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358B1 -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 - Google Patents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358B1
KR102503358B1 KR1020200173338A KR20200173338A KR102503358B1 KR 102503358 B1 KR102503358 B1 KR 102503358B1 KR 1020200173338 A KR1020200173338 A KR 1020200173338A KR 20200173338 A KR20200173338 A KR 20200173338A KR 102503358 B1 KR102503358 B1 KR 102503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odule
coil
module
interaction
interaction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8195A (ko
Inventor
쿤-정 청
쿠이-둔 덩
카이-한 덩
Original Assignee
토요 오토메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요 오토메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토요 오토메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8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7Air-gap windings, i.e. iron-fre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ear Motor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코일 어셈블리(3)가 코일 베이스(4)에 연결된 코일 유닛(5)을 포함한다. 각각의 코일 유닛(5)은 상부, 중간, 및 하부 코일 모듈(51, 52, 53)을 포함하고, 상부, 중간, 및 하부 코일 모듈(51, 52, 53) 각각은 이격된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511, 521, 531, 512, 522, 532), 및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511, 521, 531, 512, 522, 532)에 연결된 2개의 비상호작용 면(513, 523, 533)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수용 공간(514, 524, 534)을 형성한다. 중간 및 하부 코일 모듈(52, 53)의 제1 상호작용 면(521, 531)은 상부 코일 모듈(51)의 수용 공간(514)에서 서로 나란히 놓여진다. 상부 및 중간 코일 모듈(51, 52)의 제2 상호작용 면(512, 522)는 하부 코일 모듈(53)의 수용 공간(534)에 서로 나란히 놓여진다. 무철심형 모터가 자기 레일 어셈블리(2)와 전술한 코일 어셈블리(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IRONLESS LINEAR MOTOR}
본 개시는 모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와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의 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용 코일 어셈블리는 세 가지 유형, 즉 비중첩 집중형 권선 유형(non-overlapping concentrated winding type), 중첩 집중형 권선 유형(overlapping concentrated winding type), 및 인쇄 회로 기판 유형이 있다. 도 1은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더 큰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중첩 집중형 권선 유형인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ironless linear motor)의 코일 어셈블리(11)를 도시한 도면이다. 코일 어셈블리(11)는 직렬로 정렬된 4개의 코일 유닛(12)을 포함하고, 코일 유닛(12) 각각은 인접한 다른 코일 유닛에 대해 뒤집어지고 중첩되어 있다. 각각의 코일 유닛(12)은 3상 코일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2개의 제1 코일 모듈(121)과 1개의 제2 코일 모듈(122)을 포함한다.
하지만, 리니어 모터 코일 어셈블리의 공간 활용률과 볼륨 전력 밀도를 개선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공간 활용률을 개선할 수 있고 효과적인 전력 밀도를 제공할 수 있는 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코일 어셈블리는 X 방향으로 연장된 코일베이스, 및 상기 X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코일베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코일 유닛을 포함한다.
코일 유닛 각각은 상부 코일 모듈, 중간 코일 모듈, 및 하부 코일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코일 모듈, 상기 중간 코일 모듈,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각각은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X 방향으로 상기 제1 상호작용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상호작용 면, 및 상기 X 방향에 수직인 Y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상호작용 면과 상기 제2 상호작용 면에 연결된 2개의 비상호작용 면(non-interaction side)을 가지고 있다.
상기 상부 코일 모듈, 상기 중간 코일 모듈,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각각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과 상기 비상호작용 면은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루프를 협력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중간 코일 모듈과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 코일 모듈과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ironless linear motor)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가 자기 레일 어셈블리(magnetic rail assembly)와 코일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 레일 어셈블리는 X 방향으로 연장된 자기 부재들(magnetic members)의 상부 행과 하부 행을 포함하고, 상부 행과 하부 행은 서로 이격되고, 상부 행과 하부 행 각각의 자기 부재들의 양극성과 음극성이 상기 X 방향으로 서로 교번한다.
상기 코일 어셈블리는 상기 자기 부재들의 2개의 행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상기 코일 어셈블리는 상기 X 방향으로 연장된 코일 베이스, 및 상기 X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코일 베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코일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 유닛 각각은 상부 코일 모듈, 중간 코일 모듈, 및 하부 코일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코일 모듈, 상기 중간 코일 모듈,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각각은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X 방향으로 상기 제1 상호작용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상호작용 면, 및 상기 X 방향에 수직인 Y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상호작용 면과 상기 제2 상호작용 면에 연결된 2개의 비상호작용 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상부 코일 모듈, 상기 중간 코일 모듈,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각각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과 비상호작용 면은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루프를 협력적으로 형성한다.
