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365B1 - Plating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Plating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365B1
KR102503365B1 KR1020187003474A KR20187003474A KR102503365B1 KR 102503365 B1 KR102503365 B1 KR 102503365B1 KR 1020187003474 A KR1020187003474 A KR 1020187003474A KR 20187003474 A KR20187003474 A KR 20187003474A KR 102503365 B1 KR102503365 B1 KR 102503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lloy
base layer
conductive substrate
p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4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44886A (en
Inventor
요시토 후지이
요시카즈 오쿠노
신고 가와타
아키라 다치바나
다쓰야 나카쓰가와
슈이치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10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 C25D5/12Electroplating with more than one layer of the same or of different metals at least one layer being of nickel or chro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6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texture of the layers
    • C25D5/615Microstructure of the layers, e.g. mixed structure
    • C25D5/617Crystalline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34Pretreatment of metallic surfaces to be electropl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25D5/50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by heat-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48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 C25D5/50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by heat-treatment
    • C25D5/505After-treatment of electroplated surfaces by heat-treatment of electroplated tin coatings, e.g. by me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175℃라는 고온에서도, 원하는 내열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 접점부 형성시에 균열이 생기지 않는 Sn 도금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1)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2),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4),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5)의 순서로 각 층을 가지는 Sn 도금재로서,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6)이 잔존하고 있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6)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하고 있는 Sn 도금재(10),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
Provided is a Sn-plated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desired heat resistance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175°C and not causing cracks during formation of a contact por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 first base layer 2 made of Ni or a Ni alloy, an intermediate layer 4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5 made of Sn or a Sn alloy are placed on a conductive substrate 1 made of Cu or a Cu alloy in that order. A Sn plating material having a layer, wherein the Sn plating material has a thickness of 0.5 to 10 μm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Sn plating material 10 in which the damaged layer 6 remains in length or in which a plurality of damaged layers 6 exist in a total length of 0.5 to 10 μm per interface length of 20 μm, and its manufacture method and use.

Description

내열성이 우수한 도금재 및 그 제조방법Plating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차량 탑재부품, 전기전자부품, 리드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소켓 등에 적합한 주석(Sn) 도금재 및 그 제조방법과 용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n (Sn) plating material suitable for vehicle-mounted parts, electric and electronic parts, lead frames, relays, switches, sockets, and the like, and a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thereof.

전기 접점재에는, 종래부터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Cu) 또는 구리합금이 이용되어 왔다. 근래는 접점 특성의 향상이 진행되어, 구리 또는 구리합금을 그대로 이용하는 케이스는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재료를 대신하여 구리 또는 구리합금 상에 각종 표면 처리한 재료가 제조·이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 접점재로서, 전기 접점부에 구리 또는 구리합금 상에 주석 또는 주석 합금이 도금된 부재가 범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copper (Cu) or a copper alloy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has been used as an electrical contact material. In recent years, the improvement of contact characteristics has progressed, and cases using copper or copper alloy as it is are decreasing. Instead of these conventional materials, various surface-treated materials on copper or copper alloys are being manufactured and used. In particular, as an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 member in which tin or a tin alloy is plated on copper or a copper alloy in an electrical contact portion is widely used.

이 도금재료는, 도전성 기재(基材)의 우수한 도전성과 강도, 및 도금층의 우수한 전기 접속성과 내식성과 땜납성을 갖춘 고성능 도전체로서 알려져 있고, 전기·전자기기에 이용되는 각종 단자나 커넥터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도금재료는, 통상, 구리 등의 도전성 기재의 합금성분이 상기 도금층에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기재 상에 배리어 기능을 가진 니켈(Ni), 코발트(Co) 등이 기초 도금된다.This plating material is known as a high-performance conductor with excellent conductivity and strength of a conductive substrate and excellent electrical connectivity, corrosion resistance and solderability of a plating layer, and is widely used in various terminals and connectors used in electrical and electronic devices. It is being used. For this plating material, nickel (Ni), cobalt (Co) or the like having a barrier function is usually plated on the substrate in order to prevent diffusion of alloy components of the conductive substrate such as copper into the plating layer.

이 도금재료를 단자로서 이용한 경우, 예를 들면 자동차의 엔진룸 내 등의 고온 환경하에서는, 단자 표면의 주석 도금층의 주석이 쉽게 산화되는 성질 때문에, 주석 도금층의 표면에 산화 피막이 형성된다. 이 산화 피막은 무르기 때문에 단자 접속시에 파괴되고, 그 아래의 미산화의 주석 도금층이 노출되어 양호한 전기 접속성이 얻어진다.When this plating material is used as a terminal, an oxide film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in plating layer because tin in the tin pl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terminal is easily oxidized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such as in an automobile engine room. Since this oxide film is brittle, it is destroyed at the time of terminal connection, and the unoxidized tin plating layer underneath it is exposed, and good electrical connection is obtained.

그러나, 근래의 전기 접점재의 사용 환경으로서, 고온 환경하에 있어서 사용되는 케이스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엔진룸 내에서의 센서용 접점재료 등은, 100℃∼200℃ 등의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민생기기로 상정된 사용 온도보다 고온에 있어서의 접점 특성 등의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접점 특성의 신뢰성을 좌우하는 원인으로서, 고온하에서는, 도전성 기재성분의 확산 및 표면 산화에 의해 최표층에서의 접촉저항을 증대시켜 버리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도전성 기재성분의 확산억제 및 산화방지에 대해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져 왔다.However, as a usage environment of recent electrical contact materials, cases in which they are used under high-temperature environments are increasing. For example, contact materials for sensors in automobile engine rooms are increasingly likely to be used in high-temperature environments such as 100°C to 200°C. For this reason, reliability such as contact characteristics in higher temperatures than the operating temperature assumed for conventional consumer equipment is required. In particular, as a cause that influences the reliability of contact characteristics, it is a problem that the contact resistance in the outermost layer increases due to the diffusion of the conductive substrate component and surface oxidation under high temperatures. Therefore, various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on diffusion suppression and oxidation prevention of this conductive substrate component.

특허문헌 1에서는, Cu 또는 Cu 합금기재의 표면상에, Ni 또는 Ni 합금층이 형성되고, 최표면측에 두께 0.25∼1.5㎛의 Sn 또는 Sn 합금층이 형성되며, 상기 Ni 또는 Ni 합금층과 상기 Sn 또는 Sn 합금층의 사이에 Cu와 Sn을 포함하는 중간층이 1층 이상 형성되고, 이들 중간층 중 상기 Sn 또는 Sn 합금층과 접하고 있는 중간층의 Cu함유량을 50질량% 이하, Ni함유량이 20질량% 이하이며 또한 평균 결정입자 지름을 0.5∼3.0㎛로 함으로써, 땜납성, 내위스커성 및 내열 신뢰성 등의 특성을 가지며, 또한,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도금재료가 얻어지고 있다.In Patent Document 1, a Ni or Ni alloy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 Cu or Cu alloy base material, a Sn or Sn alloy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25 to 1.5 μm is formed on the outermost surface side, and the Ni or Ni alloy layer and One or more intermediate layers containing Cu and Sn are formed between the Sn or Sn alloy layers, and among these intermediate layers, the Cu content of the intermediate layer in contact with the Sn or Sn alloy layer is 50% by mass or less, and the Ni content is 20 mass%. % or less, and by setting the average crystal grain size to 0.5 to 3.0 μm, a plating material having characteristics such as solderability, whisker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reliability and excellent press workability can be obtained.

특허문헌 2에서는,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재 표면에, Ni층, Cu-Sn 합금층 및 Sn층으로 이루어지는 표면 도금층이 이 순서대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Ni층의 두께를 0.1∼1.0㎛, 상기 Cu-Sn 합금층의 두께를 0.1∼1.0㎛, 상기 Cu-Sn 합금층의 Cu농도를 35∼75at%, 상기 Sn층의 두께를 0.5㎛ 이하로 함으로써, 고온 분위기하에서 장시간 경과 후에도 전기적 신뢰성(낮은 접촉저항)을 유지할 수 있고, 아황산가스 내식성이 우수하며, 엄격한 가공으로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는 도금재료가 얻어지고 있다.In Patent Document 2, a surface plating layer composed of a Ni layer, a Cu—Sn alloy layer, and a Sn layer is formed in this order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made of Cu or a Cu alloy, and the thickness of the Ni layer is 0.1 to 1.0 μm;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Cu-Sn alloy layer to 0.1 to 1.0 μm, the Cu concentration of the Cu-Sn alloy layer to 35 to 75 at%, and the thickness of the Sn layer to 0.5 μm or less, electrical reliability even after a long period of time under a high temperature atmosphere ( Low contact resistance) can be maintained, sulfurous acid gas corrosion resistance is excellent, and plating materials that do not generate cracks even in severe processing are obtained.

특허문헌 3에서는, 가공 변질층이 없는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의 표면에, Ni층, Cu-Sn 합금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이 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상기 Ni층이 기재상에 에피택셜 성장하고 있고, Ni층의 평균 결정입자 지름을 1㎛ 이상, Ni층의 두께를 0.1∼1.0㎛, 또한 상기 중간층의 두께를 0.2∼1.0㎛, 상기 표면층의 두께를 0.5∼2.0㎛로 함으로써,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초 기재에 대한 배리어성을 높여, Cu의 확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여 내열성을 향상시키고, 고온 환경하에서도 안정된 접촉저항을 유지할 수 있는 Sn 도금재가 얻어지고 있다.In Patent Literature 3, a Ni layer, an intermediate layer composed of a Cu-Sn alloy layer, and a surface layer composed of Sn or Sn alloy are formed in this order on the surface of a substrate made of Cu or Cu alloy without a damaged layer. The Ni layer is epitaxially grown on a substrate, the average crystal grain diameter of the Ni layer is 1 μm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Ni layer is 0.1 to 1.0 μm,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 is 0.2 to 1.0 μm, and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is By setting to 0.5 to 2.0 μm, the barrier property to the base substrate made of Cu or Cu alloy is improved, the diffusion of Cu is more reliably prevented, the heat resistance is improved, and the Sn plating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stable contact resistance even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is is being obtained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93187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2003-293187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068026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2004-06802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22403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2014-122403

근래, 예를 들면 차량 탑재부품에 있어서는, 환경 온도의 고온화나 전기 구동차의 보급에 의한 전류량 증가에 의해, 지금까지 이상의 재료로 고온하에서의 양호한 전기 접속성(이하, 단순히 내열성이라고 한다.)이 요구되고 있다. 그 외의 용도에 있어서도, 환경 온도의 고온화나, 부품의 소형화나 고출력화에 수반하는 회로 전류밀도의 증가를 볼 수 있어, 역시 내열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또 부품의 소형화에 수반하여, 보다 양호한 굽힘 가공성이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for example, in vehicle-mounted parts, good electrical connectivity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heat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s is required with more materials than ever before due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current due to the increase i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the spread of electric vehicles. there is. Also in other uses, an increase in the circuit current density accompanying the increase in the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the miniaturization and high output of parts can be seen, and improvement in heat resistance is also required. Moreover, with the miniaturization of components, better bending workability is requested|required.

