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1569B1 -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1569B1
KR100351569B1 KR1020000007243A KR20000007243A KR100351569B1 KR 100351569 B1 KR100351569 B1 KR 100351569B1 KR 1020000007243 A KR1020000007243 A KR 1020000007243A KR 20000007243 A KR20000007243 A KR 20000007243A KR 100351569 B1 KR100351569 B1 KR 10035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information
client
server
altern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3533A (ko
Inventor
손현준
김동호
주기혁
Original Assignee
(주)메드 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드 밴 filed Critical (주)메드 밴
Priority to KR102000000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1569B1/ko
Priority to JP2001014762A priority patent/JP2001236422A/ja
Publication of KR2001008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에서 발행하는 약물처방정보를 약물조제기관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약물처방 전달/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처방전 발행기관으로부터의 처방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정보 수신 모듈과, 수신된 처방정보를 암호 또는 복호화하는 암호/복호화 모듈과, 상기 처방정보를 클라이언트별 및 환자별 중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하기 위한 처방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처방정보를 지정된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전송 모듈, 및 상기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을 이용하면,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처방전 발행기관 및 약품조제기관 사이에서 처방정보(대체처방, 수정처방 포함)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함으로써 처방정보의 신속하고 안전한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 {Electronic prescription delivery/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computer network}
본 발명은 컴퓨터 네크워크를 이용한 처방 전달 서비스, 상세하게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에서 발행하는 약물처방정보를 약물조제기관으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약물처방 전달/관리용 서버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0년 7월부터는 의약분업이 시행되며, 이러한 의약분업의 기본적인 목적은 의약품의 오남용 및 약화(藥禍)사고의 예방에 있다. 즉, 의사는 처방을 약사는 조제를 각각 전문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소비자가 의사의 동의없이 전문의약품을 직접 구매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의약품의 오남용을 제도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처방없이 전문의약품을 자유롭게 사용하여온 오랜 관행으로 인하여 의약분업을 시행하고 있는 나라에 비하여 항생제 등의 약품에 대한 내성이 매우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의약분업이 실시되면 의약품의 과잉 투약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필요한 의약품의 소비감소 등으로 인하여 약제비의 절감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의약분업이 시행되는 경우 환자가 의사의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을 방문하고, 약사는 처방전에 명시된 약품을 조제해주는 방식으로 진료 및 조제가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필요한 약품이 전문의약품인 경우에 해당 약품을 가지고 있는 약국을 찾기가 힘들고, 처방전을 약사에게 제시하고 조제하기까지 기다려야 할 뿐 아니라, 처방전을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다시 의사에게 진료를 받아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약국의 입장에서는 의료보험료 청구 또는 고객관리를 위하여 처방전 정보를 다시 컴퓨터에 재입력하여야 하므로 번거롭고, 재입력시 오류가 생기는 경우 환자에게 피해를 줄 우려가 있다.
한편, 처방전에 기초한 약품 조제시, 약사는 필요한 약품과 동일한 성분을 가지는 대체약품으로 처방하는 대체처방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대체처방 사실을 해당 의사에게 사후 통보하여야 한다. 또한, 약사는 처방전에 개시되어 있는 약품과 다른 약품으로 처방할 수도 있으며, 이를 "수정처방"이라 한다. 