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1491B1 -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1491B1
KR102501491B1 KR1020220168907A KR20220168907A KR102501491B1 KR 102501491 B1 KR102501491 B1 KR 102501491B1 KR 1020220168907 A KR1020220168907 A KR 1020220168907A KR 20220168907 A KR20220168907 A KR 20220168907A KR 102501491 B1 KR102501491 B1 KR 102501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ehold
communication
user
access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원
Original Assignee
(주)한승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승이엔씨 filed Critical (주)한승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16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통신케이블과 연결된 엑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시공된 광통신 구현용 정보통신 케이블의 시공 불량여부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되, 체크시 단자간 접속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면서 접속시 습기나 수분 침투로 인한 단락의 위험을 원천 차단하기 때문에 오동작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Apartment theft prevention system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 중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보통신케이블과 연결된 엑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시공된 광통신 구현용 정보통신 케이블의 시공 불량여부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되, 체크시 단자간 접속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면서 접속시 습기나 수분 침투로 인한 단락의 위험을 원천 차단하기 때문에 오동작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엑세스포인트는 세대내 세대단자와 연결되어 무선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기기들을 인터넷에 접속하여 구동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이때, 세대단자는 광케이블을 통해 기계실에 설치된 통합단자함과 연결되어 인터넷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는 수단이다.
한편, 공동주택, 특히 복도형 공동주택의 경우 폐쇄형 공동주택에 비해 외부인의 침입이 쉽고, 방범창을 뜯어낸 후 물건을 훔쳐가는 경우는 물론 현관문을 강제로 열고 침입하는 경우도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런데, 쥐 등의 설치류에 의해 광케이블이 단선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고 있는데, 이럴 경우 광케이블의 단선 유무를 점검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인터넷이 안되는 이유를 찾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엑세스포인트를 활용하여 방범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노후화에 따라서도 광케이블이 오류가 발생되기도 하는데 이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세대를 이동하면서 검측할 세대점검원 1인과, 기계실에서 체크할 기계실점검원 1인 등 적어도 2인 1조의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더디고, 갈수록 심각해지는 인력난 때문에 인력 부하가 커지는 단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점검을 위한 점검단자가 노출 단자 형태이기 때문에 수분이나 습기에 의해 단락 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고, 이로 인해 체크 불량의 문제로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52918호(2012.05.29.),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정보통신케이블과 연결된 엑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시공된 광통신 구현용 정보통신 케이블의 시공 불량여부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되, 체크시 단자간 접속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면서 접속시 습기나 수분 침투로 인한 단락의 위험을 원천 차단하기 때문에 오동작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도형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며 광케이블을 따라 전송되는 특정신호에 반응하는 칩이 내장된 세대단자(10), 상기 세대단자(10)와 연결되어 각 세대로 통신신호를 분기하는 통합단자함(20), 상기 세대단자(10)와 연결된 엑세스포인트(1), 상기 엑세스포인트(1)에 연결된 사용자피시(2), 상기 엑세스포인트(1)와 무선연결된 현관개방감지센서(3) 및 창문개방감지센서(4), 상기 사용자피시(2)의 호출신호에 반응하여 침입자의 침입여부를 확인하는 휴대단말기(5) 및 상기 사용자피시(2)와 유선연결되고 세대내 거실에 설치되어 사용자피시(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피시(2)로 전송하는 카메라(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통신케이블과 연결된 엑세스포인트를 이용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면서 시공된 광통신 구현용 정보통신 케이블의 시공 불량여부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하되, 체크시 단자간 접속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하면서 접속시 습기나 수분 침투로 인한 단락의 위험을 원천 차단하기 때문에 오동작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광케이블 불량유무 검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넥팅소켓을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통합단자함 내부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은 복도형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며 광케이블을 따라 전송되는 특정신호에 반응하는 칩이 내장된 세대단자(10), 상기 세대단자(10)와 연결되어 각 세대로 통신신호를 분기하는 통합단자함(20), 상기 세대단자(10)와 연결된 엑세스포인트(1), 상기 엑세스포인트(1)에 연결된 사용자피시(2), 상기 엑세스포인트(1)와 무선연결된 현관개방감지센서(3) 및 창문개방감지센서(4), 상기 사용자피시(2)의 호출신호에 반응하여 침입자의 침입여부를 확인하는 휴대단말기(5) 및 상기 사용자피시(2)와 유선연결되고 세대내 거실에 설치되어 사용자피시(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피시(2)로 전송하는 카메라(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현관개방감지센서(3)는 현관문이 열리면 인식할 수 있는 근접센서로서 사용자가 장기간 외출시 현관문을 열고 나간 후 휴대단말기(5)를 통해 엑세스포인트(1)를 거쳐 사용자피시(2)에 접속하여 사용자피시(2)로 하여금 현관개방감지센서(3)의 감지기능을 온(on)시킴으로써 활성화된다.