특허문헌 1, 2에서는, 내열성의 지표로서 160℃에서의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수준을 클리어한 것만으로는 근래 요구되는 내열성에 충분히 응할 수 없다. 예를 들면 175℃에서의 시험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재로부터 확산된 Cu가 표면의 Sn과 반응하여 화합물을 형성하고, 표면의 Sn이 소멸됨으로써 전기 접속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In Patent Literatures 1 and 2, a test at 160°C is performed as an index of heat resistance.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sufficiently meet the heat resistance required in recent years only by clearing this level. For example, in a test at 175°C, it was found that Cu diffused from the conductive substrate reacts with Sn on the surface to form a compound, and Sn disappears on the surface, thereby reducing electrical connectivity.

특허문헌 3의 Sn 도금재에서는, 175℃, 1000시간 가열 후에도 양호한 전기 접속성을 얻을 수 있어, 우수한 내열성을 가진다. 그러나, Ni도금층의 결정입자 지름이 종래에 비해 크기 때문에, 접점부를 벌징(bulging) 가공이나 굽힘 가공으로 형성했을 때에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균열이 발생된 부품을 열 환경하에서 사용하면, 도금 균열 부분에서 기재의 부식이 진행되어, 전기 접속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In the Sn plating material of Patent Document 3, good electrical connectivity can be obtained even after heating at 175°C for 1000 hours, and it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However, since the crystal grain size of the Ni plating layer is larger than before, cracks are likely to occur when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by bulging or bending. If a cracked part is used in a heat environment, corrosion of the substrate proceeds at the cracked portion of the plating, and there is a risk of impairing electrical connectivity.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175℃라는 고온에서도, 원하는 내열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 접점부 형성시에 균열이 생기지 않는 Sn 도금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n-plated material capable of maintaining desired heat resistance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175° C. and not causing cracks during formation of contact portion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차량 탑재부품, 전기전자부품, 리드 프레임, 릴레이, 스위치, 소켓 등에 적합한 Sn 도금재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행하여,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순서로 각 층이 형성된 Sn 도금재로서,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을 잔존시키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을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시킴으로써, 내열성과 가공성을 겸비한 Sn 도금재가 얻어지는 것을 찾아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ducted various studies so that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As a resul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nsively researched Sn plating materials suitable for vehicle-mounted parts, electrical and electronic parts, lead frames, relays, switches, sockets, etc., and made Ni or Ni alloys on conductive substrates made of Cu or Cu alloys. A Sn-plated material in which each layer is formed in the order of a first bas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made of Sn or Sn alloy, wherein the Sn plated material is a conductive substrat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formed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a damaged layer with a length of 0.5 to 10 μm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remains, or a total of 0.5 to 10 damaged layers per 20 μm in interface length. It was found that a Sn plating material having both heat resistance and workability can be obtained by existing in a length of μm.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의 수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means are provided.

(1)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순서로 각 층을 가지는 Sn 도금재로서,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이 잔존하고 있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1) A Sn plating material having each layer in the order of a first base layer made of Ni or a Ni alloy,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made of Sn or Sn alloy on a conductive substrate made of Cu or a Cu alloy, in the order described above. When the Sn plating material is viewed in cross section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 damaged layer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in a length of 0.5 to 10 μm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or , A Sn-pl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amaged layers are present with a total length of 0.5 to 10 μm per interface length of 20 μm.

(2)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층,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순서로 각 층을 가지는 Sn 도금재로서,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이 잔존하고 있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2) The order of a first base layer made of Ni or a Ni alloy, a second base layer made of Cu or a Cu alloy,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made of Sn or a Sn alloy on a conductive substrate made of Cu or a Cu alloy. As a Sn plating material having each layer, the Sn plating material is 0.5 to 10 μm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when viewing the cross section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sheet thickness direction. A Sn-pl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 damaged layer remains in a length of ㎛ or a plurality of damaged layers exist in a total length of 0.5 to 10 ㎛ per interface length of 20 ㎛.

(3) 상기 제1 기초층이, 결정입자 지름이 1㎛ 이상의 부분과 1㎛ 미만의 부분이 혼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Sn 도금재.(3) The Sn-plated material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first base layer has a mixture of a portion having a crystal grain size of 1 μm or more and a portion having a crystal grain size of less than 1 μm.

(4) 상기 표면층의 두께가 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Sn 도금재.(4) The Sn p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surface layer has a thickness of 0.2 to 5 µm.

(5)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Sn 도금재.(5) The Sn p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intermediate layer has a thickness of 0.1 to 1 µm.

(6) 상기 제1 기초층의 두께가 0.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Sn 도금재.(6) The Sn p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first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0.1 to 2 µm.

(7) 상기 제2 기초층의 두께가 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6)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Sn 도금재.(7) The Sn p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2) to (6), wherein the second base layer has a thickness of 0 to 0.1 µm.

(8) 175℃, 240시간 열처리했을 때, 상기 중간층이 재료 표면에 0.1∼60%의 면적률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Sn 도금재.(8) The Sn-plated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mediate layer is exposed on the material surface at an area ratio of 0.1 to 60% when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t 175°C for 240 hours.

(9) (1)∼(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Sn 도금재를 사용한 차량 탑재부품.(9) A vehicle-mounted part using the Sn p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10) (1)∼(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Sn 도금재를 사용한 전기전자부품.(10)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using the Sn plating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11)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순서로 각 층이 형성된 Sn 도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11) A method for producing a Sn-plated material in which each layer is formed on a conductive substrate made of Cu or a Cu alloy in the order of a first base layer made of Ni or a Ni alloy,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made of Sn or a Sn alloy in this order. ,

상기 도전성 기재 상에, 상기 제1 기초층,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층, 상기 표면층을 이 순서로 형성한 후, 리플로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기초층과 상기 표면층을, 상기 제2 기초층이 없어질 때까지 반응시켜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고,After forming the first base layer, the second base layer made of Cu or a Cu alloy, and the surface layer in this order on the conductive substrate,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surface layer are formed by reflow treatment, 2 react until the base layer disappears to form the intermediate layer,

도전성 기재의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조건을 버프 연마 입자의 사이즈가 #1000∼5000이며, 또한, 산세액으로의 침지 시간을 0∼60초, 마무리 가공 조건의 가공률을 0∼70%로 조정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 마무리 열처리 조건을 250∼650℃에서 5초∼5시간으로 조정하여 실시하는 것에 의해 도전성 기재 표면의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상기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을 잔존시키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의 제조방법.The conditions for buffing and pickling of conductive substrates are that the size of the buffing abrasive particles is #1000 to 5000, the immersion time in the pickling solution is 0 to 60 seconds, and the processing rate of the finishing processing conditions is adjusted to 0 to 70%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amaged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by adjusting the finish heat treatment conditions at 250 to 650 ° C. for 5 seconds to 5 hours as needed, the Sn-plated material is rolled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sheet thickness direction When viewing the cross section consisting of, a damaged layer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with a length of 0.5 to 10 μm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or a plurality of layers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A method for producing a Sn-pl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amaged layer of the present in a total length of 0.5 to 10 μm.

(12)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층,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순서로 각 층이 형성된 Sn 도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12) The order of a first base layer made of Ni or a Ni alloy, a second base layer made of Cu or a Cu alloy,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made of Sn or a Sn alloy on a conductive substrate made of Cu or a Cu alloy. As a method for producing a Sn plating material in which each layer is formed,

상기 도전성 기재 상에, 상기 제1 기초층, 상기 제2 기초층, 상기 표면층을 이 순서로 형성한 후, 리플로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기초층과 상기 표면층을, 상기 제2 기초층이 일부 남도록, 반응시켜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고,After forming the first base layer,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surface layer in this order on the conductive substrate,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surface layer are formed by reflow treatment, and the second base layer is partially To remain, react to form the intermediate layer,

도전성 기재의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조건을 버프 연마 입자의 사이즈가 #1000∼5000이며, 또한, 산세액으로의 침지 시간을 0∼60초, 마무리 가공 조건의 가공률을 0∼70%로 조정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 마무리 열처리 조건을 250∼650℃에서 5초∼5시간으로 조정하여 실시하는 것에 의해 도전성 기재 표면의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상기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을 잔존시키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의 제조방법.The conditions for buffing and pickling of conductive substrates are that the size of the buffing abrasive particles is #1000 to 5000, the immersion time in the pickling solution is 0 to 60 seconds, and the processing rate of the finishing processing conditions is adjusted to 0 to 70%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amaged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by adjusting the finish heat treatment conditions at 250 to 650 ° C. for 5 seconds to 5 hours as needed, the Sn-plated material is rolled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sheet thickness direction When viewing the cross section consisting of, a damaged layer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with a length of 0.5 to 10 μm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or a plurality of layers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A method for producing a Sn-pl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amaged layer of the present in a total length of 0.5 to 10 μm.

