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815B1 - 보조의자 - Google Patents

보조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815B1
KR101472815B1 KR1020120140104A KR20120140104A KR101472815B1 KR 101472815 B1 KR101472815 B1 KR 101472815B1 KR 1020120140104 A KR1020120140104 A KR 1020120140104A KR 20120140104 A KR20120140104 A KR 20120140104A KR 101472815 B1 KR101472815 B1 KR 101472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user
shoulder
slide member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2507A (ko
Inventor
고영철
고영찬
Original Assignee
고영철
고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철, 고영찬 filed Critical 고영철
Priority to KR102012014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8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의자에 관한 것으로, 등받이가 사용자의 허리를 지속적으로 눌러줄 수 있어 허리 보호 및 허리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의자 {auxiliary sea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좌부에 앉을 경우, 사용자의 올바른 착석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는 보조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의 등받이는 사용자가 좌석에 앉았을 때 등을 받치도록 구비되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대한 지지를 전혀 할 수 없어 장시간 동안 착석하여 업무나 공부를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요추(허리뼈)부위에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는 의자에 앉을 때 쾌적감을 주도록 사용자의 허리를 받치는 작은 방석으로 되어 있는 쿠션을 많이 사용하고 했다.
그러나, 쿠션은 의자에 고정이 되어 있지 않고 또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적절한 허리의 받침대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허리뼈로 알려진 요추는 척추를 구성하는 뼈의 일부로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되는 뼈 중에 하나이고 항상 정상적인 상태에서 완만한 곡선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요추의 정상 만곡 커브를 유지하는 것은 허리의 질병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의자의 등받이는 완만한 곡선을 유지해야하는 요추를 받쳐주지 못하여 요추에 피로를 가중시켜 여러 가지의 허리에 대한 질병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요추의 정상 만곡 커브를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허리를 받쳐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허리를 받쳐주는 의자가 개시된바 있으며, 종래기술에 의한 허리 지지부를 구비한 의자에서는 의자의 등받이의 작동시 등받이가 후방으로 경사작동되면 등받이의 하부에 설치된 허리지지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게 작동되어 착용자의 허리부분을 편안하게 받쳐주도록 하고 원위치로 복귀시에는 허리지지부가 펴지게 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고안된 바 있다.(한국등록특허 458,319호, 종래기술 1)
종래기술 1에서는 등받이의 하부에 설치된 허리지지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게 작동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받쳐주는 장점이 있으나, 아래와 같은 단점도 있다.
즉, (1) 허리지지부의 구조가 복잡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며, (2) 사용자가 의자의 시트부 앞 부분에 앉거나 혹은 몸을 약간만이라도 앞으로 숙일 경우, 사용자의 허리는 등받이의 하부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사용자는 몸을 완전히 등받이로 기댈 경우에만 등받이의 하부에 설치된 허리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를 받쳐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허리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밀어주는 힘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또한, 오늘날에는 컴퓨터의 대중화와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이 많아져서 척추 등이 바르지 못한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근래에 앉은 자세를 올바르고 편안하게 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제작한 의자들이 많이 나오고 있지만, 이는 의식적으로 책상 앞에 바르게 앉을 때에만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대부분은 자연스럽게 신체의 상부가 앞쪽으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엉덩이가 뒤로 빠지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의자 등받이에 부착되어 흉부를 등받이 쪽으로 가압 밀착시켜 바른 자세를 유지토록 하는 자세 교정용 벨트를 구비하는 의자가 제안된 바 있다(한국공개실용신안 2012-0003466호, 이하 종래기술 2)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 2는 사용자가 버클 구조로 연결되는 자세 교정용 벨트를 흉부에 가압 밀착시키는 방식이므로, 사용자에게 답답함을 느끼게 하는 등의 거부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458,319호 한국공개실용신안 2012-0003466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착좌부에 앉을 경우, 사용자의 자세를 자연스럽게 등받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등받이에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가 형성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는
착좌부;
상기 착좌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는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는
착좌부;
상기 착좌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에 연결되는 상부등받이;
상기 상부등받이의 상부에는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사용자가 앉을 경우, 등받이가 바닥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에서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착좌부의 전단이 아래로 눌리게 되며, 착좌부와 연결된 등받이에 탄성변형이 발생하여, 등받이가 사용자의 허리를 지속적으로 눌러줄 수 있어 허리 보호 및 허리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2) 등받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허리받침부재는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춰 그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3) 등받이의 전면에 형성되는 벨크로와 이에 결합하는 허리받침부재는 등받이에서 그 위치 조정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춰 허리를 지속적으로 눌러줄 수 있다.
