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981B1 -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 Google Patents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981B1
KR101331981B1 KR1020110097359A KR20110097359A KR101331981B1 KR 101331981 B1 KR101331981 B1 KR 101331981B1 KR 1020110097359 A KR1020110097359 A KR 1020110097359A KR 20110097359 A KR20110097359 A KR 20110097359A KR 101331981 B1 KR101331981 B1 KR 10133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est
chair
lower plate
breas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606A (ko
Inventor
곽현정
박대진
Original Assignee
박대진
곽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진, 곽현정 filed Critical 박대진
Priority to KR1020110097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9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47C9/005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with forwardly inclined seat, e.g. with a knee-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상판(200)과 상기 상판(200)의 저면을 커버하는 하판(100)으로 분리되어 상호 체결 조립되는 가슴받이(300)가 의자의 일측면에 마련된 가슴받이지지대(130)를 통해서 지지 고정되는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300)는 팔걸이부로 형성된 좌우 상판(200)의 중앙부위에 가슴받이부연결대(210)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가슴안착부(400)를 형성하되, 상기 가슴안착부(400)는 좌우단(400a)(400b)으로 길면서 둥근게 가슴부위를 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Elastic displacement structure of chest plate for chair}
본 발명은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에서 가슴을 기댈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가슴받이에 안착부와, 그 내부에 탄성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슴을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가슴이 편해지고, 또한 가슴받이가 가슴받이지지대를 중심으로 탄성 변위를 일으켜 자연스럽게 위치조정되면서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기댈 수 있도록 된 의자용 가슴받이의 탄성 변위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의자는 사람이 앉아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일상에서 매우 필요한 가구로써, 특히, 학생이나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은 하루 중 오랜 시간을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따라서, 공부를 하는 학생이나 직장 생활에서 사무를 보는 직장인들과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게 되는 사람들에게는 편안하고 안락하면서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체공학적 의자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그런데, 통상 의자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들은 의자에 기대어 앉거나, 무엇인가에 집중할 때에는 상체가 약간 앞쪽으로 쏠린 상태로 앉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하게 되면 모든 하중이 허리에 집중됨으로써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자세가 올바르지 않아 척추 측만증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알다시피 종래 대부분의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과, 좌판을 받치는 다리부와,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등받이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종래의 의자는 등받이를 통해 사용자의 등과 허리 부위를 뒤쪽에서 지지할 수 있을 뿐 사용자가 앞으로 쏠린 상태에서는 지지가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실제 사용자들이 의자에 앉아 있는 자세 중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가 많고, 이러한 자세가 오랜 시간 지속되는 경우 신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바, 앞으로 쏠린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의자의 구조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종래 가슴받이를 갖춘 의자가 연구 개발되어 제시된 바 있다. 즉, 종래에도 의자용 가슴받이를 형성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고, 여러 가지 형태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그 중에서 대한민국 디자인 등록번호 제593519호(2011.03.28. 공고)에 개시된 의자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가슴받이를 갖춘 의자가 개시된 바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10)를 갖춘 의자는, 의자다리(11)의 상부에 좌판(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 앞부분에 가슴받이지지대(13)에 의하여 좌우측으로 팔꿈치지지부(14)가 형성되면서 그 중앙부위에 가슴받이부(15)가 산등성이 형상으로 형성된 가슴받이(10)를 갖춤으로써, 사용자가 좌판(12)에 앉은 상태에서 상체가 앞으로 쏠리게 될 때, 사용자의 앞 가슴부분을 받쳐주어 편안하게 허리를 곧게 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슴받이는 가슴에 닿는 부분이 좁거나 끝이 뾰족하여 오히려 가슴에 침을 가하는 느낌을 주고, 일부분만이 기대어지므로, 가슴받이가 닿는 부분에 쉽게 피로감을 느끼거나 통증을 호소하는 사용자가 많았다.
