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248B1 -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248B1
KR101759248B1 KR1020170011284A KR20170011284A KR101759248B1 KR 101759248 B1 KR101759248 B1 KR 101759248B1 KR 1020170011284 A KR1020170011284 A KR 1020170011284A KR 20170011284 A KR20170011284 A KR 20170011284A KR 101759248 B1 KR101759248 B1 KR 101759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main body
distribution line
gea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근
Original Assignee
야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베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야베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9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일정 구간에 설치된 센서수단의 검출 신호에 의해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 자동개폐장치가 작동하여 기존의 선로를 차단하고 우회선로를 통해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중단없이 연결하는 한편, 바닥판으로부터 자동개폐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개폐장치본체와 제어장치본체 간의 이격거리 조절에 따라 제어장치본체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신부에서의 센서수단의 측정신호 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Separating Fault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일정 구간에 설치된 센서수단의 검출 신호에 의해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 자동개폐장치가 작동하여 기존의 선로를 차단하고 우회선로를 통해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중단없이 연결하는 한편, 바닥판으로부터 자동개폐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개폐장치본체와 제어장치본체 간의 이격거리 조절에 따라 제어장치본체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신부에서의 센서수단의 측정신호 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배전에 사용되는 변압기, 기계, 장치, 시스템 등은 154 KV급 이상의 전압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배전선로에 고장 전류 및 전압이 발생하는 경우, 고장 전류 및 전압이 발생한 고장점을 찾기 위하여 변전소 차단장치를 동작시켜 가면서 현장의 작업자와 변전소 관리자가 주로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사고 지점에 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고장지점을 찾는 것이 보편화 된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며 복구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정전 시간이 길어져 전력 소비자의 큰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의 사고 발생시 그 고장점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고 복구하여 정전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전력공급의 신뢰성과 수용가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1462호(2014.09.17.)에는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은 제어장치본체의 승,하강시 피니언기어가 랙기어에 치형결합되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질 뿐이므로 안정적인 승,하강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어장치본체의 승,하강에 따라 랙기어 또는 피니언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랙기어와 피니언과의 접촉에 의해 제어장치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누전이나, 오작동 등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441462호(2014.09.17.)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의 일정 구간에 설치된 센서수단의 검출 신호에 의해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이에 따라 자동개폐장치가 작동하여 기존의 선로를 차단하고 우회선로를 통해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중단없이 연결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판으로부터 자동개폐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개폐장치본체와 제어장치본체 간의 이격거리 조절에 따라 제어장치본체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신부에서의 센서수단의 측정신호 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로(10)의 일정 부분으로 센서수단(S1)(S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배전선로(1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전압과 전류를 분리하는 동시에 우회선로(20)로 연결하는 자동개폐장치(100)와, 상기 자동개폐장치(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자동개폐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일정 공간을 형성한 제어장치본체(201)와,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구(202)와 제2 관통구(204)를 형성하고,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제1 관통구(202)와 제2 관통구(204)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된 랙기어(300)와, 상기 랙기어(300)와 맞물리게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면에 설치된 피니언기어(304)와, 상기 피니언기어(304)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2)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내부에는 부하단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는 상기 센서수단의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값을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통신부(214)와, 상기 통신부(214)로부터 전달된 신호값을 고장 전류 및 전압에 의한 고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제어부(210)와, 상기 제어부(210)와 연결되며 상기 배전선로(10)를 흐르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2)와, 상기 랙기어(300)의 상부 끝단에 개폐장치본체(102)가 연결되고, 상기 개폐장치본체(102)는 사각형 형태의 몸체로 내부 바닥면에 모터(164)에 연결된 구동기어(162)와, 상기 구동기어(162)에 맞물려 있는 메인기어(160)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기어(160)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모터(164)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170)과, 상기 회전봉(170)의 상부 끝단에 수평하게 설치된 막대 형태의 작동접속부재(172)와, 사각형 형태의 상기 개폐장치본체(102)를 이루는 내부 내측면의 각각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 고정지지대(110, 120, 130, 140)와 상기 고정지지대(110, 120, 130, 140)의 내측 방향으로 랙기어(111, 121, 131, 141)가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111, 121, 131, 141)는 상부에 치합되어 맞물려 있는 상부피니언기어(112, 122, 132, 142)와, 하부에 치합되어 맞물려 있는 하부피니언기어(115, 125, 135, 145)와, 상기 상부피니언기어(112, 122, 132, 142)와 상기 