(4)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의자 위에 놓고 보조의자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경제적이다.
(5) 착좌부와 등받이가 다층의 레이어가 겹쳐져 이루어지므로, 보다 강한 강성을 갖는다.
(6) 상부등받이의 상부에 형성된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 또는 목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체형에 맞춰 사용 및 교정이 가능하다.
(7) 상부등받이의 상부에 형성된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가 사용자의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고 있다는 심리적인 작용에 의해 사용자의 올바른 자세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8)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던 의자 위에 놓고 보조의자로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1실시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1실시례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1실시례(앉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1실시례(앉은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2실시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2실시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3실시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4실시례를 도시한 전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4실시례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5실시례를 도시한 전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5실시례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6실시례를 도시한 전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6실시례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7실시례를 도시한 전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7실시례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7실시례의 상부등받이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7실시례를 도시한 후면확대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1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는 사용자가 종래 사용하던 의자의 바닥(5) 위에 놓고 보조 의자식으로 사용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는 착좌부(20)와 상기 착좌부(20)에 일체로 형성되는 등받이(50)로 구분된다.
상기 착좌부(20)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닿는 부분이며, 상기 등받이(50)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보조의자(1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등받이(50)와 상기 착좌부(20)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받이(50)와 상기 착좌부(20)는 인체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지게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착좌부(20)와 상기 등받이(50)의 사이에는 착좌부와 등받이의 연결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착좌부와 등받이의 연결부(40)는 상기 보조의자(10)의 폭 방향의 안쪽으로 만곡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라운드 처리된다.
따라서, 라운드 처리된 상기 착좌부와 등받이의 연결부(40)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착좌부와 등받이의 연결부(40)에 작용하는 응력의 집중을 분산시켜 줌으로써, 상기 보조의자(10)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를 측면에서 봤을 때(도 3a 참조) 상기 등받이의 우측 최외곽 부분(60)은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만곡지게 형성한다.
그와 반대로 상기 등받이의 좌측 최외곽 부분(55)은 후면으로 돌출되도록 만곡지게 형성한다.
상기 등받이의 우측 최외곽 부분(60)과 등받이의 좌측 최외곽 부분(55)은 서로 연결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를 측면에서 봤을 때 상기 등받이(50)는 "S"자를 거꾸로 한 것과 유사하다.
상기 등받이의 우측 최외곽 부분(60)과 상기 등받이의 좌측 최외곽 부분(55)은 사용자가 상기 보조의자(10)에 앉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닥(5)으로부터 가상의 수직선을 그었을 경우, 상기 등받이의 우측 최외곽 부분(60)과 상기 등받이의 좌측 최외곽 부분(55)이 가상의 수직선과 접한다.(도 3a 참조)
사용자가 상기 보조의자(10)에 앉을 경우, 바닥(5)으로부터 그어진 가상의 수직선과 접했던 상기 등받이의 우측 최외곽 부분(60)과 상기 등받이의 좌측 최외곽 부분(55)은 상기 등받이(50)와 일체로 형성된 착좌부(20)가 아래로 눌려짐에 따라 앞으로 기울어지게 된다.(도 3b 참조)
사용자가 상기 보조의자(10)에 앉음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부분이 접하는 상기 등받이의 우측 최외곽 부분(60)이 상기 등받이의 좌측 최외곽 부분(55)보다 더욱 많이 앞으로 기울어지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보다 지속적으로 눌러 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닿는 착좌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보조의자의 경우, 착좌부가 보조의자가 놓여지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지 않으며, 수평 또는 수평에 가까운 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에서는 상기 착좌부(20)가 의자(5)의 시트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착좌부의 전단(25)은 위로 상승하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도 3a 참조)
반면에 상기 착좌부의 후단(30)은 의자(5)의 시트부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의자(5)의 시트부에 닿도록 형성된다.
