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890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890B1
KR102501890B1 KR1020200161737A KR20200161737A KR102501890B1 KR 102501890 B1 KR102501890 B1 KR 102501890B1 KR 1020200161737 A KR1020200161737 A KR 1020200161737A KR 20200161737 A KR20200161737 A KR 20200161737A KR 102501890 B1 KR102501890 B1 KR 10250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data
face
blockchai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558A (ko
Inventor
신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Priority to KR102020016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8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42Anonymization, e.g. involving pseudony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8Medical equipments

Abstract

실시예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사용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솔루션은 개인정보제공 동의하에, 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직접 관리·통제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앱)에 의해서 각각의 개인별로 다수의 상이한 진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를 통해 의료 마이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이러한 경우에, 의료 마이 데이터에 대해서 의료 메타 데이터(진료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해서 관리하고,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만을 자신의 의료정보 활용시에 가공하여 제공하며, 각각의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한다.
특히, 이러한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이 있으므로, 휴리스틱 가명화 후에 k-익명성(k-anonymity) 모델을 적용해서 가명처리(비식별)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개인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자신의 의료정보를 주체적으로 관리·통제함으로써, 개인이 직접 의료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특히 이러한 경우에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을 해결하고, 가명처리에 대한 적정성을 제공함으로써, 의료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외부에 전송하여 관리를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Solution for having intergrity, reliability and accuracy to assumed data employing blockchai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개인의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의 의료 정보가 관리될 경우,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개인의 의료 정보를 주체적으로 관리·통제해서, 개인이 직접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들어, 의료정보 거래서비스를 통해 환자 건강상태와 진단 개선을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의료비 지출 상승과, 인구 고령화, 비용 절감을 위한 공공 정책, 그리고 고객 위주의 트렌드와 맞물려 의료정보 거래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의료정보 거래서비스 건강관리 시스템은 의료서비스 제공 방식에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 관련된 업계에서는 환자들의 개인 의료정보가 보안을 기반으로 제대로 활용된다면, 그동안 의료기관 사이에 환자의 의료정보가 공유되지 않아 발생했던 사회적 비용 절감 및 제대로 대처할 수 없었던 응급 상황도 해결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런데, 2019년 마이데이터 실증서비스 사업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개인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신규서비스를 추진하지만, 개인이 자신의 정보를 어떻게 관리하고
통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권한과 실질적 수단에 대한 계획은 없다고 나와 있다.
또한, 실증서비스 과제를 살펴보면 수요자(개인)가 발굴한 것이 아니라 기업
및 병원 등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차원에서 접근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배경의 선행기술문헌은 아래의 특허문헌들이 나올 정도이다.
(특허문헌 0001) KR1020200100412 A
(특허문헌 0002) KR102111141 Y1
참고적으로,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의료 정보를 안전하게 비영리적으로 환자와 병원 간에 공유하는 기술 정도이다.
그리고, 특허문헌 2의 기술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의료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블록체인으로 암호화된 의료데이터를 복호화하는 키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의료데이터의 접근정보를 반드시 기록하여 의사 등의 관련된 측에서 의료데이터의 접근이력을 파악, 관리한다.
개시된 내용은, 우선적으로 개인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특정 블록체인 기반의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자신의 의료정보를 주체적으로 관리·통제함으로써, 개인이 직접 의료정보를 관리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사용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은,
비대면 방식의 개인정보제공 동의하에, 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직접 관리·통제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앱)에 의해서 각각의 개인별로 다수의 상이한 진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를 통해 의료 마이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이러한 경우에, 의료 마이 데이터에 대해서 의료 메타 데이터(진료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해서 관리하고,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만을 자신의 의료정보 활용시에 가공하여 제공하며, 각각의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한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이 있으므로, 휴리스틱 가명화 후에 k-익명성(k-anonymity) 모델을 적용해서 가명처리(비식별)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솔루션은,
비대면 방식의 개인정보제공 동의하에, 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직접 관리·통제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앱)을 구비해서, 각각의 개인별로 가명처리한 다수의 상이한 진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를 통해 의료 마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의료 메타 데이터(진료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해서 관리하고,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만을 자신의 의료정보 활용시에 가공하여 제공하며, 각각의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 각 개인의 진료 정보를 가명처리해서 제공하는 병원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각 개인의 가명처리한 의료 메타 데이터로서 제공받아 활용하는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1) 개인이 진료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미리 등록된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에 의료 마이 데이터의 제공을 동의해서, 비대면 방식의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하고,
b-1) 상기 개인정보제공 동의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록하고,
c-1) 개인이 진료를 받은 경우, 상기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으로부터 자신의 진료 정보를 가명처리한 상태로 수신하고,
d-1) 상기 수신된 진료 정보를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에 의해 의료 마이 데이터로 생성하며,
e-1) 상기 생성된 의료 마이 데이터를 의료 메타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하고,
f-1)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은 스토리지에 등록해서,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고,
g-1)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등록함으로써, 진료 정보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2) 상기 진료 정보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를 활용할 경우, 미리 등록된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의료 마이 데이터를 요청받고,
b-2)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의 요청 업체에 관한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c-2)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의료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 가공하고,
d-2) 상기 가공된 의료 메타 데이터를 해당하는 요청 업체의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로 제공한다.
특히, 이러한 경우 상기 가명처리는,
ㄱ) 미리 설정된 제 1 단계로, 개인의 진료 정보가 외부로 송신될 경우, 해당하는 의료 데이터에서 식별자에 해당하는 여러 값을 휴리스틱 가명화를 적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대체함으로써, 먼저 가명화하고,
ㄴ) 미리 설정된 제 2 단계로, 상기 가명화가 된 경우에, 해당하는 의료 데이터 집합에서 모든 레코드가 미리 설정된 k-익명성(k-anonymity) 모델에 따라 동일한(구별되지 않는) k-1 개의 레코드를 가짐으로, 재식별 가능성을 검토하고,
ㄷ) 미리 설정된 제 3 단계로, 상기 재식별 가능성이 검토될 경우에, 익명성을 검토하는 지표인 해당하는 k-익명성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보다 이상인 경우로 익명성 충족 검증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개인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자신의 의료정보를 주체적으로 관리·통제함으로써, 개인이 직접 의료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블록체인의 경우에, 블록체인 HyperLedger Fabric 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의료 마이 데이터의 안전을 강화하고, 또한 가명처리와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한다.
