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5281B1 -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 착유기용 접속 구조, 및 착유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 착유기용 접속 구조, 및 착유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5281B1
KR102505281B1 KR1020197024062A KR20197024062A KR102505281B1 KR 102505281 B1 KR102505281 B1 KR 102505281B1 KR 1020197024062 A KR1020197024062 A KR 1020197024062A KR 20197024062 A KR20197024062 A KR 20197024062A KR 102505281 B1 KR102505281 B1 KR 102505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milking machine
connection
adapter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105A (ko
Inventor
리 자오 첸
유키후미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피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7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14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removed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종류의 다른 접속 구경(口徑)을 갖는 착유기와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모유 저장 백에 수집한 통상 1회의 착유에 의해 착유된 모유를, 모유 저장 백과의 연결을 안정화하여 보유할 수 있는 착유기에 이용되는 어댑터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부(14)와, 제1 구경을 갖는 제1 접속부(11)로서, 본체부의 제1 단부에 설치되며 착유기 및 모유 저장 백(50) 중의 어느 것에 연결되는 제1 접속부와, 제1 구경보다 큰 제2 구경을 갖는 제2 접속부(12)로서, 본체부의 제2 단부에 설치되며 착유기 및 모유 저장 백 중의 타방(他方)에 연결되는 제2 접속부와, 본체부의 외면에 위치하고, 모유 저장 백을 어댑터에 고정하는 클립(30)이, 본체부의 제1 단부로부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유지구조(13)를 구비하는 어댑터(1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 착유기용 접속 구조, 및 착유기 어셈블리
[0001] 본 발명은, 착유기(窄乳器) 및 모유 저장 백(bag, 袋)을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2종류의 다른 접속 구경(口徑)을 갖는 착유기와 꼭 맞게(fit) 연결할 수 있는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 착유기용 접속 구조 및 착유기 어셈블리(assembly)에 관한 것이다.
[0002] 착유기 어셈블리는, 모유를 착유하기 위한 착유기와, 착유기를 연결하는 어댑터와, 어댑터에 연결되며, 착유한 모유를 수집하기 위한 모유 저장 용기를 구비한다. 모유 저장 용기는, 일반적으로, 경질(硬質)의 플라스틱제 포유병 또는 폴리 백(poly bag)이다. 폴리 백을 모유 저장 용기로서 이용하고 있으면, 모유를 수집한 후 곧바로 시일(seal, 封止)하여 냉장고에 넣고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할 수 있어, 모유의 저장이나 이용 전의 가열을 하기가 쉽다. 기존의 어댑터(예컨대, 특허문헌 1을 참조)는 일반적인 통 형상 또는 관 형상 구조이며, 착유기를 연결하기 위한 기준 지름의 상단(上端) 개구부를 갖는 동시에, 모유 저장 용기로서의 폴리 백을 연결하기 위한 하단(下端) 개구부도 갖는다. 어댑터의 양측으로 폴리 백을 끼워, 모유를 수집한 폴리 백이 어댑터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을 추가로 구비한다.
[0003]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5-116431A호
[0004]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어댑터는, 그 상단 개구부의 구경과 꼭 맞는(fit) 1종류의 구경의 착유기밖에 연결할 수가 없다. 그러나, 실제로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브랜드의 착유기가 어댑터에 연결되는 부재의 접속 구경이 다르며, 예컨대, 표준 지름과 확대 구경(廣口徑)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 때문에, 2종류의 다른 접속 구경을 갖는 착유기를 이용하고자 하거나, 2개의 다른 구경의 어댑터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어, 낭비를 초래한다. 한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유 저장 백을 클립으로 끼워 그 탈락을 방지하는 방식은, 수집한 모유의 중량을 클립이 견딜 수 없는 경우, 모유 저장 백이 어댑터로부터 탈락할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
[0005] 본 발명은, 2종류의 다른 접속 구경을 갖는 착유기와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모유 저장 백에 수집한 통상적으로 1회의 착유로 착유된 모유를, 모유 저장 백과의 연결을 안정화하여 보유할 수 있는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 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은, 나아가 착유기용 접속 구조 및 착유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0006]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로서, 중공(中空)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구경(口徑)을 갖는 제1 접속부로서, 상기 본체부의 제1 단부(端)에 설치되어, 착유기 및 모유 저장 백 중의 어느 일방(一方)에 연결되는 제1 접속부와,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 구경보다 큰 제2 구경을 갖는 제2 접속부로서,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에 설치되어, 착유기 및 모유 저장 백 중의 타방(他方)에 연결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모유 저장 백을 상기 어댑터에 고정하는 클립이, 상기 본체부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滑脫) 것을 방지하는 제1 유지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가 제공된다.
[0007]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1 유지구조는, 제1 접속부에 근접하여 설치된다.
[0008]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1 접속부의 외면에 제1 나사가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외면에 제2 나사가 설치된다.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1 유지구조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이다.
[0009]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돌기는, 상기 외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볼록조(凸條)이다.
[0010]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본체부의 제1 단부의 상기 외면 상에는, 병렬로 연장되는 상기 볼록조가 2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립을 유지하도록, 2개의 상기 볼록조 간의 거리가 상기 클립의 폭에 대응되어 있다.
[0011]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돌기는, 상기 외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속(斷續)적인 볼록조로 형성된다.
[0012]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접속부의 단부 개구부(端口部)로부터 상기 제2 접속부의 단부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0013]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1 유지구조는, 추가로, 상기 모유 저장 백을 상기 어댑터에 고정하는 클립이,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0014]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모유 저장 백을 상기 어댑터에 고정하는 클립이,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유지구조를 더 구비한다.
[0015]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2 접속부는, 전체의 직경이,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큰 상기 제2 구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유지구조는,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와 상기 제2 접속부의 사이에 형성된 단차(段差)이다.
