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661B1 - 지지대 - Google Patents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661B1
KR102502661B1 KR1020210022634A KR20210022634A KR102502661B1 KR 102502661 B1 KR102502661 B1 KR 102502661B1 KR 1020210022634 A KR1020210022634 A KR 1020210022634A KR 20210022634 A KR20210022634 A KR 20210022634A KR 102502661 B1 KR102502661 B1 KR 102502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ion part
support
coupling por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8783A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 바이네이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이네이쳐 filed Critical (주) 바이네이쳐
Priority to KR102021002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661B1/ko
Priority to PCT/KR2021/016223 priority patent/WO2022177100A1/ko
Publication of KR20220118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9Combined attachment of a frame, a storage tray and a work surface of a de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지지대는 일 면에 인체 안착부가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타 면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대향 방향으로 상단 연결부 결합부가 형성된 받침부 결합부와, 상기 상단 연결부 결합부에서 장착되고 연장 형성된 연결부와, 일 단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삽입 장착되는 하단 연결부 결합부 및 타 단에 대상이 삽입되는 대상 안착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와, 상기 대상 안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대상을 고정시키는 보조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대상 안착부는 평면판을 일 구역에서 만곡시키고 일 구역과 이격된 타 구역에서 만곡시켜 형성된 상면, 측면 및 하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 측면 및 하면 사이에 상기 대상이 삽입되도록 구현된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대{SUPPORTER}
인체 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학습, 독서 또는 컴퓨터 작업 등은 책상, 식탁 또는 탁자 등의 앞에서 의자에 착석하거나 바닥에 앉거나 또는 서서 이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통상 책상 등의 앞에서 이러한 작업들을 수행하는 경우, 착석자 등의 습관, 체력 또는 의식에 따라 그 자세가 불량하게 되기 쉽다. 이러한 자세 불량은 척추 등과 같이 신체, 일례로 허리에 무리를 주게 되고, 이에 따라 척추측만증이나 척추전방전위증 등의 요추 질환의 원인이 되고, 착석자 등을 쉽게 피로하게 하고 집중적 저하를 유도하여 학습 등의 작업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착석자 등의 체형을 비정상적으로 불균형하게 하여 신체 곳곳에 통증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청년이나 근로자들도 장시간 책상 앞에서 학습 또는 노동을 하기 때문에, 척추 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2018년도에는 대략 200만명이 허리디스크 등과 같은 척추 질환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척추 질환의 예방 등을 위해 책상 등의 앞에서 앉거나 서서 작업을 할 때는 최대한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착석자 등이 장시간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책상, 식탁 또는 탁자 등에서 학습 또는 작업을 할 때 사용자가 바른 자세를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흉부나 복부 등에서 적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대가 제공된다.
지지대는, 일 면에 인체 안착부가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타 면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대향 방향으로 상단 연결부 결합부가 형성된 받침부 결합부, 상기 상단 연결부 결합부에서 장착되고 연장 형성된 연결부, 일 단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삽입 장착되는 하단 연결부 결합부 및 타 단에 대상이 삽입되는 대상 안착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대상 안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대상을 고정시키는 보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대상 안착부는 평면판을 일 구역에서 만곡시키고 일 구역과 이격된 타 구역에서 만곡시켜 형성된 상면, 측면 및 하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면, 측면 및 하면 사이에는 상기 대상이 삽입될 수 있다.
