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73B1 -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773B1
KR102504773B1 KR1020210174540A KR20210174540A KR102504773B1 KR 102504773 B1 KR102504773 B1 KR 102504773B1 KR 1020210174540 A KR1020210174540 A KR 1020210174540A KR 20210174540 A KR20210174540 A KR 20210174540A KR 102504773 B1 KR102504773 B1 KR 102504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shopping mall
social network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와
Priority to KR102021017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58Heading extraction; Automatic titling; Numb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상에서 쇼핑하고자 하는데 쇼핑몰에 사용자가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며, 상기 쇼핑몰에 구매한 제품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생성하여 소셜 네트워크상에 업로드하고, 상기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지급받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다수의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타사용자)들에게 공유하며, 공유 과정에서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반응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컨텐츠에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 요청된 제품을 판매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에 공유한 제품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계정정보, 컨텐츠 고유정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해당 컨텐츠의 반응 정보를 수집하는 컨텐츠 추적모듈과,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에서 수집된 컨텐츠 고유정보에서 사용자 또는 타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반응정보에서 키워드 정보만을 추출하는 키워드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을 통해 수집된 컨텐츠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사용자일 경우 컨텐츠 공유에 따른 포인트를 계산하여 지급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매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매입 절차를 안내 및 계약 그리고 결제 집행을 수행하는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쇼핑몰서버로부터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에 따라 지급받은 별도의 포인트를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제품 구매시 결제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Shopping mall operation system using social network cont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쇼핑몰 컨텐츠 제공을 통해 쇼핑몰 유입과 판매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일일이 매장을 방문하여 찾을 필요가 없이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자신이 소지하는 유선 혹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품 및 서비스를 선택하고 결제까지 간단하게 마칠 수 있다는 편의성에 기인한다.
유무선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그 기반이 되는 통신망의 확대 보급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 서비스의 대중화를 가져 왔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의 대중화는 기존의 오프라인을 통하여 수행되던 각종 작업들이 온라인상에서도 수행될 수 있도록 각종 제반 여건들이 갖추어져 가고 있다.
인터넷이란 이러한 상품의 정보 및 거래의사/거래조건 등의 정보를 교환하는 가상의 공간으로서, 판매자나 소비자의 직접적인 대면이 필요 없는 공간이다. 이러한 인터넷에서 재화나 용역이 상품으로서 거래되고 교환되는 공간을 인터넷 쇼핑몰이라고 한다면, 상기 인터넷 쇼핑몰의 특징은 전시되는 상품의 공간적/시간적 제약이 없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인터넷 서비스의 보급과 택배 서비스의 발전으로 모든 종류의 제품들이 인터넷 쇼핑몰을 통하여 판매되고 있으며,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들을 수많은 사용자들이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서버 컴퓨터 및 제반 시설의 구입 및 관리, 쇼핑몰 내의 모듈을 구동하는 프로그램의 제작과 디자인 처리 등 웹 기반의 기술적인 관리 및 구성이 필요하다.