수정처방은 해당 의사에게 그 사실을 통보하고 승인을 받은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러한 대체처방 및 수정처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의사에게 그에 대한 사실을 통보하고 필요한 경우 승인을 얻어야 하지만, 종래의 의약분업 시스템에서는 약사가 의사에게 대체 또는 수정처방의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확실하지 않고 의사교환이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그에 대한 기록이 명확하게 남지않기 때문에 추후에 약화사고가 발생한 경우 책임소재의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또한, 환자가 임의대로 처방전의 내용을 변경하여도 약사는 그 사실을 알기 어렵고, 권한없는 자에 의하여 약품이 조제된다 하더라도 조제자에 대한 정보가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그의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의약분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당한 권한을 가지는 의사에 의하여발행된 처방전이 그 내용의 변경없이 권한있는 약사에게 전달되어야 하고, 조제(대체처방 및 수정처방 포함)가 이루어진 경우에 그에 대한 자료가 남아야 하며 자료의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환자의 증상에 맞게 처방전을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기술은 다수 알려져 있으며, 제 5,845,255호 미국특허가 하나의 예이다. 상기 특허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처방전 생성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 데, 이러한 처방전 생성 시스템은 환자의 신상 정보를 추출하는 환자 신상 정보 갈무리 수단과, 처방된 약품 데이터를 저장하는 약품 데이터 갈무리 수단과, 하나 이상의 약품량 갈무리 수단과, 환자의 상태 데이터 갈무리 수단을 포함하는 처방 데이터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처방전 생성 스크린; 처방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의하여 접근가능한 처방가능 약품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완성된 처방전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 및 완성된 처방전을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완성된 처방전을 전자메일과 같은 형태로 해당 환자 또는 약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의사의 개인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환자의 증세에 맞는 약품으로 이루어진 처방전을 생성하는 것에 주안점을 둔 것으로서, 해당 의사가 관할하고 있는 환자의 처방정보만 저장·관리됨으로써 개인적인 처방전 관리에 그치고 있다. 또한 생성된 처방전을 전자메일 등을 이용하여 약국에 전달하는 단계를 추가하고는 있으나, 처방전의 보안 및 의사/약사 인증에 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다. 따라서, 처방전이 내용이 변경되거나, 권한없는 의사/약사에 의한 행위가 이루어진 경우에 책임소재를 분명히 밝힐 수 없다. 또한, 의약분업 시스템에서 흔히 발생하는 대체처방 및 수정처방이 있는 경우에 그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들은 인터넷(Internet), 근거리통신망(LAN), 원거리 통신망(WAN)과 같은 컴퓨터 네크워크를 이용하면 해결될 수 있다. 즉, 컴퓨터 네트워크에 의하여 처방전 발행인(의사) 클라이언트와, 약품조제자(약사) 클라이언트 사이를 연결해주는 웹서버(web server)를 제공하고, 그를 통하여 의사가 처방전을 약사에게 온라인으로 전달하며, 약사는 그 처방전을 접수하여 해당 환자에게 약품을 조제하게 함으로써 상기 단점들은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처방전은 환자의 의무기록에 해당되는 비밀사항이므로 컴퓨터 네크워크를 통한 전송이 이루어질 때 적절한 보안이 유지되어야 하며, 권한없는 의사 또는 약사의 의료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처방전 발행 및 처방전 공개시에 적당한 인증(Certification)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웹서버가 수많은 의사/약사 클라이언트 사이에 교환되는 처방 정보를 통합하여 저장·관리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처방전 전달 방법을 실제적이고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 환자 개인 정보의 허용된 범위내에서의 공유와 그 공유를 위한 각종 개인정보 보호기능, 처방정보의 안전한 전달을 위한 내용의 비밀보장과 위변조방지 및 송수신자의 인증 기능을 구비하는 처방정보 메시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처방전 발행기관과 약품조제기관 사이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처방전 발행기관이 발행한 처방정보를 지정 약품조제기관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클라이언트 측(처방전 발행기관과 조제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처방 및 조제 정보를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접수하여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발행된 처방에 대하여 조제기관의 대체처방 또는 수정처방이 있는 경우에 그에 대한 정보를 처방전 발행기관에 신속·안전하게 전달하고, 필요한 경우 대체 또는 수정처방에 대한 승인을 획득하도록 하는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각각의 클라이언트측에 설치되는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messaging application program)의 구성을 모듈별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웹서버의 구성을 모듈별로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환자가 약국을 지정한 경우의 본 발명에 의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의 업무 흐름도 및 플로우차트이다.
도 6 및 도 7는 각각 환자가 약국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의 본 발명에 의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의 업무 흐름도 및 플로우차트이다.
도 8 및 도 9는 조제기관의 대체처방이 있는 경우의 처방 전달/관리 방법의 업무 흐름도 및 플로우차트이다.