이것은 창문개방감지센서(4)도 마찬가지이며, 이 센서도 창문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이다.
즉, 사용자가 출타를 위해 집 밖으로 나간 상태에서 외부에서 설정하는 것이므로 도둑이 강제 혹은 비밀번호를 누르거나 창문을 열고 들어오게 되면 무조건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피시(2)로 전송하면 동시에 휴대단말기(5)로 검출정보가 전송되며, 실내에서는 경보음이 출력된다.
이 경우, 경보음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5)로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피시(2)는 검출신호와 동시에 카메라(6)의 촬상을 개시하여 실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며,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경찰서 등과 연계하여 방범 기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2,3,4의 예시와 같이 광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도록 상기 통합단자함(20)에 접속되는 커넥팅소켓(30), 상기 커넥팅소켓(30)에 접속되어 통신선의 오류를 체크하는 점검기(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합단자함(20)은 각 세대의 세대단자(10)와 광케이블로 접속되기 위해 각 세대들이 통합된 각 동의 지하기계실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통합단자함(20)에는 일정깊이 고정홈(22)이 형성되고, 고정홈(22)의 내부면에는 다수, 즉 세대수에 대응되는 갯수의 단자홈(24)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자홈(24)은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 사각형상의 도전체로 이루어져 있고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또한, 고정홈(22)의 테두리중 상면과 하면에는 고정홀(26)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26)의 양측에는 슬릿(28)이 절개 형성되어 고정홀(26)이 형성된 부분의 편(片)이 탄성변형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커넥팅소켓(30)은 일측에서 돌출되어 고정홈(22)에 끼워지는 끼움단부(32); 상기 끼움단부(32)의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상하로 돌출되고 고정홀(26)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돌기(34); 상기 커넥팅소켓(30)의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수평구멍(36); 상기 수평구멍(36)에 끼워져 일측으로 돌출되는 사각단자(38); 상기 사각단자(28)의 길이 일부에 용접된 유리용접부(GW); 상기 유리용접부(GW)를 사이에 두고 수평구멍(36)의 일측에 충전마감된 절연재(IS); 상기 절연재(IS) 반대측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사각단자(38)와 접촉되어 통전가능하게 구비된 구리단자(CP);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각단자(38)는 니켈봉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각단자(38)는 유리로 용접된 유리용접부(GW)로 인해 완벽하게 밀봉되기 때문에 사각단자(38)의 좌,우측이 완전히 차단되게 되어 이 사각단자(38)를 통한 공기의 유출입이 완벽하게 차단되므로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나 습기의 유출입도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절연재(IS)는 내열성과 내화성도 유지하면서 방습성을 확보하도록 PPO수지(Polyehenylene Oxide) 100중량부에 대해,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 10중량부, 구아검 15중량부, 디메틸벤질리덴솔비톨 5중량부, 터트-부틸2-에틸헥산과옥산염 10중량부, HFP(Hexafluoropropylene) 10중량부, 디아릴프탈레이트 5중량부, 퓨시드산화나트륨 하이드로겔 10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된다.
이때, PPO수지(POLYEHENYLENE OXIDE)는 고온 내열성 수지로서, 저수분 흡수성(내수성)인한 전기 절연성, 치수 안정성 우수, 경도와 충격강도 우수하며, 가벼워 경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는 수지와의 교합성을 증대시키면서 계면활성 기능을 제공하고, 특히 산화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구아검은 방수성을 증대시키면서 인장강도를 유지하여 팽창흡수력을 가진다.
