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017B1 -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017B1
KR102504017B1 KR1020220051017A KR20220051017A KR102504017B1 KR 102504017 B1 KR102504017 B1 KR 102504017B1 KR 1020220051017 A KR1020220051017 A KR 1020220051017A KR 20220051017 A KR20220051017 A KR 20220051017A KR 102504017 B1 KR102504017 B1 KR 10250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recessed part
fluid
buried
flui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애영
Original Assignee
(주)청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송 filed Critical (주)청송
Priority to KR102022005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3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cables, e.g. under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04S10/52Outage or fault management, e.g. fault detection or lo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은 복구확인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이 현장으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이 상기 현장에 하적되는 단계; 및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이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은 자동 복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복구장치는, 설정된 제 1구간들에 배치되는 보조 선로들을 갖는 중공 형상의 보호관; 상기 보호관의 중공에 배치되는 지중 배전선로; 상기 제 1구간들의 위치와 일치되는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제 2구간들에서의 전류 이상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구간을 검출하는 전류 이상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Installation method for system for checking the recovery of the faulty section of th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구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관의 내주에 형성하지 않고, 관의 내주로부터 이격시키되, 관의 변형으로 인해 레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일과 관의 내주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관 형상 변형시 복구 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기준전류값을 설정하고, 이 기준전류값을 초과하는 과전류가 검출되면 고장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고장을 검출하게 되는데, 고장을 감지하기 위한 기준전류값 자체가 오설정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정확한 고장검출이 어렵고, 특히 기준전류값이 정상치보다 높게 오설정된 경우 기준전류값 이하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아예 고장검출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에는 선로 관 내에서 복구 장치를 고장 위치로 이동시켜 손상된 선로를 복구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복구 장치가 선로 관 내부에서 관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 외부 충격 등에 의해 관의 내부 공간이 좁아지는 경우 해당 선로 고장 위치로 이동하기 어렵고, 설상 가상으로 관 외부로 복구 장치를 인출 하기 어려운 문제점으로 인해 선로 고장을 복구시키기 어려울 뿐 더러 복구 장치가 관 내부에서 추가적인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구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관의 내주에 형성하지 않고, 관의 내주로부터 이격시키되, 관의 변형으로 인해 레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일과 관의 내주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관 형상변형시 복구 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방역과 위생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으로서, 복구확인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이 현장으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이 상기 현장에 하적되는 단계; 및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이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은 자동 복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복구장치는, 설정된 제 1구간들에 배치되는 보조 선로들을 갖는 중공 형상의 보호관; 상기 보호관의 중공에 배치되는 지중 배전선로; 상기 제 1구간들의 위치와 일치되는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제 2구간들에서의 전류 이상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구간을 검출하는 전류 이상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와, 현장(P')에 선정된 대상에 대한 식별을 위한 식별용인 유색의 제3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판단모듈(114')의 상기 판단에 기반하여 상기 유체를 분사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이 있다.