또한, 개인이 주체적으로 의료정보를 관리할 경우,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에 의해서 비대면 방식의 이용자 편의 서비스(전자처방전 및 제증명 발급 서비스, 보험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을 해결하고, 가명처리에 대한 적정성을 제공함으로써, 의료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외부에 전송하여 관리를 한다.
이를 통해, 더 나아가서 데이터 제공 시, 플랫폼이 서로 간 신뢰 문제에 대한 보장을 제공하는 등 신뢰성을 확보하여 의료 마이데이터의 안전거래를 도모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블록체인으로 개인 의료기록을 관리함으로 불필요한 비용을 절감하고 의료분쟁 발생 시 합리적 해결 등을 도모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5a와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진료정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이용자 편의 서비스 중의 하나인 제증명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와 도 7b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이용자 편의 서비스 중의 다른 하나인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보험원스톱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와 도 9b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종합건강검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와 도 10b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종합건강검진 서비스의 다른 형태로서, 영상데이터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개인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자신의 의료정보를 주체적으로 관리·통제함으로써, 개인이 직접 의료정보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 블록체인 HyperLedger Fabric 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의료 마이 데이터의 안전을 강화하고, 또한 가명처리와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각 개인이 구비한 사용자 단말기(100)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개인이 주체적으로 의료정보를 관리할 경우,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에 의해서 비대면 방식의 이용자 편의 서비스(전자처방전 및 제증명 발급 서비스, 보험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시스템은 이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에 의해 (의료) 데이터 수요처인 제약사와, 연구소, 빅데이터 관련 기관에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의료 마이 데이터를 제공한 이용자는 디지털 바우처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시스템은 영상 데이터의 경우, 개인정보를 가명처리 처리하여 의료영상데이터센터에서 분류하고 수요에 맞는 정보를 추가하여 제공한다.
1) 서비스 내용
- 본 플랫폼의 서비스는 크게 3가지로 구성된다.
- 먼저 전체적으로 데이터를 가명처리하여 데이터 수요처에서 활용한다.
* 데이터 종류 : ‘진료정보교류시스템의 진료기록요약지’ + ‘종합건강검진 데이터’ +
‘전자처방전 데이터’+ ‘의료 영상데이터’
- 데이터 수요처 선정 시 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 철저하고 엄격한 자격기준
하에 수요기관을 심사·검증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① 진료정보 서비스 : 의료 마이 데이터 활용에 동의한 이용자에 한하여, 예를 들어 병원 內 진료정보교류서버에서 가명처리된 개인정보와 진료 데이터를 수신하고
암호화, 마이데이터, 메타데이터 단계를 거쳐 연구소 또는 제약회사 등에 제공한다. 그리고,
데이터 활용 수익은 이용자와 나눈다(디지털 바우처로 보상).
② 이용자 편의 서비스 :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서비스로, 제증명
발급 / 전자처방전 / 보험원스톱 서비스를 비대면으로 제공한다.
단, 전자처방전의 경우 연구소 또는 제약회사 등에 제공한다. 데이터 활용 수익은
이용자와 나눈다(디지털 바우처로 보상).
③ 종합건강검진 서비스 : 종합건강검진 데이터 또는 영상데이터를 연구소, 제약
회사 등에 제공. 데이터 활용 수익은 이용자와 나눈다(디지털 바우처로 보상).
2) 데이터 활용처
① 마이데이터 소유권자 : 의료 마이 데이터(진료정보교류 시스템의 데이터와, 전자
처방전, 종합건강검진데이터)제공 후, 디지털 바우처 혜택을 받는다. 또한, 이용자
편의 서비스(제증명, 전자처방전, 보험 원스톱 서비스)를 비대면으로 제공받는다.
향후, 진료 정보를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 각종 질병 예상 확률 정보를 획득하여 이에 따른 예방법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데이터 활용 가능하다.
② 공공기관, 지자체 : 의료 행정·복지 수요 예측, 코로나 등 위기 상황 발생 시
대응 정책 수립에 활용한다.
③ 제약회사(연구소) : 의료 마이 데이터 소유권자의 진료정보데이터를 통해 단지 연구목적뿐만 아니라 실제 의약품 개발 수치화, 질병 수치화 등의 데이터 획득 및 사용을 한다.
- 제약사의 경우 신약 개발의 경험이 적어 자체적으로 모은 빅데이터가
턱없이 부족함. 현재 의료데이터를 상업적으로 사용하는데 제약이 많아
해외에서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음
④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 헬스케어, 인공지능 의료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기업에 활용한다.
- 그 외 웨어러블 기기 개발(IoT를 기반으로 한 의료 맞춤 관리 프로그램)와,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 추진(미래 발병 가능성이 높은 질환을 예측, 적합한 병원 의료진을 추천), 바이오 의약 및 고성능 의료기기 개발사업 및 수요예측, 건강 컨설팅 및 실버산업에 활용 가능하다.
