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442B1 - 회전식 도금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식 도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442B1
KR102502442B1 KR1020210055636A KR20210055636A KR102502442B1 KR 102502442 B1 KR102502442 B1 KR 102502442B1 KR 1020210055636 A KR1020210055636 A KR 1020210055636A KR 20210055636 A KR20210055636 A KR 20210055636A KR 102502442 B1 KR102502442 B1 KR 102502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unit
cell
coupled
plating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8508A (ko
Inventor
주영현
Original Assignee
(주) 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탑스 filed Critical (주) 탑스
Priority to KR1020210055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44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8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2Tanks; Installations therefor
    • C25D17/04External supporting frames or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18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having closed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8Rin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도금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피도금물이 투입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금셀, 상기 도금셀이 장착되고 상기 도금셀에 도금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도금유닛, 상기 도금유닛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도금셀이 장착되고 상기 도금셀에 세척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세척유닛 및 상기 도금셀을 파지하여 상기 도금유닛과 상기 세척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회전식 도금장치{Rotary plating device}
본 발명은 회전식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도금셀을 이동시키면서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회전식 도금장치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작은 부품 등을 대량으로 도금하기 위하여 회전식 도금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회전식 도금장치는 도금셀의 내부에 피도금물을 넣고 도금액을 투입한 후 회전시키면서 도금작업이 수행된다.
한편 회전식 도금장치에서 수행하는 도금작업은 피도금물을 세척하는 세척작업을 수반한다. 또한 도금작업은 하나의 도금액을 사용하여 수행되기도 하지만 복수의 도금액을 종류를 바꾸어 사용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금셀에 피도금물을 투입한 후 1차 도금작업을 수행하고 동일한 도금장치에서 세척작업이나 2차 도금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도금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14727호에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도금장치는 이러한 도금작업을 수행할 때 도금셀의 투입과 배출이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1차 도금작업과 2차 도금작업 중 어느 하나의 도금작업이 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경우 다음 도금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기다려야 하므로 공정이 빠르게 진행되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786호 (2008.03.12)
본 발명은 도금셀을 이동시키면서 개별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장착하여 도금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며, 신속하게 도금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도금장치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피도금물이 투입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금셀, 상기 도금셀이 장착되고 상기 도금셀에 도금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도금유닛, 상기 도금유닛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도금셀이 장착되고 상기 도금셀에 세척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세척유닛 및 상기 도금셀을 파지하여 상기 도금유닛과 상기 세척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를 제시한다.
상기 도금셀은, 양 방향으로 연통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덮도록 이루어지고 밑면에는 받침판과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덮고 양 방향으로 연통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로 갈수록 외주가 커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는, 중앙에 원뿔 모양의 돌기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자석 또는 자성체가 장착되는 제1홈과 받침판의 핀과 결합되는 제2홈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핀 결합과 자력에 의해 받침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피도금물이 투입되는 입구면, 상기 입구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주가 커지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다음 수평으로 연장되어 경사면 단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테두리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금유닛은, 도금셀과 결합하는 핀을 구비하고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축부, 작업대에 배치되고 도금셀이 배치된 하부의 일정 영역을 가리는 제1커버부, 연통되어 양 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을 갖고, 일단이 상기 제1커버부와 접촉하여 상기 도금셀의 상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덮거나 덮힌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동되는 제2커버부 및 애노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커버부의 다른 일단의 개방된 홀을 밀봉하도록 구동됨과 동시에 배관을 통해 도금액을 투입하여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도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축부는 분할된 축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분할된 상기 축은 절연 커플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금유닛은, 상기 제2커버부의 다른 일단의 개방된 홀을 밀봉하도록 구동됨과 동시에 회수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도금셀 내의 도금액을 회수하는 액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회수부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동이 가능한 이동체,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도금셀의 상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덮었을 때 상기 제2커버부의 상부의 개방된 홀에 결합되어 가압하는 가압체 및 상기 가압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도금액을 회수하는 배관과 회수노즐이 구비되는 형성되는 작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유닛은, 도금셀과 결합하는 핀을 구비하고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축부, 작업대에 배치되고 도금셀이 배치된 하부의 일정 영역을 가리는 제1커버부, 연통되어 양 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을 갖고, 일단이 상기 제1커버부와 접촉하여 상기 도금셀의 상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덮거나 덮힌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동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의 다른 일단의 개방된 홀을 밀봉하도록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도금셀 내부에 세척액을 투입하는 한편 밀봉 상태에서 체척작업을 수행하는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세척유닛은, 세척이 완료된 피도금물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도금유닛과 상기 세척유닛이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그립퍼를 구비하여 상기 도금셀의 측부를 파지하는 그립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그립퍼부는,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한 구동체, 상기 구동체에 결합되고 서로 멀어지거나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핑거체 및 상기 핑거체에 각각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핑거체와는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결합되며 도금셀의 측부를 파지하여 잡아주는 파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금셀의 이동이 가능하고, 도금셀을 도금이나 세척 등 개별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고, 개별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적절한 갯수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신속하게 도금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도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금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금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금셀의 사시도.
도 5는 도금셀과 도금유닛의 안착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금셀의 단면도.
도 7은 도금셀이 도금유닛의 안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금유닛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금유닛에서 도금액 투입 및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작동도.