본 발명의 Sn 도금재에 의하면, 도전성 기재 표면에 가공 변질층을 일부 잔존시킴으로써, 도전성 기재로부터 표면층으로의 기재성분 Cu의 확산을 억제하여, 양호한 내열성을 얻을 수 있다. 또 굽힘 가공이나 벌징 가공으로 형성되는 접점부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n plat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usion of the base material Cu from the conductive base material to the surface layer is suppressed and good heat resistance can be obtained by partially remaining the damaged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base material. In addition, cracking of the contact portion formed by bending or bulging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하기의 기재 및 첨부의 도면으로부터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Sn 도금재의 하나의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Sn 도금재의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행한, 벌징 가공 방법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행한, 벌징 가공된 Sn 도금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경년 열화 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the Sn plat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Sn plat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ulging processing method performed in an exampl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n plating material subjected to bulging processing performed in Examples.
5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ging deterioration.

본 발명의 Sn 도금재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Sn 도금재(10)는,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1)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2),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4),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5)의 순서로 각 층이 형성된 구성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초층(2)과 중간층(4)의 사이에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층(3)을 형성해도 좋다. 어느 경우라도, 제1 기초층(2)과 도전성 기재(1)의 사이에 가공 변질층(6)이 상기 소정의 길이로 잔존하고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n plating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 1, the Sn plating material 10 of this embodiment consists of the 1st base layer 2 which consists of Ni or a Ni alloy, and the CuSn compound on the conductive base material 1 which consists of Cu or Cu alloy. It is the structure in which each layer was formed in order of the intermediate|middle layer 4 and the surface layer 5 which consists of Sn or Sn alloy.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2 , a second base layer 3 made of Cu or a Cu alloy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2 and the intermediate layer 4 . In either case, the damaged layer 6 remains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2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1 with the above predetermined length.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가공 변질층을 일부 잔존시킴으로써, 그 부분의 도전성 기재 상에는 결정입자 지름이 작은 제1 기초층이 형성되고, 가공 변질층이 제거된 부분에는 결정입자 지름이 큰 제1 기초층이 형성된다. 결정입자 지름이 작은 부분은 가공성의 개선에 기여하고, 큰 부분은 도전성 기재로부터 표면층으로의 기재성분 Cu의 확산을 억제하여, 내열성 향상에 기여한다. 제1 기초층의 결정입자 지름이 작은 부분의 바로 위에서는, 도전성 기재로부터의 기재성분 Cu의 확산에 의해 표면층이 소실 또는 감소되지만, 결정입자 지름이 큰 부분의 바로 위에 남은 표면층에 의해, 전체적으로 양호한 내열성이 얻어진다. 또 차량 탑재 단자와 같은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한 후에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경우, 제1 기초층의 결정입자 지름이 작은 부분의 바로 위에서 성장한 중간층의 효과에 의해, 빼고 꽂을 때의 삽입력이 초기보다 저하한다.By partially leaving the damaged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a first base layer with a small crystal grain size is formed on the conductive substrate at that portion, and a first base layer with a large crystal grain size is formed on the portion from which the damaged layer is removed. is formed A portion with a small crystal grain size contributes to improvement in workability, and a large portion contributes to improvement in heat resistance by suppressing the diffusion of substrate component Cu from the conductive substrate to the surface layer. Directly above the portion of the first base layer having a small crystal grain size, the surface layer disappears or decreases due to diffusion of the base material Cu from the conductive substrate, but the surface layer remaining immediately above the portion of the large crystal grain size results in a generally good condition. Heat resistance is obtained. Also, when maintenance is performed after use in a high-temperature environment such as a vehicle-mounted terminal, the insertion force at the time of removal and insertion is lower than at the beginning due to the effect of the intermediate layer grown directly above the portion of the first base layer having a small crystal grain size.

도전성 기재(1)의 형상에는 특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판, 조(條), 박, 선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로서 판재, 조재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그 형상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전성 기재(1)에는, Cu 또는 Cu 합금이 이용된다. Cu 또는 Cu 합금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사용하는 용도의 강도, 도전율 등의 요구에 따라, 적당히 선택하면 좋다.The shap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plate, a strip, foil, and a wire. Below, although a plate material and a strip material are demonstrated as an embodiment, the shape is not limited to these. For the conductive substrate 1, Cu or a Cu alloy is used. Although the type of Cu or Cu allo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strengt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like of the application to be used.

도전성 기재(1)에 이용할 수 있는 구리합금의 일례로서 CDA(Copper Development Association) 게재 합금인 「C14410(Cu-0.15Sn, 후루카와덴키고교(주)제, 상품명:EFTEC3)」, 「C19400(Cu-Fe계 합금 재료, Cu-2.3Fe-0.03P-0.15Zn)」, 「C18045(Cu-0.3Cr-0.25Sn-0.5Zn, 후루카와덴키고교(주)제, 상품명:EFTEC64T)」, 「C64770(Cu-Ni-Si계 합금 재료, 후루카와덴키고교(주)제, 상품명:EFTEC-97)」, 「C64775(Cu-Ni-Si계 합금 재료, 후루카와덴키고교(주)제, 상품명:EFTEC-820)」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리합금의 각 원소 앞의 숫자의 단위는 구리합금 중의 질량%를 나타낸다.) 또한, TPC(터프 피치 동)나 OFC(무산소동), 인청동, 황동(예를 들면, 70질량% Cu-30질량% Zn. 7/3 황동으로 약기한다.) 등도 이용할 수 있다. 도전성이나 방열성을 향상시킨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도전율이 5%IACS 이상의 구리합금의 조재(條材)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리합금을 도전성 기재(1)로서 취급시에서의 본 발명의 「기재성분」이란, 기금속(基金屬)인 구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도전성 기재(1)의 두께에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0.05∼2.00㎜이며, 바람직하게는, 0.1∼1.2㎜이다.As an example of a copper alloy that can be used for the conductive substrate 1, "C14410 (Cu-0.15Sn, manufactured by Furukawa Denki Kogyo Co., Ltd., trade name: EFTEC3)", "C19400 (Cu- Fe alloy material, Cu-2.3Fe-0.03P-0.15Zn)”, “C18045 (Cu-0.3Cr-0.25Sn-0.5Zn, manufactured by Furukawa Denki Kogyo Co., Ltd., trade name: EFTEC64T)”, “C64770 (Cu -Ni-Si alloy material, manufactured by Furukawa Denki Kogyo Co., Ltd., trade name: EFTEC-97)", "C64775 (Cu-Ni-Si alloy material, manufactured by Furukawa Denki Kogyo Co., Ltd., trade name: EFTEC-820) 」, etc. can be used. (On the other hand, the unit of the number in front of each element of the copper alloy indicates the mass% in the copper alloy.) In addition, TPC (tough pitch copper), OFC (oxygen-free copper), phosphor bronze, brass (for example, 70 mass% Cu-30% by mass Zn. Abbreviated as 7/3 brass.)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conductivity and heat dissip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opper alloy having a conductivity of 5% IACS or more. On the other hand, the "substrate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handling copper alloy as the conductive base material 1 shall indicate copper as a base metal.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0.05 to 2.00 mm, preferably 0.1 to 1.2 mm.

제1 기초층(2)은, 예를 들면 Ni가 이용되고, 도전성 기재(1)로부터 표면층(5)으로의 기재성분 Cu의 확산을 억제하는 확산 배리어층으로서 작용한다. 제1 기초층(2)의 두께는 0.1∼2㎛가 바람직하고, 0.2∼1㎛가 보다 바람직하다. 너무 얇으면 기재성분 Cu의 확산 억제 효과가 작아지고, Sn 도금재(10)의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 너무 두꺼우면 가공성이 저하하여,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기초층(2)은 Ni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Ni-P, Ni-Cu, Ni-Cr, Ni-Sn, Ni-Zn, Ni-Fe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first base layer 2 is made of, for example, Ni, and functions as a diffusion barrier layer that suppresses diffusion of the substrate component Cu from the conductive substrate 1 to the surface layer 5.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2 is preferably 0.1 to 2 μm, more preferably 0.2 to 1 μm. If it is too thin,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diffusion of the substrate component Cu is reduced, and the heat resistance of the Sn plating material 10 is lowered. Moreover, when it is too thick, workability will fall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crack may arise. In addition, the 1st base layer 2 may be formed from Ni alloy, For example, Ni-P, Ni-Cu, Ni-Cr, Ni-Sn, Ni-Zn, Ni-Fe etc. can be used.

도전성 기재(1) 상에 예를 들면 도금법에 따라 성막한 제1 기초층(2)은, 가공 변질층(6)을 제거한 부분에서는 도전성 기재(1)에 배향하고 Ni 결정입자가 성장하여, 도전성 기재(1)와 동일한 정도의 결정입자 지름이 얻어진다. Cu 또는 Cu 합금의 결정입자 지름은 1∼30㎛정도가 일반적이므로, 가공 변질층(6)을 제거한 부분에 성막한 제1 기초층(2)(Ni)의 결정입자 지름은, 그 대부분이 1㎛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가공 변질층(6)이 잔존하는 부분에서는, 도전성 기재(6) 표면 부근의 제1 기초층(2)의 결정입자 지름이 기재 본래의 결정입자 지름에 비해 매우 작아지고 있고, 그 위에 얻어지는 제1 기초층(2)(Ni)은 0.01㎛ 이상 1㎛ 미만의 작은 결정입자 지름을 가진다.The first base layer 2 formed on the conductive substrate 1 by, for example, a plating method is oriented to the conductive substrate 1 at the portion where the damaged layer 6 is removed, and Ni crystal grains grow, thereby increasing conductivity. A crystal grain diameter equivalent to that of the substrate (1) is obtained. Since the crystal grain diameter of Cu or Cu alloy is generally about 1 to 30 μm, the crystal grain diameter of the first base layer 2 (Ni) formed on the portion where the damaged layer 6 is removed is mostly 1 It is more than μm. In contrast, in the portion where the damaged layer 6 remains, the crystal grain diameter of the first base layer 2 near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base material 6 is extremely small compared to the original crystal grain diameter of the base material. The first base layer 2 (Ni) obtained above has a small crystal grain diameter of 0.01 μm or more and less than 1 μm.

