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831B1 -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831B1
KR100839831B1 KR1020060068206A KR20060068206A KR100839831B1 KR 100839831 B1 KR100839831 B1 KR 100839831B1 KR 1020060068206 A KR1020060068206 A KR 1020060068206A KR 20060068206 A KR20060068206 A KR 20060068206A KR 100839831 B1 KR100839831 B1 KR 100839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pping mall
product
product image
server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678A (ko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심플렉스 인터넷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831B1/ko
Publication of KR2008000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통신망을 통하여 모델 및 작가가 제공하는 상품이미지를 제공하는 중개서버; 상기 중개서버에서 제공되는 상품이미지를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서버; 상기 중개서버와 상기 쇼핑몰서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사용자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상품이미지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 빈도에 따라 상기 모델과 상기 작가에게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료를 정산하며, 이에 따라 모델 및 작가에 의해 생성되는 상품의 이미지의 사용에 따라 모델과 작가에게 사용되는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함으로써, 쇼핑몰의 모델사용에 따른 비용 손실의 리스크를 예방할 수 있으며, 소형 쇼핑몰에서도 모델을 이용한 상품의 홍보 및 판매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an online shopping mall and system fo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쇼핑몰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쇼핑몰서버에 개시되는 상품이미지와 감지모듈과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중개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이윤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상품이미지의 생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상품이미지의 개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상품이미지의 관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10 : 통신망
20 : 사용자 단말기
30 : 쇼핑몰서버
40 : 중개서버
50 : 관리서버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 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의 소개를 위한 매체들의 사용료를 상품의 판매량에 비례하여 지급 하도록 한 온라인 쇼핑몰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쇼핑몰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무선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그 기반이 되는 통신망의 확대 보급은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 서비스의 대중화를 가져 왔다. 이러한 통신 서비스의 대중화는 기존의 오프라인을 통하여 수행되던 각종 작업들을 온라인상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각종 제반여건이 갖추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급격히 대중화된 인터넷 서비스는 이동 통신 서비스와 더불어 통신 서비스의 대표적이 예로서 현재에는 실생활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생활의 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 서비스의 보급과 더불어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제품들이 인터넷 쇼핑몰을 통하여 판매되고 있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인터넷 쇼핑몰을 통하여 판매되는 제품을 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과중에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하여 판매되고 있는 상품들 중에는 주로 가전제품위주의 전자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최근에는 액세서리, 의류 등의 패션 상품들로 확장되어 가고 있다.
여기서, 액세서리, 의류 등과 같은 패션상품들은 디자인이 우선시되는 시각적인 상품으로 상품을 촬영한 이미지를 통하여 상품을 홍보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 중에 하나이다.
이에 각 인터넷 쇼핑몰들은 디자인 요소가 강한 의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하여 다양한 마케팅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중 일명 '스타 마케팅'이라고 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스타 마케팅'이라 함은 지명도가 있는 특정 연예인(예를 들어 모델, 탤런트, 영화배우 등)을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예를 들어 의류, 액세서리)의 모델로 사용하고, 모델과 함께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미지를 생성하여 상품의 지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인터넷 쇼핑몰의 경우에는 상품의 매출신장을 위하여 유명 모델을 이용하여 상품의 홍보에 사용할 수는 있으나, 유명 모델을 사용한 상품에 대한 판매 부진이 발생할 경우, 모델과 사진작가에 소요된 비용의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인터넷 서비스의 보급과 더불어 개인홈페이지, 블로그, 카페, 미니홈피 등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개인이 직접 운영하는 소규모 미니쇼핑몰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미니쇼핑몰들은 주로 간단한 의류, 액세서리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별도의 모델은 사용하기 어려운 실정으로 통상적으로는 특정 배경에 상품을 진열하고, 진열된 상품만을 단독을 촬영하여 상품이미지를 생성하여 상품의 홍보 및 판매를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미니쇼핑몰들의 경우에는 상품의 매출신장을 위하여 각 상품 별로 특정 모델을 지정하여 사용하기에는 모델 및 사진작가의 사용료가 비교적 고가로 쉽게 이용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델 및 작가에 의해 생성되는 상품의 이미지의 사용에 따라 모델과 작가에게 사용되는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마련된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하여 모델 및 작가가 제공하는 상품이미지를 제공하는 중개서버; 상기 중개서버에서 제공되는 상품이미지를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서버; 상기 중개서버와 상기 쇼핑몰서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사용자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상품이미지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 빈도에 따라 상기 모델과 상기 작가에게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료를 정산한다.