도 10은 도금유닛에서 도금액 흡입공정을 수행하는 작동도.
도 11은 세척유닛에서 세척액 투입 및 세척공정을 수행하는 작동도.
도 12는 세척유닛에서 도금액 세척액 흡입 및 피도금물 회수공정을 수행하는 작동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도금장치의 사시도.
도 14는 도금셀을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도금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장치는, 도금셀(10), 도금유닛(20), 세척유닛 및 이송유닛(40)을 포함한다.
도금셀(1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피도금물이 투입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금셀은 도금유닛(20)에 장착된다. 도금유닛(20)은 도금셀(10)이 장착되고 도금셀(10)에 도금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도금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세척유닛(20)은 도금유닛(10)과 별도의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도금셀(20)이 장착되며 도금액에 세척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세척작업을 수행한다.
이송유닛(40)은 도금셀(10)을 파지하여 도금유닛(10)과 세척유닛(20)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전식 도금장치는 도금셀의 이동이 가능하고, 도금셀을 도금이나 세척 등 개별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고, 개별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적절한 갯수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신속하게 도금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도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이러한 회전식 도금장치에 채용된 도금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금셀의 단면도이다.
도금셀(10)은 피도금물과 도금액이 투입되고 도금작업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몸체부(11), 바닥부(12) 및 덮개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1)는 양 방향으로 연통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132)으로 이루어진다.
몸체부(11)는 내부 공간에 피도금물이 투입되어 위치하게 되고 도금액이 채워져 도금작업이 수행되는 주된 공간이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몸체부(1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양측 단부에는 플랜지(111)가 형성된다. 양측 단부의 플랜지(111)에는 각각 몸체부(11)와 덮개부(13)가 결합된다. 몸체부(11)와 덮개부(13)는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의 외주에는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한 쌍의 그립홈(11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쌍의 그립홈(112)이 형성되어 총 4개의 그립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그립홈(112)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이송유닛(40)의 그립퍼부(43)는 이러한 그립홈(112)과 결합하여 미끄러짐이 없이 도금셀(10)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립홈(112)은 몸체부(11)의 외주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그립홈(112)의 입구는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그립퍼부(43)가 경사진 면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그립홈(112)에 결합될 수 있다.
몸체부(11)는 내부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113)을 구비한다. 도금셀(10)은 회전하면서 내부의 피도금물을 도금하게 되는데 도금작업시 원심력에 의해 피도금물이 경사면(113)을 따라 나란하게 늘어설 수 있으므로 도금이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바닥부(12)는 몸체부(11)의 하부를 덮어 하부를 폐쇄하도록 이루어지고 밑면에는 결합을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바닥부(12)는 도금셀(10)이 놓여지는 안착부(26)에 별도의 결속부재 없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바닥부(12)는 도금셀(10)의 하부를 구성한다. 바닥부(12)는 후술하는 안착부(26)에 결합되어 안착부(26)의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바닥부(12)의 밑면에는 안착부(26)와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바닥부(12)와 안착부(26)의 결합은 핀과 핀홈의 결합 및 자력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닥부(12)는 제1플레이트(121)와 제2플레이트(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플레이트(121)는 중앙에 원뿔 모양의 돌기(128)가 형성되고 몸체부(11)와 함께 피도금물이나 도금액이 투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금작업시 피도금물이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원심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 그 자리에 머물게 되고 도금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원뿔 모양의 돌기(128)에 의해 바닥부(12) 중앙에 피도금물이 위치하기 어렵게 되고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하면서 도금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플레이트(122)는 제1플레이트(121)의 하부에 배치되고 자성체(127)가 장착되는 제1홈(123) 및 안착부(26)의 핀(262)과 결합되는 제2홈(124)이 형성된다. 이때 제1홈(123)에는 자성체 대신 자석이 장착될 수 있고 안착부(26)에 이에 대응하도록 자석 또는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홈(123)은 제2플레이트(122)의 중앙 주위에 복수로 형성되고 자성체(127)가 결합된다. 이때 제2플레이트(122)는 자성체에 자력이 집중되는 한편 자력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자성체(127)와 안착부(26)에 마련된 자석(265)에 의해 도금셀(10)이 안착부(26)에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제1홈(123)의 갯수와 제1홈(123)에 결합되는 자성체(127)의 갯수를 조정하여 자력을 조정함으로써 도금셀(10)과 안착부(26)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2홈(124)은 제1홈(123)의 주위에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홈(124)에는 안착부(26)에 구비된 핀(262)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26)와 도금셀(10)의 핀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2홈(124)과 핀(262)의 결합에 의해 도금셀(10)이 안착부(26)의 정확한 위치에 놓여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핀(262)의 결합에 의해 안착부(26)의 회전 구동이 도금셀(10)에 전달될 수 있어 도금셀(10)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레이트(122)에는 제1홈(123)과 제2홈(124) 외에도 제3홈(125)과 제4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3홈(125)은 제2플레이트(122)의 중앙에 비교적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구동기의 축(271)의 단부가 결합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기의 축(271)의 단부와 제3홈(125)의 결합에 의해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지는 않지만 구동기의 축(271)의 단부와 제3홈(125)이 결합하면서 도금셀(10)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된다.