지지대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 삽입홀 및 상기 하단 연결부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부 삽입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하단 연결부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1 연결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삽입홀 중 상기 제1 연결부 고정부가 삽입된 연결부 삽입홀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지지대는, 일 말단에 형성된 손잡이부 및 타 말단에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가압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 삽입홈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제2 연결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단 연결부 결합부는 축을 기반으로 회동하는 힌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고정부는, 손잡이,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보조 고정부 봉체 및 상기 보조 고정부 봉체의 타단에 형성되고 대상에 접촉하는 마찰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상 안착부의 상면 내측에는 마찰 패드가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는, 일 부분에 상기 하단 연결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 부분에 반원판의 형상을 갖는 상단결합부 및 일 부분이 상기 상단결합부의 일 부분에 결합되고 타 부분에 반원판의 형상을 갖되 상기 상단결합부의 타 부분과는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하단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결합부 및 상기 하단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대상 안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지지대에 의하면, 책상이나 식탁 등의 앞에서 학습이나 작업 시 사용자의 흉부나 복부 등을 적절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자세가 흐트러짐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지지대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가능하므로 여러 장소의 책상 또는 식탁 등에 이동 및 사용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상술한 지지대에 의하면, 흉부 또는 복부의 적절한 지지에 따라 책상 등의 앞에 앉거나 기댈 때 사용자가 보다 편함을 느낄 수 있게 되는 장점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지지대에 의하면, 착석자들의 체격이 상이하거나 인체의 성장에 따라 착석자의 체형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흉부나 복부가 안착되는 받침부의 높이를 착석자에 맞게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도 존재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9는 상단 연결부 결합부 및 연결부의 체결에 일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단 연결부 결합부 및 연결부의 체결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연결부 고정부 및 연결부의 체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대상 안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가 설치된 지지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2 연결부 고정부가 설치된 지지대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7은 제2 연결부 고정부가 설치된 지지대에 대한 분해측면도이다.
도 18은 지지대 장착의 일례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부'가 부가된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부'가 하나의 물리적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부'가 하나의 물리적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물리적 부품들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분과 다른 부분에 따라서 물리적 연결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 이외의 또 다른 부분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또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및 제2의 표현은 어느 하나의 요소를 다른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상 이는 반드시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지지대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8를 참조하여 지지대(1)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8의 받침부(10)의 받침면(11)이 향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전방에 대향하는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하고, 결합부(30)에 대해 받침부(10)가 형성된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하고, 상방에 대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또한,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는 선분에 직교하는 각각의 방향을 측방으로 정의한다. 