또한, 상기 좌판(12)이 상부판(12a)과 하부판(12b)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판(12b)의 측부에 가슴받이지지대(13)가 고정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가슴받이(10)가 장착된 의자에 있어서, 종래 상기 가슴받이(10)가 가슴받이지지대(13)에 견고하게 고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서 상체를 눕혀 상기 가슴받이에 가슴을 기댄 자세를 취할 때, 상기 가슴받이 자체가 고정된 상태 그대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부자연스런 자세를 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를 중심으로 가슴받이(10)의 회동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위치로 가슴받이(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슴받이(10)의 저면 쪽에는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가 끼움 삽입되는 위치조절구(21)와, 이 위치조절구(21)와 맞물리는 스토퍼구(22)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조절구(21)와 스토퍼구(22)의 상호 맞물리는 대응면에는 각각 톱니 형태의 걸림부(17,18)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구(18)의 일측면에는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의 일단이 끼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삽입부(23)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구(22)와 삽입부(23) 사이에 위치한 가슴받이지지대(13) 상에는 탄성 압축되는 스프링부재(20)가 장착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구(21)는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가 관통되게 끼움 삽입되는 관통공(19)을 가지고, 상기 가슴받이(10)의 저면에 볼트(16) 체결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사용자가 가슴받이(10)의 위치(혹은 설치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상기 가슴받이(10)를 잡고 가슴받이지지대(13)의 일방향(도면상 삽입부(23) 방향)쪽으로 당기면, 도 4와 같이 위치조절구(21)와 스토퍼구(22)가 각각의 걸림부(17,18)를 통해 상호 맞물려 있던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게 되고, 이렇게 위치조절구(21)와 스토퍼구(22)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게 되면, 사용자는 가슴받이지지대(13)를 중심으로 가슴받이(10)를 돌려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사용자가 가슴받이(10)를 원하는 위치로 필요할 때마다 일일이 설정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가슴받이(10)에 가슴을 기대기 전에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위치로 사전 작업을 통해서 가슴받이(10)의 위치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해야만 하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사전 작업을 통해서 가슴받이(10)를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위치로 조정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오랜시간 가슴받이(10)에 기댄 자세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가슴받이(10)에 기대는 자세(그에 따른 가슴받이에 작용하는 하중이 달라짐)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가슴받이(10)는 설정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어느 경우에는 부자연스운 자세를 취할 수밖에 경우가 있어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디자인 등록번호 제593519호(2011.03.28. 공고, 명칭: 의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의자용 가슴받이의 형상 및 위치 조절(혹은 설치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슴받이의 상부에 가슴안착부를 개선하고, 의자용 가슴받이 내부에 탄성 변위를 가능케 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가슴을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가슴받이가 가슴받이지지대를 중심으로 탄성 변위를 일으켜 자연스럽게 위치 조정되면서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기댈 수 있도록 된 의자용 가슴받이의 탄성 변위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상판(200)과 상기 상판(200)의 저면을 커버하는 하판(100)으로 분리되어 상호 체결 조립되는 가슴받이(300)가 의자의 일측면에 마련된 가슴받이지지대(130)를 통해서 지지 고정되는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300)는 팔걸이부로 형성된 좌우 상판(200)의 중앙부위에 가슴받이부연결대(210)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가슴안착부(400)를 형성하되, 상기 가슴안착부(400)는 좌우단(400a)(400b)으로 길면서 둥근게 가슴부위를 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판(100)의 통공으로 끼워져 지지대끼움부(30)의 통공(23)에 그 끝단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하판(100)의 통공 부분에는 고정클립부재(21)를 체결볼트(16)로 설치하고, 코일스프링(20)은 가슴받이지지대(130)에 끼워져 그 일단은 지지대고정부(20a)에서 고정되고, 타단은 하판(100)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용 가슴받이에 가슴안착부를 둥글게 형성하여 가슴 전체가 기대어지므로 아주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오래 사용하여도 피로감을 느끼지 아니하며, 의자용 가슴받이 내부에 사용자의 가슴을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자연스럽게 탄성 변위를 일으키는 탄성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상체가 앞으로 쏠린 상태에서 가슴을 가슴받이에 기대게 될 때, 사용자의 가슴을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가슴받이가 가슴받이지지대를 중심으로 탄성 변위를 일으켜 자연스럽게 위치조정되면서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기댈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특히 사용자의 가슴이 가슴받이에 의해 자연스러운 자세로 지지되므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편안한 자세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자세가 교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의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의자를 보여주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를 갖춘 의자를 보여주는 도 1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슴받이가 가슴받이지지대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동조절이 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가슴받이 저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의 가슴받이의 실시예를 의자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슴받이의 하판에 탄성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슴받이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의 가슴받이의 실시예를 의자에 적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가슴받이의 하판에 탄성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슴받이(300) 및 가슴받이지지대(130)가 구비됨과 동시에, 통상의 의자에서 보여주는 구성을 갖추고 있는 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판(1)과, 상기 좌판(1)을 지탱해 주는 다리부(2) 및 사용자의 허리 및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좌판(1)은 사용자의 둔부가 지지되는 곳으로서 대략 지면과 평평하게 배치되며 사용자가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우레탄 등의 커버가 씌워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등받이(3)는 좌판(1)에 앉은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부분으로,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본 실시예와 같은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1)과 등받이(3)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의자에서는 좌판(1)과 등받이(3)가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3) 자체도 의자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 구조로 개시되어 있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의자의 기본적인 구성을 갖춘 가슴받이(300)를 갖춘 의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슴받이(300)는 좌우 측이 팔걸이부로 형성된 상판(200)의 중앙부위에 가슴받이부연결대(210)를 형성하고, 그 상부에 가슴안착부(400)를 형성하되, 상기 가슴안착부(400)는 좌우단(400a)(400b)으로 길면서 둥글게 가슴부위를 접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가슴안착부(400)를 형성하므로서, 의자용 가슴받이 내부에 사용자의 가슴을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자연스럽게 받쳐주게 되어 안락감이 가일층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결국 가슴받이부의 탄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몸의 각도와 가슴받이부의 접촉부와의 각도를 맞추기 위하여 개선된 방안을 제시한다.