하부피니언기어(115, 125, 135, 145)에 각각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 수단인 상부모터(113, 123, 133, 143)와 하부모터(116, 126, 136, 146)와, 상기 상부피니언기어(112, 122, 132, 142)와 상기 하부피니언기어(115, 125, 135, 145)의 각각의 끝단에 길이 방향으로 막대 형상의 상부접지부(114, 124, 134, 144)와 하부접지부(117, 127, 137, 147)와, 상기 상부피니언기어(112, 122,132, 142)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하방 제한 스위치(118, 128, 138, 148)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며 상기 하부피니언기어(115, 125, 135, 145)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방 제한 스위치(119, 129, 139, 149)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어 상기 상부접지부(114, 124, 134, 144)와 일정 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상기 하부접지부(117, 127, 137, 147)가 한 쌍으로 접지부재를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의 내측면에서 상기 배전선로(10) 상에 각각 제1 접지부재와 제2 접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배전선로(10)와 직각 방향의 우회선로(20) 상에 제3 접지부재와 제4 접지부재가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로써, 상기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자동개폐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승강지지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지지부(400)는, 상기 랙기어(300)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바닥판(203)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를 관통하여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에 연결되면서 상기 자동개폐장치(100)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410);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스프링(420); 및 상기 바닥판(203)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부스프링(430)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스프링(430)은, 평상시 이완된 상태로부터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하강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와 상기 바닥판(203)과의 사이에서 수축되면서 상기 제어장치(200)의 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상부스프링(420)은,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시,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와의 접촉에 의해 수축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 및 상기 구동모터(302)가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제어장치(200)의 하강시, 하중이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로 전달되면서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배전선로의 일정 구간에 설치된 센서수단의 검출 신호에 의해 배전선로의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이에 따라 기존의 선로를 차단하고 우회선로를 통해 배전선로의 전류 및 전압을 중단 없이 연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개폐장치본체와 제어장치본체 간의 이격거리 조절에 따라 제어장치본체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통신부에서의 센서수단의 측정신호 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제어장치본체의 승,하강에 따라 랙기어 또는 피니언기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와의 접촉에 의해 제어장치본체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누전이나,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에서 상하이동수단의 개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에서 제어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에서 승강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441462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441462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441462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은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로 대체하고, 바닥판으로부터 자동개폐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른 개폐장치본체와 제어장치본체 간의 이격거리 조절에 따라 제어장치본체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441462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발전소나 변전소 등에서 회사 또는 각 가정으로 송전시키기 위해 설치된 변대주를 지나는 배전선로(10)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설치된 센서수단(S1)(S2)의 검측신호에 의해 자동개폐장치(100)가 작동하여 배전선로(10)의 고장시 배전선로(10)의 흐름을 일시 차단하고 우회선로(20)로 연결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는 배전선로(10)의 일정 부분으로 센서수단(S1)(S2)의 사이에 설치되는 자동개폐장치(100)와, 자동개폐장치(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자동개폐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제어장치(200)는 일정 공간을 형성한 제어장치본체(201)와,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구(202)와 제2 관통구(204)를 형성하고, 제1 관통구(202)와 제2 관통구(204)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세워진 상하로 길게 형성된 랙기어(300)와, 랙기어(300)와 맞물리게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면에 피니언기어(304)와, 피니언기어(304)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2)가 설치된다.
랙기어(300)는 제어장치본체(201)의 제2 관통구(204)를 관통하여 바닥판(203)에 고정 설치된다.
제어장치본체(201)는 랙기어(30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어장치본체(201)의 내부에는 제어부(210), 전원부(212), 통신부(214),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216)을 포함한다.
통신부(214)는 부하단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는 센서수단(S1)(S2)의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값을 실시간으로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송신한다.
제어부(210)는 통신부(214)로부터 전달된 신호값을 고장 전류 및 고장 전압에 의한 고장점을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전원부(212)는 제어부(210)와 연결되어 배전선로(10)를 흐르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어 구성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212)는 태양광을 전원으로 이용하는 태양광수단(T1)을 추가로 연결하여 배전선로(10)의 고장발생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216)은 사용자가 현장에서 제어장치(200)를 조작하고, 자동개폐장치(100), 제어장치(200)의 운전 환경 및 배전선로(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화면과 다수의 조작 버튼을 포함한다.