3) 시나리오
[의료데이터 제공 동의 및 수집 절차]
①병원 방문 및 서비스(애플리케이션) 가입
-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②사전동의 및 전자자필서명한 전자문서 제출
- 제출목록 : 동의서, 위임장, 환자 신분증 사본
* 동의서·위임장 : 앱 기반 전자자필서명을 포함한 전자문서 형태
* 환자 신분증 사본 : 스마트폰 촬영 및 스캔
③온라인으로 환자의 제출서류와 대리인의 전자 증명서류 제출
- 제출목록 : 환자가 제출한 서류, 대리인 증명서류
* 환자가 제출한 서류(동의서, 위임장, 환자신분증 사본)
* 대리인 증명서류 : 법인의 사업자등록증 사본 및 담당 직원의 신분증 사본
④진료기록 및 처방전 사본 제공(병원 → 플랫폼사)
* 수집 의료 마이 데이터 : 진료기록요약지, 처방전(기(旣)발급 처방전의 사본 활용)
<진료기록요약지 수집항목>
① 진단내역 : 진단일자와, 상병명(KCD 영문, 한글은 선택), 상병코드(KCD), 진단 KOSTOM 코드셋(선택)
② 약물처방내역 : 처방일시와, 처방약품명, 처방약품코드, 주성분명, 주성분코드, 용량, 복용단위, 횟수, 투여기간, 용법
③ 검사결과 : 검사유형 구별과, 검사일시, 검사항목명(EDI), 검사명, 검사코드, 검사결과값, PACS Accession Number, Web PACS 기본 URL 경로
④ 생체신호 및 상태 : 측정일자와, 키, 몸무게, 혈압(확장기/수축기), 체온, 심박수
⑤종합건강검진 사본 제공(이용자 → 플랫폼사)
- 종이 혹은 이메일로 받은 종합건강검진 결과를 이용자가 플랫폼에 업로드 후, 문자인식(OCR)하여 활용
[의료데이터 활용 절차]
⑥의료 마이데이터 요청 : 수요처에서 의료 마이데이터 요청
(ex - 한미약품, 50대, 간질환, 부산시 거주, 최근 3년 내)
⑦,⑧데이터 소유권자에게 수요처별 데이터 활용 동의. 동의 후, 의료 마이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서비스를 통해 수요처는 가명처리된 의료 데이터를 제공받음
⑨데이터 활용에 대한 혜택으로 전체 사용액 대비 90%를 디지털 바우처로 보상받음
- 정보 제공 사실 및 혜택 통지
특히, 이러한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은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이 있으므로, 휴리스틱 가명화 후에 가명처리(비식별) 적정성 평가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가명처리 적정성 평가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기본 모델인 k-익명성(k-anonymity)을 적용하여 재식별 적정성을 검토한다.
부가적으로, 가명처리(Pseudonymization)는 개인정보를 포함한 정보에서 식별자를 가명으로 대체하여 관련된 개인과의 연결성을 제거한 상태로 ‘특정 개인을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처리된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가명화된 데이터 사례는 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다.
(원본 환자 데이터) 김지영, 여, 당뇨, 64세, 부산광역시 서구, 방문일 2020.06.22.
(휴리스틱 가명화) 홍길동, 여, 당뇨, 64세, 부산광역시 서구, 방문일 2020.06.22.
(k-익명성 적용) 홍길동, 여, 당뇨, 60대, 부산광역시 **, 방문일 2020.06
구체적인 동작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ㄱ) 먼저 미리 설정된 제 1 단계로, 개인의 진료 정보가 외부로 송신될 경우, 해당하는 의료 데이터에서 식별자에 해당하는 여러 값을 휴리스틱 가명화를 적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대체함으로써, 먼저 가명화한다.
참고적으로, 휴리스틱 가명화(Heuristic Pseudonymization)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식별자에 해당하는 값들을 몇 가지 정해진 규칙으로 대체하거나 사람의 판단에 따라 가공하여 자세한 개인정보를 숨기는 방법이다.
예시 입력 개인정보 홍길동, 35세, 남, 서울거주, 서울대병원, 고혈압, 위암
휴리스틱 가명화 임꺽정, 35세, 남, 서울거주, 서울대병원, 고혈압, 위암
이러한 가명화는 식별자의 분포를 고려하거나 수집된 자료의 사전 분석을 하지 않고 모든 데이터를 동일한 방법으로 가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 가능하다.그리고, 활용할 수 있는 대체 변수에 한계가 있으며, 다른 값으로 대체하는 일정한 규칙이 노출되는 취약점이 있다. 따라서 규칙 수립 시 개인을 쉽게 식별할 수 없도록 세심한 고려가 필요하다.
- 적용정보 : 성명, 이용 병원, 주소, 휴대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
ㄴ) 다음에 미리 설정된 제 2 단계로, 상기 가명화가 된 경우에, 해당하는 의료 데이터 집합에서 모든 레코드가 미리 설정된 k-익명성 모델에 따라 동일한(구별되지 않는) k-1 개의 레코드를 가짐으로, 재식별 가능성을 검토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k-익명성 모델은 특정인임을 추론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고, 일정 확률수준 이상 비식별 되도록 한다.
- (정의) 주어진 데이터 집합에서 같은 값이 적어도 k개 이상 존재하도록 하여 쉽게 다른 정보로 결합할 수 없도록 한다.
- 이를 위해, 데이터 집합의 일부를 수정하여 모든 레코드가 자기 자신과 동일한(구별되지 않는) k-1개 이상의 레코드를 가진다.
예를 들어, <표 2 -공개 의료데이터 사례>의 의료 데이터가 비식별 조치된 <표 3>에서 1~4, 5~8, 9~12 레코드는 서로 구별되지 않는다.
구분 지역코드 연령 성별 질병
1 13053 28 전립선염
2 13068 21 전립선염
3 13068 29 고혈압
4 13053 23 고혈압
5 14853 50 위암
6 14853 47 전립선염
7 14850 55 고혈압
8 14850 49 고혈압
9 13053 31 위암
10 13053 37 위암
11 13068 36 위암
12 13068 35 위암
구분 지역코드 연령 성별 질병 비고
1, 2, 3, 4 130** <30, <30, <30, <30 *, *, *, * 전립선염, 전립선염, 고혈압, 고혈압 다양한 질병이 혼재
되어
안전
5, 6, 7, 8 1485** >40, >40, >40, >40 *, *, *, * 위암, 전립선염,
고혈압, 고혈압
다양한
질병이
혼재
되어
안전
9, 10, 11, 12 130** 3* *, *, *, * 위암, 위암,
위암, 위암
모두가 동일
질병
(위암)
으로
취약
ㄷ) 그래서, 미리 설정된 제 3 단계로, 상기 재식별 가능성이 검토될 경우에, 익명성을 검토하는 지표인 해당하는 k-익명성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보다 이상인 경우로 익명성 충족 검증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익명성을 검증하는 지표인 k-익명성이 3이상이면, 익명성 충족 검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의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을 구비한 각 개인의 사용자 단말기(100-1, 100-2, ... )와, 병원 정보처리장치(200),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의 시스템은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이 병원 정보처리장치(200)에서 각각의 개인별로 다수의 상이한 진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고, 각각의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해서 의료데이터 수요처에서 활용된다.