그러나, 이들 방향의 정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에 불과하며, 설계자나 사용자는 이들 방향을 그들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정의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배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에 대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에서 인체의 흉부나 복부 등이 안착되고 흉부나 복부 등을 지지하는 받침부(10)와, 받침부(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받침부 결합부(16)와, 받침부 결합부(16)에 일 말단이 형성 또는 결합되는 연결부(20)와, 연결부(20)의 타 말단에 형성되고 책상, 식탁 또는 탁자 등의 적어도 하나의 대상에 결합, 장착되는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대(1)는 결합부(30)에 형성된 하단 연결부 결합부(33)와 연결부(20)를 고정시켜 연결부(20)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연결부 고정부(22) 및 결합부(30)에 형성되어 결합부(30)의 고정력을 보강하는 보조 고정부(4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0)는 대체적으로 구형, 원통형, 타원형, 육면체 또는 이외 설계자가 고려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10)는, 전면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평면 또는 곡면의 형상을 갖되 전방을 향해 볼록 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 전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인체의 흉부나 복부 등이 안착되는 인체 안착부(11)가 마련될 수 있다. 인체 안착부(11)는 인체가 안착될 부분(예를 들어, 흉부나 복부)이 편함을 느낄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체 안착부(11)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1a)와, 함몰부(11a)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고 필요에 따라 및 받침부(10)의 외면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1b)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11a)와 돌출부(11b)는 서로 동일하거나 근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서, 함몰부(11a)와 돌출부(11b)는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체 안착부(11)는 실시예에 따라서, 인체가 안착될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체 안착부(11)는 흉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둘 또는 그 이상의 함몰부(11a) 및 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11b)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받침부(10)의 양 측면에는 측방 절개면(12a, 12b)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측방 절개면(12a, 12b)은 전방에서 보았을 때 내측으로 방향으로 만곡 지게 절개되거나 또는 평평하게 절개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1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누워있는) 오크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측방 절개면(12a, 12b)는 한 손으로 또는 양손으로 파지가 용이하게 디자인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손잡이(미도시) 등이 더 부가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받침부(10)의 후면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또는 곡면의 형상을 갖되, 예를 들어 후방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받침부(10)의 후면은 오크 통의 일부가 수평하게 절개되거나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받침부(10)의 후면은 대략 받침부(10)의 상면이 받침부(10)의 하면보다 더 길게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측방에서 보았을 때 받침부(10)의 후면은 그 경계가 대략 중단에서 전방 및 상방으로 돌출되어 휘어진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받침부(10)의 상단은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더 돌출되어 상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받침부(10)의 상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결합부(31)의 상당한 부분을 가리게 된다. 반면에 받침부(10)의 하단은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어 마련되며, 받침부(10)가 상단 결합부(31)에 대해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의 후면에는 결합면(10a)이 형성되고, 결합면(10a)에는 받침부 결합부(16)가 고정되도록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결합면(10a)은 그 상단 경계가 받침부(10)의 폭 방향에 대략 평행 형성되되,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 결합부(16)는 후방에서 결합면(10a)에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 결합부(16)의 일부, 예를 들어 중단 또는 그 주변에는 상단 연결부 결합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는 받침부(1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받침부 결합부(16)에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10)는 사용자가 흉부나 복부에 인가되는 받침부(10)의 반작용력에도 불구하고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천이나 가죽, 천연 고무, 합성 고무 및/또는 합성 수지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천이나 가죽은 내측에 솜이나 오리털 등을 내장할 수도 있다. 받침부 결합부(16)에는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 개의 돌기(16a)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각각의 돌기(16a)는 받침부 결합부(16)의 상 측에서 하 방향으로 또는 일 측에서 타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상단 연결부 결합부 및 연결부의 체결에 일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고, 도 10은 상단 연결부 결합부 및 연결부의 체결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제1 도이다.