랙기어(300)의 상부 끝단에는 개폐장치본체(102)가 연결되고, 개폐장치본체(102)의 내부 바닥면에는 모터(164)에 연결된 구동기어(162)와, 구동기어(162)에 맞물려 있는 메인기어(160)가 형성된다.
메인기어(160)의 중앙부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회전봉(170)이 결합되어 있다.
모터(164)에 의해 구동기어(162)가 일방향으로 회전에 따라 메인기어(16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메인기어(160)에 연결된 회전봉(170)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봉(170)의 끝단에는 수평 방향으로 막대 형태의 작동접속부재(172)가 설치된다. 작동접속부재(172)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일정한 길이를 구비하는 로드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작동접속부재(172)의 재질로는 구리 및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알루미늄이 혼합된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전기전도율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이다.
작동접속부재(172)는 회전봉(170)이 모터(164)의 구동에 의해 회동하면, 회전봉(170)의 회전에 의해 작동접속부재(172)도 함께 회동되면서 접지부재에 삽입되거나 접지부재에서 이탈되어 전압과 전류를 연결 및 분리한다.
개폐장치본체(102)는 외관이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 내측면의 각각에 접지부재를 포함한 상하이동수단이 설치되고, 상하이동수단은 상부이동부재와 하부이동부재로 나누어져 상부이동부재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부이동부재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나의 접지부재를 형성한다.
상하이동수단은 센서수단(S1)(S2)의 배전선로(10) 상의 2개가 설치되고, 배전선로(10)와 직각 방향의 우회선로(20) 상에 2개가 설치된다.
센서수단(S1)(S2)의 배전선로(10) 상에 설치되는 제1 상하이동수단과 제2 상하이동수단을 포함하고, 배전선로(10)와 직각 방향의 우회선로(20) 상에 설치되는 제3 상하이동수단과 제4 상하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제1 상하이동수단은 수직으로 세워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1 고정지지대(110)와 제1 고정지지대(110)의 내측 방향으로 제1 랙기어(111)가 형성된다.
제1 랙기어(111)는 상부에 제1 상부피니언기어(112)가 치합되어 맞물려 있고 하부에 제1 하부피니언기어(115)가 치합되어 맞물려 있다.
제1 상부피니언기어(112)와 제1 하부피니언기어(115)는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인 제1 상부모터(113)와 제1 하부모터(116)가 연결되어 있다.
제1 상부피니언기어(112)와 제1 하부피니언기어(115)는 각각의 끝단에 제1 상부접지부(114)와 제1 하부접지부(117)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상부피니언기어(112)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1 하방 제한 스위치(118)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며, 제1 하부피니언기어(115)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1 상방 제한 스위치(119)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즉, 제어부(210)는 제1 상부피니언기어(112)와 제1 하부피니언기어(115)가 이동시 제1 상방 제한 스위치(119)와 제1 하방 제한 스위치(118)가 작동하는 경우, 제1 상방 제한 스위치(119)와 제1 하방 제한 스위치(118)로부터 작동 중지 신호를 수신하며 제1 상부모터(113)와 제1 하부모터(116)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로 인하여 제1 상부피니언기어(112)와 제1 하부피니언기어(115)의 이동이 중지되면, 제1 상부접지부(114)와 제1 상부접지부(114)와 일정 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제1 하부접지부(117)를 한 쌍으로 제1 접지부재가 형성된다.
제2 상하이동수단은 수직으로 세워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2 고정지지대(120)와 제2 고정지지대(120)의 내측 방향으로 제2 랙기어(121)가 형성된다.
제2 랙기어(121)는 상부에 제2 상부피니언기어(122)가 맞물려 있고 하부에 제2 하부피니언기어(125)가 맞물려 있다.
제2 상부피니언기어(122)와 제2 하부피니언기어(125)는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인 제2 상부모터(123)와 제2 하부모터(126)가 연결되어 있다.