[0016]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단차의 표면은, 유선형(流線型)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1 구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다.
[0017]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어느 일방의 어댑터와, 상기 모유 저장 백을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끼움 지지(挾持)하여 고정하기 위한 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가 제공된다.
[0018] 상기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클립은, 클립 아암(arm)과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 아암은, 대향하여 설치되는 좌측 클립 본체와 우측 클립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클립 본체와 상기 우측 클립 본체는 모두 탄성을 가지며, 각각 핸들에 연결되어 있다.
[0019] 상기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좌측 클립 본체와 상기 우측 클립 본체는, 각각 활 형상(弧形)을 이룸으로써, 상기 클립 아암 전체가, 상기 좌측 클립 본체와 상기 우측 클립 본체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연결하기 위한 부위(箇所)에서 절결(切缺)을 갖는 C형 구조로 되어 있다.
[0020] 상기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핸들은, 일단부가 상기 좌측 클립 본체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우측 클립 본체에 연결되는 U형 구조를 이루고 있고, 상기 핸들은 탄성을 가지며, 상기 핸들을 누름에 따라, 상기 좌측 클립 본체와 상기 우측 클립 본체가 서로 멀어져 간다.
[0021] 상기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클립은, 상기 모유 저장 백 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 가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에어 가압부는, 상기 핸들의 상기 클립 아암이 설치된 쪽과는 반대 측의 단부(端)에 위치하도록 상기 핸들에 설치된다.
[0022] 상기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에어 가압부는, 대향하여 설치되는 2개의 가압 레그(leg)부를 포함하며, 2개의 상기 가압 레그부의 사이에는, 모유 저장 백을 수용하기 위한 가압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0023] 상기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가압 레그부는 탄성을 갖는다.
[0024] 상기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착유기용 접속 구조는, 모유 저장 백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착유기를 지지하기 위한 착유기 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착유기 지지대는, 지지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臺座)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본체는, 상기 클립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정상 단부(頂端)가 상기 클립의 상기 핸들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0025] 상기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지지 본체가 지지 로드(rod)이다.
[0026]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접속부를 갖는 착유기와,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접속부와 연결되는 상술한 어느 일방의 착유기용 접속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0027]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의 양단부에 각각 다른 구경을 갖는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설치함으로써, 다른 접속 구경의 착유기와 연결할 수가 있다. 어댑터의 외면에 클립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구조를 설치함으로써, 모유 저장 백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이 어댑터로부터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모유 저장 백에 수집한 통상 1회의 착유로 착유된 모유를, 어댑터와 모유 저장 백 간의 연결을 안정화하여 보유할 수가 있다. 나아가, 클립에 에어 가압부를 설치하면, 이용자는, 다른 도구를 별도로 준비하는 일 없이, 모유 저장 백 내의 에어 배출을 클립을 이용해 편리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 착유기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이용자가 착유기 및 관련 부재를 안정적으로 재치(載置)하기가 쉬워진다.
[0028] 본원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면은, 본 발명을 더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며,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개념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부당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착유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립이 어댑터의 외면에 끼움 지지하여 유지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제1 유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클립이 도 10a에 있어서의 제1 유지구조를 끼움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0029]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 착유기용 접속 구조, 및 착유기 어셈블리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충돌하지 않는 한, 본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 중의 구성 요건을 조합할 수 있다.
[0030] <제1 실시형태>
[착유기 어셈블리의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착유기 어셈블리(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유기 어셈블리(100)는, 통상, 모유를 착유하는 착유기(20)와, 착유기(20)에 연결되는 어댑터(10)와, 모유 저장 백(50)을 구비하며, 모유 저장 백(50)은, 어댑터(10)에 연결되어, 착유한 모유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고, 일반적으로는, 가요성 폴리 백이 사용되며, 착유기 어셈블리(100)는, 모유 저장 백(50)을 어댑터(10)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유지부재, 본 실시형태에서는 클립(30)을 더 구비한다.
[0031] [착유기]
모유를 착유하는 착유기(20)는, 본 분야에서 주지(周知)된 것으로서, 유방 상에 꼭 맞는(fit) 후드부와, 후드부에 연결되며 후드부 내에 진공(부압(負壓))을 생성하는 진공 펌프를 구비하여도 되고, 나아가, 후술하는 어댑터(10)와 연결하는 착유기 접속부를 구비하여도 된다. 진공 펌프는, 수동(手動) 진공 펌프(예컨대, 휴대형(handheld) 피스톤 펌프)이거나,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동시에 배관을 통해 후드부에 연통(連通)되는 전동 진공 펌프여도 된다. 진공 펌프는, 후드부에 압력을 간헐적으로 발생시키며, 가장 대표적으로는, 진공(또는 부압)을 발생시키고, 이로써, 유방을 잡아당기거나 및/또는 눌러 짜기 위한 흡인 동작을 간헐적으로 발생시켜, 모유를 짜낸다. 짜낸 모유는, 저장하거나 또는 장래의 사용을 위해, 통상적으로, 후드부로부터 착유기 접속부와 연결되는 어댑터(10)를 통해, 병 또는 주머니(bag) 등의 모유 저장 용기(50)에 유입된다. 착유기 접속부는, 통상적으로, 액체 통로를 갖는 관 형상 또는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착유기의 모델에 따라, 착유기 접속부의 구경은 표준 지름이어도 되고, 확대 구경이어도 된다. 착유기 접속부와 어댑터(10) 간의 연결 형태는, 예컨대, 나사식 결합(螺合), 체결 등, 적절한 형태이면 된다.
[0032] 어댑터(10)는, 착유기(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모유 저장 백을 모유 저장 용기(50)로서 이용한다.