인터넷 쇼핑몰은 시/공간적인 제약이 없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인터넷에 개설된 가상 상점에서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또한,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운영비가 거의 들지 않고 상권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상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구매자 및 판매자 모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인터넷 쇼핑몰은 그 규모가 매우 빠르게 신장하고 있다.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은 인터넷상에 상품을 전시하고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유도하여 구매 결정한 상품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면 소비자에게 그 상품을 배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온라인 시대에 따른 다양한 컨텐츠 플랫폼은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수가 크게 성장하고 있는 추세에서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은 매우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는 개개인이 자신의 컨텐츠를 업로드하여 다른 유저들에게 해당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식인데, 이러한 플랫폼 구조를 활용한 다양한 접근이 시도되고 있기 때문에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다양한 기술들은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0665035호 KR 10-00839831호 KR 10-0787058호 KR 10-1353073호 KR 10-1570838호 KR 10-1652504호 KR 10-2011376호 KR 10-219600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을 활용하여 온라인 쇼핑몰로 사용자 유입을 유도하고 이를 통한 고객 확보, 판매율 증가, 만족도 향상, 고객 서비스 제공 등의 온라인 쇼핑몰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들이 생성한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기업의 광고 컨텐츠로 활용하고 이에 따른 보상을 해당 고객에게 직접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고객과 소비자간의 협업 구조의 쇼핑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라인상에서 쇼핑하고자 하는데 쇼핑몰에 사용자가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며, 상기 쇼핑몰에 구매한 제품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생성하여 소셜 네트워크상에 업로드하고, 상기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지급받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다수의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타사용자)들에게 공유하며, 공유 과정에서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반응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컨텐츠에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 요청된 제품을 판매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에 공유한 제품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계정정보, 컨텐츠 고유정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해당 컨텐츠의 반응 정보를 수집하는 컨텐츠 추적모듈과,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에서 수집된 컨텐츠 고유정보에서 사용자 또는 타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반응정보에서 키워드 정보만을 추출하는 키워드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을 통해 수집된 컨텐츠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사용자일 경우 컨텐츠 공유에 따른 포인트를 계산하여 지급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매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매입 절차를 안내 및 계약 그리고 결제 집행을 수행하는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쇼핑몰서버로부터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에 따라 지급받은 별도의 포인트를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제품 구매시 결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에서 수집된 컨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정보와 컨텐츠 고유정보, 컨텐츠 반응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지급될 포인트를 계산하는 포인트 계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인트 계산부는, 컨텐츠 고유정보에서 입력된 키워드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타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 좋아요수, 공유횟수, 태그 횟수에 따라 포인트 금액 여부를 결정하며, 여기서 결정된 포인트 금액은 사용자의 계정정보에 따른 상기 쇼핑몰 서버의 회원 정보와 일치할 경우 해당 회원(소비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업로드 일자를 기준으로 해당 제품의 판매율 증감 여부를 산출하는 판매율 계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해당 제품의 판매율이 임의의 기간 동안 증가하였을 경우 증감율에 따른 포인트 지급 여부를 상기 포인트 계산부에서 계산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포인트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소비자(고객)들이 업로드한 다양한 컨텐츠를 쇼핑몰의 광고 컨텐츠로 활용함에 따라 쇼핑몰 홍보 효과와 더불어 제품 광고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쇼핑몰과 연동하여 활용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를 임의의 보상 형태로 지급함에 따라 고객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의 인기도에 따른 보상 방법을 적용하고 이를 활용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쇼핑몰의 고객 유입율을 향상시키고 광고 활성화를 통해 매출 증대로 나아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적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추적된 컨텐츠의 키워드 추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추적 컨텐츠에 따른 판매율과 포인트 연산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따른 포인트 고객별 포인트 지급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온라인상에서 