중간층(4)은, 제1 기초층(2) 상에 제2 기초층(3), 표면층(5)을 순서로 형성한 후에 리플로우 처리함으로써, 제2 기초층(3)과 표면층(5)이 반응함으로써 얻어지며, 주로 Cu3Sn과 Cu6Sn5로 이루어진다. 주로 Cu3Sn와 Cu6Sn5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Cu3Sn와 Cu6Sn5이 50질량%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중간층(4)은 표면층(5)과 제1 기초층(2)의 반응을 방지하는 확산 배리어층으로서 작용한다. 중간층(4)의 두께는 0.1∼1㎛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8㎛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너무 얇으면 확산 배리어층으로서의 효과가 작아져, 표면층(5)과 제1 기초층(2)의 반응이 진행되어, Sn 도금재(10)의 내열성이 저하된다. 또 너무 두꺼우면 가공성이 저하되어,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다.The middle layer 4 is formed by sequentially forming the second base layer 3 and the surface layer 5 on the first base layer 2 and then reflowing the second base layer 3 and the surface layer 5. It is obtained by this reaction and consists mainly of Cu 3 Sn and Cu 6 Sn 5 . Being mainly composed of Cu 3 Sn and Cu 6 Sn 5 means that Cu 3 Sn and Cu 6 Sn 5 are constituted by 50% by mass or more. The intermediate layer 4 acts as a diffusion barrier layer preventing a reaction between the surface layer 5 and the first base layer 2 .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1-1 micrometer, and, as for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middle layer 4,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2-0.8 micrometer. If it is too thin, the effect as a diffusion barrier layer becomes small, the reaction between the surface layer 5 and the first base layer 2 proceeds, and the heat resistance of the Sn-plated material 10 decreases. Moreover, when it is too thick, workability will fall and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crack may arise.

표면층(5)은, 접점의 전기적 접속성을 담보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표면층(5)의 두께는 0.2∼5㎛인 것이 바람직하고, 0.3∼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너무 얇으면, 고온하에서 Sn이 도전성 기재(1)로부터 확산해 온 Cu와 반응하여 소실되어, 전기적 접속성이 손상된다. 너무 두꺼우면, 표면 부근에서 경질인 중간층(4)의 영향이 희미해져, 연질인 Sn 또는 Sn 합금인 표면층(5)의 영향이 커지기 때문에, 끼워맞춤형 단자 등의 빼고 꽂을 때에 삽발력(揷拔力)이 증대하여, 작업 부하가 증대한다. 특히 2㎛ 이하의 두께로 함으로써, 현저하게 삽입력을 저감할 수 있다. 표면층(5)은 Sn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Sn-Cu, Sn-Bi, Sn-Pb, Sn-Ag, Sn-Sb, Sn-In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surface layer 5 is necessary to secure the electrical connectivity of the contact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0.2-5 micrometers, and, as for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5,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0.3-2 micrometers. When too thin, Sn reacts with Cu diffused from the conductive base material 1 and disappears under high temperature, and electrical connectivity is impaired. If it is too thick, the influence of the hard intermediate layer 4 near the surface is diminished, and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layer 5, which is soft Sn or Sn alloy, increases. ) increases, and the work load increases. In particular, by setting it as 2 micrometers or less in thickness, insertion force can be reduced remarkably. The surface layer 5 may be formed of Sn alloy, and for example, Sn-Cu, Sn-Bi, Sn-Pb, Sn-Ag, Sn-Sb, Sn-In, etc. can be used.

제1 기초층(2)과 중간층(4)의 사이에, 제2 기초층(3)을 형성해도 좋다. 제2 기초층(3)은, 제1 기초층(2) 상에 제2 기초층(3), 중간층(4), 표면층(5)을 순서로 형성한 후에 리플로우 처리했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기초층(3)이 모두 중간층(4)의 형성에 사용되어, 소실해 버려도 좋고, 혹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기초층(3)의 일부는 사용되지 않고, 중간층(4)의 형성에 사용되지 않은 제2 기초층(3)이 잔존해도 좋다. 잔존한 제2 기초층(3)의 두께는, 0∼0.1㎛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기초층(3)은, 중간층(4)과 마찬가지로, 표면층(5)과 제1 기초층(2)의 반응을 방지하는 확산 배리어층으로서 작용한다. 다만 너무 두꺼우면, 고온하에서 표면의 표면층(5)과 반응하여, 내열성 저하의 원인이 된다. 제2 기초층(3)으로서 이용되는 Cu 합금으로서는, 예를 들면, Cu-Ni, Cu-Sn 등을 들 수 있다.Between the 1st base layer 2 and the intermediate layer 4, you may form the 2nd base layer 3. The second base layer 3 is shown in FIG. 1 when the second base layer 3, the intermediate layer 4, and the surface layer 5 are sequentially formed on the first base layer 2 and then subjected to reflow treatment. As shown, all of the second base layer 3 is used for the 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4 and may be lost, or as shown in FIG. 2, part of the second base layer 3 is not used, The second base layer 3 not used in the formation of the intermediate layer 4 may remain.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second base layer 3 is preferably 0 to 0.1 μm, and more preferably 0 to 0.05 μm. Like the intermediate layer 4, the second base layer 3 acts as a diffusion barrier layer that prevents the reaction between the surface layer 5 and the first base layer 2. However, when it is too thick, it reacts with the surface layer 5 on the surface under high temperature, and causes a decrease in heat resistance. As a Cu alloy used as the 2nd base layer 3, Cu-Ni, Cu-Sn,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재(1)의 표면에 가공 변질층(6)이 일부 잔존하고 있다. 가공 변질층(6) 자체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가공 변질층(6)을 설명하면, 버프 연마 공정이나 압연가공(기계가공) 시에 발생하는 열이나 작용력, 주위의 분위기, 금속 신생면의 성질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층에서, 금속 기체 내부의 결정 조직보다 미세한 조직을 나타낸다. 가공 변질층(6)에는, 미세한 결정과 비결정부분이 혼재하고 있으며, 가공 변질층(6)에 존재하는 결정입자의 사이즈가 1㎛ 이하이다. 상기 가공 변질층은 베일비 층(beilby layer, 상층)과 소성 변형층(하층)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일비 층은 극미세한 결정 집합 조직 혹은 비정질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소성 변형층은 일그러짐이 많은 불균일한 결정 집합 조직으로 이루어지며, 그 결정입자의 크기는 베일비 층의 결정입자와 금속 기체 내부의 결정입자의 거의 중간 크기이다.In this embodiment, part of the damaged layer 6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 The damaged layer 6 itself has been conventionally known. Describing the process-damaged layer 6, it is a layer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heat or force generated during the buffing process or rolling process (machining), the surrounding atmosphere, the nature of the new metal surface, and the like, inside the metal substrate. shows a finer structure than the crystalline structure of Fine crystals and amorphous portions are mixed in the affected layer 6, and the size of the crystal grains present in the affected layer 6 is 1 μm or less. The altered layer is composed of a beilby layer (upper layer) and a plastic deformation layer (lower layer). Here, the Beilby layer is made of an extremely fine crystalline aggregate structure or an amorphous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plastically deformed layer is composed of a non-uniform crystal texture with many distortions, and the size of its crystal grains is approximately intermediate in size between the crystal grains of the Beilby layer and the crystal grains inside the metal substrate.

가공 변질층은 열적으로 불안정한 조직이기 때문에, 가열처리 중 열에 의한 원자 확산에 의하여 열적으로 안정된 원자 배열로 변화하여, 감소한다. 도전성 기재의 표면을 용해함으로써, 가공 변질층을 일부 또는 전부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Sn 도금재(10)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1)의 표면에, 제1 기초층(2)과 도전성 기재(1)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6)이 잔존하고 있거나, 또는,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6)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개 또는 복수의 가공 변질층(6)이 합계로 1∼5㎛ 잔존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공 변질층(6)의 길이가 너무 짧은 경우, 제1 기초층(2)(Ni)의 대부분의 결정입자 지름이 크고, 가공성의 저하에 의해 접점부에서 균열이 발생하여, 전기 접속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가공 변질층(6)의 길이가 너무 긴 경우, 제1 기초층(2)(Ni)의 대부분의 결정입자 지름이 작고, 도전성 기재(1)로부터 표면층(5)에 기재성분 Cu가 확산되어, 내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Since the damaged layer is a thermally unstable structure, it is changed into a thermally stable atomic arrangement due to atomic diffusion by heat during heat treatment and is reduced. By dissolving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a part or all of the damaged layer can be removed. The Sn plating material 10 of this embodiment has an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2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1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when a cross section formed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sheet thickness direction is viewed. Per 20 μm, the damaged layer 6 remains in a length of 0.5 to 10 μm, or a plurality of damaged layers 6 exist in a total length of 0.5 to 10 μm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re exists,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one or several damaged layers 6 remain 1-5 micrometers in total. When the length of the damaged layer 6 is too short, most of the crystal grain diameters of the first base layer 2 (Ni) are large, and cracks occur at the contact portion due to a decrease in workability, resulting in damage to electrical connectivity. There is a risk of becoming Conversely, when the length of the damaged layer 6 is too long, most of the crystal grain diameters of the first base layer 2 (Ni) are small, and the substrate component Cu diffuses from the conductive substrate 1 to the surface layer 5. As a resul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heat resistance may be lowered.