상기 중간 코일 모듈과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한다.
상기 상부 코일 모듈과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ironless linear motor)의 코일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와 리니어 슬라이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회로 기판 상에 서로 나란히 놓여진 코일 유닛을 나타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코일 유닛 중 하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은 각각의 코일 유닛의 권선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각각의 코일 유닛의 권선 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리니어 슬라이드 유닛(9)에 적합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ironless linear motor)를 도시하고 있다. 리니어 슬라이드 유닛(9)은 리니어 레일(91)과, 작업대(도시되지 않음) 또는 작업물(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기 위해 리니어 레일(9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캐리지(carriage, 92)를 포함한다. 리니어 레일(91)은 레일 베이스(912)와 레일 베이스(912) 내부에 배치된 상부 레일 부재(913)를 가지고 있다. 레일 베이스(912)와 상부 레일 부재(913)는 2개의 슬라이딩 공간(911)을 협력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는 자기 레일 어셈블리(2)와 코일 어셈블리(3)를 포함한다.
자기 레일 어셈블리(2)는,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슬라이딩 공간(911)에서 레일 베이스(912)와 상부 레일 부재(913) 상에 각각 배치되는 자기 부재들(21)의 2개의 상부 행과 하부 행을 포함한다. 상부 행과 하부 행은 서로 이격되고, 각각의 행의 자기 부재들(21)의 양극성과 음극성이 X 방향으로 서로 교번한다.
코일 어셈블리(3)는 캐리지(92)에 연결되고 자기 레일 어셈블리(2)에 배치된다. 코일 어셈블리(3)는 일반적으로 X 방향에 수직인 I자형 단면을 형성하고, 자기 부재들(21)의 2개의 행을 수용하기 위한 상부 홈과 하부 홈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어셈블리(3)는 전압이 가해지면 X 방향으로 자기 부재들(21)의 2개의 행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코일 어셈블리(3)는 코일 베이스(4)와 복수의 코일 유닛(5)을 포함한다.
코일 베이스(4)는 X 방향으로 연장되고 코일 유닛(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 기판이다. 코일베이스(4)와 코일 유닛(5)이 명확하게 보일 수 있도록, 도면에서는 이들 사이의 배선 연결이 생략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코일 유닛(5)은 X 방향으로 배열되고 코일 베이스(4)에 연결된다. 각각의 코일 유닛(5)은 3상 코일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 코일 모듈(51), 중간 코일 모듈(52), 및 하부 코일 모듈(53)을 포함한다. 상부 코일 모듈, 중간 코일 모듈, 및 하부 코일 모듈(51, 52, 53)의 각각은 제1 상호작용 면(511, 521, 531), X 방향으로 제1 상호작용 면(511, 521, 531)으로부터 이격된 제2 상호작용 면(512, 522, 532), 및 X 방향에 수직인 Y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제1 상호작용 면(511, 521, 531)과 제2 상호작용 면(512, 522, 532)에 연결된 2개의 비상호작용 면(513, 523, 533)을 가지고 있다. 상부 코일 모듈, 중간 코일 모듈, 및 하부 코일 모듈(51, 52, 53)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511, 521, 531, 512, 522, 532)과 비상호작용 면(513, 523, 533)은 각각 수용 공간(514, 524, 534)을 둘러싸는 루프를 협력적으로 형성한다.
중간 및 하부 코일 모듈(52, 23)의 제1 상호작용 면(521, 531)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부 코일 모듈(51)의 수용 공간(514)에 맞게 삽입된다. 상부 및 중간 코일 모듈(51, 52)의 제2 상호작용 면(512, 522)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하부 코일 모듈(53)의 수용 공간(534)에 맞게 삽입된다. 상부 코일 모듈(51)의 제2 상호작용 면(512)과 하부 코일 모듈(53)의 제1 상호작용 면(531)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중간 코일 모듈(52)의 수용 공간(524)에 맞게 삽입된다.