도 7,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슴받이(300)은 좌판(1)에 앉은 사용자의 몸이 앞쪽으로 치우쳤을 때 사용자의 가슴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기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슴받이(300)는 사용자가 좌판(1)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가슴 앞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슴받이(300)는 연성의 라텍스 재질과 같은 커버를 씌움으로써 사용자의 가슴과 접촉되어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0)는 가슴받이(300)를 의자의 일측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부는 가슴받이(300)의 저면 쪽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좌판(1)의 저면 쪽에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가슴받이의 탄성 변위구조는, 사용자의 가슴을 통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기 가슴받이(300)가 가슴받이지지대(130)를 중심으로 탄성 변위를 일으켜 위치 조정되면서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자세로 기댈 수 있도록 가슴받이(300) 내부에 탄성 변위를 수행하는 탄성수단을 구비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즉,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슴받이(300)는 상판(200)과 하판(100)의 두 부분으로 분리 제조되고, 상기 하판(100)의 저면에는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이 하판(100)의 상부면에는 가슴받이부연결대(210)와 이 가슴받이부연결대(210)의 좌우측에 대향 형성된 팔꿈치지지부(220)가 형성된 상판(200)이 체결 조립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상판(200) 및 하판(100)으로 이루어진 상기 가슴받이(300)는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0)에 의하여 좌판(1) 저면의 다리부(2)가 연결 지지된 부위에 조립 설치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판(100)의 통공(부호 미도시)으로 끼워져 지지대끼움부(30)의 통공(23)에 그 끝단이 끼워지게 되어 회동이 자유스럽게 되어 있다.
즉,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0)는 하판(100)에 형성된 일측 통공으로 끼워짐과 아울러 하판(10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끼움부(30)의 통공(23)에 그 끝단이 끼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판(100)의 일측 통공(부호 미도시) 부분에는 가슴받이지지대(130)를 감싼 상태로 체결볼트(16)에 의해 하판(100) 상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클립부재(21)가 설치되게 된다.
즉, 상기 하판(100)의 통공(부호 미도시)을 보호하기 위하여 고정클립부재(21)를 체결볼트(16)로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20)은 가슴받이지지대(130)에 끼워져 그 일단은 가슴받이지지대(130) 상의 지지대고정부(20a)에서 볼트나 용접, 끼움방식 등에 의하여 고정되고, 타단은 하판(100)에서 상기 고정방식에 의하여 고정된다.