본 실시형태는, 가공 변질층(6)이 잔존하고 있는 부분의 바로 위에서는 제1 기초층(2)의 Ni의 결정입자 지름이 작기 때문에, 도전성 기재(1)로부터 표면층(5)으로의 기재성분 Cu의 확산이 진행되어, 중간층(4)이 성장하기 쉽다. 이것에 대하여 가공 변질층(6)이 제거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제1 기초층(2)의 Ni의 결정입자 지름이 크고, 도전성 기재(1)로부터 표면층(5)으로의 기재성분 Cu의 확산이 억제되어, 중간층(4)이 성장하기 힘들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를 고온하에서 사용하면, 재료 중에서 중간층(4)의 성장에 차이가 생겨, 중간층(4)이 Sn 도금재(1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도 5를 참조.). 고온하에서 사용 후에 중간층(4)이 일부 노출되는 경우, 예를 들면 차량 탑재 단자의 메인터넌스 등으로 빼고 꽂는 것을 행할 때, 초기보다 삽입력이 저하하여, 작업부하가 저감된다. 175℃, 240시간 가열 후의 Sn 도금재(10) 표면에, 중간층(4)이 0.1∼60% 노출되어 있는 경우, 초기보다 낮은 삽입력과 양호한 전기 접속성을 동시에 얻어진다. 초기보다 낮은 삽입력과 양호한 전기 접속성을 동시에 얻기 위해서는, 노출되는 중간층(4)의 면적률이 0.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4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중간층(4)의 노출 면적률이 너무 작은 경우, 낮은 삽입력은 얻을 수 없고, 너무 큰 경우, 양호한 전기 접속성은 얻을 수 없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Ni crystal grain size of the first base layer 2 is small immediately above the portion where the damaged layer 6 remains, the substrate from the conductive substrate 1 to the surface layer 5 Diffusion of component Cu proceeds, and the intermediate layer 4 tends to grow. On the other hand, in the portion where the damaged layer 6 has been removed, the crystal grain size of Ni in the first base layer 2 is large, and the diffusion of the substrate component Cu from the conductive substrate 1 to the surface layer 5 is suppresse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intermediate layer 4 to grow. For this reason, when this embodiment is used under high temperature, a difference arises in the growth of the intermediate layer 4 in the material, and the intermediate layer 4 is partially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Sn plating material 10 (see Fig. 5). When the intermediate layer 4 is partially exposed after use under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when removing and plugging in and out of a vehicle-mounted terminal for maintenance or the like, the insertion force is lower than in the initial stage, and the work load is reduced. When 0.1 to 60% of the intermediate layer 4 is exposed on the surface of the Sn plating material 10 after heating at 175° C. for 240 hours, insertion force lower than the initial stage and good electrical connectivity can be simultaneously obtained. In order to simultaneously obtain a lower insertion force than the initial one and good electrical connectivity, the area ratio of the exposed intermediate layer 4 is preferably 0.1 to 60%, more preferably 0.5 to 40%, and 1 to 30%. more preferable If the exposed area ratio of the intermediate layer 4 is too small, low insertion force cannot be obtained, and if too large, good electrical connectivity cannot be obtained.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Sn 도금재(1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Sn 도금재(10)는 통상,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1) 상에 Ni 또는 Ni 합금 도금→Cu 또는 Cu 합금 도금→Sn 또는 Sn 합금 도금을 순서로 행하고, 그 후 리플로우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조된다. 각 공정의 전후에, 탈지, 산세, 수세, 건조처리를 적당히 행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Ni 또는 Ni 합금 도금 전의 도전성 기재(1)의 표면에, 가공 변질층(6)을 일부 잔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전성 기재의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조건의 조정, 마무리 가공 조건의 가공률을 0∼70%로 조정하고, 가공 변질층(6)의 잔존량을 제어한다. 또 필요에 따라서, 마무리 열처리 조건을 250∼650℃에서 5초∼5시간의 범위로 실시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방법은, 종래와 동일한 정도의 공정수이면서, 각각의 공정 조건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재료 특성의 향상을 실현했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n plating material 10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In the Sn plating material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usually, Ni or Ni alloy plating → Cu or Cu alloy plating → Sn or Sn alloy plating is performed in order on the conductive substrate 1 made of Cu or Cu alloy, and then It is manufactured by performing a reflow process. Before and after each step, degreasing, pickling, washing with water, and drying may be appropriately perform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embodiment, it is important to leave a part of the damaged layer 6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before Ni or Ni alloy plating.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itions of buffing and pickling of the conductive substrate are adjusted, and the processing rate of the finishing conditions is adjusted to 0 to 70%,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amaged layer 6 is controlled. In addition, if necessary, you may carry out the finishing heat treatment conditions in the range of 250-650 degreeC for 5 seconds - 5 hour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achieves improvement in material properties by appropriately adjusting each process condition while using the same number of steps as the conventional one.

〈도전성 기재〉<Conductive material>

도전성 기재(1)는, Cu 또는 Cu 합금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고, 이용하는 용도의 강도, 도전율 등의 요구에 맞추어, 적당히 선택하면 좋다. 도전성 기재(1) 표면의 가공 변질층(6)은, 열처리 후의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공정에 있어서의 버프 연마량, 산세액으로의 표면 용해량, 혹은 마무리 가공의 가공률, 또한 필요에 따라서 마무리 소둔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버프 연마량이나 산세액으로의 표면 용해량은, 버프 연마 입자의 사이즈, 산세액 조성, 산세액으로의 침지시간 등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프 연마 입자의 사이즈를 #1000∼5000, 산세액으로의 침지 시간을 0∼60초로 제어한다. 버프 연마 입자의 사이즈가 #1000보다 작은 경우, 연마 후의 도전성 기재(1)의 표면이 거칠고, 도금막에 핀 홀 등의 결함이 생기기 쉬워지며, 또 #5000보다 큰 경우, 버프 연마의 효과를 얻기 어려워진다. 또 산세액으로의 침지 시간이 60초보다 긴 경우, 도전성 기재(1)의 표면이 산(酸) 베이킹되어, 정상적인 도금막을 얻을 수 없게 될 염려가 있다. 침지 시간이 0초는, 산세를 행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 산세액으로서는, 황산계 수용액, 불산계 수용액, 질산계 수용액, 인산계 수용액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마무리 가공은, 예를 들면 0∼70%의 가공률로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마무리 가공 0%는, 마무리 가공을 행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마무리 가공률이 70%를 초과하는 경우, 얻어지는 Sn 도금재(10)의 굽힘 가공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또 마무리 소둔을 실시 하는 경우, 예를 들면 250∼650℃에서 5초∼5시간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 조건보다 저온, 혹은 단시간으로 되면 마무리 소둔의 효과를 얻기 어렵고,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이 규정의 범위보다 많아질 염려가 있다. 또 고온, 혹은 장시간이 되면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이 규정의 범위보다 적고, 또 Sn 도금재(10)의 재료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될 염려가 있다.The conductive substrate 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u or a Cu alloy,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requirements such as strength and conductivity of the application to be used. The damaged layer 6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buffing in the buffing and pickling process after heat treatment, the amount of surface dissolution in the pickling solution, or the processing rate of finishing, and also finishing as necessary. It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annealing conditions. The amount of buffing and the amount of surface dissolution in the pickling solution can be controlled by the size of the buffing grains, the composition of the pickling solution, the immersion time in the pickling solution,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size of the buffing abrasive grains is controlled to #1000 to 5000, and the immersion time in the pickling solution is controlled to 0 to 60 seconds. When the size of the buff abrasive grain is smaller than #1000,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after polishing is rough, and defects such as pinholes are likely to occur in the plating film, and when the size is larger than #5000, the effect of buff polishing is obtained It gets difficult. Also, when the immersion time in the pickling liquid is longer than 60 seconds,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may be acid-baked, and a normal plating film may not be obtained. An immersion time of 0 second means that pickling was not performed. As the pickling solution, a sulfuric acid-based aqueous solution, a hydrofluoric acid-based aqueous solution, a nitric acid-based aqueous solution, a phosphoric acid-based aqueous solution, or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finishing can be performed at a processing rate of 0 to 70%, for example. Here, 0% of finishing means that no finishing is performed. When the finishing processing rate exceeds 70%, the bending workability of the obtained Sn-plated material 10 is remarkably reduced. In the case of performing finish annealing, for example, it can be carried out at 250 to 650°C for 5 seconds to 5 hours. If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is condition or for a shorter time,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effect of finish annealing,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amaged layer may be greater than the specified range. In addition, at high temperature or for a long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sidual amount of the damaged layer is less than the specified range and the material strength of the Sn-plated material 10 is remarkably reduced.

〈제1 기초층(2)을 형성하는 Ni 또는 Ni 합금 도금〉<Ni or Ni alloy plating forming the first base layer 2>

Ni 또는 Ni 합금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도금하면 좋다. 도금욕으로서는, 예를 들면 설파민욕이나 와트욕, 황산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금 조건은, 욕 온도 20∼60℃, 전류 밀도 1∼30A/d㎡로 도금하면 좋다.Ni or Ni alloy may be plated by a general method. As a plating bath, a sulfamine bath, a Watt bath, a sulfuric acid bath, etc. can be used, for example. The plating conditions may be plating at a bath temperature of 20 to 60°C and a current density of 1 to 30 A/dm 2 .

〈제2 기초층(3)을 형성하는 Cu 또는 Cu 합금 도금〉<Cu or Cu alloy plating forming the second base layer 3>

Cu 또는 Cu 합금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도금하면 좋다. 도금욕으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욕이나 시안욕을 사용할 수 있다. 도금 조건은, 욕 온도 20∼60℃, 전류 밀도 1∼30A/d㎡로 도금하면 좋다.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late Cu or Cu alloy by a general method. As a plating bath, a sulfuric acid bath or a cyan bath can be used, for example. The plating conditions may be plating at a bath temperature of 20 to 60°C and a current density of 1 to 30 A/dm 2 .

〈표면층(5)을 형성하는 Sn 또는 Sn 합금 도금〉<Sn or Sn alloy plating forming the surface layer 5>

Sn 또는 Sn 합금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도금하면 좋다. 도금욕으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금 조건은, 욕 온도 10∼40℃, 전류 밀도 1∼30A/d㎡로 도금하면 좋다.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late Sn or Sn alloy by a general method. As a plating bath, a sulfuric acid bath etc. can be used, for example. The plating conditions may be plating at a bath temperature of 10 to 40°C and a current density of 1 to 30 A/dm 2 .