도 10 및 도 11는 조제기관의 수정처방이 있는 경우의 처방 전달/관리 방법의 업무 흐름도 및 플로우차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방전 발행기관 클라이언트와 조제기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끼리의 처방정보 송수신을 담당하는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으로서, 제 1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처방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정보 수신 모듈과, 수신된 처방정보를 암호 또는 복호화하는 암호/복호화 모듈과, 상기 처방정보를 클라이언트별 및 환자별 중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하기 위한 처방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처방정보를 지정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전송 모듈, 및 상기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제어모듈은 처방전 발행 기관의 처방정보를 암호화된 상태로 지정된 조제기관으로 전달해주고, 조제기관의 수정 처방 또는 대체처방 내용을 해당 처방전 발행 기관으로 전달하고, 그에 대한 확인 또는 승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확인 또는 승인여부를 다시 조제기관으로 전달해주며, 클라이언트들 사이에 전달되는 처방내용을 복호화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처방전 발행 클라이언트측은 일반적으로 병원, 의원, 보건소 등 의약분업 시스템에서 진료 및 처방을 담당하는 모든 대상을 포함하며, 조제기관 클라이언트측은 약국, 약방 등 의약분업 시스템에서 약품 조제를 담당하는 모든 대상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이러한 처방전 발행 클라이언트측에는 발행된 처방정보를 암호화(Encryption) 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시스템으로부터 암호화된 수정처방 또는 대체처방 내용을 수신하여 복호화(decryption)하며, 수정처방 및 대체처방에 대한 승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승인여부를 해당 조제기관 및 상기 시스템 중 하나 이상으로 다시 전송해주는 처방전 발행자용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messaging application program)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제기관 클라이언트측에도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처방정보에 대한 수정처방 또는 대체처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정처방 또는 대체처방 내용을 상기 시스템으로 다시 전송해주는 조제기관용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처방정보(prescription information)는 처방전 발행기관, 처방전 식별코드, 환자, 처방내용, 지정 조제기관, 수정처방 및 대체처방에 대한 사항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처방전 발행기관 및 조제기관 사이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는 근거리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원거리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나, 불특정 다수인이 사용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의 추가 삭제 등이 용이하도록 월드와이드웹(WWW)기능을 제공하는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클라이언트측은 병원, 의원의 컴퓨터 시스템 및 약국의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고, 클라이언트측의 컴퓨터 시스템은 개인 컴퓨터(PC)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기반의 자체적인 컴퓨터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터넷환경에 있는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을 처방 전달/관리용 웹서버(web server)라 칭한다.
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처방전 발행기관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처방전 발행기관 데이터베이스, 조제기관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조제기관 데이터베이스, 처방내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처방내용 데이터베이스, 암호화를 위한 클라이언트별 키(key)를 저장하는 키 데이터베이스(key database), 및 환자 개인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우선, 처방전 발행기관이 환자, 발행기관, 처방내용 및 환자가 지정한 조제기관에 대한 사항을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암호화하여 인터넷을 통해 처방전 전달/관리 웹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웹서버가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해당 처방정보를 저장하는 처방정보 저장단계와, 웹서버가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지정된 조제기관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조제기관 클라이언트가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복호화하여 해당 환자에게 약품을 조제해주는 약품 조제 단계로 이루어진다.
조제단계에서는 약사 등이 대체처방 또는 수정처방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조제단계는 조제기관 클라이언트가 전송받은 처방내용에 대한 대체처방 또는 수정처방 내용을 암호화하여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웹서버가 대체처방 또는 수정처방 내용을 저장하고 다시 암호화하여 해당 처방전 발행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수정처방인 경우에는 웹서버가 발행기관의 승인여부를 접수하여 다시 조제기관으로 재전송해주며, 수정처방 또는 대체처방에 의하여 약품을 조제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대체처방인 경우에는 웹서버를 통해 대체처방 내용을 발행기관으로 전달만하고 그에 따라 조제하면 된다.
한편, 환자가 조제기관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방전 발행기관이 환자, 발행기관, 처방내용, 처방전 식별코드에 대한 사항을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암호화하여 웹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웹서버가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해당 처방정보를 저장하는 처방정보 저장단계와, 해당 환자의 약품조제요청을 받은 조제기관 클라이언트가 웹서버에 로그온하고, 상기 처방전 식별코드에 해당되는 처방내용의 전송을 서버에게 요청하는 처방내용 요청단계와, 웹서버는 해당되는 처방정보를 새로이 암호화하여 해당 조제기관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조제기관 클라이언트는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복호화하여 해당 환자에게 약품을 조제해주는 약품 조제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의 조제단계도 수정처방 또는 대체처방이 있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처방정보, 수정처방 정보 또는 대체처방정보의 암호/복호화는 공개키(public key)기반의 암호화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측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한 전자서명(Electronic signature)을 포함하며, 웹서버가 상기 처방정보, 대체처방, 수정처방, 수정처방에 대한 승인여부 중 하나를 지정된 클라이언트측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 처방을 제공한 클라이언트의 신분을 인증하는 전자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포함시킴으로써 웹서버가 양측 클라이언트에 대한 인증기관(Certificate Authority)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암호/복호화 및 인증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처방전을 발행하는 처방전 발행기관(병원,의원, 보건소 등)측 클라이언트(11)와, 약품을 조제하는 조제기관(약국 등)측 클라이언트 (15)와, 두 클라이언트 쌍방간의 처방정보 전달을 위한 처방정보 전달/관리 웹서버(14) 및 이들을 연결하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18)로 이루어져 있다. 각 클라이언트측(11, 15) 컴퓨터 시스템에는 자체적인 관리프로그램인 병·의원 관리프로그램(12)과 약국관리프로그램(16)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관리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처방정보를 암호화하고 웹서버로 전달하기 위한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13, 17)이 양측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웹서버(web server)는, 통상적인 의미의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상기 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포함하고,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처방전 발행기관과 조제기관 사이를 연결·중개해 주는 임의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웹서버는 도스(Dos), 윈도우(windowsTM), 리눅스(LynuxTM), 유닉스(Unix), 매킨토시(Makintosi)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TTPS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있다.
