의 깊이 예컨대 4단계 깊이, 다섯번째 연결대 결합홀(122a)에 베이스바 결합편(115)의 결합편홀(115a)이 결합되는 경우 도 7b에서와 같이 24mm의 깊이 예컨대 5단계 깊이를 갖는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커넥터 연결대(122)의 내벽에는 한 쌍의 베이스 바디 결합편(115)의 내벽이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커넥터(120)의 복수의 커넥터 결합부재(123)는, 피스나 나사를 포함하고, 복수의 연결대 결합홀(122a)을 통해 복수의 결합편홀(115a)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하부캡(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베이스 바디(110)에 결합되어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내부로 이물질이나 습기 등이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캡(130)은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저면부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하부캡(130)을 제거하고 지지 포스트(200)의 하부로 모니터 전원 및 기타 배선을 빼낼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는 도 6에 도시된 "A"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하단 고정 깊이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b는 본 실시예의 하단 고정 깊이 조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 도 8은 도 6에 도시된 "B"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부 고정부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C"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6에 도시된 "D"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가 병원 침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침대의 침대 하부 프레임(10)에 결합되며 침대 하부 프레임(10)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100)와,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100)에 결합되는 지지 포스트(200)와, 일측부는 지지 포스트(2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병원 침대의 침대 고정판(20)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300)와, 지지 포스트(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모니터 부재(30)를 지지하는 브래킷부(400)를 구비한다.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100)는, 도 1 내지 도 5를 기초로 전술한 하부 베이스 바디(110)와 하부 커넥터(120)와 하부캡(130)을 포함하고, 하부 베이스 바디(110)와 하부 커넥터(120)와 하부캡(130)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지지 포스트(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100)의 하부 베이스 바디(110)에 탈착 결합되며, 그 상부에는 브래킷부(400)의 하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포스트(20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포스트 결합홀(210)이 지지 포스트(200)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포스트 결합홀(210)에 상부 고정부(300)를 선택적으로 나사 결합시켜서 상부 고정부(300)의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의 포스트 결합홀(210)에 하부 베이스 바디(110)를 선택적으로 결합(도 5 참고)시켜서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100)의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지지 포스트(2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20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의 전선 정리홀(22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전선 정리홀(220)을 통해 전선이나 케이블을 매립하여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상부 고정부(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지지 포스트(20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병원 침대의 침대 고정판(20)에 결합되어 지지 포스트(200)의 중앙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고정부(300)는 파티션 등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고정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가 지지 포스트(200)에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 바디(310)와, 일측부는 상부 베이스 바디(310)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침대 고정판(20)이나 파티션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커넥터(320)를 포함한다.
상부 고정부(300)의 상부 베이스 바디(31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벽에 상부 베이스 바디(310)보다 두께가 얇은 제2 내벽부(311)가 마련되고, 제2 내벽부(311)의 일측부에는 제2 내벽부(311)의 높이 방향 전체로 제2 절개부(31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절개부(312)가 마련된 영역의 상부 베이스 바디(31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바디 결합홀(313)이 상부 베이스 바디(310)의 높이 방향으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상부 베이스 바디(310)는 한 쌍의 상부 바디 결합홀(313)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바디 체결부재(314)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2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지지 포스트(200)에 마련된 복수의 포스트 결합홀(210) 중 선택된 포스트 결합홀(210)에 피스나 나사와 같은 상부 바디 체결부재(314)를 통해 상부 베이스 바디(310)를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베이스 바디(310)의 결합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부 베이스 바디(310)의 일측 외벽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플레이트(315)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플레이트(315)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홀(315a)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플레이트홀(315a)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체결부재(317)의 일측부가 통과하여 상부 커넥터(320)의 한 쌍의 결합 레그(322)에 마련된 레그홀(322a)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커넥터 체결부재(317)를 통해 결합 플레이트(315)와 한 쌍의 결합 레그(322)의 결합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부 베이스 바디(310)의 타측부에 마련되는 가압 플레이트(316)와 상부 커넥터(320)의 커넥터 가압판(323)의 이격 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압 플레이트(316)와 커넥터 가압판(323)에 삽입되는 침대 고정판(20)이나 파티션 상단부의 폭에 대응되게 가압 플레이트(316)와 커넥터 가압판(323)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병원 침대의 규격과 호환됨과 아울러 설치시 병원 침대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을 훼손하지 않고 결합 후에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체결부재(317)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바디 체결부재(314)보다 긴 길이로 마련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한 쌍의 플레이트홀(315a)을 통과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레그(322)의 레그홀(322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고정부(300)의 상부 커넥터(3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는 결합 플레이트(315)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가압 플레이트(316)와 같이 침대 고정판(20)이나 파티션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지지 포스트(200)의 중앙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커넥터(3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에 마련된 절개홀(321a)을 통해 지지 포스트(200)에 일측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베이스(321)와, 커넥터 베이스(321)의 일측부에 마련되어 결합 플레이트(315)에 탈착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레그(322)와, 커넥터 베이스(321)의 타측부에 마련되며 가압 플레이트(316)와 같이 침대 고정판(20)이나 파티션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가압판(323)을 포함한다.
