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675A -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675A
KR20170060675A KR1020150165040A KR20150165040A KR20170060675A KR 20170060675 A KR20170060675 A KR 20170060675A KR 1020150165040 A KR1020150165040 A KR 1020150165040A KR 20150165040 A KR20150165040 A KR 20150165040A KR 20170060675 A KR20170060675 A KR 2017006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record
personal health
metadata
recor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은
최재훈
김민호
김영원
정호열
한영웅
김대희
김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5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0675A/ko
Priority to US15/360,913 priority patent/US20170147755A1/en
Publication of KR2017006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22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7/30011
    • G06F17/30091
    • G06F17/301
    • G06F17/3012
    • G06F17/309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Q50/24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건강서비스 기관별로 누적되어 관리되는 개인건강기록을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및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를 통해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MANAGING PERSONAL HEALTH RECORDS BASED ON PERSONAL CLOUD AND THE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건강기록 프로바이더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사용자 개인의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다양한 타입이나 항목별로 저장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저장된 개인건강기록을 해당 타입이나 항목별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저 출산문제 등으로 인해 사회가 점점 고령화되어 가고 있으며 생활양식의 변화와 잘못된 식/생활습관 등으로 질환의 증세가 오랜 기간 천천히 발병하여 종종 장애로 이어지는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진료 서비스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건강서비스는 사용자의 질환을 치료하는 목적에서 누적된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만성질환의 예방과 지속적인 관리 중심의 서비스로 점차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만성질환 및 그 밖의 다양한 질환을 예방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누적된 사용자의 최신 개인건강기록에 근거한 체계적인 건강관리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개인건강기록은 상기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 한의원 또는 건강검진센터 등과 같은 기관을 중심으로 축적되고 관리되고 있다.
이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이 상기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하나로 통합되지 못하고 비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운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형태는 대부분 폐쇄적인 형태(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주체의 서비스 제공만을 위한 서비스)이기 때문에, 각 기관별로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교류, 공유 또는 공동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해 상호운용성이 결여되어 최신의 개인건강기록을 기반으로 사용자별로 최적의 건강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제공받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는 이러한 기술이 부재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기관별로 산재되어 관리되고 있는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사용자 개인이 사용하는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사용자가 중심이 되어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의 의료 또는 건강검진 등의 다양한 활동에 따라 지속적으로 누적되는 개인건강기록을 항상 업데이트함으로써 최신의 개인건강기록을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건강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1-0138896호(2011.12.28.)는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강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통해 각 개인별 건강기록정보 및 각 개인의 가족 관계정보를 관리함으로써, 개인 또는 동의된 의료진이 개인의 건강기록정보 및 가족의 건강기록정보를 조회하고 업데이트 가능하도록 하는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건강정보 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각 개인별 건강기록정보를 각각 관리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분 유사한 점은 있으나 반면에 본 발명은 복수의 건강기록 프로바이더로부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제공받아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개별적으로 저장하고, 기존의 개인건강기록을 최신으로 업데이트하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신속한 검색 및 조회가 가능하며, 상기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하는 기술적 특징에 대해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0910405호(2009.07.27.)는 EMR 시스템과 연계된 고객 건강검진정보 통합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병원으로부터 독립된 건강검진센터에서 병원의 EMR 및 MIS와 연계하여 효율적인 고객응대 및 고객관리 가능한 EMR 시스템과 연계된 고객건강검진정보 통합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각각의 병원과 상기 건강검진센터와 연계하여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통합 운용한다는 것일 뿐, 결국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주체적으로 관리/유지할 수 없으며, 상술한 종래의 기술과 같이 기관이 중심이 되어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건강검진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최적의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2-0124298호(2012.11.13.)는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인 건강기록을 저장하는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 및 전자 진료기록을 관리하고 상기 전자 진료기록으로부터 개인 건강기록을 생성하여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개인 건강기록 저장 서버의 접근에 의하여 자신의 전자 진료기록을 변경하지 않는 의료기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행기술은 개인 클라이언트를 중심으로 관리하는 방식으로, 개인건강기록을 개인소유 스마트 단말 또는 PC 등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방식이므로, 클라이언트 저장장치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 전체의 소실 가능성이 높고, 건강데이터가 특정 위치에 존재하여 건강 서비스로의 활용 요청에 대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상기 건강검진정보뿐만 아니라 건강기록을 제공하는 복수의 기관에서 누적되어 관리되는 개인건강기록을 사용자 개인이 운영하는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항상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최신의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별로 최적의 맞춤형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클라우드 리포지토리 기반의 건강데이터 관리방식은 클라우드 서비스에 접근이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 건강데이터의 활용이 가능하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보안 원칙에 따라 건강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복수의 기관별로 다양한 형태로 누적되고 관리되는 개인건강기록을 사용자의 개인 