제4홈(126)은 제2홈(124)의 외곽으로 원 형상으로 이어진 하나의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4홈(126)이 형성됨에 따라 도금셀(10)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적은 힘으로도 도금셀(10)을 빠르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덮개부(13)는 몸체부(11)의 상부를 덮도록 이루어지고 양 방향으로 연통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로 갈수록 외주가 커지는 경사면(132)을 구비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덮개부(13)는 몸체부(11)의 상부를 구성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덮개부(13)는, 입구면(131), 경사면(132) 및 테두리면(133)으로 이루어진다.
입구면(131)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피도금물이 투입되는 부분이다. 경사면(132)은 이러한 입구면(131)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주가 커지는 형태를 가진다. 또한 테두리면(133)은 경사면(132)으로부터 연장되고, 경사면(132)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다음 수평으로 연장되어 경사면(132) 단부에 단차홈(134)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차홈(134)에 의해 도금작업시 또는 세척작업시 피도금물이 도금액이나 세척액을 따라 도금셀(10)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즉 단차홈(134)이 없는 경우 원심력에 의해 도금액 또는 세척액이 도금셀(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할 수 있고 피도금물도 함께 도금셀(1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는데 단차홈(134)이 이러한 이동을 방해하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3)의 입구면(131)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슬릿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릿홀(135)에는 매쉬망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금액, 세척액 및 피도금물이 상부로 이동하는 현상에 따라 일부 피도금물이 입구면(131)까지도 이를 수 있는데 슬릿홀(135)의 매쉬망을 통해 피도금물의 이동을 매개하는 도금액이나 세척액이 빠져나가면서 피도금물이 도금셀(10) 하부로 낙하할 수 있다.
한편 덮개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면(133) 상부에 적층되는 보강판(13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강판(136)과 테두리면(133)은 일체로 몸체부(11)와 결합되게 된다. 보강판(136)에 의해 몸체부(11)와 덮개부(13)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금셀(10)은 이송유닛(40)을 이용하여 이동이 가능하고 개별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며, 신속하게 도금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금유닛은 도금작업이 수행되는 구성으로서, 장착유닛을 구성하는 안착부(26), 축부(27), 구동부(28)와 액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도금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1커버부(21), 제2커버부(22), 밀봉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밀봉부(23)는 도금부(24)와 액회수부(25)의 형태를 가지고 실제적인 도금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부분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60)에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금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금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금셀과 도금유닛의 안착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금셀이 도금유닛의 안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안착부(26)는 회전식 도금장치의 도금셀(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도면을 참조하면 받침판(261), 핀(262), 결합부재(263) 및 자석(26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받침판(261)은 편평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도금셀(10)이 놓여진다. 받침판(261)에 도금셀(10)이 놓여지면 받침판(261)의 상면과 도금셀(10)의 밑면은 서로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받침판(261)의 상부로는 복수의 핀(262)이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핀(262)들은 도금셀(10)의 밑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홈(124)과 결합하게 된다.
한편 자석(265)은 도금셀(10)의 자성체(127)와 대응하도록 받침판(261)의 중앙 주위에 복수로 장착된다. 이때 받침판(261)은 자력이 집중되는 한편 자력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비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부재(263)의 일단은 받침판(261)의 중앙을 관통하여 받침판(261)의 상부로 돌출되고 도금셀(10)의 제3홈(125)과 결합된다. 결합부재(263)는 받침판(261)과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고 결합부재(263)의 다른 일단은 구동부(28)와 연결된 축(271)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축(271)이 회전하면 받침판(261)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핀(262)과 자력에 의해 받침판(261)에 결합된 도금셀(10)을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결합부재(263)의 일단은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며 제3홈(125)의 바닥과 닿지 않고 다소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263)의 일단에는 함몰된 수용홈(264)이 형성된다. 수용홈(264)을 통해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부재(263)와 축(271)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안착부(26)는 받침판(261)의 중앙에 결합부재(263)가 돌출되어 위치하고 결합부재(263) 주위에 핀(262)이 돌출되어 배치되는 형태가 된다. 이에 따라 도금셀(10)은 결합부재(263) 및 핀(262)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받침판(261)에 놓여지게 된다. 이때 받침판(261)과 도금셀(10)은 자력에 의해 결합되므로 결합이 견고한 한편 도금셀(10)의 이동도 가능해 진다.
한편 결합부재(263)가 축(271)의 일단과 결합되어 축 단부를 커버하는 한편 받침판(261)의 상부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므로 받침판(261)에 떨어진 도금액이나 세척액이 축(271)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축부(27)는 안착부(26)의 중심에 결합되어 안착부(26)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축부(27)의 축(271)의 일단은 안착부(26)의 결합부재(263)에 결합된다. 결합부재(263)가 받침판(261)과 일체가 되도록 결합되므로 축(271)의 회전은 결합부재(263)와 받침판(261)을 거쳐 도금셀(10)에 전달되고 도금셀(10)이 회전하도록 한다.