상부 커넥터(320)의 커넥터 베이스(32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 베이스 바디(310)와 마주보는 영역의 커넥터 베이스(321)에 절개홀(321a)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커넥터(320)의 한 쌍의 결합 레그(3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홀(321a)이 마련된 커넥터 베이스(321)의 단부에 절곡되게 마련되어 커넥터 체결부재(317)의 나사 결합 장소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체결부재(317)의 단부는 한 쌍의 결합 레그(322)에 각각 마련된 레그홀(322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넥터 체결부재(317)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레그(322)의 위치를 조절하여 커넥터 가압판(323)과 가압 플레이트(316)의 이격 거리를 침대 고정판(20)이나 파티션 상단부의 폭에 대응되게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병원 침대의 규격과 호환됨과 아울러 설치시 병원 침대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을 훼손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다.
상부 커넥터(320)의 커넥터 가압판(323)은, 커넥터 베이스(321)의 타측부 즉 절개홀(321a)이 마련된 커넥터 베이스(321)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가압 플레이트(316)와 같이 침대 고정판(20)이나 파티션의 상단부를 가압시켜 상부 고정부(300)를 클램프 형태로 침대 고정판(20)이나 파티션에 결합시킬 수 있다.
브래킷부(4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가 지지 포스트(200)에 결합되어 모니터 부재(3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래킷부(4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넥터 플랜지(411)와 이에 체결되는 체결 레버(412)에 의해 지지 포스트(200)의 상단부에 탈착 결합되는 제1 커넥터(410)와, 제1 커넥터(410)의 상단부에 핀 결합되는 모니터 암(420)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암(420)의 상단부에 도 12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터(430)와, 제2 커넥터(430)의 단부에 도 1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제3 커넥터(440)와, 제3 커넥터(440)의 단부에 볼트 결합되며 일측부에 모니터 부재(30)가 끼워 맞춤 또는 볼트 결합되는 브래킷 부재(450)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포스트(20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캡(460)을 포함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2 커넥터(430)의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1a)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의 모니터 암(420)(420, 도 11 참고)을 제외하고 제2 커넥터(430)를 제1 커넥터(410)에 볼트 부재로 바로 결합시킨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및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는 설치 환경 내지 병원침대의 형태에 따라 도 5를 기준으로 5개의 연결대 결합홀(122a)과 베이스 바디 결합편(115)의 결합편홀(115a)의 결합 위치를 조정하여 하부 베이스 바디(110)와 하부 커넥터(120)의 결합 위치를 5단계로 조절가능하며, 하부 커넥터(120)에 상기 하부 베이스 바디(110)가 탈착 결합되어 상기 결합 대상물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하단 고정 깊이를 조절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첫 번째 연결대 결합홀(122a)에 결합되어 커넥터 바디(121)와 하부 베이스 바디(110)간의 최대 간극이 84mm일 경우 결합되는 연결대 결합홀(122a)의 선택에 따라 최대 84mm에서 최소 24mm의 5단계로 결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하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되거나 구현되어 결합 대상물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하단 고정 깊이를 조절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연결대 결합홀이 6개로 마련된 커넥터 연결대를 포함하는 하부 커넥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 및 도 18은 도 7에 도시된 바디홀과는 다른 형태의 바디홀이 적용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하단 고정 깊이 조절 구조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넥터(120)의 커넥터 바디(121)에 형성되는 연결대 결합홀(122a)을 6개로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 통상 6단계로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하기 도 17 및 도 18을 통해 설명하는 구현 형태와 결합 실시되어 하부 베이스 바디(110)와 하부 커넥터(120)의 결합 위치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양자의 결합 위치를 총 7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위 실시예의 연결대 결합홀(122a)의 수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수 및 간극의 연결대 결합홀(122a)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하단 고정 깊이 조절 구조 및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 및 도 18은 도 7에 도시된 바디홀과는 다른 형태의 바디홀이 적용된 실시예로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디홀(121c)은 한 쌍의 베이스 바디 체결부재(114)의 헤드 부분이 안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며, 하부 베이스 바디(110)를 180도 회전하면 베이스 바디(110)의 단부를 커넥터 바디(121)의 벽면과 밀착이 가능하여 하부 베이스 바디(110)와 하부 커넥터(120)의 결합 위치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총 6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는 도 17를 참조하면, 침대 하부 프레임(10) 즉, 침대 하부 프레임(10)의 깊이에 따라, 일정 간격 즉, 연결대 결합홀(122a)간의 간격으로, 5단계로 깊이(길이)를 조절하여, 하단 고정 깊이를 조절한다. 