레포지토리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 할 수 있는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기록 프로바이더로부터 개인건강기록을 제공받아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과 상기 메타데이터를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는, 상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증한 개인건강기록으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는,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 관리부는,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계정 정보를 조회하고, 해당하는 계정에 대해서 메타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해당 개인건강기록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파일 메타데이터와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의 항목과 새롭게 입력된 항목이 모두 중복되면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에 신규 문서정보만 추가하고, 일부만 중복되면 레코드 메타데이터에 신규 항목에 대한 정보만 추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파일 메타데이터와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읽어와, 문서 ID가 상이하면 신규 문서 또는 신규 항목으로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색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이 문서 검색이면 파일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 파일을 결정하고, 레코드 검색이면 파일 메타데이터와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코드 파일을 결정하여, 해당 검색조건에 따른 검색결과를 조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색 관리부는, 상기 검색한 개인건강기록에 대해서 진료, 검진 또는 라이프로그를 포함한 각각의 개인건강기록 스키마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 후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기록 프로바이더로부터 개인건강기록을 제공받아 상기 개인건강기록에 대해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과 상기 메타데이터를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증한 개인건강기록으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계정 정보를 조회하고, 해당하는 계정에 대해서 메타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해당 개인건강기록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검색한 개인건강기록에 대해서 진료, 검진 또는 라이프로그를 포함한 각각의 개인건강기록 스키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와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의 개인건강기록에 대해 완벽한 관리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다양한 건강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바탕으로 신뢰성 있는 다양한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를 통해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로부터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의 검색을 위한 메타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CCR 레코드 항목의 예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라이프로그 레코드 항목의 예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우선 개인건강기록 관리에 대한 기존의 기술들은, 건강기록을 제공하는 기관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후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전송받고 이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저장하는 형태로써,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관리의 주체가 상기 사용자가 아닌 상기 기관을 중심으로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개인건강기록이 복수의 기관들이 자체적으로 구비한 데이터베이스에 산재되어 있어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힘들며, 또한 각각의 기관별로 독립된 데이터 포맷의 사용으로 상호운용성이 결여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개인건강기록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신뢰성 있는 건강서비스를 제공 받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병원의 전자의무기록, 한의원의 건강기록, 피트니스 데이터 또는 라이프로그 등 다양한 양식의 개인건강기록을 전송받아 각각 관리하고,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사용자가 주체가 되어 주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교류를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기반으로 사용자별로 특화된 건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는 개인이 구축하여 운영하는 소규모의 사설 클라우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대규모의 사설 혹은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예: 드롭박스, 구글 드라이브 등)에 가입하여 사용하는 레포지토리를 포괄하는 개념이며,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가입하여 저장공간을 할당받고 개인이 사용하는 저장공간의 개념을 가진 것이라면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봄이 타당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힐링 플랫폼(100)의 한 구성부분으로써 사용자 단말기, 건강기록 프로바이더(500),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간에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의 송/수신을 중계하는 프레임워크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단말기에 상기 힐링 플랫폼(100)에서 제공하는 앱(Application)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한 앱을 통해 상기 건강기록 프로바이더(500)에게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요청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건강기록 프로바이더(500)는 병원, 한의원, 건강검진센터 또는 휘트니스센터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인증과정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건강기록 프로바이더(500)로부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에 제공하여 상기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버(600)를 통해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의 계정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에서 발급하는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의 이용에 대한 사용자 ID, 비밀번호 및 해당 개인 레포지토리의 정보를 발급 받아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수신 받은 경우,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 후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해당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개인건강기록은 사용자의 건강상태, 신체정보, 사용자정보, 진료상태 또는 생활습관 등을 누적하여 기록한 시계열 데이터로써, 병원의 진료데이터(CCR), 건강검진센터의 건강검진데이터, 라이프로그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개인건강기록을 말한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원본 단위의 단일 문서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한 문서파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코드를 레코드 단위의 파일로 분리하여 해당 문서파일과 매핑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레코드는 혈압, 혈당, 키, 몸무게, 걸음 수 또는 흡연유무 등 상기 사용자의 신체정보, 생활정보 또는 수치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위 항목을 말한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원본 단위의 단일 문서파일로 저장하는 경우에는 각 문서파일에 중복 레코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의 진료 데이터의 경우 혈압 또는 혈당과 같이 복수개의 누적된 레코드로 구성되며 2002년에서 2004년까지의 진료 데이터와 2004년에서 2006년까지의 진료 데이터는 2004년에 기록된 레코드가 중복된다.