도 2는 각각의 클라이언트측에 설치되는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messaging application program)의 구성을 모듈별로 도시한다.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은 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처방내용과 관련되는 정보를 접수하여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정보를 웹서버로 전달하며, 웹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처방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관리프로그램 또는 웹서버로부터 정보를 접수하는 수신모듈(22)과, 그 처방정보를 암호화 및 복호화하는 암호화/복호화 모듈(25)과, 관리프로그램 또는 웹서버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모듈(24) 및 이들을 제어하는중앙제어모듈(21)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공개키 기반(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암호화 방식에 필요한 각 클라이언트 또는 웹서버의 공개키(public key) 또는 개인키(private key)를 관리하는 키관리 모듈(26)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은 반드시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전술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한, 관리 프로그램 또는 웹브라우저 등과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처방정보 전달/관리 웹서버의 구성을 모듈별로 도시하는 것이다. 웹서버는 병·의원으로부터 처방정보를, 약국으로부터 대체처방 또는 수정처방 내용을 수신하는 수신모듈(32)과, 지정된 약국 또는 병원으로 원처방정보, 대체처방 또는 수정처방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모듈(34)과, 암호화된채 수신되는 각종 처방정보를 복호화하고 지정대상에게 전달할 때 다시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복호화 모듈(33)과, 각종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있는 관리모듈(35, 36, 37, 38, 39) 및, 이들을 제어하는 중앙제어모듈(31)로 이루어져 있다.
관리모듈은 키(key) DB(35')와 연동되어 있는 키관리 모듈(35), 의사/약사 DB(36')와 연동되어 있는 의사/약사 관리모듈(36), 병·의원/약국 DB(37')와 연동되어 있는 병·의원/약국 관리모듈(37), 처방정보 DB(38')와 연동되어 있는 처방정보 저장·검색모듈(38)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환자 개인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환자 관리모듈(39)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각종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시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각종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는 웹서버 구성 프로그램상에 포함되어 구현되어 있거나, 독자적인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연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전달되는 각종 처방정보는 텍스트(text)가 가장 일반적이나 필요한 경우 이미지, 동영상, 사운드와 같은 특수한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처방정보는 그 내용 및 보안의 정도에 따라 텍스트문서(text),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S/MIME(secure MIME)등 여러가지 형태의 문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정보의 전송은 FTP(File Transfer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S-HTTP(secure HTTP), SMTP(Small Mail Transfer Protocol)등 적당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암호화/복호화 기능은 SSL(Secure Socket Layer)를 클라이언트측 메시징 프로그램 및 웹서버에 구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전자서명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신용카드 정보의 보안전송에 주로 이용되는 SET(Secure Electronic Transaction)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공개키 기반(PKI)의 암호화 방식으로서 클라이언트의 전자서명 기능을 제공하고 처방전을 안전한 상태로 전송할 수 있는 한 어떠한 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각종 처방정보의 전달절차는 수신자의 상태 또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전달후 즉시 응답을 요청해야 하는 경우(수정처방에 대한 승인과 같이)가 발생할 수 있고, 수신자의 상태변화를 대기하다가 상태변화 발생 즉시 전송하는 경우, 또는 수신자의 요구를 접수했을 때 전달하는 경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측 메시징 프로그램 및 웹서버 프로그램은 이벤트서비스(event service) 및 프리전스 서비스(presence service)를 제공한다.