[어댑터]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댑터(10)는, 착유기(20)와 모유 저장 용기(50)를 연결하는 동시에, 착유기(20)로 착유한 모유를 모유 저장 용기(50)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어댑터(10)는, 2종류의 다른 착유기 접속부의 구경을 갖는 착유기(20)에 연결될 수 있다.
[0033] 본 발명에 있어서의 어댑터(10)는, 중공의 관 형상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모유 등의 액체를 유도하기에 적합한 본체부(14)를 구비한다.
[0034] 어댑터(10)는, 중공의 관 형상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4)의 제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구경을 갖는 제1 접속부(11)를 더 구비하여도 되며, 이 제1 접속부(11)는, 제1 접속 구경을 갖는 착유기(20)와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제1 접속부(11)는, 착유기(20)와 꼭 맞는(fit) 커넥터 형태를 가지며, 예컨대, 제1 접속부(11)의 외면에는 나사, 체결 부품 등이 설치되어 있다.
[0035] 나아가, 어댑터(10)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4)의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2 구경을 갖는 제2 접속부(12)를 더 구비하여도 되고, 이 제2 접속부(12)는, 제2 접속 구경을 갖는 착유기(20)와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제2 접속부(12)는, 착유기(20)와 꼭 맞는 커넥터 형태를 가지며, 예컨대, 제2 접속부(12)의 외면에는 나사, 체결 부품 등이 설치되어 있다.
[0036]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상, 제1 구경을 표준 지름으로 하고, 제2 구경을 확대 구경으로 하며, 제2 구경이 제1 구경보다 큰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2 구경이, 기준 지름인 제1 구경보다 반드시 큰 것은 아니며, 표준 지름인 제1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어도 되고,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어댑터(10) 및 관련 구조를 변형시키면 된다.
[0037] 제1 접속부(11) 및 제2 접속부(12)는, 나아가, 후술하는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모유 저장 백(50)의 연결에 있어서는, 제1 접속부(11)를 이용하여 착유기(20)와 연결하고 있으면, 제2 접속부(12)를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게 되고, 반대로, 제2 접속부(12)를 이용하여 착유기(20)와 연결하고 있으면, 제1 접속부(11)를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게 된다.
[0038]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댑터(10)는, 그 본체부(14)가 제1 접속부(11)와 동일한 단면(斷面) 직경을 갖는 동시에, 제1 접속부(11)의 단부 개구(端口)로부터 본체부(14)로 연장되는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접속부(12)는, 그 단부 개구부로부터 본체부(14)로 일정한 길이만큼 연장되는 원통형 구조이며, 이 길이의 범위 내의 원통형 구조는, 제2 접속부(12)의 구경과 동일한 단면 직경을 갖는다. 이로써, 본체부(14)와 제2 접속부(12) 간의 연결 부위에서 단차(16)가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단차(16)는, 외면이 유선형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차(16)는, 본체부(14)의 직경에서 제2 접속부(12)의 직경으로 갑자기 바뀌는 구조로 해도 된다.
[0039] 나아가, 어댑터(10)는, 상기 본체부(14)의 외면에 위치하며, 모유 저장 백(50)을 어댑터(10)에 고정하는 후술하는 클립(30)이, 본체부(14)의 원통의 중심축의 축 방향(즉, 본체부(14)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짐에 따라, 클립(30)에 끼움 지지된 모유 저장 백(50)이 본체부(1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유지구조(13)를 추가로 구비하여도 된다.
[0040]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유지구조(13)는, 본체부(14)의 제1 접속부(11)에 근접한 장소에 설치되며, 즉, 제1 유지구조(13)는, 제1 접속부(11)의 단부 개구부로부터의 거리가, 제2 접속부(12)의 단부 개구부로부터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유지구조(13)는, 제2 접속부(12)를 이용하여 착유기(20)와 연결하면서, 제1 접속부(11)를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는 경우, 모유 저장 백(50)을 어댑터(10)에 고정하는 클립(30)이, 본체부(14)의 제1 단부로부터 본체부(14)의 원통의 중심축의 축 방향(즉, 본체부(14)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한편, 제1 접속부(11)를 이용하여 착유기(20)와 연결하면서, 제2 접속부(12)를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는 경우, 상기 단차(16)는, 모유 저장 백(50)을 어댑터(10)에 고정하는 클립(30)이, 본체부(14)의 제2 단부로부터 본체부(14)의 원통의 중심축의 축 방향(즉, 본체부(14)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유지구조를 구성한다.
[004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유지구조(13)는, 본체부(14)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로 되어 있다. 이 돌기는, 본체부(14)의 외면으로부터 이 외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며, 이 폭은 후술하는 클립(30)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돌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해도 된다. 예컨대, 어댑터(10)를 연직(鉛直)으로 두고 볼 때, 돌기는, 본체부(14)의 외면에 동일한 높이로 균일하게 설치된 복수의 비연속적인 것이 되며, 돌기는, 또한, 상기 외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하는 볼록조가 되어도 된다.
[0042] 또, 제1 유지구조(13)는, 본체부(14)의 외면 상에서, 병렬로 연장되는 2개의 볼록조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지구조(13)는, 상측 볼록조(13a)와 하측 볼록조(13b)를 구비하며, 클립(30)을 유지하도록 상측 볼록조(13a)와 하측 볼록조(13b) 사이의 거리는 클립(30)의 폭에 대응된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유지구조(13)를 채용하여 클립(30)을 유지시키는 경우, 클립(30)은 상측 볼록조(13a)와 하측 볼록조(13b)의 사이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0043] 본 발명의 제1 유지구조(13)의 배치는 상술한 다양한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클립(30)을 유지하는 것이면 된다.