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는 받침부 결합부(16)의 상단, 중단 또는 하단 등이 설치되되, 일면이 받침부 결합부(16)에 고정 장착되어 받침부(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단 연결부 결합부(17)의 하단에는 연결부(20)가 삽입 장착되는 상단 연결부 삽입홈(18)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 연결부 삽입홈(18)은 연결부(2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0)가 대략 직육면체 바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상단 연결부 삽입홈(18)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20)가 대략 원통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상단 연결부 삽입홈(18)은 이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는 인체 안착부(11)의 방향 조절을 위해 구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는 소정 축(A)을 기반으로 회동하는 힌지를 이용하여 구현되어 받침부(10)가 틸트(tilt)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프링 힌지나 토크 인지 등이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는 방향 조절을 위해 액츄에이터나 조인트 브라켓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는 받침부(10)의 회동을 고정시키기 위해 스프링, 고정 핀, 볼트, 래크 또는 톱니 등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는 받침부(10)의 방향, 즉 인체 안착부(11)의 방향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여기서,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는 연결부(20)가 적절하게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연결부(20)에 대응하는 고정된 형상으로 구현되되, 예를 들어 대략 하 방향이 개방되어 연결부(20)가 삽입되는 상단 연결부 삽입홈(18)이 하나 이상 형성된 박스 또는 원통 등의 형상으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도 11은 제1 연결부 고정부 및 연결부의 체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결부(20)는 받침부(10) 및 결합부(30)를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되, 받침부 결합부(16)에 형성된 상단 연결부 결합부(17)와 결합된 일 말단에서 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부(30)의 일단에 마련된 하단 연결부(33)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연결부(20)는, 예를 들어, 막대, 래크, 레일 또는 봉체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20)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 방향 및 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부(30)에 대한 받침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에는 연결부(20)의 전방에 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관통하여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연결부 삽입홀(21: 21a 내지 21f)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연결부 삽입홀(21: 21a 내지 21f)은 대략 원이나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20)는 하단 연결부 결합부(33)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연결부(20)의 연결부 삽입홀(21: 21a 내지 21f) 중 적어도 하나가 하단 연결부 결합부(33)에 형성된 결합부 삽입홀(33b)과 대략 일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제1 연결부 고정부(22)는 결합부 삽입홀(33b)과, 결합부 삽입홀(33b)에 대응하는 삽입홀(21: 21a 내지 21f) 중 적어도 하나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연결부(20)와 하단 연결부 결합부(33)를 상호 연결하고, 연결부(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부(20)는 연결부(20)의 연결부 삽입홀(21: 21a 내지 21f) 중 어느 홀이 결합부 삽입홀(33b)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또한 제1 연결부 고정부(22)가 삽입되는지에 따라서 그 삽입 깊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연결부 삽입홀(21: 21a 내지 21f) 중 제1 연결부 고정부(22)가 삽입된 연결부 삽입홀(21a 내지 21f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삽입 깊이가 조절된다. 연결부(20)의 하단 연결부 결합부(33)에 대한 삽입 깊이에 따라서 받침부(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키 또는 앉은 키에 따라서 연결부(2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지지대(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연결부 고정부(2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 삽입홀(33b)과, 삽입홀(21: 21a 내지 21f) 중 어느 하나에 순차적으로 삽입 장착되는 삽입부(22a)와, 삽입부(22a)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22b)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삽입부(22a)와 대략 직교하도록 만곡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연결부 고정부(22)는 대략 L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제1 연결부 고정부(22)는 실시예에 따라서 단면이 원, 타원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20)는 래크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단 연결부 결합부(33) 및 하단 연결부 결합부(33)가 형성된 상단 결합부(31) 중 적어도 하나에는 래크의 톱니에 맞물려 회전에 따라 연결부(20)를 이송시키는 피니언 기어(미도시)와,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여 피니언 기어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나 액츄에이터(미도시)와, 모터나 액츄에이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와, 