추가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 이러한 의료 마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험금을 일괄적으로 시스템적으로 청구가 되도록 해서, 보험금 지급이 이루어지는 보험업체 정보처리장치(4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1, 100-2, ... )는 비대면 방식의 개인정보제공 동의하에, 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직접 관리·통제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앱)에 의해서 각각의 개인별로 다수의 상이한 진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를 통해 의료 마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의료 메타 데이터(진료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해서 관리하고,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만을 자신의 의료정보 활용시에 가공하여 제공하며, 각각의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한다. 특히,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에서는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이 있으므로, 휴리스틱 가명화 후에 k-익명성 모델을 적용해서 가명처리(비식별) 적정성 평가를 수행한다.
상기 병원 정보처리장치(200)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 각 개인의 진료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병원 정보처리장치(200)는 의료 마이 데이터 활용에 동의한 이용자에 한하여, 예를 들어 병원 內 진료정보교류서버에서 가명처리된 개인정보와 진료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300)는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각 개인의 의료정보를 예를 들어, 블록체인을 통해 관리되는 진료기록을 제공받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의료데이터 수요처는 제약회사와 연구소 등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 단말기(100)와, 병원 정보처리장치(200) 및,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앱)은 상기 진료 서비스 등의 전체적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미들웨어와, 대량 요청 처리를 위한 메시지 큐, 각종 플랫폼에서의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등록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이러한 플랫폼은 병원 등에서의 의료 메타 데이터의 서비스를 위한 엔터프라이즈 미들웨어와, 이때의 대량 요청 처리를 위한 메시지 큐, 의료 메타 데이터와 각각의 이력을 기록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또한 의료 데이터 파일을 등록한 스토리지를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경우에 블록체인은 보안이 강화된 프라이빗 블록체인 HyperLedger Fabric으로 되며, CA와, Peer, Orderer의 구성요소로 되고, 서비스별로 채널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은 채널 참가자만이 렛저 거래를 수행하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CA는 인증 관련 프로세스를 담당한다.
그리고, 블록체인 연동 미들웨어는 블록체인과 연동하는 모든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미들웨어로, 블록체인 접근 관리를 수행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블록체인 노드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 스케일링 및 관리하는 오케스트레이션 도구(kubernetes or Docker Swarm)로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클러스터로 묶는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개방성과 누구든지 시스템에 데이터셋 소유자 자신의 데이터셋을 제공하고, 동일한 데이터셋의 중복을 허락하지 않으므로, 데이터셋의 효율성과 무결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원래의 데이터셋 소유자가 아닌 데이터셋을 훔쳐 자신의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개 데이터셋의 데이터 무결성 보장을 위한 블록체인 솔루션을 제공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은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데이터셋 소유자 단말 중 하나가 스마트 계약 모듈을 통하여 블록체인에 데이터셋 메타 데이터를 등록하는 제 1 단계;
스마트 계약 모듈이 메타 데이터를 입증하여 데이타셋 등록을 확인하는 제 2 단계;
다른 노드에 해당하는 데이터셋 획득을 원하는 개체인 데이터 수집 모듈이 스마트 계약 모듈로 등록한 데이터셋에 대해서 등록한 데이터셋 소유자 단말에게 데이터셋을 요청하는 제 3 단계; 및
데이터셋 소유자 단말이 데이터 수집 모듈로 데이터셋을 전송하되, 데이터셋 소유자 단말이 전송 전 고유의 비밀키로 데이터셋에 서명함으로써, 데이터 수집 모듈에 의해 데이터셋이 올바른 소유자가 보낸 것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단계의 데이터셋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셋_소유자의 공개키(public key), 데이터셋_이름, 데이터셋_기재사항(description), 인스턴스(instance)_개수, 속성_개수, 데이터셋_URL, 데이터셋_해쉬, 데이터셋_등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는, 스마트 계약 모듈이, 이미 블록체인에 저장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해쉬를 갖는 새로운 데이터의 등록을 기각하며, 무효한 URL을 갖는 새로운 데이타셋의 등록을 기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여기에 더하여 상기 시스템은 무결성을 더욱 증가할 수 있도록 아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상기 시스템은 무결성 증가, 즉 트레이닝 데이터의 한 특정 덩어리가 진실로 동일한 커다란 트레이닝 데이터의 일부분임을 보장함으로써, 시스템이 한 주어진 시대에서의 모든 일괄 트레이닝 데이터가 시스템 내의 머신에서 트레이닝 되었다는 것을 보증한다.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 수집 모듈이 스마트 계약 모듈로 트레이닝 작업 메타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1 단계;
제 1 내지 제 N 트레이닝 머신이 스마트 계약 모듈로 가용 작업 리스트(available job list)를 질의하는 제 2 단계;
제 1 내지 제 N 트레이닝 머신이 작업(job)_id, 일괄작업(batch)_id, 반복(epoch)_id, 그리고 머클_루트(merkle_root)를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제 3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주어진 시간에, 데이터 수집 모듈이 제 1 내지 제 N 트레이닝 머신 중 가용 가능한 것을 구분한 뒤, 일괄 트레이닝(batch training) 데이터를 보내며, 머클(merkle)_루트 해쉬 입증에 요구되는 해쉬를 함께 전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 1 단계의 트레이닝 작업 메타 데이터는 작업(job)_id, 반복(epoch)_id, 일괄처리(batch)_id, 작업_상태(job_status), 머클_루트(merkle_roo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계의 제 1 내지 제 N 트레이닝 머신이, 가용 작업 리스트(available job list)를 질의를 통해 가장 이전에 등록된 작업_id, 일괄처리_id, 그리고 ‘유휴’ 상태에 있는 반복_id를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의 동작을 도시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은 먼저 개인이 진료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미리 등록된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에 의료 마이 데이터의 제공을 동의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비대면 방식의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한다(S401).
그리고, 이러한 개인정보제공 동의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록한다(S402).
이러한 상태에서, 개인이 진료를 받은 경우,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으로부터 자신의 진료 정보를 가명처리한 상태로 수신한다(S403).
이러한 경우, 상기 가명처리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미리 설정된 제 1 단계로, 개인의 진료 정보가 외부로 송신될 경우, 해당하는 의료 데이터에서 식별자에 해당하는 여러 값을 휴리스틱 가명화를 적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대체함으로써, 먼저 가명화한다.