상부 코일 모듈(51)의 제1 상호작용 면(511), 중간 코일 모듈(52)의 제1 상호작용 면(521), 하부 코일 모듈(53)의 제1 상호작용 면(531), 상부 코일 모듈(51)의 제2 상호작용 면(512), 중간 코일 모듈(52)의 제2 상호작용 면(522), 및 하부 코일 모듈(53)의 제2 상호작용 면(532)은 순차적으로 X 방향으로 배열된다. 도 2,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어셈블리(3)에 전압이 가해질 때, 제1 상호작용 면(511, 521, 531)과 제2 상호작용 면(512, 522, 532)은 자기 부재들(21)의 2개의 행과 상호 작용하여 미는 힘을 생성함으로써 X 방향으로 코일 어셈블리(3)를 움직인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유닛(5) 중 인접한 2개의 상부 코일 모듈(51)과 하부 코일 모듈(53)은 X 방향과 Y 방향에 수직인 Z 방향에서 중첩하지 않는다. 각각의 코일 유닛(5)에 대해, 중간 코일 모듈(52)의 비상호작용 면(523)은 2개의 엔드 섹션(end section)을 각각 형성하고, 2개의 엔드 섹션 각각은 T자형 단면을 형성하고 위쪽과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상부 코일 모듈(51)의 비상호작용 면(513)은 중간 코일 모듈의 2개의 엔드 섹션 사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는 2개의 엔드 플랜지(end flange, 52)를 각각 형성한다. 하부 코일 모듈(53)의 비상호작용 면(533)은 중간 코일 모듈의 엔드 섹션들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엔드 플랜지(52)를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 코일 모듈, 중간 코일 모듈, 및 하부 코일 모듈(51, 52, 53)이 함께 Z 방향에서 맞게 조립된 후에, Y 방향의 각각의 코일 유닛(5)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상부 코일 모듈(51)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511, 512), 중간 코일 모듈(52)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521, 522), 및 하부 코일 모듈(53)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531, 532)은 X 방향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 수용 공간(514, 524, 534) 각각은 X 방향의 제1 상호작용 면(511, 521, 531) 각각의 크기의 2배인 X 방향의 크기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부 코일 모듈, 중간 코일 모듈, 및 하부 코일 모듈(51, 52, 53)의 제1 상호작용 면(511, 521, 531)과 상부 코일 모듈, 중간 코일 모듈, 및 하부 코일 모듈(51, 52, 53)의 제2 상호작용 면(512, 522, 532)은 수용 공간(514, 524, 534)과 적절하게 연동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각각의 코일 유닛(5)의 실제 권선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요약하면, 코일 어셈블리(3)는 다음의 장점이 있다.
1. 중간 및 하부 코일 모듈(52, 23)의 제1 상호작용 면(521, 531)이 나란히 놓여지고 상부 코일 모듈(51)의 수용 공간(514) 내에 맞게 삽입되므로, 그리고 상부 및 중간 코일 모듈(51, 52)의 제2 상호작용 면(512, 522)이 나란히 놓여지고 하부 코일 모듈(53)의 수용 공간(534) 내에 맞게 삽입되므로, 효과적인 공간 활용이 달성된다. X-방향으로 26개의 단위 길이를 가진 4개의 코일 유닛(12)으로 구성된 종래 기술의 코일 어셈블리(11)(도 1을 참조)와 비교할 때, 4개의 코일 유닛(5)을 포함하는 코일 어셈블리(3)는 X 방향으로 24개의 단위 길이만을 가진다(도 4를 참조). 즉, X 방향의 코일 어셈블리(3)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더 높은 전력 밀도를 제공하면서 종래 기술에 비해 길이가 8% 줄어들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코일 유닛(5)의 상부 코일 모듈(51)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과 달리 Z 방향에서 인접한 코일 유닛(5)의 하부 코일 모듈(53)과 중첩하지 않는다. 또한, 각각의 코일 유닛(5)은 단일 어셈블리이다. 따라서, 기존 코일 유닛(5)을 재배치하지 않고 코일 유닛(5)의 기존 행의 마지막 열과 나란하게 새로운 코일 유닛(5)을 배치하여 코일 어셈블리(3)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코일 어셈블리를 조립하는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을 위해,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실시예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일 실시예", "실시예", 및 서수 등을 나타내는 실시예에 대한 언급이 상세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개시를 실시하는 데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추가로 이해해야 할 것은, 이상의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이 본 개시를 간소화하고 다양한 발명 양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이들의 설명에서 때때로 함께 그룹화되고, 하나의 실시예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구체적인 세부사항이 본 개시를 실시할 때 적절하다면 다른 실시예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구체적인 세부사항과 함께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과 관련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이러한 모든 수정과 등가의 배치를 포함할 수 있도록 가장 넓은 해석의 사상 및 범위에 포함되는 다양한 배치를 포함하려는 것이라고 이해해야 한다.