한편 축부(27)는 분할된 축(271)들이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축부(27)는 2개의 분할된 축(271)으로 이루어지고 분할된 2개의 축(271)은 커플링(272)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때 커플링(272)은 절연 기능을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구동부(28)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분할된 상부의 축에 캐소드(음극에 해당)가 연결되고 도금셀(10) 내에 채워지는 도금액에 애노드(양극에 해당)가 연결되어 통전되면서 전기도금이 이루어지는데 절연 기능을 가진 커플링(272)을 개재하여 분할된 축(271)으로 구성하면 구동부(28)로 도금에 사용되는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도금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부(28)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28)는 축부(27)에 연결되고 축부(27)가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부(28)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기어드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1커버부(21)는 도금셀(10)이 배치된 하부의 일정 영역을 가리는 구성으로서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수용체(211), 플랜지(212) 및 돌출체(2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과 도 8을 참조하면, 수용체(211)는 도금셀(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내측통(215)과 내측통(215)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외측통(216)이 연결면(217)을 통해 하부에서 서로 이어져 도금셀(10)에서 비산되는 도금액을 수용한다.
여기에서 수용체(211)에는 도금셀(10)로부터 비산되어 수용된 도금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14)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외측통(216)과 내측통(215)의 하부는 타원 형상이 되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이를 이어주는 연결면(215) 역시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경사진 연결면(215)의 낮은 부분에 배출관(214)이 형성되어 있어 수용체(211)에 담긴 도금액은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관(214)으로 배출된다.
이때 외측통(216)의 내경은 도금셀(10)의 외주보다 크게 형성하고 내측통(215)의 내경은 도금셀(10)의 하부의 외주보다 작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금셀(10)의 하부의 테두리가 외측통(216)과 내측통(215)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비산된 도금액은 전체적으로 수용체(211)에 수용되게 된다.
내측통(215)의 중앙으로는 구동부(28)와 연결되는 축(27)이 통과하여 도금셀(10)이 놓여진 안착부(26)와 결합하게 된다.
플랜지(212)는 수용체(211)의 외측통(215)의 단부에서 외측통(215)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작업대(50)에 놓여진다. 플랜지(212)가 작업대에 놓여짐으로써 제1커버부(21)는 작업대(50)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돌출체(213)는 플랜지(212)로부터 수용체(211)와 반대 방향을 향해 일정 높이로 돌출되고 폐곡면을 이룬다. 돌출체(213)의 상부는 제2커버부(22)와 접촉하여 도금셀(10)의 주위는 외부와 차단되게 된다. 돌출체(213)의 상부와 제2커버부(22)(제2커버부의 플랜지(222))가 맞닿도록 하여 안정적인 공간 폐쇄가 가능하다.
한편 제2커버부(22)는 도금셀(10)이 배치된 상부의 영역을 가리는 구성으로서 연통되어 양 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을 갖고, 커버체(221), 플랜지(222) 및 결합체(223)를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커버체(221)는 연통되어 양 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을 갖고 도금셀(10)의 상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덮는다. 커버체(221)의 외측에는 연결부재(225)가 결합되고 연결부재의 일정 지점이 축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편 연결부재(225)의 단부가 실린더 로드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226)가 작동하면 연결부재(225)는 단부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되고 연결부재에 결합된 커버체(221)도 회전함으로써 도금셀(10)의 상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덮거나 덮힌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동된다.
한편 커버체(221)에는, 도금작업시 도금셀(10)로부터 발생하여 커버체(221) 내부에 채워지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24)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222)는 커버체(221)의 일측에 커버체(221)와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커버체(221)가 도금셀(10)을 덮었을 때 플랜지(222)의 밑면이 제1커버부(21)와 맞닿게 된다. 이때 커버체(221)의 끝단은 제1커버부(21)의 내측통(215)과 외측통(216)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플랜지(222)의 상부에는 복수의 가이드블록(228)이 구비되어 커버체(221)가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결합체(223)는 커버체(221)의 다른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커버체(221)의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229)을 갖는 홀이 형성된다. 이 홀에 밀봉부(23)가 결합되어 도금셀(10)의 상부의 공간은 완전하게 밀폐된다.
한편 밀봉부(23)는 제2커버부(22)의 상부의 개방된 홀을 밀봉하도록 구동됨과 동시에 도금액 또는 세척액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구비한다. 밀봉부(23)는 이동체(231), 가압체(232) 및 작용체(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도금부(24), 액회수부(25), 세척부(31)로 작용할 수 있다.
이동체(231)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동이 가능하여 작용체(233)를 제2커버부(22)의 홀 상부에 위치시키거나 가압체(232)가 홀에 결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체(231)는 작업대(50)의 하부에 위치한 상하 구동기와 회전 구동기에 의해 2차원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이동체(231)는 회전 구동에 의해 제2커버부(22)의 홀 상부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하 구동기에 의해 제2커버부(22)의 홀에 결합되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가압체(232)는 탄성부재(234)가 개재되어 이동체(231)에 결합되고, 제2커버부(22)가 도금셀(10)의 상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덮었을 때 제2커버부(22)의 상부의 개방된 홀에 결합되어 가압한다. 밀봉부(23)가 홀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부로 일정 거리를 이동하면 탄성부재(234)는 변형되면서 밀봉부(23)가 홈에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가압체(232)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에 실링부재(235)가 구비될 수 있다. 실링부재(235)는 경사면에 홈을 형성하고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제2커버부(22)의 개방된 홀에도 대응되는 경사면(229)이 형성되므로 각 경사면 사이에서 실링부재가 밀착되면서 가압체(232)와 제2커버부(22)가 결합될 수 있다.