그리고, 다음에 미리 설정된 제 2 단계로, 상기 가명화가 된 경우에, 해당하는 의료 데이터 집합에서 모든 레코드가 미리 설정된 k-익명성 모델에 따라 동일한(구별되지 않는) k-1 개의 레코드를 가짐으로, 재식별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래서, 미리 설정된 제 3 단계로, 상기 재식별 가능성이 검토될 경우에, 익명성을 검토하는 지표인 해당하는 k-익명성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보다 이상인 경우로 익명성 충족 검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서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을 해결하고, 가명처리에 대한 적정성을 제공함으로써, 의료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외부에 전송하여 관리를 한다.
다음, 이렇게 수신된 진료 정보를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에 의해 의료 마이 데이터로 생성한다(S404).
그리고 나서, 이러한 의료 마이 데이터를 의료 메타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하고(S405),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한다(S407).
그래서,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등록하고(S406), 의료 데이터 파일은 스토리지에 등록해서,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이 의료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등록함으로써(S408), 진료 정보 서비스가 이루어진다.
한편, 다음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의료데이터 수요처 예를 들어, 제약회사 또는 연구소 등에서의 의료 마이 데이터의 활용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진료 정보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를 활용할 경우, 미리 등록된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의료 마이 데이터를 요청받는다(S409).
그리고, 이러한 의료 마이 데이터의 요청 업체에 관한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한다(S410).
그리고 나서,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의료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 가공한다(S411).
그래서, 이렇게 가공된 의료 메타 데이터를 해당하는 요청 업체의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로 제공한다(S412).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개인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자신의 의료정보를 주체적으로 관리·통제함으로써, 개인이 직접 의료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 플랫폼은 이러한 블록체인의 경우에, 블록체인 HyperLedger Fabric 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의료 마이 데이터의 안전을 강화하고, 또한 가명처리와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개인정보제공 동의하에, 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직접 관리·통제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앱)에 의해서 각각의 개인별로 다수의 상이한 진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를 통해 의료 마이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이러한 경우에, 의료 마이 데이터에 대해서 의료 메타 데이터(진료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해서 관리하고,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만을 자신의 의료정보 활용시에 가공하여 제공하며, 각각의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한다.
특히, 이러한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은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이 있으므로, 휴리스틱 가명화 후에 가명처리(비식별) 적정성 평가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개인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자신의 의료정보를 주체적으로 관리·통제함으로써, 개인이 직접 의료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블록체인의 경우에, 블록체인 HyperLedger Fabric 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의료 마이 데이터의 안전을 강화하고, 또한 가명처리와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한다.
또한, 특히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을 해결하고, 가명처리에 대한 적정성을 제공함으로써, 의료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외부에 전송하여 관리를 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개인정보제공 동의하에, 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직접 관리·통제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앱)에 의해서 각각의 개인별로 다수의 상이한 진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를 통해 의료 마이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이러한 경우에, 의료 마이 데이터에 대해서 의료 메타 데이터(진료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해서 관리하고,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만을 자신의 의료정보 활용시에 가공하여 제공하며, 각각의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한다.
특히, 이러한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은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이 있으므로, 휴리스틱 가명화 후에 가명처리(비식별) 적정성 평가를 수행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는 개인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자신의 의료정보를 주체적으로 관리·통제함으로써, 개인이 직접 의료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블록체인의 경우에, 블록체인 HyperLedger Fabric 기반 기술을 적용하여 의료 마이 데이터의 안전을 강화하고, 또한 가명처리와 암호화하여 데이터의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한다.
특히, 의료데이터의 경우, 휴리스틱 가명화의 방법만으로는 개인을 식별가능하다는 취약점을 해결하고, 가명처리에 대한 적정성을 제공함으로써, 의료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외부에 전송하여 관리를 한다.
도 5a와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진료정보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서비스는 의료 마이 데이터의 생성(도 5a)과, 활용(도 5b)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러한 의료 마이 데이터의 생성은 아래와 같다.
① 비대면 방식의 정보제공 동의 : 이용자가 진료 정보 교류 서비스에 등록된 의료 마이 데이터 제공에 동의한다.
② 이력 기록 : 이용자의 정보제공 동의 이력 정보를 기록한다.
- 이력기록은 병원 진료 기록에 대한 내용
- 타 병원에서 진료된 기록 갱신
③ 진료 정보 수신 : 진료 정보 교류 서버를 통해 환자의 진료 정보를 가명처리한 상태로 수신하고 텍스트 마이닝 및 암호화 과정을 수행한다.
- 개인정보는 가명처리한 상태로 수신받기 때문에 보안성을 높임
- 텍스트 마이닝 및 암호화를 거쳐서 데이터를 저장함
- 텍스트 마이닝은 분산형 코퍼스(distributed corpus)형태로 저장 및 분석
- 클러스터링을 통해서 텍스트 마이닝 실행
- 암호화는 대칭형 알고리즘 중 하나인 AES로 진행
④ 의료 마이 데이터 이원화 : 수신한 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와 요청 시 폐기를 위해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을 이원화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의료 데이터 파일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한다.
⑤ 데이터 저장 :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은 블록체인과 스토리지에 분리하여 저장한다.
⑥ 이력 기록 :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에 대한 이력을 저장한다.
- 이력 데이터(개인정보 동의 여부, 개인정보 변경 일자, 개인정보 변경 채널(WEB, APP) 등)
- 블록체인 TXID (블록체인 저장 후 결과값 업데이트)
- 이력 데이터는 Hash 값으로 저장
그리고, 이렇게 의료 마이 데이터가 생성된 상태에서 연구소 등에서의 활용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① 마이데이터 요청(수수료) : 제약회사, 연구소 등에서 필요로 하는 마이데이터 요청이 이루어진다.
② 이력 기록 : 마이데이터 요청 업체의 이력 정보를 기록한다.
③ 블록체인 정보수집 : 메타데이터들을 받아서 분석 및 가공을 수행한다.
④ 마이데이터 수집
- 분산 파일 서버 제공
- 캐싱 제공해서 속도 향상
- 이미지 및 텍스트 파일 조각화
⑤ 마이데이터 제공 : ③,④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데이터 제공을 수행한다.