쇼핑하고자 하는데 쇼핑몰에 사용자가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며, 상기 쇼핑몰에 구매한 제품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생성하여 소셜 네트워크상에 업로드하고, 상기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지급받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다수의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타사용자)들에게 공유하며, 공유 과정에서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반응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컨텐츠에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 요청된 제품을 판매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에 공유한 제품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계정정보, 컨텐츠 고유정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해당 컨텐츠의 반응 정보를 수집하는 컨텐츠 추적모듈과,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에서 수집된 컨텐츠 고유정보에서 사용자 또는 타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반응정보에서 키워드 정보만을 추출하는 키워드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을 통해 수집된 컨텐츠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사용자일 경우 컨텐츠 공유에 따른 포인트를 계산하여 지급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매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매입 절차를 안내 및 계약 그리고 결제 집행을 수행하는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쇼핑몰서버로부터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에 따라 지급받은 별도의 포인트를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제품 구매시 결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소비자)과 쇼핑몰간의 컨텐츠 협업 구조를 갖고 고객과 쇼핑몰간의 컨텐츠 활용에 따른 가치 지불과 매출 증대를 실현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고객이 쇼핑몰에서 구입된 제품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되는 제품 컨텐츠를 쇼핑몰에서 광고 정보로 활용하거나 이에 따른 포인트 지급, 컨텐츠 매입에 따른 고객 수입을 제공할 수 있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기술적 요지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은, 쇼핑몰 제품 구매가 사용하는 소비자(고객) 단말기(100)와 쇼핑몰 운영에 따른 쇼핑몰 기능을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200) 및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유저들로부터 업로드 받고 여기서 업로드된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유저간 공유하도록 공유 기능을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소비자 단말기(100)는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 PC, 노트북, 데스크탑 등 다양한 단말기로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100)는 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고객)가 해당 단말기를 통해 쇼핑몰에 회원가입 후 구매 희망 제품을 선택하여 구매 결정에 따른 제품가 결제를 통해 최종적으로 제품을 구매하고 쇼핑몰(공급자)로부터 제품을 택배 등의 물류사를 통해 제공 받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쇼핑몰에서 제품을 구매하고, 자신이 구매한 제품을 소셜 네트워크상에 컨텐츠 방식으로 업로드하여 공유함으로써 여기서 발생되는 제품의 광고 효과를 통해 쇼핑몰에서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우수한 컨텐츠의 경우 해당 컨텐츠를 쇼핑몰에서 매입하여 수익을 발생시키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비자 단말기(100)는 쇼핑몰에서 구매한 제품에 대한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한 후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하여 개인적 관점에서 자신의 일상 공유의 개념과 더불어 제품에 대한 광고 개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된 제품정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은 상기 쇼핑몰로 광고 정보 제공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광고의 가치를 쇼핑몰에 상기 소비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소비자(고객)에게 제공되는 것이다.
쇼핑몰 서버(200)는 온라인상에서 구축된 쇼핑몰을 운영하며, 쇼핑몰상에 등록된 다양한 제품을 고객에 판매한다. 상기 쇼핑몰 서버(200)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구축된 웹이나 앱(App)을 통해 제품을 제공하며 소비자를 통해 제품 구매 결정 시 결제 기능과 발주 기능을 통해 최종적으로 구매된 제품을 소비자의 배송지로 배송하여 준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비자가 구매한 제품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이 업로드된 소셜 네트워크상의 제품정보를 수집하고, 여기서 수집된 컨텐츠들을 활용하여 소비자들에게 포인트를 지급하고 해당 컨텐츠를 광고로 활용 또는 쇼핑몰에서 직접 구매하여 컨텐츠를 활용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버(300)는 동영상 기반, 이미지 기반, 텍스트 기반 등 다양한 컨텐츠 기반의 소셜 공유 플랫폼 방식의 구조를 갖는 소셜 네트워크를 운영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어 동영상 기반의 유튜브, 틱톡, 이미지 기반의 인스타그램, 카카오스토리, 핀터레스트, 페이스북 등 다양한 글로벌 소셜 네트워크가 활성화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에서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쇼핑몰에서 구매한 제품정보를 동영상, 이미지 등의 형태로 생성하여 컨텐츠를 업로드하게 되면, 소셜 네트워크의 경우 다양한 유저들이 컨텐츠를 공유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광고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컨텐츠 반응정보 즉, 다양한 유저들의 해당 컨텐츠에 대한 댓글이나 좋아요, 태그 등의 반응정보를 통해 소통하는 플랫폼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쇼핑몰의 광고 효과를 도모할 수 있고, 쇼핑몰에 기여한 소비자들에게 포인트 지급과 같은 보상의 개념을 도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비자 단말기(100), 쇼핑몰 서버(200), SNS 서버(300) 각각의 구성과 이를 통한 활용적 기술을 통해 소비자와 쇼핑몰간의 제품정보 컨텐츠를 활용한 광고와 보상의 기능을 적용하고자 한다.