모터나 액츄에이터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공급 여부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미도시) 등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연결부(20)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받침부(10)의 높이 조절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결합부(30)는 후방의 일부분(31b)이 책상, 탁자 또는 식탁 등의 상부 방향에 배치되는 상단 결합부(31)와, 상단 결합부(31)의 하단에 형성되고 후방의 일부분(32b)이 책상, 탁자 또는 식탁 등의 하부 방향에 배치되는 하단 결합부(32)와, 상단 결합부(31)의 전방의 일부분(31a)에 형성되고 연결부(20)가 삽입되는 하단 연결부 결합부(33)와, 상단 결합부(31) 및 하단 결합부(32) 사이에 만곡되어 대략 측면 경계선이 말굽 형상으로 형성되고 책상, 탁자 또는 식탁 등의 결합 대상이 삽입되는 대상 안착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결합부(31)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체적으로 만곡되어 반구의 일부를 이루며 상단에 하단 연결부 결합부(33)가 형성된 일 부분(31a)과, 대체적으로 평면판의 형상을 갖는 타 부분(31b)을 포함하되, 타 부분(31b)은 상단에서 봤을 때 반원판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단결합부(31)의 일 부분(31a)에는 하단 연결부 결합부(33)의 일부(33a)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단결합부(31)의 일 부분(31a)에는 하단결합부(32)의 체결부(32c)가 억지끼움 등을 통해 장착될 수 있는 체결부(31c)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단결합부(32)는 상단결합부(3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되 동일하게 대체적으로 반구의 다른 일부를 이루는 일 부분(32a)과 대략 평면판의 형상을 갖는 타 부분(32b)을 포함하되, 하단결합부(32)의 타 부분(31b)은 상단 또는 하단에서 봤을 때 반원판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단결합부(31)의 일 부분(31a)과 하단결합부(32)의 일 부분(32a)은 결합하여 대략 반구의 형상을 갖을 수 있다. 하단결합부(32)의 일 부분(32a)에는 필요에 따라 상단결합부(31)의 체결부(31c)에 장착되는 체결부(32c) 및 하단 연결부 결합부(33)의 일부(33a)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32d) 중 적어도 하나가 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상단결합부(31)의 타 부분(31b)과 하단결합부(32)의 타 부분(32b)은 서로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하단결합부(32)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고정부(40)가 관통 가능한 관통 홀(32c)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32c) 내측에는 보조 고정부(40)의 봉체(42)의 회전에 따른 이송 및 일 위치에서의 고정을 위한 나사선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결합부(31) 및 하단결합부(32)는 실시예에 따라서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결합하여 제작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일 수도 있다. 상단결합부(31)의 일 부분(31a)과 하단결합부(32)의 일 부분(32a)은 상호 접하도록 마련되고, 반대로 상단결합부(31)의 타 부분(31b) 및 하단결합부(32)의 타 부분(32b)은 서로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단결합부(31)의 타 부분(31b) 및 하단결합부(32)의 타 부분(32b) 사이에는 결합 대상(예를 들어,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은 상단결합부(31)의 일 부분(31a)과 하단결합부(32)의 일 부분(32a)이 접하는 지점까지 연장 형성된다.
도 12는 대상 안착부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단결합부(31)의 타 부분(31b) 및 하단결합부(32)의 타 부분(32b) 사이의 공간에는 대상 안착부(35)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상 안착부(35)는 평면판을 일 구역에서 약 90도(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 90도 이외의 각을 가질 수도 있음)로 하방으로 만곡시키고, 일 구역과 이격된 타 구역에서 약 90도(설계자의 임의적 선택에 따라서 90도 이외의 각을 가질 수도 있음)로 후방으로 만곡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 안착부(35)는 측면에서 봤을 때 대체적으로 말굽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대상 안착부(35)는 책상 등의 결합 대상의 상부에 안착되는 상면(36)과 상면(36)과 대략 직교하되 상단결합부(31)의 일 부분(31a)과 하단결합부(32)의 일 부분(32a)에 접하는 측면(37)과, 측면(37)과 대략 직교하되 상면(36)과 대체적으로 평행하게 마련되고 하면(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36) 및 하면(38)의 형상은 각각 상단결합부(31)의 타 부분(31b) 및 하단결합부(32)의 타 부분(32b)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면(36)의 내측에는 식탁, 탁자 또는 책상과의 마찰력을 보강하기 위한 마찰 패드(39)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마찰 패드(39)는 마찰력이 강한 천연 또는 합성 고무나 라텍스 등의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찰 패드(39)에는 필요에 따라 마찰력의 추가 보강을 위해 전후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측면(37)에는 지지대(1)의 상하 방향 또는 측면 방향 비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방향 또는 측면 방향으로 막대형 돌기(37a)가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하면(38)에는 보조 고정부(40)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홀(38a)이 일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대상 안착부(35)의 관통 홀(38a)은, 보조 고정부(40)가 하단결합부(32)의 관통 홀(32c) 및 대상 안착부(35)의 관통 홀(38a)에 순차적으로 삽입 및 관통될 수 있도록 하단결합부(32)의 관통 홀(32c)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대상 안착부(35)의 관통 홀(38a) 내측에는 보조 고정부(40)의 봉체(42)의 이동 및 고정을 위한 나사선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대상 안착부(35)에는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가 삽입 및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대상 안착부(35)의 상면(36)은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의 상면에 접촉하여 안착될 수 있다. 