〈리플로우 처리〉<Reflow processing>

상기 표면층(5)까지 형성한 후의 리플로우 처리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00∼800℃로 설정한 로(爐) 내에 재료를 통과시키고, 5∼20초 가열한 후, 냉각하면 좋다. 리플로우 처리에 의해, 제2 기초층(3)과 표면층(5)이 반응하여, 중간층(4)이 형성된다.The reflow treatment after forming up to the surface layer 5 can be performed by a general method. For example, the material may be passed through a furnace set at 400 to 800°C, heated for 5 to 20 seconds, and then cooled. By the reflow process, the second base layer 3 and the surface layer 5 react, and the intermediate layer 4 is formed.

따라서, 리플로우 처리에 의해 제2 기초층(3)과 표면층(5)을, 제2 기초층(3)이 없어질 때까지 반응시켜 중간층(4)을 형성한 경우는, 도 1과 같이 제1 기초층(2)과 중간층(4)의 사이에 제2 기초층은 존재하지 않는다.Therefore, when the middle layer 4 is formed by reacting the second base layer 3 and the surface layer 5 by the reflow process until the second base layer 3 disappears, as shown in FIG. There is no second base layer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2 and the intermediate layer 4.

또 리플로우 처리에 의해 제2 기초층(3)과 표면층(5)을, 제2 기초층(3)이 일부 남도록, 반응시켜 중간층(4)을 형성한 경우는, 도 2와 같이 제1 기초층(2)과 중간층(4)의 사이에 제2 기초층(3)이 형성된다.Further, when the middle layer 4 is formed by reacting the second base layer 3 and the surface layer 5 by the reflow process so that a part of the second base layer 3 remains, as shown in FIG. 2, the first base layer 5 is formed. A second base layer 3 is formed between the layer 2 and the intermediate layer 4.

본 실시형태의 Sn 도금재(10)는, 도전성 기재(1) 표면에 가공 변질층(6)을 일부 잔존시킴으로써, 도전성 기재(1)로부터 표면층(5)으로의 기재성분 Cu의 확산을 억제하여, 양호한 내열성을 얻을 수 있다. 또 굽힘 가공이나 벌징 가공으로 형성하는 접점부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The Sn plating material 10 of this embodiment suppresses the diffusion of substrate component Cu from the conductive substrate 1 to the surface layer 5 by partially leaving the damaged layer 6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 good heat resistanc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cracking of the contact portion formed by bending or bulging can be suppressed.

(Sn 도금재(10)의 용도)(Use of Sn plating material 10)

본 실시형태의 Sn 도금재(10)는, 특히 고온하에서의 내열성(전기 접속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Sn 도금재(10)는, 소형 단자, 고압 대전류 단자 등의 차량 탑재부품 외, 단자, 커넥터, 리드 프레임 등의 전기전자부품에 적합하다.The Sn plating material 10 of this embodiment is especially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electrical connectivity) under high temperature. For this reason, the Sn plating material 10 of this embodiment is suitable for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erminals, connectors, and lead frames, in addition to vehicle-mounted components such as small terminals and high-voltage and large-current terminals.

[실시예][Example]

이하에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판 두께 0.25㎜의 구리합금 기재(후루카와덴키고교 가부시키제, 상품명:EFTEC-97)에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마무리 가공, 마무리 소둔을 행한 후, 전해 탈지, 산 세정을 행하고, Ni도금, Cu도금, Sn도금을 순서로 실시하며, 700℃로 유지한 로(爐) 중을 5∼10초 통과시켜 리플로우 처리했다. 각 도금 조건을 표 1에 나타낸다. 한편,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마무리 가공, 마무리 소둔에 관해서는, 리플로우 처리 후의 기재 단면에 있어서의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이 규정의 범위에 들어가도록 제어했다. 버프 연마량은, 버프 연마 입자의 사이즈를 #1000∼5000의 범위로 함으로써 조정했다. 표면 용해량은, 산세액으로서의, 황산과 과산화수소수의 혼합 수용액으로의 침지 시간을 0∼60초의 범위로 함으로써 조정했다. 또 마무리 가공의 가공률을 0∼70%의 범위로, 마무리 소둔은 250∼650℃에서 5초∼5시간으로, 조건을 각각 조정했다.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은, 후술의 방법에 의해 측정했다.After buffing, pickling, finishing machining, and finish annealing were performed on a copper alloy base material (Furukawa Denki Kogyo Co., Ltd., trade name: EFTEC-97) with a sheet thickness of 0.25 mm, electrolytic degreasing and pickling were performed, Ni plating, Cu Plating and Sn plating were performed in this order, and reflow treatment was performed by passing through a furnace maintained at 700°C for 5 to 10 seconds. Each plating condition is shown in Table 1.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buff polishing, pickling, finish processing, and finish annealing, the amount of the damaged layer remaining on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material after the reflow treatment was controlled so as to fall within a prescribed range. The amount of buffing was adjusted by setting the size of the buffing grains in the range of #1000 to 5000. The amount of surface dissolution was adjusted by setting the immersion time in the mixed aqueous solution of sulfu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as a pickling solution to the range of 0 to 60 seconds. In addition, the conditions were adjusted such that the working rate of the finishing was in the range of 0 to 70%, and the finishing annealing was 5 seconds to 5 hours at 250 to 650°C. The residual amount of the damaged layer wa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later.

이러한 조건으로, 후술의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들어가는 예로서, 층 두께 구성이 다른 발명 예 1∼7의 Sn 도금재(10)를 제작했다.Under these conditions, as shown in Table 2 described later, as example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n plating materials 10 of Inventive Examples 1 to 7 having different layer thickness configurations were produced.

또 비교예로서,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이 본 발명의 규정에서 어긋난 Sn 도금재도 제작했다(비교예 1, 2, 3, 4).In addition, as a comparative example, a Sn-plated material in which the residual amount of the damaged layer deviates from the provis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also produced (Comparative Examples 1, 2, 3, and 4).

여기서, 비교예 1은 상기 특허문헌 3의 가공 변질층이 없는 경우(특허문헌 3의 실시예 1∼6)에 상당하며,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공정으로 버프 연마 후에 산세액에 60초 침지하고, 마무리 가공과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제작했다. 또 비교예 4는 가공 변질층이 도전성 기재(1) 상의 전체면에 잔존하고 있는 경우(특허문헌 3의 비교예 1)에 상당하며,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후에 마무리 가공 70%를 실시하고, 마무리 소둔을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제작했다. 비교예 2, 3은, 도전성 기재상에 가공 변질층이 일부 잔존하며, 잔존량이 본 발명의 규정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게 조정한 예이다. 비교예 2는,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후에 마무리 가공을 하고, 마무리 소둔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온도보다 고온의 675℃, 2시간으로 실시하며,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을 본 발명 기정의 범위보다 작게 하고 있다. 비교예 3은,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후에 마무리 가공을 실시하고, 마무리 소둔을 본 발명에서 규정하는 온도보다 저온의 225℃, 2시간으로 실시하며,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을 본 발명 기정의 범위보다 많게 하고 있다.Here, Comparative Example 1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re is no damaged layer in Patent Document 3 (Examples 1 to 6 of Patent Document 3), and after buffing in a buffing and pickling process, immersed in a pickling solution for 60 seconds, It was manufactured with the thing which did not perform finish processing and finish annealing. Comparative Example 4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damaged layer remains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Comparative Example 1 of Patent Document 3), and finish processing is performed after buffing and pickling by 70%, followed by finishing. It was manufactured with the thing which did not perform annealing.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are examples in which a part of the damaged layer remains on the conductive substrate and the amount of the damaged layer is adjusted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does not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ative Example 2, finish processing was performed after buffing and pickling, and finish annealing was performed at 675° C. for 2 hours, which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idual amount of the damaged layer was less than the rang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ing it small In Comparative Example 3, finishing processing was performed after buffing and pickling, and finish annealing was performed at 225° C. for 2 hours, which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amaged layer was within the rang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ing more

Figure 112018012350767-pct00001
Figure 112018012350767-pct00001

[캐소드 전해 탈지][Cathode electrolytic degreasing]

탈지액:NaOH 60g/리터Degreasing solution: NaOH 60g/liter

탈지 조건:2.5A/d㎡, 온도 60℃, 탈지 시간 60초Degreasing conditions: 2.5 A/dm2, temperature 60°C, degreasing time 60 seconds

[산 세정][Acid washing]

산세액:10% 황산Pickling solution: 10% sulfuric acid

산 세정 조건:30초 침지, 실온Pickling conditions: immersion for 30 seconds, room temperature

이와 같이 하여 제조한 공시재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를 실시했다.The following evaluation was performed about the test material manufactured in this way.

(Sn 도금재의 층 두께측정)(Measurement of layer thickness of Sn plating material)

JIS H 8501의 10에 기재된 정전류 용해법에 의해, 상기에서 제작한 Sn 도금재의 각 층의 층 두께를 측정했다.The layer thickness of each layer of the Sn plating material produced above was measured by the constant current melting method described in 10 of JIS H 8501.