본 발명은 복구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관의 내주에 형성하지 않고, 관의 내주로부터 이격시키되, 관의 변형으로 인해 레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일과 관의 내주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관 형상변형시 복구 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이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방역과 위생 관리 등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작업자 이동과 자재 반입 등 다양한 시공과정에 있어서의 방역을 위한 유체분사수단을 제공하되,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효율적인 탈거와 장착이 가능하여 신혹하고 간편화된 유체분사수단의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안정적인 충격저항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가변적인 기능동작을 통해 다양한 조건에서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현하여 설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유체분사수단의 장착에 있어 안정적이고 견고한 장착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구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구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구 장치가 보호관의 내부에 진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2접촉단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복구 장치의 그립부에 의해 제 1접촉단이 걸리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복구 장치의 그립부에 의해 제 1접촉단이 걸리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1접촉단이 강재 하강하여 제 1접촉단과 접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1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는 설정된 제 1구간들에 배치되는 보조 선로들(200)을 갖는 중공 형상의 보호관(100)과, 상기 보호관(100)의 중공에 배치되는 지중 배전선로(300)와, 상기 제 1구간들의 위치와 일치되는 상기 지중 배전선로(300)의 제 2구간들에서의 전류 이상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구간을 검출하는 전류 이상 감지부(400)와, 상기 보호관(100)의 중공에서 이동 가능 하게 배치되되, 상기 이상 구간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상 구간에 해당되는 보조 선로(200)와 지중 배전선로(300)를 연결하는 복구 장치(500)와, 상기 복구 장치(5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600)와, 상기 이동부(6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복구 장치(6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여기서 상기 보호관(100)의 중공에는 상기 보호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바들(110)이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레일바들(110)의 외주와 상기 보호관(100)의 내주 다수 위치를 탄성적으로 연결 및 고정하는 탄성 부재들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구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구 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구 장치가 보호관의 내부에 진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구 장치(500)는 상기 레일바들(110)에 끼워져 이동이 안내되는 안내홀들(501)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바들(11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중 배전선로(300)가 관통되는 관통홀(5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레일바(110)를 지지하는 탄성 부재들이 관통되도록 복구 장치(500)의 외주부에는 절개홈(503)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전류 이상 감지부(400)는 상기 지중 배전선로(300)의 제 2구간들에서의 전류값들을 각각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값들이 기설정된 이상 전류에 이르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전류 이상 감지부(400)는 상기 제 2구간들 중, 상기 이상 전류에 이르는 제 2구간을 선정하고, 선정된 상기 제 2구간을 상기 이상 구간으로 판단하고, 상기 이상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하는 전류 센서들을 포함한다.
또한 도 2를 참조 하면, 상기 보호관(100)의 외주에는 상기 제 1구간들에 해당되는 위치에 보조관들(210)이 배치된다. 상기 보조관들(210)의 내부는 상기 보호관(1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통공(101)을 통해 상기 보호관(100)의 중공과 연결된다.
상기 보조관의 내부에 내장된 일정 길이의 보조 선로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통공을 통해 상기 보호관(100)의 중공에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상기 보조 선로(200) 각각의 양단에는 한 쌍의 제 1접촉단(220)이 형성된다. 상가 한 쌍의 제 1접촉단(220)은 탄성 스프링(230)을 통해 상기 한 쌍의 통공(101) 주변의 상기 보호관(100) 내주에 탄성 지지지된다.
]특히, 상기 제 2구간들에 해당되는 상기 지중 배전선로(300)에는 상기 지중 배전선로(300)의 내부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접촉단들(310)이 상기 제 2구간 별로 한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접촉단들(310)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 1접촉단(220) 각각의 위치와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 1접촉단(220) 각각은, 외력에 의해 해당 보조 선로(200)의양단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보호관(100)의 중공으로 돌출 가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2접촉단의 결합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도 6을 참조 하면, 또한 상기 한 쌍의 제 1접촉단(220) 각각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끼움 돌기(221)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접촉단들(310) 각각의 상면에는 상기 끼움 돌기(221)가 끼워지는 끼움홈(3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에는 상기 제 1구간들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 2구간들의 위치 정보가 기설정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상기 복구 장치(500)의 일단부에는 그립부(520)가 배치된다. 상기 그립부(520)는 상기 복구 장치(500)의 일단에 설치되는 승강바(521)와, 상기 승강바(521)를 따라 승강되는 실린더(522)와, 상기 실린더(522)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축(523)과, 상기 축(523)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축(523)의 신축 동작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 1접촉단(220)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 걸리는 걸림 부재(524)를 구비하되, 상기 걸림 부재(524)는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린더(522)는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리니어 모터(미도시)에 의해 승강된다. 도 7은 복구 장치의 그립부에 의해 제 1접촉단이 걸리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복구 장치의 그립부에 의해 제 1접촉단이 걸리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1접촉단이 강재 하강하여 제 1접촉단과 접촉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 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이동부(6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복구 장치(500)를 상기 이상 구간에 이동시킨다.