제2 상부피니언기어(122)와 제2 하부피니언기어(125)는 각각의 끝단에 제2 상부접지부(124)와 제2 하부접지부(127)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상부피니언기어(122)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2 하방 제한 스위치(128)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며, 제2 하부피니언기어(125)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2 상방 제한 스위치(129)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즉, 제어부(210)는 제2 상부피니언기어(122)와 제2 하부피니언기어(125)가 이동시 제2 상방 제한 스위치(129)와 제2 하방 제한 스위치(128)가 작동하는 경우, 제2 상방 제한 스위치(129)와 제2 하방 제한 스위치(128)로부터 작동 중지 신호를 수신하며 제2 상부모터(123)와 제2 하부모터(126)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로 인하여 제2 상부피니언기어(122)와 제2 하부피니언기어(125)의 이동이 중지되면, 제2 상부접지부(124)와 제2 상부접지부(124)와 일정 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제2 하부접지부(127)를 한 쌍으로 제2 접지부재가 형성된다.
제3 상하이동수단은 수직으로 세워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3 고정지지대(130)와 제3 고정지지대(130)의 내측 방향으로 제3 랙기어(131)가 형성된다.
제3 랙기어(131)는 상부에 제3 상부피니언기어(132)가 맞물려 있고 하부에 제3 하부피니언기어(135)가 맞물려 있다.
제3 상부피니언기어(132)와 제3 하부피니언기어(135)는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인 제3 상부모터(133)와 제3 하부모터(136)가 연결되어 있다.
제3 상부피니언기어(132)와 제3 하부피니언기어(135)는 각각의 끝단에 제3 상부접지부(134)와 제3 하부접지부(137)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3 상부피니언기어(132)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3 하방 제한 스위치(138)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며, 제3 하부피니언기어(135)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3 상방 제한 스위치(139)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즉, 제어부(210)는 제3 상부피니언기어(132)와 제3 하부피니언기어(135)가 이동시 제3 상방 제한 스위치(139)와 제3 하방 제한 스위치(138)가 작동하는 경우, 제3 상방 제한 스위치(139)와 제3 하방 제한 스위치(138)로부터 작동 중지 신호를 수신하며 제3 상부모터(133)와 제3 하부모터(136)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로 인하여 제3 상부피니언기어(132)와 제3 하부피니언기어(135)의 이동이 중지되면, 제3 상부접지부(134)와 제3 상부접지부(134)와 일정 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제3 하부접지부(137)를 한 쌍으로 제3 접지부재가 형성된다.
제4 상하이동수단은 수직으로 세워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 제4 고정지지대(140)와 제4 고정지지대(140)의 내측 방향으로 제4 랙기어(141)가 형성된다.
제4 랙기어(141)는 상부에 제4 상부피니언기어(142)가 맞물려 있고 하부에 제4 하부피니언기어(145)가 맞물려 있다.
제4 상부피니언기어(142)와 제4 하부피니언기어(145)는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인 제4 상부모터(143)와 제4 하부모터(146)가 연결되어 있다.
제4 상부피니언기어(142)와 제4 하부피니언기어(145)는 각각의 끝단에 제4 상부접지부(144)와 제4 하부접지부(147)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4 상부피니언기어(142)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4 하방 제한 스위치(148)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며, 제4 하부피니언기어(145)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제4 상방 제한 스위치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즉, 제어부(210)는 제4 상부피니언기어(142)와 제4 하부피니언기어(145)가 이동시 제4 상방 제한 스위치와 제4 하방 제한 스위치(148)가 작동하는 경우, 제4 상방 제한 스위치와 제4 하방 제한 스위치(148)로부터 작동 중지신호를 수신하며 제4 상부모터(143)와 제4 하부모터(146)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이로 인하여 제4 상부피니언기어(142)와 제4 하부피니언기어(145)의 이동이 중지되면, 제4 상부접지부(144)와 제4 상부접지부(144)와 일정 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제4 하부접지부(147)를 한 쌍으로 제4 접지부재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상하이동수단과 제2 상하이동수단은 배전선로(10) 상에 설치되고 제3 상하이동수단과 제4 상하이동수단은 배전선로(10)와 직각 방향의 우회선로(2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제1 상하이동수단과 제2 상하이동수단이 동시에 작동하며, 제3 상하이동수단과 제4 상하이동수단이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제1 상하이동수단은 제1 고정지지대(110), 제1 랙기어(111), 제1 상부피니언기어(112), 제1 하부피니언기어(115), 한 쌍의 제1 접지부재인 제1 상부접지부(114), 제1 하부접지부(117)를 포함한다.