이벤트 서비스란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이를 관찰하고 이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는 대상에게 알려주는 서비스로서 이벤트에 대한 등록, 해당 이벤트에 대하여 관심있는 대상의 선정 및 이벤트의 관찰방법과 전달방안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이벤트 서비스는 현재의 인터넷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식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리전스(presence) 서비스는 네트워크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의사, 약사, 환자, 병원, 약국 등)의 상태(온라인, 오프라인 등)에 대한 변화를 감지하여 처리하는 서비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저장·관리 및 배포될 프리전스 정보를 생성하는 프리젠터티(presentities) 기능과, 배포된 정보를 관찰하는 관찰자(watchers) 기능을 보유한다. 관찰자 기능은 다른 프리젠터티의 프리전스 정보의 현재값을 요구하는 패처(fetcher)와, 프리전스 서비스에게 향후에 변화하는 값에 대한 공지를 요구하는 신청자(subscriber)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도 4는 환자가 약국을 지정한 경우의 업무 흐름도로서, 1) 환자를 진찰한 후 2) 처방전을 작성하고, 그를 암호화하여 웹서버로 전송한다. 웹서버는 3) 전송된 처방정보를 복호화하고 병·의원/약국 데이터베이스 및 의사/약사 데이터베이스를검색하여 처방전 발행인이 정당한 권한 있는 자임을 인증한 후 4) 해당 처방정보를 처방정보 DB에 저장한다. 처방정보는 다시 암호화 되어 지정된 약국으로 전송되며 5) 처방정보를 받은 약사는 자신의 개인키(private key)로 처방정보를 복호화하여 처방전을 인식한 후 조제한다. 6) 조제가 끝나면 조제완료 확인 및 대체처방과 같은 변경사항이 웹서버로 다시 전송되어 저장된다.
도 5는 환자가 약국을 지정한 경우의 흐름도(flow chart)로서, 웹서버가 병원 등으로부터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수신(S51)한다. 이 때 병원등은 웹서버의 공개키로 처방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처방정보에 해쉬함수(hash function)을 이용한 메시지 다이제스트(message digest)등을 사용하여 자신의 전자서명을 포함시켜 전송한다. 웹서버는 처방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고, 전자서명을 통하여 해당 병원이 권한있는 자인지 판단하여 그러한 경우에 처방정보를 처방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S52)한다. 그 후 웹서버는 병원의 전자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포함하고 처방정보를 다시 지정 약국의 공개키로 암호화(S53)하여 해당 지정 약국으로 전송(S54)한다. 해당 약국의 약사는 처방정보를 접수하고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처방정보를 확인(S55)한다. 만일 처방정보에 대한 대체처방 및 수정 처방이 필요한 지 판단(S56, S57)하고, 대체처방 및 수정처방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처방정보에 따라 약품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교부(S58)한다. 대체처방이 있는 경우에는 도 9, 수정처방이 있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흐름을 따라 진행한다.
물론, 약국을 지정한 경우에도 전송될 처방정보가 있다는 메시지만 알려주고, 약사로 하여금 웹서버에 접속하여 정당한 로그온을 하게 한 후 해당 처방정보를 다운로드 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환자가 조제 약국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의 업무흐름도로서, 도 4에서와 같이 1) 환자를 진찰한 후 2) 처방전을 작성하고, 그를 암호화하여 웹서버로 전송한다. 웹서버는 3) 전송된 처방정보를 복호화하고 병·의원/약국 데이터베이스 및 의사/약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처방전 발행인이 정당한 권한 있는 자임을 인증한 후 4) 해당 처방정보를 처방정보 DB에 저장한다. 그 후에, 5) 환자가 임의 약국을 방문하여 조제를 요구하는 경우 해당 약국은 6) 웹서버에 접속하여 7) 자신의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약사로서의 신분을 인증받음으로써 로그온한다. 정당하게 로그온되면, 8) 약사는 환자가 제공한 처방전 식별코드(처방전번호, 환자 개인 신상정보 등)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처방정보를 다운로드 받는다. 9) 조제가 끝나면 조제완료 확인 및 대체처방과 같은 변경사항이 웹서버로 다시 전송되어 저장된다.