상기 착좌부의 후단(30)과 착좌부의 전단(25)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착좌부(20)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착좌부(20)의 전체적인 형상은 "S"자를 좌측으로 눕힌 것과 유사하다.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에 앉을 경우,상기 착좌부(20)는 그 형상이 변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은 상기 착좌부(20),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착좌부의 후단(30)에 위치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좌부의 전단(25)은 의자(5)의 시트부로부터 이격되어 위로 상승하는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사용자의 허벅지 내지는 다리 부분이 상기 착좌부의 전단(25)을 누르게 됨으로써, 상기 착좌부의 전단(25)은 아래로 기울어져 의자(5)의 시트부에 닿게 된다.
상기 착좌부의 전단(25)이 아래로 기울어져 의자(5)의 시트부에 닿게 될 때, 상기 착좌부(2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등받이(50)가 앞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는 사용자는 상기 착좌부(20)는 사용자의 엉덩이와 다리 부분에 의해 아래로 누르게 되며, 상기 등받이(50)에는 사용자의 등을 기대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착좌부(20)에 앉음에 따라 상기 착좌부(20)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등받이(50)도 탄성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50)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향해 탄성변형을 일으키나, 상기 등받이(50)에 기대고 있는 사용자에 의해 이러한 상기 등받이(50)의 탄성변형은 방해를 받게 된다.
그러나, 상기 등받이(50)의 탄성변형을 계속 하려고 하므로, 이와 같이 탄성변형하는 상기 등받이(50)는 사용자, 더욱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계속 누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는 상기 착좌부(20)가 상기 바닥(5)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착좌부의 전단(25)은 상기 바닥(5)으로부터 이격된다.
한편, 상기 착좌부(20)의 저면에는 상기 착좌부(20)를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리브(27)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27)는 상기 착좌부(20)의 저면을 정면으로 봤을 때, 좌우에 하나씩 총 2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의 제2실시례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등받이(50)에는 상기 등받이(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52)이 형성된다.
상기 등받이의 전면(51)에는 상기 허리받침부재(80)가 위치한다.
상기 허리받침부재(80)의 형상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허리받침부재(80)는 상기 홈(35)에 끼워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허리받침부재(80), 더욱 자세하게는 허리받침부재(80)의 후면(82)에 제1부재(180)의 일측(181)이 결합한다.
상기 제1부재(180)는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서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부재의 타측(182)은 손잡이(190)와 결합한다.
상기 손잡이(190)의 후면에는 상기 제1부재의 타측(182)과 결합할 수 있도록 손잡이 홈(195)이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의 타측(182)은 상기 손잡이 홈(195)에 억지끼워 맞춤방식으로 끼워진다.
허리받침부재(80)의 후면(82)에는 제2부재(185)가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185)는 상기 제1부재(180)의 아래에 위치한다.
상기 제2부재(185)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직사각형 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2부재(185)를 직사각형 기둥의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홈(52)을 따라 상기 허리받침부재(80)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제2부재(185)가 일종의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의 외측면(192)을 잡고 상기 허리받침부재(80)의 높낮이를 상기 등받이(5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52)의 범위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의 제3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등받이의 전면(51)에는 밸크로(70), 즉 일종의 접착 테이프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밸크로(70)는 상기 등받이의 전면(51)에 대해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허리받침부재(80)를 지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는 허리받침부재(80)의 모서리에 대응하는 상기 등받이의 전면(51)의 네 귀퉁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크로(70)는 허리받침부재(80)와 결합한다.
상기 허리받침부재(80)는 탄성을 갖는 스폰지 또는 우레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벨크로(70)는 부착대상물에 대해 지속적인 탈부착이 가능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 허리받침부재(8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에 앉을 경우,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보다 더 밀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허리 보호 및 허리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허리받침부재(80)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허리받침부재의 전면(81)은 앞으로 볼록한 커브이다.
상기 허리받침부재의 후면(82)은 상기 등받이의 우측 최외곽 부분(6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만곡된 곡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좌부(20)와 상기 등받이(50)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드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착좌부(20)와 상기 등받이(50)를 고탄력 고강도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 경우 다양한 사용자의 체형 및 체중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탄력 고강도 합성수지 재질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사용자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의자에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의 제4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에는 상기 등받이의 상부(53)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상부등받이(200)가 더 형성된다.