대상 안착부(35)의 측면(37) 및/또는 하면(38)은 필요에 따라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의 하면에 접촉할 수도 있고 및/또는 이격될 수도 있다. 대상 안착부(35)의 하면(38)이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의 하면과 이격된 경우, 보조 고정부(40)가 결합부(30)를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에 설치되는 손잡이(41)와, 일 말단이 손잡이(41)와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고정부 봉체(42)와, 보조 고정부 봉체(42)의 타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고정되고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의 하면에 마찰 결합되는 마찰면체(43)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41)는 대략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파지의 편의를 위해 다수의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손잡이(41)의 회전축은 보조 고정부 봉체(42)의 회전축과 대체적으로 일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손잡이(41)를 회전시켜 보조 고정부 봉체(42)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보조 고정부 봉체(42)는 대체적으로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원통의 외면에는 하단결합부(32)의 관통 홀(32c) 내주면의 나사선 및 대상 안착부(35)의 관통 홀(38a)의 내주면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고정부 봉체(42)는 수나사의 형태로 구현되고, 하단결합부(32)의 관통 홀(32c) 및 대상 안착부(35)의 관통 홀(38a)은 암나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마찰면체(43)는 원판, 타원판 또는 다각형 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의 하면과의 마찰력 보강 및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의 하면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면에 천연 또는 합성 고무나 라텍스 재질의 마찰 패드(미도시)가 더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 고정부(40)는 회전 등을 통해 상방으로 상승하여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에 하방에서부터 지지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부(30)는 보다 견고하고 책상, 식탁 또는 탁자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가 설치된 지지대에 대한 분해 측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조 고정부(45)는 상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 고정부 봉체(47)와, 보조 고정부 봉체(47)의 하단의 일 말단에서 대략 90도 방향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손잡이(46)와, 보조 고정부 봉체(47)의 상단의 일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고정되어 형성되고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의 하면에 마찰 결합되는 마찰면체(43)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보조 고정부(40)와 동일하게 보조 고정부 봉체(47)의 외주면에는 하단결합부(32)의 관통 홀(32c) 및 대상 안착부(35)의 관통 홀(38a) 각각의 내주면의 나사선에 대응하는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찰면체(43)는 원판, 타원판 또는 다각형 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마찰 패드가 더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46)를 손가락 등으로 보조 고정부 봉체(47)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보조 고정부 봉체(47)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45)도 책상, 식탁 또는 탁자의 모서리에 하방에서부터 지지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되고, 결합부(30)는 보다 견고하고 책상, 식탁 또는 탁자 등에 장착된다.
도 16은 제2 연결부 고정부가 설치된 지지대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7은 제2 연결부 고정부가 설치된 지지대에 대한 분해측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2)는, 인체의 흉부나 복부 등이 전방에 안착되어 흉부나 복부 등을 지지하는 받침부(10)와, 연결부(20)가 체결되는 상단 연결부 결합부(17)를 포함하고 받침부(10)의 후방에 결합되는 받침부 결합부(16)와, 받침부 결합부(16)의 상단 연결부 결합부(17)에 일 말단이 형성 또는 결합되는 연결부(20)와, 책상, 식탁 또는 탁자 등에 결합되는 결합부(30)를 포함하되, 결합부(30)는 연결부(20)의 타 말단이 형성 또는 결합되는 하단 연결부 결합부(33)를 포함하는 상단 연결부(31)와 상단 연결부(31)에 결합되고 일부 구역에서 상단 연결부(31)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하단 연결부(32)와 상단 연결부(31) 및 하단 연결부(3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고 책상, 식탁 또는 탁자 등이 삽입 장착 가능하게 마련된 대상 안착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는 하단 연결부(32) 및 대상 안착부(35)를 관통하여 책상, 식탁 또는 탁자 등의 하단면과 접촉하여 결합부(30)를 안정적으로 책상, 식탁 또는 탁자 등에 결합시키는 보조 고정부(40, 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2)는, 