또한 상기 레코드 단위의 파일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경우에 기본 저장 단위는 레코드의 단위 항목이다.
이는 상기 상술한 병원의 진료 데이터를 상기 각 단위 항목별로 유니크하게 분리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원본 단위의 단일 문서파일로 저장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중복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단일 문서파일의 저장하는 것은 사용자가 완전한 원본 형태의 특정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상기 레코드 단위의 파일로 분리하여 저장하는 것은 사용자 원하는 기간별 항목에 대한 레코드를 검색하는 경우에 상기 레코드의 중복 없이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힐링 플랫폼(100)은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를 통해 각각의 기관별로 산재되어 관리되고 있는 개인건강기록을 사용자가 가입한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함으로써,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저장한 개인건강기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상태와 유사한 유사사례를 검색하여 개인의 미래건강상태에 대한 예측결과를 제공하며,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맞춤형 건강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건강 솔루션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주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상기 클라우드 서버(600)를 통해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의 계정을 활성화하고, 상기 힐링 플랫폼(100)에서 힐링 플랫폼(100)의 사용자 계정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의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인건강기록의 저장 또는 기 저장한 개인건강기록으로부터 필요한 부분을 위한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힐링 플롯폼(100)에 등록한 사용자 계정을 참조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 계정에 대한 사용자 ID, 액세스 키 및 개인 클라우드 계정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개인건강기록 관리정보 저장소(300)에 해당 사용자의 ID와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 계정 및 액세스키를 매핑시켜 저장한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저장한 매핑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접속하고,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저장 또는 검색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의 진료 또는 건강검진 등의 다양한 활동에 따라 새롭게 추가되는 개인건강기록들을 상기 개인 건강기록 관리장치를 통하여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기 저장된 개인건강기록을 업데이트함으로써, 항상 최신의 개인건강기록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건강서비스 기관별로 상기 개인건강기록이 누적되고 관리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사용자가 항상 최신의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건강서비스 기관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개별적으로 저장하고, 개별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검색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한다.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검색 및 조회하기 위해 사용되는 색인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메타데이터만을 읽어와 검색할 개인건강기록의 범위를 결정한다.
한편 사용자가 신뢰성 있는 건강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상기 시계열 대용량의 개인건강기록으로부터 누적된 사용자의 기간별 상태정보의 변화, 생체정보의 변화, 생활습관 등의 건강정보를 포괄적이고도 정확하게 검색하여, 해당 검색결과를 건강서비스 기관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물론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검색요청은 상기 건강서비스를 수행하는 기관이 사용자로부터 권한을 인계 받아 요청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시계열 대용량의 특성을 가지는 개인건강기록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간별 건강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검색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계열 대용량의 개인건강기록으로부터 항목별로 사용자의 중요한 건강정보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해당 메타데이터에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매핑하여, 상기 개인건강기록 전체를 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메타데이터만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신속한 검색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모든 건강서비스 기관이 수용할 수 있는 동일한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상기 검색결과를 상기 기관이 원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동일한 포맷은 국제 표준인 ASTM-CCR 및 HL7-CCD를 기반으로 확장된 데이터 규격인 XML이나 JSON 형태 일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정의 된 데이터 규격일수 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통합적으로 모든 기관이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일한 데이터 포맷으로 정의하는 방법에는 그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힐링 플랫폼(100)과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인증부(210),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검증하는 검증부(220), 상기 검증한 개인건강기록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230),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240),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된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는 검색 관리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400)대한 사용자의 계정과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접근권한을 부여받는데 필요한 액세스키를 저장한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310), 개인건강기록의 스키마를 검증하기 위해 상술한 개인건강기록의 다양한 스키마를 저장하는 개인건강기록 스키마 DB(320)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 관리정보 저장소(30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310), 상기 개인건강기록 스키마 DB(320)는 각각 따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저장소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증부(21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은 상기 힐링 플랫폼(100)에서 발급한 사용자의 ID와 비밀번호를 통해 인증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은,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가 상기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310)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해 사용자의 ID, 비밀번호로 인증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액세스키를 부여 받는 것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검증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이 유효한 것인지를 개인건강기록 스키마 DB(320)를 참조하여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한다.