상기 통신망은, 유선/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쇼핑몰서버는, 상기 상품의 판매, 입고, 재고, 반품 등의 상품관리를 위한 상품관리부;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상품이미지를 관리하는 이미지관리부;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쇼핑몰서버는, 상기 상품 및 상기 상품과 연계되는 상기 상품이미지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더 마련된다.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모델의 정보를 관리 및 검색하는 모델관리부; 상기 작가의 정보를 관리 및 검색하는 작가관리부;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상품이미지를 사용하는 쇼핑몰을 관리 및 검색하는 쇼핑몰관리부; 상기 모델, 상기 작가, 상기 쇼핑몰의 상호 계약관계를 관리하는 중개관리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개서버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와 상기 쇼핑몰 사이의 계약관계를 관리하는 계약관리부; 상기 중개서버에서 상기 쇼핑몰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인증관계를 관리하는 인증관리부; 상기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에게 사용빈도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정산관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정산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이미지를 통한 상기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누적시킨다.
상기 인증관리부는, 상기 쇼핑몰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상품이미지에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상품이미지를 사용하는 상기 쇼핑몰서버에 상기 상품이미지에 부여된 상기 인증코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설치한다.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감지모듈은 상호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은,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생성단계; 상기 상품이미지와 상기 상 품이미지의 모델 또는/및 작가가 상호 연계되도록 상기 상품이미지를 변화시키는 이미지변환단계; 변화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쇼핑몰에 개시하는 이미지개시단계; 상기 쇼핑몰에 개시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통한 상기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지는 상품구매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생성단계는, 상기 모델과 상기 작가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상기 쇼핑몰 측에서 상기 모델과 상기 작가의 정보를 검색하여 특정 모델과 특정 작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 선택된 상기 모델과 상기 작가에 의해 상기 쇼핑몰의 상품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생성단계는, 상기 쇼핑몰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가 상기 쇼핑몰의 정보를 검색하고, 특정 쇼핑몰을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가 선택된 상기 쇼핑몰의 상품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변환단계는,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와 상기 쇼핑몰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등록된 상기 정보, 상기 상품, 상기 상품이미지에 대응되는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단계; 상기 상품이미지에 상기 인증코드를 삽입하는 코드삽입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상품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때 상기 상품이미지와 같이 개시되는 스크립트 형태이다.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데이터 안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 형태이다.
상기 이미지개시단계는, 상기 쇼핑몰에 변화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쇼핑몰에 상기 상품이미지를 개시하는 개시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품구매단계는, 개시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 선택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상품이미지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상품이미지를 생성한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에 상기 상품이미지 사용내역을 누적하는 누적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누적단계 이후, 상기 상품이미지의 누적 사용량에 따라 상기 상품이미지를 생성한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에게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비용을 지불하는 비용지불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누적단계 이후, 상기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게 상기 상품이미지 사용에 대한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적립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적립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상품이미지에 해당하는 상기 모델에게 상기 사용자의 마일리지 내역을 알려주는 통지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1)은, 통신망(10)과, 통신망(10)을 통하여 모델(M) 및 작가(W)가 제공하는 상품이미지(60)를 제공하는 중개서버(40)와, 중개서버(40)에서 제공되는 상품이미지(60)를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서버(30)와, 중개서버(40)와 쇼핑몰서버(30)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품이미지(60)의 사용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서버(50)와, 사용자(U1, U2)가 통신망(10)을 통하여 쇼핑몰서버(30)에 접속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2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망(10)은, 상술한 중개서버(40), 쇼핑몰서버(30), 관리서버(50) 및 사용자 단말기(20) 등이 상호 연계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델(M)은 상기 작가(W)를 통하여 자신의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먼저, 중개서버(40)에 모델 자신의 정보, 포트폴리오 등을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선택되는 작가(W)와 특정 계약조건에 의해 상품에 대한 상품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중개서버(40)로 제공한다.