도 7은 약국을 지정하지 않은 경우의 플로우 차트로서, 웹서버가 병원 등으로부터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수신(S71)하고, 복호화 및 인증(S72)하는 절차는 도 5(약국을 지정한 경우)와 유사하다. 환자로부터 처방전을 제공받은 약사가 인터넷(또는 다른 컴퓨터 네트워크)을 통하여 웹서버에 접속하고 로그온(S73)하고, 처방전 식별번호, 환자개인 신상정보 등 처방전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환자에게 교부된 처방정보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S74)한다. 웹서버는 해당 약국의 공개키로 처방정보를 암호화하고, 병원등의 인증서를 첨부하여 약국으로 전송(S75)하고, 해당 처방정보를 수신한 약국의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은 약국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S76)한다. 그 이후의 조제행위는 도 5에서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약사의 대체처방이 있는 경우의 업무흐름도로서, 1) 처방전 전달 사실을 통보받은 약국은 2) 웹서버에 접속하고 자신의 인증을 거친 후 처방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한다. 처방정보에 대한 대체처방이 있는 경우에는 3) 대체처방 데이터를 웹서버로 다시 전송하고 웹서버는 그 대체처방 정보를 해당 병원등으로 다시 전송해준다. 물론, 이 경우에도 모든 정보는 암호화되어 전송되어야 하며, 대체처방의 경우에는 원처방전 발행 의사의 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냥 통보해주는 것으로 족하고, 약사는 자신의 대체처방에 따라 약품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하면된다. 이 때 대체처방 내용은 의사가 확인한 경우 웹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9는 대체처방이 있는 경우의 플로우차트로서, 도 5의 S56단계 또는 도 7의 S77단계로부터 이어진다. 대체처방 내용은 약국 클라이언트측에 있는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웹서버의 공개키로 다시 암호화되어 웹서버로 전송(S91)된다. 이 때 약국의 개인키와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이용한 전자서명을 포함시켜야 하며, 웹서버는 수신된 대체처방 내용을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저장(S92)한다. 또한, 대체처방 내용을 처방전 발행기관의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해당 약국에 대한 전자인증서를 첨부하여 처방전 발행 기관(병원)으로 전송(S93)해준다. 병원측은 자신의 개인키로 대체처방 내용을 복호화하여 확인한 후 저장(S94)한다.
도 10은 수정처방이 있는 경우의 업무흐름도로서, 수정처방에 대해서는 의사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점이 대체처방과 다르다. 우선 1) 처방전 전달 사실을 통보받은 약국은 2) 웹서버에 접속하고 자신의 인증을 거친 후 처방정보를 전송받아 확인한다. 처방정보에 대한 수정처방이 있는 경우에는 3) 수정처방 정보를 웹서버로 다시 전송하고 웹서버는 그 수정처방 정보를 해당 병원등으로 다시 전송해준다. 4) 수정처방을 수신한 병원측은 복호화함으로써 수정처방을 확인하고 5) 해당 수정처방에 대한 승인여부를 약국측에 다시 전송해준다. 승인이 난 경우에 한하여 수정처방대로 해당 환자에게 약품을 조제해주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원처방정보에 따라 조제해준다.
도 11은 수정처방이 있는 경우의 플로우차트로서, 도 5로부터 이어진다. 약국측 클라이언트의 메시징 프로그램은 수정처방 내용을 웹서버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웹서버로 전송(S111)하고, 웹서버는 자신의 개인키로 수정처방 내용을 복호화하여 약국을 인증하고, 수정처방 내용을 저장(S112)한다. 또한, 웹서버는 수정처방 내용을 처방전 발행기관의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약국의 전자인증서를 첨부하여 원처방전 발행기관으로 전송(S113)한다. 병원측에서는 자신의 개인키로 수정처방 내용을 복호화(S114)하여 승인여부를 결정(S115)하고, 승인이 가능한 경우에는 승인통보를, 승인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웹서버를 통하여 약국으로 전송(S117, S119)한다. 물론, 이때 웹서버는 병원측의 승인여부에 대한 사항을 해당 수정처방 내용과 함께 저장(S116, S118)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처방전 발행기관의 처방정보가 조제기관까지 안전하고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어서, 환자의 약품 조제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이 각종 병원, 약국 정보 뿐 아니라, 그들 사이에 송수신된 모든 처방정보를 저장·관리함으로써, 처방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지며, 약화사고와 같은 의료분쟁시 책임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민 보건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5)

  1. 처방전 발행기관 클라이언트와 조제기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끼리의 처방정보 송수신을 담당하는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으로서,
    제 1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처방정보를 수신하는 처방정보 수신 모듈;
    수신된 처방정보를 암호 또는 복호화하는 암호/복호화 모듈;
    상기 처방정보를 클라이언트별 및 환자별 중 하나로 분류하여 저장하기 위한 처방정보 데이터 베이스;
    처방정보를 지정된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전송 모듈; 및,
    상기 모듈 및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모듈은 처방전 발행 기관의 처방정보를 암호화된 상태로 지정된 조제기관으로 전달해주고, 조제기관의 수정 처방 또는 대체처방 내용을 해당 처방전 발행 기관으로 전달하고 그에 대한 승인을 다시 조제기관으로 전달해주며, 클라이언트들 사이에 전달되는 처방내용을 복호화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처방전 발행기관 클라이언트에는 발행된 처방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시스템으로부터 암호화된 수정처방 또는 대체처방 내용을 수신하여 복호화하며, 수정처방 및 대체처방에 대한 승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승인여부를 해당 조제기관 및 상기 시스템 중 하나 이상으로 다시 전송해주는 처방전 발행자용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제기관 클라이언트측에는 시스템으로부터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수신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처방정보에 대한 수정처방 또는 대체처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정처방 또는 대체처방 내용을 상기 시스템으로 다시 전송해주는 조제기관용 메시징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정보는 처방전 발행기관, 처방전 식별코드, 환자, 처방내용, 지정 조제기관, 수정처방 및 대체처방에 대한 사항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처방전 발행기관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처방전 발행기관 데이터베이스와;