한편 개인건강기록 스키마 DB(320)는 병원의 진료 데이터에 대한 스키마, 라이프로그에 대한 스키마, 건강검진센터의 건강검진 데이터에 대한 스키마를 포함하는 다양한 개인건강기록의 스키마를 저장하여 검증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부(230)는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되는 개인건강기록의 검색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검색 및 조회하기 위한 색인으로써의 역할을 하며, 파일 색인을 위한 파일 메타데이터, 항목 색인을 위한 레코드 메타데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항목은 레코드의 단위 항목을 말하며, 예를 들어 혈압, 혈당, 키, 몸무게와 등과 같은 계측된 사용자의 개별 건강정보를 말한다.
한편 상기 메타데이터의 구조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 관리부(24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타입의 개인건강기록을 원본 단위의 단일 문서파일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원본은 각 타입의 레코드들의 집합들로 이루어진 문서를 말하며 상기 문서파일은 상기 개인건강기록 원본의 타입, 측정시간 및 원본문서를 식별할 수 있는 문서 ID가 추가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관리부(24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원본을 레코드 단위로 분리하여 저장한다.
이때 기본 저장단위는 레코드의 단위항목으로 저장되며, 상기 원본은 복수개의 레코드 파일로 분할 저장되며, 각 레코드 파일을 식별할 수 있는 ID가 부가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병원의 진료데이터(CCR)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원본 CCR 문서 내부에 포함된 CCRDocumentObjectID를 문서 ID로 하여 문서를 유니크하게 구분할 수 있으며, CCR 문서 내부에 포함된 CCRDataObjectID를 레코드 ID로 하여 레코드를 유니크하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개 개인건강기록 원본이 라이프로그와 같이 원본에 별도의 식별자가 없는 경우 개인건강기록의 타입(이때 개인건강기록의 타입은 라이프로그가 된다.), 측정시간 및 레코드이름의 조합으로 문서 ID를 부여하고, 문서 내 측정항목(혈압, 혈당 등) 및 측정시간의 조합으로 레코드 ID를 부여하여 구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관리부(240)는 상기 검증부(220)에 의해 검증된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310)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계정정보를 조회한다.
또한 상기 조회결과 계정정보와 액세스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저장 관리부(240)는 상기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310)의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접속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저장 관리부(250)는 접속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요청하면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는 메타데이터 DB(410)로부터 파일 메타데이터 및 레코드 메타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관리부(24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저장 관리부(240)는 상기 수신한 파일 메타데이터를 읽어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항목과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의 항목이 모두 중복이면 파일 메타데이터에 신규의 개인건강기록의 정보만을 추가하여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를 갱신하며, 상기 항목이 일부만 중복이거나 중복되지 않은 경우 상기 수신한 레코드 메타 데이터에 신규 레코드 정보를 추가하여 상기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저장 관리부(240)는 상기 갱신한 메타데이터와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전송하며,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는 상기 수신한 메타데이터와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검색 관리부(250)는 상기 사용자 또는 건강서비스 기관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검색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저장 관리부(240)에서 수행한 것과 같이 해당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계정정보를 조회하고, 해당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해당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접속하여 메타데이터를 수신 받는다.