상기 작가(W)는 모델(M)과의 직접적인 계약 또는 중개서버(40)와의 계약을 통해 상품과 상품에 관련된 모델의 상품이미지(60)를 중개서버(40)로 제공한다. 이러한 작가(W)는 모델(M) 또는 상품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사진작가, 상품의 이미지를 그래픽을 생성하는 그래픽 디자이너, 상품의 동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작가 등 상품이미지를 제공하는 모든 작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델(M)과 작가(W)를 개별적인 구성을 설명되었으나, 모델(M)과 작가(W)가 유기적으로 연관된 상태에서 중개서버(40)로 모델(M)의 이미지 또는 상품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U1, U2)는 쇼핑몰서버(30)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쇼핑몰에 접속하여 특정 상품을 구매하는 사람으로, 특정 상품을 홍보하는 모델(M)과 관련된 고정사용자(예를 들어 모델의 팬클럽 구성원)(U2) 또는 특정 상품을 홍보하는 모델(M)과 관련없이 단진 상품의 구입만을 원하는 일반사용자(U1)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는 상술한 통신망(10)을 통하여 쇼핑몰서버(30)에 접속되는 것으로, 일반사용자(U1) 또는 고정사용자(U2)의 요청에 의해 쇼핑몰서버(30)에 저장된 쇼핑몰을 디스플레이하며 이와 동시에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미지(60)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는 통신망(10)을 통해 쇼핑몰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장치이며, 예를 들어 유선전화, 데스크톱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휴대용 전화기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 등 다양한 통신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장치를 통해 본 시스템(1)에 접속하고 상품이미지(60)를 선택함으로써 쇼핑몰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쇼핑몰서버(30), 중개서버(40), 관리서버(5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쇼핑몰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쇼핑몰서버에 개시되는 상품이미지와 감지모듈과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중개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의 관리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상기 쇼핑몰서버(30)는 사용자(U1, U2)에게 상품을 판매하고자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망(1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1), 상품관리부(32), 이미지관리부(33), 사용자관리부(34) 및 각종 데이터베이스(32a, 33a, 34a)를 구비하며, 상술한 구성부의 연계동작 및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쇼핑몰제어부(35)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품관리부(32)는 쇼핑몰서버(3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20)에 의해 구매되는 상품들의 판매, 입고, 재고, 반품 등의 상품관리를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 쇼핑몰을 통하여 판매되는 각종 상품의 정보가 저장되는 상품데이터베이스(32a)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미지관리부(33)는, 상품관리부(32)에 의해 관리되는 상품 중에 상품의 판매를 위하여 사용되는 상품이미지(60)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모델(M)과 작가(W)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이미지(60) 등이 저장되는 이미지데이터베이스(33a)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미지데이터베이스(33a)에 저장된 상품이미지(60)들은 상품 데이터베이스(32a)에 저장된 상품 정보와 상호 연계되어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관리부(34)는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쇼핑몰서버(30)를 이용하는 사용자(U1, U2)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정사용자(U2)와, 일반사용자(U1)의 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34a)를 구비한다.
이러한 사용자관리부(34)에 의해 저장되는 사용자(U1, U2)의 정보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상품을 홍보하는 모델(M)의 팬과 같이 모델(M)의 지명도에 의해 상품을 구매하는 고정사용자(U2)와, 모델(M)과 상관없이 오직 상품을 구매하는 일반사용자(U1)로 구분될 수 있으며, 고정사용자(U2)와 일반사용자(U1)의 구분은 쇼핑몰을 접속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분되어 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쇼핑몰서버(30)에 마련되는 쇼핑몰은 사용자 단말기(20)에 런칭하기 위한 홈페이지, 블로그, 카페, 미니홈피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중개서버(40)는 모델(M)과 작가(W)의 정보 및 모델(M) 또는 모델(M)과 작가(W)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이미지(60)를 쇼핑몰서버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망(1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41), 모델관리부(42), 작가관리부(43), 쇼핑몰관리부(44), 중개관리부(45) 및 각종 데이터베이스(42a, 43a, 44a, 45a를 구비하며, 상술한 구성부의 연계동작 및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중개제어부(46)를 구비한다.
여기서, 모델관리부(42)는 상품홍보를 위하여 지원하는 개인모델 또는 전문 모델 등 모델(M)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모델(M)의 프로필, 포트폴리오 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모델데이터베이스(42a)가 마련된다.
그리고 작가관리부(43)는 상품홍보를 위한 상품이미지(60)를 제작하기 위한 개인작가 또는 전문작가 등 작가(W)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작가의 프로필, 포트폴리오 등의 정보가 저장되는 작가데이터베이스(43a)가 마련된다.
또한, 쇼핑몰관리부(44)는 모델(M)과 작가(W)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이미지(60)를 사용하는 쇼핑몰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쇼핑몰의 특징, 주요상품, 판매현황 및 상품이미지(60)의 사용조건 등이 저장되는 쇼핑몰데이터베이스(44a)가 마련된다.