    조제기관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조제기관 데이터베이스와;
    처방내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처방내용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암호화를 위한 클라이언트별 키(key)를 저장하는 키 데이터베이스, 및 환자 개인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환자 데이터베이스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복호화는 공개키(public key)기반의 암호화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처방정보는 처방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측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한 전자서명(Electronic signature)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이 지정 클라이언트측에 전송하는 처방정보에는 처방정보를 제공한 상기 제 1 클라이언트의 신분을 인증하는 전자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 시스템.
  8. 처방전 발행기관 클라이언트와 조제기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에 처방정보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되는 처방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처방정보 전달/관리 서버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처방전 발행기관이 환자, 발행기관, 처방내용 및 환자가 지정한 조제기관에 대한 사항을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해당 처방정보를 저장하는 처방정보 저장단계;
    상기 서버가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지정된 조제기관 클라이언트 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조제기관 클라이언트는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복호화하는 처방전 복호화 단계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복호화 단계 이후에
    조제기관 클라이언트가 전송받은 처방내용에 대한 대체처방 내용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대체처방 내용을 복호화하여 저장하고, 해당 대체처방 내용을 다시 암호화하여 해당 처방전 발행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복호화 단계 이후에
    조제기관 클라이언트가 전송받은 처방내용에 대한 수정처방 내용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수정처방 내용을 해당 처방전 발행기관으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발행기관의 승인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조제기관으로 재전송하며 수정처방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
  11. 제 8 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복호화는 공개키(public key)기반의 암호화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처방정보, 대체처방, 수정처방, 수정처방, 수정처방에 대한 승인여부 중 하나는 그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측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한 전자서명(Electronic signature)을 포함하며,
    서버가 상기 처방정보, 대체처방, 수정처방, 수정처방, 수정처방에 대한 승인여부 중 하나를 지정된 클라이언트측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처방 중 하나를 제공한 클라이언트의 신분을 인증하는 전자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
  12. 처방전 발행기관 클라이언트와 조제기관 클라이언트를 연결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사이에 처방정보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되는 처방정보를 저장·관리하는 처방정보 전달/관리 서버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처방전 발행기관이 환자, 발행기관, 처방내용, 처방전 식별코드에 대한 사항을 포함하는 처방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수신하고 복호화하여 해당 처방정보를 저장하는 처방정보 저장단계;
    해당 환자의 약품조제요청을 받은 조제기관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에 로그온하고, 상기 처방전 식별코드에 해당되는 처방내용의 전송을 서버에게 요청하는 처방내용 요청단계;
    서버는 해당되는 처방정보를 새로이 암호화하여 해당 조제기관 클라이언트측으로 전송하는 단계;
    조제기관 클라이언트는 암호화된 처방정보를 복호화하는 처방전 복호화 단계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복호화 단계 이후에,
    조제기관 클라이언트가 전송받은 처방내용에 대한 대체처방 내용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대체처방 내용을 복호화하여 저장하고, 대체처방 내용을 다시 암호화하여 해당 처방전 발행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복호화 단계 이후에,
    조제기관 클라이언트가 전송받은 처방내용에 대한 수정처방 내용을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수정처방 내용을 해당 처방전 발행기관으로 전송하고, 그에 대한 발행기관의 승인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조제기관으로 재전송하며 수정처방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복호화는 공개키(public key)기반의 암호화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처방정보, 대체처방, 수정처방, 수정처방에 대한 승인여부 중 하나는 그 정보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측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한 전자서명(Electronic signature)을 포함하며,
    서버가 상기 처방정보, 대체처방, 수정처방, 수정처방에 대한 승인여부 중 하나를 지정된 클라이언트측에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처방 중 하나를 제공한 클라이언트의 신분을 인증하는 전자인증서(Digital Certific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 처방 전달/관리 방법.