- 가명처리 된 진료 기록
- 처방전 제공
- 개인정보 및 마이데이터는 가명처리 및 암호화가 된 상태를 뜻함
- 진료기록, 질병 정보, 처방 기록 등을 분석 및 가공
- 가공된 데이터 제공
- AI 분석 툴을 통해서도 판매 가능
- 빅데이터 분석툴 이용해서 시각화 진행
⑥ 이용자 보상 : 의료정보제공 동의한 이용자에게 디지털 바우처를 제공한다.
- 마이데이터 제공한 이용자에게 혜택(예 : 부산 디지털 바우처) 제공
- 희귀병 및 질병 환자들에게 병원비 등 도움 제공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이용자 편의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제증명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제증명 서비스는 아래와 같이 수행된다.
① 제증명 요청 : 이용자가 해당하는 모바일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증명을 요청한다.
- 의사소견이 포함된 제증명은 병원 등에 확인 및 검증을 통해서 발급
- 제증명 발급시 병원 협의하에 유료 또는 무료로 발급
② 이력 기록 : 플랫폼(블록체인)에 요청에 대한 이력을 기록한다.
- 제증명 발급에 대한 이력을 기록
③ 제증명 수신 : 플랫폼은 병원으로부터 제증명을 요청하여 온라인으로 수신한다.
④ 이력 기록 : 수신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⑤ 제증명 파일 제공 : 이용자에게 제증명을 파일(PDF, 이미지 등)로 제공한다.
- 보험사 및 관공서에 제출 및 증빙이 가능하도록 제공
도 7a와 도 7b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이용자 편의 서비스 중의 두 번째로서,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처방전 서비스는 의료 마이 데이터의 생성(도 7a)과, 활용(도 7b)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러한 전자처방전 서비스에 대한 의료 마이 데이터의 생성은 아래와 같다.
① 진료 후, 약국으로 전자처방전 원본전송을 요청한다.
- 이용자가 예를 들어, 해당하는 모바일 앱을 통해 전자처방전의 원본 전송을 요청한다.
② 전자처방전 원본전송 및 조제요청을 수행한다.
- 병원은 이용자의 전자처방전 원본을 약국으로 전송하고 조제를 요청함
③ 약국을 방문한다.
- 약국에 방문하여 이용자는 조제한 약을 수령함
④ 온라인 본인 확인, 동의 및 대리인 위임을 수행한다.
- 환자가 지정한 대리인(본 플랫폼)이 환자에 관한 기록의 열람이나 사본발급이 가능하도록, 환자 전자자필서명이 포함된 전자문서(동의서/위임장)를 앱을 통해 작성함
⑤ 대리인 증명서류 제출 및 전자처방전 사본요청을 수행한다.
- 이용자(환자)가 제출한 증명서류와 대리인 사업자등록증/담당직원의 신분증을 병원에 제출한다.
⑥ 전자처방전 사본을 수신한다.
⑦ 이력 기록 : 플랫폼(블록체인)에 요청에 대한 이력을 기록한다.
⑧ 의료 마이 데이터 이원화 : 수신한 전자처방전은 개인정보 보호와 요청 시 폐기를 위해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을 이원화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의료 데이터 파일(전자처방전)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한다.
⑨ 데이터 저장 : 암호화된 의료 데이터 파일은 스토리지에 저장한다.
⑩ 이력기록 :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을 블록체인에 저장하여 투명성을 확보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의료 마이 데이터를 활용하는 동작은 아래와 같다.
① 의료 마이 데이터 요청 : 제약회사, 연구소 등에서 의료 마이 데이터를 요청한다.
- 개인정보는 가명처리하여 보안성 향상
- 구매요청서 작성
② 이력 기록 : 요청 및 수수료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③,④ 블록체인 정보 및 스토리지에 의료 마이 데이터를 수집한다.
⑤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한다.
- 데이터 분석 및 가공
- AI 분석툴 제공
⑥ 의료 마이 데이터 제공 동의한 이용자에게 디지털 바우처를 제공한다.
- 수요처에서 구매후 데이터를 제공한 이용자에게 혜택(디지털 바우처)을 제공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이용자 편의 서비스 중의 세 번째로서, 보험원스톱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보험원스톱 서비스는 ① 먼저 이용자가 해당하는 모바일 앱을 통해 실손보험청구를 온라인으로 요청한다.
② 이력 기록 : 요청에 대한 이력을 기록한다.
③ 데이터 요청 : 병원에게 각 보험사가 요구하는 실손보험청구 데이터를 요청한다.
④ 병원이 실손보험청구 문서를 보험사에게 전송한다.
⑤ 병원이 실손보험청구 문서 전송 결과를 리턴한다.
⑥ 이력 기록 : 실손보험청구 결과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한다.
- 이력 조회 등을 통해서 몇 년간 통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⑦ 보험금 지급 : 보험사는 수신한 실손보험청구 문서를 기준으로 보험평가 후 이용자에게 보험금을 지급한다.
- 보험금 지급 이력 투명화
도 9a와 도 9b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종합건강검진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종합건강검진 서비스는 의료 마이 데이터의 생성과(도 9a), 활용(도 9b)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러한 종합건강검진 서비스에 대한 마이 데이터의 생성은 아래와 같다.
① 사진 촬영 및 정보제공 동의 : 이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종합건강검진결과 정보를 촬영하고 해당 정보에 대한 제공 동의를 진행한다.
- 종합건강검진 서비스는 이용자 동의하에 업로드 및 OCR 분석 진행
- 추가 검증 단계를 통해서 데이터 검증
② 이력 기록 : 의료 마이 데이터 제공자의 정보제공 동의에 대한 이력 정보를 기록한다.
③ 마이데이터 이원화 : 개인정보 보호와 요청 시 폐기를 위해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을 이원화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의료 데이터 파일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한다.
④ 데이터 저장 :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은 블록체인과 스토리지에 분리하여 저장한다.
⑤ 이력 기록 :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에 대한 이력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의료 마이 데이터의 활용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① 의료 마이 데이터 요청(수수료) : 제약회사, 연구소 등에서 필요로 하는 의료 마이 데이터를 요청한다.
② 이력 기록 : 이용자의 정보제공 동의 이력 정보를 기록한다.
③,④ 블록체인 정보와 의료 마이 데이터를 수집한다.