(조직 관찰-가공 변질층의 잔존량)(Tissue observation-residual amount of damaged layer)

FIB-SIM(집속 이온빔-주사형 이온 현미경)에 의해, 상기에서 제작한 Sn 도금재(10)의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관찰하고, 도전성 기재(1)의 표면에 잔존하고 있는 가공 변질층(6)의 길이(잔존량)를 계측했다. 관찰은, 10000∼50000배의 배율로 행하였다. 측정은, 제1 기초층(2)과 도전성 기재(1)의 계면에 대하여, 계면 길이 20㎛를 포함하는 범위를 1 시야로 하고, 시야 범위가 겹치지 않게 3 시야에 대하여 가공 변질층(6)이 잔존하고 있는 부분의 계면 길이를 계측한 후, 그 평균치를 측정결과로서 이용했다. 혹은, 이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6)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제1 기초층(2)과 도전성 기재(1)의 계면위치는, FIB에 부수한 오제 전자분광(Auger electron spectroscopy) 분석을 이용한 원소 매핑을 이용함으로써 판단했다. 또, 바로 위의 제1 기초층(2)이 도전성 기재(1)에 배향하여 Ni의 결정립계가 Cu의 결정립계와 일치하고 있는 부분은, 가공 변질층(6)이 제거되어 있다고 판단했다. 한편, 제1 기초층(2)의 Ni의 결정입자 지름이 도전성 기재(1)의 Cu의 결정립계에 대하여 작은 부분을 가공 변질층(6)이 잔존하고 있다고 판단했다.A cross section formed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of the Sn plating material 10 produced above was observed by FIB-SIM (focused ion beam-scanning ion microscope), and the remaining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1 The length (residual amount) of the damaged layer 6 was measured. Observation was performed at a magnification of 10000 to 50000 times. For the measurement, with respect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2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1, the range including the interface length of 20 μm is set as one field of view, and the damaged layer 6 for three fields of view so that the field of view ranges do not overlap. After measuring the interface length of this remaining part, the average value was used as the measurement result. Alternatively, it was confirmed that a plurality of damaged layers 6 were present with a total length of 0.5 to 10 µm per 20 µm of interface length. The position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2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1 was determined by using elemental mapping using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nalysis accompanying FIB. Moreover, it was judged that the damaged layer 6 was removed in the part where the first base layer 2 immediately above was oriented to the conductive base material 1 and the crystal grain boundary of Ni coincided with the grain boundary of Cu. On the other hand, it was judged that the damaged layer 6 remained in a portion where the crystal grain size of Ni in the first base layer 2 was smaller than the crystal grain boundary of Cu in the conductive substrate 1.

(고온하에서의 내열성)(Heat resistance under high temperature)

160℃, 1000시간 가열 후의 Sn 잔존량(160℃ 내열성)과, 175℃, 240시간 가열 후의 Sn 잔존량(175℃ 내열성)을 JIS H 8501의 10에 기재된 정전류 시험법으로 측정하여, 각각 Sn이 조금이라도 잔존하고 있다고 평가된 것을 A(양호), 전혀 잔존하고 있지 않다고 평가된 것을 D(불량)로 했다.The amount of Sn remaining after heating at 160°C for 1000 hours (heat resistance at 160°C) and the amount of Sn remaining after heating at 175°C for 240 hours (heat resistance at 175°C) were measured by the constant current test method described in 10 of JIS H 8501, respectively. What was evaluated as remaining even a little was made into A (good), and what was evaluated as not remaining at all was made into D (defective).

도 5에, 상기 고온화로 경년 열화 된 상태(예를 들면, 150℃, 1000시간 방치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에서는, 가공 변질층(6)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에서는 중간층(4)과 그 위의 표면층(5)이 남아 있지만, 가공 변질층(6)의 바로 위에서는 중간층(4)이 두꺼워져 표면층(5)이 거의 없어졌다.Fig. 5 schematically shows a state of aging deterioration due to the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a state left at 150°C for 1000 hours). In FIG. 5, the middle layer 4 and the surface layer 5 thereon remain in the portion where the damaged layer 6 does not exist, but the middle layer 4 is thick right above the damaged layer 6 and the surface layer (5) has almost disappeared.

(벌징 가공성)(Bulging workability)

상기에서 제작한 Sn 도금재(10)를 벌징 가공하고, 가공 후에 도금 균열이 생기지 않은 것을 A(양호), 생긴 것을 D(불량)로 했다. 도금 균열의 판정은, 가공 후의 벌징부 표면을 광학 현미경으로 50∼500배로 관찰하고, 기재가 노출되어 있는 것을 균열이 발생했다고 판단했다. 도 3은 벌징가공 방법과 벌징 가공된 Sn 도금재(10)의 단면 모식도이다. 벌징 가공에서는, 고정된 상기에서 제작한 Sn 도금재(10)를, 선단에 0.5㎜R의 반구로 된 지그를 꽉 누름으로써 변형시켜, 가공했다. 도면 중, O는 벌징 가공에 이용되는 지그의 선단에 있는 반구의 중심을 나타낸다. 도 4는, 벌징 가공 후의 Sn 도금재(10)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면 중, O는 벌징부의 반구의 중심을 나타낸다.The Sn plating material 10 produced above was subjected to bulging processing, and those in which plating cracks did not occur after processing were set to A (good) and those that occurred were set to D (defect). For determination of plating cracking, the surface of the bulging part after processing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microscope at a magnification of 50 to 500, and it was judged that cracking occurred when the base material was exposed.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lging processing method and the bulging processed Sn plating material 10. In the bulging process, the fixed Sn-plated material 10 prepared above was deformed and processed by pressing a jig made of a hemisphere of 0.5 mmR to the tip. In the figure, O represents the center of the hemisphere at the tip of the jig used for the bulging process.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n plating material 10 after bulging. In the drawing, O represents the center of the hemisphere of the bulging part.

(고온 가열 후의 Sn 도금재 표면에 있어서의 중간층(CuSn 화합물층)의 노출 면적률)(Exposure area ratio of intermediate layer (CuSn compound layer) on the surface of Sn plating material after high-temperature heating)

175℃, 240시간 가열 후의, 상기에서 제작한 Sn 도금재(10) 표면을 1000배로 SEM 관찰하고, 중간층(4)이 노출된 부분의 면적률을 화상 해석에 의해 구했다. 중간층(4) 노출의 유무는, 2차 전자상 관찰, 반사 전자상 관찰, SEM에 부속의 EDX 원소 매핑을 병용하여 판단했다. 노출 면적률이 1∼30%의 것을 A(우수), 0.5% 이상 1% 미만, 또는 30%보다 크고 40% 이하의 것을 B(양호), 0.1% 이상 0.5% 미만, 또는 40%보다 크고 60% 이하의 것을 C(가능), 0.1% 미만, 또는 60%보다 큰 것을 D(불량)로 했다.After heating at 175°C for 240 hours, the surface of the Sn plating material 10 prepared above was observed by SEM at 1000 times, and the area ratio of the portion where the intermediate layer 4 was exposed was determined by image analys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osure of the intermediate layer 4 was determined by using secondary electron image observation, reflection electron image observation, and EDX elemental mapping attached to the SEM in combination. A (excellent) for exposure area ratio of 1 to 30%, 0.5% or more and less than 1%, or greater than 30% and less than 40% as B (good), 0.1% or more and less than 0.5%, or greater than 40% and 60 What was less than % was C (possible), less than 0.1%, or greater than 60% was made D (defective).

Figure 112018012350767-pct00002
Figure 112018012350767-pct00002

표 2에, 상기에서 제작한 Sn 도금재(10)의 각 층의 도금 두께(층 두께),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길이), 특성을 정리하여 나타냈다.In Table 2, the coating thickness (layer thickness) of each layer of the Sn plating material 10 produced above, the remaining amount (length) of the damaged layer,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collectively shown.

여기서 표 2 중, 「층 두께(㎛)」로 기재된 란의 「Ni」라고 기재된 란은 제1 기초층(2)의 두께를 나타내고, 「Cu」라고 기재된 란은 제2 기초층(3)의 두께를 나타내며, 「CuSn」라고 기재된 란은 중간층(4)의 두께를 나타내고, 「Sn」이라고 기재된 란은 표면층(5)의 두께를 나타낸다. 이들의 발명예에 있어서, 「Cu」층 즉 제2 기초층(3)이 0㎛의 경우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이며, 「Cu」층 즉 제2 기초층(3)이 0㎛가 아닌 경우는,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이다.Here, in Table 2, the column described as "Ni" in the column described as "layer thickness (μm)"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2, and the column described as "Cu"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3 Indicates the thickness, the column described as "CuSn"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 4, and the column described as "Sn" represents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5. In these invention examples, when the "Cu" layer, that is, the second base layer 3 is 0 μm, it i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the "Cu" layer, that is, the second base layer 3 is 0 μm. Otherwise, it is an embodiment shown in FIG. 2 .

표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발명예 1∼7은 모두 내열성, 벌징 가공성이 모두 우수했다.In Table 2, inventive examples 1 to 7 satisfying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all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bulging workability.

이것에 대해, 비교예 1∼4는, 내열성, 벌징 가공성의 몇 개의 평가가 뒤떨어지는 결과가 되었다.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이 본 발명의 규정의 범위보다 적은 비교예 1, 2에 대해서는, 벌징 가공성이 뒤떨어지고, 또 비교예 1에서는 175℃, 240시간 가열 후의 중간층(4)의 노출 면적률이 매우 작아졌다. 또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이 본 발명의 규정의 범위보다 많은 비교예 3, 4에 대해서는, 175℃, 240시간 가열에 있어서의 내열성이 뒤떨어지고, 가열 후는 중간층(4)의 노출 면적률이 매우 커졌으며, 표면층(5)이 거의 잔존하지 않았다.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4, several evaluations of heat resistance and bulging workability were inferior. In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in which the residual amount of the damaged layer was smaller than the rang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lging workability was poor, and in Comparative Example 1, the exposed area ratio of the middle layer 4 after heating at 175°C for 240 hours was very high. got smaller Further, in Comparative Examples 3 and 4, in which the residual amount of the damaged layer was greater than the rang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resistance in heating at 175°C for 240 hours was inferior, and the exposed area ratio of the middle layer 4 after heating was very low. and the surface layer 5 hardly remained.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의 조건을 만족하는 Sn 도금재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From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Sn plating material satisfying the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characteristics.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와 함께 설명했지만, 우리는 특히 지정하지 않는 한 우리의 발명을 설명의 어느 세부에 있어서도 한정하려 하지 않고,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지 않고 폭넓게 해석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its embodiments, we do not intend to limit our invention in any detail of the descripti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interpret it broadly without going agains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shown in the appended claims. I think it is natural to be

본원은, 2015년 9월 1일에 일본에서 특허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5-172147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것은 여기에 참조하여 그 내용을 본 명세서의 기재의 일부로서 취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the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172147 for which a patent application was filed in Japan on September 1, 2015, and this takes in the content as a part of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with reference here.