즉 상술한 도 7a 및 도 7b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연결대 결합홀(122a)간은 15mm 간격을 가지며 첫 번째 연결대 결합홀(122a)에 결합되어 커넥터 바디(121)와 하부 베이스 바디(110)간의 최대 간극이 84mm일 경우 결합되는 연결대 결합홀(122a)의 선택에 따라 최대 84mm에서 최소 24mm의 5단계로 결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서와 같이, 하부 베이스 바디(110)를 도 18과 같이 180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베이스 바디(110)의 단부를 커넥터 바디(121)의 벽면과 밀착되어, 결합면으로부터 커넥터 바디(121)의 두께 예컨데 2mm,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두께 예컨대 2mm, 하부 베이스 바디(110)의 제 내벽부(111)의 두께 예컨대 2mm의 합인 6mm의 깊이 예컨대 6단계의 깊이를 추가적으로 가져, 결과적으로, 최대 84mm에서 최소 6mm의 6단계로 결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6단계로 결합 깊이는 본 실시예를 평평한 파티션에 장착할 경우에는 하부 베이스 바디(110)를 도 18과 같이 180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지지 포스트(200)를 수직으로 밀착해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절개부(121c)를 커넥터 바디(121)의 중앙 상단부와 하단부를 절개하여 마련되며, 바디 절개부(121c)를 통해 한 쌍의 베이스 바디 체결부재(114)의 헤드 부분이 안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뿐만 아니라, 바디 절개부(121c)를 통해 베이스 바디 체결부재(114)를 하부 베이스 바디(110)에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커넥터 바디(121)는 병원 침대의 파이프 프레임에 고정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로는 케이블이 들어가기 어려운데 이러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바디 절개부(121c) 또는 바디 절개부(121c)와 바디 결합홀(21b)의 사이에 마련된 슬릿홀을 통해서 케이블을 통과시켜서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은 하부 베이스 바디는 지지 포스트에 탈착 결합되어 지지 포스트의 높이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고, 하부 커넥터는 하부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어 결합 대상물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어 하단의 결합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병원 침대의 규격과 호환됨과 아울러 설치시 병원 침대를 포함하는 결합 대상물을 훼손하지 않고 결합 후에 고정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측부는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병원 침대의 침대 고정판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에 의해 장착 후에 돌출된 부분이 없어 전선이나 호스 등이 걸리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 :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100 :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110 : 하부 베이스 바디
111 : 제1 내벽부 112 : 제1 절개부
113 : 베이스 바디 결합홀 114 : 베이스 바디 체결부재
115 : 베이스 바디 결합편 115a : 결합편홀
120 : 하부 커넥터 121 : 커넥터 바디
121a : 바디홀 121b : 바디 결합홀
121c : 바디 절개부 122 : 커넥터 연결대
122a : 연결대 결합홀 123 : 커넥터 결합부재
130 : 하부캡 200 : 지지 포스트
210 : 포스트 결합홀 220 : 전선 정리홀
300 : 상부 고정부 310 : 상부 베이스 바디
311 : 제2 내벽부 312 : 제2 절개부
313 : 상바 바디 결합홀 314 : 상부 바디 체결부재
315 : 결합 플레이트 315a : 플레이트홀
316 : 가압 플레이트 317 : 커넥터 체결부재
320 : 상부 커넥터 321 : 커넥터 베이스
321a : 절개홀 322 : 결합 레그
322a : 레그홀 323 : 커넥터 가압판
400 : 브래킷부 410 : 제1 커넥터
411 : 커넥터 플랜지 412 : 체결 레버
420 : 모니터 암 430 : 제2 커넥터
440 : 제3 커넥터 450 : 브래킷 부재
460 : 상부캡 10 : 침대 하부 프레임
20 : 침대 고정판 30 : 모니터 부재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병원 침대의 침대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침대 하부 프레임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
    상기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에 결합되는 지지 포스트;
    일측부는 상기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병원 침대의 침대 고정판에 결합되는 상부 고정부; 및
    상기 지지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모니터 부재를 지지하는 브래킷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침대 고정판과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지지 포스트에 결합되는 상부 베이스 바디; 및