상기 제어부(700)는 리니어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실린더(522)를 승강바(521)를 따라 승강시켜 상기 걸림 부재(524)를 상기 이상 구간에 위치되는 상기 한 쌍의 제 1접촉단(220) 중 어느 하나의 상면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실린더(522)의 상기 축(523)을 돌출시켜 상기 한 쌍의 제 1접촉단(220)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실린더(522)를 하강시켜, 걸린 상기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접촉단(220)을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제 2접촉단(310)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끼움 돌기(221)는 상기 끼움단(31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리니어 모터 및 상기 실린더(522)를 사용하여 상기 걸림 부재(524)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100)의 내주에는 기어이가 형성되는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구 장치(500)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가이드에 기어이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기어 롤러들(820)이 설치된다. 상기 기어 롤러들(820)은 신축 실린더(810)의 축(811)에 회전지지된다. 상기 신축 실린더(810)는 복구 장치(500)의 상단 및 하단 다수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신축 실린더(810)는 제어부(7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축(811)을 돌출시켜 기어 롤러(820)가 가이드에 기어치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기어 롤러(820)의 회전 중심과 축 방식으로 연결되는 회전 모터(미도시)를 사용하여 상기 기어 롤러들(820)을 회전시킨다.
이에 복구 장치(500)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 보호관(100)의 내부에서 미세 이동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700)는 복구 장치(500)가 이상 구간에 정확하게 위치 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작동을 이룰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복구 장치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관의 내주에 형성하지 않고, 관의 내주로부터 이격시키되, 관의 변형으로 인해 레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일과 관의 내주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관 형상 변형시 복구 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 고장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고정 위치에서 보조 선로의 양단을 해당 고장 구간에 해당되는 선로에 연결하도록 하여 선로 복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은 복구확인시스템이 준비되는 단계;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이 이송수단에 의하여 현장으로 이송되는 단계: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이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현장에 하적되는 단계; 및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이 상기 현장에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은 자동 복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복구장치는, 설정된 제 1구간들에 배치되는 보조 선로들을 갖는 중공 형상의 보호관; 상기 보호관의 중공에 배치되는 지중 배전선로; 상기 제 1구간들의 위치와 일치되는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제 2구간들에서의 전류 이상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구간을 검출하는 전류 이상 감지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한다.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의 구성물, 상기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한다.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한다.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과,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한다.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의 상부에는 제1외측패널(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측패널(124')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가변구동체(1241, 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묻힘패널(122')의 상부에는 제2이동패널(1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2가변구동체(1261',1262')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측으로 슬라이딩형태로 이동되며, 상기 제1가변구동체(1241,124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일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하며, 상기 제2가변구동체(1261',1262')는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타측에서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의 상부면과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의 하부면을 눌러 고정한다.
상기 제1이동패널(116') 및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각각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1접촉모듈(411')과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눌러 가압하는 제2접촉모듈(412')과 상기 제5유체분사모듈(215')을 상하로 눌러 가압하는 제3접촉모듈(413')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제1-1영역(S1')과 상기 제1-2영역(S2') 사이로 출몰되는 제1세로몸체(511')와, 상기 제1세로몸체(511')에서 상기 제1-1영역(S1')의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영역(S2')의 제2유체분사모듈(212')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1가로몸체(52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는, 상기 제2-1영역(S3')과 상기 제2-2영역(S4') 사이로 출몰되는 제2세로몸체(512')와,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에서 상기 제2-1영역(S3')의 상기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2영역(S4')의 제3유체분사모듈(213')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2가로몸체(5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는, 상기 제3-1영역(S5')과 상기 제3-2영역(S6') 사이로 출몰되는 제3세로몸체(513')와,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서 상기 제3-1영역(S5')의 상기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3-2영역(S6')의 제4유체분사모듈(214')을 각각 누르도록 출몰되는 제3가로몸체(523')가 구비된다.