이때, 디메틸벤질리덴솔비톨은 성분간 결합력을 증대시켜 성형품의 마모저항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터트-부틸2-에틸헥산과옥산염(Tert-Butyl Pepoxy-2-Ethyhexanoate)은 내열안정성 강화 및 내부에서의 산화물 발생 억제를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HFP(Hexafluoropropylene)는 내열성을 높이면서 경화안정화를 유지하고 동시에 굴곡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디아릴프탈레이트는 접착성과 인성을 개선하여 부착안정성을 포함한 내열성을 강화시킨다.
아울러, 퓨시드산화나트륨 하이드로겔은 흡습성이 강한 퓨시드산화나트륨 백색분말을 친수성 고분자가 물을 함유하면서 팽창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3차원 망목구조와 미결정 구조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내습성과 완충성을 강화시킨 것이며, 방습성 및 완충, 흡음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은 점검을 위해 먼저 커넥팅소켓(30)의 사각단자(38)를 통합단자함(20)에 단자홈(24)에 끼워 커넥팅시킨다.
이때, 상기 사각단자(38)의 갯수는 세대수에 대응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는 설명의 편의상 1열로 구현되어 있지만, 2열 혹은 3열 모두 가능하다.
그러면, 끼움단부(32)가 고정홈(22)에 끼워져 끼움돌기(34)가 고정홀(26)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점검기(40)에 연결된 검지단자(42)를 수평구멍(36)의 일측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검지단자(42)와 구리단자(CP)가 접촉되면서 각 세대별 세대단자(10)와 통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어, 점검기(40)를 조작하여 특정 전기신호를 송신하고, 각 세대단자(10)로부터 반응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불량여부를 체크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점검함으로써 1인이 쉽고 편리하게 점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접속이 자유롭고 용이하며, 단선 위험이 없고, 무엇보다도 습기나 수분 침투로 인한 단락의 위험을 원천 차단하기 때문에 오동작이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통합단자함(20)은 접속의 편리성과 신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 4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통합단자함(20)에는 다수의 단자홈(24)이 형성된 단자하우징(250)이 끼워진 후 접착고정된다.
이때, 상기 단자하우징(250)은 일측에는 단자홈(2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출몰공(254)이 형성된 케이스(252)와, 상기 케이스(252)에 내장되고 단자홈(24)과 마주하는 면보다 그 반대면이 더 넓은 사다리꼴 형상의 제1유동블럭(256)과, 상기 제1유동블럭(256)의 넓은 면에서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출몰공(254)을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는 접속단(258)과, 상기 제1유동블럭(256)의 좁은 면에 요입형성되어 사각단자(38)가 삽입되는 사각단자홈(260)과, 상기 제1유동블럭(256)의 경사진 양측면에 접지되는 제2유동블럭(262)과, 상기 제2유동블럭(262)의 둘레를 감싸는 둘레스프링(264)과, 상기 접속단(258)에 끼워지고 제1유동블럭(256)과 출몰공(254)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266)과, 상기 접속단(258)을 직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세대단자(10)와 연결배선된 광케이블이 접속되는 케이블고정공(268)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252)은 절연체로 구성되고, 제2유동블럭(262)과 상기 제1유동블럭(256)은 도전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둘레스프링(264)의 탄성계수가 코일스프링(266)의 탄성계수 보다 작다. 때문에, 평상시에는 제1유동블럭(256)이 단자홈(24) 쪽으로 최대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이것이 홈포지션이다.
이 상태에서, 커넥팅소켓(30)이 고정되면서 제1유동블럭(256)이 밀리게 되면 제2유동블럭(262)이 오무려들면서 사각단자(38)를 맞물어 고정하게 된다.