1 : 도전성 기재 2 : 제1 기초층
3 : 제2 기초층 4 : 중간층
5 : 표면층 6 : 가공 변질층
10 : Sn 도금재
1: conductive substrate 2: first base layer
3: second base layer 4: middle layer
5: surface layer 6: altered layer
10: Sn plating material

Claims (12)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순서로 각 층을 가지는 Sn 도금재로서,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이 잔존하고 있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A Sn-plated material having each layer in the order of a first base layer made of Ni or a Ni alloy,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made of Sn or a Sn alloy on a conductive substrate made of Cu or a Cu alloy, the Sn plated material When viewing a cross section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sheet thickness direction, a damaged layer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in a length of 0.5 to 10 μm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or the interface length A Sn pla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amaged layers exist with a total length of 0.5 to 10 μm per 20 μm.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층,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순서로 각 층을 가지는 Sn 도금재로서,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이 잔존하고 있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On a conductive substrate made of Cu or a Cu alloy, each layer in the order of a first base layer made of Ni or a Ni alloy, a second base layer made of Cu or a Cu alloy,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made of Sn or Sn alloy A Sn plating material having a length of 0.5 to 10 μm per 20 μm of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A Sn-pl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a furnace damaged layer remains or a plurality of damaged layers exist with a total length of 0.5 to 10 μm per interface length of 20 μ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초층이, 결정입자 지름이 1㎛ 이상의 부분과 1㎛ 미만의 부분이 혼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Sn-pl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ase layer has a mixture of a portion having a crystal grain diameter of 1 μm or more and a portion having a crystal grain diameter of less than 1 μ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가 0.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Sn pla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layer is 0.2 ~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두께가 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Sn pla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layer is 0.1 ~ 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초층의 두께가 0.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Sn pla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layer is 0.1 ~ 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초층의 두께가 0∼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
According to claim 2,
Sn pla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ase layer is 0 ~ 0.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75℃, 240시간의 열처리했을 때, 상기 중간층이 재료 표면에 0.1∼60%의 면적률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n-pl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when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t 175° C. for 240 hours, the intermediate layer is exposed at an area ratio of 0.1 to 60%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Sn 도금재를 사용한 차량 탑재부품.A vehicle-mounted part using the Sn plat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or 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Sn 도금재를 사용한 전기전자부품.An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 using the Sn plat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or 2.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순서로 각 층이 형성된 Sn 도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도전성 기재 상에, 상기 제1 기초층,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층, 상기 표면층을 이 순서로 형성한 후, 리플로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기초층과 상기 표면층을, 상기 제2 기초층이 없어질 때까지 반응시켜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고,
도전성 기재의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조건을 버프 연마 입자의 사이즈가 #1000∼5000이며, 또한, 산세액으로의 침지 시간을 0∼60초, 마무리 가공 조건의 가공률을 0∼70%로 조정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 마무리 열처리 조건을 250∼650℃에서 5초∼5시간으로 조정하여 실시함으로써 도전성 기재 표면의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상기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을 잔존시키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의 제조방법.
A method for producing a Sn-plated material in which each layer is formed on a conductive substrate made of Cu or Cu alloy in the order of a first base layer made of Ni or a Ni alloy,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made of Sn or a Sn alloy in this order,
After forming the first base layer, the second base layer made of Cu or a Cu alloy, and the surface layer in this order on the conductive substrate,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surface layer are formed by reflow treatment, 2 react until the base layer disappears to form the intermediate layer,
The conditions for buffing and pickling of conductive substrates are that the size of the buffing abrasive particles is #1000 to 5000, the immersion time in the pickling solution is 0 to 60 seconds, and the processing rate of the finishing processing conditions is adjusted to 0 to 70%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residual amount of the damaged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by adjusting the finish heat treatment conditions at 250 to 650 ° C. for 5 seconds to 5 hours, as necessary, the Sn plating material is formed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When viewing the cross section, a process-damaged layer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in a length of 0.5 to 10 µm per 20 µm of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or a plurality of processes per 20 µm of interface length. A method for producing a Sn-pl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ltered layer is present in a total length of 0.5 to 10 μm.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기재 상에 Ni 또는 Ni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1 기초층, Cu 또는 Cu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 기초층, CuSn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Sn 또는 Sn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층의 순서로 각 층이 형성된 Sn 도금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도전성 기재 상에, 상기 제1 기초층, 상기 제2 기초층, 상기 표면층을 이 순서로 형성한 후, 리플로우 처리에 의해 상기 제2 기초층과 상기 표면층을, 상기 제2 기초층이 일부 남도록, 반응시켜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고,
도전성 기재의 버프 연마 및 산 세정 조건을 버프 연마 입자의 사이즈가 #1000∼5000이며, 또한, 산세액으로의 침지 시간을 0∼60초, 마무리 가공 조건의 가공률을 0∼70%로 조정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 마무리 열처리 조건을 250∼650℃에서 5초∼5시간으로 조정하여 실시함으로써 도전성 기재 표면의 가공 변질층의 잔존량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Sn 도금재는 압연방향과 판 두께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단면을 보았을 때에, 도전성 기재의 표면에, 상기 제1 기초층과 도전성 기재의 계면 길이 20㎛당, 0.5∼10㎛의 길이로 가공 변질층을 잔존시키거나, 계면 길이 20㎛당, 복수의 가공 변질층이 합계로 0.5∼10㎛의 길이로 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 도금재의 제조방법.
On a conductive substrate made of Cu or a Cu alloy, each layer in the order of a first base layer made of Ni or a Ni alloy, a second base layer made of Cu or a Cu alloy,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CuSn compound, and a surface layer made of Sn or Sn alloy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ormed Sn plating material,
After forming the first base layer,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surface layer in this order on the conductive substrate, the second base layer and the surface layer are formed by reflow treatment, and the second base layer is partially To remain, react to form the intermediate layer,
The conditions for buffing and pickling of conductive substrates are that the size of the buffing abrasive particles is #1000 to 5000, the immersion time in the pickling solution is 0 to 60 seconds, and the processing rate of the finishing processing conditions is adjusted to 0 to 70%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damaged layer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by adjusting the finish heat treatment conditions at 250 to 650 ° C. for 5 seconds to 5 hours as needed, the Sn plating material is formed in the rolling direction and the plate thickness direction When viewing the cross section, a process-damaged layer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ive substrate in a length of 0.5 to 10 µm per 20 µm of interface length between the first base layer and the conductive substrate, or a plurality of processes per 20 µm of interface length. A method for producing a Sn-plated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ltered layer is present in a total length of 0.5 to 10 μm.
KR1020187003474A 2015-09-01 2016-08-30 Plating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033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2147 2015-09-01
JP2015172147 2015-09-01
PCT/JP2016/075347 WO2017038825A1 (en) 2015-09-01 2016-08-30 Plat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886A KR20180044886A (en) 2018-05-03
KR102503365B1 true KR102503365B1 (en) 2023-02-24

Family

ID=58188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474A KR102503365B1 (en) 2015-09-01 2016-08-30 Plating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9553B2 (en)
KR (1) KR102503365B1 (en)
CN (1) CN107849721B (en)
WO (1) WO201703882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3340B2 (en) * 2018-02-01 2020-02-26 Jx金属株式会社 Surface-treated metal material for burn-in test socket, burn-in test socket connector and burn-in test socket using the same
JP6805217B2 (en) * 2018-10-18 2020-12-23 Jx金属株式会社 Conductive materials, molded products and electronic compone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5927A (en) 2010-03-23 2011-10-06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Copper alloy for electronic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4062322A (en) 2012-08-29 2014-04-10 Kobe Steel Ltd Copper alloy strip having surface containing layer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JP2014122403A (en) 2012-12-21 2014-07-03 Mitsubishi Materials Corp Tin-plated electroconductive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1355B2 (en) * 1990-04-23 1998-09-2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Nickel-plated copper wi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090302B2 (en) 2001-07-31 2008-05-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Conductive material plate for forming connecting parts
JP3880877B2 (en) * 2002-03-29 2007-02-14 Dowa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Plated copper or copper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173943B2 (en) * 2014-02-20 2017-08-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Copper alloy strip with surface coating layer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5927A (en) 2010-03-23 2011-10-06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Copper alloy for electronic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4062322A (en) 2012-08-29 2014-04-10 Kobe Steel Ltd Copper alloy strip having surface containing layer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JP2014122403A (en) 2012-12-21 2014-07-03 Mitsubishi Materials Corp Tin-plated electroconductive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38825A1 (en) 2017-11-02
WO2017038825A1 (en) 2017-03-09
CN107849721B (en) 2020-11-17
JP6219553B2 (en) 2017-10-25
KR20180044886A (en) 2018-05-03
CN107849721A (en)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4244B2 (en) Conductive material for connecting par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620275B1 (en) Tin-plated copper-alloy material for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319101B2 (en) Sn plating material for electronic parts
JP3880877B2 (en) Plated copper or copper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355331B1 (en) Tin-plated copper alloy termin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2743381B1 (en) Tin-plated copper alloy terminal member with outstanding insertion and removal characteristics
EP2896724B1 (en) Tin-plated copper-alloy terminal material
EP1784064A1 (en) Flexible printed wiring board terminal part or flexible flat cable terminal part
EP2784190A1 (en) Tin-plated copper-alloy material for terminal having excellent insertion/extraction performance
KR20140029257A (en) Sn-plated copper alloy strip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EP3666930A1 (en) Terminal material with silver coating film, and terminal with silver coating film
WO2018139628A1 (en) Terminal material for connectors, terminal, and electric wire end part structure
KR102503365B1 (en) Plating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70076834A1 (en) Electrical contact material, method of producing an electrical contact material, and terminal
JP4090483B2 (en) Conductive connection parts
WO2021065866A1 (en) Terminal material for connectors
JP7121232B2 (en) Copper terminal material, copper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copper terminal material
JP4090488B2 (en) Conductive material plate for connecting part form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8074256A1 (en) Conductive bar material
WO2015125676A1 (en) Wire rod for connector pin,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onnector
JP201009043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metal strip
JP649051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lating material with excellent heat resistance
KR102521145B1 (en) Conductiv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2019031549A1 (en) Terminal material with silver coating film, and terminal with silver coating film
JP2018104777A (en) Copper plate with coating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