연결부(20)의 높낮이 조절 및 고정을 위한 제2 연결부 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 고정부(50)는 상단 연결부(31)의 상방 및 후방을 향하여 형성된 개구(31c)를 관통하여 상단 연결부(31)의 일 부분(31a) 내측으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 고정부(50)는 원통 또는 막대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연결부 고정부(50)의 일 말단(51, 이하 손잡이부)은 외부에 노출되어 손잡이를 형성하되, 손잡이부(51)는 사용자 파지의 편의를 위해 일 회 이상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타 말단(52, 이하 삽입부)은 상단 연결부(31)의 일 부분(31a) 내측에 삽입되고 사용자 등의 조작에 따라 회전축(B)을 중심으로 적어도 일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형성되어, 상단 연결부(31)의 일 부분(31a) 내측에서 연결부(20)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이탈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연결부(20)에는 후방에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삽입홈(24: 24a 내지 24d)가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삽입홈(24: 24a 내지 24d)는 대략 쐐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삽입홈(24: 24a 내지 24d)의 상단은 상방 또는 하방에 대해 대략 직교한 면으로 형성되고, 중단 내지 하단은 대략 상방 또는 하방에 대해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어, 측방에서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역직사각형의 형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부 고정부(50)의 삽입부(52)는 적어도 하나의 홈(24: 24a 내지 24d) 중 어느 하나에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대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 삽입홈(24: 24a 내지 24d)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즉, 쐐기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가 적당한 높이로 배치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51)에 상방으로 힘을 작용하면, 제2 연결부 고정부(50)는 회전축(B)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삽입부(52)는 연결부(20)의 어느 하나의 연결부 삽입홈(24: 24a 내지 24d)에 삽입되어 연결부(20)를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연결부(20)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연결부 고정부(50)는 제2 연결부 고정부(50)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회전축(B)에 핀이나 베어링 등의 회전축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연결부 고정부(50)는, 제2 연결부 고정부(50)의 고정력을 위해서,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는 삽입부(52)의 하단에 배치되어 삽입부(52)에 상 방향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삽입부(52)가 보다 안정적으로 어느 하나의 연결부 삽입홈(24: 24a 내지 24d)에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지지대 장착의 일례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상술한 지지대(1, 2)는, 책상, 식탁 또는 탁자(2) 등의 모서리 면에 대상 안착부(35)를 삽입한 후 보조 고정부(40, 45)를 회전시켜 책상, 식탁 또는 탁자(2) 등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9)는 걸상(8) 등에 착석한 후 흉부(9a)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를 지지대(1, 2)의 받침부(10)에 기대어 학습, 문서 작성 또는 컴퓨터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9)의 정면 방향에서 지지대(1, 2)가 받쳐주므로 사용자(9)는 보다 바른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바른 자세의 유지 및 불량한 자세 교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지지대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지지대는 오직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지지대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술한 실시예를 기초로 수정 및 변형하여 구현 가능한 다양한 형상이나 구조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의 구성 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또는 치환되더라도 상술한 지지대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1: 지지대 10: 받침부
11: 인체 안착부 16: 받침부 결합부
17: 상단 연결부 결합부 18: 상단 연결부 삽입홈
20: 연결부 21: 연결부 삽입홀
22: 제1 연결부 고정부 24: 연결부 삽입홈
30: 결합부 31: 상단 결합부
32: 하단 결합부 33: 하단 연결부 결합부
33b: 결합부 삽입홀 35: 대상 안착부
36: 대상 안착부 상면 39: 마찰 패드
40: 제1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 41: 손잡이
42: 보조 고정부 봉체 43: 마찰면체
45: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조 고정부 46: 손잡이
47: 보조 고정부 봉체 48: 마찰면체
50: 제2 연결부 고정부

Claims (7)

  1. 일 면에 인체 안착부가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타 면에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의 대향 방향으로 상단 연결부 결합부가 형성된 받침부 결합부;
    상기 상단 연결부 결합부에서 장착되고 연장 형성된 연결부;