아래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소비자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소비자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버(200)에 업로드 하게 되면,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자신의 관련된 제품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해당 고객(소비자)에게 포인트 지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200)는 댜양한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된 컨텐츠 중에서 자신의 쇼핑몰 제품과 관련된 컨텐츠 여부를 확인하고 추적하는 컨텐츠 추적모듈(310)과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310)을 통해 추적된 컨텐츠에서 키워드 정보를 추출하는 키워드 연산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310)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버(300)로부터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를 추적하고 해당 컨텐츠가 쇼핑몰 제품과 관련된 컨텐츠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
우선적으로 소셜 네트워크상에 업로드된 컨텐츠에는 다양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는 크게, 컨텐츠 정보와 반응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정보는 기본적으로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의 정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반응정보는 해당 컨텐츠 공유를 통해 타 유저들이 업로드한 댓글(텍스트) 정보, 좋아요 정보, 해쉬태그, 공유 등의 정보에 해당한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의 고유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와 반응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310)과 키워드 연산부(320)에서 여러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가 자신의 쇼핑몰 제품과 관련 있는 컨텐츠인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이와 더불어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가 해당 쇼핑몰의 사용자(회원)인지 여부를 아이디 또는 계정명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최초 상기 사용자는 쇼핑몰 가입 시 자신의 사용하는 여러 종류의 소셜 네트워크 계정명을 입력받으면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310)에서 해당 사용자의 컨텐츠를 계정명을 활용하게 쉽게 추적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키워드 연산부(320)는 컨텐츠의 고유정보와 반응정보에 입력된 키워드(또는 텍스트)를 연산하여 컨텐츠에 입력된 키워드가 쇼핑몰과 연관된 키워드인지 여부를 연산한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 상호, 제품명, 제품관련 키워드 등 관련 키워드가 입력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키워드 연산부(320)에서는 키워드 연산을 통해 컨텐츠를 검출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는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를 추적하여 쇼핑몰과 연관된 제품인지 여부를 추적하게 되고 연관된 제품 컨텐츠의 경우 해당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 정보를 통해 포인트 지급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에서는 컨텐츠의 반응정보에 따라 포인트를 결정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응정보는 타 사용자들의 반응정보로써, 댓글, 태그, 좋아요수 등 반응과 관심이 많은 컨텐츠에 따라 포인트 지급을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포인트 계산부(330)와 판매율 계산부(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인트 계산부(330)는 컨텐츠의 반응정보에 따라 포인트를 얼마큼 지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내부 지급 규정에 따라 포인트 지급금액을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반응정보가 많은(댓글, 좋아요수, 공유 횟수 등) 컨텐츠에 따라 포인트 금액을 계산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컨텐츠 업로드 횟수도 함께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매율 계산부(340)는 임의의 제품이 컨텐츠 업로드에 따라 판매율이 얼마만큼 증가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는 컨텐츠 업로드 시기를 기준으로 판매율 증감 여부를 계산하게 되고, 여기서 계산된 판매율에 따라서 추가적인 포인트를 지급하거나 포인트 지급금액에 함께 산정하여 지급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적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310)과 키워드 연산부(320)에서 임의의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상에 업로드된 컨텐츠에서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제품인지 여부를 추적하게 되고, 업로드 사용자의 계정정보, 컨텐츠 정보, 이미지 정보, 키워드 정보, 반응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하게 된 후 상기 포인트 계산부(330), 판매율 계산부(340)에서 각각의 컨텐츠 정보에 따른 포인트, 판매율 정보를 계산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포인트 지급 여부를 계산한 후 지급하게 된다.