⑤ 의료 마이 데이터 제공 : ③④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가공하여, 데이터 제공을 수행한다.
⑥ 이용자 보상 : 의료정보제공 동의한 이용자에게 혜택(디지털 바우처)을 제공한다.
도 10a와 도 10b는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에 적용된 종합건강검진 서비스의 다른 형태로서, 영상데이터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 서비스는 위의 경우들과 마찬가지로 의료 마이 데이터의 생성(도 10a)과, 활용(도 10b)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이러한 영상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의료 마이 데이터의 생성은 아래와 같다.
① 정보제공 동의 : 이용자가 영상정보 서비스에 등록된 의료정보 제공에 온라인으로 동의한다.
② 이력 기록 : 의료 마이 데이터 제공자의 정보제공 동의에 대한 이력 정보를 기록하고, 영상요약/분류정보를 기록한다.
③ 마이데이터 이원화 : 개인정보 보호와 요청 시 폐기를 위해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을 이원화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의료 데이터 파일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한다.
④ 데이터 저장 : 가명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저장(병원 내 저장소(데이터센터)에 저장되며 외부 유출 불가)한다.
⑤ 이력 기록 : 의료 메타 데이터(제공기록)에 대한 이력을 저장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의료 마이 데이터의 활용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① 의료 마이 데이터 요청(수수료) : 제약회사, 연구소 등 수요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의료 마이 데이터를 요청한다.
② 이력 기록 : 제공 이력을 기록한다.
③ 블록체인 정보 수집 : 영상 요약/분류정보
④ 의료 마이 데이터 수집 : 영상분석 결과 등의 가공된 정보를 수집한다.
⑤ 의료 마이 데이터 제공 : 수요기관의 의료 마이 데이터 이용(의료 영상 사용 시 데이터센터 방문)이 이루어진다.
⑥ 이용자 보상 : 의료정보제공 동의한 이용자에게 혜택(디지털 바우처)을 제공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병원 정보처리장치
300 :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

Claims (7)

  1. 비대면 방식의 개인정보제공 동의하에, 개인이 자신의 의료정보를 직접 관리·통제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앱)을 구비해서, 각각의 개인별로 가명처리한 다수의 상이한 진료 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를 통해 의료 마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의료 메타 데이터(진료기록)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해서 관리하고,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만을 자신의 의료정보 활용시에 가공하여 제공하며, 각각의 이력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 각 개인의 진료 정보를 가명처리해서 제공하는 병원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으로부터 각 개인의 가명처리한 의료 메타 데이터로서 제공받아 활용하는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진료 서비스의 전체적인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미들웨어와, 대량 요청 처리를 위한 메시지 큐, 플랫폼에서의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를 등록한 데이터베이스, 병원에서의 의료 메타 데이터의 서비스를 위한 엔터프라이즈 미들웨어와,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의 서비스에 대한 대량 요청 처리를 위한 메시지 큐, 의료 메타 데이터와 각각의 이력을 기록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의료 데이터 파일을 등록한 스토리지; 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1) 개인이 진료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미리 등록된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에 의료 마이 데이터의 제공을 동의해서, 비대면 방식의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하고,
    b-1) 상기 개인정보제공 동의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기록하고,
    c-1) 개인이 진료를 받은 경우, 상기 진료 정보 교류 시스템으로부터 자신의 진료 정보를 가명처리한 상태로 수신하고,
    d-1) 상기 수신된 진료 정보를 해당하는 텍스트 마이닝과 암호화에 의해 의료 마이 데이터로 생성하며,
    e-1) 상기 생성된 의료 마이 데이터를 의료 메타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하고,
    f-1)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은 스토리지에 등록해서, 데이터를 분리하여 관리하고,
    g-1)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등록함으로써, 진료 정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2) 상기 진료 정보 서비스와 관련하여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를 활용할 경우, 미리 등록된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의료 마이 데이터를 요청받고,
    b-2)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의 요청 업체에 관한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c-2)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의료 메타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 가공하고,
    d-2) 상기 가공된 의료 메타 데이터를 해당하는 요청 업체의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가명처리는,
    ㄱ) 미리 설정된 제 1 단계로, 개인의 진료 정보가 외부로 송신될 경우, 해당하는 의료 데이터에서 식별자에 해당하는 여러 값을 휴리스틱 가명화를 적용하여 미리 설정된 규칙에 따라 대체함으로써, 먼저 가명화하고,
    ㄴ) 미리 설정된 제 2 단계로, 상기 가명화가 된 경우에, 해당하는 의료 데이터 집합에서 모든 레코드가 미리 설정된 k-익명성(k-anonymity) 모델에 따라 동일한(구별되지 않는) k-1 개의 레코드를 가짐으로, 재식별 가능성을 검토하고,
    ㄷ) 미리 설정된 제 3 단계로, 상기 재식별 가능성이 검토될 경우에, 익명성을 검토하는 지표인 해당하는 k-익명성을 미리 설정된 기준 값과 비교하여, 상기 기준 값보다 이상인 경우로 익명성 충족 검증을 하는 것; 이며,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3) 개인이 이용자 편의 서비스로 제증명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미리 등록된 병원 정보처리장치로 제증명을 요청하고,
    b-3) 상기 요청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c-3) 상기 요청에 따라 제증명이 발급될 경우, 상기 병원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제증명을 수신하며,
    d-3) 상기 수신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e-3) 상기 수신된 제증명을 미리 설정된 파일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비대면으로 제증명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4) 개인이 이용자 편의 서비스로 전자처방전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해당 개인이 진료를 받은 미리 등록된 병원 정보처리장치에서 미리 등록된 약국 정보처리장치로의 전자처방전 원본전송을 요청하고,
    b-4) 상기 요청에 따라 약국에서 조제가 되어 약을 수령한 경우, 개인 환자가 지정한 대리인(본 플랫폼)이 환자에 관한 기록의 열람이나 사본발급이 되도록 환자 전자자필서명이 포함된 전자문서(동의서/위임장)를 작성하고,
    c-4) 상기 작성된 전자문서를 기반으로 해서 상기 병원 정보처리장치에 전자처방전 사본을 요청하며,
    d-4) 상기 요청에 따라 전자처방전 사본을 상기 병원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수신하고,
    e-4) 상기 블록체인에 요청에 대한 이력을 기록하고,
    f-4) 상기 수신된 전자처방전을 의료 메타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하며,
    g-4)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암호화된 의료 데이터 파일은 스토리지에 등록하고,
    h-4)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의 이력을 블록체인에 등록함으로써, 비대면으로 전자처방전 서비스가 이루어지며,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5) 개인이 이용자 편의 서비스로 보험원스톱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미리 등록된 병원 정보처리장치에 실손보험청구를 요청하고,
    b-5) 상기 요청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c-5) 상기 요청에 따라 병원에서 각 보험사가 요구하는 실손보험청구 데이터를 요청하여 해당하는 문서를 보험사에게 전송한 경우, 상기 병원 정보처리장치로부터 문서 전송 결과를 리턴받으며,
    d-5) 상기 리턴된 실손보험청구 결과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보험원스톱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6) 개인이 종합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종합건강검진결과 정보가 촬영되고 해당 정보에 대한 제공 동의를 해서,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수행하고, 이용자 동의하에 업로드 및 OCR 분석을 하며,