즉,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0)에는 코일스프링(20)이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20)의 일단은 가슴받이지지대(130) 상에 고정됨에 따라 고정된 지점에 지지대고정부(20a)가 형성되고, 코일스프링(20)의 타단은 하판(100) 상에 고정됨에 따라 고정된 지점에 하판고정부(20b)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판(100) 즉 가슴받이가 어느 한 쪽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면, 자연스럽게 탄성 변위되어 가슴을 편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슴안착부를 갖는 의자에 대한 소비자의 호감도를 종래 가슴받이를 갖는 의자와 상호 비교 실험해 보았다. 그 결과, 아래 표 1과 같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
즉, 오랜 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는 학생, 사무원으로 구성된 소비자 60명을 선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와 종래 가슴받이를 갖춘 의자에 착석하여 상체를 30분 동안 기댄 상태로 사용한 다음, 그에 따라 각각이 느끼는 사용상의 불편 정도 및 안락 정도에 대한 종합적인 호감도에 대해서 1점~5점의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소비자의 사용 느낌을 점수화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분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 본 발명에 따른 의자
쿠션감 및 안정감 불편정도 및 피로도 디자인 호감도 쿠션감 및 안정감 불편정도 및 피로도 디자인 호감도
매우미흡(1점) 2 명
다소미흡(2점) 16 명 15 명 6 명 2 명 6 명 8 명
보통(3점) 34 명 37 명 24 명 18 명 16 명 22 명
만족(4점) 10 명 6 명 30 명 36 명 36 명 28 명
대만족(5점) 4 명 2 명 2 명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디자인 호감도 측면에서는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와 본 발명에 따른 의자가 전반적으로 대동소이(大同小異)한 호감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쿠션감 및 안정감과, 불편정도 및 피로도에 대한 소비자의 실질적인 사용 느낌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가 종래의 가슴받이 의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점수를 많이 받고 있으며, 종합적인 호감도에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좌판 2 : 다리부
3 : 등받이부 100 : 하판
130 : 가슴받이지지대 200 : 상판
210 : 가슴받이부연결대 220 : 팔꿈치지지부
300 : 가슴받이 400 : 가슴안착부

Claims (2)

  1.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상판(200)과 상기 상판(200)의 저면을 커버하는 하판(100)으로 분리되어 상호 체결 조립되는 가슴받이(300)가 의자의 일측면에 마련된 가슴받이지지대(130)를 통해서 지지 고정되는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슴받이(300)는 좌우 측이 팔걸이부로 형성된 상판(200)의 중앙부위에 가슴받이부연결대(210)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가슴안착부(400)가 형성되되, 상기 가슴안착부(400)는 좌우단(400a)(400b)으로 길면서 둥글게 가슴부위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0)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판(100)에 형성된 일측 통공으로 끼워짐과 아울러 하판(10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끼움부(30)의 통공(23)에 그 끝단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하판(100)의 일측 통공 부분에는 가슴받이지지대(130)를 감싼 상태로 지지하는 고정클립부재(21)가 체결볼트(16)에 의해 하판(100) 상에 체결 설치되며, 상기 가슴받이지지대(130)에는 코일스프링(20)이 끼워진 상태에서 코일스프링(20)의 일단은 가슴받이지지대(130) 상에 고정됨에 따라 지지대고정부(20a)로 형성됨과 아울러 코일스프링(20)의 타단은 하판(100) 상에 고정됨에 따라 하판고정부(20b)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2. 삭제
KR1020110097359A 2011-09-27 2011-09-27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KR10133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59A KR101331981B1 (ko) 2011-09-27 2011-09-27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59A KR101331981B1 (ko) 2011-09-27 2011-09-27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06A KR20130033606A (ko) 2013-04-04
KR101331981B1 true KR101331981B1 (ko) 2013-11-26

Family

ID=4843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359A KR101331981B1 (ko) 2011-09-27 2011-09-27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9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58Y1 (ko) * 2011-05-17 2011-07-25 이훈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접첩가능한 가슴받이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758Y1 (ko) * 2011-05-17 2011-07-25 이훈 팔꿈치지지판이 형성된 접첩가능한 가슴받이의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606A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5177B2 (ja) 姿勢保持具
EP1720429B1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JP6700487B2 (ja) 姿勢の変化に伴って変形可能な腰下敷用椅子
AU2016262706B2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JP3137036U (ja) 椅子
KR101077053B1 (ko) 의자용 가슴받이의 탄성 변위구조
KR101331981B1 (ko) 가슴안착부가 형성된 의자용 가슴받이 구조
KR200445660Y1 (ko) 의자
JPH11239526A (ja) 角度調節できる椅子用クッション
KR19990046590A (ko) 의자등받이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JPH0646556U (ja) 胸あて付椅子
KR200253650Y1 (ko) 의자 등받이용 머리받침대
KR20130001400U (ko) 기능성 의자
KR101775641B1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를 방지하는 겨드랑이 지지부가 구비된 시트
KR200483324Y1 (ko) 허리 보호용 의자
KR200257026Y1 (ko) 올바른 자세로 앉는 의자
KR20130062621A (ko) 자세 교정용 의자
NL2008448C2 (nl) Zittingelement voor een zitinrichting, zoals een stoel of een kruk, alsmede zitinrichting met een dergelijk zittingelement.
KR20170103728A (ko) 척추 허리 보호 및 하지 정맥류를 방지하는 겨드랑이 지지부가 구비된 시트
KR20140072507A (ko) 보조의자
GB2525955A (en) Ergonomic seat
KR20150063978A (ko) 자세교정 만능의자
US20170245645A1 (en) Cushion for protecting spinal pos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