제2 상하이동수단은 제2 고정지지대(120), 제2 랙기어(121), 제2 상부피니언기어(122), 제2 하부피니언기어(125), 한 쌍의 제2 접지부재인 제2 상부접지부(124), 제2 하부접지부(127)를 포함한다.
제3 상하이동수단은 제3 고정지지대(130), 제3 상부피니언기어(132), 제3 하부피니언기어(135), 한 쌍의 제3 접지부재인 제3 상부접지부(134), 제3 하부접지부(137)를 포함한다.
제4 상하이동수단은 제4 고정지지대(140), 제4 랙기어(141), 제4 상부피니언기어(142), 제4 하부피니언기어(145), 한 쌍의 제4 접지부재인 제4 상부접지부(144), 제4 하부접지부(147)를 포함한다.
배전선로(10)의 전류와 전압 흐름이 정상적인 경우, 작동접속부재(172)는 배전선로(10) 상에 설치된 제1 상부접지부(114)와 제1 하부접지부(117)의 사이의 공간(제1 접지부재)과, 제2 상부접지부(124)와 제2 하부접지부(127)의 사이의 공간(제2 접지부재)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배전선로(10)에 고장이 발생되면, 작동접속부재(172)는 제1 접지부재와 제2 접지부재로부터 분리되어 90도 직각으로 회전하여 제3 상부접지부(134)와 제3 하부접지부(137)의 사이의 공간(제3 접지부재)과, 제4 상부접지부(144)와 제4 하부접지부(147)의 사이의 공간(제4 접지부재)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작동접속부재(172)는 센서수단의 배전경로 상에 설치된 제1 접지부재와 제2 접지부재에 삽입된 경우, 정상적인 배전선로(10)의 전류와 전압 흐름을 나타내고, 배전선로(10)와 직각 방향의 우회선로(20) 상에 설치된 제3 접지부재와 제4 접지부재에 삽입된 경우, 우회선로(20)로 전류 및 전압을 연결하게 된다.
변대주를 지나는 배전선로(10)의 선단측과 후단 측에 설치된 센서수단은 각 변대주마다 설치하고, 변대주 사이의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센서수단에 의하여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은 통신부(214)로 전송하며 통신부(214)는 이웃한 다른 통신모듈(미도시)과의 통신을 통해 변대주 사이의 전압 또는 전류의 값도 송수신한다.
통신부(214)로 전달된 신호는 중앙통제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통신부(214)는 각각 검출한 검출신호를 중앙통제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중앙통제시스템에서 변대주 사이의 정상 전압 또는 정상 전류가 공급되고 있는가를 판단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통신부(214)로 전달된 신호는 제어부(210)로 전달되며 통신부(214)에서 제어부(210)로 전달된 신호 즉 전압과 전류를 검출한 검출신호는 제어부(210)에서 고장 전류 또는 전압 연산에 의한 고장 유무를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상위 시스템(System)으로 전송하도록 한 후, 배전 자동화 알고리즘(Algorithm)에 의한 수행 명령을 제어부(210)에서 각 수단에 전달한다.
제어부(210)는 정상분 전압과 전류가 일정 기준치 이상인지 판단하고 고장 발생이 얼마나 유지했는지, 전압 위상 및 전류 위상이 일정 범위를 넘었는지, 고장 방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배전선로(10)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설치된 센서수단에서 전달된 신호값을 연산하여 정상신호로 판단되면 현재 접속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고장신호로 판단되었을 때, 제1 상부모터(113)와 제2 상부모터(123)를 작동시켜 제1 상부피니언기어(112)와 제2 상부피니언기어(122)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1 하부모터(116)와 제2 하부모터(126)를 작동시켜 제1 하부피니언기어(115)와 제2 하부피니언기어(125)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접지부재인 제1 상부접지부(114)와 제1 하부접지부(117)와, 제2 접지부재인 제2 상부접지부(124)와 제2 하부접지부(127)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면, 제1 접지부재와 제2 접지부재에 접속된 작동접속부재(172)의 접지력이 해제되어 분리된다.
모터(164)가 제어부(210)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회전되게 되면 모터(164)의 축에 연결된 구동기어(162)와 메인기어(160)가 연동되어 회전된다.