[0044] 또, 제2 유지구조는, 제1 유지구조(13)의 구조와 같이 설치해도 된다. 예컨대, 제2 유지구조는, 본체부(14)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17)로 되어 있다. 이 돌기(17)는, 본체부(14)의 외면으로부터 이 외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며, 이 폭은 후술하는 클립(30)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돌기(17)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해도 된다. 예컨대, 어댑터(10)를 연직으로 두고 볼 때, 돌기(17)는, 본체부(14)의 외면에 동일한 높이로 균일하게 설치된 복수의 비연속적인 것이 되며, 돌기(17)는, 또한, 상기 외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하는 볼록조가 되어도 된다. 또, 본체부(14)의 외면 상에서, 병렬로 연장되는 2개의 볼록조를 설치하는 동시에, 클립(30)을 유지하도록 2개의 볼록조 간의 거리가 클립(30)의 폭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0045] [모유 저장 백]
모유 저장 백(50)은, 예컨대, 폴리에틸렌 등의 식품과 상용성(相溶性)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모유 저장 백 등, 본 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다양한 모유 저장 백을 이용해도 되며, 그 재질이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개방 상태에서는 저장 백 내부를 통하게 하거나, 폐쇄 상태에서는 저장 백을 시일(seal, 封止)하거나 하는 재밀봉 또는 재폐쇄가 가능한 시일 부재를 가지며, 예컨대, 시일 부재가 「파스너(fastener)」형 폐쇄 부재 또는 그 등가물(等價物)이다.
[0046] 개방 상태에 있어서, 어댑터(10)의 착유기(20)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일단(一端)이, 모유 저장 백(50)에 적당한 길이만큼 삽입되고, 이 길이는, 착유한 모유가, 연결 부위로부터 넘쳐 나오지 않으면서, 어댑터(10)를 통해 모유 저장 백(50)에 도입되기에 적합하다.
[0047] 모유 저장 백(50)은, 재질이 부드럽기 때문에, 모유가 유입될 때에 어댑터(10)에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는, 보조 수단에 의해 어댑터(10)에 유지될 필요가 있다. 끼움 지지에 의해 그 위치를 규정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후술하는 클립(30)을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을 어댑터(10)에 연결시켜, 모유 저장 백(50)이 어댑터(10)로부터 미끄러져 빠지는 사태의 발생을 회피한다.
[0048] [클립]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립(30)을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을 어댑터(10)의 외면에 유지시킨다. 클립(30)은, 모유 저장 백(50)을 끼움 지지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끼움 지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어댑터(10)의 외부 형상과 꼭 맞아야 하는 것이다. 클립(30)은, 나아가, 모유 저장 백(50)을 어댑터(10)로부터 간편하게 탈부착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클립(30)은, 클립 아암(arm)과 핸들(31)을 포함한다. 클립 아암은, 대향하여 설치되는 좌측 클립 본체(32)와 우측 클립 본체(33)를 포함하고, 좌측 클립 본체(32)와 우측 클립 본체(33)는 모두 탄성을 가지며, 각각 핸들(31)에 연결되어 있다. 어댑터(10)의 외부 형상과 꼭 맞도록, 좌측 클립 본체(32)와 우측 클립 본체(33)는, 각각 활 형상(弧形)을 이룸으로써, 클립 아암 전체가, 좌측 클립 본체(32)와 우측 클립 본체(33)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핸들(31)을 연결하기 위한 부위에서 절결(切缺)을 갖는 C형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0049] 핸들(31)은, 일단부가 좌측 클립 본체(3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우측 클립 본체(33)에 연결되는 U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핸들(31)은 탄성을 가지고, 또한, 이용자가 핸들(31)의 U형 구조를 눌러 U형 구조의 개구부에 압력을 부여할 경우, 모멘트에 의해 좌측 클립 본체(32)와 우측 클립 본체(33)가 서로 멀어져 감에 따라, C형 구조의 개구부가 개방된다.
[0050] 핸들(31)의 구조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통상의 빨래집게와 유사한 구조로 해도 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의 말단(末端)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즉, 좌측 클립 본체(32)와 여기에 이어지는 핸들이 일체로 되어 있는 동시에, 우측 클립 본체(33)와 여기에 이어지는 핸들이 일체로 되어 있으며, 양 부분은 핸들의 말단에서 분리되고, 핸들의 말단과 가까운 부분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핸들의 외측을 누름으로써 스프링에 힘을 가하여,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좌측 클립 본체(32) 및 우측 클립 본체(33)가 개방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클립(30)의 좌측 클립 본체(32) 및 우측 클립 본체(33)가 어댑터(10)의 형상에 꼭 맞도록, 좌측 클립 본체(32) 및 우측 클립 본체(33)도 각각 활 형상을 이루고 있다.
[0051]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접속부(11)를 이용하여 착유기(20)와 연결하면서, 제2 접속부(12)를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는 경우, 클립(30)은, 어댑터(10)의 단차(16)에 걸림결합하고, 즉, 단차(16)로 구성되는 제2 유지구조는, 클립(30)이 어댑터(10)의 축 방향(즉, 본체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접속부(12)의 단부 개구부로부터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005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접속부(12)를 이용하여 착유기(20)와 연결하면서, 제1 접속부(11)를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는 경우, 클립(30)은, 어댑터(10)의 제1 유지구조(13)에 걸림결합하고, 즉, 제1 유지구조(13)는, 클립(30)이 어댑터(10)의 축 방향(즉, 본체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접속부(11)의 단부 개구부로부터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0053] [기술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2개의 다른 구경의 접속부를 갖는 어댑터를 구조화 함으로써, 2종류의 다른 구경의 착유기 접속부를 갖는 착유기와 연결할 수 있으며,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의 이용 가능성을 높여, 구경이 다른 접속 구경을 이용한 착유기를 위한 지출을 경감시킨다. 그리고, 모유 저장 백을 끼움 지지하는 클립의 탈락을 방지하는 유지부재를 어댑터에 설치함으로써, 모유 저장 백 자체의 중량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모유 저장 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0054] 이상의 설명은, 착유기 어셈블리 전체를 예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어댑터(10)가 착유기 어셈블리의 다른 부재와 독립하여 존재해도 되고, 어댑터(10)와 클립(30)이 세트가 되어, 착유기 어셈블리의 다른 부재와 독립하여 존재해도 된다.