한편 중개관리부(45)는 모델(M), 작가(W), 쇼핑몰 사이의 상호 계약관계를 위하여 상호 필요한 대상자를 검색함과 동시에 상호 중개하기 위한 것으로, 모델(M)과 작가(W)의 경우 상품이미지(60)를 제작하기 위하여 지원하고자 하는 쇼핑몰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쇼핑몰의 경우에는 상품이미지(60)의 제작을 위하여 필요한 모델(M)과 작가(W)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관리서버(50)는 쇼핑몰서버(30)와 중개서버(40)의 계약관계 및 상품이미지의 사용과 상품이미지의 사용에 따른 비용관계를 관리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망(1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1), 계약관리부(52), 인증관리부(53), 정산관리부(54) 및 각종 데이터베이스(52a, 53a, 54a)를 구비하며, 상술한 구성부의 연계동작 및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관리제어부(55)를 구비한다.
여기서, 계약관리부(52)는, 중개서버(40)를 통해 연결되는 모델(M) 또는/및 작가(W)와 쇼핑몰 사이의 계약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품이미지(60)의 사용에 따른 모델(M)의 초상권, 작가(W)의 저작권 등의 사용료의 정산 및 관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계약관리부(52)는 모델(M), 작가(W), 쇼핑몰 사이의 계약관계 정보가 저장되는 계약데이터베이스(52a)가 마련된다.
그리고 인증관리부(53)는, 중개서버(40)에서 쇼핑몰서버(30)로 제공되는 상품이미지(60)의 인증관계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쇼핑몰서버(30)로 제공되는 상품이미지(60)의 인증코드(62)를 부여하고, 상품이미지(60)를 사용하는 쇼핑몰서버(30)에 상품이미지(60)에 부여된 인증코드(62)를 감지하는 감지모듈(64)을 설치한다. 이러한 인증관리부(53)는 상품이미지(60)에 제작에 참여한 모델(M) 및 작가(W)와 상품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인증데이터베이스(53a)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품이미지(60)에 삽입되는 인증코드(62)는 인증데이터베이스(53a)에 저장된 모델(M), 작가(W), 상품정보에 대응되는 고유의 코드일 수 있으나, 인증코드(62) 자체에 모델(M), 작가(W), 상품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인증코드(62)는 감지모듈(64)과 상호 연동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증코드(62)와 감지모듈(64)이 항상 같이 존재할 경우 상호 인식을 통해 인증코드(62)와 감지모듈(64)이 정상적인 설치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품이미지(60)의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쇼핑몰에 설치되는 감지모듈(64)은 사용자(U1, U2)에 의해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상품이미지(60)에 대응되는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졌을 경우 상품의 구매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품이미지(60)의 사용정보를 취득한다.
한편, 정산관리부(54)는,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상품이미지(60)의 사용빈도에 따라 모델(M)과 작가(W)에게 그에 해당하는 비용을 정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U1, U2)가 쇼핑몰의 상품이미지(60)를 통하여 상품을 구매할 경우 각 상품에 대한 매출데이터에 따라 모델(M)과 작가(W)에게 지급될 비용을 정산한다. 이러한 정산관리부(54)는 상품의 매출데이터, 상품 매출에 따른 지급 비용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정산데이터베이스(54a)가 마련된다.
또한 정산관리부(54)는 사용자의 종류(예를 들어 일반사용자와 고정사용자)에 따라 특정 모델(M)에 대응되는 고정사용자(U2)에게 상품이미지(60)를 통한 상품의 구매에 따른 추가 마일리지, 캐쉬백 등의 혜택을 구별하여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사용자(U2)의 구분은 상술한 쇼핑몰서버(30)의 사용자관리부(34)에서 고정사용자(U2)의 특정 모델에 대한 정보입력을 통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중개서버(40)와 관리서버(50)를 별도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기능을 통합한 하나의 서버로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중개서버(40)와 관리서버(50)의 기능을 포함한다면 하나의 서버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이윤의 흐름을 나타낸 개 념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을 설명함에 앞서 이하 설명되는 쇼핑몰은 의류 전문쇼핑몰이며, 모델(M)은 프리랜서 개인모델, 작가(W)는 프리랜서 개안작가로 예시하도록 한다. 하지만 쇼핑몰, 모델(M), 작가(W)의 의미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시되는 모델(M), 작가(W), 중개서버(40), 쇼핑몰서버(30), 관리서버(50)는 일종의 계약관계에 의해 그 관계 및 기능이 성립된다.