상기 상부등받이(200)은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사각형 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등받이의 전면(205)은 사용자가 어깨를 기댔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은 상기 등받이(50)와 2개의 슬라이드 부재(22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20)의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등받이(50)와 상기 상부등받이(200)를 연결하는 상기 슬라이드부재(220)에 대하여 설명하며, 상기 슬라이브 부재(220)는 "바"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부재(220)는 상기 등받이의 후면(56)에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 삽입부(57)에 결합하는 슬라이드부재의 제1부(221)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부재(220)는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과 그 일면이 결합하는 슬라이드부재의 제2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제2부(222)는 그 단면이 사각형을 가지며 길이가 긴 사각기둥의 모양을 갖는다.
반면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제1부(221)는 그 단면이 원형으로 길이가 긴 원기둥의 모양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의 후면(56)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57)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57)는 상기 등받이의 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수직관통공(58)이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57)의 위와 아래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수직관통공(58)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제1부(221)를 삽입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57)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2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부재의 높낮이 조절나사(22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높낮이 조절나사(225)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57)에 끼워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후면(57a)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수직관통공(58)과 연통되도록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구멍(59)이 상기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구멍(59)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구멍(59)에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높낮이 조절나사(225)를 삽입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높낮이 조절나사(225)가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수직관통공(58)을 통해 삽입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제1부(221)의 외측면을 눌러줌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부재(220)는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높낮이 조절나사(225)를 푸는 방식으로 상기 슬라이드부재(220)의 고정을 해제한 후, 상기 슬라이드부재(220)의 높낮이를 자신의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의 제5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등받이(20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슬라이드부재(220)를 "바"형태가 아닌 "봉"의 형태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도 상기 등받이(50)와 2개의 슬라이드 부재(220)를 통해 연결된다.
봉의 형태를 갖는 슬라이드부재(220)의 경우, 전체적인 형상은 "ㄱ"자 형상이며 그 단면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길이가 길다.
본 발명에 보조의자(10)의 제5실시례에서는 상기 등받이의 후면(56)에 형성된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57)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여기서는 봉의 형태를 갖는 슬라이드부재(220) 위주로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일단(231)은 먼저,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 형성된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212)에 삽입된다.
상기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212)는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의 아래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212)는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250)가 2개이므로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 2개가 형성된다.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212)는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강도의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212)의 위와 아래를 관통하는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 관통공(215)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 관통공(215)은 상기 슬라이드부재(220)과의 결합에 적당한 직경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드부재(220)는 상기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 관통공(215)에 그 일단(231)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 관통공(215)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드봉의 일단(231)은 상기 등받이의 후면(56)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재 삽입부(57), 더욱 자세하게는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수직관통공(58)에도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 관통공(215)과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수직관통공(58)에 삽입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일단(231)는 스토퍼(260)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한다.
상기 스토퍼(260)의 일면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260)의 타면에는 곡면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60)의 일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일단(231)이 결합한다.
상기 스토퍼(260)는 상기 상부등받이(200)를 위로 움직일 때 상기 슬라이드부재(220)이 상기 등받이의 후면(56)에 형성된 슬라이드부재 삽입부(5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슬라이부재 삽입부(57)에도 상기 슬라이부재 삽입부의 후면(57a)으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수직관통공(58)과 연통하는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구멍(59)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구멍(59)을 통해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높낮이 조절나사(225)를 삽입한 후,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높낮이 조절나사(225)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여 상기 슬라이드부재(2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는 상기 착좌부(20)와 상기 등받이(50)를 다층의 레이어(a, b, c)를 겹쳐서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착좌부(20)와 상기 등받이(50)는 제1레이어(a), 제3레이어(c) 및 상기 제1레이어(a)와 상기 제3레이어(c) 사이에 끼워지는 제2레이어(b)가 겹쳐져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착좌부(20)와 상기 등받이(50)가 다층의 레이어(a, b, c)가 겹쳐져 이루어짐으로써, 충격에 보다 잘 견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손의 위험성도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의 다른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등받이(200)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자세, 특히 사용자의 어깨가 상기 상부등받이의 전면(20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올바른 착석 자세 유지를 위한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가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는 상기 등받이의 상부(53)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의 다양한 실시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가 자바라 방식을 채택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의 제6실시례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가 자바라 호스방식인 경우이다.
자바라 호스방식의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부등받이의 전면(205)에는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제1부(301)가 위치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제1부(301)는 사용자의 어깨가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에 닿았을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완만한 곡선을 갖도록 형성한다.