메인기어(160)와 연동된 회전봉(170)이 회전되고, 회전봉(170)의 상부 끝단에 수평되게 설치된 작동접속부재(17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회전하게 되어 제1 접지부재와 제2 접지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제3 상부접지부(134)와 제3 하부접지부(137)의 사이의 공간과, 제4 상부접지부(144)와 제4 하부접지부(147)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때, 제어부(210)는 제3 상부모터(133)와 제4 상부모터(143)를 작동시켜 제3 상부피니언기어(132)와 제4 상부피니언기어(142)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3 하부모터(136)와 제4 하부모터(146)를 작동시켜 제3 하부피니언기어(135)와 제4 하부피니언기어(145)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3 상부접지부(134)와 제3 하부접지부(137)와, 제4 상부접지부(144)와 제4 하부접지부(147)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근되고 제3 접지부재와 제4 접지부재가 최소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작동접속부재(172)가 제3 접지부재와 제4 접지부재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작동접속부재(172)는 위치가 변화되면서 제1 접지부재와 제2 접지부재와의 접지력이 해제되어 분리되고 제3 접지부재와 제4 접지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수단(S1)(S2) 상에서 배전선로(10)의 전류 및 전압 흐름을 우회선로(20)를 통해 연결되도록 한다.
제어부(210)는 작동접속부재(172)에 의해 우회선로(20)가 선택된 경우, 센서수단의 내부의 분기 회로를 통해 기존의 선로를 차단하고 우회선로(20)와 연결되도록 제어한다.
즉, 센서수단은 정상선로와 우회선로(20)를 분기하는 회로가 내부에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정상선로와 우회선로(20)를 선택하여 분기한다.
배전선로(10)에 고장이 수리되고 정상화되면, 제3 접지부재와 제4 접지부재가 해제되어 분리되고 제1 상부접지부(114)와 제1 하부접지부(117)와, 제2 상부접지부(124)와 제2 하부접지부(127)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근되고 제1 접지부재와 제2 접지부재가 최소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작동접속부재(172)가 제1 접지부재와 제2 접지부재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자동개폐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승강지지부(4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승강지지부(400)는 상기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자동개폐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와 상기 제어장치본체(201) 간의 이격거리 조절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부(214)에서의 센서수단(S1)(S2)의 측정신호 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지지부(400)는 상기 랙기어(300)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바닥판(203)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를 관통하여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에 연결되면서 상기 자동개폐장치(100)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410),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스프링(420) 및 상기 바닥판(203)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부스프링(43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10)는 상기 랙기어(300)의 양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랙기어(300)와 함께 상기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자동개폐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는 상,하부 양측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10)가 통과하는 통공(20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스프링(420)은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상기 가이드바(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상부스프링(420)은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시,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와의 접촉에 의해 수축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 및 상기 구동모터(302)가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부스프링(420)은 상기 제어장치(200)의 하강시, 하중이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로 전달되면서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하부스프링(430)은 상기 바닥판(203)에 안착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됨이 없이 상기 바닥판(203)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하부스프링(430)은 평상시 이완된 상태로부터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하강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와 상기 바닥판(203)과의 사이에서 수축되면서 상기 제어장치(200)의 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스프링(430)은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에 따라 수축된 상태로부터 이완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어장치본체(201)가 하강되어 상기 바닥판(203)에 인접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만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승강지지부(400)는 수축된 상태의 상기 하부스프링(430)이 이완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지지부(400)는 상기 하부스프링(430)이 수축된 상태로부터 이완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양측을 동일하게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어장치본체(201)가 수평을 유지하며 원활하게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03)에는 상기 하부스프링(430)의 하부가 인입되는 인입홈(20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입홈(203a)은 상기 하부스프링(430)이 수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상기 하부스프링(430)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하부스프링(420,430)은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하강이 가능한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지지부(400)는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440) 및 상기 리미트스위치(4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스프링(420)에 구비되는 가압편(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미트스위치(440)는 상기 상부스프링(420)의 수축에 따른 상기 가압편(450)과의 접촉에 의해 오프(OFF) 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에 