또한 상기 검색 관리부(250)는 상기 검색이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문서단위의 검색이면 상기 수신한 파일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개인건강기록의 원본문서 파일을 결정하고, 상기 검색이 레코드 단위의 검색이면 상기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레코드 파일을 결정하고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상기 결정한 파일을 요청한다.
또한 상기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는 개인건강기록 DB(420)에 액세스하여 상기 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문서파일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당 레코드 파일을 전송한다.
또한 상기 검색 관리부(250)는 상기 수신한 복수의 문서파일 또는 레코드 파일을 조합하며, 상기 검증부(220)를 통해 상기 조합한 파일의 유효성 검증을 수행한 후 검증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또는 건강증진 서비스 기관으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조합한 개인건강기록의 파일을 상기 사용자 또는 건강서비스 기관이 원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검증한 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는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DB(410) 및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타입별로 저장한 개인건강기록 DB(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 DB(41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문서단위로 검색하거나 조회하기 위한 파일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파일 메타데이터 DB 및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레코드별로 검색하거나 조회하기 위한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레코드 메타데이터 D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DB 및 상기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DB는 따로 구분하여 저장하지 않고 하나의 DB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DB(42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타입별(예: 진료 데이터, 검진 데이터 또는 라이프로그 등)로 저장한 복수의 D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타입별로 저장한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모든 기관이 수용할 수 있는 공통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DB(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진료 데이터, 검진 데이터 및 라이프로그를 일예로 하여 도시하고 있지만 다양한 타입의 개인건강기록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로부터 검색 또는 저장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에서 전송한 해당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및 액세스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상기 검색 또는 저장과정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를 통해 개인건강기록을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건강기록을 주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할 수 있는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의 계정을 활성화(S110)하고 상기 힐링 플랫폼(100)을 통해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310)에 해당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등록하여 관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310)는 인터넷 상에 존재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와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를 이용하여 자신의 개인건강기록을 주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등록한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사용자의 계정과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대한 목록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인증부(210)를 통해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고(S120), 상기 등록한 사용자 정보와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레포지토리로부터 액세스키를 부여받아 상기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310)에 저장하여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한다(S120).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저장 요청이 있는 경우(S130),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공 받아(S160), 상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을 해당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개인건강기록은 사용자뿐만 아니라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제공하는 건강기록 프로바이더(500)로부터 직접 제공받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S140),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를 통해 검색요건에 맞는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여, 검색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41).
한편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저장 및 검색에 관한 설명은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단말기를 통해 상기 힐링 플랫폼(100)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건강기록 프로바이더(500)에게 요청하여 수신 받는다.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건강기록 프로바이더(500)에게 사용자 인증을 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수신 받은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힐링 플랫폼(100)에 제공하고,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힐링 플랫폼(10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 제공 받는다(S210).
다음으로 상기 검증부(210)를 통해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스키마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다(S220).
한편 상기 검증은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레코드 단위로 분리하여 저장하거나 검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스키마에 따라 레코드 단위로 분리하여야 하며,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스키마가 제대로 구현되어 있지 않거나 불량 또는 훼손 된 경우에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레코드 단위로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도 5에서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스키마를 검증한 결과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스키마가 제대로 구현되어 있지 않거나 불량 또는 훼손 된 경우에 대한 절차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검증결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해당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검색 또는 저장과 같은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없음을 통보하여 정확한 개인건강기록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 관리부(240)를 통해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할 상기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계정정보를 조회한다(S230).
한편 상기 저장 관리부(240) 상기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310)를 참조하여,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계정정보를 조회한다.
다음으로 상기 조회결과 해당 사용자의 계정정보 및 액세스키가 있는 경우(S240)에 상기 계정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 접속하여 해당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해당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 받는다(S250).
한편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 DB(410)를 액세스하여 파일 메타데이터 및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상기 저장 관리부(24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 관리부(240)는 상기 수신한 파일 메타데이터를 읽어 상기 개인건강기록 문서와 문서 내 항목에 대한 중복이 있는지를 검사하고(S260), 검사결과 상기 개인건강기록 문서의 ID가 중복인 경우에는 메타데이터를 갱신하지 않고 문서파일 역시 저장하지 않는다. 문서ID는 중복되지 않으나 내부의 모든 항목(레코드)가 중복인 경우에는 파일 메타데이터에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문서정보만 추가하여 갱신함으로써,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를 업데이트 한다(S270).