참고로 자바라 호스방식의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의 경우, 사용자의 의도에 맞도록 그 형상의 비교적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다.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는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제2부(302)가 위치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제2부(302)는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 고정부(217)에 고정 결합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의 구조로 벨트 방식을 채택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의 제7실시례라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의 구조로 벨트 방식을 채택한다.
이러한 벨트는 일정수준의 탄성과 강성을 모두 갖는 소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는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 의후면 고정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후면 고정부(213)도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후면 고정부(213)의 상면에는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고정부 홈(2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후면 고정부 홈(214)에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타단(320)을 끼움으로서,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가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 고정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가 사용자의 어깨 곡선에 부합하도록 어깨바 방식을 채택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의 제8실시례라 한다.
이하에서는 어깨바 방식의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10)의 제8실시례의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는 커브면이 형성된 상면(325)과 하면(330)을 포함하며 이루어진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하면(330)은 사용자의 어깨에 직접 접촉하게 되는 부분으로 커브면이 형성되어 완만하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전면(321)에는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긁히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후면(324)에는 후방으로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회동부(340)가 위치한다.
상기 회동부(340)와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후면(324) 사이에는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연결부(327)가 형성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연결부(327)는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내측면(322)에 가까운 곳에 형성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회동부(340)에는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회동부의 관통공에는 또한 후술할 지지축(405)이 삽입된다.
상기 지지축(405)의 양끝단에는 제1고정부재(407)와 제2고정부재(408)가 결합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는 높이조절부(201)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축(405)의 양끝단에 결합하는 상기 제1고정부재(407)와 상기 제2고정부재(408)에 의해 상기 지지축(405)은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상기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3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는 높이조절부(201)가 상기 상부등받이(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부(201)는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에 2개가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부(201)는 목받침부재(400) 또는 상기 어깨 숙임방지부재(3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조절부(201)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을 갖는 홈(203)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등받이의 측면(206)에는 라운드를 형성한다.
상기 라운드가 형성된 상기 상부등받이의 측면(206)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상부등받이의 측면(206)에 손이 긁히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2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등받이의 후면(210)과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부(201)의 길이 방향으로 장축의 구멍(202)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장축의 구멍(202)에는 소정 간격으로 홈(203)이 형성된다.
상기 홈(203)의 너비는 상기 장축의 구멍(202)의 폭 방향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
목받침부재(400)는 중앙에는 중공부(미도시)가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원통형상 부재(401)와 상기 목받침부재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지지축(405)을 포함하며 이루어진다.
상기 목받침부재(400)는 사용자의 목 부분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통형상 부재(401)는 우레탄이나 스폰지 등과 같은 탄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405)의 양끝단에는 제1고정부재(407)와 상기 제1고정부재(407)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고정부재(408)가 결합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407)와 상기 제2고정부재(408)의 사이에는 스프링(410)이 결합한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재(407)의 일단은 상기 높이조절부의 홈(203)에 끼워질 수 있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407)의 일단은 상기 높이조절부의 홈(203)의 직경에 끼워지기에 적당한 직경을 갖는다.
즉, 사용자가 상기 목받침부재(400)의 높낮이를 상기 허리받침대의 높이조절부(201)에서 조절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고정부재(407)의 일단은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높이조절부의 홈(203)에 끼워진 상태이다.
사용자는 먼저 상기 지지축(405)의 양끝단에 결합한 상기 제1고정부재(407)를 잡고 상기 제2고정부재(408)을 향해 외측으로 힘을 가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407)와 상기 제2고정부재(408)의 사이에는 상기 스프링(41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407)를 잡고 상기 제2고정부재(408)을 향해 잡아당길 경우, 상기 제1고정부재(407)의 일단은 상기 높이조절부의 홈(203)으로부터 빠지게 되므로, 상기 목받침부재(400)의 높낮이의 조절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편한 위치에 상기 목받침부재(400)를 위치시킨다.