또한, 상술한 계약관계가 성립될 경우 중개서버(40) 및 관리서버(50)에 의해 제공되는 상품이미지(60)는 반드시 쇼핑몰서버(30)에서 제공되는 쇼핑몰에 개시되며, 사용자 단말기(20)에 노출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한편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의 데이터 이동 및 그에 따른 이윤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로 이하 설명될 본 발명에 전반적으로 적용되는 도면으로 해당 도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중개서버(40)는 모델(M)과 작가(W)의 직접적인 계약 또는 중개서버(40)에서 제공되는 계약에 의거 쇼핑몰서버(30)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상품이미지(60)를 생성하고 이를 관리서버(50)에 제공한다(단계 S100).
이후 관리서버(50)는 중개서버(40)에서 제공되는 상품이미지(60)에 해당하는 인증코드(62)를 삽입하고, 인증코드(62)가 삽입된 상품이미지(60)가 사용되는 쇼핑몰서버(30)에 상품이미지(60)에 삽입된 인증코드(62)를 감지하는 감지모듈(64)을 설치한다(단계 S200).
그리고 쇼핑몰서버(30)는 사용자(U1, U2)가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하여 쇼핑몰서버(30)에 접속하고 쇼핑몰에서 구매하고자하는 상품을 검색함에 따라 제공된 상품이미지(60)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상품이미지(60)를 통하여 상품의 구매정보를 관리서버(50)로 전송한다(단계S300).
이후, 관리서버(50)는 상품이미지(60)의 사용에 따른 정보를 중개서버(40)를 통해 모델(M)과 작가(W)에게 알림과 동시에 상품이미지(60)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모델(M)과 작가(W)에게 지급한다(단계 S400).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중개서버에 상품이미지가 생성 및 등록되는 과정(단계 S100)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상품이미지의 생성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모델(M)과 작가(W)는 중개서버(40)로 각각의 정보(예를 들어 프로필, 포트폴리오 등)를 제공한다(단계 S110).
여기서, 중개서버(40)는 제공되는 모델(M)과 작가(W)의 정보를 모델데이터베이스(42a)와 작가데이터베이스(43a)에 저장하고 모델관리부(42) 및 작가관리부(43)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한다(단계 S120).
한편, 쇼핑몰서버(30)는 상품의 홍보 및 판매를 목적으로 상품에 해당하는 상품이미지(60)를 제작할 경우, 통신망(10)을 통하여 중개서버(40)에 저장된 모델(M)과 작가(W)의 정보를 검색한다(단계 S130).
이후 쇼핑몰서버(30)는 검색된 모델(M)과 작가(W)와의 계약을 통해 모델(M)과 작가(W)를 통해 상품이미지(60)를 제작한다(단계 S140).
여기서, 모델(M)과 작가(W)의 계약은 중개서버(40)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모델(M)과 작가(W)의 개별적인 계약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특정 모델(M)에 특정 작가(W)가 계약에 의해 같이 제공되거나, 별도의 조건에 따라 쇼핑몰서버(30)로 모델(M)과 작가(W)의 정보가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쇼핑몰에 의해 모델(M)과 작가(W)가 선택되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모델(M)과 작가(W)가 중개서버(40)의 쇼핑몰데이터베이스(44a)에 저장된 쇼핑몰의 정보를 쇼핑몰관리부(44)를 통하여 검색하고, 선택되는 쇼핑몰에 상품이미지(60) 제작을 지원 또는 권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모델(M), 작가(W), 쇼핑몰서버(30)의 계약관계는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계약의 투명성을 위하여 중개서버(4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모델(M), 작가(W), 쇼핑몰서버(30)의 계약관계는 관리서버(50)의 계약관리부(52)에 의해 계약데이터베이스(52a)에 저장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쇼핑몰서버에 상품이미지가 개시되는 과정(단계 S200)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상품이미지의 개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중개서버(40)에서 상품이미지(60)의 제작이 완료되면, 쇼핑몰서버(30)는 제작이 완료된 상품이미지(60)를 선택하고, 중개서버(40)는 선택된 상품이미지(60)를 관리서버(50)로 전송한다(단계 S210).
이에 관리서버(50)에서 선택된 상품이미지(60)에 상품이미지(60) 고유의 인증코드(62)를 삽입하고(단계 S220), 인증코드(62)가 삽입되는 상품이미지(60)를 중개서버(40)로 제공한다(단계 S230).