KR1020000007243A 2000-02-16 2000-02-16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 KR100351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43A KR100351569B1 (ko) 2000-02-16 2000-02-16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
JP2001014762A JP2001236422A (ja) 2000-02-16 2001-01-23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院外電子処方の伝達/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処方の伝達/管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43A KR100351569B1 (ko) 2000-02-16 2000-02-16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3533A KR20010083533A (ko) 2001-09-01
KR100351569B1 true KR100351569B1 (ko) 2002-09-11

Family

ID=1964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243A KR100351569B1 (ko) 2000-02-16 2000-02-16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236422A (ko)
KR (1) KR1003515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512A (ko) * 2000-04-03 2000-07-05 임상진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처리 방법
KR100366817B1 (ko) * 2000-04-06 2003-01-09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 조제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20017001A (ko) * 2000-08-28 2002-03-07 조형기 처방전 인증 시스템과 그 방법
KR20020048495A (ko) * 2000-12-18 2002-06-24 김호현 전자 원외처방전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00863B1 (ko) * 2002-05-27 2006-07-14 박용남 전자의무기록 제공방법
JP2004139423A (ja) * 2002-10-18 2004-05-13 Casio Comput Co Ltd 薬歴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289720A (ja) * 2003-03-25 2004-10-14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電子署名システム及びそれ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8225749A (ja) * 2007-03-12 2008-09-25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データ抽出・情報送付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226247A (ja) * 2008-03-12 2008-09-25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Systems Corp データ抽出・情報送付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18381A (ja) * 2012-07-17 2014-02-03 Toshiba Tec Corp 薬剤混合調製管理装置、薬剤混合調製管理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10623188B2 (en) * 2017-04-26 2020-04-14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Securely distributing medical prescriptions
KR102501894B1 (ko) * 2020-11-26 2023-02-22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데이터 공유에 의한 의료 서비스 수익 분배 방법
KR102501890B1 (ko) * 2020-11-26 2023-02-21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KR102501886B1 (ko) * 2020-11-26 2023-02-21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
KR102501896B1 (ko) * 2020-11-26 2023-02-22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706A (ko) * 1998-12-30 2000-07-25 신현우 이식기의 육묘상자 세로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706A (ko) * 1998-12-30 2000-07-25 신현우 이식기의 육묘상자 세로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36422A (ja) 2001-08-31
KR20010083533A (ko) 200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5419B2 (en) System for digital identity authentication and methods of use
CN111448565B (zh) 基于去中心化标识的数据授权
KR100351569B1 (ko)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외 전자 처방 전달/관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처방 전달/관리 방법
US6308277B1 (en) Virtual certificate authority
US7337468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acilitating seamless, virtual integration of online membership models and services
TW510997B (en) Privacy and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a world-wide-web site
US77299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medical items on an electronic prescription
US200300184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rug prescription acquisition
US748408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ertificate delivery and management
US20060259330A1 (en) Electronic prescription system for internet pharmacies and method threfor
US20060229911A1 (en) Personal control of healthcare information and rela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WO2001082036A9 (en) Method and system for signing and authenticating electronic documents
WO2001009701A1 (en) Network-bas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creation, production, fulfillment, and delivery of prescription medications and other complex products and services
CN105005719A (zh) 安全数据解析器方法和系统
US9356926B1 (en) Security system
US11516187B2 (en) System for sending verifiable e-mail
US10893027B2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US20080098122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acilitating Seamless, Virtual Integration of Online Membership Models and Services
US200700334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electronic data delivery
KR100716649B1 (ko) 권한관리 구조 기반의 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878159B1 (ko) 식별 코드를 이용한 처방전 관리 및 전달 시스템
KR100797735B1 (ko) 전자서명을 이용한 전자처방전 보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721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의약품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8032106A (ja) 処方情報提供システム
KR20210135397A (ko) 의료자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