사용자가 자신에게 편한 위치에 상기 목받침부재(400)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4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재(407),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제1고정부재(407)의 일단이 다시 상기 높이조절부의 홈(203)에 끼워지며, 상기 목받침부재(400)는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보조의자는 등받이가 바닥에 대하여 수직한 상태에서 착좌부의 전단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사용자가 앉을 경우 착좌부의 전단이 눌리면서 착좌부와 일체로 형성된 등받이가 앞으로 기울어져 사용자의 허리를 지속적으로 눌러줄 수 있으므로, 허리 보호 및 허리 통증을 완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올바른 착석자세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5: 의자 10 : 보조의자
20 : 착좌부 25 : 착좌부의 전단
27 : 리브 30 : 착좌부의 후단
40 : 착좌부와 등받이의 연결부 50 : 등받이
51 : 등받이의 전면 52 : 홈
53 : 등받이의 상부 55 : 등받이의 좌측 최외곽 부분
56 : 등받이의 후면 57 : 슬라이드부재 삽입부
57a :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후면
58 :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수직관통공 59 : 슬라이드부재 삽입부의 구멍
60 : 등받이의 우측 최외곽 부분 70 : 벨크로
80 : 허리받침부재 81 : 허리받침부재의 전면
82 : 허리받침부재의 후면 200 : 상부등받이
201 : 높이조절부 202 : 높이조절부의 장축의 구멍
203 : 높이조절부의 홈 205 : 상부등받이의 전면
206 : 상부등받이의 측면
210 : 상부등받이의 후면
212 :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
213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 후면 고정부
214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 후면 고정부 홈
215 : 상부등받이의 슬라이드부재 삽입부 관통공
217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 고정부
220 : 슬라이드부재 221 : 슬라이드부재의 제1부
222 : 슬라이드부재의 제2부
225 : 슬라이드부재의 높낮이 조절나사 231 : 슬라이드부재의 일단
232 : 슬라이드부재의 타단 260 : 스토퍼
300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
301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제1부
302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제2부
310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일단
320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타단
321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전면
322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내측면
324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후면
325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상면
327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연결부
330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하면
340 :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의 회동부
400 : 목받침부재 401 : 원통형상 부재
405 : 지지축 407 : 제1고정부재
408 : 제2고정부재 410 : 스프링

Claims (2)

  1. 착좌부;
    상기 착좌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는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를 포함하되,
    기존에 사용하던 의자 위에 놓여지며,
    상기 등받이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계속 누를 수 있게 상기 착좌부의 전단이 의자의 시트부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자
  2. 착좌부;
    상기 착좌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상기 등받이에 연결되는 상부등받이;
    상기 상부등받이의 상부에는 어깨의 상부 또는 전부에 위치하는 부재를 포함하되,
    기존에 사용하던 의자 위에 놓여지며,
    상기 등받이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을 계속 누를 수 있게 상기 착좌부의 전단이 의자의 시트부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의자
KR1020120140104A 2012-12-05 2012-12-05 보조의자 KR101472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04A KR101472815B1 (ko) 2012-12-05 2012-12-05 보조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104A KR101472815B1 (ko) 2012-12-05 2012-12-05 보조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07A KR20140072507A (ko) 2014-06-13
KR101472815B1 true KR101472815B1 (ko) 2014-12-18

Family

ID=5112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104A KR101472815B1 (ko) 2012-12-05 2012-12-05 보조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8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718B1 (ko) * 2020-12-10 2022-05-06 우종언 어깨 스트레칭 의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450Y1 (ko) * 2002-10-24 2003-01-24 김명각 의자에 장치하는 졸음방지 및 자세교정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1450Y1 (ko) * 2002-10-24 2003-01-24 김명각 의자에 장치하는 졸음방지 및 자세교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507A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US8764110B2 (en) Resilient leaning position-restoring device for height-adjustable chair back of office chair
KR101750887B1 (ko)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WO2021025007A1 (ja) 着座用クッション体
AU2016262706B2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WO2009021245A2 (en) Back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ame
KR101472814B1 (ko) 보조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101472815B1 (ko) 보조의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1472816B1 (ko) 보조의자
JP2007098007A (ja) 椅子
CN210870567U (zh) 一种坐姿矫正椅
JPH0795913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101052551B1 (ko) 의자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KR102078658B1 (ko) 조절식 요추 지지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
KR101011430B1 (ko) 의자
CN209106672U (zh) 一种新型座椅靠背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TWM546757U (zh) 可調整曲度之椅具結構
US20170245645A1 (en) Cushion for protecting spinal posture
KR20230000371U (ko) 인체공학적 의자
KR20230025299A (ko) 기능성 좌식 의자
KR101331981B1 (ko)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