따른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와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나 상기 구동모터(302)의 충돌 전에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승강지지부(400)는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랙기어(30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중앙스프링(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스프링(460)은 상기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중앙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에 따라 수축된 상태로부터 이완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승강지지부(400)는 상기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자동개폐장치(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구동모터(3020)의 구동에 따른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와 상기 제어장치본체(201) 간의 이격거리 조절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통신부(214)에서의 센서수단(S1)(S2)의 측정신호 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0: 배전선로 20: 우회선로
100: 자동개폐장치 102: 개폐장치본체
122: 제2 상부피니언기어 123: 제2 상부모터
124: 제2 상부접지부 125: 제2 하부피니언기어
140: 제4 고정지지대 141: 제4 랙기어
142: 제4 상부피니언기어 143: 제4 상부모터
148: 제4 하방 제한 스위치 149: 제4 상방 제한 스위치
160: 메인기어 162: 구동기어
164: 모터 170: 회전봉
172: 작동접속부재 200: 제어장치
201: 제어장치본체 300: 랙기어
302: 구동모터 304: 피니언기어
400: 승강지지부 410: 가이드바
420: 상부스프링 430: 하부스프링
440: 리미트스위치 450: 가압편
460: 중앙스프링

Claims (1)

  1. 배전선로(10)의 일정 부분으로 센서수단(S1)(S2)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배전선로(1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여 전압과 전류를 분리하는 동시에 우회선로(20)로 연결하는 자동개폐장치(100)와, 상기 자동개폐장치(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자동개폐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일정 공간을 형성한 제어장치본체(201)와,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관통하는 제1 관통구(202)와 제2 관통구(204)를 형성하고,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제1 관통구(202)와 제2 관통구(204)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하로 길게 형성된 랙기어(300)와, 상기 랙기어(300)와 맞물리게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면에 설치된 피니언기어(304)와, 상기 피니언기어(304)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02)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내부에는 부하단의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는 상기 센서수단의 측정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값을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통신부(214)와, 상기 통신부(214)로부터 전달된 신호값을 고장 전류 및 전압에 의한 고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제어부(210)와, 상기 제어부(210)와 연결되며 상기 배전선로(10)를 흐르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2)와, 상기 랙기어(300)의 상부 끝단에 개폐장치본체(102)가 연결되고,
    상기 개폐장치본체(102)는 사각형 형태의 몸체로 내부 바닥면에 모터(164)에 연결된 구동기어(162)와, 상기 구동기어(162)에 맞물려 있는 메인기어(160)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기어(160)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모터(164)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봉(170)과, 상기 회전봉(170)의 상부 끝단에 수평하게 설치된 막대 형태의 작동접속부재(172)와, 사각형 형태의 상기 개폐장치본체(102)를 이루는 내부 내측면의 각각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 고정지지대(110, 120, 130, 140)와 상기 고정지지대(110, 120, 130, 140)의 내측 방향으로 랙기어(111, 121, 131, 141)가 형성되고, 상기 랙기어(111, 121, 131, 141)는 상부에 치합되어 맞물려 있는 상부피니언기어(112, 122, 132, 142)와, 하부에 치합되어 맞물려 있는 하부피니언기어(115, 125, 135, 145)와, 상기 상부피니언기어(112, 122, 132, 142)와 상기 하부피니언기어(115, 125, 135, 145)에 각각 연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 수단인 상부모터(113, 123, 133, 143)와 하부모터(116, 126, 136, 146)와, 상기 상부피니언기어(112, 122, 132, 142)와 상기 하부피니언기어(115, 125, 135, 145)의 각각의 끝단에 길이 방향으로 막대 형상의 상부접지부(114, 124, 134, 144)와 하부접지부(117, 127, 137, 147)와, 상기 상부피니언기어(112, 122,132, 142)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하방 제한 스위치(118, 128, 138, 148)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며 상기 하부피니언기어(115, 125, 135, 145)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되 상방 제한 스위치(119, 129, 139, 149)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되어 상기 상부접지부(114, 124, 134, 144)와 일정 거리 하방으로 이격된 상기 하부접지부(117, 127, 137, 147)가 한 쌍으로 접지부재를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의 내측면에서 상기 배전선로(10) 상에 각각 제1 접지부재와 제2 접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배전선로(10)와 직각 방향의 우회선로(20) 상에 제3 접지부재와 제4 접지부재가 설치되는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로써,
    상기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자동개폐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승강지지부(4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강지지부(400)는,
    상기 랙기어(300)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바닥판(203)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를 관통하여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에 연결되면서 상기 자동개폐장치(100)의 양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410);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상부스프링(420);
    상기 바닥판(203)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1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부스프링(430);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상부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440);