    일 단에 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가 삽입 장착되는 하단 연결부 결합부 및 타 단에 대상이 삽입되는 대상 안착부를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대상 안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대상을 고정시키는 보조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대상 안착부는 평면판을 일 구역에서 만곡시키고 일 구역과 이격된 타 구역에서 만곡시켜 형성된 상면, 측면 및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면, 측면 및 하면 사이에 상기 대상이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는, 일 부분에 상기 하단 연결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타 부분에 반원판의 형상을 갖는 상단결합부 및 일 부분이 상기 상단결합부의 일 부분에 결합되고 타 부분에 반원판의 형상을 갖되 상기 상단결합부의 타 부분과는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하단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결합부 및 상기 하단결합부 사이에 대상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상안착부의 상면 내측에는 마찰패드가 형성되는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 삽입홀 및 상기 하단 연결부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부 삽입홀에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 및 상기 하단 연결부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제1 연결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연결부 삽입홀 중 상기 제1 연결부 고정부가 삽입된 연결부 삽입홀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일 말단에 형성된 손잡이부 및 타 말단에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가압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부 삽입홈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를 고정시키는 제2 연결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연결부 결합부는 축을 기반으로 회동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지지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고정부는, 손잡이, 일단이 상기 손잡이와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보조 고정부 봉체 및 상기 보조 고정부 봉체의 타단에 형성되고 대상에 접촉하는 마찰면체를 포함하는 지지대.
  6. 삭제
  7. 삭제
KR1020210022634A 2021-02-19 2021-02-19 지지대 KR102502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634A KR102502661B1 (ko) 2021-02-19 2021-02-19 지지대
PCT/KR2021/016223 WO2022177100A1 (ko) 2021-02-19 2021-11-09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634A KR102502661B1 (ko) 2021-02-19 2021-02-19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783A KR20220118783A (ko) 2022-08-26
KR102502661B1 true KR102502661B1 (ko) 2023-02-23

Family

ID=8293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634A KR102502661B1 (ko) 2021-02-19 2021-02-19 지지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2661B1 (ko)
WO (1) WO202217710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99B1 (ko) * 2012-10-08 2013-08-16 김정률 자세교정장치
KR101419401B1 (ko) * 2014-01-24 2014-07-14 (주)지맥스 책상 부착용 자세 교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3338A (ja) * 2007-01-31 2008-08-14 Itoki Corp テーブル類用身体支持具
KR101263464B1 (ko) * 2011-06-29 2013-05-10 주식회사 제이씨텍 책상 부착형 자세교정용 완충쿠션
KR20160125124A (ko) * 2015-04-21 2016-10-31 주식회사 아이엔지레져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막대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99B1 (ko) * 2012-10-08 2013-08-16 김정률 자세교정장치
KR101419401B1 (ko) * 2014-01-24 2014-07-14 (주)지맥스 책상 부착용 자세 교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783A (ko) 2022-08-26
WO2022177100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890B2 (en) Back support
US20150305961A1 (en) Therapeutic core building and massage chair
WO20180545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gonomic chairs
KR102502661B1 (ko) 지지대
CN101374483B (zh) 姿势矫正用运动器具
US11419425B2 (en) Posture adaptive work chair
KR101931630B1 (ko) 기능성 의자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101165345B1 (ko) 무릎지지대가 구비된 교구용 책상
KR101472814B1 (ko) 보조의자
KR20170029145A (ko) 책상 부착용 자세교정 장치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KR102280504B1 (ko) 자세 교정 의자
KR101472815B1 (ko) 보조의자
KR20200073815A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US5337759A (en) Apparatus for indicating correct back posture
KR101472816B1 (ko) 보조의자
EP2375939A1 (en) Supporting device
KR102527967B1 (ko) 기능성 의자
AU2004100725A4 (en) A seat
KR102533006B1 (ko) 슬라이딩 및 틸팅 타입 경추 근육 이완 장치
KR102506195B1 (ko) 3d 탄력구조의 일체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KR20120009314A (ko) 자세 교정용 의자
KR200494583Y1 (ko) 등받이 의자
KR200250629Y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