작용체(233)는 가압체(232) 내부를 관통하여 이동체(231)에 결합되고 내부에 도금액 또는 세척액이 이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작용체(233)는 도금액이 저장된 저장조 또는 세척액이 저장된 저장조와 연결되고 펌프의 구동에 의해 도금액 또는 세척액을 분출하거나 도금셀(10) 내부에 채워진 도금액 또는 세척액에 잠기도록 위치할 수 있는 노즐을 통해 도금액 또는 세척액을 흡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금셀(10)의 회전에 의해 도금작업 또는 세척작업이 수행될 때 도금액 또는 세척액이 도금셀(10)의 외부로 비산되더라도 제1커버부(21), 제2커버부(22) 및 밀봉부(23)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주변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커버부(21), 제2커버부(22) 및 밀봉부(23)는 비산방지구조를 이룬다.
상술한 밀봉부(23)는 도금유닛(20)에서 도금부(24)와 액회수부(25)의 구성을 가지고 도금작업과 액회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세척유닛(30)에서 세척부(31)의 구성을 가지고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금유닛에서 도금액 투입 및 도금공정을 수행하는 작동도이고, 도 10은 도금유닛에서 도금액 흡입공정을 수행하는 작동도이다.
도금부(24)는 상술한 밀봉부(23)의 기본 구성을 채용하여 이동체(231), 가압체(232) 및 작용체(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만 도금부(24)에서 작용체(233)는 도금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1작용체로서 제1작용체는, 애노드(241), 단자(242), 액공급유로(243) 및 액분출구(244)를 구비한다.
단자(242)는 일단이 이동체(231)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작용체(233)에 내재되고 다른 일단은 애노드(241)에 연결된다. 애노드(241)는 작용체(233)의 일단에 구비되고 가압체(232)의 내측을 통과하여 배치된다. 애노드(241)는 도금작업시 도금셀(10)의 내부에 위지하게 된다. 애노드(241)는 속이 비어 있는 통 형상의 망으로 이루어진다. 도금작업은 단자(242)에 양극이 연결되고 안착부(26)를 회전시키는 축(27)에 음극이 연결되어 도금셀(10)이 통전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액공급유로(243)는 제1작용체 내부에 형성되고 배관이 연결되어 도금액을 이동시키며 유로 끝에 형성된 액분출구(244)를 통해 도금액이 분출되도록 유도한다. 액분출구(244)는 제1작용체의 밑면에 형성되어 있고, 도금액은 애노드(241)의 내부공간을 통해 도금셀(10)에 채워지게 된다.
한편 액회수부(25) 역시 상술한 밀봉부(23)의 기본 구성을 채용하여 이동체(231), 가압체(232) 및 작용체(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액회수부(25)에서 작용체(233)는 도금액을 회수하기 위한 제2작용체로서 제2작용체는, 회수노즐(251) 및 액회수유로(252)를 포함한다.
회수노즐(251)은 제2작용체의 하측면에서 길게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액회수유로(252)는 제2작용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회수노즐(251)의 일단이 결합된다. 회수노즐(251)의 다른 일단은 액회수부(25)가 제2커버체(221)와 결합될 때 도금셀(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도금액에 잠기게 된다. 이때 펌프의 작용에 의해 액회수유로(252)와 회수노즐(251)에 음압이 형성되면 도금셀(10) 내부에 채워져 있는 도금액을 흡입하여 회수하게 된다.
도 11은 세척유닛에서 세척액 투입 및 세척공정을 수행하는 작동도이고, 도 12는 세척유닛에서 도금액 세척액 흡입 및 피도금물 회수공정을 수행하는 작동도이다.
세척유닛(30)은 도금유닛(20)과 별도의 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도금셀(10)이 장착되고 도금액에 세척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세척작업을 수행한다.
세척유닛(3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금유닛(20)과 동일하다. 즉 세척유닛(30)은 장착유닛을 구성하는 안착부(26), 축부(27), 구동부(28)와 액의 비산을 방지하면서 세척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1커버부(21), 제2커버부(22), 밀봉부(23)를 포함하는 구성들이 프레임(60)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세척유닛(3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도금유닛(2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 배치되지 않는 범위에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밀봉부(23)가 세척부(31)로 구성되어 도금셀(10)의 내부의 피도금물을 세척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피도금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척부(31)는 상술한 밀봉부(23)의 기본 구성을 채용하여 이동체(231), 가압체(232) 및 작용체(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세척부(31)에서 작용체(233)는 세척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3작용체로서 제3작용체는, 액공급유로(311) 및 액분출구(312)를 구비한다.
액공급유로(311)는 제3작용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배관이 연결되어 세척액을 이동시키며 유로 끝에 형성된 액분출구(312)를 통해 세척액이 분출되도록 유도한다. 액분출구(312)는 제3작용체의 밑면에 형성되어 있고, 액분출구(312)는 세척부(31)가 제2커버체(221)와 결합될 때 도금셀(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적으로 세척액이 도금셀(10)의 내부를 채우게 된다.