도 3의 도시에서는 사용자가 구매한 의류를 이미지 형태로 소셜 네트워크상에 업로드된 것으로써, 업로드시 회사명(또는 쇼핑몰명)에 해당하는 키워드 정보를 입력하여 업로드하면,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에서 컨텐츠를 추적하여 수집한 후 반응정보에 따라 포인트 지급금액을 결정하게 되고, 컨텐츠 업로드 시점부터 임의의 시점까지 해당 제품의 판매율이 얼마만큼 증가했는지 여부를 계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소비자(소비자 단말기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추적된 컨텐츠의 키워드 추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과 키워드 연산부에서 해당 컨텐츠의 정보를 수집하는데,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는 인스타그램에 해당하고, 컨텐츠의 형태는 이미지 형태, 키워드에서는 "후드짚업, 10%할인, 멜란지 컬러, 자켓, 겨울자켓, 후드, 하와, HAWA" 키워드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반응정보로는 좋아요수 "120개"와 댓글수가 몇 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추적 컨텐츠에 따른 판매율과 포인트 연산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포인트 금액과 판매율 정보를 계산하게 되는데, 해당 컨텐츠가 업로드된 시점인 2021년 11월 1일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해당 제품의 판매율이 몇프로까지 증가하였는지를 계산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쇼핑몰 회원)를 확인하고 포인트 계산부를 통해 지급될 포인트 금액 80,000포인트를 지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쇼핑몰 회원이 쇼핑몰에서 구입한 제품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 동영상 형태, 텍스트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컨텐츠를 생성하여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 업로드하게 되면, 상기 쇼핑몰 서버의 컨텐츠 추적모듈(310)과 키워드 연산부(320)에서 해당 제품이 쇼핑몰 제품과 연관성 여부를 확인 후 확인된 컨텐츠가 존재할 경우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고 이와 더불어 컨텐츠 업로드에 따른 판매율 증감 여부를 계산하여 해당 회원에서 포인트를 지급하고 이를 추후 쇼핑몰 구매에 따른 결제금액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급한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제품을 구매하고 자신이 취미나 재미삼아 사용하는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하게 되면, 각각의 컨텐츠 반응정보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고 더 나아가 해당 컨텐츠의 가치가 높을 경우 이를 쇼핑몰에서 광고 목적이나 그 외 상업적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 컨텐츠를 매입(구매)할 수 있다. 이때는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의 매입 여부를 결정한 후 매입을 희망하는 컨텐츠에 대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메시지 또는 문자, 이메일 형태로 매입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와 계약 절차에 따라 컨텐츠를 매입할 수 있다. 또는 매입 방법으로는 현금 매입이나 포인트 지급 등의 방식을 통해서 사용자와 협의하여 컨텐츠 구매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따른 포인트 고객별 포인트 지급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취미 또는 재미삼아 업로드하는 제품 정보에 대하여 쇼핑몰 측면에서 광고 효과를 제공함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는 서비스 모델을 제안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포인트 지급에 따른 만족과 함께 자신이 사용하는 둘 이상의 소셜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해당 제품정보를 컨텐츠화하여 업로드함으로써 이를 통해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지급받아 추후 제품 구매시 포인트를 지급받는 쇼핑몰 시스템을 제공함에 따라 고객과 쇼핑몰사가 서로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복수의 소비자 단말기(100)를 통해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되는 제품 정보를 통해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 있으며, 쇼핑몰 서버에서는 이러한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사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소비자(고객)들이 업로드한 다양한 컨텐츠를 쇼핑몰의 광고 컨텐츠로 활용함에 따라 쇼핑몰 홍보 효과와 더불어 제품 광고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에서 수집되는 다양한 컨텐츠 정보를 쇼핑몰과 연동하여 활용하고 이에 따른 컨텐츠를 임의의 보상 형태로 지급함에 따라 고객의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기(고객)
200 : 소셜 네트워크 서버
300 : 쇼핑몰 서버
310 : 컨텐츠 추적모듈
320 : 키워드 연산부
320 : 포인트 계산부
330 : 판매율 계산부

Claims (3)

  1. 온라인상에서 쇼핑하고자 하는데 쇼핑몰에 사용자가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하며, 상기 쇼핑몰에 구매한 제품에 해당하는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생성하여 소셜 네트워크상에 업로드하고, 상기 사용자가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쇼핑몰로부터 포인트를 지급받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생성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받아 다수의 소셜 네트워크 사용자(타사용자)들에게 공유하며, 공유 과정에서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반응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컨텐츠에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구매 요청된 제품을 판매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셜 네트워크에 공유한 제품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정보에 