[0055] <제2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착유기 어셈블리(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겠으며, 제1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다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0056]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10)는, 제1 실시형태의 어댑터(10)와는 다른 구조가 된다.
본 실시형태의 어댑터(10)도, 본체부(14)와, 중공의 관 형상 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4)의 제1 단부에 설치되는 제1 구경을 갖는 제1 접속부(11)를 구비하며, 이 제1 접속부(11)는, 제1 접속 구경을 갖는 착유기(20)와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제1 접속부(11)는, 착유기(20)와 연결하는 커넥터 형태를 가지며, 예컨대, 제1 접속부(11)의 외면에는 나사, 체결 부품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접속부(11)의 외면에는, 전체적으로 후술하는 제2 접속부(12)로 경사지는 나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설치하는 목적은, 보다 많은 착유기(20)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0057] 나아가, 어댑터(10)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구조화 되며, 상기 본체부(14)의 제2 단부에 설치되는 제2 구경을 갖는 제2 접속부(12)를 더 구비하여도 되고, 이 제2 접속부(12)는, 제2 접속 구경을 갖는 착유기(20)와 연결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제2 접속부(12)는, 착유기(20)와 연결하는 커넥터 형태를 가지며, 예컨대, 제2 접속부(12)의 외면에는 나사, 체결 부품 등이 설치되어 있다.
[0058]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구경을 표준 지름으로 하고, 제2 구경을 확대 구경으로 하며, 제2 구경이 제1 구경보다 크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2 구경이, 항상 기준 지름인 제1 구경보다 큰 것은 아니며, 기준 지름인 제1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어도 된다.
[0059]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접속부(11) 및 제2 접속부(12)는, 후술하는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기에도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댑터(10)는, 상기 제1 접속부(11)의 단부 개구부로부터 제2 접속부(12)의 단부 개구부로 연장되는 원뿔대 형상 구조로 되어 있다.
[0060] 상기 본체부(14)의 외면에 위치하며, 모유 저장 백(50)을 어댑터(10)에 고정하는 클립(30)이, 본체부(14)의 축 방향(즉, 본체부(14)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짐에 따라, 클립(30)에 끼움 지지된 모유 저장 백이 본체부(14)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유지구조(13)가 어댑터(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다.
[006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유지구조(13)는, 어댑터(10)의 길이 방향의 대략 중앙 부위에 설치되며, 제2 접속부(12)를 이용하여 착유기(20)와 연결하면서, 제1 접속부(11)를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는 경우, 클립(30)이, 본체부(14)의 제1 단부로부터 축 방향(즉, 본체부(14)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해도 되고, 제1 접속부(11)를 이용하여 착유기(20)와 연결하면서, 제2 접속부(12)를 이용하여 모유 저장 백(50)과 연결하는 경우, 클립(30)이, 본체부(14)의 제2 단부로부터 축 방향(즉, 본체부(14)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유지구조를 겸하도록 이용되어도 된다.
[0062] 상기 구조에 있어서, 제1 유지구조(13)는, 제2 유지구조를 겸하여 작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제1 유지구조(13)가 본체부(14)의 제1 접속부(11)에 근접한 장소에 설치되고, 즉, 제1 유지구조(13)는, 제1 접속부(11)의 단부 개구부로부터의 거리가, 제2 접속부(12)의 단부 개구부로부터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도 된다. 동시에, 제2 유지구조를, 본체부(14)의 제2 접속부(12)에 근접한 장소에 설치하고, 즉, 제2 유지구조는, 제2 접속부(12)의 단부 개구부로부터의 거리가, 제1 접속부(11)의 단부 개구부로부터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어도 된다.
[0063] 제1 실시형태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유지구조(13)와 제2 유지구조(17)는, 모두 본체부(14)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로 되어 있어도 된다. 이 돌기는, 본체부(14)의 외면으로부터 이 외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가지며, 이 폭은 클립(30)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돌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해도 된다. 예컨대, 어댑터(10)를 연직으로 두고 볼 때, 돌기는, 본체부(14)의 외면에 동일한 높이로 균일하게 설치된 복수의 비연속적인 것이 되며, 돌기는, 또한, 상기 외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하는 볼록조가 되어도 된다. 또, 제1 유지구조(13)와 제2 유지구조(17)는, 모두 본체부(14)의 외면에 병렬로 연장되는 2개의 볼록조로서 형성되는 동시에, 클립(30)을 유지하도록 2개의 볼록조 간의 거리가 클립(30)의 폭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제1 유지구조(13)와 제2 유지구조가, 반드시 동일한 구조인 것은 아니며, 각각 다른 구조로 해도 된다.
[0064]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착유기 어셈블리(100)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착유기(20), 모유 저장 백(50), 및 클립(30)을 갖는다.