한편 액회수부(25)와 세척부(31)는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구성을 같이 하고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하나의 작용체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액회수부(25)와 세척부(31)의 작용체(233)는 회수노즐(251), 액회수유로(252), 액공급유로(311) 및 액분출구(312)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 형태로서 이러한 작용체(233)를 사용하는 경우 액회수부(25)와 세척부(31)로 각각 사용할 수도 있고 액회수부(25)와 세척부(31)를 겸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액회수부(25)와 세척부(31)를 겸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세척부(31)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액회수유로(252)에 연결되는 배관을 분기시키고 분기된 배관에 밸브를 장착하여 도금액을 회수할 때와 세척액을 회수할 때 서로 다른 밸브가 열리도록 제어함으로써 도금액과 세척액을 각각 회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회수부(32)는 도금이 완료된 피도금물을 회수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동체(321)와 회수모듈(3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수부(32)는 제2커버부(22)와 밀봉된 상태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동체(321)는 상하 및 회전 이동이 가능하여 회수모듈(322)을 제2커버부(22)의 홀 상부에 위치시키거나 회수모듈(322)이 도금셀(1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회수모듈(322)은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물 배관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부재(323)와 피도금물을 흡입하여 연결된 배관을 통해 회수하는 흡입부재(324)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급부재(323)와 흡입부재(324)는 브래킷(325)에 결합되고 이 브래킷(325)은 이동체(321)에 구비되는 볼스크류에 결합되어 직선 운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체(321)가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회수모듈(322)이 도금셀(10)의 내부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피도금물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회수부(32)는 물을 공급하면서 물과 함께 피도금물을 흡입하여 회수하므로 피도금물 회수가 용이하고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다. 흡입된 물과 피도금물은 망을 구비하는 거름유닛(미도시)을 통해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금이 완료된 피도금물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금유닛(20)과 세척유닛(30)은 각각으로 이루어진 모듈로 구성되거나 각 유닛이 합쳐져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모듈들이 배치되어 도금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먼저 도금유닛(20)과 세척유닛(30)은 각각 프레임(60)과 작업대(50)를 달리하여 별도의 모듈로 구성되고 이러한 도금유닛과 세척유닛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도금장치(100)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금유닛(20)의 공정시간이 세척유닛(30)의 2배 정도가 되는 경우 도금유닛(20) 2개에 세척유닛(30) 1개를 배치하고 도금셀(10)을 이동하면서 도금공정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정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금유닛(20)과 세척유닛(30)이 함께 프레임(60)과 작업대(50)를 같이 하여 하나의 모듈로 구성되고 이를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도금장치(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서로 다른 도금이 연속적으로 필요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도금유닛(20)과 세척유닛(30)이 결합된 모듈을 2개 연속적으로 배치하고 도금셀(10)을 이동하면서 1차도금, 1차세척, 2차도금, 2차세척의 순서로 도금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도금장치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금유닛으로 이동하기 전 피도금물이 투입된 상태의 도금셀을 대기시키는 투입유닛과 세척이 완료된 도금셀이 배출되어 놓여지는 배출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1차도금과 2차도금에 시간의 차이에 있고 2차도금의 시간이 1차도금과 1차세척의 시간을 합친 시간과 비슷한 경우 2차도금에 대한 세척은 세척유닛을 더 마련하거나 별도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등으로 운용이 가능하다.
이송유닛(40)은 도금셀(10)을 파지하여 도금유닛(20)과 세척유닛(30)으로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인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이송유닛(40)은, 가이드부(41), 이송부(42) 및 그립퍼부(43)를 포함한다.
가이드부(41)는 도금유닛과 세척유닛이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된다. 가이드부(41)로는 홈이 형성된 이송레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송부(42)는 가이드부(41)에 결합되고 가이드부(41)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이송부(42)에는 이송레일의 홈에 결합하여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블록(미도시)이 구비된다. 이송부(42) 내에는 그립퍼부(43)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가 탑재될 수 있다. 구동장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립퍼부(43)는 이송부(42)에 결합되고 그립퍼 수단을 구비하여 도금셀의 측부를 파지한다. 이를 위하여 그립퍼부(43)는 구동체(431), 핑거체(432) 및 파지체(4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체(431)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구동체(431) 내부에는 핑거체(43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탑재되고 구동장치는 한 쌍의 볼스크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핑거체(432)는 구동체(431)에 결합되고 서로 멀어지거나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핑거체(432)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구동체(431)에 탑재된 볼스크류에 연결되어 서로 멀어지거나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핑거체(432)는 도금셀(10)을 파지할 때 단부가 도금셀(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파지체(433)는 핑거체(432)에 각각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핑거체(432)는 탄성부재(434)를 개재하여 결합되며 도금셀(10)의 측부를 파지하여 잡아준다. 파지체(433)는 도금셀(10)의 측부를 향하도록 핑거체(432)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파지체(433)가 핑거체(432)와 탄성부재(434)를 개재하여 결합됨으로써 도금셀(10)의 측부를 손상없이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다. 또한 도금셀(10)의 측부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미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도금셀(10)의 이동이 가능하고, 도금셀(10)이 도금 또는 세척 등의 하나의 개별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고, 개별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적절한 갯수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신속하게 도금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도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금유닛(20)과 세척유닛(30)이 각각 하나씩 구비된 도금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설명은 도금유닛과 세척유닛이 복수로 결합된 형태의 다른 도금장치의 설명에도 적용될 수 있다.