대한 사용자 계정정보, 컨텐츠 고유정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해당 컨텐츠의 반응 정보를 수집하는 컨텐츠 추적모듈과,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에서 수집된 컨텐츠 고유정보에서 사용자 또는 타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브랜드, 상호, 제품명, 제품관련 키워드에 해당되는 키워드 정보만을 추출하는 키워드 연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을 통해 수집된 컨텐츠 반응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사용자일 경우 컨텐츠 공유에 따른 포인트를 계산하여 지급하고, 필요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매입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매입 절차를 안내 및 계약 그리고 결제 집행을 수행하는 쇼핑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쇼핑몰서버로부터 소셜 네트워크에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에 따라 지급받은 별도의 포인트를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제품 구매시 결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에서 수집된 컨텐츠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계정정보와 컨텐츠 고유정보, 컨텐츠 반응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지급될 포인트를 계산하는 포인트 계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인트 계산부는, 컨텐츠 고유정보에서 입력된 키워드 정보와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타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댓글, 좋아요수, 공유횟수, 태그 횟수에 따라 포인트 금액 여부를 결정하며,
    여기서 결정된 포인트 금액은 사용자의 계정정보에 따른 상기 쇼핑몰 서버의 회원 정보와 일치할 경우 해당 회원(소비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업로드 일자를 기준으로 해당 제품의 판매율 증감 여부를 산출하는 판매율 계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해당 제품의 판매율이 임의의 기간 동안 증가하였을 경우 증감율에 따른 포인트 지급 여부를 상기 포인트 계산부에서 계산하여 상기 소비자의 단말기로 포인트를 지급하며,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컨텐츠 추적모듈을 통해 수집된 컨텐츠 반응정보를 통해 해당 컨텐츠를 매입하기 위하여 매입 여부를 결정한 후 매입 결정에 따라 매입을 희망하는 컨텐츠를 보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메시지 또는 문자, 이메일 형태로 매입 요청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계약 절차에 따라 컨텐츠를 매입하고,
    상기 컨텐츠를 매입하는 방법으로는 현금 매입이나 포인트 지급을 통해 상기 컨텐츠를 매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74540A 2021-12-08 2021-12-08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504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40A KR102504773B1 (ko) 2021-12-08 2021-12-08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540A KR102504773B1 (ko) 2021-12-08 2021-12-08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773B1 true KR102504773B1 (ko) 2023-02-28

Family

ID=8532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540A KR102504773B1 (ko) 2021-12-08 2021-12-08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7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856B1 (ko) 2023-03-31 2023-07-06 이나나 커머스 연계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키워드 추출 및 콘텐츠 템플릿 생성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7255B1 (ko) * 2023-11-07 2024-02-16 주식회사 콜리 라이선스 상품 기반 토탈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7259B1 (ko) * 2023-11-07 2024-02-16 주식회사 콜리 라이선서, 제조사 및 유통사를 연결하는 b2b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8630B1 (ko) * 2023-11-07 2024-02-20 주식회사 콜리 Lmsin을 이용한 라이선스 상품 유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67500B1 (ko) * 2023-11-07 2024-05-22 주식회사 콜리 라이선스 및 카테고리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35B1 (ko) 2005-07-21 2007-01-04 (주)인베스트클럽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KR100787058B1 (ko) 2007-03-20 2007-12-21 허민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0839831B1 (ko) 2006-07-20 2008-06-19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30122235A (ko) * 2012-04-30 2013-11-07 박지영 구매후기를 이용한 인터넷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353073B1 (ko) 2011-10-05 2014-04-02 오큐브 주식회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한 오픈 마켓형 종합 쇼핑몰 운영시스템
KR101570838B1 (ko) 2013-08-28 2015-11-20 박정호 트렌드 기반 쇼핑몰 운영서버
KR101652504B1 (ko) 2015-10-05 2016-09-09 김미연 통합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2011376B1 (ko) 2019-02-18 2019-08-14 주식회사 노보웨이브 쇼핑몰 운영 관리 시스템
