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245B1 -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245B1
KR102503245B1 KR1020220069274A KR20220069274A KR102503245B1 KR 102503245 B1 KR102503245 B1 KR 102503245B1 KR 1020220069274 A KR1020220069274 A KR 1020220069274A KR 20220069274 A KR20220069274 A KR 20220069274A KR 102503245 B1 KR102503245 B1 KR 102503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internal environment
management
app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일
임동혁
심준우
정해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엔텍
Priority to KR102022006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및 하수관로의 내부 환경을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하면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맨홀 및 하수관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은, 맨홀 및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내부 환경 관측 수단;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에서 관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 및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가능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MANHOLE AND SEWER MANAGEMENT SYSTEM USING APP}
본 발명은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및 하수관로의 내부 환경을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 하면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맨홀 및 하수관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지하에 매설된 수도관이나 하수관, 배선 따위를 검사하거나 수리 또는 청소하기 위하여 사람이 드나들 수 있게 만든 구멍이다.
하수도 맨홀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로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관로는 각 가정이나 건물 등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모아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에는 하수관로가 큰 경우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하수관로에 직접 들어가 맨홀 및 하수관로를 관리하고, 작업자의 출입이 불가능한 하수관로의 경우 내시경을 하수관로로 삽입하여 관로의 상태를 점검 및 관리하여 왔다.
그러나 작업자가 직접 하수관로에 들어가 관리하는 것은 독성 가스로 인한 인명 사고의 발생 우려가 있으며, 지하 작업의 특성 상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를 지양하고 있다.
이에 내시경을 이용한 하수관로 관리의 경우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내시경의 길이 한계로 인해 관리 지역 내지 범위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동체에 장착하여, 이동체를 하수관로를 따라 주행시켜 카메라를 통해 하수관로의 내부 환경을 촬영해 관리하는 방법이 있으나,
하수의 유량, 각종 이물질의 적체로 인한 주행 안정성 미확보 등의 이유로 하수관로의 관리 정확도가 떨어짐은 물론, 맨홀의 경우 이동체를 이용해 내부 환경을 관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참고로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써, 하수관로의 결함을 진단, 관리하는 등록특허 제10-2226001호 "하수관로 진단지원 시스템"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맨홀 및 하수관로에 설치된 내부 환경 관측 수단을 이용해 맨홀 및 하수관로를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 24시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자동 저장시켜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관측된 데이터에 쉽게 접근하여 기간별 내부 환경 변화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일정 지역 내 맨홀 및 하수관로 전체의 내부 환경을 다수의 작업자가 쉽게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는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은,
맨홀 및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내부 환경 관측 수단;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에서 관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 및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가능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은 CCT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CCTV는 렌즈의 전면을 이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맨홀 야장 및 관리 보고서 작성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작성된 상기 맨홀 야장 및 관리 보고서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은,
맨홀 및 하수관로에 고정 설치된 내부 환경 관측 수단을 통해 맨홀 및 하수관로의 내부 환경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자동 저장시켜 맨홀 및 하수관로의 내부 환경 변화를 데이터화하여 맨홀 및 하수관로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특히, 내부 환경 관측 수단 및 데이터베이스에 접속 가능한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맨홀 및 하수관로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축적 데이터를 활용한 정보 습득이 가능해져, 맨홀 및 하수관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지고,
내부 환경 관측 수단 중 하나로써 맨홀 및 하수관로 내부에 CCTV를 고정 설치하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CCTV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육안 검사를 통해 관리의 정확도를 높이고,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 및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을 통해 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맨홀 야장 및 관리 보고서를 쉽게 작성 후 업로드할 수 있으면서, 작업자 내지 관리자들 간에 관리 정보를 쉽게 공유하여 맨홀 및 하수관로 전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며,
오수, 오물 등에 의해 CCTV의 렌즈에 묻은 오염 물질을 와이퍼를 이용해 주기적으로 제거하여, CCTV의 시야를 상시적으로 깨끗하게 확보하여 맨홀 및 하수관로에 대한 보다 정확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상시적으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CCTV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와이퍼를 설명하기 위해 CCTV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측면도 및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맨홀(1) 및 하수관로(2)의 내부 환경을 쉽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내부 환경 관측 수단, 데이터베이스(20),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맨홀(1) 및 하수관로(2)에 설치되는 내부 환경 관측 수단;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에서 관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 및 데이터베이스(20)에 접속 가능한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은 CCTV(10)를 포함한다.