먼저 피도금물이 투입된 도금셀(10)을 이송유닛(40)이 파지하여 도금유닛(20)에 장착한다. 도금셀(10)에 형성된 그립홈(112)을 이송유닛(40)의 그립퍼부(43)가 파지함으로써 도금셀(10)은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으며, 도금셀(10)은 핀과 자석에 의한 결합에 따라 안착부(26)의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금셀(10)이 도금유닛(20)에 장착되면 제1커버부(21)와 제2커버부(22)에 의해 도금셀(10)을 감싸고 도금부(24)가 커버부의 상부 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금액을 투입한 후 도금셀(10)을 회전시켜 도금작업을 수행한다. 이어서 도금작업이 완료되면 액회수부(25)가 제2커버부(22)의 상부 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금액을 회수한다.
이어서 도금셀(10)을 세척유닛(30)으로 이동시킨다. 도금셀(10)을 도금유닛(20)에서 세척유닛(30)으로 이동시키는 것 역시 상술한 이송유닛(40)을 사용할 수 있다.
세척유닛(30)으로 이동된 도금셀(10)은 제1커버부(21)와 제2커버부(22)에 의해 도금셀(10)을 감싸고 세척부(31)가 제2커버부(22)의 상부의 홀을 폐쇄한 상태에서 세척액을 투입한 후 도금셀(10)을 회전시켜 세척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세척부(31)에 회수노즐(251)과 액회수유로(252)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세척작업이 종료된 후 세척액을 흡인하여 즉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세척액을 회수한 후에는 회수부(32)를 작동시켜 도금이 완료된 피도금물을 회수할 수 있다. 피도금물이 회수되고 남은 도금셀(10)은 다시 이송유닛(40)에 의해 세척유닛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금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도금셀
11 : 몸체부 111 : 플랜지 112 : 그립홈 113 : 경사면
12 : 바닥부 121 : 제1플레이트 122 : 제2플레이트
123 : 제1홈 124 : 제2홈 125 : 제3홈 126 : 제4홈
127 : 자성체 128 : 돌기
13 : 덮개부 131 : 입구면 132 : 경사면 133 : 테두리면
134 : 단차홈 135 : 슬릿홀 136 : 보강판
20 : 도금유닛
21 : 제1커버부 211 : 수용체 212 : 플랜지 213 : 돌출체
214 : 배출관 215 : 내측통 216 : 외측통 217 : 연결면
22 : 제2커버부 221 : 커버체 222 : 플랜지 223 : 결합체
224 : 배출관 225 : 연결부재 226 : 실린더
228 : 가이드블록 229 : 경사면
23 : 밀봉부 231 : 이동체 232 : 가압체 233 : 작용체
234 : 탄성부재 235 : 실링부재
24 : 도금부 241 : 애노드 242 : 단자 243 : 액공급유로
244 : 액분출구
25 : 액회수부 251 : 회수노즐 252 : 액회수유로
26 : 안착부 261 : 받침판 262 : 핀 263 : 결합부재 264 : 수용홈
265 : 자석
27 : 축부 271 : 축 272 : 커플링
28 : 구동부
30 : 세척유닛
31 : 세척부 311 : 액공급유로 312 : 액분출구
32 : 회수부 321 : 이동체 322 : 회수모듈 323 : 공급부재
324 : 흡입부재 325 : 브래킷
40 : 이송유닛
41 : 가이드부 42 : 이송부 43 : 그립퍼부
431 : 구동체 432 : 핑거체 433 : 파지체 434 : 탄성부재
50 : 작업대 60 : 프레임 100 : 도금장치

Claims (12)

  1.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피도금물이 투입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금셀,
    상기 도금셀이 장착되고 상기 도금셀에 도금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도금유닛,
    상기 도금유닛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도금셀이 장착되고 상기 도금셀에 세척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세척유닛 및
    상기 도금셀을 파지하여 상기 도금유닛과 상기 세척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금유닛은,
    도금셀과 결합하는 핀을 구비하고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축부,
    작업대에 배치되고 도금셀이 배치된 하부의 일정 영역을 가리는 제1커버부,
    연통되어 양 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을 갖고, 일단이 상기 제1커버부와 접촉하여 상기 도금셀의 상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덮거나 덮힌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동되는 제2커버부 및
    애노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2커버부의 다른 일단의 개방된 홀을 밀봉하도록 구동됨과 동시에 배관을 통해 도금액을 투입하여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도금부
    를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2.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피도금물이 투입되고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도금셀,
    상기 도금셀이 장착되고 상기 도금셀에 도금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도금작업을 수행하는 도금유닛,
    상기 도금유닛으로부터 이동된 상기 도금셀이 장착되고 상기 도금셀에 세척액을 채워 회전시키면서 세척작업을 수행하는 세척유닛 및
    상기 도금셀을 파지하여 상기 도금유닛과 상기 세척유닛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유닛은,
    도금셀과 결합하는 핀을 구비하고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를 회전시키는 축부,
    작업대에 배치되고 도금셀이 배치된 하부의 일정 영역을 가리는 제1커버부,
    연통되어 양 단부가 개방되는 공간을 갖고, 일단이 상기 제1커버부와 접촉하여 상기 도금셀의 상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덮거나 덮힌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동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제2커버부의 다른 일단의 개방된 홀을 밀봉하도록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도금셀 내부에 세척액을 투입하는 한편 밀봉 상태에서 체척작업을 수행하는 세척부
    를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셀은,
    양 방향으로 연통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를 덮도록 이루어지고 밑면에는 받침판과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바닥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부를 덮고 양 방향으로 연통되는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로 갈수록 외주가 커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덮개부