[0065] <제3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착유기 어셈블리(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겠으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다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0066]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착유기 어셈블리(100)는, 클립(30) 이외에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클립(30) 이외의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0067]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립(30)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30)은, 클립 아암과 핸들(31)을 포함하고, 클립 아암의 구조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립 아암의 구조와 같다. 핸들(31)은, 일단이 클립 아암에 연결되고, 타단에 모유 저장 백(50) 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 가압부가 설치되어 있다. 핸들(31)의 클립 아암이 연결되어 있는 일단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일단부가 좌측 클립 본체(32)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우측 클립 본체(33)에 연결되는 U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핸들(31)은 탄성을 가지고, 또, 이용자가 핸들(31)의 U형 구조를 눌러 U형 구조의 개구부에 압력을 부여할 경우, 모멘트에 의해 좌측 클립 본체(32)와 우측 클립 본체(33)가 서로 멀어져 감에 따라, C형 구조의 개구부가 개방된다.
[0068]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 가압부는, 핸들(31)의 클립 아암과는 반대 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에어 가압부는, 대향하여 설치되는 2개의 가압 레그(leg)부(34)를 포함하며, 2개의 가압 레그부(34)의 사이에는, 모유 저장 백(50)을 수용하기 위한 가압 틈새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 레그부(34)는, 탄성을 갖는 재료가 이용되고, 핸들(31) 및 클립 아암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해도 되며, 핸들(31) 및 클립 아암과 다른 재료를 이용해도 된다.
[0069] 가압 레그부(34)와 핸들(31) 간의 연결 부위는 일체로 성형되어도 되고, 별개로 성형되어도 되며, 나사 등, 일반적인 고정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가압 레그부(34)와 핸들(31) 및 클립 아암이 동일한 평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각각의 중심 축선이 1개의 직선에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0070] 개개의 가압 레그부(34)는, 편평하고 가느다란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길이가 긴(長尺) 형상의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에어 가압에 적합하면 된다.
[0071] 사용 시에, 예컨대, 착유를 완료하고 모유 저장 백(50)을 어댑터(10)로부터 떼어낸 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유 저장 백(50)의 모유보다 상방의 부분을, 방향(A)을 따라, 에어 가압부의 가압 레그부(34) 사이의 가압 틈새에 끼워 넣고, 방향(B)을 따라, 에어 가압부를 회동(回動)하여, 모유 저장 백(50)의 모유보다 상방의 부분을 끼운 채로 적절한 각도로 회동하고, 2개의 가압 레그부(34) 간의 틈새를 작게 하여, 누르는 상태로 유지되며, 모유 저장 백을 따라 에어 가압부를 모유 저장 백의 개구부(口部) 방향으로, 즉 방향(C)으로, 슬라이딩하여, 에어 가압부를 모유 저장 백의 개구부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모유 저장 백의 모유보다 상방의 에어를 배출하며, 그 후, 모유 저장 백(50)을 시일(seal)한다. 그 과정에 있어서, 이용자가 2개의 가압 레그부(34)의 외측을 손가락으로 눌러, 2개의 가압 레그부(34) 간의 틈새를 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72] 나아가, 2개의 가압 레그부(34)의 서로 대향하는 면 위에는,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압 레그부(3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 또는 복수 개의 돌기 리브(rib)가 설치되어도 되며, 이 대응하는 위치란, 2개의 가압 레그부(34)의 외부에 압력을 가하여 2개의 가압 레그부(34)를 함께 붙일 경우, 양측의 리브가 대응하여 폐쇄되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에어 가압부를 이용해 에어 가압을 행하는 경우, 모유 저장 백(50)의 가압을 보다 밀도있게 행하여, 보다 많은 에어를 밀어낼 수가 있다.
[0073] <제4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착유기 어셈블리(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겠으며,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다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0074]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착유기 어셈블리(100)는, 클립 이외에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클립 이외의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0075]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립(30)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40)은, 클립 아암과 핸들(31)을 포함하고, 클립 아암의 구조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클립 아암의 구조와 같고, 재질만 다르다.
[0076] 구체적으로는, 클립(40)은, 끼움 지지하는 방향(도 7의 상하 방향)의 외측의 부재(41)에 비해, 내측의 부재(42)가 유연성을 갖는 재질을 이용해 형성된다. 예컨대, 외측의 부재(41)는 ABS 수지 등이고, 내측의 부재(42)는 외측의 부재(41)의 재질보다 유연성과 탄력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며, 이와 같이, 클립(40)이 2종류의 재질로 제작된다.
[0077]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컨대, 끼움 지지된 모유 저장 백(50)의 주입구에 물결 모양(波紋)이 생성되는 등으로 인해, 그 형태가 클립(40)의 내측의 부재(42)와 다소 다르지만, 유연성을 갖는 내측의 부재(42)가 변형되어, 끼움 지지된 모유 저장 백(50)의 형상에 맞게 끼움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클립(40)에 의한 중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모유 저장 백(50)의 끼움 지지를 확실하게 하여, 모유 저장 백(50)이 어댑터(10)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보다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내측의 부재(42)가 유연성을 가짐에 따라, 모유 저장 백(50)의 손상도 방지할 수가 있다.
[0078]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클립(40) 전체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종류의 재질로 제작되고, 즉, 클립(40)의 내벽(즉, 클립(40)의 끼움 지지된 모유 저장 백(50)을 향하는 부위)을, 클립(40)의 외측보다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립 벽부만을 상술한 바와 같은 2종류의 경도(硬度)가 다른 재질로 형성하면서, 핸들(31)을 1종류의 재질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0079] <제5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착유기 어셈블리(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겠으며, 상술한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다른 요소에 중점을 두고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0080] 제5 실시형태에 의한 착유기 어셈블리(100)는, 제1 실시형태의 착유기 어셈블리(100)와 동일하게, 혹은 제2 실시형태의 착유기(20)와 동일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착유기(20), 어댑터(10), 클립(30), 및 모유 저장 백(50)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착유기 어셈블리(100)는, 모유 저장 백(50)이 연결된 착유기(20)를 지지하기 위한 착유기 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유기 지지대는, 상부에 지지 본체(36)가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35)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본체(36)의 상부 정상 단부가 클립(30)에 연결되는 동시에, 클립(30)의 좌측 클립 본체(32)와 우측 클립 본체(33)가 동일한 수평면에 있도록 클립(30)을 수평으로 유지한다.