상기 CCTV(10)는 맨홀(1)의 내벽, 하수관로(2)의 천장면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CCTV(10)의 촬영 거리 및 화각 등에 따라 설치 개수 내지 위치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CCTV(10)는 일반적인 영상 카메라나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고, 영상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를 모두 사용하거나 적외선 촬영 기능이 내장된 특수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촬영방향을 조명하는 램프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CCTV(10)의 렌즈로는 촬영각이 넓은 어안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CCTV(10)의 줌인/줌아웃 기능과, 촬영방향 변경(각도 조절) 기능을 포함하여, 맨홀(1) 및 하수관로(2)에 대한 전체 또는 부분(확대) 촬영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은,
맨홀(1) 및 하수관로(2)의 유량과 유속 등의 수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수리적 특성 측정 유닛과,
수소이온농도(pH),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용존 산소량(DO) 등의 수질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 특성 측정 유닛과,
황하수소 성분 등을 포함한 악취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악취 측정 유닛 및
이외에도 맨홀(1)과 하수관로(2)의 내부 상태를 검출하는데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측정(관측)할 수 있는 공지된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20)는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에서 관측(측정)된 각종 데이터, 특히 상기 CCTV(10)로 촬영되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0)는 상기 CCTV(10)(들)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CCTV(10)들 등을 케이블로 서로 유선 연결한 후 맨홀 뚜껑(1a)이나 지표면에 설치된 안테나(미도시)로 데이터베이스(20)와의 무선 통신 연결이 이루어져, 내부 환경 관측 수단의 각종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20)에 자동 저장되게 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되는 각종 데이터는 맨홀 위치 및 하수관로명, 하수관로의 직경이나 길이, 용도 등의 제원과, 촬영 시간과 위치에 관한 정보 등에 매칭되어 개별 및 종합적으로 저장되며, 맨홀(1) 및 하수관로(2)의 매설 위치 등을 표시한 전자지도와 연동하여 지도에 표시된 위치에 따라 서로 매칭되게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은 스마트폰이나 테블릿피씨 등과 같은 단말기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 특히 CCTV(10) 및 데이터베이스(20)에 무선 접속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 내지 관리자는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을 이용해 맨홀(1) 및 하수관로(2)의 내부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음은 물론,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과거 정보를 로딩하여 확인 후, 과거 상태와 현재 상태를 서로 비교, 분석하여, 맨홀(1) 및 하수관로(2)의 현재 상태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은 맨홀 야장 및 관리 보고서 작성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는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으로 작성된 상기 맨홀 야장 및 관리 보고서가 함께 저장된다.
상기 맨홀 야장은 작업자 내지 관리자가 주기별로 맨홀(1) 내부를 육안 및 각종 측정 장비로 검사하여 맨홀(1)의 현재 상태를 기록하는 것으로써,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을 이용해 일반적인 맨홀(1) 관리에 필요한 필수 정보를 항목별로 기입하여 데이터베이스(20)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관리 보고서는 맨홀(1) 및 하수관로(2)의 정기 검사 보고서 형태로써,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을 이용 해 작업 후 관측된 필수 정보를 항목별로 기입하여 데이터베이스(20)로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맨홀 야장 및 관리 보고서는 맨홀 및 하수관로명 등으로 서로 매칭되어 상기 내부 관측 수단으로 관측된 각종 데이터와 함께 연동하여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맨홀(1) 및 하수관로(2)의 기능 점검을 관리사무소나 위탁업체 등에 요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기능 점검을 통해 취합되는 데이터 역시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 자동 저장됨과 동시에, 관리 어플리케이션(30)으로 해당 데이터를 로딩하여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CCTV(10)의 경우 장기간 방치로 인해서, 맨홀(1) 및 하수관로(2) 내부의 각종 먼지나 오수, 오물 등에 의해 렌즈(101)가 오염되어 정확한 영상을 촬영할 수 없을 수 있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CTV(10)는 렌즈(101)의 전면을 이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102)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102)는 CCTV(10)의 렌즈(101)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좌우로 스윙 작동하여 와이퍼(102)의 브러쉬부로 렌즈(101) 표면에 묻은 각종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세척한다.