KR102196001B1 (ko) 2019-05-31 2020-12-29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커뮤니티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60176B1 (ko) * 2020-12-23 2021-06-0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의 광고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99300A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티앤케이팩토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35B1 (ko) 2005-07-21 2007-01-04 (주)인베스트클럽 무역거래 기능을 갖는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방법
KR100839831B1 (ko) 2006-07-20 2008-06-19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787058B1 (ko) 2007-03-20 2007-12-21 허민 추첨식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101353073B1 (ko) 2011-10-05 2014-04-02 오큐브 주식회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한 오픈 마켓형 종합 쇼핑몰 운영시스템
KR20130122235A (ko) * 2012-04-30 2013-11-07 박지영 구매후기를 이용한 인터넷 광고 방법 및 시스템
KR101570838B1 (ko) 2013-08-28 2015-11-20 박정호 트렌드 기반 쇼핑몰 운영서버
KR101652504B1 (ko) 2015-10-05 2016-09-09 김미연 통합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2011376B1 (ko) 2019-02-18 2019-08-14 주식회사 노보웨이브 쇼핑몰 운영 관리 시스템
KR102196001B1 (ko) 2019-05-31 2020-12-29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커뮤니티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099300A (ko) * 2020-02-04 2021-08-12 주식회사 티앤케이팩토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리워드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2260176B1 (ko) * 2020-12-23 2021-06-04 주식회사 모먼트랩 콘텐츠의 광고 성과에 따른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2856B1 (ko) 2023-03-31 2023-07-06 이나나 커머스 연계 콘텐츠 제공 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키워드 추출 및 콘텐츠 템플릿 생성 자동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7255B1 (ko) * 2023-11-07 2024-02-16 주식회사 콜리 라이선스 상품 기반 토탈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7259B1 (ko) * 2023-11-07 2024-02-16 주식회사 콜리 라이선서, 제조사 및 유통사를 연결하는 b2b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8630B1 (ko) * 2023-11-07 2024-02-20 주식회사 콜리 Lmsin을 이용한 라이선스 상품 유통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67500B1 (ko) * 2023-11-07 2024-05-22 주식회사 콜리 라이선스 및 카테고리 예측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773B1 (ko)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US8700470B2 (en) Comparison shop ad units
US201901304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commerce, shoppable advertisements and loyalty rewards
US106503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201901641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based content monetization in an online trading platform
US20120022965A1 (en) Geolocation based bidd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50025991A1 (en) Internet based e-commerce platform for use by consumers using social networks
KR101893568B1 (ko) 오픈 소셜 마켓 제공 시스템
US201201977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US2020032064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nomous branding using a platform that contains a plurality of features and functions that enable any user to have access to a complete digital presence and monetization opportunities
US20130110599A1 (en) Purchase/Referral Rewards Program
US20130297403A1 (en) Marketing based discounts and local heat clouds
KR102024709B1 (ko) 사용자 기반 주문형 독립쇼핑몰을 제공하는 통합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페이백 서비스 방법
WO20121034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KR101520145B1 (ko) 일체형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53732B1 (ko) 디자인 콘텐츠가 결합된 상품 판매 플랫폼 시스템
Bubanja et al. Managing trade transactions in the covid era: The rise of e-commerce
US201400745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website
KR101103966B1 (ko) 지불 게이트웨이와 연동한 상품광고 중개 시스템
KR20150027782A (ko) 공유형 오픈마켓 플랫폼
TW201537489A (zh) 結合紅利行銷之個人網頁之系統及其方法
US201302901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Visual Content Delivery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Ahuja The Retail Revolution: Synergy of E-Tail and Brick-and-Mortar in a Post-Pandemic Era
Otuekong et al. The influence of eCommerce providers in promoting eCommerce: A study of Nigeria e-Merchants' and online customers'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