한편 상품이미지(60)에 삽입되는 인증코드(62)에는 상품이미지(60)를 제작한 모델(M), 작가(W), 쇼핑몰서버(30)의 개별적인 정보 또는 각 정보에 대응되는 개별적인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코드(62)는 관리서버(50)의 인증관리부(53)를 통하여 인증데이터베이스(53a)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품이미지(60)에 삽입되는 인증코드(62)는 사용자 단말기(20)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품이미지(60)와 함께 스크립트 형태로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상품이미지(60)의 데이터 안에 인증코드(62)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미도시)를 삽입함으로서 상품이미지(60)에 인증코드(62)를 삽입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관리서버(50)는 쇼핑몰서버(30)에 상품이미지(60)에 삽입된 인증코드(62)를 감지하는 감지모듈(64)을 설치한다(단계 S230). 그리고 쇼핑몰서버에 감지모듈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품이미지(60)를 쇼핑몰서버(30)의 쇼핑몰 홈페이지에 개시한다(단계 S240). 이때 개시되는 상품이미지(6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증코 드(62)가 삽입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관리서버의 상품이미지 관리(단계 S300)와 정상과정(단계 S400)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에서 상품이미지의 관리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U1, U2)가 사용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쇼핑몰서버(30)에 접속하고, 쇼핑몰에서 특정 상품을 홍보하기 위하여 개신된 상품이미지(60)를 통하여 상품을 구매한다(단계 S310).
이에 감지모듈(64)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상품이미지의 인증코드(62)를 감지하고, 인증코드(62)의 정보(예를 들어 상품, 모델, 작가 등)를 관리서버(50)로 전송한다(단계S320).
이에 관리서버(50)는 전송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쇼핑몰서버(30)에 상품이미지(60)의 사용에 따른 비용을 청구한다(단계 S410). 여기서, 쇼핑몰서버(30)의 비용 지불 방식은 상품이미지(60) 사용에 대한 선입금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선입금방식의 경우 상품이미지(60)의 사용이 발생할 경우 상품이미지(60) 사용에 대한 사용료를 쇼핑몰서버(30)로부터 미리 입금된 계좌 등에서 모델(M)과, 작가(W)에게 지급하고, 선입금된 비용이 모두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상품이미지(60)의 개시를 중지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관리서버(50)는 상품이미지(60) 사용에 따른 비용을 모델(M)과 작가(W)에게 지불한다(단계 S420). 이때 지급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쇼핑몰서버(30)의 선입금된 계좌에서 지불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50)는, 상술한 과정에서 상품이미지(60)를 통하여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가 특정 모델(M)에 대한 고정사용자(U2)일 경우에는 특정 모델(M)에게 고정사용자의 실적정보(또는 구매정보)를 알려 줄 수도 있으며, 특정 모델(M)과의 별도로 체결된 계약에 따라 고정사용자(U2)에게 별도의 추가 혜택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를 추가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로 교체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 구성들이 본 발명의 주요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 를 위한 시스템에 따르면, 모델 및 작가에 의해 생성되는 상품의 이미지의 사용에 따라 모델과 작가에게 사용되는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함으로써, 쇼핑몰의 모델사용에 따른 비용 손실의 리스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따르면, 모델 및 작가에 의해 생성되는 상품의 이미지의 사용에 따라 모델과 작가에게 사용되는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함으로써, 소형 쇼핑몰에서도 모델을 이용한 상품의 홍보 및 판매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중개서버에서 쇼핑몰서버가 판매하는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이미지생성단계;
    상기 관리서버에서 상기 중개서버에서 생성된 상기 상품이미지와 상기 상품이미지의 모델 및 작가가 상호 연계되도록 상기 상품이미지를 변화시키는 이미지변환단계;
    상기 쇼핑몰서버에서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변화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상기 상품에 대응되도록 쇼핑몰에 개시하는 이미지개시단계;
    상기 쇼핑몰에 개시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통해 상기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상품의 구매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상품구매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생성단계는,
    상기 중개서버에서 상기 쇼핑몰서버로 상기 모델과 상기 작가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상기 쇼핑몰서버에서 상기 모델과 상기 작가의 정보를 검색하여 특정 모델과 특정 작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
    상기 중개서버에서 상기 특정 모델과 상기 특정 작가에 의해 상기 상품이미지를 생성됨에 따라 생성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상기 관리서버로 제공하는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변환단계는,
    상기 모델 및 상기 작가와 상기 쇼핑몰의 정보를 등록하는 등록단계;
    등록된 상기 정보, 상기 상품, 상기 상품이미지에 대응되는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코드생성단계;
    상기 상품이미지에 상기 인증코드를 삽입하는 코드삽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상품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때 상기 상품이미지와 같이 개시되는 스크립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데이터 안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개시단계는,
    상기 쇼핑몰에 변화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쇼핑몰에 상기 상품이미지를 개시하는 개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단계는,
    개시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단계;