[0081] 받침대(35)는, 적절한 구조를 이용하고 적절한 중량을 가지므로, 착유기(20)가 재치(載置)된 후에 착유기 어셈블리(10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35)는, C형 형상의 저반(底盤)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82] 지지 본체(36)는, 받침대(35)의 상부에 설치되어, 받침대(35)와 일체로 성형되어도 되며, 나사, 리벳(rivet) 등의 고정 방식에 의해 받침대(35)의 상부에 고정되어, 부하(負荷)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예컨대, 받침대(35)가 C형 형상의 저반 형상이 되는 경우, 지지 본체(36)가 C형 윤곽의 중앙 위치에 설치된다. 지지 본체(36)는, 활 형상을 띤 판 형상 또는 기둥 형상으로 설치되어도 되며, 그 높이는, 모유 저장 백(50)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 본체(36)는, 지지 로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83] 상술한 바와 같이, 클립(30)의 핸들(31)이, 지지 본체(36)의 상부 정상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나사식 접속 또는 리벳식 접속에 의해 클립(30)을 지지 본체(36)의 상부 정상 단부에 연결해도 된다. 이 연결은, 영구의 고정 연결이어도 되고, 탈부착 가능한 연결이어도 된다.
[0084] 또한, 어떠한 연결 방식으로 하더라도, 지지 본체(36)는, 클립(30)의 좌측 클립 본체(32)와 우측 클립 본체(33)가 동일한 수평면에 있도록 클립(30)을 수평으로 유지하는 구성으로 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클립(30)을, 걸림 결합 부재를 통해 지지 본체(36)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다.
[0085] 착유기 지지대는, 착유기 어셈블리(100)를 다양한 방식에 의해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착유기 어셈블리(100)를 조립하지 않은 경우, 어댑터(10)를 클립(30)으로 끼움 지지하여 어댑터(10)를 유지한다. 착유기(20)와 어댑터(10)를 조립한 경우, 어댑터(10)를 클립(30)으로 끼움 지지하여, 착유기(20)가 연결되어 있는 어댑터(10)를 유지한다. 나아가, 착유기(20), 어댑터(10) 및 모유 저장 백(50)이 연결되고 어댑터(10)를 클립(30)으로 끼움 지지함으로써 모유 저장 백(50)을 유지하는 경우, 착유기 어셈블리(100) 전체를 유지할 수가 있다.
[0086] 이상은,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원칙 내의 어떠한 수정, 균등한 치환, 개량 등이라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다.
[0087] 10: 어댑터
11: 제1 접속부
12: 제2 접속부
13: 제1 유지구조
14: 본체부
20: 착유기
30: 클립
31: 핸들
32: 좌측 클립 본체
33: 우측 클립 본체
34: 가압 레그부
35: 받침대(臺座)
36: 지지 본체
50: 모유 저장 백(bag)
100: 착유기 어셈블리

Claims (23)

  1.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와 모유 저장 백을 착유기용 접속 구조에 끼움 지지(挾持)하여 고정하기 위한 클립
    을 구비하고,
    상기 어댑터는,
    중공(中空)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와,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구경(口徑)을 갖는 제1 접속부로서, 상기 본체부의 제1 단부에 설치되어, 착유기 및 모유 저장 백(bag, 袋) 중의 어느 일방(一方)에 연결되는 제1 접속부와,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 구경보다 큰 제2 구경을 갖는 제2 접속부로서,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에 설치되어, 착유기 및 모유 저장 백 중의 타방(他方)에 연결되는 제2 접속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위치하고, 상기 클립이 상기 본체부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유지구조
    를 구비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모유 저장 백을 상기 어댑터에 고정하고, 클립 아암(arm)과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클립은, 상기 모유 저장 백 내의 에어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 가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 가압부는, 상기 핸들의 상기 클립 아암이 설치된 쪽과는 반대 측의 단부(端)에 위치하도록 상기 핸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구조는, 제1 접속부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의 외면에 제1 나사가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외면에 제2 나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구조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외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볼록조(凸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제1 단부의 상기 외면 상에는, 병렬로 연장되는 상기 볼록조가 2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클립을 유지하도록, 2개의 상기 볼록조 간의 거리가 상기 클립의 폭에 대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외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속(斷續)적인 볼록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제1 접속부의 단부 개구부(端口部)부로부터 상기 제2 접속부의 단부 개구부까지 연장되는 원뿔대(圓錐臺)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구조는, 추가로, 상기 모유 저장 백을 상기 어댑터에 고정하는 클립이,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클립이 상기 본체부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2 유지구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경(口徑)은 상기 본체부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유지구조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2 접속부 간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 단차(段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의 표면은, 유선형(流線型)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1 구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아암은, 대향하여 설치되는 좌측 클립 본체와 우측 클립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 클립 본체와 상기 우측 클립 본체는 모두 탄성을 가지며, 각각 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클립 본체와 상기 우측 클립 본체는, 각각 활 형상을 이룸으로써, 상기 클립 아암 전체가, 상기 좌측 클립 본체와 상기 우측 클립 본체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연결하기 위한 부위에서 절결(切缺)을 갖는 C형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일단부가 상기 좌측 클립 본체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우측 클립 본체에 연결되는 U형 구조를 이루고 있고, 상기 핸들은 탄성을 가지며, 상기 핸들을 누름에 따라, 상기 좌측 클립 본체와 상기 우측 클립 본체가 서로 멀어져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압부는, 대향하여 설치되는 2개의 가압 레그(leg)부를 포함하며,
    2개의 상기 가압 레그부의 사이에는, 모유 저장 백을 수용하기 위한 가압 틈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레그부는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21.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유 저장 백이 연결되어 있는 상기 착유기를 지지하기 위한 착유기 지지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착유기 지지대는, 지지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받침대(臺座)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본체는, 상기 클립을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그 정상 단부(頂端)가 상기 클립의 상기 핸들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본체가 지지 로드(ro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용 접속 구조.