    상기 상부 베이스 바디에 탈착 결합되며 상기 침대 고정판의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게 마련되는 상부 커넥터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 바디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측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커넥터가 길이 조절되게 탈착 결합되는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 바디는,
    상기 베이스 바디의 타측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침대 고정판의 일측부를 가압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넥터는,
    일측부에 마련된 절개홀을 통해 상기 지지 포스트에 상기 일측부가 삽입되는 커넥터 베이스; 및
    상기 커넥터 베이스의 상기 일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결합 플레이트에 탈착 결합되는 결합 레그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베이스의 타측부에 마련되며 상기 상부 베이스 바디의 가압 플레이트와 같이 상기 침대 고정판에 결합되는 커넥터 가압판을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15. 삭제
KR1020200150580A 2020-11-11 2020-11-11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KR10250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80A KR102505801B1 (ko) 2020-11-11 2020-11-11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580A KR102505801B1 (ko) 2020-11-11 2020-11-11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261A KR20220064261A (ko) 2022-05-18
KR102505801B1 true KR102505801B1 (ko) 2023-03-06

Family

ID=8180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580A KR102505801B1 (ko) 2020-11-11 2020-11-11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5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4052B1 (ko) 2022-11-29 2023-03-24 (주)이미지솔루션 프라이버시 모니터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56Y1 (ko) * 2002-04-27 2002-07-27 (학)배영학숙 파이프 슬라이딩 홀더
KR101595558B1 (ko) 2013-12-20 2016-02-18 구자곤 마사지베드에 장착하는 포터블 필라테스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537B1 (ko) 2008-04-29 2010-03-09 주식회사 옥시백 모니터 거치장치 및 이를 채택한 의료용 침대
KR20100038944A (ko) * 2008-10-07 2010-04-15 김상겸 다용도 거치대
KR20120100098A (ko) * 2011-03-03 2012-09-12 최상덕 노트북 받침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856Y1 (ko) * 2002-04-27 2002-07-27 (학)배영학숙 파이프 슬라이딩 홀더
KR101595558B1 (ko) 2013-12-20 2016-02-18 구자곤 마사지베드에 장착하는 포터블 필라테스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261A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1225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to an electronic equipment cabinet
US7740218B2 (en) Stability support TV anti-tip device
US5833186A (en) Combination speaker housing and video monitor bracket
US6108195A (en) Computer system having thin-profile display with removable connector assembly
US20080054144A1 (en) In-wall interface and mounting method for display mount
KR102505801B1 (ko)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US201502457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wall mounting flat panel monitor and storing associated audio/video components
US20100133402A1 (en) Visual display unit mount
CN101965476A (zh) 用于显示设备的安装系统
KR101656614B1 (ko) 모니터 거치장치
KR20160121052A (ko) 모니터 거치장치
US20110101179A1 (en) Tv support structure with latching mechanism
KR200489848Y1 (ko) 평면 tv용 벽걸이 거치대
KR100587308B1 (ko) 평판 표시기를 위한 벽걸이 구조
JP2010250202A (ja) 薄型表示装置
US20120285908A1 (en) Cathode ray tube monitor to flat panel monitor conversion bracket
KR10121936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JP2006317504A (ja) 映像表示装置の吊り下げ装置
KR200221720Y1 (ko) 텔레비젼 지지대
KR20160121053A (ko) 모니터 거치장치
KR200279075Y1 (ko) 모니터용 천장걸이
JP2006348563A (ja) 屋根設置架台の支持金具
JP3102924U (ja) 薄型ディスプレイの取り付け装置
KR102610202B1 (ko) 벽걸이 티브이용 마운팅 장치
JP2009071711A (ja) 薄型テレビ取付用壁面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