반대로, 분리하면 홈포지션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속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 엑세스포인트 2: 사용자피시
5: 휴대단말기 10: 세대단자
20: 통합단자함 30: 커넥팅소켓
40: 점검기

Claims (2)

  1. 삭제
  2. 복도형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며 광케이블을 따라 전송되는 특정신호에 반응하는 칩이 내장된 세대단자(10), 상기 세대단자(10)와 연결되어 각 세대로 통신신호를 분기하는 통합단자함(20), 상기 세대단자(10)와 연결된 엑세스포인트(1), 상기 엑세스포인트(1)에 연결된 사용자피시(2), 상기 엑세스포인트(1)와 무선연결된 현관개방감지센서(3) 및 창문개방감지센서(4), 상기 사용자피시(2)의 호출신호에 반응하여 침입자의 침입여부를 확인하는 휴대단말기(5) 및 상기 사용자피시(2)와 유선연결되고 세대내 거실에 설치되어 사용자피시(2)의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피시(2)로 전송하는 카메라(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도난 방지시스템은 통합단자함(20)에 접속되는 커넥팅소켓(30)과, 상기 커넥팅소켓(30)에 접속되어 통신선의 오류를 체크하는 점검기(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합단자함(20)은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22), 상기 고정홈(22)의 내부면에 세대수에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된 단자홈(24), 상기 고정홈(22)의 테두리중 상면과 하면에 관통형성된 고정홀(26), 상기 고정홀(26)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절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홀(26)이 형성된 부분을 탄성유동가능하게 하는 슬릿(28)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소켓(30)은 일측에서 돌출되어 고정홈(22)에 끼워지는 끼움단부(32), 상기 끼움단부(32)의 상면과 하면에서 각각 상하로 돌출되고 고정홀(26)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돌기(34), 상기 커넥팅소켓(30)의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된 수평구멍(36), 상기 수평구멍(36)에 끼워져 일측으로 돌출되는 사각단자(38), 상기 사각단자(28)의 길이 일부에 용접된 유리용접부(GW), 상기 유리용접부(GW)를 사이에 두고 수평구멍(36)의 일측에 충전마감된 절연재(IS), 상기 절연재(IS) 반대측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사각단자(38)와 접촉되어 통전가능하게 구비된 구리단자(C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KR1020220168907A 2022-12-06 2022-12-06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KR102501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907A KR102501491B1 (ko) 2022-12-06 2022-12-06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907A KR102501491B1 (ko) 2022-12-06 2022-12-06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491B1 true KR102501491B1 (ko) 2023-02-23

Family

ID=8532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907A KR102501491B1 (ko) 2022-12-06 2022-12-06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457B1 (ko) * 2023-04-28 2023-10-19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도난 방지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18B1 (ko) 2011-04-13 2012-06-07 최호정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KR20170022286A (ko) * 2015-08-20 2017-03-02 (주)엘지하우시스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918B1 (ko) 2011-04-13 2012-06-07 최호정 액세스 포인트 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기기 도난방지 시스템
KR20170022286A (ko) * 2015-08-20 2017-03-02 (주)엘지하우시스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457B1 (ko) * 2023-04-28 2023-10-19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자동 도난 방지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491B1 (ko) 정보통신을 이용한 공동주택 도난 방지시스템
KR20050093052A (ko) 무인 경비 시스템용 휴대폰 및 이를 이용한 방범 방법
US10753136B2 (en) Method and mechanism for automatically detecting door or window faults
KR102289990B1 (ko) 건축물 공동주택 전기의 누전 관리 시스템
KR102510681B1 (ko) 공동주택의 방범기능을 갖춘 방충망 시스템
KR102358245B1 (ko)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케이블 점검시스템
KR101902495B1 (ko) 지중배전선로 연결대 안전장치
KR102528915B1 (ko) 인공지능과 연계한 건축물 정보통신망 제어시스템
JP2007233733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KR20110015486A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KR10253402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업그레이드 시스템
JP3879641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490276B1 (ko) 정보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한 위험 감지 시스템
CN206696984U (zh) 智能门禁报警系统
CN208014114U (zh) 一种光幕门窗报警系统
JPH0981872A (ja) 火災感知器用アダプタ
KR101134679B1 (ko) 시스템 창호용 벤트 감지기
KR101143431B1 (ko) 센서모듈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JP2666035B2 (ja) オフィスオートメーションフロアの安全装置
TW202042439A (zh) 天線延伸裝置
KR102418857B1 (ko) 창문 상태 감시시스템 및 방법
KR102525890B1 (ko) 친환경 통신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 시공방법
CN210041987U (zh) 摄像装置
KR200208373Y1 (ko)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경계용 방범창
KR101959344B1 (ko)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보안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