  23. 접속부를 갖는 착유기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착유기용 접속 구조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가 상기 접속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 어셈블리.
KR1020197024062A 2017-01-25 2018-01-25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 착유기용 접속 구조, 및 착유기 어셈블리 KR1025052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061302.3A CN108339165B (zh) 2017-01-25 2017-01-25 用于吸奶器的转接件、吸奶器转接结构和吸奶器组件
CN201710061302.3 2017-01-25
PCT/JP2018/002354 WO2018139554A1 (ja) 2017-01-25 2018-01-25 搾乳器に用いるアダプター、搾乳器用接続構造、及び搾乳器アセンブリ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105A KR20190107105A (ko) 2019-09-18
KR102505281B1 true KR102505281B1 (ko) 2023-02-28

Family

ID=62962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062A KR102505281B1 (ko) 2017-01-25 2018-01-25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 착유기용 접속 구조, 및 착유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155019B2 (ko)
KR (1) KR102505281B1 (ko)
CN (1) CN108339165B (ko)
RU (1) RU2754296C2 (ko)
WO (1) WO201813955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1003A1 (en) * 2001-04-04 2002-10-17 B.B. Tresor Inc. Bag support for use with breast milk pump and flexible bag
JP2005237717A (ja) * 2004-02-27 2005-09-08 Yanase Waichi Kk 母乳搾乳具用補助筒
CN205287048U (zh) * 2015-11-30 2016-06-08 东莞市横沥宝雅母婴用品营业部 一种用于连接吸奶器和袋的转接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8476A (en) * 1990-08-17 1994-10-25 Aurora Search Ltd. Breast pump adapter for filling infant nursers having disposable liners and methods of operation
US5347671A (en) * 1992-09-17 1994-09-20 Hunts Larry D Bag opening and reclosing device
JPH11115952A (ja) * 1997-10-15 1999-04-27 Toppan Printing Co Ltd 注出用口栓
DE19824738A1 (de) * 1998-06-03 1999-12-09 Alfons Klabes Ausguß für Beutel
CN102065922B (zh) * 2008-04-03 2016-01-27 林登·布里特纳 不用手的吸奶器系统
WO2014044472A1 (en) * 2012-09-24 2014-03-27 Koninklijke Philips N.V. Actuator control in a breast pump system
JP2015030491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取出部材
JP5916698B2 (ja) * 2013-12-20 2016-05-11 柳瀬ワイチ株式会社 母乳搾乳器用補助筒
CN204033879U (zh) * 2014-04-15 2014-12-24 高美英 母乳采集存储装置
US20160199553A1 (en) * 2015-01-09 2016-07-14 Luft Industrie Inc. Breast pump adapter
CN206603970U (zh) * 2016-11-07 2017-11-03 意宝电器(上海)有限公司 一种吸奶器与储奶袋的连接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1003A1 (en) * 2001-04-04 2002-10-17 B.B. Tresor Inc. Bag support for use with breast milk pump and flexible bag
JP2005237717A (ja) * 2004-02-27 2005-09-08 Yanase Waichi Kk 母乳搾乳具用補助筒
CN205287048U (zh) * 2015-11-30 2016-06-08 东莞市横沥宝雅母婴用品营业部 一种用于连接吸奶器和袋的转接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39165A (zh) 2018-07-31
WO2018139554A1 (ja) 2018-08-02
JPWO2018139554A1 (ja) 2019-11-14
RU2019122497A (ru) 2021-02-26
JP7155019B2 (ja) 2022-10-18
KR20190107105A (ko) 2019-09-18
CN108339165B (zh) 2022-02-11
RU2754296C2 (ru) 2021-08-31
RU2019122497A3 (ko)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647B2 (en) Squeezable leak proof feeding bottle
US7419323B1 (en) Cosmetic device
KR102505281B1 (ko) 착유기에 이용하는 어댑터, 착유기용 접속 구조, 및 착유기 어셈블리
KR101403741B1 (ko) 화장품 용기
US10260493B2 (en) Membrane pump
JP2013233954A (ja) 袋収容容器
WO2015152251A1 (ja) 注出ポンプの支持装置とそれを用いた注出ポンプと注出容器
KR101491386B1 (ko) 용기용 캡의 구조
US11485545B2 (en) Refillable container
US20150141233A1 (en) Adapter For A Centrifuge Vessel
KR200462218Y1 (ko) 그리스 충진장치
US20190022711A1 (en) Detergent dispensing device
US20130306635A1 (en) Refillable pouch for food or beverage
CN210192254U (zh) 一种可控流量瓶盖泵头
KR102142373B1 (ko) 유체펌프
CN116745215B (zh) 促进液体从供体容器转移至受体容器的连结结构和容器组件
JP2014198579A (ja) 収納ケース
KR20200001908A (ko) 잔량 토출용 액체 용기 제작방법
JP2006503765A (ja) 連結装置のスペーサ
WO2013176917A1 (en) Refillable pouch for food or beverage
CN210963252U (zh) 引流瓶悬挂装置
KR1017130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200428052Y1 (ko) 튜브형 용기의 헤드 구조
JP3972250B2 (ja) スタンド付きスクイズ容器
JP2008264692A (ja) 流体容器用コネクタユニット、流体容器用コネクタおよび流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