Claims (11)

  1.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ironless linear motor)의 코일 어셈블리로서,
    X 방향으로 연장된 코일 베이스; 및
    상기 X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코일 베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코일 유닛 - 코일 유닛 각각은 상부 코일 모듈, 중간 코일 모듈, 및 하부 코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코일 모듈, 상기 중간 코일 모듈,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각각은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X 방향으로 상기 제1 상호작용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상호작용 면, 및 상기 X 방향에 수직인 Y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상호작용 면과 상기 제2 상호작용 면에 연결된 2개의 비상호작용 면(non-interaction side)을 가지고 있음 -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코일 모듈, 상기 중간 코일 모듈,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각각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과 비상호작용 면은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루프를 협력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중간 코일 모듈과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코일 모듈과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과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 유닛 각각에 대해,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비상호작용 면은 2개의 엔드 섹션(end section)을 각각 형성하고, 2개의 엔드 섹션 각각은 T자형 단면을 형성하고 위쪽과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비상호작용 면은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2개의 엔드 섹션 사이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2개의 엔드 플랜지(end flange)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비상호작용 면은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2개의 엔드 섹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2개의 엔드 플랜지를 각각 형성하는,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의 코일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은 상기 X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의 코일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 중 2개의 인접한 코일 유닛의 상부 코일 모듈과 하부 코일 모듈은 상기 X 방향과 상기 Y 방향에 수직인 Z 방향에서 중첩하지 않는,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의 코일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 각각에 대해, 서로 나란히 놓여진 상기 중간 코일 모듈과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은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에 맞게 삽입되고;
    상기 코일 유닛 각각에 대해, 서로 나란히 놓여진 상기 상부 코일 모듈과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은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에 맞게 삽입되며;
    상기 코일 유닛 각각에 대해, 서로 나란히 놓여진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과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은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에 맞게 삽입되는,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의 코일 어셈블리.
  7.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ironless linear motor)로서,
    X 방향으로 연장된 자기 부재들(magnetic members)의 상부 행과 하부 행을 포함하는 자기 레일 어셈블리(magnetic rail assembly) - 상부 행과 하부 행은 서로 이격되고, 상부 행과 하부 행 각각의 자기 부재들의 양극성과 음극성이 상기 X 방향으로 서로 교번함 -; 및
    상기 자기 부재들의 상부 행과 하부 행 사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코일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어셈블리는 상기 X 방향으로 연장된 코일 베이스, 및 상기 X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코일 베이스에 연결된 복수의 코일 유닛 - 코일 유닛 각각은 상부 코일 모듈, 중간 코일 모듈, 및 하부 코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코일 모듈, 상기 중간 코일 모듈,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각각은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X 방향으로 상기 제1 상호작용 면으로부터 이격된 제2 상호작용 면, 및 상기 X 방향에 수직인 Y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상호작용 면과 상기 제2 상호작용 면에 연결된 2개의 비상호작용 면(non-interaction side)을 가지고 있음 -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코일 모듈, 상기 중간 코일 모듈,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각각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과 비상호작용 면은 수용 공간을 둘러싸는 루프를 협력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간 코일 모듈과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코일 모듈과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 유닛 각각에 대해,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비상호작용 면은 2개의 엔드 섹션(end section)을 각각 형성하고, 2개의 엔드 섹션 각각은 T자형 단면을 가지고 있고 위쪽과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비상호작용 면은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2개의 엔드 섹션 사이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2개의 엔드 플랜지(end flange)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비상호작용 면은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2개의 엔드 섹션 사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2개의 엔드 플랜지를 각각 형성하는,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과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은 서로 나란히 놓여지고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수용 공간 내에 위치하는,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상호작용 면,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2 상호작용 면은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일 모듈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 상기 중간 코일 모듈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 및 상기 하부 코일 모듈의 제1 및 제2 상호작용 면은 상기 X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진,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