다음으로 상기 갱신한 파일 메타데이터와 해당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로 전송하고,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는 상기 수신한 파일 메타데이터와 해당 개인건강기록을 저장한다(S280).
한편 상기 검사결과 모든 항목이 중복이 아닌 경우(S260)에는 상기 저장 관리부(240)는 상기 수신한 레코드 메타데이터에 신규의 레코드 정보를 추가하여 갱신하고(S261), 갱신한 메타데이터 및 개인건강기록을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S28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로부터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로부터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기 위한 절차는, 우선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검색을 수행하는 절차와 같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검색요청을 수신 받아, 해당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대한 계정정보를 조회한다. 한편 상기의 계정정보를 조회하는 과정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의 과정을 통해 검색이 수행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검색은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권한을 위임 받은 상기 건강서비스 기관의 요청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검색 관리부(250)를 통해 상기 조회한 계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해당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접속하여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 받는다(S310).
다음으로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건강서비스 기관에서 요청한 검색요건이 문서단위의 검색인 경우(S320)에는 상기 검색 관리부(250)를 통해 파일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검색요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파일을 결정하고(S330), 상기 결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파일을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요청하여 수신 받는다(S340).
한편 상기 검색요건이 레코드 단위의 검색이면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상기 검색요건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코드 파일을 결정하고(S321), 상기 결정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코드 파일을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요청하여 수신 받는다.(S340).
다음으로 상기 검색 관리부(250)를 통해 상기 수신한 파일을 조합하여, 상기 검증부(210)를 통해 상기 조합한 파일의 스키마를 검증하여(S360), 상기 검증한 파일을 힐링 플랫폼으로 전송(S370)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또는 건강서비스 기관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건강서비스 기관이 상기 검색결과에 대해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요청한 경우에는,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조합한 파일을 상기 요청한 특정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 검증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건강서비스 기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10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문서별로 또는 레코드별로 검색하기 위해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메타데이터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기 위한 메타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할 때에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원본 단위 단일 문서파일과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레코드를 레코드 단위의 파일로 나누어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한 형태에 따라 상기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는 메타데이터의 구성도 변할 수 있다.
도 7의 (a)는 개인건강기록의 원본 단위의 단일 문서파일로 저장된 경우 메타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 저장되어 관리되며, 상기 메타데이터에 대한 업데이트는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도 7의 (a)에 도시한 파일 메타데이터 및 레코드 메타데이터는 상기 단일 문서파일로 저장된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기 위해 생성된다.
또한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는 PhrType 필드, DateTime 필드, DocumentID 필드 및 Filename(loc)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PhrType 필드는 해당 개인건강기록의 타입을, 상기 DateTime 필드는 해당 문서의 생성시간을, 상기 DocumentID 필드는 상기 문서를 식별하기 위한 ID를, Filename(loc)은 파일 이름과 해당 파일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레코드 메타데이터는 DateTime 필드, RecordID 필드, Filename(loc) 및 LocationInFile 필드로 구성되며, 상기 DateTime 필드는 해당 레코드가 측정된 시간을, RecordID 필드는 해당 레코드를, Filename(loc)은 해당 문서가 저장된 위치정보를, LocationInFile 필드는 해당 문서 내에서 해당 레코드가 위치하는 위치정보를 나타낸다. LocationInFile 필드는 원본을 항목단위 저장 없이 문서단위로만 저장할 경우 항목 단위 검색에 대응하기 위해 검색할 항목을 문서 파일 내에서 빠르게 참조하기 위한 필드이다.
또한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는 단일 문서 단위의 파일을 참조하며, 저장된 문서파일, 문서파일의 레코드 목록, 문서파일의 위치정보를 유지하며, 상기 레코드 메타데이터는 상기 문서단위로 저장된 파일 내의 레코드 단위로 참조하며, 저장된 문서파일, 문서파일의 레코드, 레코드의 위치정보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레코드 메타데이터는 PhrType 별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PhrType이라는 필드가 필요 없으며, 만일 레코드 메타데이터가 건강기록 타입별로 구분 저장되지 않고 하나의 파일로 통합 저장될 경우 상기 레코드 메타데이터에 PhrType 필드가 추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한 파일 메타데이터 및 레코드 메타데이터는 상기 레코드 단위의 파일로 저장된 개인건강기록을 참조하기 위해 생성된다.