한편 여기서의 현장(P)은 상기 시스템이 위치되는 제1현장(P1)과, 상기 제1현장(P1)으로 진입하기 위한 게이트에 해당되는 제3현장(P3)과 상기 제1현장(P1)과 상기 제3현장(P3) 사이에서 위치되는 제2현장(P2)을 포함한다. 여기서의 적어도 상기 제2현장(P2)은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이 배치 혹은 설치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보호관 200 : 보조 선로
300 : 지중 배전선로 400 : 전류 이상 감지부

Claims (2)

  1.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은 이송수단에 의하여 현장으로 이송되고, 하적수단에 의하여 상기 현장에 하적되며, 상기 현장에 설치되되,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은 자동 복구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자동 복구장치는,
    설정된 제 1구간들에 배치되는 보조 선로들을 갖는 중공 형상의 보호관; 상기 보호관의 중공에 배치되는 지중 배전선로; 상기 제 1구간들의 위치와 일치되는 상기 지중 배전선로의 제 2구간들에서의 전류 이상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구간을 검출하는 전류 이상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장에는 유체제공유닛(100')이 설치되어 상기 복구확인 시스템의 구성물, 이송수단 및 상기 하적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방역용 유체분사를 수행하되,
    상기 유체제공유닛(100')은,
    중앙몸체(110')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상부로 설치되며 상부로 주변의 촬영대상이 기 설정된 대상에 해당되는지 촬영 및 판단하는 판단모듈(114')이 구비되는 상방거치몸체(112')와,
    상기 중앙몸체(110')의 일측으로 출몰되는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중앙몸체(110')의 타측으로 출몰되는 제2이동패널(118')과,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과 마주 접하며, 바닥에 일부가 묻혀져 설치되는 제2묻힘패널(122')과,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어 탈거에 기반하는 교체형으로 장착되어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을 포함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현장(P')에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하기 위한 제1유체와, 소독을 위한 제2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유체가 충진되고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구조체(221')와,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분사구조체(221') 로부터 모터회전방식을 회전구동되는 가변구조체(222')를 포함하며,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양측 상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상부이동체(310')와,
    양측 하부로 수평 설치되는 제1하부이동체(316')와,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상기 제1상부이동체(310')와 대향하는 제1간격유지패널(312')과,
    양측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측으로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와 대향하는 제2간격유지패널(314')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거치몸체(112')에는 하부에 제1-1함입부와 제1-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부에는 제2-1함입부와 제2-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하부에는 제3-1함입부와 제3-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상부에는 제4-1함입부와 제4-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 하부에는 제5-1함입부와 제5-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이동체(316')에는 상부에 제6-1함입부와 제6-2함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은
    상기 제1-1함입부와 상기 제2-1함입부 사이 제1-1영역(S1')에 거치 장착되는 제1유체분사모듈(211')과,
    상기 제1-2함입부와 상기 제2-2함입부 사이 제1-2영역(S2')에 거치 장착되는 제2유체분사모듈(212')과,
    상기 제2-1함입부와 상기 제3-1함입부 사이 제2-1영역(S3')에 거치 장착되는 제3유체분사모듈(213')과,
    상기 제2-2함입부와 상기 제3-2함입부 사이 제2-2영역(S4')에 거치 장착되는 제4유체분사모듈(214')과,
    상기 제3-1함입부와 상기 제4-1함입부 사이 제3-1영역(S5')에 거치 장착되는 제5유체분사모듈(215')을 포함하고,
    상기 제3-2함입부와 상기 제4-2함입부 사이 제3-2영역(S6')에 거치 장착되는 제6유체분사모듈(216')을 포함하되,
    상기 상방거치몸체(112')는,
    상기 중앙몸체(110')에서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은 하부에 상기 제1묻힘패널(120')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1저면유동체(116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하부에 상기 제2묻힘패널(122') 내부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제2저면유동체(118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패널(116')과 상기 제2이동패널(118')에서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은 각기 수평방향으로 각기 슬라이딩 유동되어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하며,