KR1020200173338A 2020-07-13 2020-12-11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 KR102503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123569 2020-07-13
TW109123569A TWI779315B (zh) 2020-07-13 2020-07-13 無鐵芯線性馬達及其線圈裝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195A KR20220008195A (ko) 2022-01-20
KR102503358B1 true KR102503358B1 (ko) 2023-02-23

Family

ID=79173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338A KR102503358B1 (ko) 2020-07-13 2020-12-11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82957B2 (ko)
JP (1) JP6989176B1 (ko)
KR (1) KR102503358B1 (ko)
CN (1) CN113937930B (ko)
TW (1) TWI779315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9775A1 (en) 2000-12-11 2002-06-27 Janssen Henricus Wilhelmus Aloysius Band coil
WO2004017500A1 (en) 2002-07-09 2004-02-26 Samick Lms Co., Ltd. Coreless type linear motor with high efficiency moving part
JP2012157183A (ja) 2011-01-27 2012-08-16 Chokutoku Kagi Kofun Yugenkoshi ユニットコイル、コイルアセンブリ及びコイルレスタイプリニアモーター
KR101769717B1 (ko) 2016-09-19 2017-08-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롯리스 전동기 및 이의 코일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60B1 (ko) * 1986-02-19 1990-08-09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가동코일형 리니어 모터
JPH10327571A (ja) * 1997-05-23 1998-12-08 Nikon Corp リニアパルスモータ
JP2001320845A (ja) * 2000-05-10 2001-11-16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03009503A (ja) * 2001-06-15 2003-01-10 Canon Inc リニアモ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xy駆動テーブル
JP3817484B2 (ja) * 2002-02-12 2006-09-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駆動装置,搬送装置及びドアシステム
US6806594B2 (en) * 2002-02-20 2004-10-19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Coil unit for linear motor
CN101048928A (zh) * 2004-10-28 2007-10-0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直线电动机线圈组和直线电动机
JP2009201264A (ja) * 2008-02-21 2009-09-03 Sumitomo Heavy Ind Ltd 三相リニアモータ用コイルユニット及び三相リニアモータ
TWI375381B (en) * 2009-02-11 2012-10-21 Chieftek Prec Co Ltd Coreless type linear motor
US8115348B2 (en) * 2009-05-22 2012-02-14 Chieftek Precision Co., Ltd. Unit coil, coil assembly and coreless type linear motor
JP5678025B2 (ja) * 2012-11-19 2015-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推力発生機構
US9148047B2 (en) * 2012-11-30 2015-09-29 Chieftek Precision Co., Ltd. Coil assembly having separation plates for iron less linear motor
JP6579729B2 (ja) * 2013-06-27 2019-09-2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コイル及びコイルの製造方法
CN104702012B (zh) * 2013-12-10 2017-05-31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线圈结构及直线电机
CN205725222U (zh) * 2016-04-25 2016-11-23 深圳安格锐电气有限公司 一种嵌入式工字型线圈的无铁芯直线电机
US10778049B2 (en) * 2016-06-07 2020-09-15 Sapphire Motors Stator assembly with stack of coated conductors
CN208739003U (zh) * 2018-08-08 2019-04-12 青岛凌海信机电有限公司 一种无铁芯直线电机动子、定子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79775A1 (en) 2000-12-11 2002-06-27 Janssen Henricus Wilhelmus Aloysius Band coil
WO2004017500A1 (en) 2002-07-09 2004-02-26 Samick Lms Co., Ltd. Coreless type linear motor with high efficiency moving part
JP2012157183A (ja) 2011-01-27 2012-08-16 Chokutoku Kagi Kofun Yugenkoshi ユニットコイル、コイルアセンブリ及びコイルレスタイプリニアモーター
KR101769717B1 (ko) 2016-09-19 2017-08-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롯리스 전동기 및 이의 코일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89176B1 (ja) 2022-01-05
JP2022017151A (ja) 2022-01-25
TWI779315B (zh) 2022-10-01
CN113937930B (zh) 2023-03-24
US20220014083A1 (en) 2022-01-13
US11682957B2 (en) 2023-06-20
CN113937930A (zh) 2022-01-14
TW202203558A (zh) 2022-01-16
KR20220008195A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53B1 (ko) 영구자석형 동기 리니어모터
US8274182B2 (en) Linear motor including extended tooth tips
US20060006743A1 (en) Linear driving device
WO2014065308A1 (ja) リニアモータ及びリニアモータ駆動システム
KR101810202B1 (ko) 자석 배열 및 자기 서스팬션 평면 모터
US20100225180A1 (en) Linear motor
JP3360606B2 (ja) リニアモータ
US7696651B2 (en) Linear motor
US6787943B2 (en) Linear voice coil actuator with planar coils
US7312540B2 (en) Linear motor armature and linear motor
KR102503358B1 (ko) 무철심형 리니어 모터
JP5240563B2 (ja) Xy軸コアレスリニアモ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ステージ装置
US3602859A (en) Inductive reactor
US7004694B2 (en) Linear drive apparatus
KR100432244B1 (ko) 고추력용 철심형 리니어모터
US6661128B2 (en) Two-phase excitation linear motor
KR20120080021A (ko) 선형 동기 전동기
JP3856196B2 (ja) リニアモータの電機子コイル接続装置
SU1501224A1 (ru) Двухкоординатный шаговый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ь
JP3817484B2 (ja) 駆動装置,搬送装置及びドアシステム
JP2001045735A (ja) リニアモータの可動子構造
JP2011193553A (ja) 2自由度コアレスリニアモータ
JPH04210771A (ja) リニアモータの給電基板の接続構造
JP2001314072A (ja) 永久磁石形リニアモータ
CN117203439A (zh) 磁性支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