이러한 와이퍼(102)는 주기적인 반복 작동과 함께, 필요 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으로 원격 작동하여 렌즈(101) 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스윙 작동하는 일반적의 와이퍼(102)의 경우, 이물질 제거 영역이 부채꼴 형상이기 때문에 원형의 렌즈(101) 전체를 세척하지 못해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이 촬영 시야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원형의 렌즈(101) 전체를 세척할 수 있는 회전형 와이퍼(110)를 도입하였다.
상기 CCTV(10)의 회전형 와이퍼(110)는,
상기 렌즈(101)가 장착된 하우징의 전면 둘레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캡(111),
일측단이 상기 회전캡(111)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렌즈(101)의 중심을 향해 회동 가능하되, 렌즈(101)의 반경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캡(111)의 전면에 대칭 배열된 한 쌍의 브러쉬(112),
상기 회전캡(111) 후방에 배열되어 결합하되 모터(미도시)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는 작동캡(113),
상기 작동캡(113)의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각 브러쉬(112)의 끝단부 외측면에 접촉되는 작동롤러(114)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캡(111)은 렌즈캡(미도시)을 감싸는 구조로 결합되어 렌즈캡의 둘레방향으로 자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브러쉬(112)는 상기 회전캡(111)의 곡률에 상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양 끝단 사이의 직선길이가 렌즈(101)의 반경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캡(111)의 전면에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롤러(114)의 가압으로 렌즈(101)의 중앙부를 향해 회동한다. 이러한 브러쉬(112)는 토션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통해 외측으로 회동하게 탄성 지지되어 있으며, 브러쉬(112)의 외측 회동 시 브러쉬(112)가 회전캡(111) 외측으로 이탈하지 않게 스토핑되어 있다.
상기 작동캡(113)은 상기 회전캡(111)의 후방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종 축 및/또는 기어로 모터에 연결되어 양방향 회전한다.
상기 작동롤러(114)는 상기 작동캡(113)에서 회전캡(111)의 외측을 우회하여 연결된 연결바(113a)의 전단에 CCTV(100)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축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113a)의 축설부(113b) 후면에는 볼스프링(113c)이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볼스프링(113c)이 상기 회전캡(111)의 전면에 접촉되게 구비되어, 상기 작동캡(113)의 베어링 및 상기 브러쉬(112)를 렌즈(101)에 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회전형 와이퍼(110)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작동캡(113)이 모터에 의해 일방향(도면 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작동롤러(114)가 회전캡(111)의 전면을 따라 둘레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는데, 이때 상기 볼스프링(113c)의 베어링 기능으로 인해 상기 회전캡(111)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캡(113)만이 회전하여 상기 작동롤러(114)가 상기 브러쉬(112)를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한 쌍의 브러쉬(112)가 동시에 회동하면 그 끝단이 렌즈(101)의 중심에서 만나서 접촉하여 회동이 멈추게 되고, 상기 작동캡(113)이 상기 브러쉬(112)의 힌지축부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작동캡(113)이 일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상기 회전캡(111)이 상기 작동캡(113)과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렌즈(101)의 직경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브러쉬(112)가 렌즈(101)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렌즈(101) 전체에 대한 이물질 제거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볼스프링(113c)에 의해 상기 회전캡(111)이 후방측으로 가압되는 바, 상기 브러쉬(112)는 렌즈(101)의 전면에 상시 밀착되어 세척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제거 후 상기 작동캡(113)이 타방향(도면 상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전캡(111)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캡(113)만이 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동롤러(114)의 가압이 해소되면서, 상기 탄성체로 인해 상기 한 쌍의 브러쉬(112)가 원위치로 복귀 회동함으로써, 한 쌍의 브러쉬(112)가 렌즈(101)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맨홀 2 : 하수관로
10 : CCTV 20 : 데이터베이스
30 : 관리 어플리케이션

Claims (4)

  1. 맨홀 및 하수관로에 설치되는 내부 환경 관측 수단;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에서 관측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20);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 및 데이터베이스(20)에 접속 가능한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은 CCTV(10)를 포함하고,
    상기 CCTV(10)는 렌즈(101)의 전면을 이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회전형 와이퍼(110)로 구성되되,
    상기 CCTV(10)의 회전형 와이퍼(110)는,
    상기 렌즈(101)가 장착된 하우징의 전면 둘레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캡(111),
    일측단이 상기 회전캡(111)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렌즈(101)의 중심을 향해 회동 가능하되, 렌즈(101)의 반경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회전캡(111)의 전면에 대칭 배열된 한 쌍의 브러쉬(112),