    상기 리미트스위치(44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스프링(420)에 구비되는 가압편(450); 및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랙기어(30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중앙스프링(46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는,
    상,하부 양측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410)가 통과하는 통공(201a)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203)에는,
    상기 하부스프링(430)의 하부가 인입되면서 상기 하부스프링(430)이 수축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상기 하부스프링(430)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입홈(203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스프링(430)은,
    평상시 이완된 상태로부터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하강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와 상기 바닥판(203)과의 사이에서 수축되면서 상기 제어장치(200)의 하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상부스프링(420)은,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승,하강되면서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시,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와의 접촉에 의해 수축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 및 상기 구동모터(302)가 상기 개폐장치본체(102)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제어장치(200)의 하강시, 하중이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로 전달되면서 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440)는,
    상기 상부스프링(420)의 수축에 따른 상기 가압편(450)과의 접촉에 의해 오프(OFF) 되면서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상기 중앙스프링(460)은,
    상기 바닥판(203)으로부터 상기 제어장치본체(201)의 중앙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에 따라 수축된 상태로부터 이완되면서 상기 제어장치본체(201)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구동모터(302)의 구동에 따른 상기 제어장치(200)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KR1020170011284A 2017-01-24 2017-01-24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KR101759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84A KR101759248B1 (ko) 2017-01-24 2017-01-24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284A KR101759248B1 (ko) 2017-01-24 2017-01-24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248B1 true KR101759248B1 (ko) 2017-07-18

Family

ID=5943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84A KR101759248B1 (ko) 2017-01-24 2017-01-24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92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10B1 (ko) * 2018-01-15 2018-07-23 야베스텍 주식회사 내진과 방진기능을 갖춘 지능형 수배전반
KR102084140B1 (ko) * 2019-08-13 2020-03-04 야베스텍 주식회사 내진성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용 시스템 배전반
CN114089143A (zh) * 2022-01-21 2022-02-25 江苏吉泰科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电机控制器绝缘耐压测试装置及其实施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462B1 (ko) * 2014-07-14 2014-09-17 주식회사 서부전기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
KR101644855B1 (ko) * 2016-02-23 2016-08-02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스위치보호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462B1 (ko) * 2014-07-14 2014-09-17 주식회사 서부전기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
KR101644855B1 (ko) * 2016-02-23 2016-08-02 보원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스위치보호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10B1 (ko) * 2018-01-15 2018-07-23 야베스텍 주식회사 내진과 방진기능을 갖춘 지능형 수배전반
KR102084140B1 (ko) * 2019-08-13 2020-03-04 야베스텍 주식회사 내진성능이 구비된 태양광 발전용 시스템 배전반
CN114089143A (zh) * 2022-01-21 2022-02-25 江苏吉泰科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电机控制器绝缘耐压测试装置及其实施方法
CN114089143B (zh) * 2022-01-21 2022-04-05 江苏吉泰科电气有限责任公司 一种电机控制器绝缘耐压测试装置及其实施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462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
KR101722091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KR101869767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장치
KR101759248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장치
KR101831904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분리 제어시스템
CN107797058A (zh) 一种断路器终检测试系统
CN101958651B (zh) 使用mems技术的变压器带载抽头变换器
CN102590741A (zh) 交流接触器自动测试装置
CA2770056A1 (en) Reverse current sensor
KR102002813B1 (ko) 내진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장치
KR102035529B1 (ko) 배전선로의 고장감시장치
CN102763294A (zh) 使电气装备集成在结构上的系统及其电气装备的隔离方法
KR102181990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알림시스템
KR101762407B1 (ko) 컨버터의 접지를 위한 단락장치
KR20100081174A (ko)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및 이를 가진 차단기
KR101869725B1 (ko) 아크 제거기 적용 수배전단 구조
CN104251973A (zh) 断路器剩余电流动作特性检测机构
KR101943965B1 (ko) 특고압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감지장치
CN104779106A (zh) 一种真空断路器的固封极柱的装配机构
CN102820164A (zh) 用于真空断路器的位置检测器
CN207502680U (zh) 一种断路器终检测试系统
CN111463080A (zh) 一种高压开关柜的断路器外置操作机构及其使用方法
CN104764598A (zh) 一种真空断路器的机械特性检测工作台
KR101555280B1 (ko) 배전선로의 고장선로 분리 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2306243B1 (ko) 점검이 용이한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과 통합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