    선택된 상기 상품이미지를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상품이미지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상품이미지를 생성한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에 상기 상품이미지 사용내역을 누적하는 누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단계 이후,
    상기 상품이미지의 누적 사용량에 따라 상기 상품이미지를 생성한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에게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비용을 지불하는 비용지불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단계 이후,
    상기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에게 상기 상품이미지 사용에 대한 마일리지를 적립하는 적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상기 상품이미지에 해당하는 상기 모델에게 상기 사용자의 마일리지 내역을 알려주는 통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12. 통신망을 통하여 모델 및 작가가 제공하는 상품이미지를 제공하는 중개서버;
    상기 중개서버에서 제공되는 상품이미지를 이용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서버;
    상기 중개서버와 상기 쇼핑몰서버를 통하여 제공되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 용여부를 관리하는 관리서버;
    사용자가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쇼핑몰서버에 접속하는 상기 상품이미지에 해당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구비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 빈도에 따라 상기 모델과 상기 작가에게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료를 정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유선/무선 인터넷 서비스 및 이동 통신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서버는,
    상기 상품의 판매, 입고, 재고, 반품의 상품관리를 위한 상품관리부;
    상기 상품에 대응되는 상기 상품이미지를 관리하는 이미지관리부;
    상기 상품을 구매하는 사용자를 관리하는 사용자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서버는,
    상기 상품 및 상기 상품과 연계되는 상기 상품이미지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모델의 정보를 관리 및 검색하는 모델관리부;
    상기 작가의 정보를 관리 및 검색하는 작가관리부;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상품이미지를 사용하는 쇼핑몰을 관리 및 검색하는 쇼핑몰관리부;
    상기 모델, 상기 작가, 상기 쇼핑몰의 상호 계약관계를 관리하는 중개관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개서버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모델 또는/및 상기 작가와 상기 쇼핑몰 사이의 계약관계를 관리하는 계약관리부;
    상기 중개서버에서 상기 쇼핑몰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인증관계를 관리하는 인증관리부;
    상기 쇼핑몰에서 사용되는 상기 상품이미지의 사용빈도에 따라 상기 모델 또 는/및 상기 작가에게 사용빈도에 따른 비용을 정산하는 정산관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관리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상품이미지를 통한 상기 상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마일리지를 누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관리부는,
    상기 쇼핑몰서버로 제공되는 상기 상품이미지에 인증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상품이미지를 사용하는 상기 쇼핑몰서버에 상기 상품이미지에 부여된 상기 인증코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코드와 상기 감지모듈은 상호 인식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쇼핑몰 운영시스템.
KR1020060068206A 2006-07-20 2006-07-20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0839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06A KR100839831B1 (ko) 2006-07-20 2006-07-20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206A KR100839831B1 (ko) 2006-07-20 2006-07-20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678A KR20080008678A (ko) 2008-01-24
KR100839831B1 true KR100839831B1 (ko) 2008-06-19

Family

ID=3922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206A KR100839831B1 (ko) 2006-07-20 2006-07-20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83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361B1 (ko) 2021-02-15 2022-05-03 김영은 광고 컨텐츠 협업 모델을 갖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220116722A (ko) 2021-02-15 2022-08-23 김영은 해외 온라인 유통을 위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220116724A (ko) 2021-02-15 2022-08-23 김영은 유통기한 알림 및 추적 기능을 갖는 제품 관리 시스템
KR20220165494A (ko) 2021-06-08 2022-12-15 홍석추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504773B1 (ko) 2021-12-08 2023-02-28 주식회사 하와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512327B1 (ko) 2021-12-08 2023-03-22 주식회사 하와 사용자 맞춤형 데님(denim)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쇼핑몰 운영방법
KR102585096B1 (ko) 2022-11-16 2023-10-04 구민석 제품 컨텐츠 제작 기법을 활용한 쇼핑몰 광고 시스템
KR20240008558A (ko) 2022-07-12 2024-01-19 임동규 유아용품 타겟 광고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US11941666B2 (en) 2020-12-09 2024-03-26 Nh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atching search advertisement based on product preliminary cla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091A (ko) 2015-01-13 2016-07-21 안성국 사용자 기반 온라인 쇼핑몰의 운영시스템 장치 및 프로그램 저장매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929A (ko) 2000-07-19 2002-01-29 이수호 스타 포즈 이미지 온라인 에이전트