    상기 회전캡(111) 후방에 배열되어 결합하되 모터(미도시)에 의해 양방향 회전하는 작동캡(113),
    상기 작동캡(113)의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각 브러쉬(112)의 끝단부 외측면에 접촉되는 작동롤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은 맨홀 야장 및 관리 보고서 작성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20)에는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으로 작성된 상기 맨홀 야장 및 관리 보고서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어플리케이션(30)은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맨홀 및 하수관로의 기능 점검을 요청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환경 관측 수단은,
    수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수리적 특성 측정 유닛과,
    수질 항목을 측정하기 위한 수질 특성 측정 유닛과,
    악취 측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KR1020220069274A 2022-06-08 2022-06-08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KR102503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274A KR102503245B1 (ko) 2022-06-08 2022-06-08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9274A KR102503245B1 (ko) 2022-06-08 2022-06-08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245B1 true KR102503245B1 (ko) 2023-02-24

Family

ID=85330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9274A KR102503245B1 (ko) 2022-06-08 2022-06-08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24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200A (ko) * 2014-04-03 2015-10-14 최시환 하수관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37713B1 (ko) * 2019-04-29 2019-11-26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현장 정보의 자동 정렬을 통한 모바일 야장 생성 시스템
KR20200141708A (ko) * 2019-06-11 2020-12-21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청소장치가 구비된 차량번호 판독용 카메라장치
KR102210049B1 (ko) * 2020-03-10 2021-02-01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관로 내부 조사와 디펙트 판독을 통한 관로 애널라이징 시스템
KR102294403B1 (ko) * 2021-05-12 2021-08-26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와이퍼를 구비한 cctv 카메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200A (ko) * 2014-04-03 2015-10-14 최시환 하수관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37713B1 (ko) * 2019-04-29 2019-11-26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현장 정보의 자동 정렬을 통한 모바일 야장 생성 시스템
KR20200141708A (ko) * 2019-06-11 2020-12-21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청소장치가 구비된 차량번호 판독용 카메라장치
KR102210049B1 (ko) * 2020-03-10 2021-02-01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관로 내부 조사와 디펙트 판독을 통한 관로 애널라이징 시스템
KR102294403B1 (ko) * 2021-05-12 2021-08-26 주식회사 인더스비젼 와이퍼를 구비한 cctv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dighi et al. Intra-urban spatial variability of surface ozone in Riverside, CA: viability and validation of low-cost sensors
KR102503245B1 (ko) 앱을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관리 시스템
DE19757581A1 (de) Armatur mit integrierbarer, permanenter Lecküberwachung
KR102107975B1 (ko) 관로 내부 확인이 용이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방법
US20140299040A1 (en) Valve stem nut wear analysis apparatus and method
WO2010093392A1 (en) Gas meter reading system
KR102481365B1 (ko) 하수관로용 조사 장치
EP3175234B1 (fr) Systeme de mesure intelligent au point de livraison d'un fluide
KR102503246B1 (ko) 송연 조사를 이용한 맨홀 및 하수관로 스마트 기술진단 시스템
JP2009037580A (ja) 計測データ監視システム
CN201876451U (zh) 基于多传感器融合技术的多参量油液监测分析装置
CN104374611A (zh) 挥发性有机物监测采样设备
KR20180080579A (ko) 하수관로 및 하수암거의 상태평가를 위한 육안조사 장비
KR102672807B1 (ko) 지능형 맨홀 점검장치
RU83336U1 (ru) Прибор визуального выявления скрытых дефектов
JP2017067491A (ja) 埋設中空構造物内検査方法及び埋設中空構造物内検査装置
KR100962232B1 (ko) 원격 인식 비산배출원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220170472A (ko) 지능형 맨홀 점검장치
CN219104765U (zh) 一种车内管路检测探头
JP3668142B2 (ja) 埋設管の異常発見方法並びにこの方法で用いられる異常発見用治具及びこの治具を備えた異常発見装置
KR102195192B1 (ko) 비드 검사 장치
KR20070082130A (ko) 천연가스를 매체로 한 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3331A (ko) 수전설비 상시감시 및 분석데이터 전송시스템
KR20220015163A (ko) 산업용 내시경 센터링 가이드
WO2023115118A1 (en) 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lubric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