또한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는 PhrType 필드, DateTime 필드, DocumentID 필드, RecordID 필드 및 Filename(loc)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PhrType 필드는 해당 개인건강기록의 타입을, 상기 DateTime 필드는 해당 파일의 문서가 생성된 시간을, DocumentID 필드는 문서 식별 ID를, RecordID 필드는 문서를 구성하는 Record의 ID를, Filename(loc)필드는 해당 레코드 파일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레코드 메타데이터는 DateTime 필드, RecordID 필드, Filename(loc) 필드로 구성되며, 상기 DateTime 필드는 해당 레코드가 측정된 시간을, RecordID 필드는 해당 레코드를, Filename(loc)은 해당 레코드 파일이 저장된 위치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레코드 메타데이터는 PhrType 별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PhrType이라는 필드가 필요 없으며 통합 저장 여부에 따라 추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를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10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각 타입별(예: 진료 데이터, 검진 데이터 또는 라이프로그 등)로 검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포함되는 각 레코드 타입의 항목 단위(예: 혈당, 혈압, 키, 몸무게 또는 이들의 조합 등)별로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메타데이터가 삭제된 경우에는 Root로부터 디렉토리 구조를 읽어 메타데이터를 재생성하며,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원본 파일이 삭제된 경우에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매핑된 원본 파일에 대한 정보를 삭제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를 갱신한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200)는 상기 메타데이터와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원본 파일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불일치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상기 메타데이터를 갱신한다.
한편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100)는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암호와, 메타데이터의 암호화 및 상기 액세스키를 통해 특정 앱을 통해서만 상기 개인건강기록의 열람이 가능하게 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에 대한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100)는 레코드 캐싱(Cashing)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일정 범위(최근 개인건강기록)의 레코드를 유지하여 검색에 활용할 수 있으며 1차로 상기 단말기에서 검색한 후 검색요건에 대한 개인건강기록이 없는 경우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400)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검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CCR 레코드 항목의 예를 보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라이프로그 레코드 항목의 예를 보인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8은 특정 CCR 데이터 오브젝트 ID를 가진 CCR 레코드 항목에서 신장과 신장을 측정한 측정일시 및 액터(actor, 기관)에 대한 정보 등을 기록한 CCR 레코드 항목의 예를 보인 것이고, 도 9는 라이프로그 레코드 항목으로 혈압을 측정하여 기록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들은 도 7의 레코드에 해당하는 정보를 예시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인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는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를 중심으로 단일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간편하게 다양한 건강서비스 기관과 연동하여 다수의 건강서비스 기관으로부터 사용자의 개인건강기록을 수신 받아 이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힐링 플랫폼 200 :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210 : 사용자 인증부 220 : 검증부
230 : 메타데이터 생성부 240 : 저장 관리부
250 : 검색 관리부 300 : 개인건강기록 관리정보 저장소
310 : 사용자-레포지토리 맵 DB 320 : 개인건강기록 스키마 DB
400 :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 500 : 건강기록 프로바이더
60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1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기록 프로바이더로부터 개인건강기록을 제공받아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과 상기 메타데이터를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저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는,
    상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을 검증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증한 개인건강기록으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기록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을 검증하는 검증부; 및
    상기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 관리부는,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계정 정보를 조회하고, 해당하는 계정에 대해서 메타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해당 개인건강기록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파일 메타데이터와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읽어와,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의 항목과 새롭게 입력된 항목이 모두 중복되면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에 신규 문서정보만 추가하고, 일부만 중복되면 레코드 메타데이터에 신규 항목에 대한 정보만 추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파일 메타데이터와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읽어와, 문서 ID가 상이하면 신규 문서 또는 신규 항목으로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색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이 문서 검색이면 파일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 파일을 결정하고, 레코드 검색이면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코드 파일을 결정하여, 해당 검색조건에 따른 검색결과를 조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검색 관리부는,
    상기 검색한 개인건강기록에 대해서 진료, 검진 또는 라이프로그를 포함한 각각의 개인건강기록 스키마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한 후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
  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강기록 프로바이더로부터 개인건강기록을 제공받아 상기 개인건강기록에 대해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과 상기 메타데이터를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상기 제공받은 개인건강기록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증한 개인건강기록으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개인건강기록 관리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대한 계정 정보를 조회하고, 해당하는 계정에 대해서 메타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고 해당 개인건강기록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파일 메타데이터와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읽어와서,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의 항목과 새롭게 입력된 항목이 모두 중복되면 상기 파일 메타데이터에 신규 문서정보만 추가하고, 일부만 중복되면 레코드 메타데이터에 신규 항목에 대한 정보만 추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사용자의 계정에 대한 파일 메타데이터와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읽어와, 문서 ID가 상이하면 신규 문서 또는 신규 항목으로 추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에 따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레포지토리에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참조하여 개인건강기록을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검색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조건이 문서 검색이면 파일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서 파일을 결정하고, 레코드 검색이면 레코드 메타데이터를 조회하여 제공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코드 파일을 결정하여, 해당 검색조건에 따른 검색결과를 조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검색 단계는,