KR20020008995A (ko) 2000-07-21 2002-02-01 송금섭 인터넷상웹서버컴퓨터에서 특정인이 인쇄된 사진, 엽서,브로마이드, 또는 특정인의 캐릭터에 그 특정인의글씨체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문구를 직접 작성하게하고 그의 글씨체가 인쇄된 물품을 판매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KR100326866B1 (ko) * 2000-04-20 2002-03-06 이창대 유명인의 음성 및 동영상을 이용한 상품 광고와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67846B1 (ko) * 2000-05-24 2003-01-10 한규갑 인터넷을 이용한 캐릭터 제작과 캐릭터 상품 주문판매시스템 및 방법
KR20070026917A (ko) 2005-08-27 2007-03-09 김수동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에 적용되는 캐릭터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866B1 (ko) * 2000-04-20 2002-03-06 이창대 유명인의 음성 및 동영상을 이용한 상품 광고와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67846B1 (ko) * 2000-05-24 2003-01-10 한규갑 인터넷을 이용한 캐릭터 제작과 캐릭터 상품 주문판매시스템 및 방법
KR20020007929A (ko) 2000-07-19 2002-01-29 이수호 스타 포즈 이미지 온라인 에이전트
KR20020008995A (ko) 2000-07-21 2002-02-01 송금섭 인터넷상웹서버컴퓨터에서 특정인이 인쇄된 사진, 엽서,브로마이드, 또는 특정인의 캐릭터에 그 특정인의글씨체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원하는 문구를 직접 작성하게하고 그의 글씨체가 인쇄된 물품을 판매하는 방법에 관한것이다.
KR20070026917A (ko) 2005-08-27 2007-03-09 김수동 연예 매니지먼트 사업에 적용되는 캐릭터 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1666B2 (en) 2020-12-09 2024-03-26 Nh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matching search advertisement based on product preliminary class
KR102394361B1 (ko) 2021-02-15 2022-05-03 김영은 광고 컨텐츠 협업 모델을 갖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220116722A (ko) 2021-02-15 2022-08-23 김영은 해외 온라인 유통을 위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220116724A (ko) 2021-02-15 2022-08-23 김영은 유통기한 알림 및 추적 기능을 갖는 제품 관리 시스템
KR20220165494A (ko) 2021-06-08 2022-12-15 홍석추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504773B1 (ko) 2021-12-08 2023-02-28 주식회사 하와 소셜 네트워크 컨텐츠 정보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512327B1 (ko) 2021-12-08 2023-03-22 주식회사 하와 사용자 맞춤형 데님(denim) 제품정보를 제공하는 쇼핑몰 운영방법
KR20240008558A (ko) 2022-07-12 2024-01-19 임동규 유아용품 타겟 광고를 활용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102585096B1 (ko) 2022-11-16 2023-10-04 구민석 제품 컨텐츠 제작 기법을 활용한 쇼핑몰 광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678A (ko) 2008-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831B1 (ko) 온라인 쇼핑몰 운영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1676159B2 (en) Systems and methods of task cues
US20140074570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erce System by Presenting Contextual Advertisements on a Computer System
Edlin et al. The role of switching costs in antitrust analysis: a comparison of Microsoft and Google
KR100692209B1 (ko) 맞춤형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40074615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erce System Using Triggered Advertisements
US200902998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avings opportunities based on the price protection and return policies of retailers
CN104081379A (zh) 使用增强现实的物品的可视化
KR101745600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매 확인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3620588A (zh) 基于浏览活动识别匹配应用
KR102222822B1 (ko) 상점 간 연계 할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30060645A1 (en) Generating fees and revenues from modified logos
JP2008146240A (ja) クレジットブランド選択システム、クレジットブランド選択方法、クレジットブランド判定装置、およびクレジット決済手段
KR101981136B1 (ko)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40074571A1 (en) Commer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mmerce System by Layering Contextual Advertisements Over a Graphical Interface
CN114596175A (zh) 利用便携式通信终端第一个画面的内容物提供方法
KR102341942B1 (ko) 확인 코드를 이용한 리워드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513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 control in a computing system based on verified event record
KR20120036600A (ko) 코드 기반의 가격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A32353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product categorization
JP2020052774A (ja) 起業家による起業を支援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いて実行され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47854B1 (ko) 통합 결제 버튼 제공 방법
KR100963543B1 (ko) 구매 후기를 지도 정보에 매칭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서버
JP2010113487A (ja) 電子書籍の作者とアニメ漫画系クリエータとを結びつけるマッチングシステム
KR20140013380A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반한 광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