    상기 고정력에 기반하여 상기 중앙몸체(110')는 상기 제1묻힘패널(120')과 상기 제2묻힘패널(122')에 대하여 연동고정이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유체분사모듈(211') 내지 상기 제6유체분사모듈(216')은 상기 거치 장착상태에서 상기 분사구조체(221')의 수평방향간에 둘레회전으로 회전힘을 가하여 상기 유체분사모듈(211',212',213',214',215’)이 상기 상방거치몸체(112'), 상기 제1간격유지패널(312'), 상기 제2간격유지패널(314')에서 장착 고정력이 강화되도록 하고,
    상기 제1묻힘패널(120')의 상부에는 제1외측패널(124')이 구비되며, 상기 제1외측패널(124')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1가변구동체(1241, 1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묻힘패널(122')의 상부에는 제2이동패널(118')이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패널(118')은 내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제2가변구동체(1261',1262')가 구비되는,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2. 삭제
KR1020220051017A 2022-04-25 2022-04-25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 KR10250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017A KR102504017B1 (ko) 2022-04-25 2022-04-25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017A KR102504017B1 (ko) 2022-04-25 2022-04-25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017B1 true KR102504017B1 (ko) 2023-03-02

Family

ID=8550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017A KR102504017B1 (ko) 2022-04-25 2022-04-25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0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142B1 (ko) * 2023-03-07 2024-03-12 (주)반석기술단 송전과 변전 케이블의 변전소 연결 보호장치 제공방법
KR102654580B1 (ko) * 2023-03-07 2024-04-03 홍윤화 지중 배전선로의 변압기 연결과 우수유입 차단 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1991249B1 (ko) * 2019-03-20 2019-06-20 (주)지명 지중 배전선로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KR102277658B1 (ko) * 2020-09-22 2021-07-15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99A (ko) * 2014-12-19 2016-06-29 이강훈 광고효과를 갖는 자동이동장치용 핸드레일
KR101991249B1 (ko) * 2019-03-20 2019-06-20 (주)지명 지중 배전선로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KR102277658B1 (ko) * 2020-09-22 2021-07-15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6142B1 (ko) * 2023-03-07 2024-03-12 (주)반석기술단 송전과 변전 케이블의 변전소 연결 보호장치 제공방법
KR102654580B1 (ko) * 2023-03-07 2024-04-03 홍윤화 지중 배전선로의 변압기 연결과 우수유입 차단 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017B1 (ko) 지중 설치 변압기에 연결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복구확인시스템 제공방법
KR101991249B1 (ko) 지중 배전선로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US20140224279A1 (en) Vehicle wash system
CN109775212B (zh) 一种测试生产线
KR101720322B1 (ko) 지중 배전선로 구간별 고장 검출 및 자동 복구 장치
KR102147981B1 (ko) 배전선로 고장구간 자동 검출 개폐설비
KR102062819B1 (ko) 단지 내 통신 케이블 고장 진단 시스템
US8985274B2 (en) Flatbed loading system with self-aligning platforms
US20220250847A1 (en) Traverser, base unit, and moving unit
US11731865B2 (en) Modular configurable inground automotive lift system
CN105431342B (zh) 用于监控被引导车辆的正确复轨的方法和设备
US20170022033A1 (en) Positioning area for a route for vertically inserting current collector contacts in the current rails of the route
CN106808495B (zh) 一种具有过压检测功能的机械手夹爪
US11125072B2 (en) Track synchronization moving apparatus of wellbore insp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09961B1 (ko) 전차선 세척 장치
EP2017165A1 (en) A device for coupling a semi-trailer to a tractor
KR101175440B1 (ko) 압연롤의 슬리브 조립장치 및 조립방법
CN106371007A (zh) 一种重合闸大电流测试系统
KR101759248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CN113104487A (zh) 一种流水线装置
KR101544949B1 (ko) 케이블 트레이
CA2778596A1 (en) Support assembly for use with a nuclear reactor tool assembly
CN101351398B (zh) 吊具分隔设备
KR100991404B1 (ko) 전력선용 무인감시 장치
EP4244094A1 (de) Lade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lektrischen laden eines elektrofahrzeu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