    를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중앙에 원뿔 모양의 돌기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자석 또는 자성체가 장착되는 제1홈과 받침판의 핀과 결합되는 제2홈이 형성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핀 결합과 자력에 의해 받침판에 결합되는 회전식 도금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피도금물이 투입되는 입구면,
    상기 입구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하부로 갈수록 외주가 커지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다음 수평으로 연장되어 경사면 단부에 단차홈이 형성되는 테두리면
    을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분할된 축이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분할된 상기 축은 절연 커플링으로 서로 연결되는 회전식 도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유닛은,
    상기 제2커버부의 다른 일단의 개방된 홀을 밀봉하도록 구동됨과 동시에 회수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도금셀 내의 도금액을 회수하는 액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회수부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동이 가능한 이동체,
    탄성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부가 상기 도금셀의 상부 주변을 둘러싸도록 덮었을 때 상기 제2커버부의 상부의 개방된 홀에 결합되어 가압하는 가압체 및
    상기 가압체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체에 결합되고 내부에 도금액을 회수하는 배관과 회수노즐이 구비되는 형성되는 작용체
    를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세척이 완료된 피도금물을 회수하는 회수부를 더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도금유닛과 상기 세척유닛이 배치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송부 및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그립퍼를 구비하여 상기 도금셀의 측부를 파지하는 그립퍼부
    를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부는,
    상기 이송부에 결합되고 상하 방향으로 구동이 가능한 구동체,
    상기 구동체에 결합되고 서로 멀어지거나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핑거체 및
    상기 핑거체에 각각 결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핑거체와는 탄성부재를 개재하여 결합되며 도금셀의 측부를 파지하여 잡아주는 파지체
    를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12. 삭제
KR1020210055636A 2021-04-29 2021-04-29 회전식 도금장치 KR102502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36A KR102502442B1 (ko) 2021-04-29 2021-04-29 회전식 도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636A KR102502442B1 (ko) 2021-04-29 2021-04-29 회전식 도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508A KR20220148508A (ko) 2022-11-07
KR102502442B1 true KR102502442B1 (ko) 2023-02-23

Family

ID=84043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636A KR102502442B1 (ko) 2021-04-29 2021-04-29 회전식 도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4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3596A (ja) 2004-01-29 2005-08-11 Ebara Corp めっき装置及びめっき方法
JP2008303419A (ja) * 2007-06-06 2008-12-18 C Uyemura & Co Ltd ワークの表面処理システム
CN203923430U (zh) 2014-06-18 2014-11-05 肇庆市格朗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电子元件离心电镀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2226B1 (no) 2005-04-01 2006-08-28 Stokke As Festebrakett til en stol med to vanger og seteplate
KR101351964B1 (ko) * 2012-05-14 2014-01-24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과도금 제거 장치 및 강판 도금 설비
KR102247496B1 (ko) * 2014-10-17 2021-05-03 덕산하이메탈(주) 미세 구형 도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3596A (ja) 2004-01-29 2005-08-11 Ebara Corp めっき装置及びめっき方法
JP2008303419A (ja) * 2007-06-06 2008-12-18 C Uyemura & Co Ltd ワークの表面処理システム
CN203923430U (zh) 2014-06-18 2014-11-05 肇庆市格朗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微型电子元件离心电镀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508A (ko)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2281B2 (en) Workpiece surface treatment system
JP2683940B2 (ja) ワークの自動洗浄装置
JP3979847B2 (ja) めっき装置
CN202155327U (zh) 酶标板洗板机
CN205741267U (zh) 电镀设备
CN102392289A (zh) 表面处理装置
KR101043229B1 (ko) 기판 전기도금장치
KR102565317B1 (ko) 기판 세정 방법
KR102502442B1 (ko) 회전식 도금장치
CN207806024U (zh) 一种轮胎内壁清洗烘干机
JP2003119597A (ja) メッキ装置及びメッキ方法
KR102519661B1 (ko) 회전식 도금장치의 비산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식 도금장치
US6610182B2 (en) Cup-type pl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lating wafers
EP0725167A1 (en) Surface treatment device
KR101841439B1 (ko) 베타전지 제조용 방사성동위원소 전기도금장치
US20080035171A1 (en)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apparatus for porous member
CN216323652U (zh) 一种换挡拨叉总成自动喷油清洗设备
WO2018117113A1 (ja) 液体吐出装置、同吐出装置を備える塗布装置およびその塗布方法
KR20200019327A (ko) 반도체 웨이퍼용 에칭 장치
JPH07118892A (ja) 表面処理装置
CN114746585B (zh) 电镀系统
JP7496009B1 (ja) 重力式分注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細胞継代培養装置、並びにその細胞継代培養装置を用いた細胞継代培養方法
CN101645396B (zh) 一种薄膜自动剥离装置
CN215198709U (zh) 一种可清洗加样针的清洗装置和系统
KR102502457B1 (ko)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한 도금셀 및 이를 구비하는 도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