    상기 검색한 개인건강기록에 대해서 진료, 검진 또는 라이프로그를 포함한 각각의 개인건강기록 스키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한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클라우드 기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KR1020150165040A 2015-11-24 2015-11-24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60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40A KR20170060675A (ko) 2015-11-24 2015-11-24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US15/360,913 US20170147755A1 (en) 2015-11-24 2016-11-23 Cloud based personal health record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040A KR20170060675A (ko) 2015-11-24 2015-11-24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75A true KR20170060675A (ko) 2017-06-02

Family

ID=5872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040A KR20170060675A (ko) 2015-11-24 2015-11-24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47755A1 (ko)
KR (1) KR2017006067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650A (ko) * 2019-12-13 2021-06-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기록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통합 시스템
KR20220073900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
KR20220073558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KR20220073557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
KR20220073899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데이터 공유에 의한 의료 서비스 수익 분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2880B2 (en) 2017-08-30 2020-09-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orage for providing cloud services
AU2019283998A1 (en) * 2018-12-21 2020-07-09 Michael Co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secure database for storing a patient operational longitudinal recor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650A (ko) * 2019-12-13 2021-06-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의료기록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 업무 통합 시스템
KR20220073900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의 토탈 헬스케어 솔루션
KR20220073558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가명처리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무결성 확보 솔루션
KR20220073557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 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시스템
KR20220073899A (ko) * 2020-11-26 2022-06-03 주식회사 에이아이플랫폼 블록체인을 이용한 의료데이터 공유에 의한 의료 서비스 수익 분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47755A1 (en)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60675A (ko) 클라우드 기반의 개인건강기록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l A framework for secure and decentralized sharing of medical imaging data via blockchain consensus
JP7335943B2 (ja) Bcn(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データ利用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81083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 local electronic medical record data store using a remote personal health record server
US11562812B2 (en)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secure management of data generated in an EHR during an episode of care and a system therefor
CN105678100B (zh) 健康档案浏览系统
JP2019176458A (ja) 複数のブロックチェーンに基づいたデータ共有方法
US7905417B2 (en) Blind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US7438233B2 (en) Blind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EP2365458A2 (en) A computer implemented metho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disease in a patient
US2013012452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cal information analysis with deidentification and reidentification
JP2008527478A (ja) 医療情報を照会および参照するための仲介サーバ、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
US2019007510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ount Linking
US201200659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records
US20110219235A1 (en) Digital signature device, digital signature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storing digital signature program
US1186850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a secure database for storing a patient operational longitudinal record
JP2015533437A (ja) 識別不能化および再識別を用いた医療情報解析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haqbani et al. Privacy-preserving electronic health record linkage using pseudonym identifiers
KR20060060162A (ko)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32379B1 (ko) 개인 건강기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3837A (ko) 의료 데이터 검색 방법 및 장치
EP210985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sponding to request for clinical information
US20120323601A1 (en) Distributed sharing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Quantin et al. Medical record: systematic centralization versus secure on demand aggregation
US20220392633A1 (en) Personalized data graphs including user domain concep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