    b-6) 상기 개인정보제공 동의에 대한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c-6) 상기 분석된 종합건강검진결과를 의료 메타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하며,
    d-6)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상기 암호화된 의료 데이터 파일은 스토리지에 등록하고,
    e-6)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등록함으로써, 종합건강검진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7) 개인이 종합검진서비스로 영상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 미리 등록된 영상정보 서비스에 미리 등록된 의료정보 제공에 온라인으로 동의를 해서, 개인정보제공 동의를 수행하고,
    b-7) 상기 수행된 동의에 대한 이력 정보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영상 요약/분류정보도 블록체인에 기록하며,
    c-7) 상기 수행된 동의에 따른 영상정보를 의료 메타 데이터와 의료 데이터 파일로 이원화하고, 상기 의료 데이터 파일을 가명처리 및 암호화 처리를 하고,
    d-7)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상기 암호화된 영상정보는 해당하는 데이터센터에 등록하며,
    e-7) 상기 의료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등록함으로써, 영상데이터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은,
    a-8) 개인이 종합검진서비스로 영상데이터 서비스(의료 마이 데이터 활용)를 제공할 경우, 미리 등록된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의료 마이 데이터를 요청받고,
    b-8) 상기 요청에 대한 이력을 블록체인에 기록하고,
    c-8) 상기 요청에 따라 블록체인에서 해당하는 영상 요약/분류 정보를 수집하고,
    d-8) 상기 요청에 따라 해당하는 영상분석 결과를 포함한 의료 마이 데이터를 수집하며,
    e-8) 상기 수집된 결과를 상기 의료데이터 수요처 정보처리장치에 제공함으로써(의료 영상 사용 시 데이터센터 방문), 의료 마이 데이터를 활용한 영상데이터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
KR1020200161737A 2020-11-26 2020-11-26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KR10250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737A KR102501890B1 (ko) 2020-11-26 2020-11-26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737A KR102501890B1 (ko) 2020-11-26 2020-11-26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58A KR20220073558A (ko) 2022-06-03
KR102501890B1 true KR102501890B1 (ko) 2023-02-21

Family

ID=8198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737A KR102501890B1 (ko) 2020-11-26 2020-11-26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8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68B1 (ko) 2015-10-26 2017-03-27 (주)아이알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독 방법
KR102109885B1 (ko) 2019-08-02 2020-05-12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블록체인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41760B1 (ko) 2019-06-27 2020-08-05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144532B1 (ko) * 2020-01-13 2020-08-13 주식회사 브이티더블유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569B1 (ko) * 2000-02-16 2002-09-11 (주)메드 밴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
KR20170060675A (ko) * 2015-11-24 2017-06-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218318B1 (ko) * 2017-06-05 2021-02-23 (주)원 스마트 보험 청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2490529B1 (ko) * 2017-11-03 2023-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주기적 비식별화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353926B1 (ko) * 2018-11-29 2022-01-20 주식회사 피어나인 블록체인 운영서버와 인증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162613B1 (ko) * 2018-12-04 2020-10-07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정보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68B1 (ko) 2015-10-26 2017-03-27 (주)아이알엠 환자정보 보호를 위한 의료영상의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판독 방법
KR102141760B1 (ko) 2019-06-27 2020-08-05 주식회사 메디블록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109885B1 (ko) 2019-08-02 2020-05-12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블록체인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2144532B1 (ko) * 2020-01-13 2020-08-13 주식회사 브이티더블유 블록체인 기반의 cPHR 서비스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558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i et al. Standard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framework for Indian healthcare system
JP7018557B2 (ja) Bcn(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データ利用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EP2368209B1 (en) Double blinded privacy-safe distributed data mining protocol
US7823207B2 (en) Privacy preserving data-mining protocol
US91417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crypting provider identifiers on medical service claim transactions
KR102501896B1 (ko) 블록체인 기반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
KR10250189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데이터 공유에 의한 의료 서비스 수익 분배 방법
US20150149362A1 (en) Encryption and Distribution of Health-related Data
US20080071577A1 (en) Dual-access security system for medical records
Le Nguyen Blockchain in healthcare: A new technology benefit for both patients and doctors
US20060293925A1 (en) System for storing medical records accessed using patient biometrics
US20150161413A1 (en) Encryption and distribution of health-related data
KR102475987B1 (ko) 인공지능 및 개인건강기록을 이용한 보험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208625A1 (en) XDS Registry and Repository for Multiple Affinity Domains
KR102501886B1 (ko)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
KR102501890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Garett et al.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in HIV research, clinical practice, and community settings
US11960454B2 (en) Method of a universal registration and identification of legal procedures
Diaz et al. Scalable management architecture for electronic health records based on blockchain
Cossio Ethereum, IPFS and neural compression to decentralize and protect patient data in computational pathology
Wang et al. Health data security sharing method based on hybrid blockchain
Chhodvadiya et al. Secure Medical Records System using Block Chain Technology
Aghahosseini et al. Interoperability and Standards in Blockchain-based EHR
Liu et al. Smart and connected e-Health lab for standards validation and conformance
Godhavari Implementation of Electronic Health Record and Health Insurance Management Syste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